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아이디어
21.10.04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지난 금요일과 지지/저항 구간의 큰 차이는 없는 모습입니다.
- 14720.75~14738.75 저항구간을 강하게 돌파해준 모습으로 추가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다만 아직까지 하락파동중 직전 파동의 고점인 14883.50을 돌파해주지 못한 상황이므로 큰 모습으로는 추가 하락추세의 가능성도 아직까지는 내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만일 눌림중 14720.75~14738.75 구간의 종가지지를 계속해주며 반등을 시도한다면 14883.50을 돌파하기 위한 반등세가 강하게 출현해줄것으로 예상되며 이때 14883.50을 돌파해준다면 중기 하락추세를 파훼하며 중기상승추세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볼수 있습니다.
- 14720.75~14738.75 구간에서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지난 금요일 중요하게 지켜주었던 14619.50~14581.75 구간의 지지확인을 다시한번 하기위한 하락추세 진행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지난 금요일과 마찬가지로 초록색 지지/저항 구간의 신뢰도를 더 높게 보시며 매매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10.01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전일 새벽 강항 매도세와 함께 14720.75~14738.75 지지구간을 하향돌파하며 현재 큰 하락세를 보여주고있는 모습입니다.
- 현재는 장기지지라인이 위치한 14600.25~14580구간의 지지를 받고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아직까지는 추가 하락의 가능성은 계속하여 열려있는 상황입니다.
- 단기적으로 반등이 출현할 경우 14623.25위로 안착해주는것이 중요하며 안착에 성공할 경우 14674.25~14681 / 14720.75~14738.75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14623.25 저항돌파 실패 혹은 현자리에서 14600.25~14580 구간 1시간봉 하향마감 한다면 14405.50~14372.25 라는 넓은 구간의 지지대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최근 여러가지 이슈로 인해 나스닥의 진폭이 굉장히 커진 상황이며 그에따른 지지/저항 구간사이의 거리도 굉장히 넓은 상황으로 단기트레이딩보다는 손익절을 크게잡고 진행하는 스윙트레이딩이 적합한 장으로 볼수 있습니다.
- 초록색 박스구간은 빨간색 박스구간보다 조금더 신뢰도가 높은 지지/저항 구간으로 초록색 박스구간 에서의 진입, 빨간색 박스구간에서의 익절 대응을 추천드립니다.
21.09.30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나스닥도 항셍과 동일하게 작도 자체에서 크게 변한것은 없습니다.
- 전일 오전~오후 매수세가 출현하였지만 14912~14915 구간의 저항 돌파에 실패하며 저녁부터 큰 하락추세가 진행된 모습입니다.
- 어제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나 달라진점은 1시간봉 RSI 상승다이버전스의 출현이며 상승다이버전스의 출현으로 인해 상승추세가 지속된다면 14926 고점을 돌파하는 모습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 지속시 전일 말씀드린것과 같이 장기파동 저항인 14951.25 위로 안착해주는것이 중요하며 저항을 받을경우 재차 하락추세로 변곡될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 다만 14840~14845 구간의 저항이 굉장히 강한것으로 보여지며 해당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전일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던 장기지지라인이 존재하는 14600~14580 / 14533~14514 구간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1.09.29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전일 2.6%의 하락을 보여준 나스닥입니다.
- 하락중 피보나치 채널의 확장 2.618 레벨의 지지를 꾸준히 받으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며 RSI_candle 지표에서도 계속하여 변곡가능성의 신호를 보여주며 과매도 라인 위로 올라와준 모습입니다.
- 이경우 차트상으로는 매수추세를 기대해볼수 있지만 전일 미국 부채한도 유예 및 상향법안을 포함한 임시예산안이 결렬되며 경제신호와 차트신호의 엇갈림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매수추세 가능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진 상황입니다.
- 차트상으로만 보자면 전일 계속 종가 지지 해주었던 14758 라인이 가장 중요한 지지구간으로 보여지며 해당 지지구간의 1시간봉 하방이탈 마감의 경우 추가적인 매도추세의 가능성을 봐야합니다.
- 제대로된 매수추세를 보자면 14875 이상 1시간봉 마감 이후에 매수추세를 보는것이 좋으며 그 전까지는 매도추세가 유리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추가 하락 한다면 가장 반등 가능성이 높은 지지구간은 14683~14674 / 14600~14580 으로 보여지며 해당 구간은 장기하락파동의 확장 1, 1.13 비율이 존재하는 구간으로 해당구간에서 반등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만일 14875 저항구간 위로 안착하며 상승한다면 추가 상승을 위해 돌파해주어야할 중요한 저항라인은 14951로 보이며 해당구간의 저항을 받을경우 재추 하락추세로 변곡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나스닥 US100 대규모 조정 가능성미국 디폴트 이슈와 맞물려 나스닥이 현재 조정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파동으로 봤을 때 꽤 선명하게 3파 종결이 날 수 있는 지점으로 보입니다.
로그차트 기준이며, 경우에 따라 다르겠으나... 개인적으로 7000불까지 조정을 받아도 파동적으로는 이상하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피보나치의 제반 아이디어는 제 것은 아니고 디씨 엘리엇 파동 갤러리의 모 갤러의 게시글을 보고 작도해봤습니다.
피보나치가 무섭게 딱딱 맞아 떨어지는 구간이었습니다.
다만 3-5파 연장의 가능성을 여전히 생각해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 왜냐하면 나스닥이기 때문... 황스닥...
21.09.28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전일 하락추세선의 저항을 돌파한뒤 안착하지 못하며 큰 낙폭을 보여준 나스닥입니다.
- 21일 이후 상승분의 되돌림 0.5레벨(15103.50)의 지지를 받고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이지만 제대로된 반등이 출현하지 못하며 다시한번 저점을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추가적인 하락이 발생한다면 1차적인 지지를 기대해볼수 있는 구간은 15036~15018.75 구간으로 보여지며 해당구간은 21일 이후 상승분의 되돌림 0.618레벨과 전일 하락파동의 확장 0.618레벨, 장기하락분의 되돌림 0.236레벨이 겹치는 구간으로 중요한 지지 역할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만일 위 지지구간이 하방이탈된다면 14915.50~14874.50 구간까지의 하락을 예상해볼수 있으며 이후 저항으로 변곡된 15036~15018.75 구간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장기하락추세의 연장을 기대해볼수도 있습니다.
- 추가적인 하락 없이 현재구간에서 다시한번 주요 저항구간으로 보이는 15149.25~15173.25 위로 상승안착 해준다면 15255~15259.50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15255~15259.50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다시한번 하락추세선과 매물대 하단부인 15356~15360.5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21.09.27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 강한 상승추세로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려는 모습입니다.
- 현재 하락분 되돌림(회색 파선)의 0.618레벨위로 시간봉 마감을 해준 모습이며 15356~15530.50 매물대(파란색)의 하단부 종가라인인 15356 상향마감을 해준 모습입니다.
- 매물대 내부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는 하락추세선 돌파에 확신을 주기엔 애매한 상황이며 1시간봉 마감을 한차례 더 기다리는것이 좋을것으로 보여집니다.
- 만일 눌림이 출현할경우 15335.75~15332.50 / 15286.25 두 구간은 중요한 지지구간으로 보여지며 15286.25의 하방이탈 전까지는 지지구간에서의 매수대응을 추천드립니다.
- 다만 15286.25 구간의 하방이탈이 진행될 경우 하락추세선 및 매물대 저항으로 인해 하락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떄 지지를 기대해볼수 있는 구간은 15150 부근으로 보여집니다.
- 15335.75~15332.50 / 15286.25 구간에서 지지/반등이 출현하며 매물대 내부로 다시 진입한다면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저항구간은 15428.25~15440으로 보여집니다.
- 15428.25~15440 저항구간은 매물대 중심변곡 구간이며 직전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연녹색 점선) 0.618레벨도 존재하지 때문에 강한 저항역할을 해줄것으로 보여집니다.
21.09.23 / 나스닥 1시간봉 분석#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간단브리핑 #크랙
- 깊은 하락을 보여주며 장기상승추세선(파란색 실선)의 하방이탈이 출현하였지만 강하게 반등해주며 상승파동을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 반등파동으로 그려준 상승채널의 0.5레벨(주황색 점선)의 지지를 받으며 단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15210.50의 저항을 계속하여 돌파하지 못한채 음봉이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 상승채널의 0.5레벨(주황색 점선)의 하방이탈이 출현항다면 단기적으로는 15176의 지지여부를 확인해야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15150.25~15138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여지고있습니다.
- 15108.50~15086.75에도 중요한 지지구간이 존재하지만 해당구간은 금일 03시~04시 사이 지지확인을 한 모습으로 확인되며 15150.25~15138 구간의 지지가 깨질경우 강한 저항으로 변곡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단기 지지구간으로 보는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 15176 혹은 15150.25~15138 구간에서 지지/반등이 출현하며 15210.50 위로 시간봉 마감을 해준다면 15286.25~15288.75 / 15332.50~15335.25 구간까지의 상승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21.09.17 / 나스닥 1시간봉 분석#나스닥 #12월물 #1시간봉 #간단브리핑 #크랙
- 전일 오전부터 하락세가 계속되었지만 8월말 매물대(하늘색 박스) 상단인 15368.25의 지지를 강하게 받으며 큰 상승마무리를 해준 나스닥입니다.
- 다만 강한 상승이 진행되었음에도 9월 대매물대(보라색 박스) 하단인 15516의 저항을 강하게 받으며 다시한번 눌림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현재 단기적으로 15480.50의 지지를 시도하고있지만 조금더 중요한 구간은 15465.25~15456.25 구간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해당 구간에서 지지역할을 해준다면 재차 15516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15516 위로 최소 시간봉 마감이 확인된다면 9월 대매물대(보라색 박스) 내부진입으로 볼수있으며 이때 매물대 중심구간과 피보나치 확장비율들이 겹치는 15571.75~15590.75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15465.25~15456.25에서 지지역할을 하지 못한채 추가 하락세가 출현한다면 몇일간 중요라인으로 계속해서 말씀드리는 15426~15422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볼수 있으며 해당구간에서 지지역할을 해주지 못한다면 15358.75 저점 갱신에 대한 가능성도 생기게 됩니다.
- 15358.75 저점이 갱신된다면 추가 하락은 불가피 해보이며 이때 기대해볼수 있는 지지구간은 15296~15293.75 / 15262~15243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9월 중반 시장체크안녕하세요 여러분 간만에 이렇게 다시 블로그 글을쓰며 여러분에게 이야기를 드리네요 (블로그도있으니 보세요)
고용지표 발표이후 물가관련해서 전에 글을 써드리면서 채권 시장의 '베어 플래트닝'과함께 이야기를 드렸죠
뭐.. 결론은 고용지표 발표이후 물가상승압력이 가해져 주식시장에 유동성이 부진할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로..
당분간 .. 매수대응이 불리하다 이야기드린것이죠..
이후 시장이 어김없이 .. 하락 조정이 계속 들어가고있는 상황으로 이어졌고..
하락이 계속 이어지는 시점에서 시장정리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ECB 통화 정책 회의
고용지표이후 물가 상승압력이 가해져 10년 국채 시장에 매력이 부진함에 따라 시장의 명목금리인 10년 국채수익률이 반등을 보였고 ..
이로인해 미증시가 다소 우울한 시점입니다.
(지금은 .. 국채금리가 다소 레벨을 낮춘 모습이긴하지만..)
아무튼 이렇게 증시가 경기 침체 우려 국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스태그플레이션)속 상승 랠리 포인트를 보이기 어려운국면에..
저번주 유럽 중앙은행인 ECB의 통화정책 회의가 열렸었죠
일단 ... ECB 통화정책에관한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죠
이번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는 유럽의 기준금리를 0%로 이전과 마찬가지로 동결 , 또한 이번 회의에서 가장 관심이 많이 모아졌던 PEPP(Pendemic Emergency Purchase Program= 펜데믹 긴급 매입프로그램) 의 규모는 ..
1조 8,500억 유로 규모로 유지하며 매입 시기도 최소 22년 3월 까지 운영할 것이라 이야기 했습니다.
이날 라가르드 (ecb 총재 .. 음 그러니깐 미국의 중앙은행 의장인 파월과 같은 위치에있는 인물이라 봐도 무방하겠네요) 는 이날 회의에서 '경기에대한 회복은 들어나고있으나 코로나 불확실은 아직 남아있고 또한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상향되지만 압력은 점진적' 이라 평가를 내며 일단 시장의 양적완화를 유지하는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니깐 유럽 경기가 좋아지는게 보여지긴하지만 아직 양적완화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것을 어필한거죠..!)
일단 여기까지보면... 유럽의 양적완화가 아직까지는 이어지는 추이구나 정도는 알 수 있었죠
왜냐하면 pepp(*채권매입)에대한 유지가 22년 3월 까지 이어진다하니 현재 유동성 회수에대한 시기는 '아직'이라는 것과 같은 의미인거죠.
(당연히 자산매입이 진행되고있으니 제로금리를 유지할것이라 보구요)
다만 위에서 말한 pepp의 매입속도를 이전 두분기 보다 ' 적당히 더 느리게 (moderately lower pace)'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대해서 많은 사람들은 '' 어? 유럽이 테이퍼링을 진행하려하는건가?'' 라 생각을 하셨을겁니다.
왜냐하면 채권매입에대한 속도를 조절한다는것은 어떻게 보면 유동성회수의 목적이라 정의 할 수 있으니깐요.
▶PEPP 매입 속도?
자산매입에대한 속도 조절이라는게 사실 금융시장에서는 엄청민감한 문제라 생각이듭니다.
(유동성 시장이다보니... 예민할 수 밖에없는 재료지요.)
그와중에 미국은 8월 고용지표가 상당히 않좋은값으로 반영됨에 따라 테이퍼링에대한 딜레이가 생길거라는 의견이 커지면서 '연준의 유동성 회수'는 아직 좀 기간이 남아있다는 가능성이 시장에서 배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다보니 유동성이 아직은 유지되는 상황이구나 생각을 하게되죠)
이런와중에 이번 유럽 ECB에서 자산매입에대한 속도를 조절 한다고 하니.... 상당히 혼란 스러운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이중에는 유럽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인다고 하니..' 유동성 회수전략인가?? .. 미국도 테이퍼링 딜레이가 없는건가?? ' 라고 생각하시는분들이 많더군요.)
그러다보니 증시를 바라보는 여러분들이 지금 시장을 어렵게 바라보고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번 회의에서 PEPP에대한 매입속도를 늦추는것은 맞지만.. 이게 유럽에서 테이퍼링을 시작한다 라고 보기에는 아니라고 판단하는데..
이전에 ECB에서 이번년도 3월 회의에서 코로나 대응 등을 위해 2분기 PEPP 매입 속도를 1분기보다 빠르게 하기로 결정했었던적이 있었었죠
즉 3월 유로존 시장이 코로나등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이전보다 크게 보여지다보니 PEPP 속도를 빠르게 하여 시장을 풀어가려 했던겁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PEPP에대한 매입속도를 6개월 만에 늦춘 것은 경제가 회복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것이 배경으로 판단했기 때문인데요
이전 3월에는 코로나 때문에 경제 침체우려로 속도 압력을 넣어준거고 그후 경제 흐름이 올라오는게 보이니 속도를 풀어준겁니다.
(아.. 그리고 다들 이부분에대해서 잘 모르시는게 있는데 PEPP는 전통적인 양적완화가 아닙니다 ㅎㅎ...)
아무튼 이러한(PEPP) 자산매입의 속도 완급 조절을 통해 경제 흐름을 조절하는상황이라 판단하기 때문에 테이퍼링 진행이라는 극단적 생각은 어렵다 봅니다.
또한 라가르드 총재는 이번 ECB기자회견에서 PEPP매입속도 완화가 테이퍼링인지를 묻는 질문에 '정책을 변경하지 않겠다 (The lady is not for turning) 라는 문장을 인용한 'the lady isn't tapering'이라고 답한점에서 시장의 테이퍼링우려를 차단했죠.
( 기자회견에서 대놓고 ' 테이퍼링 아님 ' 이라고 했다 생각하셔요)
아무튼 이러한 ECB의 통화회의에서는 사실 테이퍼링을 우려 할만한 트리거(Trigger)라 보기어렵다 판단하셔야해요.
▶9월 CPI
아무튼 유로존에 대한 테이퍼링 완화가 일단 미증시에 큰영향을 줄것이라 생각하는 의견을 이제는 접어두시는게 좋고.... 이제부터 이번주동안 시장에 뭐가 있었는지 봐야겠죠 .
일단 시장에서 가장우려하고있던 상황이 이번 고용지표 (8월) 가 쇼크로 반영됨에따라 시장의 경기 기대치가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Stagnation,... 경기침체 우려가 발생했죠)
그런 와중에 테이퍼링이 딜레이된다는 가능성이 물가상승압력을 만들어내면서 스테그플레이션(stagplation).. 즉 경기 침체속 물가 상승우려 가능성 이 떠오르게 되면서 증시가 지속적인 하락압력을 받고있는 상황입니다.
물가라는 키워드가 다시금 수면에 떠오르는 상황에서 물가에영향을 크게주는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경기침체우려속에 ..만약 cpi까지 급속도로 올라온다면.. .증시는 더 우울한 상황을 만들거란 예상을 하고있던 사람들이 다소 많았을거라 생각합니다.
( 이번주에는 다들 아시고 계시겠지만 미국존 8월 CPI가 발표가되었었죠.? )
cpi에대한 발표값은 다행히.. 예측치와 이전치를 모두 하회하는 0.1%(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mom)값으로 발표함에 따라 증시는 한숨 놓여진 상황이였습니다.
(다행..)
다만 크게 반등을 하지는 못하는 상황이고 현재 하단에대한 제한을 두고 있는 상황이죠
이유는 크게 3가지정도로 보고있습니다.
1. 경기침체 우려가 아직은 남아있는 상황.
2. 9월 17일 쿼드러플 위칭데이
3. 9월 fomc (21일)
이렇게 3가지의 요소가 남아있기때문에 주가가 현재 방향성을 잡기는 어려워 보인다 판단합니다.
일단 경기침체에대한 우려가 아직은 남아있다 판단하고있고 주식시장에서 지수선물 ,지수옵션 , 개별주식 선물 , 개별 주식 옵션 총 이렇게 4가지 파생상품들의 종목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며 이를 쿼드러플 위칭 데이라 합니다
이당시 쿼드러플 위칭데이에서는 큰 변동성이 동반하는 장세이기때문에 더욱주의를 기울여야하며 이뿐아니라...
이번 9월 fomc는 1년에 총 8번 열리는 회의에서 가장중요한 3월 6월 9월 12월의 해당하는 회의중 9월에 해당하는 회의이기 때문에 시장의 우려도 있을거라 보고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스케쥴과 우려감이남아있는 시장에 전일 원유 재고발표에 원유가 급등하면서 지수종목 전반에영향을 주었고 채권 가격에대한 수요가 금리상승을 제한 하면서 증시가 전일 어느정도 반전상승보여준듯한 모습입니다.
위에 말씀드렸던 요소들이 남아있다보니 ... 시장에 전반적인 방향성에대해서 이야기를 드리기가 힘든 상황인지라.. 전일 반발 매수에대한 지지력이 크다고는 이야기드리기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점 주의하시면서 스케쥴체크하시길바라겠습니다.
(아직도 마음놓고 매수잡기 어려운 시장이라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