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cme 갭이란? BTC gap 지표 활용 방법과 트레이딩 전략비트코인 cme 갭이란? BTC gap 지표 활용 방법과 트레이딩 전략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는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선물 시장의 '갭(Gap)'은 많은 전문 트레이더들이 주목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1️⃣ 비트코인 CME 갭이란 무엇인가?
CME는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에 접근하는 주요 통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은 주말 동안 (미국 시카고 시간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오후까지) 문을 닫습니다. 또한 평일에도 장 마감 후 1시간의 공백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가 흔히 보는 바이낸스 OKX와 같은 현물 거래소는 24시간 내내 운영됩니다.
이 차이에서 '갭(Gap)'이 발생합니다. 특히 공백 시간이 긴 주말 동안에 갭이 더 크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락 갭 (Bearish Gap): CME 시장이 문을 닫은 종가보다 개장 후 시가가 더 낮게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공백 시간 동안 비트코인 가격이 현물 시장에서 하락했다는 의미입니다.
상승 갭 (Bullish Gap): CME 시장이 문을 닫은 종가보다 개장 후 시가가 높게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공백 시간 동안 비트코인 가격이 현물 시장에서 크게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급격한 심리 변화: 주말 동안 투자자들의 심리가 한쪽으로 크게 쏠렸음을 의미합니다.
미체결 매물대: 갭 구간은 잠재적인 미체결 주문(매수/매도 압력)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으로 해석됩니다.
갭 메우기 (Gap Fill) 현상: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은 채워진다"는 속설을 믿고 트레이딩 전략으로 활용합니다. 갭이 발생한 방향과 반대로 움직여 결국 갭 구간을 메우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현상은 '필수'가 아니며, 갭이 바로 채워질지 아니면 한참 후에 채워질지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판단해야 합니다.
2️⃣ 간편하게 CME 갭 찾아내기
Bitcoin CME gaps multitme-frame auto finder 지표는 CME 캔들 분석을 자동화하여 차트에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지표 특징 및 활용 방법
다중 시간 프레임 갭 탐지: 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그리고 1일 봉까지! 다양한 시간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CME 갭을 동시에 탐지하여 표시합니다. 단기 트레이더든, 장기 투자자든 본인의 매매 스타일에 맞춰 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 박스 및 라벨 표시: 탐지된 갭 구간을 차트에 직사각형 박스로 그려줍니다. 상승 갭은 녹색 계열, 하락 갭은 붉은색 계열로 표시되어 한눈에 식별하기 쉽습니다. 각 박스 위에는 해당 갭의 크기(%)가 라벨로 표시됩니다.
하이라이트 기능: 설정된 임계값(예: 0.5%) 이상의 큰 갭은 강조된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빅 갭'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목해야 합니다.
차트 가격 동기화: 타 거래소의 현물 차트 가격은 CME 선물 가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지표는 "Chart_price" 모드를 통해 갭 박스의 가격을 현재 보고 있는 차트의 가격 레벨에 맞춰 조정해 줍니다. "Chart_price" 모드를 사용하면 현물 차트에서 갭 박스의 가격 레벨을 더욱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현재 보고 있는 다른 거래소의 차트 상에서 직접적인 매매 계획을 세우는 데 유리합니다.
실시간 알림: 새로운 CME 갭이 탐지되면 실시간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정 시간 프레임의 갭만 알림을 받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주말 또는 평일 특정 시간에 차트를 계속 보고 있을 수 없을 때 매우 유용합니다.
3️⃣ 트레이딩 전략
💡갭 메우기 전략 (Gap Fill Strategy):
상승 갭 발생 시: 가격이 상승 갭을 상단으로 돌파했지만, 다시 갭 구간으로 하락하여 갭을 메우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갭 하단 부근에서 매수 포지션(Long)을 고려하거나, 갭 상단에서 반등에 실패할 경우 매도 포지션(Short)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갭을 메우기 전 저항 구간에서 미리 매도 포지션을 고려하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하락 갭 발생 시: 가격이 하락 갭을 하단으로 돌파했지만, 다시 갭 구간으로 상승하여 갭을 메우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갭 상단 부근에서 매도 포지션을 고려하거나, 갭 하단에서 하락에 실패할 경우 매수 포지션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갭을 메우기 전 하단 지지 구간에서 미리 매수 포지션을 고려하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지지/저항 영역으로 활용:
오래된 CME 갭 구간은 미래에 가격이 다시 해당 레벨에 도달했을 때 강력한 지지선(Support) 또는 저항선(Resistance)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하락 갭의 상단에 도달했을 때 저항을 받고 다시 하락하거나, 상승 갭의 하단에 도달했을 때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하는지를 관찰하세요. 특히 여러 시간 프레임에서 겹치는 갭 구간은 더욱 강력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추세 확인 및 반전 신호:
강력한 하락 갭이 발생하고 바로 메워지지 않은 채 계속 하락한다면, 이는 강력한 하락 추세의 시작 또는 지속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상승 갭이 발생하고 바로 메워지지 않은 채 계속 상승한다면, 이는 강력한 상승 추세의 시작 또는 지속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갭 발생 이후 가격 움직임을 통해 시장의 모멘텀을 파악하고, 추세 추종 전략이나 추세 반전 전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 갭이 발생했지만 며칠 내에 빠르게 메워지고 갭 상단을 돌파한다면, 이는 약세장이 끝났다는 초기 신호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분석 (Multi-Timeframe Analysis):
주요 지지/저항 레벨을 찾을 때, 현재 보고 있는 시간 프레임의 갭뿐만 아니라 상위 시간 프레임(예: 1시간봉 차트에서 4시간봉이나 일봉 갭)의 갭도 함께 확인하세요.
큰 시간 프레임의 갭은 더욱 강력한 시장의 관심 영역입니다. 작은 시간 프레임에서 매매 결정을 내릴 때, 상위 시간 프레임의 중요한 갭 위치를 고려하여 리스크 관리에 활용하거나 진입/청산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기 갭 (5m, 15m): 대부분 1% 내의 갭이 발생하며 단기적인 변동성이나 고레버리지 스캘핑, 데이 트레이딩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휩쏘(Whipsaw)를 주의하며 빠르게 진입/청산하는 전략에 적합합니다. 주로 장 개시 후 4시간봉 마감 전에 메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기 갭 (1h, 4h): 스윙 트레이딩이나 포지션 매매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갭이 발생한 이후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유의미한 지지/저항 구간이 될 수 있습니다.
장기 갭 (1d): 시장의 큰 추세 전환점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지지/저항 레벨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빅 갭'이 발생하면 시장의 흐름 자체가 바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주로 주말 공백 시간 동안 발생하며 3% 이상 큰 갭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시간 전에 메워진 평일 단기 갭
4% 빅 갭 발생 후 추세 상승한 주말 장기 갭
4️⃣ 마치며
'비트코인 CME 갭 다중 시간 프레임 자동 탐지' 지표는 시장의 중요한 가격 변동 지점을 놓치지 않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어떤 지표든 맹신해서는 안 됩니다. 갭이 완전히 메워지지 않거나, 갭을 넘어선 후 곧바로 반대 방향으로 이탈할 수도 있습니다. 갭 메우기만 맹신하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여 승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지표를 활용하여 얻은 정보들을 여러분의 기존 분석 방법(차트 패턴, 보조 지표, 매크로 경제 분석 등)과 결합하여 더 정교한 트레이딩 전략을 구축하시길 바랍니다.
📌컨텐츠가 유익하셨다면 부스트와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여러분의 작은 격려가 더 나은 분석과 컨텐츠를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팔로우를 하시면 포스팅에 대한 알림도 받을 수 있습니다.
X-indicator
StochRSI 지표의 활용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ochRSI 지표는 Stochastic 지표에 RSI 지표값을 사용한 지표입니다.
이 지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이 StochRSI 지표를 어떻게 활용하여 거래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StochRSI 지표의 일반적인 해석 방법으로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을 터치하고 벗어나는 움직임으로 차트의 움직임을 해석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를 활용하여 제가 사용하는 방식은 추세선을 그리는 겁니다.
즉,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에서 꼭지점을 형성하였을 때, 그 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만드는 것 입니다.
그렇게 되면, 위의 예제 차트에 그려진 추세선처럼 됩니다.
다만, 추세선을 그릴 때 과매수 구간에서 꼭지점을 형성한 캔들이 하락 캔들의 Open 값이어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만나게 되는 첫번째 하락 캔들의 Open 값을 사용합니다.
과매도 구간에서 꼭지점은 Low 값을 사용합니다.
-
StochRSI 지표를 해석하기 위해서 두번째 방식도 추가해 두었습니다.
지표를 활성화하면 위의 차트처럼 표시됩니다.
이는 가격 캔들 부분에 StochRSI 지표가 표시됨으로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StochRSI 80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StochRSI 80 지표 지점이 저항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StochRSI 20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StochRSI 20 지표 지점을 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해석 방식은 거래를 시작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입니다.
그러므로,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부근에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함으로서 추세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와 RSI 지표 또한, 평균값을 활용하는 지표에 해당됩니다.
이렇게 평균값을 활용하는 지표를 해석할 때는 평균값의 위치와 그에 따른 해석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따라서, StochRSI 50 지표 지점이 평균값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StochRSI 50 지표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가장 중요한 것은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 지점 부근에 생성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지표를 활용한 시장 분석 및 트레이딩 전략암호화폐 시장의 복합적인 흐름과 투자 심리를 읽어내기 위한 4가지 핵심 지표, 즉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간의 연관성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실제 트레이딩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4가지 지표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전반적인 추세와 알트코인 시장의 활력, 그리고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도까지 파악하여 중장기적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우선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볼 수 있도록 부스트(🚀) 클릭 부탁드립니다.
💡핵심 지표 이해하기
1. 비트코인 도미넌스: CRYPTOCAP:BTC.D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과 알트코인 시장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냅니다.
2. USDT 도미넌스: CRYPTOCAP:USDT.D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테더(USDT)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회피 심리 및 시장의 현금 유동성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3. TOTAL3: CRYPTOCAP:TOTAL3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제외한 모든 알트코인의 총 시가총액입니다.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활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4.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트레이딩뷰 보조 지표
코인베이스의 BTC 가격과 다른 주요 거래소(예: 바이낸스)의 BTC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양수 프리미엄) 또는 매도세(음수 프리미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지표의 상호작용 및 트레이딩 전략
이 4가지 지표는 시장의 다양한 국면에서 특정한 패턴을 보입니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트레이딩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BTC 가격과 지표 간 상관관계:
BTC 가격 vs BTC.D: 복합적 상관관계.
BTC 가격 vs USDT.D: 주로 반비례 (USDT.D 상승 = 시장 불안 및 BTC 하락)
BTC 가격 vs TOTAL3: 주로 정비례 (BTC 상승 = TOTAL3 상승)
BTC 가격 vs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주로 정비례 (양수 프리미엄 지속 = BTC 상승 추세 유지)
✔️시나리오 1: 상승장📈 (비트코인 주도 랠리)
BTC.D 상승: 비트코인으로 자금 집중
USDT.D 하락: 시장 리스크 선호, 현금 유입 증가
TOTAL3 횡보 또는 완만한 상승: 알트코인 약세 또는 반응 미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상승 및 양수 지속: 기관 매수세 유입
해석:
기관 투자자들의 활발한 비트코인 매수세가 시장을 이끌며, 스테이블코인으로 대기하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알트코인 시장은 아직 이 흐름에 편승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전략:
비트코인 단기 조정 시에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양수를 유지한다면 비트코인 매수 포지션을 구축하는 데 유리합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양수 상태가 지속되며 비트코인 시세가 주요 저항을 돌파할 경우, 강력한 매수 시그널로 볼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알트코인보다는 비트코인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시나리오 2: 강세장📈 (알트코인 동반 강세)
BTC.D 하락: 비트코인에서 알트코인으로 자금 분산
USDT.D 하락: 시장 리스크 선호 지속, 현금 유입 지속
TOTAL3 상승: 알트코인 시장 활력 최고조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양수 유지: 지속적인 유동성 유입
해석:
비트코인이 견조하게 상승하거나 횡보하는 가운데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본격적으로 이동하는 시기입니다.
TOTAL3의 상승은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활황을 의미합니다.
전략:
펀더멘탈이 강한 알트코인을 선별하여 분할 매수 기회를 찾습니다.
이 시기에는 라지캡 알트코인 및 스몰캡의 특정 테마 그룹이 순환 펌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련 트렌드를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나리오 3: 약세장📉
BTC.D 상승: 비트코인 하락과 함께 알트코인들이 더 큰 폭으로 하락
USDT.D 상승: 시장 리스크 회피 심리 강화, 현금화 증가
TOTAL3 하락: 알트코인 시장 전체 약세 심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하락 및 음수 지속: 기관 매도세 또는 매수 중단
해석:
시장 전체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투자자들이 리스크 자산을 정리하고 현금 자산(USDT)으로 대피하는 시기입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나타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되거나 하락세를 이어갑니다.
알트코인 시장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전략:
암호화폐 포지션을 축소하거나 현금화(USDT 보유)하여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기술적 반등 구간에서 포지션 축소 또는 숏 포지션(높은 리스크 수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4: 횡보 및 조정
BTC.D 횡보: 박스권 횡보 및 기간 조정
USDT.D 횡보: 리스크 회피 심리 지속, 시장 볼륨 감소
TOTAL3 횡보: 알트코인 시장도 횡보 또는 약세 지속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보합: 양수와 음수를 오가며 보합세
해석: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며 횡보하거나 단기 조정에 돌입하는 시기입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도 보합세를 보이면서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입이 불확실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전략:
주요 지지선에서의 BTC 및 TOTAL3 반등 여부를 확인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시장의 투자 심리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이나 기관 투자자들의 확실한 움직임이 나타날 때까지 관망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0월 30일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된 이후 11월 7일까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현물 ETF에서는 6거래일 연속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대규모 청산 사태 이후 기술적 반등이 나왔지만 ETF 자금 유출로 비트코인 가격은 다시 저점을 갱신하며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되며 하락폭을 키우는 시점에는, 도미넌스 지표들의 상호작용을 함께 분석하여 시장 약세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트레이딩뷰 차트 설정 및 활용 팁
멀티 차트 레이아웃: 트레이딩뷰의 멀티 차트 기능을 활용하여 BTCUSDT, BTC.D, USDT.D, TOTAL3 차트를 동시에 띄우고 상호관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은 보조지표 활용)
시간 프레임: 단기 분석은 1H, 4H, 1D, 중장기 분석은 1W, 1M 차트를 사용합니다. 여러 지표가 동일한 시간 프레임에서 비슷한 움직임을 보일 때 신뢰도가 높습니다.
추세선 및 지지/저항: 각 지표 차트에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을 그려 중요한 변곡점을 파악합니다. 특히 USDT.D와 BTC.D의 주요 지지/저항선 돌파 여부는 시장의 큰 전환점을 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 지표 활용: 각 지표 차트에 RSI, MACD 등 기술적 보조 지표를 함께 적용하여 다이버전스나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파악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지표로서의 가치 및 유의사항
종합적인 시장 통찰력: 이 네 지표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크게 높여줍니다.
선행/동행 지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은 시장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나머지 도미넌스 및 시가총액 지표는 시장의 동행 지표로서 현재 상태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확률적 분석: 이 지표들 또한 미래를 100% 예측하는 도구가 아니며,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 항상 손절매(Stop Loss) 설정과 리스크 관리는 필수입니다. 예상과 다른 시장 움직임에 대비해야 합니다.
🌍결론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그리고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표는 암호화폐 시장의 복잡한 퍼즐을 맞추는 데 있어 핵심적인 조각들입니다.
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분석한다면 시장의 심리를 더 깊이 이해하고, 다가올 기회와 위험을 예측하여 더욱 현명하고 안정적인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분석이 유익하셨다면,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부스트를 안 누르신 분들은 꼭 부스트도 부탁드립니다!
🔔 다음 인사이트를 놓치지 않으려면 팔로우해주세요!
비트코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보는 법, 트레이딩뷰에서 인덱스 지표 활용하기1.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란 무엇인가?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Coinbase Premium Index)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과 다른 주요 거래소(특히 바이낸스)에 상장된 비트코인의 가격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 (코인베이스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100
양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높을 때 발생
음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낮을 때 발생
📌컨텐츠가 유익하셨다면 부스트와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여러분의 작은 격려가 더 나은 분석과 컨텐츠를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차트 분석, 트레이딩 전략, 비트코인 단기 시그널 등 다양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업로드할 예정이니 팔로우도 부탁드립니다.
2.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원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관 투자자의 수요: 코인베이스는 미국 내에서 규제를 준수하는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많은 기관 투자자 (헤지펀드, 자산운용사 등)들이 코인베이스를 통해 암호화폐를 매수합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 주문은 일시적으로 코인베이스 내의 가격을 상승시켜 프리미엄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법정화폐 유입: 코인베이스는 주로 달러(USD) 기반의 거래가 활발하며, 미국 투자자들에게 가장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입니다.
새로운 법정화폐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때, 코인베이스를 통한 유입이 활발하여 프리미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및 유동성: 특정 시기에 미국 시장의 투자 심리가 다른 지역보다 강하거나, 코인베이스 내의 유동성이 일시적으로 부족할 경우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금 이동의 제약: 자금세탁방지(AML) 규제 등으로 인해 거래소 간의 자금 이동에 시간적, 비용적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차익 거래 기회를 제한하여 프리미엄을 유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네트워크 혼잡 및 수수료: 암호화폐 네트워크 혼잡 시 거래 속도가 느려지거나 수수료가 높아져 거래소 간의 신속한 차익 거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3.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트레이딩에 활용하는 방법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의 시장 흐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강세장 신호 (양수 프리미엄):
기관 매수세 유입: 지속적으로 높은 양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꾸준한 매수세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강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추세 전환: 약세장에서 음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갑자기 양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과 함께 시장 심리가 개선되어 추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0%를 넘어 상승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블랙록 iShares Bitcoin Trust (IBIT)나 피델리티 Wise Origin Bitcoin Trust (FBTC)와 같은 ETF로의 일일 순유입액이 크게 증가한다면, 이는 강력한 저점 매수 기회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약세장 신호 (음수 프리미엄):
기관 매도 압력 또는 관심 저하: 지속적으로 낮은 음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 압력이 높거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약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고점 신호: 강세장에서 양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음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급격히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거나 새로운 매수 유입이 줄어들어 고점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예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동시에 블랙록 IBIT나 피델리티 FBTC 등 ETF에서 대규모 순유출이 관찰된다면, 이는 과매수 상태이거나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매도 포지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유의해야 할 부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활용할 때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다른 지표와의 병행: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하나의 보조 지표일 뿐입니다.
이동평균선, RSI, MACD, 거래량 등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 및 온체인 데이터, 거시 경제 지표 등을 함께 분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ETF 유출입 데이터의 중요성: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기관 투자자의 실제 자금 흐름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과 더불어 이들 ETF의 일일 순유입/순유출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의 기관 매수/매도 압력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변동성: 프리미엄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미묘한 변화에 의해 급격하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내의 일시적인 프리미엄 변화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장 상황의 변화: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합니다.
과거에 유효했던 패턴이 미래에도 반드시 유효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규제 환경, 주요 거래소의 정책 변화, 새로운 시장 참여자의 등장 등 다양한 요인들이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적용 범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알트코인에는 그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5. 트레이딩뷰에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활용하기
트레이딩뷰(TradingView)는 다양한 기술적 지표와 차트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인기 있는 플랫폼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지표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로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현물 자산(예: BTC/USD) 간의 가격 차이를 계산하여 차트 하단에 별도의 패널로 표시해줍니다.
📊트레이딩뷰 지표 활용 팁:
지표 검색: 트레이딩뷰 차트에서 '지표(Indicators)' 버튼을 클릭한 후 검색창에 'Coinbase Premium' 또는 'Coinbase vs Binance'와 같은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지표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이러한 지표들은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현물 가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져와 프리미엄을 계산하고 차트에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시장 가격 차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트레이딩 전략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표와의 조합: 트레이딩뷰의 강력한 장점은 여러 지표를 한 차트에 오버레이하여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비트코인 가격 차트와 함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지표를 추가하고, 필요하다면 블랙록, 피델리티 ETF 유출입 데이터를 별도로 참조하여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알림 설정: 트레이딩뷰의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특정 범위에 진입/이탈할 때 알림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으로 시장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인 미국 시장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여기에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유출입 데이터를 함께 고려한다면, 기관 자금의 실제 흐름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시장의 강도와 추세 전환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맹신하기보다는 다른 분석 도구들과 함께 활용하여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높이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거래하는 방식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진행하면서 언제나 수익으로 거래를 마감하면 가장 좋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 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분할 거래를 통해 수익을 확정해 나가면서 거래를 유지하게 됩니다.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거래 내용에 따라 생각하다 보면, 한번 손실로 전환되었을 때 다시 수익으로 전환되기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거래를 진행할 때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꽤 귀찮은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그렇게 진행하지는 않게 됩니다.
-
차트에 표시한 부근에서 매수를 진행하였다면, 예상 매수 평균 단가가 현재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게 됩니다.
따라서, 거래를 진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1번과 2번의 매수 단가는 상당히 높은 가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3번의 매수 단가 부근에 현재의 가격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만일 수익으로 전환된다면, 3번 부근에서 매수한 금액만큼 매도하여 수익을 확정지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익으로 확정지은 금액만큼 1번이나 2번의 매수 금액에서 차감해 나가므로서 손실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코인 시장은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거래 방식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매수 금액 단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한다는 겁니다.
매수한 코인 갯수 단위로 거래를 진행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3번 지점인 106431.68 지점에서 100 달러 매수하였다면,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도를 100달러 만큼 매도해야 합니다.
이러한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빠르게 손실에서 벗어날 수 있고 오히려 손실을 기록하는 중에도 수익이 발생하게 될 것 입니다.
-
거래를 진행하고 있는 종목(코인, 토큰)이 손실 중인 상태이든 수익 중인 상태이든 상관없이 변동성이 발생하게 되면 언제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굳이 거래 종목(코인, 토큰)을 늘려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서는
1.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는 일 입니다.
2. 그렇게 작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기본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3. 욕심을 버리고 거래 전략에 따라 분할 거래를 진행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비트코인 CME 갭 자동 감지 지표를 트레이딩뷰에서 활용하기📊Bitcoin CME 갭 자동 감지 및 시각화를 위한 지표
이 Pine Script 기반의 "Bitcoin CME gaps multi-timeframe auto finder" 지표는 암호화폐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선물 시장의 갭을 다중 시간 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식별하고 시각화하는 트레이딩뷰 보조 지표입니다.
비트코인 CME 선물 시장은 주말이나 공휴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된 후 재개될 때 종종 가격 갭(Gap)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갭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한 가격대가 미래에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믿습니다.
이를 '갭 채우기(Gap Fill)' 이론이라고 하며, 이는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격 영역으로 간주됩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갭을 수동으로 식별하는 것은 여러 시간 프레임과 주말/공휴일 개장 시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었습니다.
지표 링크: 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지표로 이동합니다.
🔑이 지표의 특징
자동화된 갭 감지: 트레이더가 수동으로 갭을 찾고 표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줍니다.
다른 거래소의 BTC 차트에서도 동기화: BTCUSDT, BTCUSDT.P BTCUSD 차트에서도 CME 갭 박스가 동기화 되어 표시됩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분석: 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 등 다양한 시간 프레임에서 갭을 동시에 표시하여 시장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시각적 명확성: 갭 영역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하고, 중요한 갭은 강조하여 트레이더의 빠른 판단을 돕습니다.
거래 전략 지원: 갭 채우기 이론을 활용한 거래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ME 갭 히스토리: 과거 캔들에서 발생한 CME 갭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림 기능: 갭 발생 시 실시간 알림을 통해 트레이더가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기능 및 사용법
이 지표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다양한 인풋 옵션을 통해 트레이더의 특정 요구 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CME Gap Settings:
- CME Symbol for Gaps: CME 선물 데이터를 가져올 심볼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BTC1!"(비트코인 CME 선물)입니다.
- Minimum gap percentage (%): 갭으로 인식될 최소 가격 변동률을 설정합니다. 작은 갭을 걸러내고 의미 있는 갭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Display timeframes:
- 각 시간 프레임(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별 갭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사용자의 분석 선호도에 따라 특정 시간 프레임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Box colors:
- 각 시간 프레임 및 갭의 방향(상승 갭/하락 갭)에 따라 박스 색상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갭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Box extension lengths (Bars):
- 각 시간 프레임별로 갭 박스가 우측으로 연장될 바(캔들)의 개수를 설정합니다.
- 이는 갭 영역이 미래에도 유효한 지지/저항 레벨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Label settings:
- Show labels: 갭 비율을 표시하는 라벨의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 Label position: 라벨이 박스 내에서 표시될 위치를 조정합니다.
- Label text size: 라벨 텍스트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Highlight settings:
- Highlight gap % (>=): 설정된 퍼센티지 이상의 갭을 특별히 강조합니다. 중요한 갭에 대한 시각적 경고를 제공합니다.
- Highlight label text color: 강조된 갭의 라벨 텍스트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color: 강조된 갭 박스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border width: 추가된 기능으로, 강조된 갭 박스의 테두리 두께를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중요한 갭을 더욱 두드러지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Alert settings:
- Enable Alerts: 갭 발생 시 알림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 Alert Timeframe: 알림을 받을 특정 시간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모든 시간 프레임에 대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표 작동 방식
이 지표는 CME 선물 데이터(BTC1!)를 가져옵니다.
각 시간 프레임에 대해 이전 바의 종가/고가/저가와 현재 바의 시가를 비교하여 갭을 식별합니다.
특히, 주말/공휴일 폐장 후 개장 시의 특정 시간대를 기준으로 갭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갭이 감지되면, 해당 갭의 박스를 그려 차트에 표시합니다.
갭의 크기가 인풋 옵션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강조 색상과 테두리 두께로 박스를 더 눈에 띄게 만듭니다.
💡활용 전략
이 지표는 다양한 트레이딩 전략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지/저항 레벨 식별: CME 갭 영역은 강력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채워지지 않은 갭(Unfilled Gap)은 가격이 다시 해당 영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잠재적인 반전 지점이나 추세 강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갭 채우기 전략: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하면 결국 채워진다고 믿습니다.
갭 채우기를 목표로 하는 매매 전략을 수립할 때 이 지표를 활용하여 진입 및 청산 지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 갭 발생 후 가격이 갭 상단으로 회복될 때 매수 진입을 고려하고 갭이 채워지면 청산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분석: 갭의 크기와 빈도는 시장의 강한 움직임이나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큰 갭은 강한 매수 또는 매도 압력을 시사하며, 강조된 갭을 통해 이러한 중요한 시장 이벤트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컨펌: 여러 시간 프레임에서 동시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해당 가격 영역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1시간 봉과 4시간 봉 모두에서 갭이 감지되면 해당 레벨에서의 가격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림을 통한 기회 포착: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갭 발생 시 즉시 시장 상황을 확인하고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단기 트레이딩에서 유용합니다.
🚨주의사항
갭 채우기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갭이 채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모든 갭이 채워지는 것은 아니며 채워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시간대 설정: CME 선물 시장은 특정 시간대에만 운영되므로, 트레이딩뷰 차트 지표 내 GMT+9 시간대 설정이 사용자의 거래 시간대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단독 사용 지양: 이 지표는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예: 이동 평균, RSI, 볼륨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Bitcoin CME gap auto finder 지표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 함께 활용된 청산 히트맵 지표는 초대전용 스크립트입니다.
급등,급락할 때 추격해도 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아르키라고 합니다.
시작에 앞서 전쟁같은 시장 속에서 살아남은 여러분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을 응원합니다.
저는 저만의 매매방식으로 많은 분들에게 교육을 해드린 경험이 많습니다.
오늘은 일부를 공개해드리려고합니다.
부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오늘 준비물은 볼린저밴드(BB) 하나입니다.
우선 비트코인 15분봉입니다.
보통 볼린저밴드(BB)를 볼 때
상단을 이탈할때 숏을 타고,
하단을 이탈할때 롱을 타는 방식을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때로는 계속해서 높게 올라가거나
계속해서 아래로 내려갈때 당황해서 큰 손절을 보신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볼린저밴드는 표준정규분포도에서 표준편차를 이용해
96.4%의 확률로 밴드 안에서 움직인다는 원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급격하게 올라갈때 변곡매매를 위한 매매가 될 지,
추격을 해도 되는지 오늘 그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조건 1. 밴드가 수렴하다가 처음으로 확장을 할 때, 캔들의 몸통 크기가 반 이상 올라가서 마감했는지 확인한다.
조건 2. 몸통이 반 이상 올라가지 않았다면 진입하지 않고, 올라갔다면 기준으로 삼았던 캔들 반대로 이탈마감이 리스크관리의 기준이된다.
비트코인 15분봉 차트입니다.
조건을 보시면 너무나도 간단하지만 이해가 잘 가시리라 믿습니다.
볼린저밴드가 첫 확장할때 차트를 보시면 확장이 일어났으며,
몸통이 반 이상 밴드 밖으로 이탈마감을 하였습니다.
그럼 첫번째 기준이 발생하였고, 추격이 가능한 상황이 됩니다.
리스크관리는 해당 봉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봉 아래로 이탈 마감하면 손절의 기준이 됩니다.
하지만 또 다시 오른쪽 그림을 보면 연달아서 한번 더 확장이 일어났습니다.
마찬가지로 몸통이 반 이상 이탈 마감하여 추격이 가능한 차트가 되겠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비트코인 15분봉 차트입니다.
마찬가지로 볼린저밴드가 움직임없이 수렴을 하고 있다가 양 옆으로 확장이 되신걸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파란색 점선이 확장이 된 첫번째 기준인데, 볼린저밴드의 밴드 밖으로 음봉 캔들이 몸통이 반 이상 나간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추격 숏이 가능하며, 리스크관리의 기준은 해당 봉을 기준으로 이탈 마감하면 리스크관리의 기준을 잡았다면
최대 3.93%의 수익 안에서 익절로스 등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그럼 비트코인만 가능할까요 ? 알트코인들도 가능합니다.
최근 핫한 종목이었던 $COAI 입니다.
마찬가지로 볼린저밴드의 첫 확장시 몸통이 반 이상 마감을 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계속 말씀드린 조건대로 몸통의 캔들이 반 이상 마감하였으며, 추격이 가능합니다.
리스크관리의 기준은 해당 봉 아래로 이탈마감하면 리스크관리의 기준이되며,
해당 코인은 약 500% 상승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발산을 하면 발산한 영역대로 크게 벌어졌다가 되돌아오는 성질이 볼린저밴드의 핵심입니다.
그래서 첫 발산 때 몸통이 반 이상 위로 마감한다면 그 힘이 지속될 확률이 높구나 이 부분이 핵심입니다.
그럼 반대로 확장을 하긴 했는데 몸통이 반 이상 마감을 못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겠습니다.
잘못된 예시 1입니다.
여기에서는 볼린저밴드 밖으로 몸통이 반 이상 나갔지만
볼린저밴드 밴드 자체에서 확장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해당 차트에서는 추격을 하면 안되는 그림이며, 오히려 모닝스타 캔들을 바라보시는게 좋습니다.
두번째 예시입니다.
이번에는 몸통이 반 이상 나가지 않은 경우입니다.
언뜻보기에는 확장이 된것처럼 보이지만 몸통이 반 이상 이탈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금방 가격이 반대로 내려간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 한마디,
이 세상 모든 매매법에 100% 성공률을 자랑하는 매매법은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대응입니다. 차트는 심리적인 공간이 모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항상 맹신하지 마시며, 공부하시면서 차근차근 접근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볼린저밴드 하나만을 가지고 추격이 가능한지 ? 불가능한지? 에 대해서 써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여러분들의 성공적이고 안전한 트레이딩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차트 해석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중요한 지점이나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 StochRSI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는 상태여야 좋습니다.
2. OBV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High Line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좋습니다.
3. TC(Trend Check)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좋습니다.
현재 위의 조건에 만족하는 것은 TC 지표 뿐입니다.
따라서, 110644.40-111696.21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면서 위의 조건을 만족되었을 때 116259.91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OBV 지표가 EMA 1, EMA 2 이상에서 유지되고 High Line 이상 상승하게 되면 추가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기울기에 변화가 있다면, 상승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TC(Trend Check) 지표가 최고점을 터치하게 되면, 고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결국
지지 구간 : 110644.40-111696.21
저항 구간 : 116259.91-119086.64(최대 124658.54까지)
------------------------------------
#ETHUSDT
BTC 차트 설명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ETH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OBV 지표가 이제 막 EMA 1, EMA 2을 상향 돌파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4109.80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추가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ZECUSDT
BTC 차트 설명으로 볼 때, ZEC는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급등으로 인해 차트가 깨진 상태라 변동성 기간을 산정하기가 애매한 상태입니다.
--------------------------------------------
#XRPUSDT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지지 받고 2.909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결국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기준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거래를 시작할지에 대한 확인 방법으로 보조지표를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기본 거래 방식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현재 매수 시기에 가까운 코인(토큰)은 XRP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변곡을 잡아내는 방법 (Ft. 리스크 관리)안녕하세요 아르키입니다.
시작에 앞서, 전쟁같은 시장에서 여러분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매번 여러분들께서 잃지 않고 성장할 수 있기를 기원하며, 여러분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여러분, 혹시 RSI가 과매수에 도달했을 때 변곡을 잡으려고 숏을 치셨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때론 맞았겠지만 오히려 더욱 크게 올라서 무서워했던 경험 한번쯤은 있으셨을 겁니다.
해당 게시글을 읽어보시면 여기에서 가짜 과매수인지 진짜 과매수인지
조금 더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그 어떤 매매법에도 100%는 없습니다.
시장은 항상 대응의 영역이고, 심리가 모인 차트이기때문에 리스크관리를 필히 하셔야합니다.
이러한 부분도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저는 MACD와 RSI 두 개의 보조지표를 사용할 것입니다.
해당 차트를 보시면 파란색 점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RSI 과매수 부분입니다.
하지만 훨씬 더 올라간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저는 MACD까지 같이 참고해서 봅니다.
MACD를 보시면 파도모양으로 보이는 부분이 오실레이터 입니다.
이 오실레이터는 마치 진동의 세기와 같으며,
파란색과 주황색 선은 시그널선인데 이 시그널선은 진동을 기록하는 선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핵심은 오실레이터와 시그널선이 벌어지면 벌어질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뜻입니다.
바로 이렇게 오실레이터와 시그널선이 벌어지며,
파란색선이 주황색선을 아래로 내려오는 데드크로스가 이루어지면 점차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즉, 이때부터 슬슬 변곡을 생각해도 좋다는 겁니다.
두번째로는 이 부분만 생각해서 추후 내려간 모습은 보이지만
그렇지 않을경우 어디에서 리스크관리를 해야할 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차트를 보시면 몇차례 저항을 받아 해당 가격대를 뚫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로 저부분이 변곡을 해도 될만한 자리인겁니다.
MACD의 이격도 (오실레이터와 시그널 사이의 간격)가 벌어졌으며,
RSI가 과매수이며,
저항이 확인된다.
그럼 매도 포지션을 잡고, 리스크관리의 기준은 빨간색 저항선 위로 이탈마감하면
바로 손절의 기준이 됩니다.
느낌이 오시나요? 반대의 경우에도 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RSI의 과매도 부분이 처음으로 나온게 파란색 점선 부분입니다.
하지만 저 부분에서 매수를 택했다면 마이너스를 보며 기다렸다가 결국엔 올랐지만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들을 우리는 이제부터는 알고 있습니다.
MACD의 이격도가 붙어있었으니 조금은 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해야합니다.
시간을 지켜보니 아까의 사례와 반대로
일정 가격대를 지지하는 모습이 나왔고,
이격도가 벌어졌던 저 구간이 매수의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리스크관리의 기준도 명확해졌죠 ?
빨간색 직선을 이탈마감하면 손절의 기준이 되는겁니다.
바로 오른쪽으로 눈을 돌려도 똑같네요.
조금 전 설명드린대로 롱을 탔었다면 이격도가 벌어지는 부분이 수익실현 구조입니다.
하지만 포지션이 없었고 파란색 점선 부분에서는 이격도가 붙어있으니
더 올라갈 수 있다는 구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추격 롱이 가능하며,
리스크관리는 추격을 한 만큼 해당 봉 아래로 이탈마감하면 손절의 기준이 됩니다.
여러분들께서도 차트를 보면서 한번 MACD와 RSI를 켜서 확인해보세요.
시간 프레임이 클 수록 신뢰도는 높아집니다.
여러분들께서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부스트" 한번 씩 부탁드립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을 응원하겠습니다.
트레이더가 피해야 할 3가지 일반적인 실수숙련된 트레이더조차도 심리적인 함정에 빠져 거래 성과를 망칠 수 있습니다.
초보자이든 경험 많은 전문가이든, 이러한 심리적 실수를 이해하고 피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시장에서 꾸준한 성공을 거두는 핵심입니다.
아래는 트레이더들이 자주 저지르는 3가지 대표적인 실수입니다.
⸻
🧠 1. FOMO — 놓칠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 (Fear of Missing Out)
FOMO는 트레이더가 가장 자주 겪는 감정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시장 움직임을 보며 ‘지금 들어가지 않으면 기회를 놓칠 거야!’라는 생각에 충동적으로 거래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추세를 쫓아가며 고점 매수나 저점 매도를 하게 되고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하는 방법:
자신의 거래 계획을 지키세요. 명확한 시그널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세요.
거래 기회를 놓치는 것은 손실을 보는 것보다 낫습니다. 시장은 항상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
😡 2. 복수 거래 (Revenge Trading) — 감정이 통제하는 거래
손실을 본 후, “이번엔 꼭 만회해야지”라는 마음으로 서둘러 다시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복수심에 의한 거래는 냉정한 판단을 잃게 하고, 더 큰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하는 방법:
손실은 거래의 일부임을 받아들이세요.
감정을 진정시키고 마음이 안정된 후에 다시 시장에 돌아오세요.
목표는 ‘손실을 되찾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
🎲 3. 도박사의 오류 (Gambler’s Fallacy)
많은 트레이더가 과거의 결과가 미래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잘못 믿습니다.
“3번 연속으로 졌으니 이번에는 이길 차례야”라는 생각은 대표적인 착각입니다.
그러나 시장은 그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각 거래는 독립적인 사건이며, 각각의 확률이 있습니다.
피하는 방법:
직감이나 운에 의존하지 말고 분석과 확률에 따라 판단하세요.
건전한 리스크 관리와 일관된 전략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마무리
거래에서의 성공은 완벽한 전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는 것에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실수를 피하면 더 규율 있고, 명확하며, 자신감 있는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진정한 성공한 트레이더는 시장을 통제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하락은 예견되어 있었다 : 주식, 코인시장에서 뉴스는 1도 쓸모가 없다.공부용 아이디어 업로드입니다.
요약
1. 3억을 가기위한 새로운 임펄스 파동이라도 2파 조정이 올만한 위치였다.
2. 또는 엔딩다이아고날 완성이 되었으므로 하락이 있을만한 가격대 였다.
3. 리플 또한 대단위 1사이클이 끝났으며, Descending triangle 이 출현하였다.
4. 전고를 갱신했지만 올라온 파동이 abc였다.
즉, 이전 아이디어 업로드대로 비트는 105k 까지 공통 하락구간이 발생한다.
트럼프가 무슨 말 했는지 사실 아무 관심도 없다.
차트는 이미 힌트를 줬었다.
그래서 항상 큰 프레임으로 시나리오를 3개는 짜둬야 대응이 된다고 생각한다.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 파악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C 1D 차트)
USDT나 USDC는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면 갭 상승을 보이고 자금이 유출되면 갭 하락을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갭 하락세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USDT.D 1D 차트)
(1M 차트)
자금이 USDT나 USDC를 통해 코인 시장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되기 때문에 USDT 도미넌스는 결국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코인 시장으로 유입된 자금(USDT, USDC)이 거래를 통해 도미넌스의 변화를 보이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한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USDT를 가지고 코인(토큰)을 매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1 이하에서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인다면 코인 시장을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USDT나 USDC를 통해 자금이 유출된 흔적이 없는데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면, 일시적인 매도세가 증가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이런 상황에서 USDT나 USDC가 갭 하락세를 보이게 된다면, 가격 방어에 실패하면서 코인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게 될 것 입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T.D 차트를 보면서 대략적인 자금 흐름을 파악해 되는 것이 좋습니다.
-
(BTC.D 1D 차트)
(1M 차트)
BTC 도미넌스는 코인 시장의 상승이나 하락, BTC의 상승과 하락을 의미하기 보다 알트코인과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
즉, BTC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는 것은 BTC 쪽으로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는 의미로 알트코인들은 점차 횡보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55.01-62.47 이하에서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알트코인을 거래하기 전에 BTC 도미넌스를 확인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코인 시장이 상승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1. USDT, USDC가 갭 상승세를 이어가야 합니다.
2. USDT 도미넌스가 4.91 이하에서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3. BTC 도미넌스가 55.01이하에서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거래 전략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시작하게 만드는 조건은 사람들마다 다릅니다.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생각해 두어야 하는 것은 거래 전략입니다.
거래 전략은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식 및 수익 실현 방식
위의 1-3번에 따라 정리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코인(토큰)을 분류해 두어야 합니다.
1. 투자 기간이 사실상 가장 중요합니다.
투자 기간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도 사람들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장기 투자로는 BTC, ETH가 있습니다.
BTC나 ETH는 코인 시장을 지탱해 주는 중요한 코인이기 때문에 BTC나 ETH 중 하나는 반드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BTC 이외의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이라고 크게 분류하지만, 그 중에서 시가 총액 순위가 높고 코인이 만들어진지 오래된 코인들 중에 BNB, SOL, XRP, TRX, ADA LINK 코인들은 중장기적으로 투자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코인들도 결국 큰 분류로 볼 때 알트코인에 해당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중장기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식은 매수 단가별로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거래 수수료)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는 남겨두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갈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 투자를 진행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물론 수익이였을 때 현금 수익을 얻기 위해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만, 그렇게 되면, 중장기 투자를 진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잘 못하면 고점에서 매수하게 되어 오랜 기간동안 손실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2. 투자 기간별로 투자 규모를 결정하여 진해야 합니다.
즉, 장기 투자를 진행하는데 모든 투자금을 모두 매수한 상태라면 앞으로 있을 좋은 기회를 놓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 < 중장기 투자 < 단기 투자 순으로 투자금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총 투자금의 약 20% 정도는 현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좋은 기회가 생겼을 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거래를 진행하여 현금이 없다면,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너무 많은 코인(토큰)에 투자하는 것을 자제해야 합니다.
-
3. 투자 기간과 투자 규모를 결정하였다면, 실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매수 매도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거래 방식이나 수익 실형 방식을 정의해야 합니다.
기본 거래 전략으로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로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즉,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여 가격이 상승하여 HA-High ~ DOM(60)을 형성하게 되었다면, 분할 매도하고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자신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차트를 다시 분석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거래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다면, 어느 날 갑자기 엉뚱한 거래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기본 거래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중장기 투자를 이어가기 위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을 취할 것인가 아니면 현금 수익을 얻을 것인가 또한 결정하여 거래르 진행해야 합니다.
코인 시장이 주식 시장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의 해석 방법으로 코인 시장을 해석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코인 시장 자체의 자금 흐름을 보기 보다 주식 시장이나 사회, 경제, 정치 등의 이슈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 코인 시장의 흐름을 판단하려는 노력을 말합니다.
이는 아직 코인 시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에 일부 외부적인 이슈가 작용할 수 있지만,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을 예측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USDT, USDC, USDT.D, BTC.D 차트를 보고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거래하고자 하는 코인(토큰) 차트를 보고 자신의 기본 거래 전략에 맞는지 확인하고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코인 시장 이외의 이슈를 확인하여야 객관적인 생각으로 거래를 진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코인 시장 이외의 이슈로 인한 주관적인 생각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됨으로서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코인 시장을 기존 주식 시장처럼 분석하거나 해석하기 위해서는 코인 시장과 주식 시장이 병합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식 시장처럼 코인 시장을 분석하거나 해석하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잃어버린 거래를 청산하는 방법?손실 절단: 예술가의 마음과 트레이더의 전략
손실 절단은 위험 관리에서 중요한 기술입니다. 손실 체결 거래를 할 때 언제 손실을 인정하고 매도해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론적으로 손실을 줄이고 작게 유지하는 것은 간단한 개념이지만 실제로는 예술과 같습니다. 손실 체결 포지션을 청산할 때 고려해야 할 10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실 설정 전략 없이 거래하지 마세요. 주문을 입력하기 전에 언제 청산할지 알아야 합니다.
손실 설정은 가격 변동의 정상 범위 밖에 있는 수준에 설정해야 합니다. 이 수준은 귀하의 거래 관점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부 트레이더는 손실 설정을 백분율로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거래에서 +12%의 이익을 얻으려고 한다면 주가가 -4%로 하락하면 손실 설정을 설정하여 TP/SL 비율을 3:1로 만듭니다.
다른 트레이더는 시간 기반 손실 설정을 사용합니다. 만약 매매가 하락했지만 결코 손실 설정 수준에 도달하거나 설정된 기간 내에 수익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추세가 없다는 이유로 매매를 청산하고 더 나은 기회를 찾을 뿐입니다.**
많은 트레이더는 가격이 손실 설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시장에 급등이 있을 때 매매를 청산합니다.
장기적인 추세 거래에서는 손실 설정이 충분히 넓어야 실제 장기적인 추세를 포착할 수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 소음 신호로 인해 중단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200일 이동 평균과 같은 장기 이동 평균 및 이동 평균 교차 신호가 더 넓은 손실 설정을 갖도록 사용됩니다. 잠재적으로 더 변동성이 높은 거래 및 고위험 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더 작은 포지션 크기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신은 돈을 벌기 위해 거래하는 것이지 돈을 잃기 위해 거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손실 체결 거래가 손실 없이 손실 없이 청산될 수 있도록 잡고 기다리는 것은 최악의 계획 중 하나입니다.
손실 체결 포지션을 매도하는 가장 나쁜 이유는 감정이나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트레이더는 항상 손실 체결 거래를 청산할 합리적이고 정량적인 이유를 가져야 합니다. 손실 설정이 너무 빡빡하면 청산당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가 쉽게 작은 손실이 될 수 있습니다. 거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거래 자본의 최대 허용 손실 비율이 손실될 때 항상 포지션을 청산하세요. 손실 설정과 포지션 크기에 따라 총 거래 자본의 1%~2% 수준으로 최대 허용 손실 비율을 설정하면 계좌 폭발 위험을 줄이고 드로다운을 작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손실 체결 거래를 매도하는 기본적인 예술은 일반적인 변동성과 추세 변화 가격 변동의 차이점을 아는 것입니다.
기본 거래 전략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개념은 기본 거래 전략입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가 EMA 1, EMA 2를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 이후에 DOM(60) 지표와 HA-High 지표가 생성되면서 결국 가격이 원 위치하였습니다.
HA-Low 지표가 0.001888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즉, 0.001888-0.00204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가 수렴한 상태이기 때문에 횡보가 끝나고 0.002877-0.003199 이상 상승하게 되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본 거래 전략은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인 HA-Low, HA-High 지표가 기준입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2 개의 지표의 움직임으로 흐름을 예측하기 보다 기본 거래 전략을 우선적으로 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HA-Low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하여 HA-High 지표를 만나게 되면 파동이 마감되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HA-High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하여 HA-Low 지표를 만나면 역시 파동이 마감되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이러한 파동의 마감은 새로운 거래 전략을 만드는 기준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전 파동은 잊고 새로운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나스닥 E-mini 데이트레이딩: POC 중심 시각과 모멘텀 전략안녕하세요. 트레이딩뷰 가족 여러분?
팔로우와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은 제가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하고 정리해온 나스닥 E-mini 선물 CME_MINI:NQ1! 데이트레이딩 전략을 공유하려 합니다.
트레이딩을 이야기할 때 항상 마주하는 근본적인 질문은 단 세 가지입니다.
1. 언제 매매할 것인가?
2. 어느 가격에서 진입할 것인가?
3.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 (익절과 손절 포함)
이 단순해 보이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 바로 트레이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답을 찾는 도구로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 와 Squeeze Momentum Indicator(Lazebear 버전) 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FRVP: 거래 흔적을 보여주는 지도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은 보이는 차트 구간 안에서 거래가 어디서 집중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거래량이 많은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 합의를 이룬 자리이고, 반대로 거래량이 적은 구간은 합의가 부족한 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즉, FRVP은 단순히 가격 차트가 아니라 “어디에서 시장이 가장 활발하게 거래됐는가” 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해당 사진은 8월 13일의 FRVP입니다. 분석 대상은 미국 동부 표준시로 전날 18:00 ~ 익일 09:29 입니다.
사진에서 막대로 강조된 부분이 가장 거래가 많이 된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가격은 대체로 이 부근으로 회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우리는 올바른 진입 가격과 익절 구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POC 중심의 시각
저는 FRVP을 볼 때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VA(Value Area) 를 따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POC(Point of Control) 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더 나아가 저는 하나의 POC만 보는 게 아니라,
가장 큰 거래량이 형성된 POC (절대 분기점)
두 번째, 세 번째로 큰 거래량이 쌓인 POC (차순위 분기점)을 모두 중요한 분기 레벨로 둡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거래량이 집중된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가장 치열하게 부딪힌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레벨은 가격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반드시 한 번쯤은 반응을 보이는 지점이 됩니다.
👉 제 시각에서 FRVP은 단순한 분석 도구가 아니라,
“어디서 시장이 진짜 분기점을 맞이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3. Squeeze Momentum Indicator: 모멘텀의 전환 포착
하지만 가격 레벨만으로는 타이밍을 잡기 어렵습니다. 여기서 Squeeze Momentum Indicator가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지표는 단순히 상승/하락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모멘텀의 확장과 수축 / 추세 전환의 조짐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FRVP로 구간을 설정한 뒤, 그 구간에서 모멘텀의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라는 것입니다.
즉, 지표 하나만 보고 매매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FRVP로 진입 가능한 가격대를 찾고
Squeeze Momentum으로 실제 매수/매도 에너지가 붙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4. 실전 매매 시나리오
예를 들어, 프리마켓 동안 분석한 결과 POC가 예시의 지점에 형성되었다고 합시다. 본장 개장 이후 가격이 이 POC 위에서 머무르고, 불완전 거래 구간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매수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Squeeze Momentum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된다면 매수세가 실제로 붙는다는 신호가 됩니다. 반대로 POC 아래에서 약세 흐름을 보이고, 모멘텀이 음으로 강하게 확대된다면 매도 시나리오가 유효해집니다. 실제 진입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지표가 0에 수렴할 때 진입하면 됩니다.
진입: POC 기준 돌파/리테스트 + 모멘텀 전환 확인
익절: 다음 POC
손절: 단기 고점
이렇게 되면 매매는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구간(프레임워크) → FRVP
타이밍(모멘텀) → Squeeze Momentum
리스크 관리(청산 전략)
의 구조를 갖춘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됩니다.
예시를 보면
총 4단계의 의사결정과정이 나타납니다.
1. POC가 지지에 실패함 -> 숏 고려
2. 재돌파하며 매도세가 들어옴
3. 지표가 0에 수렴하며 추세가 다시 나올 수 있게 됨
4. 그 아래 POC로 회귀할 것을 예상하여 익절구간 설정
4. 마무리
트레이딩은 언제나 불확실성 속에서 확률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FRVP와 Squeeze Momentum의 조합은, 그 불확실성을 줄이는 하나의 틀을 제공합니다.
물론 지표가 답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일관된 실행을 해내는 것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트레이딩 전략을 정리하고 발전시키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향후 POC로 돌아오지 않는 사례와 몇 가지 특이 케이스들을 두고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앞으로 실제 차트 예시와 함께 구체적인 매매 사례도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 조건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번에 말씀드리려고 하는 것은 언제 거래를 시작하여 언제 마감해야 하는가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거래는 사실상 시작과 끝이 없습니다.
즉, 언제나 거래를 시작할 수 있고 언제나 거래를 마감할 수 있습니다.
단지 거래를 시작하여 마감할 때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가 문제일 뿐 입니다.
그래서,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명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왜 지금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거래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왜 지금 거래를 마감하는지, 아니면, 분할 매도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거래 전략이 수립되어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래 전략은 대략적으로 큰 그림에서 수립되어야 합니다.
그 이후에 세부 대응 전략은 가격의 변동성에 따라 자신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대응해 가면서 거래 전략에 맞게 거래를 끌고 가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본 거래 전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기본 거래 전략은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기본 거래 전략은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한 최적의 구간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입니다.
이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됩니다.
-
그 다음으로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한 상태에서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 입니다.
즉, 현재 가격이 위치한 구간인 0.000010612-0.00011445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입니다.
이는 추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전환점에 해당됩니다.
-
위의 구간에서 매수를 진행하였다면, 매도 구간은 0.00013521-0.00014824 구간입니다.
이 매도 구간은 HA-High ~ DOM(60) 구간으로 고점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HA-High ~ DOM(60)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비로소 계단식 상승세, 즉,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나머지 다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가격의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하기가 애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한 DOM(-60) ~ HA-Low, HA-High ~ DOM(60)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세 관점에서 볼 때 현재와 같이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한 상태에서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일 때 그 부근에 위치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다면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거래 방식이 반드시 수익으로 이어진다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거래 전략을 만들고 거래를 시도할 만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이더리움 온체인 데이터 분석 지금은 줍줍할때가 맞다지금 시장, 진짜 끝났을까?
솔직히 말해서 요즘처럼 불확실성이 짙을 때, 대부분은 “아 끝났네…” 하면서 도망가.
근데 나는 계속 얘기했지. “공포에 사서, 환희에 팔아라”
고점에서 현금 만든 사람들, 분할 매수 시작한 시점은 일주일 전이었어야 돼.
1️⃣ 일봉 차트로 본 기술적 흐름
이번 상승은 25년 4월부터 시작된 파동이고
최근 0.236 되돌림(1차 지지선)에서 반등 나옴.
중요한 건, 대부분은 외봉에서 끝나지 않아.
상승 모멘텀이 강하다면 더블바텀 혹은 헤드앤숄더 만들고 고점 돌파 시도함.
지금 흐름은 딱 그 전형적인 2번 형태.
2️⃣ 매도? No. 자산운용사는 '차익실현' 중
그레이스케일, 블랙록, 피델리티 모두 7월 말부터 매도 시작
하지만 ETF 쪽 자산운용사 입장에서
수익 실현 = 자연스러운 움직임
전반적 추세 꺾임으로 보기엔 무리
수급은 연속성이 중요함 👉 단발 매도는 추세 전환 X
3️⃣ 거래소 보유량 & 입금량 변화
거래소 보유량
횡보 중. 급격한 유입 없음 → 공포성 투매 아님
매도 대비 유입량도 크지 않음
하락 압력은 점차 감소 중
입금량
6/30~7/5 상승 당시 대비, 현재 입금량 150만 개 미만
매도 위한 입금 자체가 줄어드는 중
큰 손은 매도 안 하고, 관망 or 매집
4️⃣ 스테이킹 비율 계속 증가 중
스테이킹 비율 꾸준히 상승 → 유통 가능한 공급량 줄어드는 중
즉, 시장 매도 압력은 제한적
언스테이킹 우려는 과도함
실제로 입금량이나 거래소 유입으로 이어지지 않음
5️⃣ 선물 시장은 과열? 아직 아님
미결제약정
가격보다 더 빠르게 감소 → 리스크 관리 중
레버리지 비율
반등 중에도 비율 감소 → 과열 아님, 건강한 움직임
펀딩비
아직 +0.025도 도달 X
고점 근처였던 4~5월은 +0.05 이상
아직 충분한 여유 있다
6️⃣ 버블맵은 뭐라 말하나?
현물 버블맵
아직 중립 구간
과열이 아니라 분배 국면
즉, 아직 한 파동 더 남음
이후 더블탑 or 헤드앤숄더 만들고 하락 시나리오 가능성 UP
선물 버블맵
오버히팅 구간
하지만 과거 패턴 보면 한 번 더 펌핑 나오는 경우 많음
즉, 버블은 과열돼야 꺼진다
7️⃣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표는?
📉 현물 시장 투자심리 지표
현재 2 이하도 아님
과거 상승 전환 포인트는 2~4
아직 매수 기회 영역 남아있다
지금은 도망칠 타이밍이 아니라
분할 매수, 포지션 리빌딩 타이밍
모든 지표는
“과열은 아직 아니다” 라고 말하고 있음
걱정보다
기술적 반등의 확률이 더 높다는 판단
더블탑이든 헤드앤숄더든
한 번 더 기회는 온다.
그걸 놓치면 그땐 정말 끝이다
✅ 분할 매수 준비된 물량 체크
✅ 고점 부근 청산 포인트 사전 설정
✅ 펀딩비, 레버리지, 거래소 입출금 실시간 체크
✅ 다음 고점 예상 구간 복기하기 (이전 시즌 참고)
거래하기 꺼리는 코인(토큰)을 거래하는 방식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거래하기를 꺼려하는 코인(토큰)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BNB, TRX 코인이 그러합니다.
(BNBUSDT 1W 차트)
(TRXUSDT 1W 차트)
두 코인의 공통점은 대표가 중국인계라는 것 입니다.
이 두 코인은 글로벌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코인입니다.
BNB는 거래소 코인으로서 1위 코인 거래소에 해당되고, TRX는 글러벌로 확장하기 위해 미국쪽으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래소 코인이라는 불안감과 중국계 코인인라는 불안감으로 거래를 꺼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국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매수할 때의 매수 원금만큼을 매도함으로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것 입니다.
이렇게 되면, 아무리 가격이 폭락하더라도 언제나 수익 중이기 때문에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을 취해야 하는 코인(토큰)은 이와 같이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어 보이지만, 현재 위험 부담을 가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유할 가치가 있는 코인, 즉, BTC, ETH와 같은 코인도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XRP, ADA, SOL, DOGE 등과 같이 많은 유저를 확보하고 있고, 미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여전히 위험 부담을 안고 있는 코인(토큰)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코린이들을 위한 트레이딩뷰의 무료 거래량기반 도구 활용법안녕하세요 비토끼입니다.
글에 흥미가 있으셨다면 부스팅,팔로우,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ㅎㅎ
많은 코린이분들이 트레이딩뷰에서 거래량기반 무료 도구를 활요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까해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글이 길어질 것 같기에 중요한 부분은 굵은 글씨로 적겠습니다.
먼저 거래량의 중요성에 대해 간단히 이해해보고 가려고 합니다.
---------------------------------------------------------------------------------------------
거래량의 중요성은?
거래량의 중요성은 여러가지관점에서 볼 수있지만 가장 핵심적인것은
당시의 가격이 얼마나 시장참여자들에게 합당했냐는 것을 보여줍니다.
거래가 일어나려면 일반적인 경우 매수자와 매도자가
거래하고싶은 가격이 일치해야합니다.
(예외존재 MID-PRICE MATCHING- 거래소에서 매수자 매도자간의 호가가 차이가 적을때
중간가격에서 체결시켜주는 방식 등)
그렇다면 거래가 일어났다는 것은 매수자, 매도자가 생각하는 가격이
일치했다는 것이고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많은 시장참여자가 그 가격에
동의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만약 거래가 많이 일어나지 않았는데, 가격이 많이 움직였다면, 이는 소수의
시장참여자들만이 동의하여 거래가 일어난 것이고, 이러한 다수의 시장참여자의
의견과 다른 가격움직임은 다시 되돌아가기 마련입니다.
어찌되었든 특정한 시점에 특정 가격에서 거래가 많이 일어났다는 것은
그 시점에 많은 시장참여자들이 그 가격에 동의하였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어떤 가격대에서 많은 거래량이 있다는 것은 많은 매수자 및 매도자가
합당하다고 느꼈던 가격이고,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과거 심리를 알수 있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
근데 이런 중요한 증거를 무료로 알 수있는 도구가 트레이딩뷰에 몇개 있습니다. ㅎㅎ
이렇게 오늘 두가지 먼저 배워보겠습니다.
원래 앵커드VWAP도 하려했는데 글을 한번 실수로 날려서 양도 너무 많아서
글 인기 많으면 추후 써보도록 하겟습니다 ㅎㅎ;;
거래량이 많은 지점과 낮은 지점을 둘다 활용하지만,
너무 내용이 많으면 글도 난잡하고, 코린이분들을 위한 강의이니
이번 강의에서는 거래량이 많은 지점에 대해서만 활용하겠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거래량이 낮은 지점은 그냥 매물대 활용이 더 편한감이 있어서 그냥
지지저항이 잘나오는 구간이나 매물대의 고점 저점을 활용하는 편이
거래량 낮은 지점 활용이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
먼저 고정 볼륨 프로필부터 보도록하겠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내가 특정시점을 선택하면 그 시점부터 지금까지
거래량이 어느가격에서 많았는지 오른쪽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건 설정인데, 이 설정에서 다 설명드리기에는 글이 너무 길어지기에
중요한 내용들만 알려드리겠습니다.
로우사이즈는 오른쪽에 표시되는 막대의 갯수로 숫자가 커지면 막대가 늘어나
더 촘촘하게 거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C는 가장 중요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점을 보여줍니다.
밑에 보시면 있는 DEVELOPING POC는 시간에 흐름에따라
POC가 어디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업볼륨 다운볼륨으로 색깔이 표시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업이 들어가 있는 부분은 시장가 매수주문으로 체결된 거래량으로
간단하게 매수자들이 주도한 거래량이고
다운의 경우 매도자들이 주도한 거래량이라 보면됩니다.
나머지 설정들 바꿀수는 있으나 기본설정이 가장 일반적이고,
밸류에이리어도 크게 활용을 안하니 코린이라면 신경안써도 됩니다.
(벨류에이리어는 그냥 거래의 ??%가 어느 가격구간동안 일어났다정도로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활용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
-------------------------------------------------------------------------------------------
이 다음으로 픽스레인지 볼륨프로화일은 어느 시점부터 어느시점까지
선택이 가능한 도구입니다.
끝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만 다름으로 설명은 스킵하도록 하겠습니다~
----------------------------------------------------------------------------------------------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제 진짜 활용하는 방법을 마지막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이런 거래량 기반도구는 3가지 기간 설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매물대에 활용*(가장 많이 활용)
2. 특정 고점,저점 이후 현재까지의 거래량의 쌓임을 확인
3. 특정한 정책이나 발표이후 거래량의 쌓임을 확인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이제기간 설정은 했고 거래에 실제로 활용하는 법을 보겠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고 활용하기 간단한건 매물대에 POC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POC는 매물대에서 거래했던 투자자들중 다수가 거래했던 지점으로 추후에도
POC가격대로 온다면 거래가 일어나 "지지저항"의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이건 그 예시 사진입니다.
이런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걸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쉽게 쓰려고 노력했고 많은내용 담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도구에 기능이 많아서
다쓰기가 쉽지않을 것 같아서 중요한 내용만 일단 담아봤습니다. ㅠㅠ
쓰고싶은 말은 엄청 많았는데ㅠㅠ 글로만 표현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ㅠㅠ
이번 컨텐츠가 인기가 많으면 다음에는 좀 더 쉽고 중요한 내용만 간추려서
또 교육 자료 만들도록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레슨2) 풍험(風險)레슨 2. 풍험(風險) — 예측 불가능한 변수와 시스템의 부하
"보이지 않는 힘의 존재를 인지하는가?"
우리의 감각으로는 직접 감지할 수 없으나, 그 영향력은 실재하며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들이 존재합니다.
이는 때로는 유리한 기회로, 때로는 치명적인 교란으로 발현됩니다.
우리는 이를 일반적으로 '리스크(Risk)'라 명명합니다.
그러나 본 강좌에서는 이 개념을 *'풍험(風險)'*으로 재정의하고자 합니다.
風 (풍): 바람.
이는 형체를 가지지 않으나 엄연히 존재하며, 시스템 내에서 변화의 신호를 가장 먼저 발산하는 동적 요소를 의미합니다.
險 (험): 험함.
이는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과 잠재적인 위험 구역을 나타냅니다. 이 복잡한 환경 속에서 우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을 내리고, 때로는 통제된 범위 내에서 개입을 실행합니다.
트레이딩 영역에서 '위험'이라는 단어는 흔히 잠재적 손실에 대한 공포로만 국한되어 해석됩니다. 그러나 저는 이를 미지의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적인 관문으로 정의합니다.
"풍험은 개인의 분석 능력과 적응력을 시험하고, 그 역량을 입증하는 측정 가능한 장이다."
네트워크화된 시장이라는 복잡계 속에서, 개인의 판단력, 감정 제어 능력, 그리고 축적된 경험 데이터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
즉 시장의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는 정교한 감각 시스템으로 진화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합니다.
"손실 발생은 분석의 오류나 불운이 아닌, 아직 시스템(개인)이 충분한 감각적 해상도를 확보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위험에 대한 인식은 주체의 능동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그 과정 속에서 유의미한 학습과 성장이 진행되고 있다는 객관적인 신호이다."
풍험은 회피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외부로부터의 무작위적인 교란이 아니라, 자신의 시스템적 한계를 드러내고 개선을 촉구하는 내부적 지표입니다.
바람은 시스템의 초기부터 항상 존재해 왔습니다. 다만, 우리는 그 존재를 인식하지 못했을 뿐입니다. 이제 그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이는 당신의 인지 체계가 다음 단계로 진화했음을 의미합니다.
「풍험(風險)의 감례적 특성: 회피가 아닌 내적 통합의 과정」
기존의 위험(risk)에 대한 개념은 주로 확률적 손실 가능성을 의미하며,
회피 또는 제어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본 강좌에서는 풍험(風險)을 비가역적 환경 조건으로 간주한다.
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변수가 아니라,
내부 시스템이 감당해야 하는 지속적이고 비선형적인 하중으로 재해석된다.
따라서 풍험은 극복하거나 제거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감내하고 조정해 나가야 할 심리적·인지적 부하(Emotional Load Level: ELL)**로 규정된다.
---
1. 리스크 감내 vs. 감례
일반적인 시스템 접근에서는 리스크를 ‘관리(manage)’하거나 ‘회피(avoid)’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하지만 인간 주체가 참여하는 트레이딩 시스템은
완전한 예측과 회피가 불가능한 동역학적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우리는 ‘감내(bear)’가 아닌,
보다 적극적인 ‘감례(堪禮)’의 태도를 제시한다.
> 감례란, 위험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며,
그 안에서 감정적·인지적 동요 없이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결국 리스크를 정보 단위로 환원하는 것이 아닌,
신경계 기반의 시스템 반응 전체를 포함한 통합적 대응 상태로 본다.
---
2. 풍험은 시스템의 내적 임계 하중지수다
풍험은 외부 환경의 돌발성보다,
주체가 이를 감지하고 수용하는 해상도와 회복력의 함수이다.
다시 말해, 손실 발생 그 자체는 분석 실패가 아니라
감각적 민감도 부족 또는 감정 처리 지연의 결과일 수 있다.
“리스크가 높다”는 표현은, 실제로는
“현재 시스템이 감당 가능한 ELL(Emotional Load Level)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트레이더 개인의 리스크 허용 용량을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할 수 있는 심리적 하중지수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될 수 있다.
---
3. 유체역학적 모델로 본 위험 대응 메커니즘
풍험에 대한 적절한 은유는 고체보다 액체 상태에 가깝다.
유체는 충격을 흡수하며 형태를 변형시키고,
그 변화 과정에서 외력과 내력의 상호작용을 점진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위험을 마주하는 시스템은
‘충돌 기반의 저항형 구조’보다는
**‘가변적 유연성과 탄성 회복 기반의 시스템’**에 가까워야 한다.
이때 핵심은
내적 에너지 분산 설계,
감정 파동의 필터링 메커니즘,
회복 탄성 기반의 자동 복원력
등이 포함된다.
---
> 풍험은 제거 가능한 장애물이 아니라,
시스템이 자가 조정력을 획득해 나가는 지속적인 진화 조건이다.
따라서 우리는 더 이상
리스크를 **"극복의 대상"**으로 상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감례의 과정 속에서
주체는 자신의 감각 해상도를 조정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은 점차 더 정교한 방향성, 회복력, 그리고 자기 일관성을 획득한다.
이것이 바로
풍험을 통과하는 자가 경험하게 되는 내적 구조화의 진화이며,
그 모든 과정을 통해
리스크는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숨 쉬는 요소’로 통합된다.
---
4. 감례(堪禮)를 기반으로 한 풍험(風險) 수용 모델 제안
4.1 기존 위험(Risk)의 개념적 한계
기존 위험(Risk)에 대한 정의는 주로 ‘손실 발생의 확률’로 제한되어 있으며,
통계적 예측 및 회피 전략에 기반하여 시스템적으로 제거 또는 최소화되어야 할 변수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 주체가 중심이 되는 거래 시스템 및 의사결정 환경에서는
이러한 리스크 제거 중심적 접근이 본질적으로 구조적 한계를 지닌다.
이는 리스크를 비정상적 외부 요인으로 간주함으로써,
오히려 시스템의 회복성과 적응력에 대한 내재적 분석을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4.2 풍험(風險)의 재정의 및 감례의 개념 도입
‘위험(Risk)’의 개념을 동양적 어근 ‘풍험(風險)’으로 전환하고,
이를 동적·복잡계 환경 내에서의 감지 가능한 정량적 하중으로 재정의하고자 한다.
풍험은 단순히 예측 불가능한 사건의 확률적 집합이 아니라,
**주체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감내해야 하는 내적 부하(Emotional Load Level; ELL)**의 한 양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감례(堪禮)란,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회피하려는 반응이 아니라,
그 존재를 정확히 인식하고, 신경계 및 감정 조절 체계를 통해 통합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인간-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압력, 의사결정 피로, 인지 부조화 등의 요소들을
물리적 하중 개념과 유사하게 수량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4.3 풍험의 유체역학적 모델화: 흐름과 회복탄성
풍험에 대한 적절한 메타포는 고체 구조가 아닌 유체의 역학적 특성에 기반한다.
유체는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파괴되지 않으며,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압력을 분산하고 시스템을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풍험을 감지하고 수용하는 시스템은
선형 저항 모델이 아닌,
비선형 유연성 및 회복 탄성 기반의 동역학 모델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글은 이때의 시스템 반응을 다음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로 제시한다.
a. 감정 필터링 계수 (Emotional Filtering Coefficient; EFC)
외부 자극에 대해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정보로만 처리하는 비율
b. 회복 탄성 지수 (Elastic Recovery Index; ERI)
단기 손실 이후 시스템의 심리적 안정성 회복 시간
c. 하중 분산 설계 (Load Dispersion Architecture)
판단 과정 중 심리적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인지적 균형 상태를 유지하는 설계
이러한 변수들을 기반으로 할 때,
풍험은 단순한 외부 변수의 확률적 집합이 아닌
자기 조절적 진화 시스템 내 필수 인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
4.4 결론 및 적용 가능성
풍험은 더 이상 제거 가능한 위험요소가 아닌,
시스템의 진화 가능성을 자극하는 내재적 피드백 메커니즘이다.
이는 단순히 심리적 회복력(resilience)을 넘어서,
시스템 내 인지적 해상도, 감정 회로, 의사결정 알고리즘의 복합적인 통합을 요구한다.
---
결론: 극도로 냉각화된 날카로운 칼이 되어야 한다..
저는 답을 알려주는 사람이 아니라, 공간을 비워주는 사람이 되고자 글 남겨 보면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점의 시-
제목: 망(望)
감지의 능함을..
억제보다 정교한 감각으로
회피보단 유연한 구조로
바람의 공존과
흐름 속에 형태를 조정함으로
맞서는..
맑디 맑은 흐르는 강물이 되리라.
-Two.4-
BTC / BTC.D 이제는 좀더 리스크관리 차익실현할시점BTC / BTC.D
말씀드린것처럼 4시간봉 마감이 118.3K 위에서 마감이 되어야 위 조건이 수립됩니다.
알트들이 전반적으로 너무 많이 빠지네요.
알트 롱은 조금 더 좋은 자리 찾을때 까지 대기하겠습니다.
BTC.D 62.1% - 62.3%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상승이 나오더라도 최대치라고 보는 곳은 62.5% 0.5 자리입니다.
해당자리부터는 공격적으로 알트들을 매집하면서 대응하시면 됩니다.
지금 같은 변동성이 있는 시기에는 가격 움직임이 급하게 나옴에 따라 FVG가 많이 생기게 되고
분할 폭, 분할 구간을 다 분할로 비중조절하며 접근할 경우, 평단을 적절히 형성하기 유리
시장 변동성에서 적절한 시드 변동을 버틸 수 있는 베팅을 해야하지, 시장이 한번 움직일 때마다 자신의 시드가 50% ~ 100% 씩 움직이게 베팅한다면 멘탈 관리가 안될 뿐 아니라, 청산 위험성도 너무 높아집니다.
수익을 분할로 챙기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시장이 공포를 느낄 때 오히려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매매를 경험하고 익혀나가길 권장합니다.
글로벌 거래소 USDT USD 마켓과 UPBIT, BITHUMB KRW 마켓의 통합 거래량 보조 지표 활용 방법📊 Exchanges Combined Volume 지표
이 지표는 글로벌 및 국내 주요 거래소의 거래량을 하나로 통합해 보여줍니다. 단일 거래소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 전반의 거래 활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거래량 급증이나 대량 매집/분산을 감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지원 거래소 및 마켓
USDT 마켓:
* Binance, OKX, Bybit, Bitget, Gate.io
USD 마켓:
* Coinbase, Bitfinex, Bitstamp
KRW 마켓:
* Upbit, Bithumb
현재 차트 심볼:
* 차트에 표시 중인 심볼의 거래량도 포함
🧮 주요 작동 로직
1. 🧹 심볼 정제
* `1000`, `10000`, `100000`, `1M` 등 접두어 제거
* 거래소 간 심볼 매칭 오류 방지
> 예: `1000PEPEUSDT` → `PEPEUSDT`
2. 🌐 거래소별 거래량 요청
* `<기초자산><통화>` 형식 (예: `BTCUSDT`, `ETHUSD`, `BTCKRW`)으로 거래량 호출
* `존재하지 않는 심볼은 자동 무시
3. 🧠 자동 심볼 매핑
* 거래소별 포맷에 맞게 심볼 자동 조정하여 거래량 합산
* 한국 거래소(KRW 마켓)와의 호환성을 강화
* 업비트, 빗썸의 `BTCKRW`, `ETHKRW` 등 자동 처리
4. 🧮 총 거래량 계산
* `총 거래량 = 글로벌 USDT + USD + KRW 거래소 거래량 + 현재 심볼 거래량`
* 실제 시장 전반의 유동성을 하나의 수치로 제공
5. 📏 평균 거래량 비교
* 60기간 단순 이동평균(SMA)으로 평균 거래량 계산
* `총 거래량 ≥ 평균의 3배` 이상일 경우 특수 강조
6. 🎨 시각적 강조
* 밝은 녹색: 강한 매수 + 높은 거래량
* 밝은 빨간색: 강한 매도 + 높은 거래량
* 짙은 녹색 / 짙은 빨간색: 일반 거래량
* 컬러 막대를 통해 눈에 띄는 거래 급증을 빠르게 식별 가능
🚀 활용 방법
* 시장 전체에서 거래량 급등 감지
→ 한 종목에 여러 거래소에서 관심이 몰리는 순간 포착
* 단일 거래소와 글로벌 전체 거래소 볼륨 차이 비교
→ 시장 전체 볼륨 추세 파악
* 돌파 직전 패턴 확인
→ 거래량 증가를 통한 매매 진입 타이밍 검증
⚠️ 사용자 참고사항
* 일부 자산은 모든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아 거래량이 0으로 표시될 수 있음
* 거래량 단위는 정규화되지 않았으며, 절대 거래량 기준으로 비교
* 정확한 계산을 위해 현재 차트 심볼이 기초자산과 일치하는지 확인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