비트코인이 why? 9월 폭락 이후 강세장 폭발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 메인 시나리오 — 20주선 지키고 10월 가속
조건 : 9월 내내 20주선 위에서 버텨야 돼
트리거 : 주봉에서 20주선 재확인 후 양봉 전환, 월봉은 윗꼬리 짧고 실몸통 회복
그다음 그림 : 지배도 U턴 상승 → 알트/BTC 페어 추가 하락(알트는 USD 기준으론 횡보~약세 섞임) → Q4 신고점 시도까지 열림
숫자 포인트 : 지배도 66% 뚫으면 다음 파동 68~70%도 볼 수 있음(과거 0 618 · 0 786 돌파 패턴 근거)
2) 보조 시나리오 — 20주선 이탈 → 50주선 터치 후 재상승
조건 : 일단 20주선 이탈, 대신 주봉 50주선에서 반등 시도
트리거 : 50주선 터치 후 주봉 반전 + 거래량 회복
그다음 그림 : 10월 랠리 가능성은 유지, 다만 3~6주 컨솔 거치면서 속도는 둔화
지배도 방향 : 내려가는 게 아니라 상승 유지 쪽(시장 자금이 알트보다 메이저 선호)
경로가 달라도 결론은 비슷해 9월에 지배도 바닥 찍고 → 10월 상승 확률이 높다 즉, 자금은 결국 메이저로 회귀한다는 얘기
✅ 시즌 데이터 한 번에 정리
6월 알트 시동 : 2022 · 2023 · 2024 · 2025 공통 패턴(알트가 BTC 대비 잘 뛰던 시기)
8월 고점 → 9월 저점 : 2017 · 2020 · 2021에 반복
예외(톱 전환) : 2018 · 2019 → 그래서 9월은 항상 주의
올해(2025) : 8월 월봉 -6~12%로 마감했지만 장중 신고점 갱신 → 패턴상 이상 없음
숫자 체크 : 9/1 저점 107 3K(8월 저점보다 더 낮음) → ‘9월 저점’ 성립 가능성 열려 있음
✅ 체크리스트
주봉 · 월봉 지배도 : 9월에 저점 신호 나오는지(아랫꼬리 길이, 몸통 전환)
20주선/50주선 거리 : 20주선 지지 유지인지, 아니면 50주선 근접 · 터치 반응 나오는지
알트/BTC 페어 : 저점 이탈하거나 반등 실패면 메이저 회귀 가속
현 · 선물 베이시스/펀딩 : 레버리지 과열 · 역전 체크(스퀴즈 대비)
현물 · ETF 흐름 : 유입 전환이면 리스크온 강도↑
거시 캘린더 : CPI · FOMC · 고용 같은 변동성 트리거 동행 체크
운용 팁 : 알트/BTC 추세 하락이면 대형 · 실적형 위주, 테마 단타는 빠른 손절 · 회전
필요한 포인트만 딱 보면서 가자 9월은 방향을 정하는 달, 10월은 속도 싸움
차트 패턴
비트코인 드디어 꺠진 11만선 더 내리나?안녕하세요 스켈핑 전문 트레이더 물어보살입니다
2019년부터 누적 수익률 240,000% 달성
100만원 소액으로 시작해 바닥부터 올라온 트레이더입니다
제 관점이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트"와 "팔로우" 부탁드려요
-----------------------------------------------------------------------------------
BTC (비트코인)
🔹 비트코인 11만 달러 붕괴 – 추가 하락이 열리다
비트코인이 11만 달러 지지를 끝내 버티지 못하고 10만 9천 달러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최근 며칠간 ETF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달러 기조, 연준의 매파적 기류, 장기 보유 물량의 움직임이 겹치며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6월 저점 이후 이어지던 상승 추세선이 이탈하면서,
단순 조정이 아니라 “추세 전환 초입”일 수 있다”는 경계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왜 추가 하방 가능성이 높을까? (종합 분석)
① 온체인 이상 신호 – 장기 물량 이동
간밤에 10년 이상 잠자고 있던 420 BTC가 이동하면서,
“고래들이 현금화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시장에 확산.
장기 보유자 물량 이동은 대체로 고점 부근 분배 혹은 큰 변동성 전조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음.
② ETF 자금 유입 둔화 – 매수세 약화
7월까지 강하게 들어오던 비트코인 ETF 순유입이 8월 들어 뚜렷하게 둔화.
큰손들의 공격적 매수 흐름이 주춤하며, 가격을 지지할 수 있는 실탄 부족이 드러남.
③ 매크로 변수 – 달러 강세, 금리 불확실성
美 경기 지표가 여전히 탄탄, 연준 인사들의 매파 발언 지속.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기대를 축소하는 중 → 위험자산 전반 약세.
달러 인덱스 강세가 지속되면서, 코인 시장에 추가 압박.
④ 기술적 구조 – 지지선 붕괴
11만 달러 강력 지지선 이탈 → 단기 손절 물량 유입
다음 지지 구간은 10만 7천 달러~10만 5천 달러대,
이 가격대까지 열려 있는 하방 통로가 확보된 상황.
OBV(거래량 흐름), RSI(모멘텀), MACD(추세 지표) 모두 약세 전환 신호 강화.
⑤ 시장 심리 – ‘여기서 더 오른다’는 믿음 약화
“ETF가 있는데 왜 안 오르지?” → 이 질문이 차익 실현으로 이어짐.
최근 알트코인 시장 약세, 거래소 유동성 부족, 숏 포지션 확대 등이
심리적으로도 비트코인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게 하는 상황.
정리하면
장기보유자 물량 이동 → 불안 심리 확산
ETF 순유입 둔화 → 상승 모멘텀 약화
달러 강세 & 금리 불확실성 → 위험자산 전반 약세
11만 달러 지지선 붕괴 → 기술적 하락 신호
숏 포지션 확대 → 변동성 확대 가능성
즉, 복합적 요인들이 모두 “추가 하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전략적 접근
현재 구간은 단기 반등이 오더라도 추세 반전으로 보기 어렵고,
하방 리스크를 우선 고려해야 할 때입니다.
1차 대응 구간 : 10만 7천 달러대
2차 대응 구간 : 10만 5천 달러대
익절폭이 크지 않은 만큼 짧은 손절과 비중 관리가 필수
“11만 달러는 끝난 걸까?”
지금 시장은 명확한 상승 모멘텀 부재와 심리적 지지선 붕괴를 동시에 겪고 있습니다
리플 단기 매도를 노려라🔹 리플(XRP) 최근 동향
리플은 최근 몇 주간 하락 채널 안에서 움직이며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지 못했습니다.
현재 가격은 채널 상단부(2.986)에 정확히 맞닿은 상황인데요,
이 구간은 최근 반복적으로 매도 압력이 출현해온 자리입니다.
즉, 단기 상승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그널이 포착된 셈입니다.
⁉️ 왜 채널 상단에서 하방 뷰가 나올까?
반복되는 상단 저항 → 2.986 부근 도달 시마다 매도세 우위
거래량 증가 없이 상승 → 실수요보단 단기 숏 청산성 반등일 가능성
시장 전반 유동성 둔화 → 주요 알트 전반에 자금 유입 미흡
하락 채널 유지 → 중기 추세 전환 신호 부재
정리하면, “이 자리가 진짜 돌파 구간인가, 아니면 또 한 번의 매도 타이밍인가?”
시장 참가자들이 여전히 확신하지 못하는 자리라는 겁니다.
특히 2.986은 숏 진입 구간으로 자주 거론된 레벨이어서,
심리적 저항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점
가격이 채널 상단에 도달한 지금,
단기적으로는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지지 구간으로는 2.85, 추가로는 2.7 근방이 주요 체크 포인트입니다.
저는 이 상황을 하락 추세선의 정상부 도달로 보고 있어요.
강한 매수세가 뒷받침되지 않는 한, 지금 위치는 매수보다 관망이나 매도 대응에 유리해 보입니다
바이낸스 선물 및 현물 시장에 상장된 코인들의 가격 프리미엄 지표를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 바이낸스 선물-현물 가격 프리미엄 지표 설명서
이 지표는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Perpetual Futures) 과 현물(Spot) 시장에 상장된 코인들의 가격 프리미엄(%) 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이를 컬럼 차트(막대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합니다.
특히, 1000PEPE, 1MBABYDOGE와 같이 선물 심볼에 포함된 숫자 접두어 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현물 가격과의 정확한 1:1 비교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스케일링(배율 조정)을 적용시켜 프리미엄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수동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히 가격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수급 불균형을 시각적으로 드러내어 시장 과열 국면이나 패닉성 매도 구간을 포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구성 요소 설명
1. ✅ 자동 심볼 매핑 & 접두어 스케일링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심볼에서 자주 사용되는 숫자 접두어(1000, 1M 등)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합니다.
예시:
1000PEPEUSDT.P → 현물 심볼: PEPEUSDT, 스케일링 계수: 1000
이 과정을 통해 선물과 현물 가격의 단위를 일치시켜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
2. 📈 프리미엄 계산 로직
공식: (스케일링된 선물 가격 − 현물 가격) / 현물 가격 × 100
해석:
양수(+) →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높음 → 과열된 롱 포지션 가능성
음수(−) →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낮음 → 패닉성 매도, 과매도 시그널 가능성
0 → 선물-현물 가격 균형 상태
3. 🎨 시각화 스타일
각 봉(Candle)마다 컬럼 플롯(막대 그래프)으로 표시
프리미엄 방향에 따라 색상 구분:
🟩 양수(+) → 연녹색 (#52ff7d)
🟥 음수(−) → 연적색 (#f56464)
⬜ 중립/NA → 회색
기준선(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중립 구간을 한눈에 확인 가능
💡 전략적 활용 사례
시장 상황 전략 / 해석
📈 프리미엄 급등 선물 매수 수요 강세 → 과열된 롱 포지션 (숏 진입 시그널)
📉 프리미엄 급락 선물 매도세 강세 → 과매도 신호 (롱 진입 시그널)
🔄 프리미엄 0 근처 균형 상태 → 관망 또는 재분석 필요
🧩 펀딩비·OI 델타와 결합 단기/중기 매매 신호의 다중 요인 확인 가능
🧠 기술적 장점
1000, 1M 등의 접두어 스케일링을 자동 처리
비활성화 심볼이나 누락된 심볼에 대해 에러 처리 내장 (ignore_invalid_symbol=true)
바이낸스 USDT 현물 및 무기한 선물 시장과 폭넓은 호환성
🔍 대상 활용 시장 & 예시
호환 심볼 예시:
BTCUSDT.P
ETHUSDT.P
SOLUSDT.P
1000PEPEUSDT.P
1000BONKUSDT.P
1MBABYDOGEUSDT.P
그 외 대부분의 바이낸스 USDT 마진 무기한 선물
호환 시장: Binance Spot Market (바이낸스 현물 시장)
Binance Perpetual Futures Market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시장)
📌 가격 프리미엄 지표 활용 방법
1. 단기 변곡점 포착
메커니즘:
선물 가격이 현물 대비 순간적으로 크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은 양측 시장의 매수·매도 균형이 무너진 신호입니다.
선물 가격 급등 → 숏 청산 + 롱 진입 쏠림 → 단기 과열
선물 가격 급락 → 롱 청산 + 숏 과도 진입 → 단기 패닉성 매도
활용:
이 순간을 단기 변곡점으로 인식하면, 추세 전환이나 되돌림 구간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습니다.
2. 매매 전략 응용
상황 시장 해석 활용 전략
📈 프리미엄 순간적 급등 선물 매수 과열 / 숏 청산 러시 단기 숏 진입 또는 기존 롱 포지션 부분 청산
📉 프리미엄 순간적 급락 패닉성 숏 과열 / 롱 청산 러시 단기 롱 진입 또는 숏 포지션 청산
🔄 프리미엄 급변 후 빠른 정상화 시장이 급등락을 소화하고 균형 회복 스캘핑 기회, 짧은 구간 수익 극대화
✅ 정리하면,
순간적인 가격 프리미엄 벌어짐은 단순 가격 차이가 아니라 유동성 불균형 + 레버리지 과열 신호입니다.
이를 단기 변곡점, 청산 러시, 과매수/과매도 신호로 해석하면 트레이더가 빠른 진입·청산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수이 이대로 괜찮은가? 큰 하방이 보이는 자리🔹 수이(SUI) 최근 동향
수이는 지난 몇 달간 뚜렷한 방향 없이 박스권을 유지하다가 최근 3.5692 돌파 시도를 보였습니다.
흥미로운 건, 6월 10일부터 무려 네 차례나 이 구간에서 강한 저항을 받았다는 점이에요.
이번에 뚫리긴 했지만, 시장은 이를 완전한 상승 전환이라기보다 리테스트 구간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과연 이 가격대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기는 이유죠.
⁉️ 왜 돌파했는데도 불안하다고 볼까?
저항선 3.5692에서 반복된 매도 압력 → 여전히 ‘차익 실현 구간’으로 인식
거래량 부족 속에서 억지로 뚫은 돌파 → 실체 있는 매수세가 확인되지 않음
전체 시장 유동성 둔화, 다른 알트코인들도 힘이 빠진 상태
숏 포지션 청산으로 인한 단기 급등 → 추격 매수 부진
정리하면, “이건 진짜 힘 있는 상승일까, 아니면 잠깐의 반짝일까?”
시장 참가자들이 계속 고개를 갸웃거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3.5692는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숏 진입 타이밍”으로 많이 지목되어 온 자리라,
심리적인 저항 구간으로도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현재 시점
지금은 돌파 이후 조정이 들어오며 3.5692를 다시 테스트 중이에요.
보통 이런 리테스트 구간에서는 단기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버티지 못하면 3.57 → 3.3까지 빠질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저는 이 상황을 ‘상승 재료가 없는 돌파’로 보고 있어요.
강력한 매수세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번 움직임은 함정일 수 있다는 거죠.
전략은?
반등 시 3.57~3.72 구간에서 비중 축소 또는 숏 대응
3.52 붕괴 시 추가 하락 가능성 대비
익절·손절 폭 모두 짧게 관리 → 리스크 관리가 핵심
결국 질문은 단순합니다.
“이번 돌파, 진짜 상승 전환일까? 아니면 또 다른 숏 타이밍일까?”
저는 후자, 즉 하방 뷰를 유지합니다.
지금 저점매수 들어가신 분이 많은 자리일텐데 지금은 오히려 확실한 매수세가 보일 때까지 기다리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되고 분할 청산이나 관망을 추천드립니다
또 선물 트레이더 분들은 매도를 보시기에 좋은 구간으로 보고있습니다
나스닥 E-mini 데이트레이딩: POC 중심 시각과 모멘텀 전략안녕하세요. 트레이딩뷰 가족 여러분?
팔로우와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은 제가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하고 정리해온 나스닥 E-mini 선물 CME_MINI:NQ1! 데이트레이딩 전략을 공유하려 합니다.
트레이딩을 이야기할 때 항상 마주하는 근본적인 질문은 단 세 가지입니다.
1. 언제 매매할 것인가?
2. 어느 가격에서 진입할 것인가?
3.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 (익절과 손절 포함)
이 단순해 보이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 바로 트레이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답을 찾는 도구로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 와 Squeeze Momentum Indicator(Lazebear 버전) 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FRVP: 거래 흔적을 보여주는 지도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은 보이는 차트 구간 안에서 거래가 어디서 집중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거래량이 많은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 합의를 이룬 자리이고, 반대로 거래량이 적은 구간은 합의가 부족한 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즉, FRVP은 단순히 가격 차트가 아니라 “어디에서 시장이 가장 활발하게 거래됐는가” 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해당 사진은 8월 13일의 FRVP입니다. 분석 대상은 미국 동부 표준시로 전날 18:00 ~ 익일 09:29 입니다.
사진에서 막대로 강조된 부분이 가장 거래가 많이 된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가격은 대체로 이 부근으로 회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우리는 올바른 진입 가격과 익절 구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POC 중심의 시각
저는 FRVP을 볼 때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VA(Value Area) 를 따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POC(Point of Control) 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더 나아가 저는 하나의 POC만 보는 게 아니라,
가장 큰 거래량이 형성된 POC (절대 분기점)
두 번째, 세 번째로 큰 거래량이 쌓인 POC (차순위 분기점)을 모두 중요한 분기 레벨로 둡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거래량이 집중된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가장 치열하게 부딪힌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레벨은 가격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반드시 한 번쯤은 반응을 보이는 지점이 됩니다.
👉 제 시각에서 FRVP은 단순한 분석 도구가 아니라,
“어디서 시장이 진짜 분기점을 맞이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3. Squeeze Momentum Indicator: 모멘텀의 전환 포착
하지만 가격 레벨만으로는 타이밍을 잡기 어렵습니다. 여기서 Squeeze Momentum Indicator가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지표는 단순히 상승/하락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모멘텀의 확장과 수축 / 추세 전환의 조짐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FRVP로 구간을 설정한 뒤, 그 구간에서 모멘텀의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라는 것입니다.
즉, 지표 하나만 보고 매매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FRVP로 진입 가능한 가격대를 찾고
Squeeze Momentum으로 실제 매수/매도 에너지가 붙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4. 실전 매매 시나리오
예를 들어, 프리마켓 동안 분석한 결과 POC가 예시의 지점에 형성되었다고 합시다. 본장 개장 이후 가격이 이 POC 위에서 머무르고, 불완전 거래 구간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매수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Squeeze Momentum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된다면 매수세가 실제로 붙는다는 신호가 됩니다. 반대로 POC 아래에서 약세 흐름을 보이고, 모멘텀이 음으로 강하게 확대된다면 매도 시나리오가 유효해집니다. 실제 진입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지표가 0에 수렴할 때 진입하면 됩니다.
진입: POC 기준 돌파/리테스트 + 모멘텀 전환 확인
익절: 다음 POC
손절: 단기 고점
이렇게 되면 매매는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구간(프레임워크) → FRVP
타이밍(모멘텀) → Squeeze Momentum
리스크 관리(청산 전략)
의 구조를 갖춘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됩니다.
예시를 보면
총 4단계의 의사결정과정이 나타납니다.
1. POC가 지지에 실패함 -> 숏 고려
2. 재돌파하며 매도세가 들어옴
3. 지표가 0에 수렴하며 추세가 다시 나올 수 있게 됨
4. 그 아래 POC로 회귀할 것을 예상하여 익절구간 설정
4. 마무리
트레이딩은 언제나 불확실성 속에서 확률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FRVP와 Squeeze Momentum의 조합은, 그 불확실성을 줄이는 하나의 틀을 제공합니다.
물론 지표가 답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일관된 실행을 해내는 것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트레이딩 전략을 정리하고 발전시키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향후 POC로 돌아오지 않는 사례와 몇 가지 특이 케이스들을 두고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앞으로 실제 차트 예시와 함께 구체적인 매매 사례도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온체인 데이터 분석 지금은 줍줍할때가 맞다지금 시장, 진짜 끝났을까?
솔직히 말해서 요즘처럼 불확실성이 짙을 때, 대부분은 “아 끝났네…” 하면서 도망가.
근데 나는 계속 얘기했지. “공포에 사서, 환희에 팔아라”
고점에서 현금 만든 사람들, 분할 매수 시작한 시점은 일주일 전이었어야 돼.
1️⃣ 일봉 차트로 본 기술적 흐름
이번 상승은 25년 4월부터 시작된 파동이고
최근 0.236 되돌림(1차 지지선)에서 반등 나옴.
중요한 건, 대부분은 외봉에서 끝나지 않아.
상승 모멘텀이 강하다면 더블바텀 혹은 헤드앤숄더 만들고 고점 돌파 시도함.
지금 흐름은 딱 그 전형적인 2번 형태.
2️⃣ 매도? No. 자산운용사는 '차익실현' 중
그레이스케일, 블랙록, 피델리티 모두 7월 말부터 매도 시작
하지만 ETF 쪽 자산운용사 입장에서
수익 실현 = 자연스러운 움직임
전반적 추세 꺾임으로 보기엔 무리
수급은 연속성이 중요함 👉 단발 매도는 추세 전환 X
3️⃣ 거래소 보유량 & 입금량 변화
거래소 보유량
횡보 중. 급격한 유입 없음 → 공포성 투매 아님
매도 대비 유입량도 크지 않음
하락 압력은 점차 감소 중
입금량
6/30~7/5 상승 당시 대비, 현재 입금량 150만 개 미만
매도 위한 입금 자체가 줄어드는 중
큰 손은 매도 안 하고, 관망 or 매집
4️⃣ 스테이킹 비율 계속 증가 중
스테이킹 비율 꾸준히 상승 → 유통 가능한 공급량 줄어드는 중
즉, 시장 매도 압력은 제한적
언스테이킹 우려는 과도함
실제로 입금량이나 거래소 유입으로 이어지지 않음
5️⃣ 선물 시장은 과열? 아직 아님
미결제약정
가격보다 더 빠르게 감소 → 리스크 관리 중
레버리지 비율
반등 중에도 비율 감소 → 과열 아님, 건강한 움직임
펀딩비
아직 +0.025도 도달 X
고점 근처였던 4~5월은 +0.05 이상
아직 충분한 여유 있다
6️⃣ 버블맵은 뭐라 말하나?
현물 버블맵
아직 중립 구간
과열이 아니라 분배 국면
즉, 아직 한 파동 더 남음
이후 더블탑 or 헤드앤숄더 만들고 하락 시나리오 가능성 UP
선물 버블맵
오버히팅 구간
하지만 과거 패턴 보면 한 번 더 펌핑 나오는 경우 많음
즉, 버블은 과열돼야 꺼진다
7️⃣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표는?
📉 현물 시장 투자심리 지표
현재 2 이하도 아님
과거 상승 전환 포인트는 2~4
아직 매수 기회 영역 남아있다
지금은 도망칠 타이밍이 아니라
분할 매수, 포지션 리빌딩 타이밍
모든 지표는
“과열은 아직 아니다” 라고 말하고 있음
걱정보다
기술적 반등의 확률이 더 높다는 판단
더블탑이든 헤드앤숄더든
한 번 더 기회는 온다.
그걸 놓치면 그땐 정말 끝이다
✅ 분할 매수 준비된 물량 체크
✅ 고점 부근 청산 포인트 사전 설정
✅ 펀딩비, 레버리지, 거래소 입출금 실시간 체크
✅ 다음 고점 예상 구간 복기하기 (이전 시즌 참고)
BTC / BTC.D 이제는 좀더 리스크관리 차익실현할시점BTC / BTC.D
말씀드린것처럼 4시간봉 마감이 118.3K 위에서 마감이 되어야 위 조건이 수립됩니다.
알트들이 전반적으로 너무 많이 빠지네요.
알트 롱은 조금 더 좋은 자리 찾을때 까지 대기하겠습니다.
BTC.D 62.1% - 62.3%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상승이 나오더라도 최대치라고 보는 곳은 62.5% 0.5 자리입니다.
해당자리부터는 공격적으로 알트들을 매집하면서 대응하시면 됩니다.
지금 같은 변동성이 있는 시기에는 가격 움직임이 급하게 나옴에 따라 FVG가 많이 생기게 되고
분할 폭, 분할 구간을 다 분할로 비중조절하며 접근할 경우, 평단을 적절히 형성하기 유리
시장 변동성에서 적절한 시드 변동을 버틸 수 있는 베팅을 해야하지, 시장이 한번 움직일 때마다 자신의 시드가 50% ~ 100% 씩 움직이게 베팅한다면 멘탈 관리가 안될 뿐 아니라, 청산 위험성도 너무 높아집니다.
수익을 분할로 챙기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시장이 공포를 느낄 때 오히려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매매를 경험하고 익혀나가길 권장합니다.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는 전저점과 전고점을 탐지하고 저가와 고가 사이의 범위를 표시해주는 보조 지표 사용 방법보조지표 설명: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구간 내에서의 최고가(High) 및 최저가(Low)를 탐지하고, 이를 차트 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시장 흐름 속에서 특정 구간의 핵심 가격 범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가격 변동성 판단,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 지지·저항 구간 확인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지표의 핵심 기능
본 지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가 입력한 봉 수만큼의 기간을 기준으로 최고가 및 최저가를 자동 계산합니다.
* 해당 가격에 수평 점선(Line)을 그려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
* 최고가 및 최저가의 가격 수치를 텍스트 라벨(Label)로 표시합니다.
* 고가와 저가 간의 가격 차이(변동률)를 퍼센트(%)로 산출하여 함께 표기합니다.
* 매 바(bar)마다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며, 이전 시각 요소는 자동으로 제거됩니다.
## 작동 원리
이 보조지표는 사용자가 설정한 분석 구간(`visibleBars`, 기본값: 500봉)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작동합니다:
1. 최근 N개의 캔들 중 최고가(highest value)와 최저가(lowest value)를 탐색합니다.
2. 해당 가격이 발생한 시간(time)을 기준으로 수평선을 생성합니다.
3. 고가와 저가 각각에 가격 정보를 담은 라벨을 표시합니다.
4. 고저 간 변동폭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범위(%) 라벨로 함께 표기합니다.
5. 매 캔들(bar)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실시간으로 갱신됩니다.
## 시각적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설명 | 표시 방식 |
| ------ | ------------------------------- | ------------- |
| 고가 라인 | 최고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 녹색 점선 |
| 저가 라인 | 최저가 지점에 생성되는 수평 점선 | 녹색 점선 |
| 고가 라벨 | `High: ` 형태로 최고가를 표시 | 좌측 정렬, 흰색 텍스트 |
| 저가 라벨 | `Low: ` 형태로 최저가를 표시 | 좌측 정렬, 흰색 텍스트 |
| 변동률 라벨 | `Range: +x%` 형태로 고저 차이를 퍼센트로 표기 | 최고가 아래에 배치 |
## 사용자 설정 항목
* Bars to Scan (분석 구간 봉 수)
최근 몇 개의 캔들을 기준으로 고저를 계산할지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기본값은 500이며, 최소 100에서 최대 1000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긴 구간을 설정할수록 더 장기적인 고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짧은 구간을 선택하면 최근 움직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활용 예시
* 레인지 트레이딩 전략 수립 시: 박스권 상단과 하단을 명확히 구분
* 지지·저항 영역 판단 시: 고점 및 저점에서의 반응 여부 확인
* 시장 변동성 분석 시: 고저 간 퍼센트 차이를 통해 리스크 범위 파악
* 매수·매도 타이밍 판단 시: 가격이 어느 위치에 근접해 있는지 시각적으로 인지
## 결론
`Highest/Lowest Range in Timeframe` 지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핵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특정 기간 내에서의 고점과 저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그 범위의 상대적인 크기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가격의 위치와 변동성을 기준으로 매매 전략을 세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본 지표는 실용적인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지표입니다.
[조정파동] 이 패턴이 보이면 상승할 차례입니다.오늘은 조정파동에 대해서 알려드릴 건데요
조정파동은 엘리엇파동에서 나오는 이론이고
충격파동 즉 상승 이후에 조정이라는게 주어지는데 조정이 끝나면 다시 충격파동으로 올라갑니다. 오늘은 조정파동의 종류의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플랫조정:
1. 엘리엇파동에 2파동에서 자주보인다.
2. c자리에서 반등을 하면 좋은 매수자리다.
3. 세부파동으로는 335 535 등이 보인다.
지그재그 패턴:
1. 가장흔한 패턴이다.
2. A의 길이와 C의 길이가
같으면 AB=CD 패턴이라고한다.
3. 2파동일때 C 는 주로 0.618,0.5,0.782
에서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4.세부파동으로 535 파동이 포착된다.
삼각형 패턴
1.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져있다.
2.엘리엇파동에서 4파동에서 자주보인다.
3.E에서 매수가 들어간다면 A살짝 밑에서 손절한다.
4.세부파동으로 33333 의형태를 띄고 있다.
매우 중요한 TIP
E를 연장하면 지그재그 패턴이 된다.
엘리엇파동은 대응이 매우 중요한 이론이기에
원칙을 지켜가면서 대응을 하자.
[수렴돌파] 전업트레이더가 되기 가장 쉬운매매법트레이딩 중에서 모든 트레이더가 참고하는 매매법은 반드시 숙지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심플하지만 가볍지 않은 매매법에 대해서 설명드릴려고합니다.
기존에 알던 내용보다 훨씬 매매에 유익할테니 참고해주세요!
조정파동 이후의 상승하는
삼각수렴 패턴입니다.
1. 삼각수렴은 5파동이다.
2. 세력이 하락삼각형을 그려도
파동을 세어보면 상승으로 갈지
하락으로 갈지 알수있다.
3. 지지 저항 역활을하는 선들은
4번째에 보통 뚫린다.
TIP.(초보버전)
1. 주황색에 진입해서 손절은
주황색 라인에 두면됩니다
(A 밑엘라인)
2. 익절은 손절가의 2배 잡으세요
3. 삼각수렴은 뇌동매매하기 좋은구간
입니다. 원칙을 잘 지켜주세요
TIP.(응용버전)
1. 주로 삼각수렴은 4파동에서
자주 나온다.
2. 수렴발산형태는 조정파동에만
해당되므로 다이고날형태는 충격파동
이기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3. 진입할때는 E파동에 들어가고 추세선에서
1차 익절 그리고 피보나치 값이나 매물대를
참고하여 2차 익절하면 편하다.
조정파동 & 마지막파동
1. 1번째와 2번째 사진은 무난하게 조정파동 이후
떨어지는 패턴입니다. ABCDE 이후 떨어지기에 E에서
진입합니다.
2. 주황색으로 추격으로 들어가도 괜찮습니다. 손절은
A라인 정도에 걸어둡니다
3. B와 D의 추세선을 저항받고 떨어지는게 가장 좋습니다.
TIP.
돈복사 시켜주는
로우리스크 하이리턴
엔딩다이고날
이내용은 따로 한번 정리하지만
비슷한 형태라 올렸습니다.
조정파동이 아니라 5파동의 끝입니다
하락 완전 초입부입니다.
1. RSI 로 다이버전스가 떠있습니다.
2. 가장 추천하는건 주황색에서 진입하는것입니다.
진짜 이것만 찾아서 매매해도 충분합니다.
지금부터가 정말 중요한 얘기입니다.
일단 첫번째 사진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1. 삼각수렴 이후 양쪽 스탑로스 터트리고
조정하는 모습입니다.
WHY? 물량을 매집하는 모습입니다.
개미들을 스탑나가게해 손실을 줘서
물량을 뺏고 손실을 주는 모습입니다.
해답: 거래량이 동반된 강력한 양봉 혹은
음봉에서 추격 매수를 들어가고
스탑을 전저점 보단 훨씬 낮은곳에 둡니다
( 당연히 저배율로 매매해야합니다)
2. 삼각수렴 이후 하단 라인 돌파하여
추격매를 이끌고
상단 저항선을 뚫어 스탑을 나가게
하는모습입니다.
WHY? 숏을 세력이 혼자 먹고싶어
숏 매집한 애들을 설거지하는겁니다
해답: 손익비 매매를 하면서
항상 풀시드말고 원칙 지켜가면서
손실을 주고 재진입합니다.
TIP
엘리엇파동 관점에서 보면 ABC 에 해당됩니다
3. 상단 돌파하여 추격매수세를 유도한뒤
ACE 저항선을 뚫어서 스탑을 나가게 한뒤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WHY? 2번째랑 같은 이유입니다.
롱혼자 먹으려고하는겁니다.
아직 욕심이 가득한 친구들입니다.
좀 같이좀 먹지.....
해답: 손실은 주고 BD 뚫으면 다시 추격들어갑니다.
손실은 A시작점 밑으로 둡니다.
알트 불장은 언제 시작될까??최근 시장 흐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이 바로 이겁니다
알트 불장, 도대체 언제 옵니까?
우선, 현재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마치 좀비처럼 끈질깁니다.
쉽게 꺾이지 않으며 쐐기형 상승 패턴
이는 어느 시점에서 강한 방향성이 나올 수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
결국 이더리움이 중요합니다.
이전 사이클에서는
도미넌스 상승 = 알트코인 약세
였지만, 지금은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이더리움은 도미넌스 상승에도 불구하고 견조하게 버티고 있다
이 말은 곧,
이더리움에는 이미 수급이 들어와 있다
하지만 아직 비트코인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알트코인 불장은 언제 시작될까?
✔️ 비트코인의 고점이 미세하게 낮아지는 흐름이 꺾이고 거래량이 붙으며 상승추세로 돌렸을때
👉 알트 불장은 본격적으로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늦어도 다음주 안에는 방향이 정해질 겁니다.
——
지금은 급하게 뛰어들 타이밍이 아니라, 방향성을 기다리며 매수 대기 구간을 설정할 타이밍입니다.
알트의 시간, 이제 진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45억 트레이더] 세력의 움직임을 알수있는 평행채널 패턴안녕하세요 오늘은 평행채널에서 알아볼려고합니다. 평행채널은 정말 많은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작도법이며 세력들도 많이 사용합니다.
정말 많은 응용법이 있지만 정말 중요한 3가지를 알려드릴려고합니다. 기초부터 심화까지 한번 알아봅시다.
평행채널 그리는 방법입니다
저점 두곳과 고점한곳을 이어줍니다.
평행채널을 그리는 곳이 어딨는지 모른다면
왼쪽상단에 BTCUSDT 아래에 있습니다.
1. 고점 두곳과 저점한곳으로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2. 가운대서는 지지선 저항선
역활을 합니다
3. 세력이 상승하고자 하면
채널을 이탈을 크게 하지않고
저항 지지 역활을 제대로 합니다.
4.채널을 이탈을 하더라도 빠르게
돌아온다면 세력도 손실을 감수를
해서라도 매수세를 이끈겁니다.
5. 세력이 채널을 유지하면서
올리는 이유는 그렇게해야 매수세가
더 붙기 때문입니다.
TIP 채널 상단 혹은 하단
다이버전스가 뜨면 채널의 힘은
더욱 강해집니다
1. 이 차트 같은경우는 세력이
색칠된 동그라미 부근에서 물량을
다정리 한걸로 보입니다.
2. 채널하단 선이 지지에서 저항으로
바뀐다면 이차트의 수명은 다했다고
보면 됩니다.
3. 상단 채널을 살짝 뚫어주면서 추격
매수를 이끌어 물량을 정리도 많이 하니
조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TIP 중간 점선에서 다이버전스
혹은 하락을 대표하는 차트패턴
이 나온다면 더욱더 강력해집니다
1. 네모를 친부분은 채널 중간선을
맞고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2. 하락형 삼각형을 그린 모습입니다.
3. 색칠된 동그라미를 보면 채널하단이
뚫리고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더 좋은 자료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락 쐐기 패턴의 실제 거래 성공률하락 쐐기 패턴의 실제 거래 성공률
하락 쐐기 패턴은 약세 또는 횡보 국면 이후 강세 반전 가능성으로 트레이더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 차트 패턴입니다. 다양한 기술 분석가와 저명한 저자들은 하락 쐐기 패턴의 효과를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입증했습니다.
주요 통계
강세 청산: 82%의 경우 하락 쐐기 패턴의 청산 시점이 상향으로 나타나, 상승 반전을 예측하는 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패턴 중 하나입니다.
목표가 달성: 패턴의 이론적 목표가(브레이크아웃 지점에서 쐐기 높이를 표시하여 계산)는 출처에 따라 약 63%에서 88%의 경우 달성되며, 이는 높은 차익 실현 성공률을 보여줍니다.
추세 반전: 55%에서 68%의 경우 하락 쐐기 패턴이 반전 패턴으로 작용하여 하락 추세의 종료와 새로운 강세 국면의 시작을 알립니다.
풀백: 돌파 후 약 53%에서 56%의 경우 풀백(저항선으로의 복귀)이 발생하며, 이는 두 번째 진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패턴의 전반적인 성과를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짜 돌파: 거짓 청산은 전체 사례의 10%에서 27% 사이입니다. 그러나 거짓 강세 돌파가 진정한 약세 돌파로 이어지는 경우는 3%에 불과하여 강세 신호가 특히 강력합니다.
성과 및 맥락
강세장: 이 패턴은 상승 추세의 조정 국면에 나타날 때 특히 좋은 성과를 보이며, 3개월 이내에 70%의 경우 수익 목표에 도달합니다.
수익 가능성: 주식 시장 통계 연구에 따르면 강세 돌파 중 최대 수익 가능성은 절반의 경우 32%에 달할 수 있습니다.
형성 시기: 쐐기 모양이 넓고 추세선이 가파를수록 돌파 후 상승 움직임이 더 빠르고 강해집니다.
성공률 비교 요약:
기준 비율/관찰 빈도
강세 청산 82%
목표가 달성 63%~88%
반전 패턴 55%~68%
이탈 후 조정 53%~56%
거짓 돌파(거짓 청산) 10%~27%
하락으로 이어지는 강세 거짓 돌파 3%
주의 사항
하락 쐐기형 패턴은 정확하게 식별하기 어렵고 드물게 나타나며, 유효하려면 최소 5개의 접점이 필요합니다.
패턴 길이의 약 60% 지점에서 돌파가 발생하고 돌파 시점에 거래량이 증가할 때 수익률이 가장 좋습니다.
후퇴는 빈번하지만 초기 강세 모멘텀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론
하락 쐐기형 패턴은 놀라운 성공률을 보이며, 10건 중 8건 이상이 강세 청산으로 이어지고 대부분의 경우 목표가에 도달합니다. 하지만 다른 기술적 신호(거래량, 모멘텀)를 통해 패턴을 검증하고, 비록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거짓 돌파에 대해 경계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이 패턴을 완벽하게 숙지한다면, 상승 반전 시 최적의 진입 시점을 찾는 트레이더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2024매매복기> 비트코인 공부용 매매복기 2024. 01. 01안녕, 형들?! 23-24시즌에 내가 선물시장을 떠나 있었기 때문에 세세하게 차트를 보지 않았었기 때문에,
최근 그 기간동안의 차트를 복기중이야. 실제로 백테스팅을 했을 때 아주 수익이 좋았는데, 나의 멘토 억남쓰의 분석을 함께 두고 복기하는 중이야. 나름대로 자료를 모으려는 목적도 있지만, 종종 아이디어 포스팅으로도 공유할 생각이니 내 아이디어를 자주 보는 형들이라면 좋은 자료들이 될거야.
2024. 01. 01부터 시작하자. 트레이딩 뷰에는 리플레이 기능이 있으니 이를 잘 활용해야되. 내가 트뷰를 구독하는 딱 두가지 이유가 체팅과 ㅋㅋㅋ 이 리플레이 기능때문임. 물론 전자가 훨씬 크지만..
리플레이로 한 시점에 멈춘 상태에서 아이디어 포스팅이 안되는 관계로 형들도 트뷰에서 2024. 01. 01로 시점을 옮겨서 함께 공부해보면 좋을거야.
자, 시작해보자.
진짜 내용은 아래 노트로 하나씨 업데이트를 할게.
1.차트란 무엇인가? "빠밤"오늘은 "차트란 무엇인가?"에 대한 영상을 녹화해봤습니다. 본격적으로 깊은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차트의 역사와 기초적인 내용을 담았어요.
차트의 탄생 역사, 재밌는 일화들, 다양한 차트 종류, 분석 방법들과 제 개인적인 견해까지 쭉 설명했습니다.
복기해보니 제 목소리는 듣고 싶지 않고, 말도 자주 더듬고, 뜸도 많이 들이는 등 문제가 많네요...
음.. 손발이 많이 오그라들었지만 그래도 내용은 잘 전달됐으면 좋겠습니다.
이걸로 교육 영상의 첫 시작을 끊었고, 앞으로는 차례대로 하나씩 내용들을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누가 보실지 모르겠지만, 궁금한 내용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코멘트 남겨주세요.
다음 교육 영상에 추가 설명하거나, 아니면 따로 해당 내용만 영상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이 자료는 교육용이고, 이외 차트 분석도 자주 올리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어우 부끄러워...
트레이딩에서 오름차순 웨지의 실제 성공률트레이딩에서 오름차순 웨지의 실제 성공률
소개
라이징 웨지(Rising Wedge)라고도 알려진 라이징 웨지(Rising Wedge)는 거래에서 놀라운 성공률을 보이는 차트 패턴입니다. 이 분석에서는 성능, 신뢰성 및 사용 최적화를 위한 추가 지표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성공률 및 성과
-주요 통계
전체 성공률: 강세장에서 81%
평균 잠재 이익: 기존 상승 추세에서 38%
- 브레이크아웃 관리
약세: 60%의 경우
강세: 사례의 40%
상황적 신뢰성
강세장: 81% 성공, 평균 이익 38%
하락세 이후: 51% 성공, 평균 하락률 9%
중요한 고려사항
상승 쐐기형은 일반적으로 하락세 패턴으로 반전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패턴 형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다른 지표, 특히 거래량을 통해 돌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지표
-용량
훈련 중 점진적인 감소
브레이크아웃 동안 상당한 증가
- 발진기
RSI(상대강도지수):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식별합니다.
확률론적: 가격/지표 차이를 감지합니다.
-이동 평균
크로스오버: 추세의 신호 변화
- 동적지지/저항 : 베벨의 타당성 확인
- 모멘텀 지표
MACD: 가격/지표 차이를 식별합니다.
모멘텀: 추세의 활력이 부족함을 평가합니다.
-기타 요소
피보나치 수준: 잠재적 지지/저항 식별
일본식 캔들스틱 분석: 반전에 대한 징후 제공
결론
오름차순 쐐기는 높은 성공률과 상당한 수익 잠재력을 제공하는 트레이더를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보완 지표를 함께 사용하면 신호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거래 결정의 정확성이 향상됩니다. 잘못된 신호를 최소화하고 거래 성과를 최적화하려면 여러 소스에서 나온 신호의 수렴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전문적으로 오름차순 웨지 이후 거래를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탈락이 확인되었습니다.
양초가 쐐기 지지선 아래로 닫힐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타당성을 확인하려면 돌파 시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는지 살펴보세요.
-재시험
저항선으로 변한 무너진 지지선의 하락을 지켜보세요.
가격이 반등할 때 이 새로운 저항을 낮추어 하락 추세를 확인하세요.
-탈출 후 통합
초기 탈주 후 깃발이나 페넌트의 형성을 식별합니다.
주 하락 추세 방향으로 이 미니 형성의 돌파에 진입합니다.
-확인된 불일치
RSI나 MACD와 같은 오실레이터에서 약세 다이버전스를 찾아보세요.
가격이 근처 지지선을 돌파하여 차이를 확인하면 진입합니다.
-일본 양초와 타이밍
저녁 별, 약세 하라미 또는 검은 구름과 같은 약세 형성을 식별합니다.
다음 캔들이 약세 패턴을 확인하자마자 진입하세요.
-중요한 고려사항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항상 손절매를 설정하세요.
인내심을 갖고 거래에 들어가기 전에 설정 확인을 기다리십시오.
거래의 일관성을 보장하려면 더 높은 기간의 추세를 확인하세요.
오름차순 쐐기 분석을 다른 기술 지표와 통합하여 의사결정 품질을 개선합니다.
이러한 권장 사항을 따르면 거래자는 잘못된 신호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오름차순 웨지에서 항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대칭 삼각형: 실제 성공률 + 돌파.대칭 삼각형: 실제 성공률 + 돌파.
대칭 삼각형은 기술적 분석에서 중요한 차트 패턴으로, 전문 트레이더들의 특별한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이 형성은 두 개의 추세선, 하나는 하락하고 다른 하나는 상승하는 추세선 사이의 가격 수렴이 특징이며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우유부단함이 뚜렷한 통합 영역을 생성합니다.
통계분석
경험적 데이터에 따르면 추세 지속에 대한 대칭 삼각형의 성공률은 약 54%입니다. 이 비율은 50%를 초과하지만 이 수치를 사용할 때 신중한 접근 방식과 엄격한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중단점
대칭 삼각형의 돌파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정점까지의 거리의 약 75%를 이동했을 때 발생합니다. 이 지점은 변동성이 증가하고 새로운 추세가 확립될 수 있는 순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거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위험과 잘못된 출구
대칭 삼각형은 잘못된 종료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하락장에서 약 13%의 사례가 바닥에서 잘못된 출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포지션에 진입하기 전에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활용 전략
대칭 삼각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전문 거래자는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대형을 정확하게 식별하십시오.
-추세선의 수렴점 근처에서 돌파를 기다립니다.
-기타 기술적 지표나 거래량 증가를 통해 돌파를 확인하세요.
- 허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위험 관리를 구현합니다.
결론적으로, 대칭 삼각형은 트레이더의 귀중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트레이딩 전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체계적인 접근 방식과 그 특성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상승 및 하강 삼각형의 실제 성공률상승 및 하강 삼각형의 실제 성공률
다음은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에서 상승 및 하락 삼각형의 실제 성공률을 분석한 것입니다.
성공률
상승 및 하강 삼각형은 일반적으로 연속 패턴으로 상당히 높은 성공률을 갖습니다.
- 상승삼각형의 성공률은 약 72.77%입니다.
- 하강삼각형은 72.93%로 조금 더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이 수치는 10년 동안 200,000개 이상의 가격 구성을 테스트한 연구에서 나온 것입니다.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러 요인이 이러한 수치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략을 올바르게 실행하는 트레이더의 능력
- 삼각관계 형성 당시의 시장 상황
-시장 유동성
-일반적인 시장 정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삼각형은 특히 추세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지속 패턴으로 간주됩니다.
- 상승 추세의 상승 삼각형은 하락 삼각형보다 통계적으로 더 신뢰할 수 있습니다.
- 수치가 유효하려면 가격이 상단 및 하단 선을 각각 최소 두 번 터치해야 합니다.
- 돌파 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중요한 확인 신호입니다.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 위치 1에 들어가기 전에 삼각형이 완전히 형성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 저항선/지지선 위/아래 종가로 돌파를 확인하세요.
-신호를 확인하려면 추가 기술 지표를 사용하십시오.
-돌출 시 증가하는 볼륨에 주의하세요.
결론적으로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 삼각형은 상대적으로 성공률이 높지만 다른 기술 분석 도구와 함께 사용하고 전체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볼륨 풋프린트 차트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트레이딩뷰에 비싼 플랜으로 가입하였지만, 차트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볼륨 풋프린트 차트는 프리미엄 플랜으로 가입하였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차트로 알고 있습니다. (틀릴 수도 있으므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 이유는 기존의 방식에 익숙하다 보니,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설명이 읽어도 난해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러한 부분을 조금이나 해소하고자 핵심적인 해석 방법만으로 차트를 해석할 수 있도록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저의 설명이 제작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작자의 설명을 읽어 보기를 적극 추천합니다.
볼륨 풋프린트 차트 설명 :
www.tradingview.com
----------------------------------------
위에 표시한 부분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해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VAL, VAH로 표시된 구간이 주로 거래되는 구간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따라 추후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 VAH 부근이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 VAL 부근이나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그 다음으로 봐야 하는 것은 각각의 볼륨 옆에 표시된 칼럼입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
- Sell Volume 부분에 있는 칼럼은 매도세가 강한 구간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 Buy Volume 부분에 있는 칼럼은 매수세가 강한 구간이라는 것을 표시합니다.
(제작자의 설명으로는 볼륨의 불균형으로 표시한 부분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이 칼럼이 표시된 부분에서 반등이나 반전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지지나 저항을 받는지에 따라 거래 가능 구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Delta 부분은 Sell Volume과 Buy Volume과의 차이를 보여집니다.
-----------------------------------------------------------
볼륨 풋프린트 차트를 보기 좋은 타임 프레임 차트는 1s, 1m, 15m, 1h, 1D 차트라 되어 있으므로 해당 타임 프레임 차트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1, 1-1과 2, 2-1 부근의 VAL, VAH 부근을 벗어나게 되면 추세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벗어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벗어나지 않으면 횡보(sideways)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1. VAL, VAH 부근에 위치해 있는지
2. Sell Volume, Buy Volume 옆에 칼럼이 생성된 구간이 있는지
위의 두가지를 가지고 거래량, 즉, 매수자, 매도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차트라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나의 익손절/진입 *24.09.19 기준 나의 (익손절+ 진입 기준)*
• 포지션 진입 => 매주 월요일~수요일에 진입
포지션 청산 => 매주 토요일 아침에 청산
(손절해도 타격 없을만큼 최대한 손익비 좋게 진입할것)
1.진입전 큰 추세를 먹기위해서, 내가 먹을 파동이
어떤것인지 추세 큰 그림 그리고 들어가기 .
(수익은 추세를 길게 먹으면 먹을수록, 극대화됨)
2. 진입 포지션은
“해당추세” 에 따라서 (숏/롱)결정하기!
( 절때 역매매 ❌ // 정매매를 통해 진입⭕️ )
3. 진입 타점은
롱 추세에 가까이 붙은 매수빗각에서 => 롱
숏 추세에 가까이 붙은 매도빗각에서 => 숏
(매매는 추세선 근처에 캔들이 붙으면 하자,
그게 손익비 좋음)
-----
- 추세끝단에 닿거나, 이탈시 “과감히”하기
(손절은. 늘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냄)
- 손절 후 최소 하루 쉬기. 길면 해당 주 쉬었다가기
스위칭 뒤지게 많이하면, 수수료똥에 깔려죽음.
- 추세 끝단에 닿거나 , 토요일 아침이 됐을때 ㄱㄱ
간장종지처럼 짧게 끊어가지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