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털 어낼리시스
비트코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보는 법, 트레이딩뷰에서 인덱스 지표 활용하기1.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란 무엇인가?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Coinbase Premium Index)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과 다른 주요 거래소(특히 바이낸스)에 상장된 비트코인의 가격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 (코인베이스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100
양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높을 때 발생
음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낮을 때 발생
📌컨텐츠가 유익하셨다면 부스트와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여러분의 작은 격려가 더 나은 분석과 컨텐츠를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차트 분석, 트레이딩 전략, 비트코인 단기 시그널 등 다양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업로드할 예정이니 팔로우도 부탁드립니다.
2.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원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관 투자자의 수요: 코인베이스는 미국 내에서 규제를 준수하는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많은 기관 투자자 (헤지펀드, 자산운용사 등)들이 코인베이스를 통해 암호화폐를 매수합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 주문은 일시적으로 코인베이스 내의 가격을 상승시켜 프리미엄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법정화폐 유입: 코인베이스는 주로 달러(USD) 기반의 거래가 활발하며, 미국 투자자들에게 가장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입니다.
새로운 법정화폐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때, 코인베이스를 통한 유입이 활발하여 프리미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및 유동성: 특정 시기에 미국 시장의 투자 심리가 다른 지역보다 강하거나, 코인베이스 내의 유동성이 일시적으로 부족할 경우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금 이동의 제약: 자금세탁방지(AML) 규제 등으로 인해 거래소 간의 자금 이동에 시간적, 비용적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차익 거래 기회를 제한하여 프리미엄을 유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네트워크 혼잡 및 수수료: 암호화폐 네트워크 혼잡 시 거래 속도가 느려지거나 수수료가 높아져 거래소 간의 신속한 차익 거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3.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트레이딩에 활용하는 방법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의 시장 흐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강세장 신호 (양수 프리미엄):
기관 매수세 유입: 지속적으로 높은 양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꾸준한 매수세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강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추세 전환: 약세장에서 음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갑자기 양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과 함께 시장 심리가 개선되어 추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0%를 넘어 상승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블랙록 iShares Bitcoin Trust (IBIT)나 피델리티 Wise Origin Bitcoin Trust (FBTC)와 같은 ETF로의 일일 순유입액이 크게 증가한다면, 이는 강력한 저점 매수 기회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약세장 신호 (음수 프리미엄):
기관 매도 압력 또는 관심 저하: 지속적으로 낮은 음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 압력이 높거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약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고점 신호: 강세장에서 양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음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급격히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거나 새로운 매수 유입이 줄어들어 고점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예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동시에 블랙록 IBIT나 피델리티 FBTC 등 ETF에서 대규모 순유출이 관찰된다면, 이는 과매수 상태이거나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매도 포지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유의해야 할 부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활용할 때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다른 지표와의 병행: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하나의 보조 지표일 뿐입니다.
이동평균선, RSI, MACD, 거래량 등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 및 온체인 데이터, 거시 경제 지표 등을 함께 분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ETF 유출입 데이터의 중요성: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기관 투자자의 실제 자금 흐름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과 더불어 이들 ETF의 일일 순유입/순유출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의 기관 매수/매도 압력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변동성: 프리미엄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미묘한 변화에 의해 급격하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내의 일시적인 프리미엄 변화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장 상황의 변화: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합니다.
과거에 유효했던 패턴이 미래에도 반드시 유효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규제 환경, 주요 거래소의 정책 변화, 새로운 시장 참여자의 등장 등 다양한 요인들이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적용 범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알트코인에는 그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5. 트레이딩뷰에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활용하기
트레이딩뷰(TradingView)는 다양한 기술적 지표와 차트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인기 있는 플랫폼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지표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로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현물 자산(예: BTC/USD) 간의 가격 차이를 계산하여 차트 하단에 별도의 패널로 표시해줍니다.
📊트레이딩뷰 지표 활용 팁:
지표 검색: 트레이딩뷰 차트에서 '지표(Indicators)' 버튼을 클릭한 후 검색창에 'Coinbase Premium' 또는 'Coinbase vs Binance'와 같은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지표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이러한 지표들은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현물 가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져와 프리미엄을 계산하고 차트에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시장 가격 차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트레이딩 전략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표와의 조합: 트레이딩뷰의 강력한 장점은 여러 지표를 한 차트에 오버레이하여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비트코인 가격 차트와 함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지표를 추가하고, 필요하다면 블랙록, 피델리티 ETF 유출입 데이터를 별도로 참조하여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알림 설정: 트레이딩뷰의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특정 범위에 진입/이탈할 때 알림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으로 시장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인 미국 시장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여기에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유출입 데이터를 함께 고려한다면, 기관 자금의 실제 흐름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시장의 강도와 추세 전환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맹신하기보다는 다른 분석 도구들과 함께 활용하여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높이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11/06 수많은 방향성 재료, 오늘은 수급에 기대 전일 동향: 위험회피와 외국인 증시 이탈 가속, 달러-원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와 외국인 증시 매도 영향에 1,450원 부근까지 상승.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미국 자금시장 긴축에 따른 달러화 강세 영향에 1,443원 부근에서 개장. 이후 미국 기술주 벨류에이션 부담에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들이 대규모 매도를 이어가자 환율은 1,450원 부근까지 상승. 주간장 전일대비 7.8원 오른 1,449.4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양호한 경제지표, 트럼프 관세 무효?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양호한 경제지표 발표에 장단기물 모두 상승. 이날 ADP에서 발표한 10월 신규 고용은 4.2만 건으로, 시장 예상(3.2만)을 상회. 이는 가장 최근 달라스 연은에서 추정한 Break-even(실업률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고용 증가) 고용 수준인 3만 명도 상회하는 수준. 다만 ADP는 10월 고용 증가가 소수 업종(헬스케어&교육&유통)에 집중되었으며, 광범위한 고용시장 회복은 아니었다고 언급. 한편 ISM 서비스업 PMI는 52.4pt(예상:50.7) , S&P 서비스업 PMI는 54.8pt(예상:55.2)로 대체로 확장 국면을 유지. 세부 지표를 보면 모두 신규 주문과 기업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고용은 미세하게 증가. 또한 관세와 인건비로 인해 높은 투입비용에도, 경쟁 심화에 따라 판매가격 상승은 제한. 양호한 경제지표에 미국채 금리는 대체로 상승했으나, 재무부의 QRA 발표 영향에 장기물 상승세가 확대. 25년 4분기 차입량 5,690억 달러 중 단기채 발행비중은 29%, 26년 1분기 차입량 5,780억 달러 중 단기채 비중은 47%이나, 재무부는 향후 장기채 비중 확대를 검토한다고 언급.
(달러↓) 달러화는 경제지표 발표 후 상승했으나, 트럼프의 상호관세 대법원 심리 이후 하락. 정치 성향과 무관하게 대법관들은 대체로 트럼프의 변론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 이미 부과된 관세를 소급적으로 상환할 가능성도 거론되며 재정 우려에 달러화는 약세 압력을 소화.
금일 전망: 하루만에 회복된 위험선호? 외국인 수급 주시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수 전환 여부를 주시하며 1,430원 후반대 진입을 시도할 전망. 최근 미국 증시에서 언급됐던 기술주 벨류에이션 부담에도 미국 증시는 반등에 성공. 이와 동시에 단기자금시장 유동성의 가늠자인 SOFR-IORB 스프레드 또한 고점이었던 32bp에서 10bp 수준으로 반락. 이에 미국의 양호한 경제지표에도 위험선호 회복에 달러화가 하락했으며, 오늘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순매수로 전환될 경우 야간장 마감가인 1,441원 부근에서 추가 하락할 여지 존재.
다만 여전한 불확실성 재료, 달러화 강세 베팅은 하단을 지지. 최근 시장에 여파를 남겼던 유동성 지표가 다소 완화되긴 했으나, 셧다운이 장기화 될 경우 여전히 다시 불거질 여지가 존재. 또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주도했던 고용 둔화 네러티브가 ADP를 기점으로 전환되며 달러화 강세 베팅이 확대될 가능성도 충분.
금일 예상 레인지 1,436-1,446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삼성SDS] 미래 IT 인프라 핵심주, 저평가된 가치주 분석안녕하세요 트레이딩쇼(트쇼) 입니다.
앞으로 자주 아이디어 및 분석글 올리겠습니다.
"팔로워" 를 해주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아이디어 및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
이번엔 국내 IT 대표기업 " 삼성SDS " 종목입니다.
크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2가지를 통해 매매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1. 성과분석
지표 2023년 2024년 성장률
매출액 13.28조원 13.83조원 +4.2%
영업이익 8,082억원 9,111억원 +12.7%
순이익 6,934억원 7,570억원 +9.2%
EPS 8,965원 9,787원 +9.2%
매년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ROE: 8.4% 업종 평균 대비 우수한 수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시장환경 및 경쟁력
클라우드·AI 수요 확장, 공공·금융 시장 기회 증가
① 한국 클라우드 MSP 1위, CSP 국내 1위
② 강력한 ESG 및 브랜드 가치
③ Hyper-Automation 플랫폼 기반 디지털 전환 제공
④ 클라우드·AI 실적 성장 이어가는 중
3. 재무건전성
재무건전성 점수: 85/100점 (매우 우수)
투자등급: AAA급 (Conservative Investment)
삼성SDS는 낮은 부채비율, 풍부한 현금보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재무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4. 요약
삼성SDS는 시장환경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수익을 내며 성장하고 있다.
게다가 매우 안정적인 재무건정성을 갖추고 있어 안전한(?) 투자대상이 될 수 있다.
-----------------------------------------------------------------------------------------------------------
상장 이후 10년간의 긴하락 추세를 깨고 나오는 힘을 보여주고 있다.
1. 하락 패턴의 종료
상장 이후 최고점 40만원대에서 내려온 패턴이 ABCDE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의 종료가 보이며
추가로 엔딩다이아고날(웻지) 형태로도 볼 수 있다. 저점에서 올라온 강한 추세가 패턴의 저항을강하게 뚫어 올리며 상승에 대한 기대감 형성
2. 바닥 다지기(트리플 버텀)
최저점을 이어보면 바닥을 3번이나 다지며 상승해주고 있다.
이는 명확한 손절라인이 될 수 있으며 가격을 형성하는데 기준이 된다. 이탈 시 다시 올라오지
못하는 차트를 보여줄 수 있으니 주의
3. 피보나치 채널 형성
피보나치 채널로 보면 여전히 하락추세에 갖혀 있지만 강한 상승파동으로 최상단 채널을 터치해주었다. 이는 1차적인 매물대 테스트를 통해 손바뀜을 암시한다. 추세 .382 구간에 도달 반등타점
4. 추세전환 시그널
최근 몇년간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RSI과매수 상태에서 적당한 조정을 받고 추세전환 시그널을 보여준다.
- 저점에서부터 조정이 0.618자리 좋은 매수타점이라고 보여진다.
- 다이버전스
- 하락추세 이탈
5. 매매계획
단타시 16만~17만이 1차 TP (절반 익절? 리스크 관리 본인 선택)
스윙시 23만~ 2차 TP
단타보다는 장기적으로 보고 저점 트렌드를 강하게 부수고 내려가지 않는 한 꾸준히 모아가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향후 움직임에 따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차트쟁이로서 두려운 부분📈 차트쟁이로서 두려운 부분
2023년 초부터 시작된 이번 상승장은
크게 보면 상승→조정→상승의 반복 패턴을 유지해 왔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각 상승 구간 후 조정폭이 일정한 비율로 반복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조정: 약 -22%
두 번째 조정: 약 -21.5%
세 번째 조정: 약 -32.7%
네 번째 조정: 약 -32.2%
즉, 이번 상승 사이클 내 평균 조정폭은 -21% ~ -32% 구간으로 정리됩니다.
최근 고점(약 128k 부근) 이후 조정이 진행된다면,
통계적으로는 단기 하락 목표를 최소 -21% 구간까지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차트를 보면
매수세가 피로해지고, **단기 운전의 키는 베어 측(공매도 세력)**이 쥔 상황으로 보입니다.
장기적인 상승 트렌드가 훼손되었는지 안되었는지도 한 번 고민해봐야 하며,
이전 사이클의 조정 강도를 고려하면
짧지 않은 조정 기간과 가격 조정폭을 감내할 구간으로 보입니다.
요약하자면,
이번 조정의 통계적 하락폭: -21% 경 예상
단기 매수보다 조정 관망 구간으로 보는 편이 유리
베어가 키를 쥔 구간에서는 레버리지 롱 진입에 주의
PS. 이런 통계상에 기반한 움직임이 아닌 V자 반등이 오기를 기원합니다.
비트코인 CME 갭 자동 감지 지표를 트레이딩뷰에서 활용하기📊Bitcoin CME 갭 자동 감지 및 시각화를 위한 지표
이 Pine Script 기반의 "Bitcoin CME gaps multi-timeframe auto finder" 지표는 암호화폐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선물 시장의 갭을 다중 시간 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식별하고 시각화하는 트레이딩뷰 보조 지표입니다.
비트코인 CME 선물 시장은 주말이나 공휴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된 후 재개될 때 종종 가격 갭(Gap)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갭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한 가격대가 미래에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믿습니다.
이를 '갭 채우기(Gap Fill)' 이론이라고 하며, 이는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격 영역으로 간주됩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갭을 수동으로 식별하는 것은 여러 시간 프레임과 주말/공휴일 개장 시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었습니다.
지표 링크: 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지표로 이동합니다.
🔑이 지표의 특징
자동화된 갭 감지: 트레이더가 수동으로 갭을 찾고 표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줍니다.
다른 거래소의 BTC 차트에서도 동기화: BTCUSDT, BTCUSDT.P BTCUSD 차트에서도 CME 갭 박스가 동기화 되어 표시됩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분석: 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 등 다양한 시간 프레임에서 갭을 동시에 표시하여 시장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시각적 명확성: 갭 영역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하고, 중요한 갭은 강조하여 트레이더의 빠른 판단을 돕습니다.
거래 전략 지원: 갭 채우기 이론을 활용한 거래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ME 갭 히스토리: 과거 캔들에서 발생한 CME 갭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림 기능: 갭 발생 시 실시간 알림을 통해 트레이더가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기능 및 사용법
이 지표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다양한 인풋 옵션을 통해 트레이더의 특정 요구 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CME Gap Settings:
- CME Symbol for Gaps: CME 선물 데이터를 가져올 심볼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BTC1!"(비트코인 CME 선물)입니다.
- Minimum gap percentage (%): 갭으로 인식될 최소 가격 변동률을 설정합니다. 작은 갭을 걸러내고 의미 있는 갭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Display timeframes:
- 각 시간 프레임(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별 갭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사용자의 분석 선호도에 따라 특정 시간 프레임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Box colors:
- 각 시간 프레임 및 갭의 방향(상승 갭/하락 갭)에 따라 박스 색상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갭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Box extension lengths (Bars):
- 각 시간 프레임별로 갭 박스가 우측으로 연장될 바(캔들)의 개수를 설정합니다.
- 이는 갭 영역이 미래에도 유효한 지지/저항 레벨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Label settings:
- Show labels: 갭 비율을 표시하는 라벨의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 Label position: 라벨이 박스 내에서 표시될 위치를 조정합니다.
- Label text size: 라벨 텍스트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Highlight settings:
- Highlight gap % (>=): 설정된 퍼센티지 이상의 갭을 특별히 강조합니다. 중요한 갭에 대한 시각적 경고를 제공합니다.
- Highlight label text color: 강조된 갭의 라벨 텍스트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color: 강조된 갭 박스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border width: 추가된 기능으로, 강조된 갭 박스의 테두리 두께를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중요한 갭을 더욱 두드러지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Alert settings:
- Enable Alerts: 갭 발생 시 알림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 Alert Timeframe: 알림을 받을 특정 시간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모든 시간 프레임에 대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표 작동 방식
이 지표는 CME 선물 데이터(BTC1!)를 가져옵니다.
각 시간 프레임에 대해 이전 바의 종가/고가/저가와 현재 바의 시가를 비교하여 갭을 식별합니다.
특히, 주말/공휴일 폐장 후 개장 시의 특정 시간대를 기준으로 갭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갭이 감지되면, 해당 갭의 박스를 그려 차트에 표시합니다.
갭의 크기가 인풋 옵션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강조 색상과 테두리 두께로 박스를 더 눈에 띄게 만듭니다.
💡활용 전략
이 지표는 다양한 트레이딩 전략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지/저항 레벨 식별: CME 갭 영역은 강력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채워지지 않은 갭(Unfilled Gap)은 가격이 다시 해당 영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잠재적인 반전 지점이나 추세 강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갭 채우기 전략: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하면 결국 채워진다고 믿습니다.
갭 채우기를 목표로 하는 매매 전략을 수립할 때 이 지표를 활용하여 진입 및 청산 지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 갭 발생 후 가격이 갭 상단으로 회복될 때 매수 진입을 고려하고 갭이 채워지면 청산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분석: 갭의 크기와 빈도는 시장의 강한 움직임이나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큰 갭은 강한 매수 또는 매도 압력을 시사하며, 강조된 갭을 통해 이러한 중요한 시장 이벤트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컨펌: 여러 시간 프레임에서 동시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해당 가격 영역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1시간 봉과 4시간 봉 모두에서 갭이 감지되면 해당 레벨에서의 가격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림을 통한 기회 포착: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갭 발생 시 즉시 시장 상황을 확인하고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단기 트레이딩에서 유용합니다.
🚨주의사항
갭 채우기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갭이 채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모든 갭이 채워지는 것은 아니며 채워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시간대 설정: CME 선물 시장은 특정 시간대에만 운영되므로, 트레이딩뷰 차트 지표 내 GMT+9 시간대 설정이 사용자의 거래 시간대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단독 사용 지양: 이 지표는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예: 이동 평균, RSI, 볼륨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Bitcoin CME gap auto finder 지표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 함께 활용된 청산 히트맵 지표는 초대전용 스크립트입니다.
CCU..안녕하세요 Descendingkinght_입니다.
----------------------------------------------------------------------
-상승 요인
1.매출 성장 및 시장 확장
CCU는 남미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칠레 내 맥주, 음료수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도 활발히 진행 중이어서 매출 다각화와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2.다양한 제품 라인업 및 혁신
CCU는 다양한 음료와 주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알콜 음료, 건강 지향적 음료 등의 새로운 제품군을 출시하여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추고 있습니다.
3.강력한 배당 정책
CCU는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배당 정책은 장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전달하며, 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1.환율 변동
CCU는 칠레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므로 환율 변동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칠레 페소와 주요 통화 간의 환율 변동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정치적 및 경제적 요인
칠레는 정치적 불안정성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남미 전역의 경제 상황은 CCU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 성장 둔화나 경기 침체가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3.원자재 가격
CCU의 원재료 중 상당 부분은 농산물이며, 기후 변화나 공급망의 문제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술적 관점
현재 CCU 주가는 12달러를 중심으로 횡보 중입니다. 최근 몇 달 간 10~13달러 범위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단기적인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투자 전략
1.매수 전략
주요 매물대(10~12.5달러)에서 매수한 투자자라면
단기 목표가: 13.5달러
중장기 목표가: 17.5달러 이상
CCU는 기본적으로 강력한 브랜드와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에서는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불확실성은 리스크 요인으로 존재하므로, 투자 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제 의견이 마음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부탁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이더리움 도미넌스로 본 알트 코인 분석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 → 이더 2단계 로테이션 확인, ETH 도미넌스 13% 돌파 후 14%대 안착, 다음 목표 16~18%
지금 시장의 초점은 간단해, 자금이 비트에서 이더로 넘어가고 있냐?
첨부 차트 기준 ETH 도미넌스가 13% 저항을 돌파해 14%대에 올라섰고, 이 구간은 과거 사이클에서 2단계 로테이션 신호로 확실하게 볼 수 있습니다.
유동성 국면도 QT 약화, QE 기대 재점화 축으로 이동 중이라서 흐름이 맞물리고 있어
핵심으로 본다면
현재 위치 2단계 로테이션 비트 주도장에서 ETH 주도 초입으로 전환 확인
레벨 확인 ETH 도미넌스 13,0%와 13,2% 전고 상단 복귀, 현재 약 14,3%
유동성 프레임 차트 내 표시처럼 QT 구간에서 QE 구간으로 전환 기대가 커지며 알트 프렌들리 환경 형성
다음 타깃 16~18% 1차, 세력이 강하면 20~22% 상단 박스 테스트 가능
리스크 라인 13,0% 재이탈 시 신호 약화, 12% 초반 이내 재흡수 못하면 로테이션 지연
사이클 로드맵
Phase 1 Bitcoin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우선 유입, 비트 도미넌스 상승, 펀드멀+내러티브 비트 중심
Phase 2 Ethereum
기관과 고래가 이더로 분산, ETH 도미넌스 상향과 ETHBTC 반등 동반
초기엔 비트와 동행, 점차 ETH가 상대 초과수익으로 전환
Phase 3 대형 알트
ETH 강세가 대형 알트로 확산, 섹터 로테이션 본격화, 베타 상승
Phase 4 알트시즌
중소형까지 확산, 과열 분화, 뉴스민감도 극대화, 리스크 관리 최우선
지금은 Phase 2에 위치, 차트에도 2단계 로테이션으로 명시
지금 차트 상황은?
현재 ETH 도미넌스 약 14,3%
핵심 분기점 13,0%와 13,2% 과거 여러 차례 레인지 중단부 저항, 돌파 후 지지 전환 시그널
중상단 박스 20~24% 과거 수요대, 강세장 후반부에 주로 도달
중장기 이동평균이 13%대를 관통, 이평 위에서 캔들이 유지되면 상승 추세 유효
유동성과 매크로 프레임 💧
차트 우측의 QT, QE 표기처럼 QT 약화, 유동성 완화 기대가 커지는 구간
유동성 완화 국면은 알트프렌들리, 특히 스테이킹과 수요 기반이 있는 ETH로 베타 확대가 잘 나와
로테이션의 전제는 유동성의 유지, 매크로 충격으로 달러 강세 급반전 시 템포가 늦춰질 수 있음
온체인 거래소 내 ETH 재고 감소는 공급 쇼크 전조, 도미넌스 상승과 궁합
파생 펀딩이 과열로 치우치지 않는지, 롱 과밀이면 단기 스윙 조정 대비
현물 흐름 대형 지갑의 현물 매집 캔들 출현 시 페이스 가속 가능
지금은 비트 주도 → 이더 주도로 넘어가는 2단계 로테이션 확인 국면
13%대 저항 돌파 후 지지 전환, 기술적 구조와 매크로 유동성이 맞물림
목표는 16~18% 1차, 과열 없이 가면 20~22% 상단 박스도 가능
무효화는 13% 재이탈, 이탈 시 로테이션 속도 조절이 답
참고 본 브리핑은 첨부 차트의 ETH 도미넌스 레벨과 유동성 표기 QT, QE를 기반으로 구성했으니 참고하기를 바람
10/28 양날의 검이 된 위험선호 전일 동향: 관세협상 기대, 위험선호에 1,430원 초반대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전반적인 위험선호 심리를 소화하며 1,430원 초반대로 하락. 장 초반 CPI 둔화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에 1,436.7원 수준으로 하락 출발. 이후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에 따른 위안화 강세, 위험선호에 따른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 순매수 영향에 낙폭을 확대. 한때 1,430원까지 하락한 환율은 달러 실수요에 소폭 반등. 주간장 전일대비 7.7원 하락한 1,431.7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국채 무난한 수요 확인, 日 BOJ 인상은 가능?
(미국채 금리 단기↑, 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QT종료 기대감이 지속되며 장기물 중심 하락. 단기물 금리의 경우 2년물 690억, 5년물 700억 달러 규모의 입찰을 소화하며 소폭 상승. 다만 수요 자체는 2년물의 경우 응찰률 2.59배(6회 평균:2.58), 5년물 응찰률은 2.38배(6회 평균:2.36)를 기록하며 견조한 수요가 확인. 한편 단기자금 시장 유동성 경색, 혹은 레포금리 급등 우려가 여전히 존재. 특히 긴급 유동성 공급 장치인 SRF 창구에 대한 활용이 최근 확대. 이날의 경우 SRF 84억 달러 수요가 확인. 다만 과거 코로나 당시 하루 최대 2,700억 달러 가량이 사용되었던 사례를 감안하면, 현재 SRF 사용량 증가는 리스크 확대가 아닌 되려 QT 기대감 확대 재료로 소화. 한편 달라스 연은에서 집계한 제조업지수는 10월 -5.0pt로 전월대비 소폭 회복, 다만 시장 영향은 제한.
(달러↓) 달러화는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에 보합권 하락.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 유예하고, 미국 또한 추가 관세 부과가 없는 방안으로 합의될 가능성을 언급. (유로↑) 유로화는 프랑스 사회당이 불신임 투표 관련 결정을 주말까지 미루겠다고 언급하며 회복. (엔↓) 엔화는 BOJ의 금리 인상 기조 지속 전망에 추가 약세 제한. OIS 시장에 반영된 BOJ 인상 경로는 내년 9월까지 추가 2회 인상. 이는 다카이치 총리 당선 전인 월초(10.07)와 동일.
금일 전망: 외국인 원화수요 vs 내국인 달러수요 대치 지속
금일 달러-원 환율은 위험선호 심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1,420원 중후반으로 소폭 하락할 전망.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영향으로 경제지표 발표는 부재. 다만 지난주 CPI 발표 후에 이어지는 금리 인하 기대감, 단기 유동성 부족에 따른 QT 종료 기대감,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 등 대체로 위험선호 재료가 금융시장을 주도. 오늘도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 순매수에 따른 원화 수요가 환율의 추가 하락을 주도할 전망.
다만 위험선호는 동시에 내국인의 미국 증시 투자 수요를 확대. 지속적으로 확인된 달러-원 환율의 하단 지지력은 오늘도 해외투자 환전수요를 중심으로 지속될 전망. 또한 위안화가 연내 최고 수준으로 강세를 보이는 만큼 중국 당국의 속도 조절 의지도 달러-원 환율 하단을 지지할 재료.
금일 예상 레인지 1,425-1,433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미래 먹거리: 2025년 12월 31일까지 양자 컴퓨팅 관련 미국 주식 가격 추세 분석(Surf AI 테스트)2025년 12월 31일까지 양자 컴퓨팅 관련 미국 주식 가격 추세 분석
양자 컴퓨팅 주식들은 연말까지 강세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순수 양자 기업들(IONQ, RGTI, QBTS, QUBT)은 50-200%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대형 기술주들(IBM, Microsoft, Amazon)은 10-20% 상승이 전망됩니다. 현재까지 570%-6,590%의 폭발적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AI 통합과 상용화 진전이 주요 동력입니다.
1. 핵심 분석
1) 현재 시장 성과
주요 종목별 현황(2025년 10월 20일 기준):
| 종목 | 현재가 | 연초 대비 | 1년 수익률 | 시가총액 |
|------|--------|-----------|------------|----------|
| IONQ | $62.94 | +52.47% | +433.84% | ~$22B |
| RGTI | $46.38 | +187.36% | +4,830% | - |
| QBTS | $38.33 | +3,480% | +3,480% | $13.11B |
| QUBT | $18.33 | +9.83% | +2,280% | - |
| IBM | $281.28 | +26.81% | +21.24% | - |
2) 거래량 분석:
최근 투기적 랠리로 평균 거래량이 급증했습니다. IONQ는 평균 2,580만주에서 최고 3,340만주, RGTI는 5,110만주에서 1억 1,200만주로 폭증했습니다.
2. 기술적 분석
1) IONQ 기술적 지표:
- RSI (14일): 48.66으로 중립, 과매수 없이 상승 여력 존재
- MACD: 4.94 (양수)로 강세 컨버전스 신호
- 지지선: $61.21 (최근 저점), $70 (21일 이평선)
- 저항선: $75-$81 (채널 상단), $84.64 (52주 최고가)
2) RGTI 기술적 지표:
- RSI: 62.98-86.2로 과매수 경계, 단기 조정 위험
- MACD: 7.63 (강세)이지만 거래량 감소 시 다이버전스 위험
- 지지선: $43 (채널 하단), $36 (피보나치 61.8% 되돌림)
- 저항선: $50 (최근 고점), $55.44
3) QBTS 기술적 지표:
- RSI: 63.63-83.2로 중립-과매수, 장기 상승 후 조정 위험
- MACD: 5.29 (강세) 하지만 시그널 라인 하향 교차 모니터링 필요
- 지지선: $36.06 (최근 저점), $20 (애널리스트 최저가)
- 저항선: $46.75 (52주 최고가), $50
3. 애널리스트 전망
1) 가격 목표 (12개월 기준):
| 종목 | 최저 목표 | 최고 목표 | 컨센서스 | 2025년 말 예상 |
|------|-----------|-----------|----------|----------------|
| IONQ | $32 | $100 | $44.80 | $80-$90 |
| RGTI | $18 | $50 | - | $55-$60 |
| QBTS | $20 | $50 | - | $45-$55 |
| QUBT | $15 | $40 | $26.33 | $25-$30 |
| IBM | $198 | $350 | - | $300-$320 |
2)수익 전망:
IONQ는 FY 2025 매출 $82-100M (115% 성장) 예상, RGTI는 매출 감소(-19.7%) 전망하지만 2026년 반등 기대됩니다.
3)11월 실적 발표 일정
핵심 실적 발표:
- IONQ: 11월 5일 (EPS -$0.44 예상, 매출 $26.99M)
- RGTI: 11월 11일 (EPS -$0.05 예상, 매출 $2.17M)
- QBTS: 11월 6일 (EPS -$0.07 예상, 매출 $3.03M)
실적 상회 시 20-50% 급등, 하회 시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섹터 성장 동력
(1) 시장 규모: 2025년 현재 $35.2억에서 2030년 $202억 (연평균 41% 성장) 전망됩니다. McKinsey는 2035년까지 $1,000억 시장 예측했습니다.
(2) 투자 급증: 2025년 3분기까지 $12.5억 투자로 전년 대비 2배 증가했습니다. Bank of America는 5년 내 $40억 시장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5) 주요 촉매 요인
(1) 긍정적 촉매:
a. 제품 출시: Rigetti 100+ 큐비트 시스템 (Q4 2025), IBM 양자 우위 데모 준비
b. 파트너십 확대: IBM-바스크 정부 협력, Amazon AWS Quantum Embark 프로그램
c. 정부 계약: 미국 양자 전략 강화로 IONQ/RGTI/QUBT +40% 상승
d. AI 통합: Nvidia 양자-AI 슈퍼컴퓨터 ABCI-Q 출시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주목
(2) 리스크 요인:
a. 희석 위험: IONQ $20억, QUBT $7.5억 신규 자금 조달로 주식 희석
b. 과대평가 우려: 순수 양자 기업들 매출 $26M 대비 시총 $550억
c. 기술적 한계: Jensen Huang "상용화까지 20년" 발언으로 일시 급락
6) 사회적 심리 분석
(1) 소매 투자자: 압도적 낙관론 지배적입니다. IONQ를 2025년 오버웨이트 픽으로 지지하는 의견이 많습니다.
(2) 기관 투자자: HSBC-IBM 채권 거래 실증, Vanguard-IBM 포트폴리오 최적화 연구 등 실용적 관심을 보이지만 상용화까지는 수십 년 소요로 신중한 입장입니다.
(3) 주요 논란:
- 강세론: AI-양자 시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확산
- 약세론: 닷컴 버블 유사성, 최소 매출 대비 과대 시총
4. 연말 시나리오 분석
1) 가능 시나리오
| 시나리오 | 확률 | 순수 양자주 | 대형 기술주 | 주요 촉매 |
|----------|------|-------------|-------------|-----------|
| 강세 | 60% | +100-200% | +15-25% | 실적 호조, 파트너십 확대, 정부 지원 |
| 중립 | 30% | +25-75% | +5-15% | 현재 추세 지속, 제한적 변동성 |
| 약세 | 10% | -30-50% | -10-20% | 상용화 지연, 희석 우려, 거품 붕괴 |
2) 투자 전략 권고
(1) 적극적 포트폴리오: 순수 양자주 중심
- IONQ: 기술 리더십과 자금력으로 최선호
- QBTS: 최적화 특화로 실용성 높음
- 목표: 50-150% 수익, 높은 변동성 수용 필요
(2) 안정적 포트폴리오: 대형 기술주 중심
- IBM: 다각화된 수익과 양자 인프라 리더
- Microsoft/Amazon: 클라우드 플랫폼 통한 간접 노출
- 목표: 10-25% 수익, 낮은 리스크
5. 결론
양자 컴퓨팅 주식들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전반적 강세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순수 양자 기업들은 AI 통합과 상용화 진전을 바탕으로 50-200% 상승 잠재력을 보이며, 11월 실적 시즌과 Q4 제품 출시가 핵심 변곡점이 될 것입니다. 다만 높은 변동성과 희석 위험을 감안해야 하며, 안정성을 선호하는 투자자는 IBM 등 대형 기술주를 통한 간접 노출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섹터 전반의 성장 모멘텀은 지속되지만, 개별 종목 선별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저의 부족한 첨언
- 앞으로 약 5년 동안 위 주식이나 관련 ETF를 선정하여 매일 1주 정도(최대 100달러) 분할 매수할 계획이며, 그 사이 금, S&P500, 나스닥, 비트코인의 가격 추이를 고려하여 투자할 생각입니다.
저의 부족한 투자 포트폴리오:
- (현재 진행 중) 연금 저축, 퇴직 연금 -> 세제 감면 혜택 받기
- (현재 진행 중) 달러 소량 분할 매수
- (현재 진행 중) 코스피 반도체, AI 관련 주식 소량 분할 매수
- (계획) 금 현물 투자
- (계획) 양자 컴퓨팅 주식 또는 국내 ETF(ISA 계좌 활용) 투자
비트코인 2025년 12월 31일까지 예상 추세 분석(Surf AI 테스트)비트코인 2025년 12월 31일까지 예상 추세 분석(Surf AI)
비트코인은 2025년 12월 말까지 강세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목표가는 $120,000-$200,000 범위입니다. 현재 $110,884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공급 부족, 기관 수요, 그리고 역사적 사이클 패턴이 상승을 뒷받침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있을 수 있지만, 연말까지의 전반적인 방향성은 긍정적입니다.
1. 핵심 분석
1) 기술적 분석
현재 가격 구조: $110,884 (2025년 10월 20일 UTC 기준)에서 거래 중이며, 4시간 차트에서는 강세 모멘텀을 보이나 일간 차트에서는 조정 양상을 나타냅니다.
멀티 타임프레임 신호:
- 단기 (4시간): RSI 60.31로 중립-강세, MACD 히스토그램 양수로 상승 모멘텀 구축
- 중기 (일간): RSI 44.86으로 중립-약세이지만 회복 여지 존재
- 장기 (주간): RSI 51.79로 중립, 반감기 이후 축적 단계 지속
2) 핵심 가격 수준:
| 구분 | 가격 수준 | 강도 | 근거 |
|------|-----------|------|------|
| 지지선 | $107,426 | 강력 | 롱 포지션 청산 집중 구간 ($16.8억 노출) |
| 지지선 | $104,674 | 보통 | 4시간 볼린저밴드 하단 |
| 저항선 | $111,188 | 보통 | 4시간 볼린저밴드 상단 |
| 저항선 | $115,843 | 강력 | 일간 볼린저밴드 중앙선, 옵션 맥스페인 |
2. 파생상품 분석
1) 선물 시장: 총 미결제약정 $722.6억 (+4.81% 24시간)로 강세 참여를 확인합니다. 펀딩비율이 양수를 유지하며 롱 포지션이 우세합니다.
2) 옵션 시장: 총 미결제약정 $608억으로 활동이 증가했습니다. 맥스페인은 $108,000-$115,000 구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3) 청산 리스크: 현재 가격 아래 롱 청산이 $16.8억, 위쪽 숏 청산이 $12.9억으로 비대칭적 상승 리스크를 나타냅니다.
3. 기관 투자 동향
1) ETF 자금 흐름: 연초 대비 $225억 순유입을 기록했으나, 10월 들어 $12.3억 유출을 경험했습니다. 기관 보유 자산은 $1,571.8억에 달하며 전체 시총의 6.81%를 차지합니다.
2) 기업 재무부 채택: 172개 상장기업이 100만 BTC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3분기에만 48개 신규 기업이 추가되어 38% 증가했습니다. MicroStrategy가 약 64만 BTC로 선두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 온체인 메트릭스
1) 공급 역학: 거래소 보유량이 6년 최저치인 230만 BTC로 감소하여 매도 압력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장기 보유자(LTH)는 3분기에 50.7만 BTC를 매도했으나, 소액 보유자들의 축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 밸류에이션: MVRV 비율 2.2, Z-스코어 2.15로 역사적 관점에서 저평가 상태입니다. 실현 시가총액은 약 $1조로 현재 시총 $2.2조와 비교할 때 상승 여력을 시사합니다.
5. 사회적 심리 분석
1) 전반적 심리: Twitter/X에서 압도적으로 낙관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입니다. 커뮤니티는 역사적 회복 패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HODL 멘탈리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 핵심 오피니언 리더: Michael Saylor는 연말까지 $350,000 예측을 제시하며 적극적 축적을 옹호합니다. Raoul Pal과 Matt Hougan 등은 $200,000+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3) 제도적 인식: BlackRock ETF의 빠른 성장과 유럽 시장 확산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6. 연말 전망
1) 시나리오 분석
| 시나리오 | 확률 | 목표가 | 주요 촉매 |
|----------|------|--------|-----------|
| 🟢 강세 | 70% | $150,000-$200,000 | ETF 재유입, 연준 금리인하, 규제 명확화 |
| 🔵 중립 | 20% | $120,000-$150,000 | 현재 추세 지속, 제한적 변동성 |
| 🔴 약세 | 10% | $80,000-$100,000 | 매크로 충격, 규제 리스크 |
2) 핵심 촉매 요인
(1) 긍정적 요인:
- 연준 추가 금리인하 (25-50bp) 기대
- ETF 자금 재유입 ($100-150억 추정)
- 기업 재무부 채택 확산 (추가 50개 기업 예상)
- 규제 명확성 개선 (DeFi 법안 통과 가능성)
(2) 리스크 요인:
- 장기 보유자 매도 지속
-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관세, 정부 셧다운)
- ETF 유출 지속 가능성
7. 결론
비트코인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강세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107,500 이상 유지 시 $120,000-$130,000 목표를 제시하며, 공급 부족과 기관 수요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전문가 예측은 $133,000-$200,000 범위에 집중되어 있으며, 역사적 사이클 패턴과 제도적 채택이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 변동성은 있겠지만, 전반적인 위험-수익 비율은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성투하세요.
10/17 관세협상 기대 vs 다카이치 트레이드 전일 동향: 한미 관세협상, 외국인 순매수에 달러-원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한미 관세협상 기대감에 1,410원 후반대 소폭 하락.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1,421원 수준에서 개장후 이내 하락 압력을 소화. 오전 중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기대감에 1,420원 대 하향 돌파를 시도. 또한 장중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수 유입되자 한때 1,417원 수준까지 낙폭을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4.7원 내린 1,417.9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제2의 SVB 사태? 日 다카이치 선출 가능성↑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QT 종료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 하락. 이날 시장을 주도한 이벤트는 지역은행의 대출 부실 문제. 지역은행 자이언스는 5천만 달러 규모의 대출을 회계상 손실로 처리했으며, 웨스턴 얼라이언스 은행의 경우 대출업체 한 곳이 담보권 사기를 저질렀다고 고시. 이에 지난 2023년 3월 SVB 사태와 같은 금융시장 유동성 우려가 부각. 단기자금 시장을 보면 유동성 부족의 신호인 SOFR-IORB 스프레드가 최근 꾸준히 상승(차트1). 연준의 지급준비금 또한 3조달러 미만으로 하락하며 지난 SVB 사태 당시와 유사한 수준까지 하락. 유동성 우려에 QT 종료 기대감이 상승했으며, 연준 위원들의 발언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영향.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AI가 주도하는 경제 성장과 고용 시장 둔화의 불균형을 언급. 이에 향후 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하나, 다가오는 10월 인하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강조. 한편 재무부는 연방정부 재정수지를 발표. 9월 관세 수입은 8월과 유사한 296.8억 달러를 수취한 반면, 이자비용은 370억 달러로 전월대비 크게 하락하며 재정수지가 개선.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가 크게 하락하자 이와 연동되며 하락. (유로↑) 유로화는 프랑스 내각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부결되자 정국 안정화에 강세. (엔↑) 엔화는 다카이치의 총리 당선 가능성 상승에도 달러화에 눌려 강세. 공명당과의 연정이 깨져도 총리 투표에 결정적인 하원(중의원) 의석수가 더 많은 유신회와의 연정 가능성이 부각.
금일 전망: 위험회피 심리와 다카이치 트레이드 재개에 소폭 상승
금일 달러-원 환율은 위험회피 심리와 엔화 약세가 동반되며 1,410원 후반대로 소폭 상승할 전망. 전일 미국 증시는 지역은행 부실 대출 우려에 하락하며 위험선호 심리가 훼손. 이에 순매수 형태로 유입되던 외국인 자금이 오늘 매도로 돌아설 경우 환율은 상승 압력을 소화할 전망. 또한 일본에서는 다시 다카이치 총재의 총리 선출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엔화 약세가 재개될 가능성도 존재. 이에 따른 달러화 반등도 달러-원 환율에는 상승 재료.
다만 지속되는 관세협상에 대한 기대감은 환율의 추가 하락 공간을 제공. 주목할 부분은 3,500억 달러에 대한 선불/후불 여부와 현금 투자 비중. 일각에서는 미 재무부 ESF(외환안정화기금)의 일부 활용 가능성도 거론되나 현재 잔액(순자산)이 430억 달러 수준임에 불가능. 구체적인 발표 전까지는 기대감 자체가 환율 하락 재료로 소화될 여지.
금일 예상 레인지 1,412-1,421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미중 무역 갈등 속 내가 베팅하는 선수는?The Redoubling 은 TradingView에서 제가 직접 진행한 연구 프로젝트로, 다음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자본을 두 배로 늘리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각 기사에서는 제 모델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려고 하는 다양한 회사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기사가 게재된 날의 마지막 일간 캔들의 종가를 초기 매수 한도 가격으로 사용하겠습니다. 저는 모든 결정을 기본 분석에 근거하여 내리겠습니다. 게다가 저는 계산에 레버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지만, 수수료(거래당 0.1%)와 세금(자본 이득 20%, 배당금 25%)만큼 자본을 줄일 것입니다. 해당 회사 주식의 현재 가격을 알아보려면 차트에서 재생 버튼을 클릭하세요. 하지만 이 자료는 교육 목적으로만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아두세요, 이것은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Silergy Corp.(티커: TWSE:6415 )의 회사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 활동 분야 Silergy Corp.는 전력 관리, 신호 체인, 소비자, 산업, 자동차 및 컴퓨팅 분야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IC에 핵심 강점을 둔 패블리스 아날로그/혼합 신호 집적 회로(IC) 설계 회사입니다. "가상 IDM" 모델(즉, 웨이퍼 제조는 아웃소싱하고 설계, 통합 및 시스템 수준 기능은 내부적으로 처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2. 사업 모델 Silergy는 패블리스 IC 설계 + 라이선싱/제품 판매 모델을 운영합니다. 아날로그, 혼합 신호, 전력 관리 칩을 설계하고, 파운드리에 제조를 아웃소싱한 다음, 완성된 IC(및 참조 설계, 시뮬레이션 도구, 기술 지원과 같은 관련 서비스)를 판매합니다. 고객은 주로 가전제품, 자동차,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컴퓨팅 분야의 OEM으로, B2B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3. 주력 제품 또는 서비스 주요 제품 라인에는 DC-DC 레귤레이터, AC/DC 컨버터, 전원 모듈, LED 드라이버, 배터리 관리 IC 및 신호 체인 장치(예: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가 포함됩니다. 주목할 만한 인수 사례 중 하나는 Maxim으로부터 인수한 Teridian Semiconductor로, 이를 통해 Silergy는 에너지 계량/스마트 계량 IC 분야에서 역량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Silergy는 또한 R&D에 많은 투자를 하고(많은 엔지니어를 두고 있음) 고객에게 설계/시뮬레이션 지원을 제공합니다.
4. 사업을 위한 주요 국가 Silergy는 중국(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주로 중심 지역임) 대만(상장 관할권)과 미국(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있는 기술/설계 사무실)에도 핵심 기술 입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객 기반을 고려하면 디자인 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전자 시장(아시아, 북미, 유럽)에 제품을 판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주요 경쟁사 Silergy는 Texas Instruments, Infineon, ON Semiconductor, Analog Devices, Maxim Integrated(현 Analog Devices의 일부) 및 기타 중국 신흥 아날로그 IC 기업과 같은 글로벌 아날로그/전력 IC 기업과 경쟁합니다. 특히 PMIC(전력관리IC) 분야에서는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이 강력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6. 이익 성장에 기여하는 외부 및 내부 요인 외부 요인:
전력 효율적인 기기(스마트폰, IoT, 전기 자동차, 재생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아날로그/전력 관리 IC에 대한 수요도 증가합니다.
글로벌 전기화/녹색 에너지 추세(예: 에너지 관리, 배터리 시스템)는 새로운 접근 가능한 시장을 창출합니다.
지역 공급망 현지화 추진(예: 중국의 국내 반도체 역량 강화 욕구)은 Silergy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회복으로 수요와 가격 조건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내부 요인:
깊은 R&D 투자와 엔지니어링 인재를 통해 Silergy는 차별화된 디자인과 더 높은 통합성을 제공합니다.
Teridian 인수를 통해 에너지 계량/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 새로운 역량과 시장 진출이 가능해졌습니다.
가상 IDM 모델은 자본 지출을 낮게 유지하고(대규모 제조 시설 없음) 확장에 있어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파운드리와 고객과의 강력한 관계와 참조 설계/지원 제공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반복적인 설계 성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7. 이익 감소에 기여하는 외부 및 내부 요인 외부 요인:
규모, 브랜드, 생태계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기존 아날로그/전력 IC 거대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
상품화된 아날로그/전력 부문의 가격 압박.
반도체 산업 주기의 변동성, 공급망 중단 또는 파운드리 생산 능력 제약.
규제/지정학적 위험(예: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기술에 대한 미국의 수출 제한)으로 인해 접근이나 파트너십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TWD, USD, RMB 간의 통화 변동
내부 요인:
외부 주조 공장에 대한 의존은 운영 및 공급 위험을 초래합니다.
높은 R&D 및 설계 비용은 충분한 판매량으로 상쇄되어야 합니다. 설계 실패나 제품 출시 지연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시장(예: 스마트 미터링)을 확장하는 데 따른 실행 위험은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가격 책정이나 경쟁으로 인해 마진이 감소하면 수익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8. 경영진의 안정성 지난 5년간의 임원진 변경 사항:
Silergy는 실리콘 밸리의 베테랑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주요 임원으로는 Chen Wei(회장)와 You Budong(공동 CEO)이 있습니다. 공개 보고서에는 CEO 교체가 자주 언급되지 않지만, 비교적 젊고 성장 중인 반도체 회사로서 리더십 연속성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습니다. (최근에 널리 알려진 CEO나 CFO의 개편 내용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전략, 우선순위, 문화에 미치는 영향: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영 환경은 장기적인 R&D와 성장 지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Teridian 인수, 미국 디자인 센터로의 확장, 아날로그/전원 도메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경영진이 기술적 규모와 지리적 범위를 우선시했음을 시사합니다. 리더십의 연속성은 기업 전략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회사를 내 모델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주당순이익과 총수익 모두에서 성장이 보입니다. 하지만 매출채권회전일수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운영, 투자, 재무 현금 흐름은 변동성이 크지만, 대차대조표는 여전히 건전합니다. 부채 대 수익 비율, 현재 유동성, 이자 보장이 모두 우수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 증가, 안정적인 매출총이익률, 낮은 운영비용, 양호한 지불 조건 등의 추가 지표는 회사의 회복력을 확인시켜 줍니다. P/E 비율은 33로, 회사의 성장을 고려하면 허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회사의 존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뉴스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다각화 계수가 20이고 현재 주가가 연평균 EPS에서 16%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저는 자본의 15%를 이 회사에 배정할 것입니다. 이러한 균형 잡힌 결정은 외부 요인과 관련된 위험 때문에 신중함을 유지하면서도 성장 지표와 강력한 대차대조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10/16 무역합의에 걸어보는 기대 전일 동향: 달러화 약세와 엔화 강세에 하락한 달러-원
전일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와 엔화에 영향받아 1,420원 초반 수준으로 하락. 장 초반 1,429원 수준에서 개장한 환율은 오전 중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발언을 소화하며 하락. 이후 다카이치 트레이드 되돌림에 엔화 강세도 나타나자 환율은 1,420원 초반까지 낙폭을 확대. 1,420원 수준에서 해외투자 환전수요 유입되며 하단은 지지. 주간장 전일대비 6.8원 내린 1,421.3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금리 하단 확인? 佛 당분간 진정될 정국
(미국채 금리 단기↑,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레벨 부담이 동시에 작용하며 보합권 혼조 마감. 전일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발언 이후 올해 추가 2회 인하 기대감은 92.8%로 높게 유지. 다만 10년물 금리 4.0%, 30년물 금리 4.5% 대에서는 낙폭 과대 인식 속 매도 물량이 출회되는 모습. 이날 발표된 연준의 베이지북은 시장 영향이 제한. 내용을 요약해보면 8월 말~10월 초 사이 1) 경제활동은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며, 2) 고용시장도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감소하는 안정적 둔화세가 유지 3) 물가는 상승했으나, 이는 관세로 인한 전가 효과가 아닌 보험과 의료 등 서비스 비용 상승이 주도했다고 언급. 한편 DKW모델을 통해 추정한 최근 금리 하락의 주도 요인은 8-9월 사이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 하락. 이는 거꾸로 CPI 발표를 기점으로 기대인플레가 금리의 반등을 주도할 수 있다는 근거.
(달러↓) 달러화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유지된 가운데 유로화 강세를 소화하며 추가 하락. (유로↑) 유로화는 프랑스 르코르뉘 총리의 연금 개혁안 유예 제안 이후, 사회당이 불신임 투표에 반대할 것이란 의견을 개진하자 정국 안정화 전망에 강세. (위안↑) 한편 위안화는 물가 지표의 완만한 반등 영향에 강세. 중국의 근원 CPI와 PPI 물가는 지난 8월대비 소폭 반등.
금일 전망: 무역합의 기대감에 1,410원 대 진입 시도?
금일 달러-원 환율은 한미 무역합의 기대감에 1,410원 후반대 진입을 시도할 전망. 최근 미중 무역갈등을 중심으로 시장 심리는 불안과 안도를 반복. 그럼에도 금리 인하 기대감과 주식시장 중심 위험선호 심리는 유지되며 달러-원 환율에도 하락 압력이 우위. 여기에 더해 스콧 베센트 재무부장관은 직접 한국과의 무역합의가 곧 마무리 될 가능성을 언급. 국내 외환시장 불안을 주도했던 대미투자 관련해서도 베센트 장관이 긍정적인 발언을 이어간 만큼 환율의 추가 하락 공간은 존재.
다만 여전히 강한 달러화 저가매수세, 미국채 금리의 바닥 확인 등 재료는 환율 하단을 지지. 특히 미국채 금리가 최근 빠르게 하락한 만큼 10년물 4.0%수준에서 하단이 지지되는 현상이 확인. 이를 통한 달러화의 추가 하방 제약 움직임은 달러-원에도 적용될 가능성.
금일 예상 레인지 1,416-1,424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10/15 외환시장의 정치화(Politicalization) 전일 동향: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우려에 1,430원대 복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중국의 대미 제재 조치 발표에 1,430원대로 상승.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야간장 환율 종가를 반영해 1,426원 수준에 개장. 이후 내국인 해외투자 환전수요와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 수급이 대치하며 횡보. 다만 오후 중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에 대한 제재 조치를 발표하자 단숨에 1,430원을 상향 돌파. 주간장 전일대비 6.5원 오른 1,431.0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파월 의장의 비둘기 발언, 日 복잡해진 셈법
(미국채 금리 단기↓, 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발언에 단기물 중심 하락. 이날 파월 의장은 공개 연설에서 물가 상승 위험이 있는것은 맞으나, 노동시장에 더욱 심각한 하방 위험이 보인다고 언급. 이에 7명의 연준 이사회 위원 중 명확한 비둘기 신호를 보낸 위원은 현재 파월 의장을 포함해 총 4명의 과반수를 차지(파월/월러/보우만/마이런). 또한 파월 의장은 유동성 여건을 근거로 양적긴축(QT)의 중단 가능성도 언급하며 대체로 금리는 하락 압력을 소화. 한편 경제지표 발표 지연이 계속되는 가운데, IMF는 올해 미국과 세계 성장률을 지난 6월 전망 대비 각각 0.1%p, 0.2%p 상향 조정.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 상향 근거는 1) 관세 협상에 따른 세율 인하와, 2) 관세 자체의 경제적 영향이 예상보다 작으며, 3) AI관련 투자가 급증하며 성장률을 견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달러↓) 달러화는 중국 상무부의 대미 제재 조치에 급등락 했으나, 파월 의장 발언을 기점으로 하락. (엔↑) 엔화는 다카이치 트레이드 되돌림 여파에 강세. 지난 금요일 연립 여당을 구성하던 공명당이 자민당과의 협력 관계 결렬을 선언한 이후, 전일은 야당 연합이 회담을 가지며 총리 지명 선거를 기점으로 정권 교체 가능성이 거론. (유로↑) 유로화는 프랑스 총리가 연금 개혁을 2027년으로 유예하는 안을 제출하자 강세.
금일 전망: 불확실한 글로벌 정치 판도, 확실한 금리 인하?
금일 달러-원 환율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수급 요인을 소화하며 1,420원 후반대 거래를 지속할 전망. 최근 외환시장의 정치화(Politicalization)가 심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위안화와 달러화의 급등락, 일본 정국 불확실성에 따른 엔화 불확실성, 프랑스의 지속적인 내각 붕괴에 따른 유로화 변동성 모두 이를 방증. 이는 일간 환율 전망의 의미 자체를 퇴색시키는 요인이긴 하나, 특정 재료와 외환시장의 대응 함수를 확인한 만큼 이를 트레이딩 기회로 사용할 여지는 존재.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된 시장에서 그나마 명확한 기조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전일 파월 의장의 발언을 기점으로 달러화는 단기적으로 약세 압력이 우위를 보일 전망. 다만 동시에 대내 요인으로 보면, 수급적으로 명확한 추세는 내국인 투자자의 해외투자 환전수요. 이러한 두가지 재료가 상하방 재료로 작용하며 1,420원 후반대 교착 상태가 연장될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24-1,432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이번 트럼프발 알트코인 하락은 루나 빔이라기보단 붓다빔 때와 같습니다.그저께 트럼프 관련 이슈로 인해 알트코인 시장 전반에 큰 하락이 있었습니다.
바이낸스 기준으로 상당수 알트코인 차트가 무너졌고, 이에 따라 롱 포지션 청산도 폭발적으로 발생했습니다.
규모로 따지면 ‘붓다빔’ 당시의 약 19배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번 트럼프발 하락이 비트코인 사이클의 종료를 알리는 신호일까요?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번 조정은 붓다빔 당시와 심리적으로 유사한 흐름으로 보입니다.
역사적으로도 큰 불장이 오기 전에는 항상 투자자들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40%정도의 큰 하락이 동반되었습니다.
단지 이번에는 비트코인으로 가격을 크게 조정 줄 수없으니 알트코인으로 시장에 공포감을 조성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래서 이번 조정은 이번 사이클에 새로 진입한 투자자들에게
“이 시장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메시지를 주는 건강한 하락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더리움 리플 등 메이져코인은 딱히 이상할 것없는 조정으로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역시 이번 영상에서 말씀드렸듯,
현재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을 그리고 있거나,
혹은 상단 추세선을 돌파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국 이번 사이클의 고점을 판단하는 핵심은 비트코인 도미넌스 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저저점을 명확히 하향 돌파하기 전까지는
사이클이 고점에 다다랐다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이번 사이클은 17년도 사이클이랑 살짝 비슷합니다
21년도와다르게 나름 비트코인이 점진적 우상향을 하였고
지금까진 특정 알트코인들이 크게 올라줬는데(솔라나 밈코인 bnb 리플 스텔라 등등)
리플 스텔라 최근오른 지캐시를보면 근본있는 17년도 구코인들이 21년도 전고점을 돌파했습니다
중요한건 오를때 비교적 21년도와다르게 4주봉안에 크게 올랐다라는점입니다
스텔라루멘은 거의 2주봉만에 6배수준 가격 상승 폭을 보여줬습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 뭔가 더 폭락할 것 같지만 몇 주 뒤에 보면 귀신같이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엔 21년도에 크게 올랐던 nft 메타버스 관련 코인들이나 특정섹터 메타로 크게 오른 코인들은 전고점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에 크게 오를 코인들은 17년도에 존재하였으나 21년도에 17년도 전고점을 넘지 못한 코인들 + 21년도 저점대비 약 20배 미만 상승 폭을 보여준 코인들 중에서 나올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BTC 1D 차트) 비트코인 핵심 저항과 지지에 대하여먼저 현재의 비트코인은 ATH를 갱신하고 눌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추세의 연장에 대한 기대감과 추가 조정에 대한 관점이 강하게 부딪히는 시점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23.3k" 돌파 여부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10월 1일 이후 이어져 온 상승 그리고 ATH 갱신까지 단기 추세가 상승이라는 것을 반드시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매도포지션의 경우 리스크관리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으며, 추세의 연장을 기대하며 진입하는 롱포지션의 경우 118.3k를 기준삼아 Optiam Trading Entry로 설정하고 매매를 진행할 수 있겠습니다.
모멘텀 캔들의 충돌 그리고 결과
9월 25일 음봉과 10월 1일 양봉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각각 -3.81% / +3.99% 가격 변화를 만들어낸 날봉캔들입니다. 10월 1일 양봉이 직전 모멘텀 캔들의 하락분을 상회하며 ATH까지 올라갔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따라서 +3.99%를 초과하는 하락분이 날봉에서 나타나기 전까지 단기 추세(상승)가 더 유리함을 인지하고 매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e Redoubling. BRBR: 미국 스포츠 영양학의 새로운 왕?Redoubling은 제가 직접 진행한 연구 프로젝트로, 다음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자본을 두 배로 늘리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각 기사는 제 모델 포트폴리오에 추가한 다양한 회사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기사가 게재된 날의 마지막 일간 캔들의 종가를 거래 가격으로 사용하겠습니다. 저는 모든 결정을 기본 분석에 근거하여 내리겠습니다. 게다가 저는 계산에 레버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지만, 수수료(거래당 0.1%)와 세금(자본 이득 20%, 배당금 25%)만큼 자본을 줄일 것입니다. 해당 회사 주식의 현재 가격을 알아보려면 차트에서 재생 버튼을 클릭하세요. 하지만 이 자료는 교육 목적으로만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아두세요, 이것은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아래는 BellRing Brands, Inc. (티커: BRBR )에 대한 자세한 개요입니다.
1. 주요 활동 분야
BellRing Brands는 "편리한 영양" 카테고리에 중점을 둔 소비자 영양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Premier Protein, Dymatize, PowerBar 등의 주요 브랜드로 단백질 기반 제품(바로 마실 수 있는 셰이크, 파우더, 영양 바)을 판매합니다. BellRing은 이러한 브랜드 사업을 감독하는 지주 회사 구조로 운영되며 영양 분야에서 유통, 침투 및 혁신을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비즈니스 모델
BellRing은 미국과 해외에서 다양한 채널(예: 클럽, 대량 소매, 전자 상거래, 편의점, 특수)을 통해 영양 제품(셰이크, 파우더, 바)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 회사의 모델은 주로 소매 및 직접 채널을 통한 B2C(기업 대 소비자)이지만, 생산, 계약 제조, 물류 및 진열 공간을 처리하기 위해 소매업체, 유통업체 및 공동 제조업체와의 파트너십에도 의존합니다. BellRing은 또한 마케팅, 브랜드 구축, 가구 침투에 투자하여 반복 구매와 구매율 증가를 촉진합니다.
3. 주력 제품 또는 서비스
BellRing의 주요 브랜드 및 제품 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리미어 프로틴 : 바로 마실 수 있는 단백질 셰이크, 파우더 버전, 상쾌한 단백질 음료를 제공하는 주력 브랜드입니다. 이는 해당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입니다.
Dymatize : 스포츠 영양/성능 향상을 위한 단백질 파우더 및 관련 제품에 더욱 집중합니다.
PowerBar : 기존 영양 바 브랜드로, 국제적/범주 간 확장을 통해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비즈니스를 위한 주요 국가
BellRing의 주요 시장은 미국이지만 회사는 국제적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Dymatize의 국제적 성장은 긍정적인 동력으로 언급됩니다. PowerBar 브랜드 역시 유럽을 중심으로 35개 이상의 국제 시장에 진출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ellRing은 종종 "세계화를 더욱 확대하려는 야망을 가진 순수한 미국 영양 회사"로 묘사됩니다. 대부분의 유통 및 소비자 기반이 미국 중심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소매, 전자 상거래 및 편의 채널이 특히 중요합니다.
5. 주요 경쟁사
BellRing은 더 광범위한 식품, 음료 및 영양 분야에서 경쟁합니다. 주요 경쟁 및 동종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Medifast, Inc. (영양/다이어트 및 웰빙 제품).
코카콜라, 유니레버, 케우리그 닥터 페퍼, 허쉬(음료/영양 부문을 통해)와 같은 대형 소비재 및 음료 회사.
단백질, 건강/웰빙 분야의 특수 영양/보충제 회사.
Craft에 따르면, 경쟁사로는 Amy's Kitchen과 인접한 영양/식품 부문의 다른 회사들이 있습니다.
더욱 포괄적인 산업 비교에서 BellRing은 식품 가공 및 소비재 비주기적 동종업체와 함께 그룹화됩니다.
6. 이익 성장에 기여하는 외부 및 내부 요인
외부 요인
건강, 웰빙, 기능성 영양에 대한 거시적 추세: 소비자들이 단백질, 깨끗한 라벨, 편의성, 기능적 이점이 있는 제품을 점점 더 많이 찾고 있기 때문에 BellRing은 수요를 포착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주요 제품 부문의 낮은 침투율: 회사는 셰이크 부문이 여전히 가구 침투율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합니다(예: 일부 추적 채널에서는 48%로, 성장 여지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유통 확장 및 신규 채널(전자상거래, 편의점): 추적되지 않은 채널, 국제 판매,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성장을 통해 도달 범위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상품 주기 및 투입 비용 감소: 유리한 원자재 또는 투입 비용 추세(또는 헤지)로 인해 마진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2024년 4분기에 회사는 순 투입 비용 디플레이션이 마진 상승에 기여했다고 밝혔습니다.
내부 요인
브랜드 강점과 가구 침투율 성장: Premier Protein은 침투율이 크게 증가하여 반복적인 수요를 뒷받침합니다.
공급 및 제조 규모 확대: BellRing은 공동 제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셰이크 공급을 늘려 제약을 제거했습니다.
운영 효율성 및 마진 확대: 회사는 비용 규율, 조달, 생산 수수료(예: 달성 수수료) 및 헤지 전략을 사용합니다.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회사는 자본을 반환하고 주당 이익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합니다.
제품 혁신 및 확장: 영양 분야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면 판매량과 매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7. 이익 감소에 기여하는 외부 및 내부 요인
외부 위협
치열한 경쟁과 시장 포화: 영양/기능성 음료 분야는 경쟁이 치열하며, 자본력이 풍부한 기존 기업이 많습니다. 진열 공간 손실이나 홍보 압력으로 인해 마진이 침식될 수 있습니다.
소매업체의 전력 및 재고 감소: BellRing은 2025년 3분기에 주요 소매업체가 몇 주 분량의 공급을 줄였다고 공개했으며, 이는 성장에 역풍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입 비용 인플레이션 및 상품 변동성: 비용 상승이나 불리한 시장 가치 평가 헤징으로 인해 마진이 압축될 수 있습니다.
규제, 라벨링 또는 건강 관련 주장 위험: 식품, 음료 및 영양 부문에서 보충제, 건강 관련 주장 또는 라벨링과 관련된 규제 변경으로 인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법률/소송 노출: BellRing은 과거 소송(Joint Juice)과 관련하여 9,000만 달러 규모의 집단 합의를 공개했습니다.
내부적 약점
핵심 브랜드/제품 카테고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 Premier Protein의 실적이 저조할 경우 회사의 수익 집중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운영 실행 위험: 제조 확장, 공급망 중단, 품질 관리 실패 또는 마케팅 실수는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법적 준비금/예상치 못한 충당금: 2025년 3분기 법률 관련 충당금으로 실적이 타격을 입어 영업이익이 감소했습니다.
8. 경영의 안정성
지난 5년간 임원진 교체
Darcy Horn Davenport가 사장 겸 CEO를 맡고 있으며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BellRing이 분사되기 전에 Post의 Active Nutrition 사업을 이끌었습니다.
폴 로드는 포스트의 CFO로, 영양 사업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에 포스트에서 활동적인 영양을 담당하는 CFO를 역임한 바 있습니다.
2025년 7월 30일, BellRing은 Elliot H. 슈타인 주니어는 2026년 9월 30일자로 이사회에서 사임합니다. 동시에, 토마스 P. 에릭슨은 숀 W.의 수석 독립 이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코네웨이는 보상 및 거버넌스 위원회 위원장이 되었고, 제니퍼 쿠퍼먼은 집행위원회에 합류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임원 교체라기보다는 거버넌스/위원회 재배치로 설명됩니다.
기업 전략/문화에 미치는 영향
최근 주요 CEO나 CFO가 바뀌지 않아 경영진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이사회의 변화는 급진적인 변화라기보다는 위원회의 역할과 승계 계획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데이븐포트의 리더십 하에 회사는 공격적인 성장, 브랜드 침투, 공급 확대 전략을 실행했으며, 이는 경영진과 전략 간의 연속성과 일치를 시사합니다. 이사회 조정은 방향을 방해하기보다는 원활한 연속성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투자자의 신뢰를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내 모델 포트폴리오에 이 회사를 추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회사의 기본 사항을 살펴본 결과, 주당순이익은 현재 성장하지 않는 듯하지만 총수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낮은 부채 대 수익 비율과 안정적인 운영, 투자, 자금 조달 현금 흐름이 더해지면서 대차대조표의 튼튼한 기초가 마련되었습니다. 또 다른 주목할 점은 자기자본이익률과 매출총이익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유동자산비율이 높고, 이자보상비율이 우수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모든 사실은 유동성과 지불능력이 견고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E가 20.36인 이 주식은 기본 요소를 고려했을 때 흥미로운 가치 평가이며, 균형 잡힌 성장 프로필과 일치한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의 안정성을 위협하거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뉴스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다각화 계수가 20이고 현재 주가가 연평균에서 16EPS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하여, 저는 마지막 일간 바의 종가를 기준으로 이 회사에 자본의 15%를 할당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포트폴리오 개요
아래는 TradingView 포트폴리오 도구의 스크린샷입니다. 저는 모델 포트폴리오의 초기 자본으로 10만 달러를 사용했습니다. 새로운 거래가 추가되면 이 스크린샷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실물·노동시장과 증시의 괴리과거에는 구인 건수와 주가가 함께 움직였습니다.
경기 확장기에는 고용이 늘고 증시도 상승하는 구조였으나, 현재는 구인 건수가 뚜렷하게 줄어드는 반면 S&P500은 AI 투자 열풍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혁신에 대한 기대감이 실제 노동 수요와 분리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노동시장은 식어가고 있지만, 자본시장은 AI 기대감에 의해 랠리를 이어가는 전형적인 괴리 현상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앞으로 고용 지표가 구조적으로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AI와 자동화가 채용 수요를 줄이고, 경기 둔화와 맞물리면서 고용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AI가 시장 사이클의 새로운 동력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는 고용 악화라는 장기적인 리스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by Walker
미국 정부 셧다운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미국 정부는 2025년 10월 1일 새벽(ET 기준)부터 공식적으로 셧다운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의회가 새 회계연도 예산 또는 임시 경비연장안(CR)을 통과시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셧다운으로 인해 하루 약 75만 명의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가며 하루 약 4억 달러의 임금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필수 공공서비스를 제외한 연방정부 기능이 대부분 중단된 상태입니다.
가장 최근 셧다운은 2018년 트럼프 1기 당시 35일간 이어졌던 사례로, 미국 역사상 최장 기록으로 남았습니다. 평균 셧다운 기간은 약 8일이지만, 장기화될수록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장 반응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회복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과거 셧다운의 86%에서 12개월 후 S&P500 지수가 상승했으며, 평균 상승률은 약 +12.7%였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혼조세를 보이며, 종료 시점에서 상승한 경우는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현재는 셧다운 장기화 우려 속에 달러 약세(-10%), 금 가격 랠리(+45% YTD), 변동성 지수(VIX) 숏 포지션 증가 등 다양한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와 재정지출 확대, 자산 선호 이동(금·주식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셧다운은 단기적으로 시장 불안을 키우지만, 역사적으로는 장기 상승 흐름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달러 약세, 금 랠리,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이 동시에 겹치면서 과거보다 시장 파급력이 훨씬 클 수 있습니다.
by Walker
이 내용은 "The Kobeissi Letter"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5년 4월부터의 상승분에 대한 이더리움 분석 관점BINANCE:ETHUSDT
25년 트럼프 관세발표로 인한 하락이후 알트의 대장주라는 이름에 걸맞게 6개월동안 강한 상승의 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관심이 많아진 만큼, 이번 상승분에 대한 흐름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공유해보고자 포스팅 합니다.
4월 9일부터 시작된 상승흐름에 대한 채널관점의 분석입니다.
우선 앞으로의 흐름을 알기위해 어떤 흐름이 생성되었고 이어져 왔는지를 이해하여야 합니다.
기간별로 구간을 나누면,
4월 바닥 생성 후 박스권,
5월 박스권 돌파후 그 위에서 박스권 재형성
6월 박스권 크게 상방돌파후 큰 파동의 채널 형성
6월 채널 깨며 이스라엘 이란 분쟁으로 추가적인 하락. 유의미한 저점 생성
'그 이후 장기채널 관점 형성.'
그 이후에 계속해서 위의 채널 안에서 유의미한 움직임들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파란색 채널 하단으로 계속해서 트라이 하다가 올라타서 계속해서 Retest 후 성공 확인
그 후 가장 중요한 지점이 발생합니다.
기존 파란색 단기채널 상방 및 검은색 장기채널 50선이 맞닿아 있었습니다.
아주 중요한 구간이었고, 여기를 상방돌파하면 검은색 장기채널 상방으로 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돌파 성공. 후 리테스트 성공.
이제는 채널 상단을 목표값으로 보고 기다릴 수 있는 근거들이 충분히 형성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의 4000구간 돌파가 가능하다는 관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마의 구간 돌파후 채널 상단까지 뚫는 강한힘이 확인됩니다.
하지만 몇개월 동안 형성된 채널을 한번에 뚫어버리는 것은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고,
아니나 다를까 채널 상단돌파를 Whipsaw라고 판단할 수 있게 채널안으로 들어왔습니다.
그 이후 다시 하락채널을 형성 하며 50선 근처로 가고있었으나,
마의구간이었던 4000선에서 지지성공 후 하락 채널 상단을 돌파합니다.
다시 검은색 장기채널 상단을 트라이 하러 가겠다는 좋은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시 상단트라이를 하였고, 두번 시도하면서 신고가를 갱신하고 채널안으로 들어오는 모습입니다.
그 이후 하락하며 검은색 장기채널 50선을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후 리테까지 완성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 다음 중요 지지선인 초록색 상승추세선을 강하게 하락돌파하였습니다.
채널관점으로 본다면 채널 하단까지의 관점을 가질 수 있으나,
상승의 힘이 강했던 만큼 중간에 지지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제 드디어 최근입니다.
채널 하단 하락 지지구간 선에 지지받는 것을 확인하였고, 위로 상승채널을 다시 형성하였습니다.
수평 저항이었던 박스권 상단은 강하게 돌파 후 채널 상단까지 돌파한 상태입니다.
전 하락돌파하였던 초록색 상승추세선에 정확히 저항 맞고 하락하였으나 계속해서 Try 중입니다.
현재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초록색 상승추세선을 돌파후 파란색 채널 상단 및 초록색 상승추세선을 함께 Retest 성공하여 채널 50선 까지 도달하는 것입니다.
현재 예상으로 1차 TP 값은 4900 부근입니다.
성공적인 트레이딩에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