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 공부 마무리와 활용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SPX500USD 차트)
(NAS100USD 차트)
(USDT 차트)
(USDC 차트)
(BTC.D 차트)
(USDT.D 차트)
(BTC1! 차트)
(BTM1! 차트)
(BTCUSD 차트)
(BTCUSDT 차트)
(BTCKRW 1D 차트)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하여도 막상 위에 열거한 차트나 기타 다른 차트를 보고 배운 내용을 적용시켜 생각하기란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어느 차트 분석 공부를 하여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을 먼저 인정하여야 차트 공부를 지속할 수 있으며, 결국 차트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게 될 것 입니다.
이전의 영상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코인 시장은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나와 있는 어떠한 책이든 교육 자료든 간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책이나 교육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관계 입니다.
(절대로 패턴이나 캔들 구조에 대해서 외울려고 하지 마세요.)
제가 말씀드린 날부터 캔들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였다면 약 3분의 2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공부가 진행되었을 거라 생각됩니다.
아무리 읽고 시청해도 모르겠다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일단 공부를 시작하였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말씀드릴 여러 지표, 지지와 저항, 추세선 등을 공부하면서 캔들의 공부 내용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 지원하는 각종 캔들)
캔들 공부를 하고 난 다음 각종 캔들에 눈이 가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있는 각종 캔들 중 제가 활용하고 있는 것은 하이킨 아시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도 나중에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코인 차트에서 캔들의 모양, 변화를 그나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W, 1M 차트입니다.
이 변화는 차트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캔들에 대한 공부는 3번 정도 보는 것을 것을 추천합니다.
연속해서 보든 시간을 두고 보든 상관은 없지만, 공부한 내용이 머리 속에 남아 있을 때 다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변화가 보일 때, 다른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여러분의 공부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X-indicator
헤드앤숄더 역헤드앤숄더 보는방법.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늘은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엔숄더 보는 법을 가져왔는데요.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엔숄더란>
주가가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하는 걸 헤드앤숄더라고 말하며
세 개의 저점을 형성하면 역헤드엔 숄더라고 합니다.
헤드앤숄더의 경우 목선을 하향 이탈하면 상승에서 하락으로 추세 전환을 의미하며
역헤드앤숄더의 경우 목선을 상향 이탕하면 하락에서 상승추세로 전환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앤숄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헤드앤숄더
헤드앤숄더는 상승추세가 하락 추세로 전환될 때 자주 등장하는 패턴으로
왼쪽 어깨, 머리, 오른쪽 어깨 각 3개의 고점을 형성한 뒤
넥라인을 하향 이탈하면 패턴이 완성되며
상승 5파동, 채널, 웻지 등의 끝에서 많이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 왼쪽 어깨의 고점과 머리의 고점 사이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생기고
머리에서의 거래량이 좌측 어깨에서의 거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어져야 합니다.
2. 역헤드앤숄더
역헤드앤숄더는 하락추세가 상승추세로 전환될 때 자주 등장하는 패턴으로
왼쪽 어깨, 머리, 오른쪽 어깨 각 3개의 저점을 형성한 뒤
넥라인을 상방 돌파하면 패턴이 완성되며
하락 5파동, 채널, 웻지 등의 끝에서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 좌측 어깨의 고점과 머리의 고점 사이에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기고
머리에서의 거래량이 좌측 어깨에서의 거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져야 합니다.
똥폭탄을 피해라~ 참쉽다잉 2 버젼으로 똥폭탄이 나왔습니다.
아이콘 뜻
똥 : 숏강도 겁나쎔
모래시계 : 숏강도 중간쎔
시계 : 숏강도 조금 쎔~
하지만 애네들이 나와도 무시해야할 곳은
피보나치 채널에서 하단 LV에 나왔다면 피하세요 !
자 그럼 반대로
불 : 롱강도 조금 쎔
번개 : 롱강도 중간쎔
폭턴뻥 : 롱강도 엄청쎔
피보나치 채널 상단에서 아이콘이 나온다면 무시합시다~
피보나치 채널로 현재 차트가 어디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1시간봉 기준으로 쓰라고 하지만 오버슈팅이 나올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피보나치 4시간봉과 일봉도 같이 체크하세요!!!
그럼 크로스로 겹치는 레벨3 부분들이 있는데 보통 그곳까지 같이 체크해서 보시면 좋습니다
또 오더블락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핑크색은 저항 하늘색은 지지 오더블락이에요
초록색과 빨강색 오더박스 역시 신규로 생기는곳에 나옵니다.
위에 겹치면 더 좋은 자리가 되며 돌파하면 브레이크 표시가 뜨며
저항이나 지지를 확인하러 오는 리테스트 자리에서는 리테스가 뜹니다.
복숭아 TP 숏익절 알람
바나나 TP 롱익절 알람
HH 신고점 하락할수 있습니다.
LL 신저점 반등갈수 있습니다.
다른 시그널들과 함께 뜨고 피보나치 채널 상단이나 하단 LV2에서 뜬다면 아주 좋은 자리가 됩니다.
USDT의 새로운 변화 감지 (영상 :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 만들기)
---------------------------------
비트코인 (BTC) - 4월 3일
USDT의 새로운 변화 감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영상 설명)
1. 자신의 투자 스타일 찾기
2.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찾기 위한 기본적인 차트 분석 공부
3.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기
- 투자 기간
- 투자 규모
- 거래방식 및 수익실현방식
----------------------------------------------
(USDT 차트)
1D 차트를 보면, 1D 차트의 High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됨으로서 새로운 추세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1D 차트의 HA-High지표 이상에서 USDT가 유지되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1D 차트의 HA-High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USDT는 81.839B-82.467B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
'Strength' 보조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Stochastic, RSI 지표가 하락표시(Stoch > RSI)로 전환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USDT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전 데이터를 보면,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나 하락하게 되면, USDT가 급격한 하락을 기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USDC 차트)
(1D 차트)
26.129B-27.456B 구간은 중요한 분기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 전환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코인 시장의 투자 상품에 심각한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코인 시장을 움직이는 자금은 USDT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으므로 USDT을 통해 자금이 유출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가격 방어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C을 통한 자금 유출은 코인 시장과 주식 시장의 디커플링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식 시장의 지표를 활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
(BTC.D 차트)
1M 차트를 보면, 상승 추세선이 새롭게 생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생성된 상승 추세선 이하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6.78-61.73 부근을 향해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BTC가 코인 시장을 주도하는 장세로서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BTC의 가격 변동은 코인 시장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 입니다.
다만, BTC 도미넌스가 상승한다고 해서 BTC 가격이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단지 자금의 흐름이 BTC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 입니다.
-----------------------------------------------------------------------
(USDT.D 차트)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추세는 USDT 도미넌스의 움직임으로 알 수 있습니다.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USDT 도미넌스로 코인 시장, 즉, BTC나 기타 코인(토큰)에 대한 추세를 확인하려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 또한, 자금의 흐름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코인 시장에 유입된 자금의 흐름으로 인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USDT 도미넌스가 6.21-8.25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면, 현재 BTC가 보이고 있는 횡보(sideways)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USDT가 8.25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가 급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USDT 도미넌스가 6.85-7.27 구간이나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자신의 투자스타일에 맞는 분석글을 보자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차트)
1M 차트에 생성된 하락 채널 내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W 차트의 상승 채널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26574.53-28923.63 구간으로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M 차트에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인 23141.57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가격이 하락하든 상승하든 중요한 것은 자신의 투자 스타일, 투자 기간에 맞게 거래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자신의 투자 스타일, 투자 시간이 단타(day trading)에 해당되는데 단기 및 중장기 이상의 흐름을 가지고 거래 전략을 만든다는 것은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중장기 및 장기적으로 거래하는데, 현재의 흐름, 즉, 단타(day trading)에 해당되는 흐름을 가지고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 또한,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됩니다.
그러므로, 수많은 분석글에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 투자 기간에 해당되는 글을 확인하고 자신의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참고하여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퍼블리쉬한 분석글은 그 사람만의 생각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아무리 분석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적어 두어도 실제 가격 변동성에 맞는 대응 방법을 실시간으로 간파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분석글에서 찾고자 하는 것은 사실 찾을 수가 없습니다.
단지 그 분석글을 올린 사람의 분석 근거가 어떻게 되는지 정도 확인할 수 있을 뿐 입니다.
이마저도 분석 근거를 설명하지 않는 글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그러한 글들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거의 존재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분석에 사용된 이유나 근거는 여러분의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길잡이가 될 수 있습니다.
차트 분석이 완벽하다 하여도 막상 거래 전략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면 결국 거래를 진행시킬 수 없습니다.
그만큼 분석보다 거래 전략을 만들기가 더 어렵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보통 거래 전략보다 차트 분석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최저점에서 매수하거나 최고점에서 매도하기 위해서,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서, 손실을 최소하 하기 위해서 등등 거래에 실패한 원인이 차트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차트 분석은 단지 차트의 추세나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줄 뿐입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더라도 거래하려는 시점에 따른 거래 전략이 제대로 만들어져 있다면, 최소한의 손실과 초대한의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거래 전략이란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방식 및 수익실현방식
위의 1-3번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것 입니다.
실제 거래를 진행하게 되는 부분은 3번 부분에 해당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1, 2번이 정확하게 결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1. 투자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최우선적으로 결정되어져야 합니다.
투자 기간은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일 현재의 가격 변동에 따라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해지거나 가격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실제 거래 방식을 계속해 변경하신다면 그 분은 거래 전략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아직 찾기 못하신 분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많은 자금을 투자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것은 도박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찾거나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을 때까지 적인 자금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차트 분석에 자신이 없어 다른 사람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거래 전략을 만들어 거래하는 것은 그래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차트 분석에서 얻은 정보, 즉,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변동성 기간이나 변동폭 등을 가지고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실시간 가격 변동에 따라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저의 차트에는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내용이 많습니다.
이 내용들은 모든 투자 기간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제가 굳이 글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언급하는 부분은 그만큼 다른 지점이나 구간에 비해 더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BTCKRW 차트)
1M 차트에 생성된 하락 추세선 이상, 즉, 40674000 부근으로 상승하여야 하락 채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대로 하락하게 되면, 31024000-3204200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W 차트를 보면, MS-Signal지표의 하단 부근에 가격이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빠르게 3553900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27317000 부근을 향하여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1M, 1W 차트는 대략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큰 그림에 해당되는 차트입니다.
따라서, 1D 차트에서 보여주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함으로서 실제 거래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3482000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지와 저항의 확인은 최소 1일-3일 정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최소 6월6일-8일까지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거래의 승패는 자신의 심리 상태에 달려 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2.034-105.873 구간은 변동성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느냐에 따라 투자 시장의 움직임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02.034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투자 시장은 활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105.873 이상 상승하게 되면, 투자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DXY는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저의 생각은 아직 방향성을 알 수 없다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투자, 거래는 자신의 심리 상태에 따라 투자나 거래를 하기 전부터 실패는 결정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초조한 마음, 흥분된 마음 등을 가지고 투자, 거래를 진행하는 순간 더욱 더 심리적 갈등에 시달리게 되므로서 결국 큰 수익을 얻지 못하거나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재 자신의 마음이 초조, 불안, 흥분 등의 상태에 있다면, 거래를 멈추고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
(SPX500USD 차트)
1D 차트를 보면, 저항 구간인 4255.2-4310.8 구간으로 상승한 모습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를 보면,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4419.8 지점에 길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4310.8-4588.6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어떻게 하라는 거야?" 라고 반문하실 수 있습니다.
그 해답은 여러분 자신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DXY 차트에 대한 설명에 말씀드렸듯이 여러분 자신은 이미 결론을 내린 상태입니다.
다만, 그 결정에 따라 현재 거래를 진행할 것인가, 아니면, 기다릴 것인가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일 뿐 입니다.
왜? 4255.2-4310.8 구간을 저항 구간이라 적어두었을까를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저항 구간이라 말씀드린 가장 큰 이유는 이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급등을 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이전 고점, 2022년 8월에 이 구간을 터치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지지 받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매수를 진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1D 차트)
(1W 차트)
(1M 차트)
그러므로, 차트를 볼때는 1D 차트부터 1M 차트 순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1M 차트부터 보고, 1W 차트, 1D 차트 순으로 봐야 합니다.
그래야 차트의 전체적인 그림을 마음 속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작은 파동에 자신의 심리가 흔들리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만들어 주게 될 것 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그렇게 하지 않고, 자신이 거래하는 타임 프레임 차트를 먼저 보게 됨으로서 거래 전략을 만들기 전부터 작은 파동에 의해 자신의 심리적 상태가 동요되어 있게 됨으로서 엉뚱한 방향을 거래 전략을 만들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그러니, 자신의 투자 스타일, 즉, 투자 기간과 상관없이 작은 파동에 동요되어 있어 중장기 및 장기 투자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등하게 되는 것 입니다.
단타(day tradng)나 단기 거래와 같은 경우는 굳이 큰 추세를 볼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단타(day trading)나 단기 거래를 진행할 생각인데 큰 추세를 보고 거래 전략을 만들게 되면, 손절해야 할 시기에 손절하지 못하거나 분할 매도할 시기에 매도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단타(day trading)나 단기 거래를 진행할 때, 치명적인 실수를 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투자 스타일, 즉, 투자 기간에 맞는 타임 프레임 차트를 기준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NAS100US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14710.6-15090.3 구간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간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를 보면, 왜 14710.6-15090.3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지 아실 겁니다.
이렇게 중요한 구간이라고 말씀드리는 부근에 접근하게 되면, 거래하려고 대기하고 있는 분은 상당히 흥분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이 중요한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해야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들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요한 구간, 즉, 지지와 저항 구간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하기도 전에 매수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지지를 받는지 저항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지루하고 심리적인 동요가 하루에도 수백번 일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자신의 심리적 부담감은 엄청나게 증가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부담감 증가는 상승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게 만들게 되어 큰 수익을 얻지 못하거나 손실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지지와 저항 구간을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구간에 진입하여 지지를 받는지 저항을 받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좀 더 높은 가격에 매수를 하더라도 자신의 심리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큰 상승을 보일 때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HA-Low, HA-High지표 활용 방법 마무리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 차트)
HA-Low, HA-High지표는 쌍을 이루는 지표입니다.
HA-Low지표에서 지지 받게 되면, 매수 시점에 해당되고, HA-High지표 부근으로 상승하게 되면 매도 시점에 해당됩니다.
이것이 지표 설계의 기본 원칙입니다.
HA-Low, HA-High지표는 거래하기 위해서 만든 지표이므로 이 지표에서 지지받는지 저항받는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기본 설계 이외에 각각의 지표, 즉, HA-Low, HA-High지표에서 지지받게 되면 매수 시점에 해당되고, 저항받게 되면 매도 시점에 해당됩니다.
기본 설계 방식은 그나마 심리적인 부담감이 적기 때문에 거래를 진행하기 보다 수월합니다.
HA-High지표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고 매수하려 할 때, 최근 고점 부근에 해당되는 지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실 심리적인 부담감을 안게 됩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거래하기에는 기본 설계 방식대로 HA-Low지표 부근에서 지지받을 때 매수하고, HA-High지표 부근으로 상승하였을 때 매도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HA-Low, HA-High지표는 각각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 모두 존재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투자 기간에 맞게 해당되는 타임 프레임 차트를 보고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HA-Low, HA-High지표의 수평선 길이에 따라 현재 상승 추세에 있는지 하락 추세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HA-Low지표의 수평선이 HA-High지표 수평선 보다 더 길다면(HA-Low > HA-High) 상승 추세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인 경우 (HA-Low < HA-High )에는 하락 추세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M 차트를 보면 전체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와 다르게 1W 차트를 보면, 전제척으로 상승 추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W 차트에서 상승 추세에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현재로서 중요한 것은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하락하여 HA-Low지표보다 수평선 길이가 짧아지는지가 중요한 관건이 됩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격적인 매수 시점은 1M 차트의 HA-High지표가 하락하여 생성되고 그 생성된 지점에서 지지받는 모습을 보일 때라 할 수 있습니다.
1D 차트의 HA-Low, HA-High지표의 관계를 보면, 하락 HA-High지표의 수평선이 HA-Low지표의 수평선(HA-Low < HA-High)보다 더 길기 때문에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D 차트의 HA-High지표가 이동되어 생성되어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않고 현재 1D 차트의 HA-High지표 지점인 30215.26 이상 상승한다 하여도 결국 한번 크게 위아래 흔들어서 HA-High지표가 이동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반드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상승 추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움직임에 해당됩니다.
이로써 몇 개월에 결쳐 말씀드렸던 HA-Low, HA-High지표를 활용하여 거래하는 방식에 대해서 마무리 짓게 되었습니다.
어느 지표를 활용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오랜 기간 움직임을 확인하였느냐에 따라 지표에 대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지표를 활용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던 그 지표의 핵심적인 해석 방법에 맞게 오랜 기간 확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Market Cap 차트 : 자금의 움직임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차트)
(USDC 차트)
USDT 차트를 보면, 이전 고점에 해당되는 82.467B 이상 상승하면서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USDC 차트를 보면,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자금을 코인 시장에서 유출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DT를 개인 투자자로 해석하는 이유는 USDT는 전세계 거래소에서 거래쌍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이 쉽게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USDT의 주된 세력은 중국계 자금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C은 아직 전세계 거래소에서 거래쌍은 지원하는데 제한이 있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따라서, 이 USDC을 통해 자금을 이동시키는 세력은 미국계 자금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코인 시장의 주도권은 중국계 자본에서 미국계 자본으로 이동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코인 시장을 투명한 투자 시장으로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자본 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점차 변동폭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D 차트)
BTC 도미넌스 차트를 보면, 47.64-48.80 구간과 56.78-61.73 구간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48.80 이상 상승하게 되면, 56.78-61.73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경제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것은 USDT, USDC에서 설명드린대로 미국계 자본이 코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변수는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지속적으로 코인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금 유입은 어느 시점에 폭발적인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상승세는 BTC 가격의 상승을 주도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BTC 도미넌스는 상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BTC 도미넌스는 56.78-61.73 부근으로 상승할 것이다 라는 전제하에 흐름을 관찰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으로 BTC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하락할 것이다 라는 것은 사실 알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BTC 도미넌스는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금의 집중 현상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알트코인쪽에서 자금이 많이 이탈된다면 BTC 도미넌스는 상승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TC 도미넌스가 상승한다고 BTC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라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USDT 차트)
코인 마켓 캡(Coin Market Cap) 차트를 이해하는데 가장 처음으로 접해야 하는 차트는 USDT 차트라 생각합니다.
USDT는 스테이블코인 중에 가장 높은 시가 총액을 가지고 있고, 전세계 거래소에서 거래쌍을 지원하는 중요한 스테이블코인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SDT 도미넌스의 변화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USDT 도미넌스가 상승 캔들인지 하락 캔들인지에 따라 거래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알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BTC 가격 차트에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BTC 가격의 변동에 대한 해석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USDT 도미넌스가 7.86-8.25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코인 시장은 급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만큼 현재 구간이 중요한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발산-수렴-돌파 포착으로 돌파전략 설계하기발산, 수렴, 돌파의 패턴은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발산,수렴, 돌파로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하여 투자 전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분은 투자 아이디어를 실전 전략으로 구체화하는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
발산의 개념
발산은 이전의 상태에서 벗어나 급격하게 변동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시장에서 발산 현상은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이는 시장에서 큰 변동성과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은 투자자들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지만, 그만큼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발산 현상에 대한 신중한 분석과 투자 전략의 수립이 필요합니다.
-
수렴의 개념
수렴은 일시적으로 시장이 안정화되고 가격 변동폭이 줄어드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가격이 일정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안정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 폭이 줄어들고, 시장에서 일시적인 안정을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 후에 발산 또는 돌파로 다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발산-수렴 단계는 매우 빠르게 지나가서 비정형적이라고 보여질 수 있겠지만,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다양한 형태로 정형화하여 수익으로 이어가는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
-
돌파의 개념
돌파는 시장에서 가격이 이전의 저항선이나 지지선을 돌파하여 새로운 가격대를 형성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돌파는 가격이 이전의 최고점이나 최저점을 돌파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이는 시장에서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이 한층 더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돌파는 주로 강력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로 여겨집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매수 또는 매도 기회를 포착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이전의 최고점을 돌파하는 경우에는 상승 추세가 계속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트렌드를 파악하고 돌파 신호를 확인하는 것은 가격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돌파는 급격한 변동성이 따르는 경우가 많고 빠르게 지나갑니다.
사전에 대응 전략을 계획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발산-수렴-돌파
이렇듯 시장의 발산,수렴, 돌파는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발산은 가격의 급격한 상승 또는 하락을 동반하기도하고 투자자들은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렴은 일시적인 안정을 나타내며, 가격 변동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안정적으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돌파는 새로운 가격대를 형성하여 투자자들에게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지난번 알아보았던 MACD 활용실전전략과 쓸만한 전략을 만드는 노하우 를 살려 발산-수렴 돌파 전략을 구성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경험칙에 기반해 투자에 유리한 패턴을 포착하고 매매하는 전략의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발산 포착
주어진 거래량과 가격 변동률에 기반하여 발산 포착을 수행합니다.
우리는 발산단계에서 찾아오는 기회의 씨앗을 아래의 단계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거래량 증가와 캔들의 변동률을 기준으로 발산을 포착합니다.
현재 봉의 거래량과 직전 n개의 봉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거래량이 증가했는지 확인합니다.
동시에 현재 봉의 변동률을 계산하고, 설정한 발산 규모(발산 캔들의 변동률 %)보다 큰지 확인합니다.
만약 거래량이 증가하고 변동률이 발산 규모를 초과한다면, 발산(Divergence) 상태로 판단합니다.
-
2-1. 수렴-대기
발산 포착 후에는 대기 상태로 전환됩니다.
직전 발산 상태이며 이전 방향과 현재 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연속적인 대기 상태로 유지됩니다.
* 일반적으로 발산이후 수렴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속적인 발산이 이어지거나 저항구간에 걸리거나 발산단계에서 윗꼬리를 그리면서 즉시 변곡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략을 구성할때 '수렴-대기' 상태를 단계를 정의했습니다.
수렴 대기상태는 아래처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직전 봉이 발산상태이고, 이전 방향과 현재 방향이 달라야 대기(Wait) 상태로 판단합니다.
즉, 연속적인 발산 상태와의 구분을 위해 이전과 현재 방향이 달라야 합니다.
-
2-2. 수렴 포착
직전 대기 상태이며, 직전과 현재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수렴 지정으로 전환됩니다.
이때 수렴 포착한 봉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저장합니다.
*상단(고가)과 하단(저가)의 위치를 기억하는 이유는 돌파 및 손절 기준에 참고하기 위해서 입니다.
수렴상태의 조건은 아래처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대기(Wait) 상태이고, 직전 봉과 현재 봉의 방향이 같다면 수렴 상태로 판단합니다.
수렴 상태에서는 다음 발산, 혹은 돌파를 기다리는 단계로 진입합니다.
이 때, 수렴을 표시하고 상단과 하단의 수렴 위치를 기록합니다.
-
3. 돌파
수렴단계에서 설정한 상/하단의 기준을 돌파하면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수렴봉의 상하단은 이전 저항대에 형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돌파 단계에서 실행될 주문은 다음과 같이 설계해볼 수 있습니다.
3-1. 포지션 오픈:
수렴 지정 상태에서 수렴 상단과 수렴 하단 값을 차트에 표시합니다. (시장의 추이에 따라 수렴 상단/하단의 기준점을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더 좋습니다.)
롱 포지션을 오픈하려면 현재 가격이 수렴 상단을 돌파할 때까지 대기하고, 숏 포지션을 오픈하려면 현재 가격이 수렴 하단을 돌파할 때까지 대기합니다.
즉, 상승 추세에서는 수렴 상단 돌파 시 롱 포지션을, 하락 추세에서는 수렴 하단 돌파 시 숏 포지션을 오픈합니다.
3-2. 포지션종료 - 손실방지:
개인마다 자신이 허용하는 손실방지 범위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본 전략의 경우 앞서 정의한 수렴 상/하단의 기준을 스탑로스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화 할 수 있도록 하면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서는 사용자화하여 조금 아래에 위치하도록 했습니다.)
3-3. 포지션종료 - 수익실현:
포지션을 오픈한 후에는 수익을 실현하는 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매물-저항구간에 설정하는 것이 좋지만 본과정에서는 " 실전매매에서 투자전략을 제대로 활용하는 노하우 " 에서 배운대로 전략의 유연한 활용을 위해 위한 접근으로 구성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익실현 범위를 사용자화 하고 트레일링 스탑을 지정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을 오픈한 후에는 가격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설정한 익절 및 스탑로스 가격에 도달할 경우 포지션을 종료합니다.
-
앞에서 설계한 단계를 트레이딩뷰의 파인스크립트 전략으로 실행하면
이런 식의 매매가 가능해집니다.
전략은 발산-대기-수렴-포지션 오픈-스탑로스-수익실현의 순서로 작동합니다.
-
전략검증 및 자동화 방안
이렇게 만든 전략은 트레이딩뷰의 백테스팅 기능 을 통해 다음과 같이 테스트해볼 수도 있습니다.
본 전략의 경우 비트코인을 예시로 들고 있습니다.
전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며, 더 큰 잠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면서도 최소한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입니다.
-
더 깊게 파고들고 싶다면...
시장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자신이 선호하는 몇 가지 필터를 더해서 매매에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웹훅을 이용한 자동주문방식 으로 주문을 넣는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실행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앞선 사례에서 설명한 거래량-변동폭 포착 개념에 캔들의 꼬리길이를 판독하는 과정을 더해 추세의 변곡점을 포착하거나
익,손절이나 스탑로스 와 같은 주문변동 시점이후 매매 휴식기를 적용 하는 방안도 좋을 것입니다.
마무리
우리는 시장의 발산-수렴-돌파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정형적인 움직임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나만의 전략을 구성하는 설계방안과 노하우, 그리고 응용사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더 나은 투자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다면 좋겠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시장의 움직임을 정형화 하여 실용적인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전략 연구자로 한 걸음 나아갔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흔한개발자 🤗😊😎
작성된 타임 프레임을 반드시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 차트에 대한 분석은 일주일에 한번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다만, 변동성이 발생하거나 예상 흐름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일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위 상황을 제외한 매일 업데이트로 BTC 분석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
(BTCUSD 차트)
(BTCUSDT 차트)
(BTCUSDT.P 차트)
(BTC1! 차트)
(BTM1! 차트)
(BTCKRW 차트)
위에 열거된 차트들의 흐름을 같거나 비슷합니다.
다만, 다른 것은 1M, 1W 차트의 M-Signal지표의 위치입니다.
일부는 1M, 1W 차트의 M-Signal지표가 정배열(1W > 1M)을 만들었다는 겁니다.
이러한 정배열, 역배열은 추세의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 구간에서 횡보(sideways)하거나 위아래로 강하게 흔들어댄다면, 점차 모든 차트에서 정배열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23K부근 (BTCKRW : 29639000부근)까지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락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매수 시기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유는 코인 시장으로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큰 변동성은 6월 9일경-13일경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석된 차트의 설명을 참고할 때는 그 분석가가 어느 타임 프레임을 기준으로 설명하느냐를 잘 봐야 합니다.
그것을 확인하지 않고 분석된 차트를 보면, 자신이 생각하는 흐름과 전혀 다른 글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의 글을 보면 1M, 1W, 1D, 1h 차트을 표시하였고 그에 맞는 분석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m 차트에서 작성된 분석글을 보면서 1일 이상의 분석으로 착각하여 대응을 느슨하게 한다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성된 분석글은 빠른 대응이 필요하므로 차트를 계속 보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로 분석된 글을 차트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착각하게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분석글이 작성된 타임 프레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엘리엇 파동 이론 이용방법.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랜만에 보조지표가 아닌 엘리엇 파동 이론이라는 이론을 가져왔습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 이란>
엘리엇 파동 이론은 주가는 파악 가능한 패턴에 따라 오르내린다. 라는 이론으로
근본적으로 주가 예측 도구가 아닌 시장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의 기본 구성은 아래 적어뒀습니다.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진 충격 파동과.
3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진 조정 파동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오늘은 엘리엇 파동 이론의 여러 가지 이론 중 가장 기본적인 분석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충격 파동
2. 조정 파동
3. 지그재그
4. 플랫형
1. 충격 파동
충격 파동은 3개의 상승 파동과 2개의 조정 파동이 있으며 3가지 법칙이 있습니다.
1. 2파의 시작점이 1파의 시작점을 지켜야 한다.
2. 3파는 3개의 파동 중 가장 짧으면 안 된다.
3. 4파는 1파 고점을 터치하면 안 된다.
저 규칙을 하나라도 지키지 못할 경우 해당 파동은 충격 파동으로 볼 수 없습니다.
2. 조정 파동
조정 파동은 상승추세가 진행되던 중 반대 방향의 추세가 이길 때 발생하며
기본적으로 하나의 충격 파동이 진행된 뒤 뒤따라 발생합니다.
3. 지그재그
지그재그는 5-3-5 파동으로
충격 파동 -> 조정 파동 -> 충격 파동 순서대로 이루어진 형태입니다.
주의할 점 : 충격 파동의 3법칙은 지켜야 합니다.
4. 플랫형
플랫형은 3-3-5 파동으로
조정 파동 -> 조정 파동 -> 충격 파동 순서대로 이루어진 형태입니다.
특징으로는 : 1번 파동과 3번 파동의 길이가 동일하며
1번 파동과 2번 파동의 크기가 비슷합니다.
Market Cap 차트로 보면, 코인 시장 흐름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차트)
신고가(ATH)를 갱신하여 갭을 발생시키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USDC 차트)
USDT와 반대로 USDC는 여전히 갭을 발생시키면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제한하거나 급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흐름의 대응 방안은 분할 매도할 시기를 찾는 것이 아니라, 분할 매수할 시기를 찾는 것 입니다.
이를 잘못 이해하셔서 분할 매도를 진행하시거나 100% 매도하고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려는 것은 자신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증가시키게 되어 오히려 엉뚱한 거래를 진행하여 앞으로 계속 후회하는 거래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BTC 29K 이하는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 구간에 해당됩니다.
다만, BTC가 29K 이상 상승한 다음 29K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추세 전환하는 모습을 확인하고 매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고, 하락하였을 때 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이 또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증가시키게 될 것 입니다.
거래를 진행함에 있어서 자신의 심리적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수익에만 초첨을 두고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결국 심리적인 요소로 인해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한 거래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거래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감,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TC.D 차트)
BTC 도미넌스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다 라는 것에 초첨을 두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내년의 BTC 반감기(Halving)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TC를 거래하려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어 BTC 가격의 변동과 관계없이 BTC 도미넌스는 상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56.78-61.73 부근으로 상승하면서 변동성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변동성으로 BTC 도미넌스가 하락세로 전환된다면, 코인 시장은 알트코인의 순환 펌핑 시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계속 상승하게 된다면, 70.03 부근에서 다시 변동성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차트)
5월 15일-17일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7.52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7.27-7.86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T 도미너스가 일단 6.85-7.27 구간에서 상승하였으므로, 7.86-5.25 부근에서 저항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상승하게 된다면,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BTC 가격의 변화에 따라 알트코인의 가격 파괴가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알트코인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시장에 넘쳐나는 자금, 그러나...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차트)
신고가(ATH)를 갱신하였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에 더 많은 자금이 집중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 집중 현상은 결국 코인 시장을 상승시키게 될 것 입니다.
---------------------------------------------
(USDC 차트)
다만, USDC의 자금 유출로 인해 상승세를 시작시킬 힘이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USDT는 개인투자자의 자금과 중국계 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DC는 미국계 기관투자자의 자금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코인 시장은 미국계 자본이 주도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USDC가 상승 전환되어야 코인 시장의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BTC.D 차트)
BTC 도미넌스는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하락으로 1D 차트의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수축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47.64 부근에서 지지받는지 저항받는지에 따라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을 통해 코인 시장으로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코인 시장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상승세는 앞으로 BTC의 상승세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BTC 도미넌스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알트코인은 횡보(sideways)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알트코인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면,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BTC가 43K 부근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USDT.D 차트)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든 유출되든, 유입된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든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든 현재 중요한 것은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하고 있느냐 하락하고 있느냐입니다.
USDT는 세계 모든 거래소에서 지원하고 스테이블코인입니다.
따라서, USDT 거래쌍, 마켓에서 대부분의 코인(토큰)이 거래되므로 지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USDT 도미넌스의 상승과 하락은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코인 시장에서 거래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5월 15일-17일 사이의 변동성으로 7.27-7.86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자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출발선에 위치해 있다고 보입니다.
다만, 출발선에서 출발 신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워밍업을 잘해 두어야 출발선에서 출발 신호를 기다리게 되었을 때 제대로된 출발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상승 출발은 BTC의 상승으로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주도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은 횡보(sideways)하거나 하락세를 보이게 될 것 입니다.
다만, BTC가 상승하고 횡보(sideways)할 때, 알트코인의 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상승세는 BTC를 더 많이 매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알트코인 거래시 주의해야 합니다.
BTC가 상승세를 유지하게 되면, BTC 가격이 너무 높다고 생각되어 알트코인쪽으로 자연스럽게 눈이 가게 됩니다.
이러한 심리로 인해 알트코인을 매수하게 되고 결국 손실을 보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매수한 알트코인만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알트코인의 매수를 진행하려면,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매수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알트코인을 매수하는 것은 잠정적 손실을 입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뭐, 매수하고 내년까지 보유할 수 있다면, 다르겠지만요.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USDT : 개인(세력)위주 자금, USDC : 기관투자자 위주 자금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차트)
(USDC 차트)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과 유출의 통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USDT, USDC 라 생각합니다.
그 중에 USDT는 시가 총액이 높기 때문에 코인 시장에 그만큼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USDT 차트를 보면, 이전 초고점 부근까지 상승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에는 자금이 넘쳐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USDC 차트를 보면, 많은 하락을 하였기 때문에 USDT로 유입된 자금이 정체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이게 만들고 있다는 것 입니다.
이를 다시 말씀드리자면, USDT를 통해 유입된 자금으로 코인 시장의 상승을 이끌려고 하지만, USDC를 통해 자금이 유출되면서 그 상승폭을 제한하거나 하락세를 보이게 만들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내년 BTC 반감기(Halving) 때까지 투자를 이어갈 생각이 있는 코인(토큰)을 매수해 나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단타(day trading)나 단기 거래 측면에서 거래를 진행하려고 한다면,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신규 자금의 유입은 갭을 발생시키면서 상승하는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캔들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BTC.D 차트)
BTC 도미넌스 차트를 보면, 상승 채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1M 차트는 아직 상승 채널을 만들지 못하였고,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언제든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아직 존재합니다.
다만, 46.76-46.84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머지않아 50.49 이상 상승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내년에 있는 BTC 반감기(Halving)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코인 시장에서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는 자금이 내년 BTC 반감기(Halving)라는 이벤트로 인해 BTC쪽으로 자금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BTC 도미넌스로 알 수 있는 것은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는지, 아니면,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는지 정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외의 해석은 혼란을 이르킬 수 있으므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BTC쪽으로 자금이 집중된다는 것은 코인 시장을 BTC가 주도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주도가 반드시 코인 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코인 시장의 상승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USDT.D 차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
(USDT.D 차트)
USDT 도미넌스 차트는 USDT로 유입된 자금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차트입니다.
따라서,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USDT 도미넌스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BTC나 ETH과 같은 시가 총액이 큰 코인(토큰)들이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기적으로 시가 총액이 낮은 코인(토큰)들의 펌핑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단타(day trading)나 단기 거래에 익숙하지 않다면, 거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보다 더 좋은 매수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USDT 도미넌스가 6.85-7.27 구간에서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만큼 아직 방향성을 정하지 못하였다는 얘기입니다.
1M 차트를 보면, 제대로된 추세선, 채널을 형성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1W 차트를 보면, 하락 추세선, 하락 채널에 벗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장기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아직 방향성을 찾기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방향성을 찾기 못하였을 때는 거래하지 않거나 중장기 및 장기적인 투자를 이어갈 코인(토큰)에 거래 전략에 따라 분할 매수를 진행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는 위에서 말씀드렸던 USDT 차트의 움직임때문입니다.
즉,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의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언제 상승세를 보여도 이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장기 및 장기 거래를 진행한다고 해서 매수한 단가보다 30% 이상 상승하였는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위아래로 흔들기가 나올 때 자꾸 아쉬움이 남게 되어 오히려 더 낮은 가격대에서 매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수익률이나 어떠한 기준에 따라서 일정 부분 매도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매도 전략은 더 나은 매수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전략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코인 시장의 자금 규모나 흐름 파악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의 자금 규모나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아래의 4개의 차트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금의 규모 확인 : USDT, USDC
자금의 흐름 확인 : BTC.D, USDT.D
4개의 차트를 모두 보는 것이 그나마 제한된 정보에서 자금의 규모나 흐름을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같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일 4개의 차트를 모두 보는게 힘드시다면, 자금의 흐름을 가장 잘 표시해 주고 있는 USDT.D 차트만이라도 보기를 추천합니다.
------------------------------------------
(USDT 차트)
(USDC 차트)
현재 코인 시장의 자금의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서 USDT, USDC 차트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USDT는 전세계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코인(토큰) 거래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USDT가 상승추세를 유지한다는 것은 코인 시장에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USDT, USDC 차트에서 갭이 발생하면서 상승하여야 신규 자금이 유입된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캔들의 크기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USDC는 높은 시가 총액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세계 거래소에서 거래쌍은 별로 지원하고 있지 않는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입니다.
다만, 시가 총액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USDT보다 못하지만, 코인 시장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USDC는 미국 투자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창고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의 변동에 따라 USDC의 자금이 이동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재의 USDC 차트의 흐름을 보면,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에서 유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코인 시장에서 주식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면, 비로소 USDC 차트는 추세 전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USDC의 하락세는 USDT의 상승세로 인한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제한하거나 급락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새로운 매수세를 증가시키는 기회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BTC.D 차트)
(USDT.D 차트)
BTC.D 차트와 USDT.D 차트를 함께 보는 것이 좋습니다만, 힘드시다면 USDT.D 차트만이라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BTC.D, USDT.D 차트는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자금 흐름을 보여주기 때문에 개별적인 코인(토큰)에 대한 자금 흐름은 알 수 없습니다.
코인(토큰)의 개별적인 자금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코인(토큰)의 BTC 마켓 차트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BTC는 코인 시장의 기축통화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BTC 가격 변동에 따른 코인(토큰)의 가격 변동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BTC 마켓 차트라 생각합니다.
다만, 시가 총액이 너무 낮은 코인(토큰)들은 BTC 마켓 차트나 USDT 마켓 차트가 같기 때문에 어느 것을 봐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시 BTC.D, USDT.D 차트 얘기로 돌아 와서,
코인 시장의 시가 총액 1위가 BTC 이므로 코인 시장의 대부분 자금 규모나 흐름은 BTC의 가격 변동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TC.D 차트, BTC 도미넌스 차트에서는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 알트코인쪽으로 집중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차트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BTC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는 것은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된다고 해서 BTC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이 점을 잘 못 이해하시면 오히려 엉뚱한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일 때,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USDT는 전세계 거래소에서 거래를 지원하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이기 때문입니다.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한다는 것은 거래를 통해 USDT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코인 시장에서 매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트코인을 거래하기 위한 조건으로 BTC 도미넌스 하락, USDT 도미넌스 하락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대부분의 알트코인은 큰 상승을 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BTC 도미넌스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내년에 BTC 반감기(Halving)가 있기 때문입니다.
BTC 반감기(Halving)가 다가옴에 따라 코인 시장으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BTC 가격의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된다면, 당분간 BTC쪽으로 자금이 집중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제라도 매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BTC를 매수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BTC 가격의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알트코인들은 점차 힘을 잃고 횡보(sideways)하거나 하락세를 보이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BTC 가격이 43K 부근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상승 추세선 (1) 이하로 하락하면서 6.21 부근을 터치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USDT 도미넌스의 중요한 분기점은 4.97-5.53 구간으로 이 구간 이하로 하락한다면, 코인 시장은 어느 코인(토큰)을 매수해도 다 수익이 나는 그러한 상승장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전에 5.89-6.21 구간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코인 시장이 큰 상승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5.89-6.21 구간이하로 하락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USDT.D 차트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4월 22일경입니다.
이 변동성 기간 이후에도 하락 추세선 (2) 이하에서 유지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코인 시장은 주식 시장과 다른게 많은 것이 오픈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자금의 규모나 흐름을 알 수 있다는 것은 매력적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온갖 돌아다니는 정보들에 의존하여 투자 시장, 즉, 코인 시장의 전망, 추세를 예측하기 보다 위에서 말씀드린 4개의 차트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에 돌아 다니는 정보들을 확인해 보는 것이 그나마 잘 못된 판단을 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CDBC가 활성화되면, 기존의 스테이블 코인의 영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CDBC, 즉, 법정화폐로 직접 거래가 가능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위의 4가지로 코인 시장의 자금 규모나 흐름을 알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기존 주식 시장과 같은 투자 환경이 만들어 지게 될 것이고 지금보다 더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손실을 입게 될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MACD를 이용한 시세 전환점 포착과 거짓 시그널 필터링 노하우오늘은 이동 평균선의 단점, 후행성을 보완하고자 만든 기술적 지표, MAC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시세의 전환점을 포착하여 매매에 활용하는 실전적용 방안도 소개 드리겠습니다.
추세지표의 대표주자, MACD
MACD는 추세지표의 대표주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후행성인 이동평균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만든 기술적 지표이고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이란 분이 만들었습니다.
MACD의 원리
일반적으로 장-단기 이동 평균선은 서로 수렴과 확산의 과정을 지속하게 됩니다.
"두 개의 평균선이 크게 벌어진 시점이 바로 시세의 전환점일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이용해 매매 타이밍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MACD의 기본 원리입니다.
MACD 공식
MACD는 ‘MACD’ 곡선과 ‘Signal’ 곡선이라는 두 개의 이동 평균선을 이용해 매매 시점을 파악합니다.
먼저, ‘MACD’ 곡선은 단기 이동평균에서 장기 이동평균을 뺀 값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12일(단기)과 26일(장기)이 기본값으로 사용됩니다.
9일 이동평균선은 ‘Signal’ 곡선이라고 하고 각각의 수치들은 사용자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신에 맞게 수정하셔도 됩니다.
MACD 기본 활용방법
MACD를 이용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MACD 곡선이 Signal 곡선을 상향 돌파(골든 크로스)하는 시점을 ‘매수 신호’ 로 보고,
MACD 곡선이 Signal 곡선을 하향 돌파(데드 크로스)하는 시점을 ‘매도 신호’ 로 봅니다.
진짜신호 검증하기
MACD는 다른 기술적 지표들에 비해 성공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에게 사랑받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횡보구간에서는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의 출현 빈도가 많아지고 앞에서 알려드린 신호가 너무 많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흔히 말하는 거짓신호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우리는 MACD 곡선과 Signal 곡선이 교차되는 각도, 즉 곡선의 가파른 정도로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이 곡선이 너무 완만하다면, 판단을 보류하거나 다른 분봉 또는 지표로 교차 검증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짜신호 필터링
MACD는 태생적으로 이동평균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급격한 변동성에는 취약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교차지점을 신호로 후행성 지표의 시점 차 문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거짓신호 발생이 늘어난다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매신호를 걸러낼 수 있는 각자의 수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된 노하우를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기본 규칙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MACD가 양으로 증가하면 매수한다.
MACD가 시그널을 골드크로스하면 매수한다.
MACD가 0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한다.
또 여기에 각자의 경험적인 측면에서 고려된 필터를 다음과 같이 더해볼 수 있습니다.
0선 위에서의 MACD상승은 신뢰성이 높지만 0선 밑에서의 MACD상승은 신뢰성이 낮다.
0선 위에서의 MACD하락은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자.
작은 봉 단위의 MACD에서의 거짓 신호를 피하기 위해 상위 봉의 MACD를 참조하면 신뢰성이 높아진다.
초보자는 0선 위에서 MACD가 상승하며 오실레이터가 양수일 때 수익을 내기 쉽다.
저점을 깬 장대 양봉 출현시 골드크로스 된다.
이때 바로 매수하는 것은 고점일 수 있다.
바로 진입보다는 다음 봉이나 다음 다음 봉에서 한 템포 쉬어가는 작은 캔들이 발생할 때가 있는데
전날 장대 양봉의 고점 내지 종가를 찍을 때 매수 하자.
실전전략 응용사례
하지만 매매를 하면서 이렇게 다양한 필터를 지속해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고 엄청난 집중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자신이 선호하는 몇 가지 필터를 활용해서 매매에 활용하거나 아예 전략을 자동화하는 근거로 삼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
첫번째로 시세가 하락 추세 일 때에 현재 저점에서의 히스토그램값이 점차 작아지면 곧 상승추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는 특성을 고려해서 매수 기준의 하나로 참조
두번째는 일반적으로 제로 0선 위에서의 MACD상승이 신뢰성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제가 기존에 수익 실현하는 매매기준에 신뢰성을 더하는 요소로 적용
저는 이렇게 즐겨 사용하는 필터값을 트레이딩뷰의 전략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MACD만 참조하는 것은 아니고 포착시점을 최적화 하는 목적에서 MACD를 적극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매매를 할 수 있었습니다.
전략검증 및 자동화 방안
이렇게 만든 전략은 트레이딩뷰의 백테스팅 기능을 통해 다음과 같이 테스트해볼 수도 있습니다.
또 시세의 전환점을 포착하고 웹훅을 이용한 자동주문방식 으로 주문을 넣는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실행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는 시세의 전환점을 포착하고 매매에 활용하는 실용방안과 노하우, 그리고 응용사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더 나은 투자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다면 좋겠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후행성 지표의 한계를 뛰어넘어 실용적인 통찰력을 발휘할 수 있는 투자자로 한 걸음 나아갔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흔한개발자 🤗😊😎
온체인 데이터 지표 해석(5) : BTC_SOPR 안녕하세요. 여러분 ~! 😉
드디어, 온체인 데이터 5번째 시간입니다.
오늘도 가장 기본적인 온체인 데이터 중 하나로, 글래스노드의 SOPR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
우선 차트를 찾기 위해서는 심볼에 'SOPR'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트레이딩뷰에서 글래스노드의 데이터를 더 찾아보고 싶으시다면, 심볼에 GLASSNODE: (<- 뒤에 :콜론 붙이는 걸 꼭 기억하세요.😉)
자 , 이제 준비되셨다면 SOPR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SOPR (Spent Output Profit Ratio,지출 산출 이익 비율)
SOPR은 소비된 시간의 산출물 가치를 비교하여, 온체인으로 이동한 코인의 '실현 손익의 정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전체 시장 참가자의 이익률을 평가합니다.
손익의 정도를 포착할 수 있으므로, 시장 심리의 반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어려우시다면 !! 그래도 기본적으로 지표를 읽는 법은 매우 쉽습니다. 🥰
간단히 말하면, SOPR= 현재 값/과거 값으로,
🐢첫 번째: 1을 기준으로 수치로 해석하는 방법
SOPR: 1보다 크면, 이익 중!
SOPR: 1보다 작으면, 손실 중!
SOPR: 1이면 손익분기점!
🎈 두 번째: 추세로 해석하는 방법
SOPR 추세가 높아지면 이익이 실현 중!
SOPR 추세가 낮아지면 손실이 실현 중!
( 한 줄 요약 : 1이 기준이고, 높으면 좋고 낮으면 안 좋다. )
[ 응용편 1단계 ]
일반적으로 SOPR값이 높을수록 그 날 더 많은 이익이 실현되고, 수익성을 가진 코인은 다른사람에게 이전되고 있음을 뜻하며, 높은 SOPR의 연속적인 고점은, 일반적으로 강세 가격 랠리 지속성을 가집니다.
반대로 SOPR의 추세가 낮아진다면, 강세장이라면 수익성 있는 코인을 보유한 투자자가 축적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약세장이라면, 손실이 실현되고 손실이 발생한 코인은 다른 사람에게 이전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1 아래에 머물고 있습니다. 약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시를 살펴봅시다.
이 예시를 보면 단기적으로는 SOPR 의 추세가 줄어들고 있지만, 이는 큰 상승을 기다리는 축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예시를 살펴봅니다.
가격 지표보다 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점을 먼저 달성한 이후, 하락 추세를 형성하며 1아래로 떨어집니다. 이후 1의 저항에 부딪히며 하락 추세에서 저점을 계속 낮추는 것은 약세장의 지속성을 나타냅니다. 이후 상승할 때에도 먼저 선행 신호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음 예시는 1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는 예시입니다.
1이라는 기준에 지지를 받아가면서 상승을 지속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하락 추세에 여러번 부딪히며 결국 1이라는 숫자가 깨지면서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SOPR을 이용한 아이디어를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저희 한국의 트레이딩뷰 소셜 플랫폼은, 유튜브 , 트위터 , 카카오 입니다.
감사합니다. !
팀 트레이딩뷰 ❤️
FIB + Volume + OI B.T.xabcd ; FIB cluster zone
+ Volume POC zone
+ Liq. Pump
중요 피보 레벨과, 바로 이전 볼륨 터졌던 구간, 그리고 OI의 움직임을 살펴보며 단타 고고링
지금 m3 TF (9:21am) ; -1,019,000 (이전 -500 추가...) 빠졌다가 total +.00이 됐음..
흠냐흠냐 ㄷ_ㄷ
이동평균선 정복하기 [All about Moving Averages]#기초강의 #이동평균선 #이평선 #토미교육 #차트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
제가 여태껏 올렸던 강의 자료들을 보니 차트 세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술적지표(Technical Indicators)에 대해서는 조금 빈약한 부분이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지표들 관련한 교육 자료들도 자주 업로딩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요즘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로 손꼽히며 많은 분들이 유용하게 사용하고 계시는 이동평균선 강의자료에 대해서 준비해봤습니다. 짧게는 이평선이라고도 칭하며 흔히들 5일선, 20일선, 이렇게 몇 일선이라고 말하는 걸 주변에서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동평균선이란 말 그대로 특정 기간 범위 내의 주가들을 평균한 값들로 이루어진 선입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처럼 주가가 특정 기준의 시간 단위에 따라 5, 12, 8, 15, 13, 18, 16 이렇게 순차적으로 움직였다고 가정해봅시다. 참고로 이 시간 단위 간격은 하루일 수도, 한 시간일 수도, 1분일 수도, 혹은 한 달일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동일한 기간을 기준으로 들쑥날쑥하게 변동하는 가격(Price Fluctuation)의 평균 가격을 표기함으로써 변동 모멘텀을 더 완만(Smoothing Out)하게 시각화해주는 지표가 바로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MA = (P1 + P2 + P3 + . . . + Pn) / n
여기서 n은 이동평균선의 길이를 뜻합니다. 더 높은 길이일수록 더 넓은 기간/범위의 주가들을 고려하며 더 장기적인 시장 추세를 반영합니다. 반대로 더 짧은 길이일수록 좁은 기간/범위의 주가들을 고려해 더 단기적인 사장 추세를 반영하겠죠. 예를 들어 길이가 10인 이평선은 근 10개의 주가들을 고려하고, 길이가 100인 이평선은 근 100개의 주가들을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일봉 차트의 10이평선은 근 10일 동안의 주가들로, 4시간봉 차트의 100이평선은 근 400시간 동안의 주가들로 산출되는 개념입니다.
이동평균선은 길이가 낮을수록 가격에 더 민감(Sensitive)하게 반응을 하며 높을수록 덜 민감하게 반응을 합니다. 예시로 5이평선은 100이평선에 비해 가격이 조금만 변동해도 바로 반영이 되는 게 보이겠죠. 참고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의 기본(Default) 소스 값은 종가(Closed)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캔들 꼬리는 지표 산출 공식에 반영이 안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개인적으로 요즘처럼 캔들 꼬리가 툭하면 길게 나오는 장인만큼 예전보다 큰 가중을 두고 있지 않는 편입니다.
자, 그러면 이 이동평균선이라는 지표를 가지고 어떻게 매매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지 본격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은 크게 두 가지의 용도로 활용이 됩니다.
1. Price Action: 지지/저항선 파악
2. Crossover: 배열로 장 추세 파악
일단 가장 먼저 통상적으로 주가가 이동평균선 상단에 위치해 있으면 상승세 그리고 하단에 위치해 있으면 하락세가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이 간단한 이론만 가지고 추세를 함부로 파악하려고 들면 위험합니다. 어느 지표와 마찬가지로 이평선 역시 후행적(Lagging) 성향이 강하고 추세장이 아닌 횡보장일때는 신빙성(Reliability)이 확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앞서 언급 드렸듯 종가만 가지고 계산되는 지표이기 때문에 캔들 꼬리는 다 노이즈 처리를 했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기본적으로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합니다. 주가가 이평선 아래에 있을 때는 이평선이 저항 역할을, 위에 있을 때는 이평선이 지지 역할을 해줍니다. 주가가 이평선을 상향 혹은 하향 돌파해 줄 때 어느정도 추세 전환의 여지를 둘 수 있으며, 다른 작도 기법 및 타 지표와 마찬가지로 SR Flip 이론도 적용이 됩니다. 쉽게 말해 원래 지지 역할을 해줬던 이평선이 뚫리면(상방돌파) 이후엔 저항 역할을, 저항 역할을 해줬던 이평선이 뚫리면(하방이탈) 이후엔 지지 역할을 해주는 성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도 더 높은 길이의 이평선일수록 더 강한 지지/저항세를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50이평선 보다는 200이평선에서 더 높은 확률로 지지/저항이 나올 수 있으며 더 강한 지지/저항세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일봉 로그차트입니다. 주가가 50일선을 닿을 때 지지 혹은 저항이 나오는 모습을 확인해 보실 수 있겠습니다. 또한 이평선이 뚫릴 때 비교적 추세가 어느정도 크게 나오는 경향성도 보입니다. 하지만 중간중간 횡보장일때는 지속적으로 위로 뚫리고 아래로 뚫리면서 큰 혼동을 줄 수도 있으니 추세장인지 횡보장인지 잘 판단이 서질 않을 때는 이평선에 너무 크게 맹신하지 않는 전략도 중요해 보입니다.
다음으로 우리는 여러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통해 장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느 지표와 동일하게 이평선도 낮은 길이의 기준선이 높은 길이의 기준선을, 즉 더 민감한 선이 둔감한 선을 상향돌파 할 때 골든크로스(Golden Cross)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낮은 길이의 기준선이 높은 길이의 기준선을 하향이탈할 때 데드크로스(Death Cross)라고 부릅니다. 골든 크로스는 추세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데드 크로스는 추세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변환이 될 수 있는 시그널로 해석해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이론으로 우리는 차트에 두개 이상의 각각 다른 길이들의 이동평균선들의 조합을 참고하여 장 추세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장 낮은 길이의 이평선이 맨 위에 위치하고 다음으로 긴 이평선이 그 아래, 또 그다음으로 긴 이평선이 그 아래… 가장 높은 길이의 이평선이 가장 아래에 위치해 있을 때 우리는 해당 상황을 정배열이라고 칭하며 상승 추세가 진행되는 시그널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가장 높은 길이의 이평선이 맨 위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내려갈수록 더 낮은 길이의 이평선들이 위치하여 가장 아래에 제일 낮은 길이의 이평선이 위치해 있을 때 우리는 해당 상황을 역배열이라고 칭하며 하락 추세가 진행되는 시그널로 볼 수 있습니다.
위는 비트코인 일봉 로그 차트이며 8, 14, 22, 그리고 55 이평선들을 가지고 과거 배열들과 시장 추세 간의 관계를 정리해봤습니다. 정배열은 8, 14, 22, 그리고 55 이평선이 상단에서부터 차례대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이며, 역배열은 상단에서부터 55, 22, 14, 그리고 8 이평선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평선들 간에 골든 크로스 시그널들이 지속적으로 나와 위에서부터 길이 순서대로 이평선들이 위치하게 되면 정배열이 되고 이후에 추세가 상방으로 진행이 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반대로 데드 크로스 시그널들이 지속적으로 나와 아래에서부터 길이 순서대로 이평선들이 위치하게 되면 역배열이 되고 이후 추세가 하방으로 진행이 된 모습 또한 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제각기 다양한 이평선 길이 조합들을 사용하십니다. 전 강의들에서 누누이 잔소리처럼 말씀드리지만 이 세계는 정답이 없으며 본인의, 종목의, 타임프레임의, 트레이딩 셋업 범위의, 그리고 현재 시대의 성향에 맞는 지표 조합, 이론, 기법, 혹은 설정 값들을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위에서는 8, 14, 22, 그리고 55를 사용했지만 주식, 코인, 선물, 그리고 FX 등 상품에 따라서 각기 다른 조합들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6, 11, 16, 22, 51 혹은 5, 9, 14, 21, 45와 같은 조합을 쓰시는 분들도 계시며 조금 더 장기적으로는 50, 100, 200 혹은 60, 120, 240 이평선들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댓글에 본인이 사용하는 괜찮은 배열 조합들 있으면 알려주세요~
마지막으로 조금 더 심화 내용이긴 하지만 간략하게 이평선의 종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평선을 산출하는 공식도 시대가 지날수록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정통 이동평균선은 SMA(Single Moving Average) 혹은 그냥 MA라고 하며 요즘에 많이 사용하시는 이동평균선 지표들은 EMA(Exponential MA), SMMA(Smoothed MA), WMA(Weighted MA), HMA(Hull MA), LSMA(Least Square MA), DEMA(Double Exponential MA), 그리고 TEMA(Triple Exponential MA) 등이 있습니다. 각각 이평선들이 어떤 방식으로 산출이 되며 어떠한 장단점이 있는지까지 다루려면 글이 너무 길어지니 이 부분은 다음에 시간이 있을 때 따로 자료 만들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비트코인 일봉, 50이평선) 보시면 각 이평선들의 민감도, 지지/저항 신뢰도, 추세 반영도 등 한번 쭉 보시길 바랍니다. 전 개인적으로 EMA와 WMA에를 사용한답니다~
그러면 이만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볼린저밴드 +BB%B+BBW 사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1980년대 존 볼린저가 세상에 선보인 이후, 가장 인기 있는 지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 볼린저 밴드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볼린저 밴드를 지표에서 한글로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
현재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볼린저밴드의 지표는 5가지가 있습니다.
1. 기본 : 볼린저 밴드(BB)
볼린저 밴드를 보완하며 함께 사용되는 인디캐이터인
2. ' 볼린저 밴드 %B (BB%B)'
3. '볼린저 밴드 너비 (BBW)'
그리고 전략테스터를 제공하는
4.볼린저 밴드 스트레티지
5.볼린저 밴드 스트레티지 디렉티드
이렇게 5가지 입니다.
이 중, 4번과 5번은 전략테스터와 함께 볼린저밴드를 실제로 사용했을 경우, 수익과 손실에 대한 테스트 결과 및 예측을 제공합니다.
1번, 2번, 3번은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고안한 지표로 굉장히 훌륭한 지표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1.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는 3가지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심선(베이시스BASIS) -추세의 중심을 담당
상단BB(어퍼UPPER) - 밴드의 상한선
하단BB(로우어LOWER) -밴드의 하한선
이 밴드의 설정에는 기본적으로 20일 단순이동평균선(SMA)와 표준편차2로 밴드폭이 설정됩니다.
상단 밴드 = 중간 밴드 +2 표준편차
중간 밴드=20일 이동평균선
하단 밴드 = 중간 밴드 -2 표준편차
표준 편차 숫자가 커질수록 밴드폭이 커집니다.
믹스매치전략 : 20일 이외에 50일 100일 등 여러 개의 밴드를 동시에 그리는 볼린저 밴드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2. 볼린저 밴드 %B
볼린저 밴드에서 함께 사용되는 지표 2가지 중 첫번째로, 이 지표는 볼린저 밴드에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어디쯤 위치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RSI와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매수 매도 신호를 포착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3. 볼린저 밴드 너비(폭)
이 지표는 추세의 시작과 끝을 포착하는 중요한 지표로 스퀴즈를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변동성의 증가가 예측될 때, BBW지표가 수치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변동성의 하락이 예측된다면, 머지 않아 추세의 끝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의 목적은 상대적인 고점과 저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변동성 돌파를 이용한 전략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지만, 헤드 페이크를 조심해야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팀트레이딩뷰 ❤️
코인 시장의 테마!!! 코인생태계에 대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이 상승장과 하락장을 겪으면서 많은 테마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테마는 ecosystem 이라는 이름으로 서로 연결된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도 다가올 내년의 상승장 이후에는 테마 코인들의 순환 펌핌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코인(토큰)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또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하나의 코인생태계를 만들고 확장시켜나가면서 자신들의 생존력을 높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과 동떨어지게 어떠한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하지 않는 코인(토큰)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독자 생존을 이어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거래할 때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진행하거나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 어떻게 급락하여 다시 회복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USDC을 통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자금과 주식 시장에 새롭게 출시되고 있는 코인 투자 상품들에 의해 기존 투자 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코인 시장을 점점 잠식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들은 더 많은 개인투자자들을 투자 시장으로 투자하게 만들게 되지만, 개인 투자자가 스스로 거래하여 큰 수익을 얻는 시기는 점점 감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점점 더 개인 투자자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줄어들게 되고, 투자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제공하는 정보로 그들의 뒤를 따라 거래해야 하는 시기가 오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형성되어지고 있는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찾아 하나로 묶어 어떠한 순환 펌핑이 일어나게 되는지 파악해 나가야 합니다.
이전처럼 하나의 코인(토큰)의 로드맵이나 재단이 말하는 그러한 기술적인 얘기로는 더 이상 투자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만들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코인생태계(ecosystem) 중에서 관심있게 보고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Ethereum Ecosystem
BNB chain Ecosystem
Cardano Ecosystem
Solana Ecosystem
Polkadot Ecosystem
TRON Ecosystem
Avalanche Ecosystem
Polygon Ecosystem
Near Protocol Ecosystem
Cosmos Ecosystem
Fantom Ecosystem
Optimism Ecosystem
위와 같이 11개의 코인생태계(Ecosystem)입니다.
코인생태계(Ecosystem)의 대표 코인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BTC
ETH
BNB
ADA
SOL
DOT
TRX
AVAX
MATIC
NEAR
ATOM
FTM
OP
이 외에 사용자 커뮤니티가 큰 코인들과 코인생태계(Ecosystem)을 만들 가능성이 있는 코인입니다.
XRP
ALGO
KLAY
현재 대부분의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해 있는 코인 중 대표적인 코인은 LINK 입니다.
다만, 코인의 자체 이슈로 인하여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야 하는 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XRP
SOL
TRX
KLAY
OP
위의 코인(토큰)들은 자제적인 이슈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거래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OP 토큰은 코인생태계(Ecosystem)이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므로 최소한 다음 파동이 나올 때까지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 시장은 내년이 있을 상승장 이후로 개인 투자자들이 접하게 되는 온갖 정보들은 주식 시장에 준하는 정보들로 도배되기 시작할 것이라는 겁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코인 시장에서 꾸준한 수익을 얻기 위해 새롭게 변화되는 있는 테마, 코인생태계(Ecosystem)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차트를 볼 때, 차트만 생각해야 하는 이유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투자 시장을 바라볼 때, 우선 시 되어야 하는 것은 차트를 분석하는 것이고, 그 차트를 가지고 어떻게 하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가 가장 핵심이라는 말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 경제 지표 발표와 세계적인 이슈(전쟁, 코로나 등)들의 내용을 보고 투자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려고 합니다.
큰 이슈는 투자 시장에 큰 변동성을 이르킬 수 있는 것임에 틀림없지만, 그러한 이슈가 누적되어지면 더 이상 변동성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니, 그러한 이슈들을 가지고 투자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려는 것은 오히려 잘 못된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갑자기 나오는 큰 이슈 예를 들어서 911 테러와 같은 이슈로 인해 세계적인 쇼크를 입게 되는 경우에는 대처할 수 있는 시간도 없이 큰 변동성을 불러 오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슈말고는 대부분 차트의 가격 움직임이 먼저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선반영되는 모습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서는 여러 경제 지표 발표나 세계적인 이슈와 같은 심리적인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지 말고 차트를 봐야 합니다.
이런 작업은 별거 아니다 라고 생각되지만, 투자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어떻게 하면, 여러 경제 지표 발표와 세계적인 이슈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차트의 움직임만으로 흐름을 파악할 것인가에 대한 상당한 고민을 해야 합니다.
2022년 6월 19일에 생성된 Low라는 지표 이상 상승함으로서 차트의 흐름을 반으로 나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0지표의 변화는 언제나 저점을 완성해 왔습니다.
현재 예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100지표가 생성된 이상 저점을 형성하게 될 것 입니다.
+100지표는 고점이 형성되었을 때 생성되기 시작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100지표 이상 상승한다는 의미는 고점을 갱신하기 위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38K 이상 상승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고점의 지점은 현재 오랜 기간 유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점의 지점은 -100지표의 변화로 아직 확실한 지점을 형성하지는 못하였습니다.
다만, -100 지점이 현재 가격대 근처로 이동됨으로서 저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는데 있습니다.
이로써 새로운 추세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추세를 만들어가기 위한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17941.69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20552.7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상승세를 보이기 전에 골파기(더 큰 상승을 하기 전에 더 많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현상)가 나온 모습을 완성하게 되는 것 입니다.
StochRSI지표가 상당히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Stoch RSI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를 확인함으로서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검증하게 될 것 입니다.
이와같이 지지와 저항 지점의 변화만으로도 현재 차트의 움직임이 어떠한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의 설명에 결론이 없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결론은 이미 내려져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많은 정보들을 종합하여 객관적인 결론을 유추해 낸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므로, 객관화되어 있는 도구, 지표 등을 사용하여 모든 정보를 객관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수많은 유명인사들의 차트 분석 방법과 거래 방법은 인터넷이나 책으로 많이 소개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거래와 수많은 경험을 통해서만 습득할 수 있습니다.
시간에 지남에 따라 추세는 변화고 모든 패턴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차트를 읽기 위해서는 보다 간편하고 보다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계속 바뀌는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석에 사용되는 시간보다 어떻게 거래를 진행할 것인가하는 거래 전략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함으로서 변동성에 의한 자신의 심리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여려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가장 친숙한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여러 캔들의 가격 평균을 선으로 나타냄으로써, 노이즈를 줄이고 현재의 트랜드가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지 잘 알려줍니다.
그 중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은 캔들의 종가를 일반 평균내어 사용하는 SMA 이지만 EMA나 WMA, HMA와 같은 이동평균도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2. TD(Tom Demark)
TD 지표는 각 캔들에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현재의 추세와, 추세 시작점으로부터 어느정도 위치인지 여부도 알 수 있게 도와줍니다.
3. Super Trand(슈퍼트랜드)
Super Trand 지표는 많은 투자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하는 지표이며, 트랜드가 지속됨에 따라 트랜드 변경 기준점이 변경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Buy Trand 의 경우 아래쪽에 녹색 선이 그어지는데,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되, 하락시에는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선을 캔들이 하락 돌파하는 경우 Trand가 Sell Trand로 변경되며 캔들의 위쪽으로 붉은 선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위에서 언급한 지표들을 디테일하게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지표를 이해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감에 의한 매매가 아닌, 기준에 의한 매매를 이해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감정으로 인한 뇌동매매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나의 전략을 프로세스화 하여 알고리즘 매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