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점검(이더,비트,나스닥 그리고 달러놈)비트가 이상하다 이더가 이상한건가 나스닥에 가까운건 비트인데 달러나 국채의 이상고점현상으로 상승동력을 받지못하고 있다. 달러와 국채의 꼬장이 끝나야 주식이나 코인시장이 활성화될텐데 지금 할수 있는건 지켜보는것 뿐인 상황같다fasthoony의4
[USD/KRW] 고점은 어디일까국내 원달러 환율의 사상 최고치가 연일 경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이러한 강달러 현상을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그리고 왜 금융당국은 고환율을 용인하고 있는 것일까? 먼저 8월 말 잭슨홀 미팅에서 미 연준 의장인 파월의 발언 이후 미국의 단기 국채 금리 상승이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유로존 역시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9.1%로 ECB (유럽중앙은행)에서도 빅스텝 내지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안전 자산인 달러 수요가 더 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 국내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국내 인플레이션보다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물가를 안정시키기보다는 경기 둔화 가능성을 더 우려해야 할 가능성이 제기될 것입니다. 최근 에너지 가격은 어느 정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무역수지 적자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달러 강세는 미국 경기 개선이 다른 주요국 대비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이면서 상승하고 있고 특히 엔화의 경우 140엔을 넘어 약세를 보이고 유로화 역시 유로존의 경기 둔화 우려속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8월 ISM 제조업 PMI는 52.8을 유지하며 예상(52.0)을 상회. 세부항목 중 신규주문(48.0→51.3) 및 고용지수(49.9→54.2)가 개선을 보이면서 미국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결국 달러 강세로 나타나고 있고 이는 미 국채 금리의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미국 2년물 국채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과연 그러면 언제까지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인가? 우선은 미 연준의 9월 금리 결정이 자이언트 스텝으로 이어지고 경제지표가 둔화될 경우 달러 강세가 진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 환율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것은 이번 주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출기업의 네고물량과 금융당국의 경계심이 상단을 제한하면서 상승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이 지속될 경우 결국 원달러 환율이 바로 안정세를 찾는데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9월 원달러 환율이 변동성 범위는 1335원~1380원 사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미 연준의 금리 결정 이후 달러 흐름에 따라서 1350원 이하로 안정세를 찾아 갈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며 미국 경제지표 둔화 여부에 따따 대응하는게 중요해보입니다. 롱J_Bit의8
차트로만 봤을경우 환율환율이 미친듯이 오르네요. 원래 저는 아래그림처럼 로그차트로 봤을경우 하락추세선에서 멈출줄알았습니다. 생각보다 더 많이 오르네요. 지금의 상승을 차트관점으로 봤을경우 달봉기준 1500에 1600에 있는 매물대까지 올라가며 하모닉패턴의 형성을 하고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emoji0107의4
원달러 환율 1400원 이상 상승 할 것으로 보입니다엘리어트 파동 분석입니다. 3-3-3파가 진행중이며, 이 3 파동이 마무리되면 적어도 1400원대까지는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동평균선 정배열과 장기 하락추세선 돌파에 따른 큰 상승입니다 저항 매물대는 1500-1600원대 입니다.롱coinwise의5
고삐 풀린 원달러 환율 어디까지 상승할까?FX_IDC:USDKRW #블랙머니 #경제적자유 안녕하세요. 원달러 환율이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다뤄드리려고 합니다. 1. 현재의 원달러 환율 상승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지난 주 8월26일 (현지 시간) 잭슨홀 미팅에서의 파월의장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인하여 9월 미 연준의 금리인상 폭이 최소 빅스텝에서 자이언트 스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면서 8월 29일 12시33분 1,350원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미 연준의 빅스텝이 되거나 자이언트 스텝이 될 가능성을 시장에 선 반영하면서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재 상승하고 한미 금리 역전이 명확하게 된 상황에서 정부의 구두 개입으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차트> 특히 이창용 한은 총재가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언급하면서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미국 7월 PCE 물가지수는 전년대비 6.8%에서 6.3% 하양 조정되었고 8월 소비심리지수의 기대인플레이션 역시 5.2%에서 4.8%로 8개월내에 최저치를 보여주면서 그 동안 미 연준의 큰 금리 인상 반영은 제한될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 제거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원달러 환율 차트> 당분간 원달러 환율은 밴드 범위는 1325원~1360원 사이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1350원 이상에서는 금융 당국의 개입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2. 경제지표 악화에도 미 연준 큰 폭의 금리인상 지속 가능할까요? 미 연준 파월의장의 매파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경제지표가 악화되고 물가 상승률이 지속될 경우에는 빅스텝 내지 자이언트 스텝이 단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이는 바이든 대통령의 시장 중립적인 성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9월 이후 미국의 경제지표가 악화될 경우 9월 금리인상 후 당분간 경제지표 개선 여부를 확인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이는 11월 미국의 대통령 중간 선거 결과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은 한미 금리 역전은 기정사실로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 해소 및 성장률 회복 여부에 따른 변동성 영향이 클 것으로 보여집니다. 왜냐하면 이창용 한은 총재가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전에 한국의 금리 인상 종료를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다고 밝히면서 국내 성장률과 외국인의 자본 유출 등을 고려하여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롱J_Bit의15
원달러 이번에 저항맞을 정거장은 1365원, 다음 정거장은 1500으로 예상안녕하세요 소라게아빠입니다. 원달러의 캔들 모습이나 분봉 수렴등의 형태를 볼때 현재의 무빙은 피날레가 아닙니다. 중간 어깨자리인 1365원 자리의 저항대는 그렇게 저항력이 클거 같지 않고 실제 저항력은 1500원, 08년 고점 매물대 라인 구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원달러가 어느정도 수준에 멈추고 1개월 이상 횡보 전에는 과도한 상승이다라는 말을 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롱hermitcrab41의2
달러원화예상 고점에 다왔다. 살짝 오버슛팅이 나오더라도 곧 안정화(원화입장)되리라 예상해본다 달러의 가치가 하락해야 비트도 살 기회가 있다. 이더도 살 기회가 있다. 원달러 환율이여 천원 밑으로 가보자.fasthoony의1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변동성 폭증 구간 돌입안녕하세요 소라게아빠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심상치 않은 상황입니다. 6월부터 지수 반등이 계속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1300원 구간이 깨지지 않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매수가 진행된다는둥, 반등구간에서는 싸기 때문에 괜찮다는 둥 말이 많았었습니다. 그러나 연관아이디어 링크 처럼 현 구간은 어디까지나 반등일뿐, 본격적인 추세상승이 V자 형태로 올라갈 가능성은 아무래도 낮은 편인데요 현재 잡혀있는 1329원 저항선을 넘어간다면 주봉상 잡혀있는 대추세에 대한 돌파 구간으로 돌입하게 됩니다. 원달러 상승이 지속될 경우 한국장의 변동성이 매우 높아질 확률이 높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hermitcrab41의1
USDKRW / 원달라 한국 환율 월봉 차트 분석원달러 환율 1481원 위에서 월봉상 음봉마감 후 다음 양봉 마감에 전액 매도 관점 현재 ADX 값 과거 패턴상 상승 추세가 끝날 만큼 추세 과열이 아직 되지 않았기에 추세 홀딩 가능 현재 과거 1997년 3월달과 현재의 유사성을 발견 할 수 있음.롱jtein의6
[환율] 달러 오를만큼 올랐나?#환율 #원달러 #USDKRW #주봉 #토미 - 최근에 미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및 금리 정책으로 달러가 무섭도록 올랐습니다. - 경기 침체 우려에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원화의 추가적인 약세에 입을 맞추고 있습니다. 과연 차트상으론 어떤지 같이 볼까요? - 큰 그림으로는 12년도부터 형성된 검정색 장기 상승 채널에 주목해 주세요.조금 더 단기적인 관점에서 빨간색 상승채널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몇 주 전에 1330원 부근을 찍고 조정이 나왔는데 이때 고점이 형성된 구간이 이 두 상승 채널 상단들과 전 하락 파동의 1.13 확장 레벨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 빨간색 상승 채널 하방이탈이 나오기 전까지는 상승 관점이 더 우세해 보이며 두 채널들의 상방돌파 여부에 예의 주시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 고점을 더 올리는 흐름이 나올 시 위에서 눈여겨볼 만한 저항구간은 대하락 파동의 618 되돌림, HVP 매물대, 그리고 빨간 채널 상단이 겹치는 자리인 1370~1380원입니다. - 빨간 채널 하방이탈 나오면 빨간색 박스(1230~1240원)까지는 열려있다고 생각하며 추가적으로 보고 있는 지지구간들은 1195~1205원과 1140~1150원입니다.Tommy_Trader의15
USDKRW(DOLLAR) 달러 기술적분석안녕하세요 쏭찌입니다. 2020년 12월11일 아이디어 퍼블리싱 이후 오랜만에 올려드립니다. 위의 차트는 2020년 12월11일 공유된 차트입니다. 현재 작은 ABC 파동의 AB=CD PATTERN에 도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약 큰 ABC 파동의 피보나치 구간까지 간다면 1380정도까지의 상승은 예상이 되나, 해당 네모구간에서의 하락 반전이 예상되어 집니다. 감사합니다.숏none_untitled의1
USDKRW는 여행을 떠났습니다. The exchange rate went on a trip. Tradingview 고수분들도 그러하듯 저 또한 환율이 얼마까지 올라갈 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이제야 저도 이 차트를 보네요. Crsi 볼밴을 이탈 했을때 동그라미 표시한 이미지 입니다. 떠났다는 건 다음 스텝은 돌아올 날이 있다는 것이겠죠.. 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시 3개월 차트입니다. 여행은 떠났고 볼밴 안으로 들어오기까지 환율에 영향 받는 모든 크립토, 국내주식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 할 생각입니다. 번외로 주봉 1095 (3년) 이평선은 추후에도 좋은 기준으로 쓰일 것 같아 이미지 남깁니다. 여행을 떠난 미국 달러, 유동성 파티, 저금리 시대를 지나 고금리 시대를 맞이하러 가고 있는 상황에서 또 어떤 그림이 차트에 그려지고 시장에 나타날지 궁금해집니다. 미래가 궁금해집니다. 롱pork_cutlet의334
환율 1600↑ 그날은 온다.....-★FX_IDC:USDKRW 1998년도부터 24년간 내려오던 전체 하락추세라인. 상단부분을 돌파하고 안착하는과정입니다. 리테식이로 밑으로오겟지만. 그. 날 은 온 다. POP_corn의7714
[원달러 환율] [월봉] 박스권 상승돌파 목표가 제시원달러 환율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것로 보이며, 해외거래소에서 USDT 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장기적으로 수익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롱KorSatoshi2025의4
[USDKRW] 거대한 저항선의 돌파 시도중!! 달러 사야되나??- 1997년 외환 위기 고점, 2009 세계 금융 위기 고점을 이은 보라색 장기 저항선의 돌파 시도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보라색 장기 저항선을 돌파 한다면 추가적인 달러의 가치 상승 가능성을 봐야하며, 단기적인 저항은 1330.50-1367로 보여집니다. - 1330.50-1367 저항을 돌파한다면 1407-1463 까지의 상승 가능성을 봐야하며, 해당 저항까지 돌파할 경우에는 1704.87-1795.49 까지의 상승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 다만 사용중인 보조지표들에선 과매수구간에 다다랐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과매도 구간에서 지속적인 보조지표의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고점이라는 생각에 확신을 갖긴 어렵습니다. - 만일 보라색 장기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거나, 돌파 한 뒤 1330.50-1367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재차 보라색 장기 저항선 하방으로 내려온다면 달러/원 가격은 1300-1100 사이에서의 횡보 또는 수렴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Tommy_Trader의17
달러 가격.... 한국 경제에 큰거 오나?삼각수렴을 그리던 달러 가치가 삼각의 천장을 두들기기 시작했습니다. 범지구적 악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ex: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원자재값 상승, 인플레이션 등) 다들 살아서 만납시다.byHRG의4
원달러 환율, 어디까지 오를까?원달러 환율차트를 보면 당분간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주봉을 봐도 월봉을 봐도 마땅한 저항선도 보이지 않고... 환율투자자라면 21년 6월이 적기로 보입니다.(위 박스) 코인에 투자한 투자 고수였다면 6월 코인 정리하고 달러에 투자를 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실행에 옮긴 분들이 있다면 존경스럽습니다. 아주 강한 상승도 가능한 자리로 보이는데 한 편으론 환율 상승으로 고통 받을 분들이 많다는 현실에 안타까운 마음도 듭니다. 단기적 목표로는 채널 상단 1321까지는 오르지 않나 하는 예상입니다. 추세를 보아선 그 이상도 가능해 보입니다. 개인적 관점으로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롱butterya의업데이트됨 2
1212원 지지. 환율은 당분간 환율 유지될 듯환율의 경우 재상승하여 200일선의 터치를 한 번도 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락반전을 위해서 라면 최소한 이 200일선에 두 번터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고공비행을 바로 멈출 것이라고는 봐지지 않습니다. 중요기점은 1212원입니다. 옅은색 챠트는 한국의 코스피비교입니다. 1212원 지지선을 깬다면 하락반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번에 깨기 어려운 지지선인 것은 200일 이평선에 맞물리고 있어 과거데이터는 두 번 터치후 세번째 하락반전을 말하고 있습니다. ksoochul의6
2022년 6월 18일 원달러 환율 차트 분석#2022년6월18일 #원달러 환율 #주봉 분석 근거 #패턴 삼각수렴 무려 24년이 넘는 수렴. 이 수렴을 돌파하려는 모습이 나오고 있음 #추세기반피보나치 #한계론 #목표가 돌파시 장기 목표가 1466 ~ 1545원 1703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롱Chartist_Dimple의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