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과 피보나치 스피드 리지스턴스 팬으로 타점잡기"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안녕하세요 웨일입니다.
이번 아이디어는
신선하게 타점 잡는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준비하실거는 28일 이동평균선과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 , 피보나치 스피드 리지스턴스 팬
이렇게 준비해주세요.
(MA)이동평균선을 28일자로 맞춰주신다음,
이평선 28일자 위에있는 최고점과 최저점을 확인하시고,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을 클릭하시고,
4시간봉 2024년 7월29일 최고점 , 8월5일 최저점,
8월9일 최고점 순으로 피보나치 시간을 점찍어줍니다.
세팅값을 0부터 3까지 나열합니다.
0, 0.25 , 0.382 등등... 3 까지
7월 29일 최고점에 가로줄을 그어주시고.
피보나치 스피드 리지스턴스를 7월 29일 선으로 맞춰주세요.
끝단을 0이 피보나치 추피시의 3과 동일하게 맞춰주신다음
추피시를 지웁니다.
옆에 보시면 0부터 0.75 까지 확인 하시고.
피보나치 되돌림을 그려줍니다.
0.75에 0
0.25에 1을 맞춰주신다음.
이런식으로 가로줄을 그려주시면 각 중요한 라인이 됩니다.
되돌림이 없어도 중요한 라인을 체크하시려면
1부터 0까지 가는 현재 라인의 추세라인을 그려줍니다.
추세라인이 부딪히면 데드크로스가 발생하고
추세라인을 캔들이 올라타면 골든크로스가 됩니다.
X-indicator
다른 사람의 차트를 내것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간혹 차트에 표시된 지표를 사용하고자 어떻게 하면 지표를 사용할 수 있는지 문의를 해 오십니다.
공개된 지표들은 "지표" 를 클릭하여 지표를 검색하여 추가하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지표가 다 공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비공개 지표들은 퍼블리쉬한 아이디어를 공유 받아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공유 받기 위한 방법을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다른 사람의 차트를 나의 차트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퍼블리쉬한 아이디어에서 차트를 공유 받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TradingView의 유료 회원이어야 합니다.
---------------------------------------
1. 차트를 공유 받고자하는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클릭하여 차트 아랫 부근에 있는 "Share" 를 클릭합니다.
2. 다음 창에서 "내 것으로 만들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
단, 아이디어 게시자가 그 차트의 레이아웃이 "Sharing"한 상태여야 가능합니다.
-
유료 레벨에 따라 지원되는 지표의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여러분의 유료 레벨을 확인하여 공유 받을 차트의 지표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략하게 다른 사람의 차트를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스마트머니컨셉(smc) 트레이딩시 추천하는 지표 2가지
먼저 ADR %입니다.
ADR(Average Daily Range)은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이나 자산의 가격 변동폭의 평균을 측정하는 보조 지표입니다. 이는 트레이더가 특정 자산의 변동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ADR%"는 이 범위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입니다.
일반적인 ADR은 단기 트레이더나 스캘퍼들이 선호합니다.
● ADR 계산 방법
Average Daily Range는 주어진 기간 동안의 일일 고가와 저가의 차이를 평균하여 계산합니다.
ADR=∑(일일 고가−일일 저가)/𝑛
여기서𝑛 은 기간의 일수입니다.
보통 14일이나 20일을 많이 사용하는데,
저 같은 경우 데이트레이딩을 주로 하기에, 20일을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 ADR%의 활용
ADR%는 자산의 변동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높은 ADR%는 높은 변동성을, 낮은 ADR%는 낮은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골드의 20 ADR% 는1.46% 비트코인의 20 ADR%는 2.7%로
비트코인이 약 2배 더 큰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매매를 할 때 스탑로스 범위의 설정이나 레버리지 조정에 있어
골드보다 비트코인을 최소 절반 이하로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다음은 세션&킬존 구분 보조지표입니다.
다른 보조 지표도 있지만 저는 이게 가장 깔끔해서 이걸 주로 사용합니다.
처음 지표를 추가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뜨는데, 저는 다른 킬존은 따로 표시가 필요없어서
asian range만 체크합니다.
(필요하신분은 켜두고 사용해도 됩니다)
저처럼 설정하시려면 설정 들어가셔서, 런던,뉴욕,런던 클로즈 킬존은 체크 해제 해줍니다.
asian range를 표준편차로 두고 그 날의 저점이나 고점을 예측하기도 하고,
adr처럼 손절 기준으로 쓰기도 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표준편차 기능을 체크해주세요 (기본 설정: 2)
그리고 해당 지표는 0 GMT를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므로,
ICT 스마트머니 컨셉에선 뉴욕 로컬 타임을 기준으로 사용하기에,
원래 설정된 아시아 시간에서 -4hr 해줘야합니다.
제 기준에선 24:00~04:00 하니까 딱 아시안 레인지로 맞춰지네요.
한 번 이렇게 시간을 맞추고 나면 기준 시간을 한국으로 하던, 런던으로 하던 상관없이
맞는거 같습니다.
이 설정을 다 마쳤으면 아래와 같이 뜨게 됩니다.
거래를 시작할 수 있는 구간 찾기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TS - BW 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BW 지표는 MACD, StochRSI, CCI, PVT, superTrend 지표를 종합하여 표현된 지표입니다.
BW 지표가
- 최고점을 기록하게 되면, 매도할 시기에 해당되고,
- 최저점을 기록하게 되면, 매수할 시기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격 캔들 부분에 있는 BW 지표는 TS - BW 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BW 지표와 같지만, 최고점이나 최저점에서 수평선을 이루었을 때 가격 캔들에 표현되도록 만든 지표입니다.
가격 캔들 부분에 표현되는 BW 지표의 위치를 보면, 언제 거래를 진행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MS-Signal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의 상태를 참고하면 거래 시작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여기에 HA-Low, HA-High 지표를 추가하게 되면 좀 더 세밀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supperTrend 지표에 대한 저의 해석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uperTrend 지표는 추세를 확인하는데 좋은 지표라 생각합니다.
또한, superTrend 지표가 수평선을 보일 때 지지와 저항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좋은 지표라 생각합니다.
다만, 막상 차트에 추가하여 거래에 활용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는 잘 사용하지 않게 되는 지표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저의 차트에서는 BW 지표를 구성하는데 사용되지만, 실제 가격 차트 부근에 표시하지 않는 이유에 해당됩니다.
superTrend 지표에는 buy 선과 sell 선이 생성됩니다.
buy 선이 수평선을 이룰 때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sell 선이 수평선을 이룰 때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도 시기에 해당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uy 선이나 sell 선이 끊여서 생성될 때는 반대의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uy 선 -> sell 선으로 전환시에는 손절 시기에 해당된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반대로 sell 선 -> buy 선으로 전환시에는 (공격적인)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선이 교차할 때 따로 수평선을 표시하여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 드린 대로 supperTrend 지표를 해석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buy 선이나 sell 선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봐야 합니다.
buy 선이나 sell 선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아니면, 서로 교차하여 생성되는지를 보고 이에 맞는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supperTrend 지표 또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차트에서는 MS-Signal 지표 (1M, 1W, 1D 차트의 M-Signal) 와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supperTrend 지표도 추세 지표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MS-Signal 지표를 사용하면 굳이 supperTrend 지표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supperTrend 지표도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하는 부근이 있기 때문에 활용할 가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대부분의 보조 지표는 후행성, 추세선도 후행성이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추세선은 캔들이 형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린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릴 때는 캔들이 생성된 다음에 그리기 때문에 후행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특별한 이슈가 있지 않는 이상 한번 형성된 추세를 따라 움직이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추세선을 참고하여 차트 분석을 하게 됩니다.
추세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의미없는 선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세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캔들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추세선을 그릴 때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는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추세선을 그릴 때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하여 그립니다.
1. StochRSI 지표의 고점에 해당되는 가격 캔들 중 하락 캔들의 시가 간 연결 (파란색(blue) 선으로 표시)
2. StochRSI 지표의 저점에 해당되는 가격 캔들의 저점 간 연결 (연두색(#00FF00) 선으로 표시)
StochRSI 지표의 설정 값은 3, 3, 14, 7 (K, D, RSI, Stoch) 입니다.
단, 소스값으로 하이킨아시 캔들의 (시가(Open) + 종가(Close)) / 2 값을 사용합니다.
그 차이는 차트의 TS - BW 지표의 StochRSI 지표와 Stoch RSI 지표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StochRSI 지표가 80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형성된 고점을 사용하고,
2. StochRSI 지표가 20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 형성된 저점을 사용합니다.
그 이외에 형성된 저점이나 고점은 제외합니다.
저점 간 연결되는 추세선은 가격 캔들의 저점을 연결하면 됩니다.
하지만, 고점 간 연결되는 추세선은 가격 캔들 중 하락 캔들의 시가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StochRSI 지표의 고점이 형성된 가격 캔들이 상승 캔들일 때는 우측 캔들 중 첫번째 하락 캔들의 시가를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TS -BW 지표의 StochRSI 지표와 일반 StochRSI 지표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TS - BW 지표의 StochRSI 지표 수식을 활용하기를 추천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여 두개의 저점을 형성하였을 때는 두개의 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리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차트에 표시된 방식으로 추세선을 그립니다.
가장 최근에 그려진 추세선 (1), (2) 모두에서 하락하여 추세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추세선 하나만을 가지고는 사실상 알 수 없기 때문에 보조 지표를을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MACD, StochRSI, CCI, PVT, SuperTrend 지표를 종합하여 표시한 BW 지표를 참고하기를 추천합니다.
BW 지표가 0 지점을 기준으로 상승해 있으면 추세가 상승세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0 지점을 기준으로 하락해 있으면 추세가 하락세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BW 지표가 0 지점 위에 있으므로 추세가 상승세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추세선과 BW 지표를 종합해 볼 때, 최근 그려진 추세선 (1), (2)에서 하락하였을 때 매도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BW 지표가 상승세에 있으므로 100% 매도가 아닌 분할 매도로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세선만으로는 여전히 거래하는 시기를 잡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여 거래할 시기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HA-Low, HA-High 지표를 추가하여 거래 시기를 선정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HA-Low, HA-High 지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1M, 1W, 1D 차트의 캔들의 배열을 따른 지지와 저항 선을 그려 차트에 표시하여 거래 시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를 활용하면 좋은 점은 자신의 심리 상태에 따라 지지와 저항 지점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가격 변동성에 의해 자신의 심리상태가 불안정해 질 수 있고, 불안정한 심리 상태가 되면 엉뚱하게 선을 그릴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없는 선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표시하는 다른 방법 소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설정에서 활성화된 지표는 거래량으로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는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나타냅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표가 앞서 말씀드렸던 지표입니다.
이 지표와 볼륨 캔들(Volume Candles)과 함께 보면, 보다 명확하게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지지와 저항 구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5개의 지표, 즉, MACD, StochRSI, CCI, PVT, superTrend 지표로 이루어진 BW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함으로서 거래 시작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습니다.
BW-MACD, BW-StochRSI, BW-CCI, BW-PVT, BW-superTrend 지표를 따로 표시하여 지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거래 시점이 선정되었다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중요한 것은 투자 기간과 투자 규모입니다.
투자 기간과 투자 규모가 결정되었다면,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를 가지고 거래 방식과 수익 실현 방식을 만들어야 합니다.
거래 방식은 매수 방법, 매도 방법, 손절 방법을 말합니다.
매수 방법은 어떻게 분할 매수를 진행하여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때, 손절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어떻게 매도를 진행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손절할 때, 자신이 정한 투자 기간에 맞게 진행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단기 거래로 한 파동내에서 거래를 진행할 것이다 라고 결정하고 거래를 진행하였는데 손절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되었을 때는 100% 매도한 다음 상황을 지켜볼 수 있어야 합니다.
매수가 끝난 다음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매도 방법에 따라 매도를 진행해야 합니다.
매도 방법 또한, 투자 기간에 따라 진행해야 합니다.
다만, 매수금액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 가는 방법은 당일 거래(day trading)나 단기 거래로 거래를 진행하였더라도 중장기 거래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은 매수 평균 단가가 0 이기 때문입니다.
가격 변동에 따른 분할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 도움을 받기 위해 다른 지표들을 추가하게 되면 위의 차트와 같아지게 됩니다.
차트가 눈에 익숙하지 않는다면,
HA-Low, HA-High 지표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만을 표시하여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자신의 투자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 수립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QIUSDT 1M 차트)
0.01550-0.019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바닥(bottom) 만드는 형식의 중간 구간을 만드는 흐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1W 차트)
HA-High 지표가 0.02464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0.0246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0.03732 지점까지 심리적인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0.01550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HA-Low 지표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HA-Low 지표는 0.00736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1D 차트)
HA-Low 지표가 0.01560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중요한 구간인 0.01550-0.019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0.0122 지점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HA-High 지표가 0.02715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0.02464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0.02464-0.02715 구간이 저항 구간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0.02464-0.0271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0.03549-0.03732 구간이 다시 저항 구간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이 차트를 보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선택해야 하고, 그에 맞는 투자 기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만일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지 않는 투자 기간이 소요된다면, 거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자신의 심리적인 영향이 거래에 큰 영향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당일 거래(day trading)나 단기 거래시에서는 0.01550-0.01939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되었을 때 매수하고, 1차 분할 매도 구간인 0.02464-0.02715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100% 매도하여 현금 수익을 얻을 것인가, 아니면, 매수 원금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길 것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중장기 거래에서는 아직 거래할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0.01550-0.01939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바닥 만드는 형식의 중간 구간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M 차트의 HA-Low 지표나, 1W 차트의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분할 매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어 대응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식 및 수익 실현 방식
위의 1-3을 기준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1, 2번은 자신의 투자 스탈에 맞게 투자 기간과 투자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차트 분석과 기타 코인생태계 등을 확인하면서 결정할 수 있습니다.
3번은 거래하기로 결정하였을 때 세부적인 거래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매수, 매도, 손절 방법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수익 실현 방식을 결정해야 합니다.
100% 매도가 아닌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거래를 진행할 때 유용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은 매수 단가가 0 이기 때문입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직관적인 차트 : 볼륨 캔들(Volume Candles) 차트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Candles 차트와 Volume Candles 차트)
보통 차트에 가격과 거래량을 따로 표시하여 보게 됩니다.
이렇게 표시하게 되면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따로 봐야 하기 때문에 빠른 판단이 요구될 때는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움직임에 따라 거래하기 위해서는 차트를 빠르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는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TradingView 차트에서 드디어 Volume Chandles 차트를 지원하였습니다.
가격의 움직임에 거래량를 결합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거래량이 많으면 캔들이 두꺼워지고, 거래량이 적으면 캔들은 얇아지게 표시됩니다.
(Volume Candles 차트)
차트에 지표를 추가해 보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보다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일부터는 Volume Candles 차트에 맞게 셋팅하여 퍼블리쉬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24-02-18__Systematic Technical Anaylsis🎀 Research Proposal 🎀
I .연구 제목 :
Systematic(Dogmatic) Technical Anaylsis
(조직적, 체계적, 독단적 기술적 분석)
II . 연구 목적 :
세계적으로 성공한 선(현)물 트레이더 및 고전 기술적 분석가들이 공통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바,
"Systematic"의 중요성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
트레이딩을 단순한 gamebling(도박적 요소가 포함 된 게임)이 아닌,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며 독단적인 기술적 분석(Systematic Technical Analysis)으로 여일(如一)하게 진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 과정이 필요하다.
1. "Systematic Technical Anaylsis"의 정의를 내려야 한다.
2. 이 STA(Systematic Technical Anaylsis)의 내용을 빈틈없는 논리로 채워나가야 한다.
3. 'Systmatic의 중요성을 아는 것'과 STA가 포함하는 내용물을 온전히 체득화 시키는 과정(깊은 이론을 실재로 녹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III . 연구 과제 :
1) Linda Raschke - Habits of a Systems Thinker & Gartley of Wisdom & Systematic Theology,
이 세 가지 내용을 관통하는 핵심과 원리 찾아내기. -> Systematic 정의 내리기.
2) ab walls / FPP / FRVP / OI / NLNDNS / Liq. / Volume / MA, 각 SD data가 갖는 1차적 의미(논리적 순서에 따른)를 정리하고,
이 여덟 가지 수급 데이터의 관계성을 파악하며,
2차적 의미(수급데이터 차트)에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스토리 텔링이 가능하도록, 수많은 백테와 실시간 분석을 통해 훈련하기.
(논리적 순서에 의하면, 1차적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과 심리가 먼저 들어옴
-> 2차적으로 그 행동과 심리의 양상이 수급 데이터 차트에 기록
-> 3차적으로는 캔들 차트 위 x,y 좌표로 기록됨 / 시간적 순서로는 1, 2, 3차 현상이 모두 동시에 일어남.)
3) 파동이론과 하모닉 패턴 등을 응용하여 FCZ(Fibonacci Cluster Zone) Trading을 정교화하는 과정이 꾸준히 필요함.
4) STA의 중요성을 뇌리에 꾸준히 새기는 인지 훈련이 필요함.
(트레이딩과 뇌과학 / 거래 심리학 / 꾸준한 매매 복기를 통한 인지훈련)
5) (추후 보충해나가기)
- 다른 이의 연구를 연구하는 루틴 :
0) 끊임없는 inquiring mind(탐구심, 연구심) 발동 시키면서 진행
1) 이 사람이 발견한 핵심과 원리 = ?
2) 이 사람이 차트를 보는 방식 = ?
(도구적 이해라면 패스 / 관계적 이해라면 3번으로 이어서 진행)
3) 이 사람이 탐구하는 과정에서 가졌던 의문과 심정 = ?
4) 마지막 공식화 과정에 도달하게 된 이유 = ?
5) 내가 흡수해 올 이 사람의 차트를 대하는 방식 = ?
6) 새로 "깨닫게 된 점" -> 나의 언어로 정리하여 설명하기.
7) 개념을 정리하는 과정과 백테와 실시간 분석(실제 트레이딩)을 통해, '오개념'을 잡아내고 수정하기
(기존의 올바른 개념과 들어맞지 않거나, 제한적 부분에서만 적용 가능하다면 -> 오개념일 확률 up)
8) STA 강화 (보충/수정)
---
(추후 연구 계획서 보충/수정하며 진행)
BW 지표에 대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래 지표들의 자세한 설정값과 수식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공개할 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될 때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차트에 표시되어 있지만 설명이 없어서 이해하시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표들이 꽤 많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이번 시간에는 BW 지표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BW 지표는 MACD, StochRSI, CCI, supertrend, PVT 지표를 종합 평가하여 0 지점을 기준으로 상승추세와 하락 추세를 구분합니다.
(MACD 지표)
MACD = (fast + slow) / 2
Signal = MACD의 EMA
MACD > Signal : +1점
MACD = Signal : 0점
MACD < Signal : -1점
(StochRSI 지표)
StochRSI = (K + D) / 2
StochRSI > 50 : +1점
StochRSI = 50 : 0점
StochRSI < 50 : -1점
(CCI 지표)
CCI > 0 : +1점
CCI = 0 : 0점
CCI < 0 : -1점
(supertrend 지표)
direction < 10 : +1점
direction = 0 : 0점
direction > 10 : -1점
(PVT 지표)
PVT > Signal : +1점
PVT = Signal : 0점
PVT < Signal : -1점
위와 같은 계산방식으로 보조 지표에 표시됩니다.
이를 좀 더 편하게 보고자 가격 차트에 표시되도록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거래시 가격 차트에 표시된 BW 지표 지점을 참고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지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아이디어를 공유받은 다음 자신의 차트에 붙여넣기 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한 기준의 예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우리는 차트의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가지고 어떻게 거래 전략을 만들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지 추세를 맞추고 못 맞추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추세를 안다고 하더라도 거래 전략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면, 결국 적은 수익이나 오히려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결국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아 그 지점을 기준으로 어떻게 거래 전략을 만드느냐가 가중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Heikin Ashi 1D 차트)
(Renko 1D 차트)
TradingView 차트에서 지원하는 Heikin Ashi 차트나 Renko 차트는 추세를 알아보는데 좋은 차트라 생각합니다.
다만, Heikin Ashi 차트를 활용하여 만든 HA-Low, HA-High 지표가 구현되어 있으므로 Heikin Ashi 차트에 얘기는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Heikin Ashi 차트와 Renko 차트의 장점을 fake나 휩쏘를 줄여 주었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실제 두 차트만을 가지고 거래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보기에 난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Renko 차트는 Heikin Ashi 차트에 비해 더 난해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가격을 일정 블럭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트가 그려진 모습을 보면, Heikin Ashi 차트보다 fake나 휩쏘를 더 많이 줄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Heikin Ashi 차트를 활용한 HA-Low, HA-High 지표를 만든 것 처럼 Renko 차트를 활용한 정형화된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도전하고 있는 중 입니다.
기존의 차트에서 사용하고 있던 TS-BW 보조 지표를 추가하여 기본적인 방향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BW 지표가 상승세에 있는지, 아니면, 하락세에 있는지로 전체적인 방향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StochRSI 지표와 StochRSI EMA 지표의 움직임으로 좀 더 자세한 방향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가격 차트 부분에 MS-Signal 지표를 추가하여 차트의 추세를 좀 더 직관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MS-Signal 지표가 추가되어 superTrend 지표를 추가할 필요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MS-Signal 지표는 곡선이기 때문에 선으로 표현되는 superTrend 지표를 추가함으로서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좀 더 자신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도록 각종 지표들을 가격 차트에 표시함으로서 직관적이면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서 추세 차트로 활용되었던 Renko 차트가 거래가 가능한 차트로 표현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분석 기법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자신에게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없다면 결국 거래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자신에 맞는 분석 기법을 찾았다면, 분석 기법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기 보다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자심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겠습니다.
거래 전략은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식 및 수익 실현 방식
위의 3가지로 구성된다고 생각합니다.
1, 2번은 차트보다 거래하고자 하는 코인(토큰, 종목)에 대한 폭넓은 시작으로 관찰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에서는 코인 생태계가 확장되어지고 있는지와 어느 테마에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이렇게 확인된 코인(토큰, 종목)을 거래하고자 결정하였다면, 그때, 해당 코인(토큰, 종목)의 차트를 보고 거래 전략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거래 전략의 1, 2번 단계에서 결정된 내용으로 장중기 투자, 단기 및 단타 거래 (day trading) 등으로 분류되어 그에 맞는 투자 규모를 결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3번 단계에서 실제 매수, 매도, 손절 등을 결정하게 됩니다.
매수는 가능한한 매수 평균 단가를 낯추려고 노력하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의 차트에 표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분할 매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익을 위한 매도 또한, 분할 매도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가격이 상승 중일 때 매도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가격이 상승하였다가 하락하는 중에 매도하게 되면, 후속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상당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도시에 보조 지표인 BW 지표, StochRSI 지표 등을 활용하여 분할 매도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이 더 하락하여 손실이 더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진행하는 것이 손절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손절 지점에서 어떻게 매도할 것인가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손절에 대한 확실한 연습 방법은 선물 거래를 진행해 보면 빠르게 습득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손절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 결국 전체적인 수익률이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능하면, 손절하기 전에 미리 수익을 확정 짓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매수, 매도, 손절 지점을 결정하는데는 차트 이외의 가격 이슈를 가지고 판단하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차트 이외의 이슈들은 주관적인 생각이 추가되어 제대로된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래 전략의 3번 단계를 결정할 때는 차트를 먼저 보고 결정한 다음 그 이후에 각종 기사 등을 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떠한 방식이든 자신에 맞는 거래 전략 기준을 가지고 있다면, 그 기준이 최고의 거래 전략 기준입니다.
아무리 좋은 거래 전략 기준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지 않다면 결국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차트에 대한 공부를 진행할 때, 패턴의 이름이나 각종 지표들의 이름을 외우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는 이름들은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차트에 대한 공부나 분석 기법을 공부할 때는 핵심이 무엇인가를 찾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핵심적인 내용을 파악하였다면 그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을까를 깊게 생각해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면 습득하게 된 내용을 적은 글이라 이해하시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추상적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거래를 통해 얻은 내용들이기 때문에 차트에 대한 공부를 진행하시는 분들에게 보다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확장 매물대 1초만에 작도하는법안녕하세요 차트 분석을 쉽고 간편하게 하는
심플한 Kim Dong 입니다
지난시간엔 매물대를 확장시켜 기준을 잡는법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매번 매물대의 박스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면
귀찮기도 하고 살짝 삐끗하면 라인이 틀릴수도 있겠죠?
만약 이걸 자동으로 잡아준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트레이딩뷰의 기능을 이용하여
확장매물대 라인을 1초만에 잡는법을 알아봅시다!!
1. 차트는 일정한 비율대로 움직인다? - ( 피보나치 )
비율의 끝판왕은 피보나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일반적인 작도는 추세의 끝 과 끝을 잡게 됩니다
이때 "수열에 의한 라인들을 지지, 저항작용을 한다" 는것이 피보나치 이론입니다
가끔 전문가들이 0.618 까지 되돌림을 줫다란말이 요런뜻이죠
하지만 여기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실시간차트에선 고점 혹은 저점이 어딘지 알수없습니다
즉, 시간이 어느정도 지난후 여기가 고점인가?
하고 유추할수있고 작도를 해볼수 있습니다
2. 확장된 피보나치
만약 차트가 앞부분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린 기준선으로 잡고 작도할 차트가 없습니다
하지만 피보나치에 확장된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수 있습니다
🟡노란 박스부분을 피보나치로 고점,저점을 체크해본다면
피보나치에도 추가로 뻗어 나가는 영역이 존재하고
신기하게도 확장된 1.618 에서 지지하는걸 볼수있습니다
아닛!? 우연의 일치인가!?
3. 확장된 매물대 - < 미들라인!! >
피보나치에도 비율적으로 움직인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그걸 매물대에 적용시킨것이 확장된매물대 입니다
이름하야 미.들.라.인!
매번 매물대를 찾고 박스를 그리고 난후
그녀석을 다시 복붙해서 매번 작도한다면 얼마나 힘들까요
심지어 차트 종류가 한두개가 아니라 수천개가 넘는데!!
편하게 작도할수있는것
그것이 바로 [ 미들라인!! ]
앞으로 피보나치로 만든 라인들을
"미들라인" 이라고 부르겠습니다
4. 미들라인 설정법
피보나치 설정을 들어간후 라인들의 값을 전부 지우고
쓰고싶은 칸 만큼 숫자를 입력하시면됩니다
이렇게 되면 한칸 미들라인을 쓰게됩니다
* 로그차트를 쓰는분들은 필수적으로 "로그 스케일" 체크!!
설정이 완료됬다면 템플릿을 눌러 저장!!
이렇게 저장해둔다면 언제든 내가 정해둔 값을
꺼내서 마음대로 쓸수있습니다
만약 기본 피보나치로 돌리고싶다면 "기본설정" 클릭
어때요 어렵지 않죠?
매물대를 쉽게 찾는방법은 전자책을 참고하시면됩니다!!
🌈커뮤니티 확인!!
오늘부터 확장매물대는 1초컷!!
여러분들도 커스텀해서 써보세요
정말 편해요!
차트 분석은 심플하게
작도는 쉽고 빠르게~!!
오늘도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터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시장 탕고: "Twisted Pair" 댄스의 신비를 밝히다
금융 시장의 큰 무대에서, 모든 거래자는 자신을 잘 댄스로 이끌어갈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Twisted Pair" 지표는 시장 변동성에서 우아하게 춤추는 파트너입니다. 두 선을 사용하여 시장의 리듬을 짜고, 거래자들이 시장의 댄스 홀에서 리듬을 찾도록 도와줍니다.
시장이 물처럼 고요할 때, "Twisted Pair"는 꼭 얽혀 있는 두 리본처럼 보입니다. 그들은 차트에서 거의 겹쳐지며, "이제, 이 조용한 댄스 스텝을 즐겨보자"고 속삭인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시장의 콘솔리데이션 기간입니다. 가격 변동이 크지 않으며, 거래자들은 시장의 모든 세부 사항을 느껴보며 천천히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마에스트로는 언제든지 멜로디를 바꾸는 것을 좋아합니다. 변동성이 갑자기 증가하면, 음악의 리듬이 가속하는 것처럼, 원래 조용한 댄스 홀이 갑자기 활기차게 변합니다. 이 시점에서 "Twisted Pair"의 두 선이 시작적으로 분리되며, 그들은 열정에 불타는 댄서처럼, 각각 고유한 댄스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이 두 선이 분리되는 순간은 거래자에게 "준비가 되셨나요? 시장이 춤을 춰야 합니다. 춤 실력을 보여줄 시간입니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Twisted Pair" 지표의 변화는 시장 심리의 표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선이 밀접하게 연결될 때, 시장 심리는 안정적이며, 거래자들은 차분히 관찰하고 기회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분리되면, 시장 심리가 높아지고, 거래자들은 빠르게 반응하여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순간을 포착해야 합니다.
이 지표의 계산 방법은 신중하게 안무된 댄스와 같습니다. 시장의 역동성을 평균가, 거래량의 가중 이동 평균, 가격의 단기 편차를 계산하여 포착합니다. 이러한 계산은 댄서의 움직임처럼, 각 단계가 정확하고 강력하여 거래자들이 시장의 리듬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합니다.
실제 적용에서, "Twisted Pair" 지표는 정적인 차트 선이 아닌, 살아있는 댄스 파트너와 같습니다.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시장의 댄스 홀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안내합니다. 시장이 조용한 기간이든 변동성이 있는 기간이든, 거래자들이 현명한 결정 내리도록 명확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코드의 시장 논리를 자연어로 설명하겠습니다:
- **HJ_1**: 이것은 시장 댄스 스텝의 기초입니다. 평균가와 거래량을 계산하여 시장의 리듬을 설정합니다.
- **HJ_2**와 **HJ_3**: 이 두 선은 댄스 파트너의 팔입니다. 시장의 장기적인 추세를 식별하기 위해 스무딩을 통해 거래자들에게 도움을 줍니다.
- **HJ_4**: 이것은 시장 심리의 망원경입니다. 가격의 단기 편차를 계산하여 시장의 긴장과 흥분을 드러냅니다.
- **A7**와 **A9**: 이 두 선은 댄스 스텝의 안내입니다.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면, 이 두 선은 분리되어 거래자를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합니다.
- **WATCH**: 이것은 댄스 신호등입니다. 두 선이 겹칩니다. 시장이 조용합니다. 분리되면 시장이 활성화됩니다.
"Twisted Pair" 지표는 신중하게 안무된 댄스처럼, 시장의 댄스 홀에서 조용한 슬로우 댄스든 열정적인 탱고든지, 거래자들이 자신만의 리듬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장은 항상 변화하고 있으며, "Twisted Pair"는 멋진 춤을跳出시킬 수 있는 완벽한 댄스 파트너입니다. 다음으로, 이 고양이가 이 지표의 TradingView 코드를 소개할 것입니다:
// ____ __ ___ ________ ___________ ___________ __ ____ ___
// / __ )/ / / | / ____/ //_/ ____/ |/_ __< / // / / __ |__ \
// / __ / / / /| |/ / / ,< / / / /| | / / / / // /_/ / / __/ /
// / /_/ / /___/ ___ / /___/ /| / /___/ ___ |/ / / /__ __/ /_/ / __/
// /_____/_____/_/ |_\____/_/ |_\____/_/ |_/_/ /_/ /_/ \____/____/
// This source code is subject to the terms of the Mozilla Public License 2.0 at mozilla.org/MPL/2.0/
// © blackcat1402
//@version=5
indicator(title=" L2 Twisted Pair Indicator", shorttitle="TPI", overlay=true)
//define DEMA
DEMA_function(src, length) =>
ema1 = ta.ema(src, length)
ema2 = ta.ema(ema1, length)
2 * ema1 - ema2
//define TEMA
TEMA_function(src, length) =>
ema1 = ta.ema(src, length)
ema2 = ta.ema(ema1, length)
ema3 = ta.ema(ema2, length)
3 * (ema1 - ema2) + ema3
//input
swi = input.string(title="Switch", options= , defval="EMA")
ma(src, length) =>
out = swi == "DEMA" ? DEMA_function(src, length) : swi == "TEMA" ? TEMA_function(src, length) : ta.ema(src, length)
out
//Twisted Pair algorithm
HJ_1 = (high + low + close) / 3 * volume
HJ_2 = ma((ma(HJ_1, 3) / ma(volume, 3) + ma(HJ_1, 6) / ma(volume, 6) + ma(HJ_1, 12) / ma(volume, 12) + ma(HJ_1, 24) / ma(volume, 24)) / 4, 13)
HJ_3 = 1.08 * HJ_2
HJ_4 = ma(HJ_3 - (ma(close, 3) - HJ_3), 5)
A7 = HJ_4 <= HJ_3 ? HJ_4 : HJ_3
HJ_5 = 2 * HJ_3 - A7
A9 = HJ_5 >= HJ_3 ? HJ_5 : HJ_3
WATCH = A7 == A9 ? A7 : na
plot(A7, color=color.yellow, linewidth=2)
plot(A9, color=color.yellow, linewidth=2)
plot(WATCH, color=color.green, linewidth=2, style = plot.style_steplinebr)
HJ_6 = close * 1.1 - close < 0.01 and high == close
HJ_7 = HJ_3 >= HJ_3 and A7 < A7 and close > HJ_3 and open > HJ_3
// plot candle color indications
plotcandle(open, (open + close) / 2, open, (open + close) / 2, color=HJ_7 ? color.yellow : na)
plotcandle(close, (open + close) / 2, close, (open + close) / 2, color=HJ_7 ? color.red : na)
이 "Twisted Pair" 스크립트는 EMA(지수 이동 평균), DEMA(이중 EMA), TEMA(삼중 EMA)의 세 가지 다른 이동 평균 유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유형은 사용자가 거래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EMA 및 TEMA 기능 정의: 이 두 기능은 해당 이동 평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EMA는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특별한 이동 평균 유형입니다. 첫 번째 단락에서 ema1은 "길이"의 EMA이며, ema2는 ema1의 EMA입니다. DEMA는 ema1의 2배에서 ema2를 빼서 얻습니다.
2. 사용자가 EMA, DEMA 또는 TEMA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이 코드 부분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평균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3. "Twisted Pair 알고리즘"이라는 복잡한 알고리즘을 정의: 이 코드 부분은 "HJ"라는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복잡한 알고리즘을 정의합니다. 이 알고리즘에는 EMA, DEMA, TEMA의 다양한 복잡한 계산 및 적용이 포함됩니다.
4. 차트 그리기: 다음 코드는 TradingView에서 차트를 그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lot 함수를 사용하여 선을 그리고, plotcandle 함수를 사용하여 캔들 차트(K-line)를 그리며, 노란색과 빨간색을 사용하여 다른 조건을 나타냅니다.
5. 색상 지정: 코드의 마지막 두 줄은 HJ_7의 조건을 나타내는 노란색 및 빨간색 캔들 차트를 사용합니다. HJ_7의 조건이 충족되면, 캔들 차트의 색상이 해당 색상으로 변경됩니다.
L3 이모션라인 사용방법 **TradingView Emotion Line 기술 지표 사용자 매뉴얼**
**I. 개요**
Emotion Line은 시장 감정을 가격 동향 분석을 통해 포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지난 3일 동안의 열림, 최고, 최저, 종가를 평균화하고, 동적 이동 평균(DMA) 및 지수 이동 평균(EMA)의 개념을 결합하여 시장 감정을 반영하는 값 생성합니다. TradingView 플랫폼에서 Pine Script 언어로 구현된 Emotion Line은 사용자에게 시장 감정 분석을 위한 직관적인 도구를 제공합니다.
**II. 계산 방법**
1. **레이 (Ray)**: 지난 3일 동안의 가격 평균을 계산합니다. 이는 (2 * C + H + L) / 4와 같이, C는 종가, H는 최고가, L는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그런 다음, 이 평균의 3일 간의 단순 이동 평균(SMA)을 취하고, 스무딩 계수를 2로 설정합니다.
2. **CL (닫기 선)**: 레이의 값을 CL에 할당하여 후속 계산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3. **DIR1 (방향 변화)**: CL과 2일 전의 CL 사이의 절대 차를 계산하여 가격 변동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4. **VIR1 (범위 내 볼륨)**: 지난 2일 동안 CL과 1일 전의 CL 사이의 절대 차의 합을 계산하여 가격 변동의 누적을 측정합니다.
5. **ER1 (효율 비율)**: DIR1와 VIR1의 비율을 계산하여 가격 변동의 효율을 나타냅니다.
6. **CS1 (누적 강도)**: ER1에 가중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CS1을 얻습니다.
7. **CQ1 (누적 비율)**: CS1의 제곱을 계산하여 가격 변동의 누적 효과를 더욱 강화합니다.
8. **AMA5 (조정된 이동 평균)**: CL의 동적 이동 평균(DMA)을 CQ1의 동적 요소로 계산하고, 그 결과에 2일 지수 이동 평균(EMA)을 적용합니다.
9. **비용 (Cost)**: AMA5의 7일 간의 단순 이동 평균(SMA)을 계산합니다.
10. **CLX (합성 선)**: AMA5와 비용의 평균을 계산하여 CLX를 얻습니다.
11. **감정 선 (Emotion Line)**: CLX가 N일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비율을 계산하고, N은 기본적으로 7일입니다. 결과를 100으로 나누어 감정 선의 값을 얻습니다.
12. **MA_감정 선 (감정 선의 이동 평균)**: 감정 선의 M일 이동 평균을 계산하고, M은 기본적으로 6일입니다.
**III. 시장 논리**
가격의 누적 효과와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감정 선은 시장 감정의 강도를 드러내려고 시도합니다. 감정 선이 상승하면, 시장 감정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며, 투자자들이 주식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감정 선이 하락하면, 시장 감정이 약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정 선의 절대 값 및 추세 변화는 투자자들이 매수, 보유 또는 매도에 대한 참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IV. 사용 방법**
1. **주의 신호**: 감정 선이 20%를 초과하면, 시장 감정이 긍정적인 것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관련 주식에 주목해야 합니다.
2. **진입 신호**: 감정 선이 40%를 초과하면, 시장 감정이 상대적으로 강하며, 투자자들이 시장에 진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포지션 감소 신호**: 감정 선이 80%를 초과하면, 시장이 지나치게 긍정적이므로, 투자자들이 위험을 피하기 위해 포지션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4. **청산 신호**: 감정 선이 M일 이동 평균 아래로 이동하면, 시장 감정이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투자자들이 시장을 떠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V. 주의 사항**
- 감정 선은 보조 도구이며, 투자자들이 기타 기술 분석 및 기본 분석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시장 감정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감정 선에는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투자자들이 감정 선의 매개변수를 위험 허용 범위 및 투자 전략에 따라 조정해야 합니다.
**VI. 결론**
감정 선은 시장 감정을 수량적인 방법으로 반영하는 직관적인 지표이며, 시장 동향을 관찰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완벽한 기술 지표는 없으며,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사용하고 개인 경험 및 시장 상황을 결합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TradingView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이 감정 선 지표를 그래프에 쉽게 추가하여 거래 결정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추세선을 그리고 활용하는 방법의 예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W 차트)
보통 추세선을 그리는 방식은 추세가 전환되는 고점과 고점을 연결하거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표시하게 됩니다.
그리고, 채널을 형성하여 그 채널 내에서 움직임을 표현하게 됩니다.
차트에 대한 이해력이 높다면, 누구나 추세선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분석 도구에 해당됩니다.
다만, 이를 실제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지는 그 추세선을 얼마나 신뢰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추세선의 특성상 사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추세선에서 이탈하더라도 대응하기 쉽지 않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로 거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평선에 가까운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려놓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에서 캔들의 배열에 대한 이해력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합니다.
저의 차트에서 StochRSI 지표는
1. StochRSI 지표의 파동을 활용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거나
2. 추세선을 그리는데 활용합니다.
StochRSI 지표로 추세선을 그릴 때는 과매도 구간은 20 이하, 과매수 구간은 80 이상으로 하여 꼭지점이 생성되는 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리게 됩니다.
단, 고점 간 연결하여 그려지는 추세선은 하락 캔들의 시가를 기준으로 그립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에서의 꼭지점이나 가장 가까운 하락 캔들의 시가를 선택하여 추세선을 그립니다.
저점 간 연결하여 그리는 추세선을 꼭지점에 해당되는 캔들의 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리면 됩니다.
자세한 방법은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추세선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차트에 그려진 추세선 중 거의 수평선에 가깝게 그려진 추세선이 사실상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사선으로 그려진 추세선은 거래에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트 분석용인 추세선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사선으로 표현된 추세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함께 표시하여야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추세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택 지점을 지정하여 사용되는 각종 차트 도구들을 활용할 때는 선택 지점을 어떻게 지정하는지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따라서, 선택 지점을 지정할 때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 각종 차트 도구를 활용하여 그려진 것을 신뢰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자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여 추세선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1D 차트)
1D 차트에서 그려진 추세선을 보면, 현재 가격 위치의 두 개의 추세선이 수평선에 가깝게 그려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세선 1 이상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추세선 2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HA-High 지표 이상, 즉, 43K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됩니다.
하락한다면,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HA-Low 지표가 생성되었을 때 그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여 추세선을 그릴 때,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 이외에서 형성된 꼭지점은 제외합니다.
그 이유는 상승 강도나 하락 강도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상승 강도나 하락 강도가 약하게 되면, fake나 휩쏘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어디까지 자신이 차트에 그린 여러 도구들을 신뢰할 수 있도록 근거가 확실한 방법으로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StochRSI 설정값 : 14, 7, 3, 3 (RSI, Stoch, K, D)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blackcat] L5 ALGOLD: 트렌드 마스터리 해방" L5 Alchemy Gold (ALGOLD)"은 트렌드 추종 전문가로, 거래량과 가격 데이터를 혼합하여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트렌드 추종 지표입니다. ALGOLD은 적응형 필터, 변동성 필터, 트리거 이동 평균, ALMA, 발산 검출기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매개변수를 맞춤 설정하여 거래 스타일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기서 차트는 말하고, 지표들이 번역합니다! 오늘, 우리는 " L5 Alchemy Gold (ALGOLD)"의 영역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 평범한 지표가 아닌, 시장의 리듬에 맞춰 춤을 추는 트렌드 추종 전문가입니다.
**ALGOLD의 탄생:**
TradingView의 디지털 골목에서 태어난 ALGOLD는 'lag'라는 세 글자 단어를 그의 어휘에 원치 않는 blackcat1402의 작품입니다. 이 트렌드 추종 지표는 차트상의 또 다른 선이 아니라, 거래량과 가격 정보의 융합 반응기입니다. 더 적은 지연시간과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진 MACD 오실레이터를 상상해 보세요. 그것이 바로 ALGOLD입니다! 이는 거래량과 가격 데이터를 혼합하여 MACD와 유사한 오실레이터를 만들어내는 트렌드 추종 지표로, 가격만을 기반으로 하는 지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선도적인 거래량 정보와 지연된 가격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은 더 적시의 신호를 생성하는 똑똑한 접근 방식입니다. 또한, 변동성 필터를 추가하여 횡보 시장에서의 잘못된 신호를 줄이는 것은 사려 깊은 개선점입니다.
" L5 Alchemy Gold (ALGOLD)" 지표는 상당히 종합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을 포함합니다:
1. 가격과 거래량 데이터를 부드럽게 만드는 적응형 필터.
2. Average True Range (ATR)을 기반으로 한 변동성 필터.
3. 부드러운 가격 정보를 생성하는 트리거 이동 평균.
4. 가격과 거래량의 추가 필터링을 위한 ALMA (Arnaud Legoux 이동 평균).
5. 잠재적인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발산 검출기.
" L5 Alchemy Gold (ALGOLD)" 지표의 입력 설정 매개변수는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1. **Alchemy 설정**:
- Alchemy Sharpness (기본값: 7) - 적응형 필터의 선명도를 제어합니다.
- Alchemy Period (기본값: 55) - 오실레이터의 부드러움을 결정합니다.
2. **DVATR 설정**:
- DVATR Length (기본값: 11) - DVATR의 기간 길이를 설정합니다. 이는 ATR의 Length와 유사합니다.
- DVATR Threshold (기본값: 0.07) - 횡보 시장 감지에 대한 민감도를 조정합니다.
- Smooth Length (기본값: 21) - DVATR 출력을 부드럽게 만들어 변동성 탐지와 균형을 맞춥니다.
3. **Divergence 설정**:
- Pivot Lookback, Lookback Range의 최대/최소와 같은 매개변수 - 발산 감지에 대한 민감도를 설정합니다.
- 각종 발산(상승, 숨겨진 상승, 하락, 숨겨진 하락)에 대한 플롯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옵션.
**연금술이 트레이딩을 만나다:**
ALGOLD의 핵심에는 '연금술 설정'이 있습니다. 이것을 이 지표에 그 특별한 요소를 제공하는 비밀 양념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연금술 선명도'와 '연금술 기간' 노브를 사용하면, 단지 데이터를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금융 예술을 창작하는 것입니다. 선명도는 분위기를 설정하고, 기간은 템포를 결정합니다.
**DVATR로 시장의 요란함을 조련하기:**
횡보하는 시장? DVATR 설정을 가진 ALGOLD는 이것을 비웃습니다. ATR을 기반으로, 이 기능은 시장의 속삭임과 요란함을 필터링하여, 사자의 돌진과 고양이의 산책을 구분합니다. 이는 마치 차트에 시장 기분 반지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발산을 찾아 뛰어들기:**
'발산 설정'은 ALGOLD가 탐정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이것은 은밀한 시장 반전을 찾아내는 것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여러 lookback 설정과 다양한 발산 유형을 플로팅하는 옵션을 통해, 이는 마치 차트에 탐정 안경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시각적 교향곡:**
이제 시각적 요소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만약 ALGOLD가 영화라면, 최고의 시각 효과로 오스카를 받을 것입니다. " L5 Alchemy Gold (ALGOLD)" 지표는 색다르고 직관적입니다:
1. **캔들 바 색상**: 경사진 색상 변화는 트렌드의 강도를 나타내며, 황소 트렌드에는 따뜻한 색상, 곰 트렌드에는 차가운 색상이 사용됩니다.
2. **선 색상과 모양**:
- 녹색은 빠른 선을 나타내고, 빨간색은 느린 선을 나타냅니다.
- 이 선들의 교차는 진입(삼각형)과 출구(십자형) 신호를 나타냅니다.
- 이 선들 사이에는 밴드가 생성되며, 상향 추세에는 녹색으로, 하향 추세에는 빨간색으로 채워집니다.
3. **히스토그램**:
- 0 이상 및 상향 추세에 대한 빨간색 히스토그램.
- 0 이상 및 반등에 대한 파란색 히스토그램.
- 0 미만 및 하향 추세에 대한 녹색 히스토그램.
- 0 미만 및 반등에 대한 노란색 히스토그램.
캔들 바는 카멜레온처럼 색상을 바꾸어 시장의 분위기에 적응합니다. 빠른 선(녹색)과 느린 선(빨간색)이 화면에서 왈츠를 추며 시각적 향연을 만들어냅니다. 그들이 교차할 때, 그것은 단순한 신호가 아닙니다; 그것은 선언입니다!
**볼륨을 말하는 히스토그램:**
ALGOLD 히스토그램은 그 자체로 이야기를 전합니다. 시장의 방향 뿐만 아니라 그 기분 변화까지 보여주는 막대 차트를 상상해 보세요. 상승 추세에는 빨간색 막대, 교묘한 반등에는 파란색, 하락 추세에는 녹색, 반사에는 노란색 막대. 마치 손가락 끝에 시장의 날씨 예보가 있는 것과 같습니다!
**진입과 출구: 황소와 곰의 춤:**
- **진입 기준**: ALGOLD 오실레이터의 빠른 선과 느린 선의 복합적인 교차와 교차 이하.
- **출구 기준**: 더 민감하게 하기 위해 더 낮은 시간 프레임을 사용한 ALGOLD 오실레이터의 빠른 선과 느린 선의 교차와 교차 이하.
거래 진입과 출구에 있어서, ALGOLD는 경험 많은 댄스 지도자와 같습니다. 진입 신호는 빠른 선과 느린 선의 조화로운 교차와 교차 이하로, 언제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그리고 출구의 시간이 왔다면? 더 낮은 시간 프레임에서의 유사한 교차와 교차 이하가 미세한 밀어주기를 줍니다. 그것은 마치 언제 이끌어야 하고 언제 따라가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댄스 파트너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맞춤 설정: 귀하의 개인 거래 재단사:**
더 있을까요? ALGOLD는 일체형 지표가 아닙니다. 맞춤 설정을 통해 거래 스타일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거래를 부드럽고 느리게 하든, 날카롭고 빠르게 하든, ALGOLD는 귀하에게 적응합니다. 이것은 거래 지표의 맞춤형 양복입니다!
**모든 것을 함께 가져오기:**
그래서, 거래자 여러분, 여기 있습니다. " L5 Alchemy Gold (ALGOLD)"는 그저 지표가 아닙니다; 시장 나침반, 트렌드 번역기, 거래 재단사가 모두 하나의 세련된 패키지로 결합된 것입니다. 경험 많은 거래자든, 막 시작한 거래자든, ALGOLD는 시장의 미스터리를 해독하는 귀하의 동맹자입니다.
ALGOLD 투어를 마무리하면서, 시장은 댄스 플로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ALGOLD와 함께라면 언제나 춤을 출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테스트하고, 조정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세요. 누가 알겠는가, ALGOLD가 곁에 있으면, 당신은 의미하던 거래 전설이 될 수 있습니다!
즐거운 거래 되시길, 그리고 트렌드가 항상 귀하의 편이 되길!
기본적인 거래 방식 중 하나 소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기본적인 거래 방식
(매수 방법)
1. -10% 이상 하락시 공격적인 매수
2-1. 1D 차트상에서 상승 추세에 있을 때(MS-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캔들이 하락 캔들일 때 매수
2-2. 1D 차트상에서 하락 추세에 있을 때(MS-Signal 지표 이하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캔들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따라서, 상승 캔들일 때 매수
(매도 방법)
1. +10% 이상 상승하였을 때 분할 매도
2. 고점을 갱신하지 못할 때 분할 매도
-------------------------------------------------
위에 소개한 기본적인 거래 방식은 차트 분석에 익숙하지 않아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됩니다.
이 중에서 매수 방법의 2-2에 해당되는 거래 방식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1D 차트의 MS-Signal 지표를 기준으로 추세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 MS-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고, MS-Signal 지표가 하락 표시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현재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거래 방식에서 1D 차트의 MS-Signal 지표 이하, 즉, 하락 추세에 있을 때는 상승 캔들일 때 매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을 확인하고 매수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HA-High, HA-Low 지표와 박스 구간을 활용하여 거래할 수 있습니다.
1월 12일에 -10% 이상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였다면, 이번에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두번째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HA-High 지표, 즉, 43450.03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공격적인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상승하다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분할 매도해야 합니다.
그것이 싫다면, 43450.03 지점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해야 합니다.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43450.03 이상 상승한 다음 최소 1-3일 정도 확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차트 분석과 거래 전략은 다릅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36426.87 부근에서 지지 받고 1차 저항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1월 16일경(11월 15일-17일)입니다.
36426.87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32917.17-34110.32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29850.4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으로 차트를 분석하였다면, 과연 어떻게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가, 즉, 거래 전략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일단 차트 분석으로 어느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기 시작하면 되겠다라고 정하였지만, 막상 매수하려면 여러 가지를 더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1. 분할 매수로 할 것인가, 분할 매수로 매수한다면, 몇 번의 분할로 매수할 것인가.
2. 매수시 투자금은 얼마로 할 것인가.
3. 투자 기간을 단타 거래(day trading) ~ 장기 거래 중 어떻게 잡을 것인가.
4. 거래를 시작할 때, 손절 지점이나 목표 지점 등 거래 방식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또한, 수익 실현 방식은 어떻게 할 것 인가
위의 예와 같이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차트 분석이 마무리되어 매수 시기가 오면, 대충 얼마의 투자금으로 매수하고, 손절 지점과 목표 지점을 대략적으로 생각하고 거래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나서, 생각했던대로 차트가 움직인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때가서 위의 내용들을 고민하게 됩니다.
그러면, 가격 변동에 의해 자신의 생각이 좌지우지되기 때문에 엉뚱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서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기본적인 거래 전략 개념이 잡혀 있어야 빠르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기본적인 거래 전략의 개념은 아래와 같은 예로 자신에게 맞게 설정하면 됩니다.
1. 투자 기간별로 매수 원금, 매수 방법, 매도 방법, 손절 지점 결정 방법, 수익 실현 방식을 정형화해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타 거래(day trading)에서 부터 장기 거래까지의 투자 기간변로 기본적인 개념을 미리 정해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코인(토큰)별로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나누어 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투자 기간별 매수 원금의 규모와 손절 지점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2. 트레이딩은 결국 역발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생각하는 방식대로 생각하여 거래를 진행하여서는 안됩니다.
그러므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매도할 지점을 선택해야 하고,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매수할 지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트레이딩에 익숙하지 않다면, 가격이 상승할 때 매수하려고 하고 가격이 하락할 때 매도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 트레이딩이므로 쉽게 익숙해질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각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때까지 적은 투자금으로 많은 거래를 하여 트레이딩에 익숙해질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트레이딩은 심리 싸움입니다.
따라서, 심리적으로 쫓겨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그때부터 심리적으로 불안감, 부담감 등을 느끼게 되어 엉뚱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거래를 시작하려고 할 때,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떠한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만일 심리적으로 흥분 상태, 즉, 불안한 상태라 판단된다면 거래 자체를 시작하여서는 안됩니다.
한 두번 거래를 시작하여 수익을 얻었다 하더라고 계속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 흥분 상태일 때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결국 큰 손실을 볼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4. 또한, 트레이딩은 확률 게임입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을 통해 얻게 되는 여러 정보들을 종합하여 추세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에서 얻는 정보들은 객관적인 정보들이 많아야 합니다.
자신이 공부한 파동이론이나 기타 패턴 등으로 이루어진 분석 기법들은 결국 자신의 심리가 적용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보다 차트의 지표를 활용하여 얻는 기본적인 정보, 즉, 객관적인 정보를 종합하여 더 높은 뱡향, 추세를 선택하여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차트 분석 기법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해야 하는 선택 지점이 있는 분석 기법은 결국 자신의 심리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위에서 말씀드린 3번의 심리전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트레이딩뷰에 퍼블리쉬되는 아이디어들을 보면, 파동이론과 하모닉패턴의 분석 기법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법은 훌륭한 분석 기법들이고, 많은 사용자로 하여금 검증된 분석 기법들 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내용과 같은 거래 전략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차트 분석과 다른 거래를 진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차트 분석 기법을 공부하기 전에 반드시 캔들과 이동평균선, 지지와 저항에 대한 개념을 먼저 공부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거래 전략을 만드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거래 전략을 어느 정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면, 그때가서 여러 고차원적인 차트 분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다면, 고차원적인 차트 분석 기법은 필요없게 됩니다.
누차 말씀드리지만, 차트 분석이 거래 전략과 같다고 생각하고 차트 분석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 할수록 자신의 거래 실력에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분석한 대로 거래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트레이딩에 대해서 부정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시작하면서부터 우리는 정신적인 소모전이 시작됩니다.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여러 경우의 수, 즉, 거래 전략을 만들었음에도 매수를 시작한 다음부터 가격의 변동에 의한 정신적인 소모전은 시작됩니다.
이러한 정신적인 소모전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연적으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한번의 거래로 매수를 마무리하는 것은 정신적인 소모전에서 쉽게 패배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선물 거래에서 단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정식적인 소모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돌파 매매를 가능하면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제의 차트를 보면, 몇 개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었습니다.
이러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해도 대부분 늦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변동을 보이면 기본적인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거래를 진행하면서 정신적인 소모전이 시작되어 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신의 욕심에 의한 불안감에서 비록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갈등적인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연습이 필요하게 되는 겁니다.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여러 방식을 활용하게 됩니다.
어떠한 방식을 활용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에게 맞는 방식이 최고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기본적인 지지와 저항 여부는 1D 차트에서 최소 1일-3일 정도 확인하면 어느 정도 윤곽이 나타납니다.
이 기간을 지나면서 추세를 나타나게 되면 단기적으로 급격한 움직임을 보이는 코인(토큰)에 해당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약 7일-10일 정도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 1일-3일 동안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고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빠른 거래를 진행하게 되어 정식적인 소모전를 겪게 됩니다.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얼마나 많은 거래를 하였으냐에 따라 본인에게 노하우가 생기는 것일 뿐 입니다.
또한, 지지와 저항 여부가 자신이 생각한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었을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가 미리 생각되어져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트레이딩을 도박이라 얘기하는 이유가 이러한 방법을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상승과 하락 중 50% 확률 게임이라 말하는 사람들이 있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차트에 대한 공부와 많은 거래를 통해 습득되어지는 거래 전략으로 가격의 변동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만들게 되면서 이러한 생각은 점차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본인의 의지대로 많은 거래를 함으로서 얻게 되는 노하우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드리고 있느냐, 또한, 자신의 실수를 고쳐가고 있느냐가 결국 거래의 승패를 결정짓게 될 것 입니다.
-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만들 수 있느냐,
- 비록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이 잘못 선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믿고 대응 방안을 찾아 낼 수 있느냐,
위의 내용을 만족시키기 위한 차트 공부가 이루어져야 겠습니다.
차트에 대한 용어, 패턴, 추세은 거래를 진행하는데 있어 거래 전략을 수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뿐 입니다.
결국 모든 것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의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시작되어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분할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예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 투자기간
- 투자규모
-거래방식(trading method) 및 수익실현방식
위의 조건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면서 거래전략 중 거래방식(trading method) 및 수익실현방식에 따라 가격의 변동에 따라 대응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보통 분할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장기 보유는 장기 보유에 따른 기간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장기 보유에 따른 수익은 결국 실제 수익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기 보유하는 동안 다른 코인(토큰)을 거래함으로서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기대 수익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가격의 급격한 변동성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장기 보유에 따르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BTC를 29K 이하에서 매수하였다면, 현재 가격 움직임은 큰 부담감을 느끼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BTC의 가격 변동에 따른 알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을 보면,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수익을 지켜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게 되므로 분할 거래를 진행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이 시작된 11월 2일경부터 현재까지의 BTC 가격 변동성에 따른 알트코인의 움직임을 보면 마치 한번 크게 하락할 것만 것은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만일 BTC 29K 이하에서 평균 매수 단가가 형성되어 있으나, 차트 분석에 따른 거래 전략을 아직 만드는데 익숙하지 않다면, -10% ~ +10% 이상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분할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 +10% 이상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1D 차트의 한개의 캔들의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서, 최근 10월 23일에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10% ~ +10%의 변동성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서는 그날의 캔들이 마감(close)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그날의 캔들이 마감(close)되기 바로 전에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10월 23일 이후에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분할 매도하였다면, 현재 후회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할 매도하여 얻게된 현금으로 새롭게 기회를 잡을 수도 있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10% 이상 하락하였을 때, 추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더 높게 상승하여서 -10% 이상 하락하더라도 분할 매도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서 매수하게 된다면 이는 결국 손해를 보게 된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거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큰 수익을 얻는 것이지만, 그보다 자신의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수익실현방식입니다.
기존의 주식 시장 거래 방식으로는 할 수 없는 방식을 코인 시장에서는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코인(토큰)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분할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장기 보유에 따른 분할 거래는 수익금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분할 매도시 매수 단가에 해당되는 매수 원금(+거래수수료 x 2 포함)만큼 매도함으로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평균 단가는 별 의미가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거래를 지속하게 되면, 매수 원금은 모두 회수하게 되고 결국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만 남겨됩니다.
따라서, 매수 원금을 모두 회수한 상태가 되면, 남아 있는 코인(토큰)의 평균 매수 단가는 0이 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다시 거래를 진행한다하더라도 평균 매수 단가가 매수한 가격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매수에 따르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킬 있게 됩니다.
이러한 거래에 대한 효과는 장기적인 관점에 투자를 진행할 때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추가 매수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방식, 즉, -10% ~ +10% 이상 변동성를 보일 때 분할 거래하는 방식은 차트 분석이나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익숙하지 않는 분들이 사용하면 좋은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판단할 수 있는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 1일~3일 정도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하므로 지루하고 힘든 작업에 해당됩니다.)
1. 1D 차트의 5EMA를 기준으로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D 차트의 5EMA는 예전부터 급등선이라고 불려왔습니다.
따라서, 돌파 매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5EMA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이 급등하여 5EMA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5EMA선을 터치하고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분할 매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1번의 구간에서 분할 매수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매수시 매수 비중을 얼마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됩니다.
5EMA 부근에서 매수할 때는 현재 보유 금액의 3분의 1 ~ 4분의 1 정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유 코인(토큰) 개수 비율로 매수하게 되면, 평균 매수 단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므로 현재 보유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그 이상 매수하게 되면, 보여지는 평균 매수 단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1D 차트의 MS-Signal 지표(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26EMA)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추가 매수할 구간은 MS-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가능합니다.
이때는 보유 금액의 50% ~ 100% 로 매수가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3. HA-Low,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분할 거래가 가능합니다.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게 되면, 기본적으로 HA-High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 매수하는 시기에 적합합니다.
다만,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게 되면, 이전 최신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또한, 추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하지마, HA-High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HA-Low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이전 최신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또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다만,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바닥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격의 전체적인 위치에 따라 더 좋은 기회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
차트 분석보다 이러한 사소한(?) 거래 전략에 대해서 고민하고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만들어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러한 거래 전략은 반드시 차트 분석을 잘해야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사소한(?) 부분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에 사용되는 시간보다 거래 전략을 만드는 시간을 더 늘려야 합니다.
거래 전략은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큰 그림에서의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큰 그림에서의 거래 전략 범위 내에서 세밀한 거래 전략을 만들어 거래를 진행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면서 거래를 진행해야 거래에 실패하더라도 다음 거래를 진행하는데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됩니다.
차트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노하우를 갖는 것 입니다.
그 이상으로 차트 분석을 한다는 것은 거래가 목적이 아니라 분석가가 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차트 분석 기법을 공부하기 보다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이 투자가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교육] 추세선/채널이론의 정석🔋🔋🔋🔋🔋🔋🔋🔋🔋🔋🔋🔋🔋🔋🔋🔋🔋🔋🔋🔋🔋🔋🔋🔋🔋🔋🔋🔋🔋🔋🔋🔋🔋🔋🔋🔋🔋
🥇 안녕하세요 김재생입니다
=================================
📌 결론 선요약
- 추세선 = 채널은 같은 개념을 지닌다고 보아도 좋다 (지지/저항과는 다른 개념)
- 추세선과 채널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오래 된 추세선과 채널일 수록 강하다
2. 돌파 시도를 할 수록 약해진다 (추세선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적 호가)
3. 추세선이 뚫리면 "S/R Flip"이 발생하고, 채널이 뚫리면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S/R Flip : 지지(Support)는 뚫리면 저항(Resist)이되고, 저항은 뚫리면 지지가 된다)
📌 추세선의 정석
- 추세선은 차트의 추세가 바뀐 뒤에 발생한다
- 두 개의 (저점 혹은 고점)이 발생한 뒤에야 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다
- 반대점이 명확하지 않다면 추세선을 긋지 않는게 좋다
- 추세선이 돌파 되었다면 "S/R Flip"이 발생해 지지는 저항으로, 저항은 지지로 바뀐다
- 추세선은 차트가 수렴과 발산의 연속임을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이론이다
📌 채널의 정석
- 채널 또한 차트의 추세가 바뀐 뒤에 발생한다
- (*아래 예시)트레이딩뷰의 기본 그리기 도구인 패러렐 채널을 클릭하여 저점 두개와 그 사이의 고점(반대점) 한개를 찍어 채널을 그린다
- 채널이 돌파 되었다면 "S/R Flip"과 동시에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 채널은 이론상 무한히 확장 가능하나, 재생식 매매의 특성상 1회로 제한하여 확장하여 사용한다
📌 채널작도의 예시
- 추세의 전환이 일어났다면 (저점을 올리는 쌍바닥 or 고점을 내리는 쌍천장) 그 부분들을 이어 채널을 작도할 수 있다
- 사진의 "트레이딩 뷰 기본 그리기 도구인 패러렐 채널"을 이용하여 작도한다
- 위 사진의 1,2,3번을 순서대로 클릭하면 되며, 컨트롤을 누른 채 클릭하면 보다 정확한 작도가 가능하다
- 채널을 작도했다면 채널은 각각 상단/중단/하단의 지지와 저항을 가진다
- 체감상 (추세선과 동일한)하단선이 5, 상단선이 3, 중단선이 2 정도 되는 강도를 가진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개인적인 생각이니 무시하고 넘어가도 좋다
- 위 사진의 1번 항목과 같이 채널상단에 부딛힐 때 다른 근거가 있다면 숏 포지션을 오픈하는 관점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위 사진처럼 채널이 돌파되었다면 "S/R Flip"이 일어남과 동시에 Ctrl+C -> Ctrl+V 를 눌러 똑같은 크기의 채널을 "채널의 확장"하여 그려넣는다
- 확장된 채널 또한 기존 채널과 같이 상단/중단/하단의 지지 저항을 갖는다
- 위 사진의 1번과 같이 "확장된 채널"의 상단 저항(Resist)를 맞고 내려온 모습
- 처음으로 확장된 채널의 맨 끝 부분선의 지지/저항은 첫 도전시에 강한 모습을 보인다
- 위 사진과 같이 상단의 저항을 맞고 내려온다면, 각각 아래쪽에 존재하는 모든 상단/중단/하단 선들은 지지(Support)로 작동한다.
다른 관점이나 근거가 겹친다면 적극적으로 포지션 진입을 권장한다
- 위 사진의 맨 아래쪽 파란색의 채널하단선은 "추세선"과 같은 선이므로 가장 큰 지지를 가진다
- "추세선"과 개념이 같은 맨 아래 파란선(채널 하단선)은 위 사진과 같이 강한 지지로 작동한다
- 해당 채널 하단에 도전 할 때 마다 포지션 진입이 가능하지만, 지지/저항/추세/채널은 모두 저런식으로 계속해서 도전할 때 마다 지지/저항이 기하급수적으로 약해진다
- 이유는 추세와 채널은 시장참여자들이 심리적인 호가로 유지되는 추세선들이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의 존재가 옅어질 때 마다 추세선 또한 같이 약해진다
📌 지지/저항/추세/채널의 작도를 할 수 있다 = 돈을 벌 수 있다는 아니다
- 차트는 관점의 중첩이기 때문에 지지/저항/추세/채널 모두 내 관점해 더 해 사용할 수 있다
- 이러한 트레이딩 스킬들을 사용할 때, 동작 원리를 이해해야지만 올바른 사용이 가능하다
📌 결론 선요약
- 추세선 = 채널은 같은 개념을 지닌다고 보아도 좋다 (지지/저항과는 다른 개념)
- 추세선과 채널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오래 된 추세선과 채널일 수록 강하다
2. 돌파 시도를 할 수록 약해진다 (추세선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적 호가)
3. 추세선이 뚫리면 "S/R Flip"이 발생하고, 채널이 뚫리면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S/R Flip : 지지(Support)는 뚫리면 저항(Resist)이되고, 저항은 뚫리면 지지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