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금리인하 ‘빅컷’, 나스닥 지금이 가장 중요한 순간입니다. 미 연준의 4년만의 0.5% 기준금리 인하, 빅컷으로 나스닥이 앞으로도 계속 강하게 상승할지, 아니면 하락전환될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나스닥은 금리인하 소식에 1차 저항 구간을 돌파하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차 저항구간은 과거에 강한 매도세가 나왔던 자리였고, 이 구간을 돌파했다는 것은 그만큼 지금의 상승이 강하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나스닥은 이대로 계속 상승을 이어갈 수 있을까요?
아니요. 저는 다르게 생각합니다.
그 이유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차 저항 구간(Secound supply zone)
나스닥 100 지수는 현재 2만 달러 초반에서 강력한 2차 저항 구간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 구간은 과거에 많은 거래가 이루어졌던 자리로, 기관들의 강한 매도세에 의해 가격이 크게 하락했던 구간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2차 저항 구간은 지금도 기관들의 매도 물량이 상당히 쌓여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많은 투자자들은 나스닥이 계속해서 상승하더라도, 2차 저항 구간에 도달하면 다시 매도세가 강하게 쏟아져 하락할 것이라는 "투자 심리" 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이유로, 나스닥이 2차 저항구간에 도달한다면 너도나도 수 많은 투자자들이 하락에 베팅 주문을 넣을 것이고, 상승세가 2차 저항구간에서 버티지 못하고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볼린저 밴드 상단
현재 나스닥은 볼린저 밴드의 상단선에 근접해 있는 상황입니다.
볼린저 밴드의 상단선은 과매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자주 사용되며, 상단선에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나스닥이 볼린저 밴드 상단에서 저항을 받을 경우, 단기적인 조정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저는 나스닥이 하락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결론
1.나스닥은 상승하더라도 2차 저항구간에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2.수 많은 투자자들이 2차 저항구간에서 하락 베팅 주문을 넣을 가능성이 있음
3.볼린저 밴드 상단선에 닺는다면 조정 받을 것으로 예상.
위 근거들로 저는 나스닥이 하락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USTEC 트레이딩 아이디어
나스닥 상승 시작, 모두 속고 있습니다. 현재 US 100 지수(나스닥 100)은 의미 있는 반등의 모습을 보여주며, 다시 강한 상승을 할 것처럼 보여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번에 진짜 상승이 시작되는건지, 아니면 다시 추가적인 하락이 나올지 궁금하실겁니다.
제가 바로 결론을 말해드리겠습니다.
저는 추가적인 하락이 나올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저항 구간(Supply Zone)
-현재 나스닥은 저점에서 반등이 나왔고 계속 상승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스닥이 위치한 가격대는 과거 많은 매도 주문이 쌓여 있어, 강한 매도세가 발생했던 저항구간(Supply Zone)이며 또 다시 매도압력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가격대입니다.
2.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
-나스닥이 위치한 가격대는 피보나치 되돌림 0.786 가격대입니다. 이는 피보나치 지표로 해석하자면 매도세에 의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가격대라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피보나치 되돌림(Fibonacci Retracement)이란?
트레이딩에서 자주 사용하는 도구로, 가격이 추세를 따르다가 일정 부분 되돌림이 발생할 때, 그 되돌림의 수준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역사적으로 금융 시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되돌림 구간을 말합니다.
3.결론
시나리오 1: 저항구간(Supply Zone)에서 매도세가 강화될 경우, 가격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때는 최근 피보나치 저점인 0 부분이 지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추가 하락 시에는 그 아래 구간도 고려할 수 있는데요.
시나리오 2: 만약 가격이 저항구간(Supply Zone)을 돌파한다면, 추가적인 상승세가 나올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저항구간(Supply Zone)이었던 가격대가 이후 지지구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역할반전)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18788.2-18898.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이기 때문에 거래 시기에 해당되지 않다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왼쪽 피보나치 비율 1.902 (18788.2)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786 (18898.9)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17854.8-18250.3
2차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618 (17141.4)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최악의 경우 종착 구간은 16123.5-16322.6 부근이라 생각합니다.
-
왼쪽 피보나치 비율 1.902 (18788.2) ~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786 (18898.9)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게 되면,
1차 : 19582.6
2차 : 20313.8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나스닥 상승? 모두 착각하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비트형입니다.
현재 나스닥은 다우이론에 나오는 고점, 저점이 낮아지는 하락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최근 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이 나오지 않는한 이대로 하락관점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또한 첫번 째 고점 형성 이후 급락,
ICT차트 이론에서 말하는 FVG(공정가치갭)이 만들어 졌습니다.
이후 잭슨 홀 미팅에서 파월의 발언으로 반등을 보여주었는데요.
여기서 자세히 보면 FVG를 메꾸는 반등이 나왔고
피보나치 되돌림 0.618구간을 돌파, 0.786 근처에서 두 번째 고점을 만들었고 매도세에 의해 다시 하락한 상황입니다.
이후 두번째 고점에서 하락할 때 FVG(공정가치갭)이 두개나 만들어졌습니다.
※FVG(공정가치갭)이란?
ICT 차트 이론에서 나온 개념으로 금융 시장에서 가격이 급격히 움직일 때 특정 가격대가 거래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갭(gap)을 의미합니다. 이 갭은 시장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나중에 메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기술적 분석 개념입니다.
저 같은 경우 FVG가 두개가 연속으로 만들어진다면 두개를 하나의 FVG로 생각하고 전략을 짜고 있습니다.
어차피 한개든, 두개든 단기간의 급락으로 인해서 불균현이 발생했다는 개념이니까요.
제가 판단하기에 FVG까지 반등이 나와 갭을 메꾸고 하락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과거 패턴처럼 반등이 나와 피보나치 되돌림 0.618은 돌파하고, 0.786 근처까지 반등을 보여주고 다시 매도세에 하락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저는 진입시점을 노린다면 0.786 근처에서 저항받아 하락을 이어갈때 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라 생각합니다.
하락세 전환 지점 : 19250.0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D 차트)
왼쪽 피보나치 비율 2 (19441.0) 부근에서 지지 받고 20313.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하락세로 전환된 상태이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하락세로 전환된 상태이므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지지 받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1W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입니다.
최종 하락 지점은 1D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이고, 현재 HA-Low 지표 지점은 18250.3 입니다.
-
(Renko 1D 차트)
Renko 차트로 볼 때, 하락세로 전환 지점은 19250 지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일반 차트에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분을 터치하고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나스닥은 신? 모두가 틀렸습니다.안녕하세요. 비트형입니다 .
결론부터 바로 말하겠습니다.
저는 미국 주식시장에 하락장이 올 것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기침체
-이란, 이스라엘 지정학적 리스크
-과도한 상승장 이후 따라오는 하락장
그 외 많은 근거가 있지만 시황분석은 나중에 다룰 생각이고
이번글에서는 나스닥 100 차트 분석을 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현재 나스닥 1시간 차트를 보면,
반등 이후 1차, 2차 상승 추세선을 만들었고
1차 추세선이 이탈. 2차 추세선마저 깨고 하락했습니다.
추가로 장기추세의 기준이 되는 120 EMA(지수이평선)까지 깨는 하락이 나왔습니다.
요약하자면
-1차,2차 상승추세선 이탈하는 하락.
-장기추세의 기준 120EMA를 깨는 하락
저는 위 이유들로 이제 나스닥은 하락이 시작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
나스닥100 추가 하락 일봉과 주봉을 보면 s/r 플립 현상이 너무 보이지 않음?
국장, 비트, 전부 하락 이후 모든 사람들이 하락은 끝났고 조정이였을 뿐이다.
라고 하는데
거리껴 지는게 없나? 왜 나스닥만 저항선을 맞고 뚫지를 못하냐.
결국 대장은 나스닥이고 나스닥 차트는
저항 돌파가 없다면 추가 하락을 나타내는데
다들 반등에 너무 좋아하는거 아닌가? 나만 쎄해?
경제침체... 이제 시작일거라면 당분간은 횡보도 있겠지 ..
언제 터지느냐의 싸움
S/R 플립 현상.
기존의 저항이던 부분이 지지로 변경되고
기존의 지지이던 부분이 저항으로 바뀌는 현상.
나는 나스닥과 비트가 디커플링이 되는 순간까지 롱은 참으렵니다.
비트를 살거임
비트코인, 결국 우상향 합니다✅ 비트코인 감기, 알트코인 몸살
최근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의 컨디션이 상당히 형편없습니다
이대로 시장이 끝나려는 것일까요
저의 대답은, 시장의 부진은 있을 수 있어도, 코인시장은 결국 우상향할 것이라 봅니다
뉴스에 나오는 비트코인 20,000$에 매수해서 70,000$에 매도한 영웅같은 사람들은 과연 쉽게 수익을 얻었을까요
해당 목표가까지 끌고가는데, 얼마나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겠습니까
코인을 하다보면, 특정 분기는 손실을 내는 구간이 분명히 존재하고
특정 분기는 수익을 낼 수있는 구간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판단합니다
약세시장이든, 강세시장이든 어떠한 구간에서도 수익만 내려고하는 것은 욕심이지요
약세시장에서는 어느정도 리스크와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것이며
강세시장에서 그것을 만회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요
대부분 약세시장에서 리스크를 짊어지지 못해 포기하고 떠납니다
그러나, 결국 강세시장은 찾아오고, 포기한 사람들은 '본인은 당했다', '코인은 사기'라며 떠들고 다니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무슨 하루살이도 아니고, 오늘날의 통장잔고가 중요한게 아니잖습니까
결국, 장기간의 투자를 통한 우상향의 시드그래프가 중요한 것입니다
비트코인 차트가 파도를 치며, 내려갔다가 올라가고 내려갔다가 올라가고 하면서, 우상향을 그리는 것처럼
우리의 시드도 다소 잃기도하며, 다시 수익내기도 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시드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면 될 뿐입니다
모쪼록, 다들 파도에 휩쓸려 낙오되지 마시고, 이 시장에서 부디 같이 살아남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 마운트곡스 상환
07월부터 대규모의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의 상환절차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저는 당장은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등의 투자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해당 상환절차에 따라, 비트코인에 과하게 쏠려있던 자금이 알트코인에게 분배가 되는 트리거 역할이 될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해당 마운트곡스 악재로 비트코인이 58,000$까지 하락하였으나, 알트코인들은 별다른 하락이 나오지 않았죠
본래, 비트코인이 그정도로 빠지면 알트코인은 그보다 더한 대폭락이 나오는 법인데,
상대적인 가격방어가 뛰어났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비트코인 하락에, 오히려 고점을 높인 알트코인들도 다수 나왔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비트코인에 투자하기보다 알트코인쪽으로 관심을 가져야 시기라고 판단합니다
✅ 월드코인
앞으로, 비트코인에게 쏠려 있던 자금이, 알트코인쪽으로 분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렇다면, 조심해야 될 알트코인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일단 첫째, 월드코인입니다
월드코인은 7월24일부터 약700일동안 매일 620만개의 토큰이 락업해제가 될 예정입니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들어오는 것이, 락업해제가 되면 무조건 하락하나요
라는 질문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금해제가 된다고 무조건 하락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조심하자는 것이지요
비슷한 예시로, 기상청에서 비가 내린다고, 무조건 비가오나요
우리는 비가 올 가능성에 대해서 대비하기 위해 우산을 챙기면 될 뿐입니다
✅ 7월 대규모 락업해제 일정
2024년 07월에 약 5100억원어치 물량이 락업해제되는 가상자산은 4종입니다
알트레이어, 자이, 앱토스, 아비트럼이죠
제 포트폴리오중에 아비트럼을 가지고 있는데,
일단 홀드하고 있겠으나, 상황봐서 해당 종목은 다소 정리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4개종목 모두, 국내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니, 가지고 계신분들은 신중한 판단이 중요하겠습니다
코인시장에 너무 많은 알트코인들이 생겨났고, 그에 따라 살아남을 코인과, 없어질 코인들이 생겨나게 될 것입니다
아니다 싶은 종목들은 얼른 버리고 다른종목으로 갈아타는등, 포트폴리오의 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7월 비농업 고용지수
국내시간으로 7월5일, 오후 9시30분 미국의 비농업고용지수가 발표됩니다
비농업 고용지수란, 농축산업을 제외한 고용인구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 할 경우, 고용시장이 과열된 상태를 의미하며 금리인하 가능성은 낮아지게 되겠죠
그럴경우, 코인시장에게 있어 악재로 인식이 됩니다
우리나라 고용수치도 모르는데, 코인하다 보니 미국의 고용수치까지 찾아보게 되는게 참, 웃픈 일입니다
뭐 어쨋든, 우린 코인에 투자하고 있으니, 코인 시장가격에 영향 줄 수 있는 요소들을 모두 찾아봐야 할 것입니다
결국, 올해 11월 예정된 미대선전에 코인시장은 다시 한번 대불장이 찾아 올 것이라는 관점에는 변함없습니다
위험자산군은 역사적으로 대선이 있던 시기에 좋은 성과를 냈기 때문이죠
가격이 무한히 하락할 수도 없고, 무한히 상승할 수도 없습니다
결국, 어느정도 수익을 내면 어느정도 손실을 뱉어낼 수 밖에 없고.
어느정도 손실이 발생하였다면, 결국 나중에 더욱 큰 수익으로 연결되는 것이 코인시장입니다
이러한 등락폭에 멘탈이 갈린다면, 코인시장에서 낙오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것이 코인시장의 매력이자, 특징이닌깐요
✅ 비트코인과 미증시
경제학자 알렉스 크루거에 따르면, 비트코인과 미증시간 상관관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늘날, 나스닥은 신고점을 경신하여 고공승천하고 있으나, 비트코인은 별다른 가격변화가 없습니다만, 결국, 비트코인은 미증시와 동향을 함께하기에 결국 미증시를 따라간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비트코인과 나스닥 차트를 보시면 차트는 분명 동조현상을 보이며 흐름을 같이 하는 것이 보이지만, 진행되는 기간적차이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즉, 오늘날 미증시가 떡상한다고. 그와 똑같은 날짜와 시간에 같이 움직인다기 보다
거시적움직임을 같이 가져가려는 동향이 있다라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은 결국, 미증시를 따라 신고점을 경신하며, 100,000$이상의 상승세를 보여주겠죠
지금은 모두가 힘든 약세시장입니다
약세시장에서는 어쩔 수 없습니다
약세시장에서는 10~20 뱉어내고, 강세시장에서 30~50만큼 다시 받아먹으면 될 뿐이죠
그렇다면 누적수익이 결국 20~30만큼 생기니, 계좌잔고가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게 되는 것이구요
물론, 계좌잔고가 우상향그래프가 아닌, 수직상승하는 그래프를 모두가 원하시겠지만
그럴 확률은 지극히 드뭅니다
시장을 떠나더라도, 약세시장에서 떠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을 떠나더라도, 강세시장에서 벌만큼 벌고 떠나야지요
나무보다는 숲을 바라보시며, 중장기적인 매매계획과 대응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향후 미국시장의 방향성과 계획<펀더멘탈>
* 금번 인플레이션 사이클은 공급망의 붕괴와 미국의 부채의 화폐화에 기인
* 08년도부터 시작된 부채의 화폐화는 m2통화의 증가율보다 m1통화의 증가율이 급격했음
--> 08년도 은행파산사태에 따라 은행은 대출조건을 까다롭게 했고, 이는 시스템 상의 통화에 대한 접근이
일반 개인에게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
--> 오직 소수의 자산가에게 해당 통화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었고 이는 부동산/주식/채권쪽으로 흘러들어감
* 현 미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100%를 넘었고, 역사적으로 해당시점은 1940년도와 비슷함.
<1940년>
* 전쟁으로 인한 높은 부채비율, 다만 당시 미국은 순 채권국이었다.(빚을 진 것보다 빌려준게 더 많았다.)
* 순 채권국임과 동시에 인프라 투자를 통해 총 생산을 늘려냄으로서 인플레이션 극복
-->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m2발행량과의 줄다리기(상품/생산이 압도적으로 적거나, m2통화량이 압도적으로 많거나)
* 이러나저러나 당시 미국정부는 인플레이션을 낮출 의지가 그렇게 크지 않았음
--> 인플레이션이 높을수록 국가의 부채가 희석된다.
--> 현재 우리는 향후 계속되는 높은물가의 파동속에서 살아갈 확률이 높음(쉽게 늘지 않는 생산성)
<다시 펀더멘탈>
* 현재 s&p500의 per은 대략 27정도인데 100/27은 대략 3.xx 현재 10년 미국채권의 수익률보다 낮은 상황
물론 시장금리가 안정화되면(이전 재무부의 쿠폰물 발행x, ycc시도 등의 채권시장 개입) 증시는 더 갈수 있으 나 필자 생각은 채권시장의 자경단이 나타나지않을까... 생각 중. 텀 프리미엄이 높게 뜨는 순간 시장은 붕괴될 것이라 생각함.
* 현재의 랠리는 AI에 대한 생산성 개선 기대감이 크다고 생각.
* 인플레이션은 과거 최소 3번의 파동을 만들면서 고개를 들어왔고, 그 이유는 높아진 통화량을 급격하게 없애기를 국가가 원하지 않으며, 산업인프라 투자를 통한 생산성 개선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해소해왔기 때문에
경기축소(인플레이션 하락) -> 경기확장(인플레이션 상승)의 사이클을 여러번 겪음. 산업인프라 투자는 많은 시간이 걸림.
<그럼 지금은 어떻게?>
* 필자는 과거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를 해왔었고, 서서히 견문을 넓히면서 미국시장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높은 주가는 더 많은 관심을 만들어낸다.)
* 나스닥 기준 19650~20000 숏 포지션을 가져가는 것을 생각 중이다.
* 골드의 경우 현재 일부 가져가고 있는 중이고, 골드의 경우 과거부터 m0통화 증가량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져왔다. (과거 65년대 금/달러 = 1온스/35달러, 65년대 통화량 500B --> 현재 대략 5.8T, 현재 금의 최소 만들어져야 하는 가격은 4000달러 라인이라고 생각함.)
* 과거 사이클을 생각했을 때, 원자재의 사이클이 시작될 확률이 크다.
* 오일이 상당히 매력적인데, 그 이유는.. 찾아보면 많은 리포트가 있으니 생략하겠다. 과거 역사를 돌이켜봤을 때, 미국시장의 큰 하락이 나오고 나서는 원자재와 가치주, 신흥국의 사이클이 오지않을까 생각한다.
필자는 큰 하락이 온다면... 워렌버핏이 선택한 쉐브론과 옥시덴탈, 미국시장에 상장된 브라질의 석유기업, 종합 etf, 삼성 바이오로직스 매수를 생각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
* 지저분한 선은 모두 제거했지만, 필자는 주로 간팬, 이동평균선, Rsi, macd 몇가지의 비율차트(금/구리비, 다우/골드비 등의 차트를 참고한다.)
* 종합적으로 생각했을 때, 필자의 관점에서는 나스닥 19650~20000 라인이 상당히 매력적인 숏 포지션 구간이다.
NDQ :MICRO종목명:NDQ/US 100 INDEX
*SEOVEREIGN을 팔로우하시면 알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SEOVEREIGN이 다른 종목들을 더 많이 분석하는 추진력이 되어줍니다!
반갑습니다. SEOVEREIGN - 서버린(SeoVerign)입니다.
현시점 , NDQ :MILLENNIUM 아이디어가 메인 관점입니다.
기록적인 하락을 진행하고 나스닥이 약간의 반등을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상황 진행 관찰 후 추가적인 아이디어 퍼블리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물량과 리스크 관리, 그리고 투자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세요.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행운을 빕니다.
-SEOVEREIGN은 분석 종목과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NDQㅣ호재로 떠오른 나스닥, 창공으로 날아오를 수 있을까?종목명:나스닥
*SEOVEREIGN을 팔로우하시면 알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SEOVEREIGN이 다른 종목들을 더 많이 분석하는 추진력이 되어줍니다!
반갑습니다. SEOVEREIGN - 서버린(SeoVerign)입니다.
나스닥이 다시 하늘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분석한 결과 이 상승세는 그렇게 길지 않을듯합니다.
이미 저희는 큰 시간 프레임에서 하락장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점을 찾고 있지요.
최근 큰 갭을 형성하며 하락할 때 저희는 그 시작점을 찾았다고 생각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호재로 인해 그 하락분을 모두 반납하고 신고가를 생성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이건 "잠시"라고 생각합니다.
나스닥이 곧 추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물량과 리스크 관리, 그리고 투자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세요.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행운을 빕니다.
SEOVEREIGN은 분석 종목과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NDQ:MICRO종목명:NDQ
*SEOVEREIGN을 팔로우하시면 알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SEOVEREIGN이 다른 종목들을 더 많이 분석하는 추진력이 되어줍니다!
반갑습니다. SEOVEREIGN - 서버린(SeoVerign)입니다.
나스닥 하락관점을 업로드 한 후로 약간의 상승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제 분석상 하락에대한 일시적인 조정분으로 예상됩니다.
곧 다시 하락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링크로 이동합니다:))
전 아이디어와 연계됩니다.
투자 물량과 리스크 관리, 그리고 투자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세요.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행운을 빕니다.
SEOVEREIGN은 분석 종목과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NDQ :MILLENNIUM종목명:NDQ/US 100 INDEX
*SEOVEREIGN을 팔로우하시면 알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SEOVEREIGN이 다른 종목들을 더 많이 분석하는 추진력이 되어줍니다!
반갑습니다. SEOVEREIGN - 서버린(SeoVerign)입니다.
시장의 모든 상품들의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을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라고 합니다.
SEOVEREIGN은 이 모든 상승의 선두주자 역할을 하고 있는 NDQ의 상승극점을 예측했습니다.
근거는 HARMONIC 이론입니다.
HARMONIC은 기술적분석 이론들 중 비교적 최근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매우 강력한 이론입니다!
HAMONIC의 BASIC D.POINT와 BC PRO등 다수의 PRZ가 중첩됐습니다.
상황 진행 관찰 후 추가적인 아이디어 퍼블리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물량과 리스크 관리, 그리고 투자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세요.
부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행운을 빕니다.
SEOVEREIGN은 분석 종목과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2024.04.04 금리인하와 상관관계✅ 금리인하와 상관관계
먼저 살펴 볼 것은 금리인하와 상관관계입니다
대부분 '금리인하'에 대해서 오해를 하시고 계신 것 같아, 그부분을 바로 잡고자 합니다
'금리인하'는 당장에 있어 주가의 상승보다는 하락을 이끄는 경향이 강합니다
'금리인하'가 된다는 소리는 '경기침체'라는 소리와 같습니다
그에 따라, '금'값은 더욱 오를 것이고. '미증시'나 '위험자산군'은 다소 하락하게 될 것입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검은색선은 나스닥을 의미하며, 빨간색은 금리를 의미합니다
2000년 금리인하 당시, 미증시를 대조정이 이루어집니다
2007년 금리인하 당시, 미증시는 대조정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시장흐름상 금리인하가 더이상 이루어 지질 않을 것이 보일 경우 '미증시' 혹은 '위험자산군'은 일제히 상승세를 보여줍니다
특히, '제로금리'에서는 더이상 금리가 떨어 질 것이 없으니. 제로금리를 찍은 시점에 대부분의 위험자산군은 저점을 찍고 크게 반등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금리인하'를 통해 당장의 상승세를 기대하기란 어렵습니다
'금리인하'는 당장의 상승느낌보다는 '금리인하'가 정점을 이루었을 때. 그때가 위험자산군의 '저점'이며, '일제히 반등'하는 시점이 찾아옵니다
'금리인하'가 정점을 이룬다는 말은, 제로금리를 찍거나. 더이상 금리가 떨어질 가능성이 없을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리인하가 언젠가 이루어지겠지만, '금리인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미증시'나 '위험자산군'은 다소 '과열된 시장'을 유지할 것입니다
그리고, '금리인하'시기에 맞춰, '위험자산군'의 전체적인 조정흐름이 시작 될 것이라 판단합니다
즉, 아직 '금리인하'까지 시간이 다소 남았으니 아직까지는 여유가 있겠으나, 현재의 시장에 대해서 '매수동참'하기란 리스크가 높아 보입니다
뭐 결국 '금리인하'의 정점을 이루면, 다시 반등세가 나오겠고. 대 상승장이 연출될 것입니다
그것이 비트코인 반감기마냥 길진 않겠죠.
그러한 모든 퍼즐이 '비트코인 반감기'의 역사와 맞물려지는 것 같습니다
✅ 2024.04.04 금리인하와 상관관계
다음 살펴 볼 것은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은 '특성변화'를 보여주었기에, 단기추세가 무너졌음을 인식합니다
해당 특성변화가 이루어진 68,400$ 부근의 가격대는 이제 주요한 저항레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기존의 강력한 지지선이 저항레벨로 전환되는 것이죠
또한, 현재의 하락세가 멎었다 할 '거래량'이 터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진정한 저점이 찍혔다고 보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저의 매수의견은 '거래량'이 크게 터지며, 아랫꼬리를 크게 말아 올릴 때. 그때 매수의견에 대해서 어필하게 될 것입니다
당장의 움직임은 신고점경신보다는 '계단식 하락'의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보인다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