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재 시점에서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
오랜만에 비트코인 엘리엇 파동 시나리오를 준비했습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오랜 기간 횡보하면서 많은 분들이 다양한 카운팅을 고민하고 계실 텐데요. 저 역시 여러 가능성을 두고 신중하게 분석해봤으며, 다음과 같이 정리해봤습니다. 현재 수많은 시나리오가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능성이 높은 케이스 여섯 가지를 추려봤습니다. 함께 살펴보시죠.
A1 시나리오: 상승 충격 1~5파 진행 후 ABC 조정파가 전개되는 카운팅
- 현재 가장 많은 트레이더들이 고려하고 있으며, 가장 교과서적인 시나리오입니다. 10.9만 달러의 역대 고점을 상승 충격파 5파의 정점으로 보고, 이후 하락 조정 ABC파가 진행될 가능성을 예상하는 카운팅입니다.
- 조정파동이 출현하면서 오렌지 상승 채널을 하방이탈하는 움직임을 동시에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 시장이 과열되었기 때문에 이제부터 조정이나 횡보가 나올 수 있는, 꽤 Bearish한 시나리오입니다.
조정파동이 본격화되면서 오렌지 상승 채널을 하방 이탈하는 움직임도 함께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장이 상당히 과열된 상태였던 만큼, 조정이나 횡보 국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다소 Bearish한 시나리오입니다.
- ABC 조정파의 주요 타겟은 전체 상승폭의 0.382 되돌림인 7.17~7.33만 달러, 그리고 0.618 되돌림인 4.83~5.16만 달러까지 열어둘 수 있습니다.
A2 시나리오: 상승 충격 5파의 세부 5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A1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 흐름을 5파로 해석하지만, 아직 5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관점입니다. 현재 트레이더들이 많이 고려하는 카운팅 중 하나로, 흔히 "아직 한 파동 더 남았다"는 분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이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최근 강하게 다져진 바닥(빨간색 박스, 9.05~9.18만불) 을 한 번 깬 후 세부 하락 4파를 만들고 올라갈 것인지, 아니면 이 구간을 지켜주고 그대로 상승할 것인지 입니다. 만약 저점을 한 번 낮추고 간다면, 최근 박스권의 스탑헌팅 레벨과 5파의 0.382 되돌림 레벨 근처인 8.37~8.54만 달러가 4파의 주요 타겟이 됩니다.
- 이후 상승 5파가 진행될 경우, 파란색 상승 추세선, 오렌지 채널 상단, 그리고 1.414~1.618 프로젝션 확장 레벨을 기준으로 11.86~12.12만 달러와 12.81~13.07만 달러를 타겟가로 볼 수 있습니다.
B1 시나리오: 상승 충격 1~3파 진행 후 4파가 전개되는 카운팅
- A 시나리오들과 달리, B 시나리오는 1파의 끝점을 3만 달러대가 아닌 7.37만 달러로 설정하는 카운팅입니다. 이후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을 3파로 해석합니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 역시 “아직 한 파동 더 남았다”는 분석에 해당하지만, A2보다 더 큰 단위의 상승파를 가정합니다.
- 이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포인트 역시 최근 바닥(빨간색 박스, 9.05~9.18만 달러)을 한 번 깨고 4파 조정을 거친 후 상승할지 여부입니다. 만약 조정이 진행된다면, 3파의 0.382~0.5 되돌림 구간인 8.37~8.54만 달러와 7.77~7.94만 달러가 4파의 타겟가가 될 수 있습니다.
- 이후 상승 5파가 전개될 경우, 파란색 상승 추세선, 오렌지 채널 상단, 그리고 1~2파의 1.13과 1.414 프로젝션 확장 레벨이 중첩되는 구간을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은 11.86~12.12만 달러와 12.81~13.07만 달러로 정도 됩니다.
B2 시나리오: 상승 충격 3파의 세부 4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B2 시나리오는 B1 시나리오와 동일하게 1파의 끝점을 7.37만 달러로 설정하지만, 아직 3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가정을 둔 카운팅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시나리오 중 가장 Bullish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을 3파의 세부 4파(혹은 5파)로 해석할 수 있으며, A2 시나리오와 비슷한 방식으로 11.86~12.12만 달러를 3파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4파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크며, 5파의 목표가는 3파의 고점이 확정된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아직 5파의 타겟을 정확히 정하기엔 다소 이르지만, 1~2파의 1.618 프로젝션 확장 레벨을 고려했을 때, 최소 14~15만 달러까지는 상승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C1 시나리오: 상승 조정 ABC파 진행 후 하락 충격파동이 전개되는 카운팅
- C 시나리오는 다소 Bearish한 카운팅으로, 2023년 초부터 진행된 전체 상승 흐름을 5-3-5-3-5 충격파동이 아닌 5-3-5 조정파동으로 해석하는 관점입니다. 즉, 상승이 조정의 일부였으며, 이후 하락 충격파동이 전개될 가능성을 고려하는 시나리오입니다.
- C1 시나리오는 C파의 세부 1~5파동이 마무리되고, 이제 하락 충격 1파가 시작되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이 경우, 기존 오렌지 상승 채널을 명확히 이탈하며, 상승분을 모두 되돌리는 강한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C 시나리오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회의적인 입장이며, 명확한 파동 타겟팅은 따로 설정하지 않겠습니다.
C2 시나리오: 상승 조정 C파의 세부 4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C2 시나리오는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 흐름을 5파가 아닌 C파로 해석하지만, 아직 C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고 가정하는 시나리오입니다. B1 시나리오와 매우 유사하지만 핵심적인 차이점은 이후의 방향성입니다. B1은 현재 상승 파동 이후 추가 상승이 남아 있다고 보는 관점이라면, C2는 현재 상승 파동 이후 하락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해석하는 카운팅입니다.
- 본 시나리오에 의하면,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을 3파의 세부 3파(혹은 4~5파)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부 파동 타겟팅은 B1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후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조정 이후 본격적인 하락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여러분은 현재 시장을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각자의 엘리엇 파동 카운팅이나 시나리오에 대한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