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시 차트는 그림판이 되어야 합니다

642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스냅샷
Heikin Ashi 캔들 차트는 fake를 최소화한 차트로서 추세 캔들 차트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캔들 차트와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이로인해 실제 가격 움직임을 알기가 애매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여러 형태로 표시하는 지표들을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Heikin Ashi 캔들은 Line으로 표시되는 지표입니다.

이 Line 지표는 Heikin Ashi 캔들의 Open, Close 값의 중간값으로 표현됩니다.

이로서 현재의 추세를 알 수 있게 하였습니다.

-
USDT.D Line chart 또한 USDT.D의 Open, High, Low, Close의 중간값으로 표시됩니다.

-
위 두 지표의 Green색은 상승을, Red색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Heikin Ashi Line chart와 USDT.D Line chart를 구분하기 위해서 Heikin Ashi Line chart의 Green색을 두껍게 처리하고, USDT.D Line chart의 Red색을 두껍게 처리하였습니다.

해석 방법은
- Heikin Ashi 상승, USDT.D 하락, StochRSI 상승 :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 Heikin Ashi 하락, USDT.D 상승, StochRSI 하락 :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 나머지 움직임은 변동성, 즉, fake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상황을 지켜봅니다.

----------------------------

많은 정보를 추가하다 보니, 어떤 것이 중요한 것인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거래의 핵심 지표는 HA-Low, HA-High, BW(0), BW(100) 지표입니다.

추세 지표는 Trend Cloud 지표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입니다.

거래시 중요한 것은 직관성입니다.

빠르게 판단하지 않으면, 대응 시간이 늦어져 엉뚱한 방향으로 거래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트에 표시해 둔 자신만의 지점이나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거래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거래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거래를 시작하였다면 기다릴 줄도 알아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생각한 방향과 다르게 움직임이 나왔을 때 손절을 할 것인가도 생각해야 합니다.

이렇게 거래 시작시에 기본적인 거래 전략을 만들고 거래를 시작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거래를 시작하였다면 거래 전략을 지킬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노트
남들이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다른 사람이 설명한 거래 방법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보았느냐에 따라 그 거래 방법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됩니다.

어떠한 거래 방법도 나름 좋은 거래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 스타일과 맞는 방법인지를 체크하여 맞다면 그 거래 방법에 익숙해질 때까지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노트
#ETHUSDT
스냅샷
채굴를 통해 코인(토큰)을 늘리는 것도 좋지만, 거래를 통해 코인(토큰)을 늘려나가는 것이 좀 더 빠르고 좀 더 많이 늘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거래로 인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D 차트의 Trend Cloud(기존 공개된 MS-Signal 지표와 5EMA+StErr 지표를 합친 지표) 지표가 하락 표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상태입니다.

다만,
- Heikin Ashi Line chart 지표가 상승,
- USDT.D Line chart 지표가 하락,
- StochRSI 지표가 상승 중이기 때문에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Trend Cloud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하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따라서, BW(0) ~ HA-Low 지표 구간인 2627.18-2674.15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고, 2879.9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갈 수 있습니다.

매수한 금액을 기억하고 있다가 매도할 때 매수 금액의 일부나 전부를 매도하게 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개수가 남게 됩니다.

-
반대로 기존에 매수한 코인(토큰)은 2879.9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일부 금액만큼 매도합니다.

그리고, 하락한 이후에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한 금액만큼 다시 매수합니다.

그러면, 보유 코인(토큰) 갯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
이러한 방식은 하락추세이 있을 때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수 원금만큼 모두 매도하게 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가 남게 되어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간다면,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게 될 것 입니다.

--------------------

1D 차트 이하의 차트에서 거래시에는 가격이 큰 코인(토큰)을 거래시 주의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가격이 큰 코인(토큰)은 그만큼 변동폭이 커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TC나 ETH와 같이 가격이 높은 코인(토큰)은 1D 차트를 기준으로 거래하시면 좋습니다.

그 외의 코인(토큰)들은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거래하여도 됩니다.

면책사항

이 정보와 게시물은 TradingView에서 제공하거나 보증하는 금융, 투자, 거래 또는 기타 유형의 조언이나 권고 사항을 의미하거나 구성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