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선물] 2월 15일 ~ 19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54~63.00 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WTI(국제유가)는 사우디 중심의 OPEC+ 감산에 따른 공급 통제와 미국 원유 재고 감소세 지속으로 향후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 우위를 전망. OPEC에 따르면 2020년 5월 이후 OPEC+감산 이행률은 99%라고 알려짐. 반면 2월 5일 주간기준 미국 전체 원유재고는 4.69억 배럴로 3주 연속 감소했으며, 미국 쿠싱 지역 원유 재고도 5주연속 감소. 유가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WTI 투기적 순매수 포지션도 증가하는 중. 이에 더해 사우디를 겨냥한 예맨 반군의 계속되는 공격 시도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무부가 이들을 테러 단체 지정에서 해제. 이에 따른 미국과 사우디 간 동맹 약화 우려도 유가 강세 요인. 다만 국제원유 수요 불확실성이 여전한 점이 유가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보임.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30~2,10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4.00~29.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금 가격은 부양책 기대감으로 인한 글로벌 달러 약세 우위 속 달러화로 거래되는 금 가격 특징에 따라 상승 우위를 전망. 다만 글로벌 주요국의 백신 보급 확산으로 인한 경기 회복 기대감은 골드 가격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보임. 영국은 2월 15일까지 인구 1500만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계획한 가운데 목표달성 여부를 공개. 일본과 뉴질랜드는 금주부터 백신 접종 예정. 주요국의 경기 회복 기대감이 달러화 수요를 완화하고 미국 부양책 개시가 단기적으로 달러화를 끌어내릴 수 있는 점이 금 가격 강세를 지지할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650~3,90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FOMC의사록과 소매판매 등 주요지표를 주시하면서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 주 조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1조 9천억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과 양호한 기업 실적, 코로나19 확산세 둔화 등이 증시에 강한 동력을 제공했음. 특별한 악재가 없는 만큼 강세 추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여전히 지배적이지만 장기간 상승에 따른 일정수준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인식이 큰 상황. 1월 소매판매 등 실물경제 상황을 진단해 볼 수 있는 경제지표에 대한 민감도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또한 1월 FOMC의사록에서도 기대보다 덜 완화적인 견해가 나온다면 시장이 민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월마트 등 대표 유통업체 실적과 전망은 미국 경제의 기둥인 소비상황을 예측해 볼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NHFutures의2
오일은 어쩌면 90불까지 풀롱일수도?!#오일 #무기한물 #1시간봉 #관점분석 #크랙 -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는 오일입니다. - 오일은 큰 눌림이 오더라도 재차 반등해주며 고점갱신을 하는 모습입니다. - 단기하락추세저항선(하얀색)을 상방돌파 해주며 다시한번 강하게 매수 추세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며 단기적인 저항 자리는 58.87~58.99정도로 보여집니다. - 하지만 해당 저항대는 다른 추세선들과 겹치지 않으므로 돌파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피보나치 확장과 다른 추세선들이 겹치는 59.32~59.34근처에서의 저항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해당구간에서 저항이 나온다면 58.87~58.99 구간에서 지지를 해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1차적 청산 자리로 보여집니다. - 단기 하락추세를 상방돌파 해주었기때문에 큰 조정없이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매도접근보단 눌림에서의 매수 접근이 좋아보입니다. - 눌림이 온다면 이전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0.618(58.20)과 단기매물대(58.30~58.10)이 겹치는 구간에서의 매수 접근이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단기하락추세선(하얀색)의 하방이탈로 이어질수 있기때문에 58.30~58.10 반등 확인이후 매수 접근이 안전해 보입니다. - 모든 저항구간들은 제대로된 저항 작용보단 돌파후 지지 역활로 변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매도 대응 보다는 눌림목 매수 접근이 안전해 보입니다. *** 저항 예상 : 58.99~58.87(단기) / 59.32~59.34(중기) / 59.99~60.11(중장기) 지지 예상 : 58.30~58.10(단기, 지지확인 필요) 그리고 어쩌면 90불까지 풀롱일수도... Tommy_Trader의1110
[NH선물] 2월 8일 ~ 12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50~59.00 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WTI(국제유가)는 중국 춘절 연휴를 앞두고 이동통제 강화 예상으로 인한 원유 수요 회복 둔화와 유가 상승으로 인한 미국을 포함한 NOPEC의 원유 생산량 확대 가능성에 약보합 전망. 다만 코로나 19 확산으로 원유 수요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OPEC+의 감산으로 유가 하방 지지선이 단단해진 점, 백신 보급 확산으로 인한 경기 회복 기대감이 유가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보임. 중국 국내선과 국제선 항고의 좌석 점유율이 지난 9월 말에 비해 20% 감소. 중국 교통부는 다가오는 중국 춘절에 이동통제가 강화되면서 중국 춘절 기간의 이동은 2019년에 비해 40% 감소할 것으로 예상. 또한 3월 개최되는 OPEC+장관회의에서 사우디와 러시아간의 입장차이를 고려했을 때 산유국 불확실성 여전할 것으로 보임.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30~2,00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4.00~27.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금 가격은 미국 부양책 시행을 주시하며 글로벌 달러 약세 우위 속 강보합 전망. 지난 주 금가격은 미국 개인투자자들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제 2의 게임스탑으로 은을 지목하며 은값이 2013년 이래 최고치까지 급등한 점에 연동해 상승했음. 이후 게임스톱 이슈가 해소되며 은 가격이 하락하며 이와 동조해 금가격도 상승세를 되돌림. 금주 게임스톱 관련 이슈가 해소되며 금 가격은 글로벌 달러와 연동될 공산이 큼. 바이든 대통령은 공화당의 지지 없이도 부양책을 통과시킬 수 있는 의결안을 마련. 바이든 정부는 3월 중순전까지 통과를 목표하고 있으며 부양책 기대감이 약달러 유도하며 금 가격 지지할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650~3,85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미국의 신규 부양책 도입 진척 상황을 주시하며 강보합권 등락 전망.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주요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도 이어지고 있음. 민주당은 이번 주부터 현금 지급 대상의 규정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법안 마련에 도입할 예정. 법안의 진전이나 공화당과의 협상 관련 소식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임. 규모나 내용이 다소 조정될 수는 있겠으나, 대규모 부양책이 결국 나올 수 있기에 위험투자 심리가 지지될 것으로 보임. 최근 진정되는 추세인 미국내 코로나 19 상황과 백신 보급이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을 키울 것으로 전망. 다만 오는 9일부터 미국 상원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개시. 탄핵 논란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겠으나 의회의 갈등이 깊어질 수 있는 점을 부담이 될 수 있음. NHFutures의1
크루드 오일 매도 관찰 구간 진입1.엘리엇 웨이브 중파동 5파이후 확장 소파동 5파 부근 도달시 가격 행동 관찰 이후 매도 접근 가능성. 2.트렌드 추세저항 부근 숏UnknownUnicorn2535574의0
[NH선물] 2월 1일 ~ 5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6~54.00 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WTI(국제유가)는 백신 배포 차질과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새로운 여행 제한 조치에 약세 우위를 전망. 세계 2위의 원유 소비국인 중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 증가로 설 연휴를 앞두고 새로운 여행제한 조치를 실시. 아스트라제네가와 화이자의 백신 유럽 행 수송이 지연되고 있는 점도 원유가격에 하락 요인으로 작용. 항구 폐쇄로 공급 차질을 빚었던 리비아의 반군이 정부와의 적극적인 협상으로 조만간 생산이 원상 복귀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유가에 하방 압력을 더할 것으로 보임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30~1,93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3.00~30.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금 가격은 글로벌 주요국의 완화적 정책 확대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대감 확대되며 상승 우위를 전망.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백신 공급 차질로 향후 경기 회복에 따른 실물 수요 출분히 늘어나지 않는 한 현재의 완화적인 정책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임. 특히 중국의 생산자 물가지수 회복으로 글로벌 물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정부 주도의 인프라 및 부동산 투자 증대로 중국의 생산자 물가지수는 회복세가 더해지고 있으며, 중국산 소비재와 중간재 수입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고 있음. 이에 물가 상승으로 인한 대체자산 수요로서 금 가격은 지지될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500~3,85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주요 기업 실적 발표와 개인 투자자들과 헤지 펀드간 공방 주시하며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 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집결한 개인 투자자들이 게임스톱과 AMC등 일부 주식을 집중 매수하면서 해당 종목에 공매도 포지션을 취한 헤지펀드들이 강제로 다른 주식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었음. 당분간 일부 종목을 중심으로 한 개인과 헤지펀드간 공방 이어지면서 시장 변동성 커질 수 있음. 다만 증시 밸류에이션 논란으로 투자자들이 호재보다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해 온 만큼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와 미국 부양책 이슈 소화하며 강보합권 등락할 것으로 보임. 지난주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대부분이 양호한 순이익을 기록한만큼 일부 종목 관련 혼선이 진정되면 증시 강세 추세가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NHFutures의1
[NH선물] 1월 25일 ~ 29일 Commodity 전말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7~55.00 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WTI(국제유가)는 중국을 비롯한 유럽과 미국 등 지역의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에 약보합 전망. 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재정확대 정책에 따른 수요 증대 기대감과 미국 전통 에너지 산업 규제를 통한 원유공급 감소 우려는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보임. 코로나 시작 이후 세계 원유시장에서 독보적으로 수입량을 늘리며 아시아 내 수요 증가를 주도한 중국 내 상해와 북경 주요 도시에서 확신자가 발생하며 봉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내달 춘절 연휴를 맞이해 민족 대이동이 예정되어 있어 추가 지역 봉쇄 가능성은 유가 하락 요인. 또한 영국과 독일 등 유럽 주요국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 점도 원유 가격에 부담.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50~1,94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4.00~30.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금 가격은 주요국에서 코로나 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FOMC통화정책 회의에서 완화적인 정책기조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달러 약세 가능성에 강 보합권 등락을 전망. 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제안한 2조달러 규모의 재정 부양책이 공화당 중도파 의원에서 회의적인 의견이 드러나며, 부양책이 원만하게 통과될 가능성은 약화된 상황. 또한 금주 미국 주요 기술주의 실적 호조 가능성과 미국 20년도 4분기 GDP 지표 서프라이즈 가능성은 금융시장의 위험선호심리를 자극해 금 가격 상단을 제한할 요인.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400~3,85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27일 예정된 2021년 첫 번째 FOMC 통화정책 회의와 애플, 테슬라, 페이스북 등 미국 주요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발표를 주시하며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넷플릭스 등 최근 주요 기술주 기업들이 시장의 예상보다 양호한 순익을 기록하고 있음. 최근 미국 주가 급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애플 등 핵심 기업의 실적이 나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점은 증시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또한 기술기업 주가 고평가 논란에도 실적이 이를 뒷받침 할 경우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 있을 수 있음. 26~27일간 이어지는 FOMC통화정책회의에서는 정책금리 동결이 예상되나 최근 논란인 국채금리와 인플레이션 상승, 출구전략 등에 대해 보다 명확한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예상 NHFutures의2
[NH선물] 1월 18일 ~ 22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7~55.00 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WTI(국제유가)는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확산을 주시하며 약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주 중국에서 코로나 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0명대를 넘어서고 허베이성이 전격 봉쇄되며 중국내 재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졌음. 중국은 전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만큼 최근까지 아시아 지역내 원유수요를 견인해 중국지역 코로나 19 확산세가 유가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또한 지난주 미국 원유 Rig수는 전주 대비 12기 늘어나며 8주 연속 증가하며 원유 공급에 대한 우려감도 원유 하락 요인으로 작용. 한동안 소강상태였던 코로나 사태가 대규모 인구 이동이 일어날 춘제를 전후해 폭발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원유 상단을 제한. 이에 금주 코로나 확산 여부 주시하며 약보합 등락을 예상.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20~1,94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4.00~30.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금가격은 글로벌 달러 약세와 코로나 19 재확산으로 인한 안전자산선호심리가 우위를 보여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부양책과 백신, 실적이라는 세가지 요인이 그간 증시를 지지하며 위험선호심리 재료였던 만큼 백신 안전성 우려가 확대되고 주요 기업의 실적에 대한 실망감이 유입될 경우 증시 조정 이어지며 안전자산 수요 이어질 것으로 보임. 이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에 상승요인으로 작용. 이에 더해 20일 바이든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부양책 기대감이 확대되며 달러화 중장기 약세 가능성이 시장에 우위를 보이고 있는 점도 달러화로 거래되는 금 가격에 긍정적.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400~3,80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미국 국채 금리 동향과 코로나 19 확산 상황, 주요 기업의 4분기 실적 발표를 주시하며 강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 바이든 당선인이 오는 20일 미국 46대 대통령으로 취임 예상된 가운데, 새 정부 시작으로 인한 기대 심리가 증시를 지지할 것으로 보임. 다만 부양책 기대로 주가가 이미 큰 폭 오른 만큼 시장의 관심이 증세 가능성으로 옮겨가고 있음. 19일 진행될 재닛 옐런 재무장관 지명자의 인준 청문회도 관심이 쏠리는데 직전 연준의장이 비둘기파적 발언을 내놓을 경우 투자심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한편 금주 넷플릿스와 인텔, 골드만삭스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상황에서 실적 부진 기업의 주가 하락 강도가 클 것으로 보이는 점은 증시 상단을 제한할 요인. NHFutures의115
오일 이제 곧 저항 한번 크게 나올때 되지 않았나?#크루드오일 #무기한물 #일봉 #장기분석 #토미 - 크루드오일 일봉입니다. 현재 초록색 하락 추세선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 해당 추세선 저항 나올 수 있으니 잘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중단기적인 관점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55.20~56.40, 60.70~61.90, 지지구간은 48.30~49.50, 44.70~45.90, 40.20~41.40, 그리고 36.40~37.60입니다. - 조금 더 단기적인 관점에서 빨간색 상승 채널 하방 이탈 여부에도 잘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Tommy_Trader의114
[NH선물] 1월 11일 ~ 15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7~55.00 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국제유가는 미 에너지 정보청의 원유시장 관련 보고서와 주간 원유지표, 중국의 수출입 지표를 주시하며 강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 지난주 유가는 사우디의 자발적 감산에 배럴당 50달러선을 넘어섬. OPEC+산유국 중 러시아와 카자흐스탄만 증산에 다서며 주요 산유국의 2월, 3월의 산유량 증가세가 크지 않았떤 가운데 사우디가 일평균 100만 배럴 감산을 발표했기 때문. 이에 2월부터 OPEC+의 산유량이 실질적으로 줄어들 예정인 만큼 유가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연동해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한편 금주 중국 12월 수출입 지표가 발표될 예정으로 수출은 11월월에 비해 증가폭이 둔화, 수입은 확대될 것으로 보임. 중국의 상품 수요에 대한 기대가 상품가격 강세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지표가 발표될 경우 중국 수요에 대한 기대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20~1,915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4.00~30.00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골드 가격은 미 민주당이 상원과 하원을 모두 장악할 것이라는 블루웨이브가 현실화되면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글로벌 달러 강세 전환과 백신 보급 확대 기대감에 약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주 1.1%로 속등한 미국 장기 국채 수익률이 안전자산 수요를 후퇴시켰는데, 금주 20일 예정된 바이든 행정부의 취임으로 대규모 부양책에 대한 구체적인 윤곽이 이어질 경우 미국채 금리 스티프닝 추세 확대될 수 있음.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는 1월 14일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전망으로 지난주 인당 $600지급은 충분치 않아 $2000지급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 이에 더해 화이자 백신이 변이 바이러스에도 예방 효과가 있다는 결론이 나오며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후퇴된 점은 골드가격에 약세 요인. 다만 장기적으로 달러 약세 전망이 우세한 점을 감안 하단 지지되며 변동성 이어질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600~3,90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미국 재정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속에 강세 우위를 전망. 조 바이든 신임 대통령이 오는 20일 취임할 예정으로 의회도 민주당이 상원과 하원을 모두 지배하는 것으로 정리. 민주당의 주도권이 확립되면서 공격적인 재정 부양이 단행될 것이란 기대가 만연한 상황. 바이든 당선인이 금주에 수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 윤곽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부양책 이슈가 당분간 시장을 지배할 예정. 다만 통화정책 전망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증시 변동성을 제공할 요인. 12월 FOMC 의사록에서 테이퍼링이 언급됐고, 일부 인사는 이르면 올해 말 테이퍼링이 단행될 수 있다고 언급.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테이퍼링 가능성에 선을 그었지만 파월 의장이 14일 대담에서 통화정책 경로와 관련해 다소 매파적 입장을 보일 경우 시장이 충격받을 수 있음. 금주 주요 지표로는 12월 소비자물가지표가 예정되어있음. 인플레이션이 금융시장의 주요 이슈인 만큼 물가 상승에 대한 민감도는 커질 것으로 보임. NHFutures의1
[NH선물] 1월 4일 ~ 8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6~50.00 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WTI는 1월 4일 예정된 OPEC+ 화상회의와 1월 5일 미국 상원 조지아주 결선투표 결과를 주시하며 강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 단기적으로 불가피한 변동성 확대 속 가격 조정은 2021년 강세가 예상되는 원자재 시장의 저가매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1년에 몇차례만 소집됐던 OPEC+ 회의는 1월 4일을 시작으로 매달 개최돼 산유량을 보다 미세조정할 계획. 사우디 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이끄는 OPEC+는 2020년 감산을 통해 가까스로 얻어낸 유가회복세를 무너뜨리지 않고 원유 공급을 계속 늘려나갈 수 있을 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 러시아는 유가가 배럴당 45~55달러의 최적수준에 있다고 언급. 한편 조지아 주 결선 투표 결과 예상 밖의 블루웨이브 결과가 나올 경우 재정부양책 확대 가능성으로 원자재 시장 강세의 또 다른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임.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60~1,91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5.00~28.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골드 가격은 글로벌 달러 약세 시조에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금은 달러화로 거래되는만큼 달러화 약세는 금 가격에 우호적인 요인으로 작용. 금주 예정된 조지아주 상원 의원 선거를 대기하며 금융시장 변동성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안전자산인 금 현물에 강세 요인. 이에 더해 미국 부양책으로 달러화 90선을 하회하며 신 저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금 가격 상승에 일조하는 흐름을 이어갔음. 코로나 19가 미국과 유럽에 큰 타격을 줬기 때문에 내년에도 재정 및 부양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금과 은 가격에 지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600~3,80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증시는 새해를 맞이해 적극적인 방향성 탐색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강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 조지아주 상원의원 결선 투표 결과는 연초 증시의 방향성을 가를 요인. 시장에서는 조지아가 전통적인 공화당 텃밭인 탓에 공화당이 적어도 한 석은 차지하며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음. 다만 여론조사 결과 민주당 후보들이 근소한 차이로 앞섰음. 민주당이 두석을 모두 석권해 상원까지 지배하는 블루웨이브가 완성될 경우 규제 강화 및 증세에 대한 부담이 불거질 수 있어 결과 전까지 긴장감 이어질 것으로 보임. 금주 주요지표로 12월 비농업 고용지표와 ISM 12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지표가 발표될 예정. 두 지표 모두 11월 대비 소폭 악화했을 것으로 보여짐. NHFutures의5
[NH선물] 12월 28일 ~31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5~50.00 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WTI는 미국 부양책 이슈와 OPEC+의 원유감산규모 축소에 따른 증산 발표를 소화하며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주 WTI는 영국과 EU간 최종협상 타결 가능성으로 인한 하드 브렉시트 우려가 낮아졌고, 미국 12월 FOMC회의에서도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며 달러 약세와 연동해 상승 마감. 21년 1월 1일부터 OPEC+는 원유감산규모를 일 770만 배럴에서 720만 배럴로 일 50만 배럴 증산할 예정. 4월 일 200만 배럴 증산을 계획했으나 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른 수요부진 우려로 지난 12.3일 1/4인 50만 배럴로 줄인 상황. 금번 증산 결정이 유가에 미칠 영향이 주목됨. 다만 지난 주 영국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한 이후 주요국으로의 확산 가능성과 영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봉쇄재개 등 제한 조치강화 가능성은 원유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 .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40~1,90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5.00~30.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골드 가격은 미국 추가 부양책 시행에 대한 기대감에 달러화 약세 우위 흐름과 유럽 발 변종 코로나 19 확산으로 달러가 안전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는 점에 달러 하단이 지지되며 강보합 전망. 코로나 19 부양책을 둘러싸고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에서 합의한 9천억 달러 규모의 부양책과 관련해 개인에 대한 현금 지급액을 인당 600억 달러에서 2천억달러 상향할 것을 요구하며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음.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부양책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은 적어 보여 결국 승인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 골드 가격을 지지할 것으로 보임.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600~3,900 pt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증시는 마지막 주간인만큼 차분한 분위기 이어지며 좁은 폭 등락할 것으로 전망. 매년 마지막 5거래일과 연초 2거래일은 산타랠리로 인식되며 증시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이어지게 됨. 다만 올해는 이미 연준의 강한 유동성 공급과 정부의 대규모 재정지출로 추가적인 상승에 대한 전망은 다소 조심스러운 상황. 특히 1월 5일 열릴 조지아주 상원의원 결선 투표를 앞두고 시장의 강한 변동성 이어질 수 있음. 만일 민주당이 상원마저 장악하는 데 성공한다면 바이든 대통령은 대규모 부양책과 증세, 규제 강화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한편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부양책 합의 거부에도 상승 우호적인 흐름 이어갔으나, 정부의 셧다운 현실화 가능성은 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NHFutures의2
[NH선물] 12월 21일 ~25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0~49.50 USD - 방향성 : 약세 OPEC국가들의 감산이행을 유도하기 힘든 상황(국가재정상황 및 코로나관련)이고, 미국을 포함한 비OPEC국가들의 생산량 증산을 막을 방법이 없음. 글로벌 운용사(골드만삭스, 블랙록등)들의 원자재 슈퍼싸이클 주장에도 불구하고, 원유가격은 상승세가 꺾이며 아직 슈퍼싸이클이 오기에는 이르다는 점을 확인시켜줌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50~1,95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5.00~29.00USD - 방향성 : 강보합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인해 금가격이 상승하게 될 가능성이 높지만, 최근 금대체 품목으로 금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는 비트코인의 경우 2600백만원을 넘어서며 강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상승폭은 제한 적일 수 있음 3. S&P500 (선물) - 예상레인지 : 3,500~3,800 pt - 방향성 : 약보합 미의회의 추가부양책 합의가 임박한 가운데, 합의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 또는 합의가 이루어 지더라도 이제까지 부양책 기대감으로 오른 증시가 조정(Sell the Facts)이 될 가능성이 높음. NHFutures의2
[NH선물] 12월 14일 ~ 18일 Commodir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4~48.00 USD - 방향성 : 약보합 WTI는 백신 개발 소식으로 변동성이 높아지겠으나, 백신 보급과 집단 면역체계가 생기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고 있으며, OPEC+가 감산 규모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감안할 대 약보합권 등락 전망. 백신 개발로 원유수요 회복 속도가 에상보다 빨라질 수 있으나 원유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태. 백신의 대량 공급 이후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생활이 회복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기 때문. 이에 더해 OPEC+의 원유공급 확대 리스크도 유가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 2021년 1월부터 OPEC+의 원유공급량은 일일 50만 배럴 늘어날 계획으로, OPEC+는 원유생산규모를 늘리기 위해 향후 5년간 1220억 투자 규모를 확대할 예정.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20~1,885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2.00~25.00USD - 방향성 : 강보합 금 가격은 FOMC, BOE 통화정책 회의결과를 주시하며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15일~16일 예정된 FOMC회의에서 자산매입 규모가 변경되지 않고, 미국 추가부양책 협상이 노이즈 없이 합의될 경우 달러화 약세 전환으로 금 가격을 지지할 것으로 보임. 영국과 EU간 무역관계 협상이 12월 13일 시한내 타결을 못했으나 연말까지 협상을 이어가기로 결정. 현재 공정경쟁 환경과 어업권, 분쟁해결 구조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금융시장에 불확실한 요인이 산재한 점도 위험자산선호 회피에 따른 금가격 상승 요인.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450~3,800 pt - 방향성 : 약보합 뉴욕증시는 미국 부양책 타결 여부와 미국 소비 및 제조업 지표를 소화하며 약보합 전망. 미국 추가 부양책은 연내 타결이 가격에 반영된 만큼 협상안 합의가 지연될수록 시장의 불확실성은 증가할 것으로 보임. 오는 15~16일 이틀간 진행될 올해 마지막 FOMC회의에서는 채권매입 정책과 관련한 변화가 있을 지 주시할 필요가 있음. 이번 회의에서 채권 매입 규모를 늘리거나 듀레이션 확대를 통한 채권 만기 장기화 가능성이 우위를 보이고 있음. 금주 금요일은 선물/옵션 만기가 겹치는 네 마녀의 날이자 종가 기준 테슬라가 S&P500지수에 편입되는 날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점 유의. NHFutures의2
[Modoo] 기름값이 더 상승한다고? 차는 어떻게 타고다니지.. ✅ 팔로우를 하시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업데이트를 실시간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퍼블리셔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좋아요 눌러주시고 읽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모두가 트레이딩을 쉽게 할 수 있는 세상을 향하여, 모두의 트레이딩입니다. 📝 오늘은 오일 (경질 원유 선물)의 상승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0️⃣. 펀더멘털적인 배경 - 오일은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 백신 3상 결과 발표와 함께 상승하기 시작하여 현재 45.88달러까지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또한 OPEC + 의 감산협의 가능성에 따라 시세가 무너지지 않고 잘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 현재 보이고 있는 레인지 - 현재 오일은 44.5~46.25달러 사이의 레인지에서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어느 한쪽 방향으로의 강력한 돌파는 한달정도의 추세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안전한 거래는 돌파의 확인과 함께 진행하는 거래입니다. - 그러나 현재 레인지 안쪽에서도 매수거래의 기회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2️⃣. 숏텀 불리쉬 스트럭쳐의 형성과, Liquidity grabbing - 45.75달러에서 작지만 불리쉬 스트럭쳐의 전환이 일어났습니다. - 또한 불리쉬스트럭쳐가 형성되기 전에 45.35달러의 매물대를 여러번 침범하면서 Liquidity grabbing이 일어났습니다. 이는 추세촉발의 신호입니다. 3️⃣. EQ 위에서 형성된 Broadening Wedge, 그리고 수렴 돌파 - 현재 EQ위쪽에서 Broadening Wedge가 형성되고 있으며, - 이전에 말씀드린 불리쉬 스트럭쳐에서는 단기 수렴 이탈과 리테스트 확인까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이같은 근거들을 토대로 EQ위쪽에서 레인지 돌파를 예상하는 매수거래를 진행해볼 수 있습니다. 4️⃣ . 그렇다면 매수 타겟은? - 직전 고점 근처와, Bearish Harmonic Butterfly Pattern 을 통하여 타겟가를 잡아볼 수 있습니다. ✅ 팔로우를 하시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업데이트를 실시간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좋아요는 퍼블리셔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롱ModooTrading의업데이트됨 9
[NH선물] 12월 7일 ~11일 commodity 전망1. WTI(선물) - 예상 레인지 : 43~48.00 USD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WTI가격은 주요국의 보편적 백신 보급과 접종에 대한 기대감에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지난 주 Opec_는 내년 1월부터 산유량을 하루 50만 배럴 늘리기로 합의한 직후 WTI등 유가는 상승 반전. 감산 규모를 770만bpd에서 580만bpd로 줄이는 합의를 3개월 연기한다는 기대는 줄었지만, 증산이 아닌 점에 시장 참여자들은 안도. OPEC+는 이번 결정을 통해 향후 국제유가 상승 속도 조절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음. 한편 영국을 시작으로 미국과 러시아, 터키, 벨기에와 스웨덴에서 차례로 백신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백신 승인과 배포, 접종이 기대되는 점도 유가에 강세요인으로 작용. 2. 골드,실버(선물) - 예상 레인지(골드) : 1,800~1,880USD - 예상 레인지(실버) : 20.00~25.00USD - 방향성 : 약보합 금주 금 가격은 백신 보급에 대한 기대감에도 집단 면역이 형성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확장적 재정 정책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앞다툰 유동성 정책을 소화하며 강보합권 등락을 전망. 금은 무이자 자산인만큼 실질금리가 하락하면 금의 투자 매력은 높아지는데, 이 연준은 경기 부양을 위한 차입비용은 앚은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실질 금리 상승세를 제한할 것으로 보임. 이에 더해 실질 금리는 명목금리에 인플레이션을 감하여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금리로 인플레이션율에 영향을 받게 됨, 최근 국제 유가 상승세와 주요국 중앙은행의 막대한 유동성 공급대책에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면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영역까지 하락한 점은 원자재(골드와 실버)가격 지지 요인. 3. S&P500(선물) - 예상레인지 : 3,500~3,800 pt - 방향성 : 강보합 금주 뉴욕증시는 미국 재정 부양책 타결 여부에 따라 강 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 민주당과 공화당 양측은 오는 11일까지 예산안과 함께 부양책을 타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춤. 양측의 협상에 진전이 있다면 추가 재정 투입에 따른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확대될 것으로 보임. 미국 추가 부양책에 이어 각국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에 대한 기대감도 이어지는 모습. 한편 이번주 ECB는 추가 부양 여부를 결정하는데, 시장에서는 ECB의 펜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 확대 등이 기정사실화된 모습. 지속되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부양책 시행과 백신 낙관론이 경제 정상화 기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투심을 자극. 다만, 미국 내 코로나 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주요 지역에서 봉쇄조치 확대 가능성은 증시 상단을 제한할 것. NHFutures의2
요즘 차트 진짜 안맞는 오일#크루드오일 #1시간봉 #11월물 #토미 - 크루드오일 1시간봉입니다. 요즘에 오일은 단타 치기 많이 어려운 장입니다. 차트가 최근들어 너무 안맞습니다. 웬만하면 안건드리시는게 좋은데 그래도 오일 매매하시는 분들 참고하시라고 분석해봤습니다. - 현재 가장 주요해야할 요소가 바로 파란색 상승 추세선입니다. 이 추세선에서 약 4~5번의 지지가 나왔고 나중에 이 추세선이 뚫리면 조정이 크게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최근에 40.80 부근 SR FLIP 매물대를 돌파하였으나 지금 다시 뚫고 내려오는중이네요. 현재 단기적으로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40.25~40.45이며 새벽 4시까지 유요합니다. 해당 구간 뚫리면 파란색 상승 추세선도 뚫리는거니 진입하실 분들은 손절 잘 걸어놓으시길 바랍니다. - 추가적으로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39.55~39.75와 38.45~38.75입니다. - 현재 보고 있는 단기 저항 구간은 40.95~41.05(새벽 1시까지 유효)와 41.20~41.35(새벽 3시까지 유효)입니다. - 1시간봉 RSI 보시면 41.80에서 계속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해당 지지선 이탈 시도중인데뚫리면 추가하락 시그널로 해석하셔야겠습니다. Tommy_Trader의4
[Modoo] 크루드오일 쏠쏠해보이는 단기 매수기회구독과 좋아요는 퍼블리셔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모두가 트레이딩을 쉽게 할 수 있는 세상을 향하여, 모두의 트레이딩입니다. 오일은 9월 마지막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이슈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가격 상승을 보이지 못하였고, 결국 폐장 직전인 목요일과 금요일에 꽤 많은 매도 물량을 쏟아내며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하락의 각도가 상당히 가팔랐기 때문에 상당히 쏠쏠한 매도거래였는데요, 현재는 매도 거래는 모두 청산한 이후 매수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짚어볼 점은 세 가지 입니다. 1. 4H 관점에서 합리적인 매수 구역인가? 2. 더 작은 프레임에서 어떤 매수 신호를 살펴야 하는가? 3. 제언 이렇게 세 가지 파트를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4H 관점에서 합리적인 매수 구역인가? - 가격하락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지만 의미있는 가격 구조지점인 37달러 초반대에서 꽤 많은 매수세가 진입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동시에 이 가격대는 Bullish Harmonic Bat Pattern(강세 하모닉 박쥐 패턴)의 PRZ(Potential Reversal Zone, 잠재적 가격반전 영역)에 해당되는 지역입니다. - 따라서 매도 거래를 잠깐 정리하고 매수 기회를 모색하기에 좋은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더 작은 프레임에서 어떤 매수 신호를 살펴야 하는가? - 큰 프레임에서 매수기회를 모색하기 좋은 가격대란 점이 확인 되었으니 줌 인 하여 작은 프레임에서 어떤 신호들이 나오고 있는지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가장 눈에 띄는 것은 Bullish Wedge Pattern (강세 쐐기 패턴) 입니다. 아직 트렌드라인에 대한 돌파가 나오지 않았지만 시세가 4H 가격구조대에서 받쳐지면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 또 잠재적으로 Inverted Head & Shoulders Pattern (역머리어깨형 패턴)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기 떄문에 이 점 또한 유의하여야 합니다. - 보수적인 트레이더라면 단기적으로 37.7달러 가격대의 장악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매수 거래에 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공격적인 트레이더라면 월요일 시가에 일부를 진입한 이후 나머지 계약은 37.7달러 가격대의 장악을 확인한 이후에 진입하는 것이 안전한 거래가 될 것입니다. 3. 제언 - 큰 프레임에서 오일은 거대한 하락채널을 형성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의 가격대는 해당 채널의 중심선에 해당합니다. 현재의 가격대에서 어느정도의 반응성이 확인된다면 해당 채널이 확정될 가능성이 좀 더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또, 이 아이디어는 매수거래에 대한 아이디어이지만 어디까지나 단기 매수거래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아직 우리는 잠재적 하락채널, 즉 하락추세에 있기 때문에 매도 거래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따라서 언제든 단기 관점을 전환할 준비를 마친 이후에 거래를 임하는 것이 옳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롱ModooTrading의업데이트됨 2224
오일 수렴 끝자락..!#크루드오일 #4시간봉 #10월물 #토미 - 크루드오일 4시간봉입니다. 현재 큰그림에서 어센딩 트라이앵글 형성중입니다. 상단 혹은 천장은 43.70 부근입니다. - 천장이 뚫린다면 중단기적인 관점에서 추가상승세 노려보셔도 좋습니다. - 조금 더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오렌지 수렴 삼각형에 주목해주세요. 이탈 방향에 따라 대응 하셔야합니다. 단기 수렴 삼각형 상방돌파를 위해서는 43.40 저항선을 돌파해야합니다. - 상방돌파가 성공한다면 천장까지는 열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천장 상방돌파 컨펌 시 중단기적으로 려해볼 수 있는 메이저 저항구간은 44.35~44.65와 46.30~46.90입니다. - 현재 단기적으로 고려해볼만한 지지구간은 42.70~42.90(4일 오전 11시까지 유효)과 41.95~42.15(7일 19시까지 유효)입니다. - 오일은 요즘에 꼬리가 너무 많이 나오고 최근에 이상한 무빙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칼 손절은 필수 입니다. Tommy_Trader의7
크루드오일 43을 뚫을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크루드오일 #1시간봉 #9월물 #토미 - 크루드오일 1시간봉입니다. 현재 빨간색 박스로 표기한 매물대 (43 부근) 돌파 여부에 주목해 주십시오. 거의 한 5~6번 저항이 나온 상황입니다. - 해당 구간을 상방돌파 한다면, 추격 매수 혹은 리테스트 매수 진입해보셔도 좋아보입니다. - 돌파 여부가 조금 더 확실하게 컨펌이 되려면 적어도 4시간봉 이상 캔들이 위에서 봉마감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또 꼬리만 달고 내려올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 단기적으로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42.24~42.36과 41.95~42.07입니다. 둘 다 새벽 3시까지 유효합니다. - 만약에 빨간색 매물대 상방돌파를 성공한다면 예상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43.26~43.38과 43.51~43.63 입니다. Tommy_Trader의6
크루드오일 매매전략#크루드오일 #1시간봉 #9월물 #토미 - 크루드오일 1시간봉입니다. 초록색 채널 상방돌파 이후 한번의 리테스트가 출현한 상황입니다. 그렇게 리테스트가 크게 나오는 것 같지는 않네요 아직. - 추가 하락이 발생한다면 41.68~41.78 (새벽 3시까지 유효)에서 기술적 지지를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 그 다음으로 보고 있는 메이저 지지구간은 41.19~41.33 입니다. - 추가 상승이 나온다면 42.17~42.23, 42.30~42.40(18일 오전 11시까지유효), 그리고 42.50~42.6 (18일 오후 1시까지 유효)에서 저항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Tommy_Trader의5
크루드오일 저녁 브리핑#크루드오일 #1시간봉 #9월물 #토미 - 오일 1시간봉입니다. 방금 파란색 상승추세선 하방이탈이 나왔네요. - 또 꼬리만 달고 올라올 수 있으니 한시간 봉마감 밑에서 하기 전까진 방심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 상단에 오렌지 하락추세선과 전 고점이 겹치는 빨간색 박스(42.83~42.93) 돌파여부에 주목해주세요. 돌파 성공 시 추가 상승 나올 수 있습니다. - 추가 하락이 나온다면 기대해볼 수 있는 지지구간은 42.10~42.20(새벽 1시까지 유효) 입니다. - 빨간색 박스 상방돌파가 나온다면 43.30~43.45(새벽 5시까지 유효)에서 저항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 봉마감을 파란색 추세선 밑에서 한다면 추가하락 염두하시고 리테스트 저항이나올수도 있으니 잘 모니터링하시길 바랍니다. Tommy_Trader의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