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30 지난 금요일 잭슨홀 연설 이후 급락한 시장, 하락장 속에서의 변동성 장세 예상
8월 26일 잭슨홀 연설에 대한 코멘트
- 결국 지난 분석에서 전망한 것처럼, 관망세가 필요했던 장이었음.
- 왜냐하면 지난번 언급했듯이 잭슨홀에서 파월의 발언은 아무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
- 우선 21:30에 발표된 7월 PCE는 기대보다 양호하게(낮게) 나오면서, 이미 그러한 기대를 어느정도 반영하여 상승해왔던 시장을 조금 더 끌어올렸음
- 그러나 시장은 이보다 23:00 있을 파월의 발언에 집중하는 모습. PCE 발표로 잠시 끌어올려졌던 시장은 다시 되돌아오며 차분해졌음
- 23:00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와 5년 인플레이션 예상치 역시 기대보다 양호하게(낮게) 나왔으나, 역시 시장은 이보다 파월의 발언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음
- 그리고 23:00 시작된 파월의 연설은 상당히 짧고 굵은 8분의 시간이었으며, 내용은 시종일관 강력한 매파 스탠스였음
- 결론적으로 파월이 그렇게 강력한 매파적 입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고수할지는 아무도 몰랐던 것이 드러났고, 파월의 발언 이후 주식시장이 다른시장보다 특히 더 강한 반응을 보이면서 나스닥은 -4% 넘게 급락.
1. 기술적 분석
(1) 잭슨홀 약 일주일 전부터 미 증시는 나스닥, S&P500 모두 강력한 반등세에도 불구하고, 200일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뚫지 못하고 조정을 받은 상태였음. 특히 S&P500은 전고점에서 이어지는 하락추세선에 맞고 떨어지던 상태였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잭슨홀에서의 파월 발언 이후 미 증시는 다시 급락, 단기 과매도 구간에 접어들었음
(3) 이에 따라 8월 26일(금) 미 증시는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며 제한된 범위에서 변동성을 보임
(4) 위험자산 선호도를 보여주는 비트코인 역시 8월 26일(금) 미 증시 급락과 함께 급락하였으며, 주말까지도 하락세가 지속됨
(5) 비트코인은 8월 29일(월) Falling Wedge 하단 부근에서 반등을 시작, 과매도에 대응한 반발매수세가 유입됨
2. 펀더멘털 분석
(1) 파월은 매파적 입장을 당분간 고수할 것
파월은 잭슨홀 연설에서, 자신의 매파적인 입장을 명확하게 전달했음. FED는 당분간 성장보다는 인플레이션을 끌어내리는 것에 집중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고 언급.
(2) 현재 상황에서 미 증시는 낮은 가격은 아님
현재 S&P500의 P/E는 6월 저점이었던 15배 수준에서 다시 17.5배 수준으로 상승. 이는 장기간에 걸친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이어서 현재와 같은 매크로 환경에서 좋은 가격이라고는 볼 수 없음
(3) 향후 기업들의 이익전망 불확실
2분기 어닝시즌은 기대보다는 나은 성적을 거두며 여름 반등장을 이끌었으나, 수익성은 분명히 악화했으며 이는 이제 막 시작되는 기업이익 하락 추세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음
(4) 이번주 목, 금 경제지표 발표
이번주 목, 금에 미국 ISM 제조업 PMI와 고용지표가 각각 발표됨. 최근의 경우 지표가 안 좋게 나오는 것이 증시 상승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 적이 있음. 그러나 금리를 높게 유지할 것이라는 파월 입장이 당분간 변화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현재로서는 지표가 안 좋게 나온다고 해도 미 증시 상승은 제한될 수 있음.
(5) 유가 반등
최근 유가 반등세가 이어지고 있음. 100불을 돌파하고 다시 높은 유가가 유지된다면, 낮아지던 물가지표가 다시 주춤할 수 있고 이는 파월의 매파적 스탠스를 강화하는 방향일 것.
3. 향후 전망
(1) 파월의 매파적 스탠스가 당분간 유지될 것임이 예상됨에 따라, 위험자산 시장 전반은 당분간 큰 상승을 보이기 어려울 것
(2) 전반적으로 위험자산에 대한 비우호적인 매크로 환경 속에서 하락장 속에서의 변동성 장세가 예상됨
(3) 따라서 다른 조건들이 같다고 가정한다면, 과매도로 판단되는 경우 우량자산 중심의 롱, 지나친 반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자산 중심의 숏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며 이미 오른 가격에서 추격 매수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함.
(4) 그러나 높은 금리와 비우호적인 환경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지는 기업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됨. 특히 에너지 기업의 경우 유가 상승세와 맞물리며 상반기 큰 상승을 보였고, 하반기에도 원자재 가격이 높은 환경이 조성된다고 가정한다면, 기타 종목 대비 여전히 아웃퍼폼할 가능성이 높음.
거래 아이디어
나스닥 빅롱이번 하락은 2파라고 판단됩니다.
최근 나스닥 움직임을 보면 작년 12월~올해 6월까지 만들었던 수렴의 목표가만큼 상승했습니다. 그 후 7월부터 한달간 만들었던 수렴의 목표가 만큼 하락한게 2-a파이고 딱 쌍바닥 목표가만큼 올랐는데 2-b파상승으로 a파의 38.2%되돌림입니다. 그리고 현재 2-c파 진행중입니다.
c파는 12200~12400정도 간다고 보고 있습니다.
a파 길이 = c파 길이로 보면 12302.75, 피보나치로 보면 12404.75와 12264가 보입니다. 어떤 피보나치일지는 모르겠지만 피보나치는 당연히 오버슈팅한다는게 기본 전제입니다. 가장 중요한 지지매물대는 12180~12260부근입니다.
이번에 롱타면 6개월이상 장기홀딩해볼까 생각 중입니다.매매를 하다보니 3파때는 홀딩보다 트레이딩수익이 좋았던 적이 거의 없더군요. 그래서 3파때는 웬만하면 홀딩하자라고 계속 생각해왔는데 그것도 지킬 겸 꽤 전부터 생각해오던 연 단위 큰 그림도 있어서 그 큰 그림대로 해볼까합니다.
이번에도 1파 막바지때 수익이 저점 롱 홀딩보다 안 좋아서 자괴감이 들었네요. 다행히 2파 하락도 먹어서 홀딩대비 2배정도 수익났지만 역시 괜히 손놀리지 말고 가만히 있는게 이득인걸 다시금 느꼈습니다.
나스닥 예상 수정현재 두 가지 뷰 중에 헷갈립니다.
일단 13800대는 무조건 간다고 보고 있습니다. 2월부터 그린 수렴을 7월6일 돌파 이후 7월13일에 밟고 갔는데 수렴 입구만큼 딱 대입하면 13800정도 나옵니다. e파까지 만들고 지지대 밟고 추세전환하는 그림도 예쁘고 눌림도 정확하게 밟고 가서 굉장히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30주 이평선과 주봉을 2주연속으로 위꼬리 주봉을 만든 후 내려오는 패턴이 일반적이라 우선 빨간선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작은 파동이 좀 이상하긴 하지만 작은 파동에 뷰가 매몰되기보단 그냥 단순하고 크게 보는게 맞았던 경험이 많네요.
어제 13300에서 숏 진입하였지만 단기 뷰는 어제 만든 13100대 지지대+ 5일선 터치 후 우측이 높은 쌍봉 또는 헤숄만들 것으로 생각 중입니다. 7월29일부터 만든 수렴의 입구만큼만 올라도 13400이상은 올라갈 차트라 아직 올라갈 자리가 남지 않았나 싶습니다. 결국 주봉은 위꼬리로 마감할 것이라 예상하고 작은 움직임은 예상대로 안 되는 경우가 많아서 13300에 들어간 숏은 길게 들고 갈 생각입니다. (30주 이평선돌파하여 완성할 경우 손절)
진행하는 그림 계속 관찰하면서 뷰 수정하고 겹치는 부분만 먹을 예정입니다.
오늘인가? 음모론자 일지!!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음모론 분석:
여전히 세계가 무너질 거라고 퍼트리고 있는 음모론자입니다
얼마전에 단체 카톡방에서 어떤 분이 CPI 지표 보고 '우리가 충분히 인플레이션을 겪었다고 생각한다' 라고 하셨습니다
나는 '마트 장보러 가는데 배추 장사하시는 아주마가 나한테 주식 이거저거 사면 돈 벌겠다고 할 때 주식 시장
폭락이 곧 멀지 않을 거라는 얘기 문득 생각이 나네요
우리가 여러 매체에서 보게 된 경제 뉴스들은 로트실트 가문에서 던지는 연막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자본 주의의 지도층에 있는 나쁜 새끼들이 개미들의 돈을 빨아먹을라고 하는 수법이라고 생각하네오
기술적 분석:
하락 중추 A 하단 라인 13706 포인트 도달 --생각보단 반등이 셌습니다
하지만 이 쯤에서 저항 받는 게 정서라고 봅니다
그리고 상승 쐐기형의 패턴도 생겼으니 손절 짧게 잡고 매도 해볼 만한 합니다
4시간 레벨에서 중추 벗어난 후에 추세 괴리 발생할 기미 보입니다 macd 면적 비교 (프로필 교육 영상 참고)
쐐기형으로 인해 하락 및 재반등으로 통해서 헤드엔숄더 패턴이 나올 수 있을 지도 상상해 봤습니다
1차 목표는 12945포인트 부근
2차 목표는 12211포인트 부근
손절 모두 13900 짧게 잡아주시면 될 것같습니다
모두 경제 자유를 위하여!!
감사합니다
22-08-19 나스닥 분석안녕하세요. 비비드 입니다.
오늘의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어제의 브리핑 셋업을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저항선 돌파 시 매수 관점으로 임하라고 했으나 9시 30분 가량에 지표 발표가 있다고 했습니다.
지표의 방향성이 늘 뚜렷하지 않기에 (제가 지표를 보고 방향을 맞추지 못합니다) 거래량이 많이 실린다 라고만 생각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저항선 돌파 후 주황박스 처럼 튀어올랐습니다.
저 또한 이때에 매수 관점으로 진입을 해서 수익이 어느정도 났으나 지표 발표 전에는 정리를 하였습니다.
왜냐면 추세가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깐요.
1차 목표가를 아쉽게 달성하기 직전 저항받았습니다.
그 후 나스닥의 10시 30분 장 시작이 되면서 앞서 말한 단기 지지구간을 지켜낸 것으로 확인 됩니다.
어제의 관점 중 하나는 단기 지지구간의 저점을 계속해서 높이고 있다는 점 입니다.
그 후에 나온 1차목표가 달성은 따로 목표달성을 했다고 하기에 아래로 많이 흔들었다보니 오바인듯 하고 어쨌든 어제의 흐름 안에서 차트가 움직인 듯 합니다.
오늘의 진입자리는 매수든 매도든 현 시점에서는 2자리씩 보입니다.
추세 저항선 돌파 시와 어제의 동일했던 고점 돌파 안착시 매수 관점입니다.
반대로 매도도 추세 지지선 이탈 시와 어제의 단기 지지구간 하방이탈시 입니다.
현 시점의 흐름을 본다면 4시간봉이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듯 합니다.
추세가 횡보 박스 구간인데 20선과 60선의 이평 사이에서 갇혀있는 모습입니다.
핑크색 박스에서도 이평 안에서의 움직임이 나왔지만 이는 같은 그림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왜냐면 추세가 이평 안에서 박스권으로 움직인게 아니니깐요.
오히려 유사한 그림은 주황박스인 듯 합니다.
주황 박스 안에서의 움직임도 한동안 박스권이였습니다.
주황박스를 빗대어서 볼때에 이걸 무조건 하방으로 보고 있다 라기보다는 그림이 그랬다는 점이며 저는 그림의 유사 보다는 앞서 말한 진입자리의 근거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성투!
내일이면 주말인데 모쪼록 좋은 행복한 주말 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