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2 상단이었던 1,400원, 어느새 하단? 전일 동향: 환율 협상 발표와 외국인 순매수에 상고하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상고하저 흐름을 보이며 야간장 마감가 대비 소폭 하락한 1,400원 초반 마감.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미국 셧다운 우려에 따른 약달러에 1,404.2원 수준에서 개장. 다만 당국의 환율 협상 관련 발언에도 통화스와프 논의가 없었다는 점을 확인하자 한때 1,409원까지 상승 시도. 다만 오후 중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수 영향에 재차 1,400원 초반까지 반락. 주간장 전일대비 1.8원 내린 1,403.2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셧다운 돌입, 민간 고용지표 악화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부진한 민간고용 지표에 금리 인하 기대감 강화되며 하락. 이날 미국 연방정부는 셧다운에 본격 돌입. 따라서 비농업 고용(NFP) 발표가 지연될 가능성 높아진 가운데, 민간에서 발표하는 ADP 고용지표에 대한 주목도가 상승. 9월 민간 고용은 -3.2만 명 감소로, 시장 예상(5.2만 증가)을 크게 하회. 또한 노동부의 QCEW 벤치마크 수정을 동 지표에도 적용한 결과, 지난 8월 신규 고용도 +5.4에서 -0.3만으로 크게 하향 수정. 지난 자료(09.30)에서 언급했던 셧다운 장기화에 따른 실업률 상승 우려까지 겹치며 단기물 금리 중심 낙폭이 확대. 한편 ISM과 S&P 집계 제조업 PMI는 각각 49.1pt, 52.0pt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두 지표 모두에서 확인된 부분은 제조업 생산활동이 여전히 견조한 점. 다만 ISM 지표 내 운송장비 업체는 관세로 인해 최대 취득가와 판매가 모두 20%가량 상승했다고 언급한 반면 , S&P 지표 내 응답자들은 경쟁 압박과 수요 둔화로 판매가격 인상은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언급. 고용 둔화를 반영하며 연내 2회 인하 기대감은 77%-> 89%로 상승했으나, 인플레 우려 잔존에 장기물 금리 낙폭은 제한.
(달러↓) 달러화는 고용 둔화에 한때 빠르게 하락했으나, 리사 쿡 이사에 대한 직무 유지가 재차 확정되자 낙폭 회복. (엔↑) 엔화는 달러화 약세와 금리 인상 기대감 영향에 강세 흐름 유지. 이날 발표된 3분기 대형 제조업 단칸지수는 14pt로 전월대비 상승. 또한 Capex 투자도 올해 16.3%로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추정.
금일 전망: 위험선호 심리 여전, 달러-원 하락 시도 지속
금일 달러-원 환율은 여전한 위험선호 심리에 1,400원 대 하락을 계속해서 시도할 전망. 미국은 어제부터 본격 셧다운에 돌입. 이에 고용지표 발표 지연과 실업률 상승 우려에 금리 인하와 약달러 베팅이 확대되는 모습. 동시에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 유지됨에 따라 장중 외국인 자금의 주식시장 유입은 지속될 여지 존재. 또한 장기간 연휴를 앞두고 수출업체들의 막판 네고 물량도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글로벌 약달러와 외국인 자금 유입 등 환율 하락 변수에도, 여전히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재료는 1) 대규모 해외투자 환전수요와 2) 통상협상 불확실성. 다만 2)의 경우 환율 협상 발표 이후 단기적으로 안정감을 되찾은 것으로 추정(CDS 프리미엄 추가 상승 제한). 따라서 장중 환율은 하방 압력이 소폭 우위를 보일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397-1,40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펀더멘털 어낼리시스
10/01 셧다운 우려와 서서히 강해지는 엔화 전일 동향: 예상보다 약한 네고와 예상보다 강한 결제수요
전일 달러-원 환율은 네고 물량 부족 영향에 재차 1,400원 초반 수준으로 상승.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미국 셧다운 우려에 따른 약달러를 소화하며 1,400원 수준에서 개장. 한때 수출업체 네고 물량을 대기하며 1,399원 수준까지 하락했으나, 이내 결제수요와 달러화 반등 영향에 상승. 외국인 자금 유입도 제한적으로 이뤄지며 한때 1,405원 수준까지 반등. 주간장 전일대비 2.5원 오른 1,402.9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수익률 곡선 다시 스티프닝, 日 인상 기대감
(미국채 금리 단기↓ 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단기 인하 기대감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공존하며 장단기 혼조 마감.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여전히 금리 인하 기대감을 강화. 노동부에서 발표한 8월 JOLTs 구인건수는 722.7만 건으로 시장 예상(719.0만)을 소폭 상회. 다만 구인 수요와 별개로 실제 채용이 된 인원은 전월대비 11.4만 명 감소. 동시에 퇴직자 수도 전월대비 11만 명 가량 감소하며 노동시장 정체 현상이 지속. 실업자 대비 구인건수는 이달에도 0.98배를 기록하며 노동시장 초과공급 국면이 유지. 한편 컨퍼런스보드의 소비자신뢰지수는 94.2pt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96.0)을 하회. 전반적으로 4월 소비심리의 저점 대비 반등하긴 했으나, 인플레이션 반등과 고용시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응답을 통해 확인되며 수익률 곡선 반등에 기여. 이날 투표권을 보유한 연준위원들의 발언은 엇갈린 가운데,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셧다운 우려를 두고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셧다운의 기간에 있다고 언급. 의회예산국(CBO)이 지난 2018년말 35일간의 셧다운으로 인해 GDP가 약 0.02% 하락했다고 추정한 부분도 시장은 금리 인하 재료로 해석.
(달러↓) 달러화는 단기 금리 하락과 더불어 엔화 강세를 소화하며 하락. (엔↑) 엔화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금리 인상 기대감 강화에 강세. 10월 금리 인상 베팅은 지난주 51.5%에 불과했으나, 최근 BOJ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 최근 67.5% 수준까지 상승.
금일 전망: 하루만에 자취를 감춘 네고 물량? 엔화에 기대는 원화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정부의 셧다운 우려에 1,400원 초반대로 소폭 하락할 전망. 미국 양당은 예산안 합의 부재로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이 확대. 이는 통상 금융시장에 제한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되나, 최근 고용 둔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고용지표 발표 지연은 금리 인하 기대감을 강화. 또한 일본의 10월 인상 가능성이 지속해서 상승하며 미-일 금리차는 축소. 이에 따른 엔화 강세 움직임 또한 달러화 약세를 부추길 여지.
다만 부족한 국내 수출업체 네고 물량은 환율의 하방 경직성을 확대. 지난 월요일 1,410원대에서 적극적으로 출회되던 수출업체 네고 물량은 환율이 다시 1,400원대로 진입하자 주춤. 분기말 자금 수요가 종료됨과 동시에 중국이 장기 휴장(~10.07)에 진입하며 위안화의 동반 강세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금일 예상 레인지 1,398-1,406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미국 정부 셧다운 과거의 흐름 지금 흐름이 다르다📣 미국 정부 수요일 폐쇄확률 현재 76%
미국 정부 셧다운 요약
현황 : 게시물 기준 수요일 셧다운 확률 76% 여야가 지출법안/임시예산(CR) 합의 못 하면 연방정부 자금 집행 중단
언제부터? 수요일 0:01 a.m. EDT부터 효력(게시물 기준). 7년 만의 첫 셧다운 가능성 언급
전면 중단 아님. 일부 연방기관 서비스 일시 중단·지연 가능하나, 국경보호 · 법집행 · 의료 · 치안 · 교통 등 필수 기능은 계속 운영
그렇다면 비트코인의 영향을 본다면?
미국 증시는 셧 다운 초기전 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 크리스마스 이브까지 -20% 하락을 보여주었고 그 이후 회복세가 이어졌습니다.
셧다운 초기전 후 -53%하락 2019년 +60%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결과는 연준의 긴축정책, 세계 성장 둔화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입니다.
지금 당장 예측을 할 수 없지만 정부 전체가 폐쇄 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시적인 악재로 파단 하락 휩쏘가 나오게 되면 우리에게는 큰 기회가 올 것으로 보입니다.
09/30 수급에 기대어 안정을 찾은 원화 전일 동향: 분기말 네고와 외국인 수급에 급락, 달러-원 1,390원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수급 영향을 주시하며 1,390원 후반대로 하락. 장초반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에 따른 약달러를 소화하며 1,409원대 개장. 이후 국내 증시 외국인 순매수 유입에 재차 하락 압력을 소화. 또한 장중 분기말 수출업체 네고 물량도 출회되며 환율은 1,400원까지 하향 돌파하며 낙폭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11.0원 내린 1,398.7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셧다운 발생시 실업률 4.7%?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영국 길트채 금리 하락과 셧다운 영향을 주시하며 하락. 이날 영국 리스브 재무장관은 재정 안정성 강조와 지출 통제 의지를 피력. 이에 길트채 금리 하락과 연동되며 미국채 금리도 장기물 중심 소폭 하락. 특별한 경제지표 발표가 부재한 가운데, 시장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영향을 주목. 통상 셧다운은 금융시장 영향이 제한되나, 노동통계국(BLS)의 경제지표 발표 지연 가능성이 대두. 가장 최근 사례인 2018년 12월 당시는 역대 최장 기간인 34일간 셧다운에 돌입. 이를 감안해 11월에 발표될 고용보고서의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4.7%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Bloomberg). 가계조사의 참고 주간(10.12~10.18) 동안 휴직 상태를 유지하는 연방 공무원 64만 명은(과거와 동일한 휴직 비율을 적용) 실업자로 간주되기 때문. 이러한 휴직자는 보통 셧다운 기간 종료시 다시 고용 상태로 복귀하나, 트럼프 대통령이 휴직자들을 영구해고 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어 불확실성은 증대된 상황. 현재 선물시장에 반영된 연내 2회 인하 확률은 전일 65.4%에서 67.6%로 소폭 상승.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 하락과 주요 아시아 통화 강세 영향에 하락. (위안↑) 위안화는 주식시장 강세와 수출업체 네고 물량 영향에 강세. 최근 본토 주식시장에 적극적인 자금 유입과 더불어 국경절 연휴를 앞둔 네고 물량이 출회된 것으로 추정. (엔↑) 엔화는 BOJ 노구치 위원의 매파적 발언에 강세.
금일 전망: 연휴 전 네고 물량에 추가 하락 기대, 달러-원 1,300원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과 수출업체 네고 물량에 힘입어 1,390원 중반대로 하락할 전망. 전일 주간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지난주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며 1,390원 후반대로 진입. 이는 아직 구체안이 발표되지 않은 환율 협상 효과보다,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매수세와 수출업체 네고 물량 등 수급 영향이 컸다는 판단. 게다가 역대 최대 규모로 쌓여있던 중국 수출업체 네고 물량도 10월 1일 국경절을 앞두고 재차 출회되며 위안화發 하락 압력이 확대될 전망.
다만 달러 저가매수 유입은 하단을 지지. 어제 장중에도 1,400원을 중심으로 대규모 달러 매수세가 유입되며 추가 하락을 제한. 또한 아직 뚜렷한 환율 협상 결과, 대미투자 관련 논의가 나오지 않았고, 미국의 셧다운 우려도 고조되는 만큼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396-1,404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09/29 이벤트 대기하며 숨고르기 전일 동향: 대규모 외국인 매도세에 1,410원도 상향 돌파
전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들의 주식 순매도 영향에 1,410원 초반 수준으로 상승. 장초반 미국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강달러 영향에 1,409원 수준에서 개장.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 선불 언급에 재차 상승 압력을 소화. 또한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세를 보이자 환율은 한때 1,414원 수준까지 상승폭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3.1원 오른 1,412.4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물가 예상 부합, 양호한 소비 지속
(미국채 금리 단기↓,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물가와 소비 지표를 소화하며 장기물 중심 보합권 상승. 이날 발표된 PCE 물가는 헤드라인 기준 전년대비 2.7%(예상:2.7%, 이전:2.6%), Core 기준 2.9%(예상:2.9%, 이전:2.9%)로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 세부 항목을 보면 자동차/금속 및 시계/주류 등 관세 영향 품목의 물가 상승이 확인. 다만 주거비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물가도 높은 수준 유지되며 전반적인 인플레 압력은 여전. 한편 물가 영향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이 전월대비 0.4% 증가. 다만 소득 증가율 대비 소비의 증가율이 높아 저축을 소모해 소비했을 가능성. 이를 반영해 애틀란타 연은이 추정하는 3분기 GDP 연율화 수치는 3.9%로 지난 9월 17일 대비 0.6%p 상향 조정. 물가가 예상에 부합하며 단기물 금리는 소폭 하락했으나, 견조한 펀더멘탈 영향에 장기물 금리는 상승. 한편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55.1pt를 기록하며 전월(58.2) 대비 하락. 주식 보유량이 많은 소비자 심리는 긍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미보유 소비자들 중심으로 하락.
(달러↓) 달러화는 단기금리 하락에 연동되며 소폭 하락. 한편 CFTC에서 집계한 지난주(~9.23) 달러화 순매도 포지션은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유지(투기적 포지션은 약달러에 포진). (엔↑) 엔화는 선행 물가지표가(도쿄 CPI) 예상을 하회했으나 기타국 대비 관세 우위에 소폭 강세.
금일 전망: 하락하기도 상승하기도 어려운 시장, 1,410원대 유지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의 고용지표와 환율 협상 결과 발표를 주시하며 1,410원대 등락을 반복할 전망. 주말 사이 한국과 미국의 환율 협상이 완료됐다는 보도가 발표. 다만 이는 관세 협상의 연장선 이며, 최근 외환시장 불안감을 주도했던 통화스와프에 대한 우려는 여전. 정부의 입장발표와 더불어 이번주 미국의 고용지표를 대기하며 오늘 장중 환율은 1,410원대에서 보합권 움직임을 보일 전망. 한편 의약품과 대형트럭 등 미국의 관세 위협이 재발하는 조짐 있으나, 의약품 수출 비중이 낮은 국내 수출 구조상, 당장 외환시장에 반영될 재료는 아니라는 판단.
수급적으로 보면 미국 증시와 연동된 위험선호 회복에 외국인 자금은 유입될 것으로 기대. 또한 연휴를 앞둔 분기말 네고 물량 출회도 환율 하락 압력으로 소화될 여지. 다만 상술한 불안요소가 아직 잔존함에 따라 낙폭은 제한적을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07-1,41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MD US ( Pediatrix Medical) long🇺🇸 #invest #MD
Pediatrix Medical Group은 여성, 신생아, 어린이를 위한 전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다음과 같은 활동 분야를 포함합니다.
신생아 관리
주산기학
소아과 세부 전문 분야
신생아 청력 검사, 원격 의료 개발 등의 기타 서비스
Pediatrix는 병원과 협력하여 임상 부서 관리 및 인력 배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청구 및 인사와 같은 행정 업무가 포함됩니다.
Pediatrix는 36개 주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약 400개의 병원과 협력하여 4,400명 이상의 의사와 임상의를 하나로 모으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당순이익(EPS) $0.53 (예상 $0.42); 매출 4억 6,884만 달러(예상 4억 6,437만 달러)
연간 조정 EBITDA 가이던스는 2억 4,500만~2억 5,500만 달러로 상향 조정
인건비 증가세 둔화
순이익(OCF) 1억 3,800만 달러(전년 동기 1억 900만 달러 증가)
순부채 약 3억 8,000만 달러로 감소
2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시작
2024년 순이익은 마이너스(-)로 떨어졌지만, 회사는 최근 보고서에서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EPS는 흑자 전환했습니다. 앞으로도 흑자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Valuation
Forward P/E 8.7
P/S 0.7
EV/EBITDA 7.2
금은 안전자산? 비트코인은 위험자산?비트코인은 ETF가 출시 된 후로 과거 글로벌 M2 통화량을 10주(70일~107일)의 시차를 두고 추종하는 모습을 보여왔으나, 지난 5월 이후 이러한 상관관계가 약화되었습니다. 반면 금은 여전히 글로벌 M2와 거의 일대일의 비율로 긴밀하게 연동되고 있습니다.
이미지1. 비트코인 vs 글로벌 M2
이미지2. 금 vs 글로벌 M2
이러한 변화는 달러 약세와 지정학적 긴장이 심화되는 가운데, 자산별 성격과 투자자들의 선호가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위기 국면에서 선호되는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반면, 비트코인은 위험 선호 환경에서 보다 높은 수익성과 변동성을 보이는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 가격의 상승은 시장이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리스크를 축소하고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반영합니다. 동시에 금의 강세는 통화정책 완화 기대와 달러 약세 기조가 결합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3. 비트코인 vs 금 (100일 선행)
향후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될 경우, 비트코인이 뒤따라 강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4분기는 과거 통계적으로 비트코인의 상승 확률이 높은 시기로, 추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09/25 대외변수에 속절없이 무너진 1,400원 상단 전일 동향: 외국인 증시 매도, 아시아 통화 약세에 1,390원 후반
전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과 아시아 통화 약세와 연동되며 1,390원 후반 수준으로 상승.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야간장 마감가인 1,393원에 개장. 오전 중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이 순매도로 돌아서자 환율은 상승 압력을 소화. 또한 위안화 약세와 더불어 다카이치 후보자의 발언에 따른 엔화 약세에 연동되며 장 막판 1,398원 부근까지 상승. 주간장 전일대비 3.5원 오른 1,397.5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금리 상승세 지속, 中 외환당국 위안화 절하 개입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발행물량 부담에 연이어 상승. 이날 금리는 경제지표 부재에 따라 수급 상황과 연동. 전일 2년물 입찰(690억)에 이어 오늘은 700억 달러 규모 5년물 입찰이 진행. 응찰률은 2.34배로 직전(2.36)과 최근 6회 평균(2.36)을 소폭 하회했으나, 발행수익률을 보면 대체로 무난한 수요를 기록. 다만 오라클 사가 18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진행한 가운데, 수요가 880억 수준으로 급격히 몰리며 회사채 시장 대비 국채 시장 유통 물량이 상대적으로 감소. 한편 한때 대표적인 비둘기파였던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물가 불안이 여전하며, 선제적 금리 인하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언급. 지속해서 엇갈리는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선물시장에 반영된 올해 추가 2회 인하 기대감은 일주일 새 81.5%->74.4%로 하락.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 상승과 주요국 통화 약세 영향에 반등. (위안↓) 위안화는 중국 외환당국의 약세 유도 개입 보도에 큰 폭 약세. 블룸버그는 전일 중국 국영은행이 현물시장에서 달러 매수-위안화 매도 개입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동시에 스왑시장에서 달러화를 매도하며 포지션 중립을 유지). 지난 2년간 절상 유도를 했던 움직임과 반대이며, 최근 위안화 강세에 대한 속도조절 의도가 명확. (엔↓) 엔화는 다카이치 사나에 후보의 재정∙통화 완화 스탠스에 약세. (유로↓) 유로화는 독일 기업들의 심리지표가 다시 악화되자 약세.
금일 전망: 이미 넘어버린 1,400원, 외환당국 스탠스 유의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당국의 개입 여부를 주시하며 1,400원 중심으로 등락할 전망. 전일 야간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3분기 동안의 상단으로 여겨졌던 1,400원을 속절없이 돌파. 이에 월요일과 같이 외환당국의 개입 경계감이 짙어진 상황. 다만 어제의 환율 상승은 지난주와 달리 대내 요인(3,500억에 대한 부담감)보다 외부 요인(주요 아시아 통화 동반 약세)에 의해 주도. 따라서 외환당국이 외부 요인으로 인한 시장환율 변동을 용인할지, 추가적인 달러 매수 심리 과열을 억제할지에 따라 1,400원을 중심으로 상회하거나 반락할 양방향 가능성 모두 존재.
수급적으로 보아도 상승과 하락 압력이 대치. 미국 기술주 부담에 따른 외국인들의 순매도 지속은 환율 상승 요인. 다만 분기말 수출업체 네고 물량이 적극 출회될 경우 이는 환율 하락 요인. 또한 새벽에 대통령실에서 확인된 재무부장관과의 통상협상 관련 긍정적 검토 소식 또한 일시적으로나마 불안감을 잠재울 재료.
금일 예상 레인지 1,395-1,410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KKR US 롱🇺🇸 #Invest #KKR #US
KKR은 사모펀드, 신용, 부동산, 인프라 등 대체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투자 회사입니다.
2025년에는 이탈리아 바이오연료 기업인 에닐리브(Enilive)의 지분 25%를 29억 4천만 유로에 인수하여 에너지 부문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KKR은 자회사인 글로벌 애틀랜틱(Global Atlantic)을 통해 보험 사업을 포함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보고서
주당순이익(EPS) $1.18, 예상치보다 4.42% 상회
수수료 및 수수료 수익(FRE): 8억 8,700만 달러(주당 0.98달러)를 기록하며 회사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년 대비 17% 성장했습니다.
운용자산(AUM): 14% 증가한 6,860억 달러, 수수료 기반 운용자산(FPAUM) 또한 14% 증가한 5,56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헬스케어 로열티 파트너스 인수: 약 30억 달러의 운용자산 추가
경영진은 3,00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고 보험 영업수익을 분기당 2억 5천만 달러로 늘리는 등 2026년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에너지 전환, 리쇼어링, 보안 등 메가트렌드에 집중
09/24 아직은 박스권 이탈 재료 부재 전일 동향: 양방향 수급에 달러-원 1,390원 초반대 유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과 연동되며 1,390원 초반 수준을 유지. 장 초반 달러화 약세와 연동되며 1,391.2원 수준에서 개장. 이후 특별한 방향성 부재한 가운데 국내 증시에 외국인 순매수 이어지며 한때 1,390원까지 하락 압력을 소화. 다만 동시에 외국인의 달러 포지션도 순매수를 기록하며 환율은 다시 1,390원 초반 수준으로 상승. 주간장 전일대비 1.1원 오른 1,392.6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2분기 약달러는 기관 환헤지 영향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최근 5거래일의 상승세를 되돌리며 소폭 하락.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 연준 위원들의 발언 모두 금리 방향성에는 영향이 제한. S&P에서 발표한 9월 PMI 중 제조업은 52.0pt(예상:52.2, 이전:53.0), 서비스업은 53.9pt(예상:54.0, 이전:54.5)로 집계. 대체로 전월대비 하락했으나 확장세를 유지. 주목할 만한 부분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투입가격(원자재)은 여전히 높았으나, 판매가격은 4월 고점 대비 빠르게 둔화하며 기업들이 관세를 다소 흡수 중인 것으로 확인. 고용 증가세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폭이 축소되며 둔화세 지속. 한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지속되는 가운데 의견은 엇갈리는 모습. 파월 의장은 "여전히 고용 시장의 둔화 조짐에 유의하고 있으나, 동시에 물가가 일회성 요인인지 확인할 필요"를 언급. 이와 반대로 미셸 보우만 부의장은 "향후 몇 달간 고용시장의 급격한 위축"을 근거로 연내 추가 2회 인하를 예상한다고 언급. 이날 진행된 2년물 입찰은 응찰률(2.51배)이 다소 부진했으나, 발행수익률은 시장 예상을 하회하며 무난한 수요를 기록.
(달러↓) 달러화는 여전히 주춤한 방향성 영향에 보합권 수준에서 소폭 하락. 이날 발표된 미국의 2분기 경상수지는 -2,513억 달러로 1분기(-4,398억) 대비 크게 축소(달러 유출 감소). 다만 동시에 금융계정을 보면 1분기 대비 해외자금 유입이 크게 증가. 이는 2분기 약달러는 미국 내 달러 유출이 아닌 기관 환헤지 영향임을 시사.
금일 전망: 박스권 이탈 재료 부족, 달러-원 1,390원대 유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환시장 방향성 탐색 흐름에 맞춰 1,390원대를 유지할 전망. 최근 달러는 추가적인 경제지표(고용, 물가)를 대기하며 뚜렷한 방향성이 부재. 연준 위원들의 발언도 지속해서 엇갈리며 당분간 외환시장 보합권 흐름은 지속될 전망. 내부 요인을 봐도 상하방 재료는 상존. 외국인 자금은 국내 증시로 유입됨과 동시에 달러-원 롱 포지션 누적으로 이를 상쇄하는 움직임 여전.
한편 지난주를 기점으로 국내 CDS 프리미엄이 반등하는 움직임이 지속. 이는 대미 투자 관련한 불안 요소가 금융시장에 본격 반영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으나, 작년말 정국 불확실성 국면과 대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 따라서 아직은 1,400원을 상향 돌파할 재료로 해석하긴 이른 상황.
금일 예상 레인지 1,387-1,39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09/23 상단 확인한 시장, 박스권 재진입 전일 동향: 1,400원 상단 경계감 유효, 달러-원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1,400원에 대한 상단 경계감이 작용하며 1,390원 초반 수준으로 하락.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은 야간장 종가대비 1.5원 상승한 1,398.5원에서 개장. 한때 1,399원 부근까지 상승한 환율은 이내 당국 개입 추정 물량, 수출업체 네고에 힘입어 반락. 또한 외국인 자금이 국내 증시로 재차 유입되며 환율은 1,390원 초반 수준까지 낙폭을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4.4원 하락한 1,392.6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마이런이 언급한 중립금리?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대체로 매파적인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소폭 상승. 이날 발언한 지역 연은 총재들은 대체로 매파적 스탠스. 올해 투표권이 있는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물가 위험을 근거로 "최근 금리 인하 이후 추가적인 인하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언급. 또한 애틀란타, 클리브랜드 지역 연은 총재들 또한 대체로 현재 금리 수준은 중립금리와 가깝다고 인식하며, 물가 반등에 대한 위험성을 언급. 반대로 스티브 마이런 이사는 다소 비둘기파 의견을 제시. 현재 통화정책은 과도하게 제한적이며, 중립금리는 현재 금리보다 2% 수준 낮다고 언급. 이와 별개로 현재 주요 지역 연은에서 추정하는 실질 중립금리는 0.84%(뉴욕 연은)~2.15%(리치몬드) 수준. 즉 현재 기대 인플레이션을 2%로 감안하더라도 명목 중립금리는 2.84%~4.15%로, 스티브 마이런이 언급한 2.00%~2.25%과는 다소 괴리가 존재. 한편 미국채 금리 자체는 변동성이 크지 않았으나, 내일부터 연달아 예정된 2년-5년-7년물 공급 부담에 상승.
(달러↓) 달러화는 대체로 보합권 움직임 보였으나 스티븐 마이런 이사의 발언에 하락. (엔↑) 엔화는 자민당 총재 후보인 다카이치 사나에가 미묘한 입장 변화를 언급하자 강세. 10월 4일 투표를 앞두고 다카이치 후보는 1) "책임있는" 적극 재정과 2) 부채-GDP 비율의 점진적인 저하, 3) 소비세가 아닌 소득세 감면 추진 등 과도한 재정확장 우려를 완화하려는 입장을 표명.
금일 전망: 상단 확인한 외환시장, 다시 박스권 움직임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과 연동되며 1,390원을 중심으로 등락할 전망. 최근 급격히 확산됐던 3,500억 달러에 대한 부담감은 외환시장 불안 요소로 작용. 다만 어제 장중 확인된 1,400원 상단 인식은 추가적인 달러 롱 베팅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 또한 펀더멘탈이나 방향성 재료가 부재한 만큼 9월 고용보고서 확인 전까지는 재차 1,380-1,400원이라는 박스권 내에서 등락할 전망. 만약 외국인 자금이 국내 증시로 재차 유입된다면 1,380원 중후반대 완만한 하락도 기대해 볼 여지 존재.
다만 외국인 자금 수급 변동에 다시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도 존재. 1,400원이라는 상단 인식은 역설적으로 1,400원 이하까지는 롱 포지션의 공간을 허용하는 근거. 뚜렷한 하락 방향성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이러한 움직임에 주의할 필요.
금일 예상 레인지 1,386-1,394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09/22 1,400원 빅피겨 앞두고 맴도는 긴장감 전일 동향: 강달러+외국인 수급에 1,390원 대로 재차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강달러와 수급에 동시 영향 받아 1,390원 초반대로 상승. 미국의 양호한 경제지표와 FOMC를 연이어 소화하며 달러-원 환율은 1,388.4원 수준에서 개장. 이후 국내 증시 외국인 순매도, 달러 포지션 숏커버 물량이 유입되며 1,390원 상향 돌파. 한때 BOJ 금리 동결 소식에 엔화가 강세를 보였으나 영향 제한. 주간장 전일대비 4.6원 오른 1,393.6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英 공공부채 우려 재발, 日 기준금리 동결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영국 길트채 금리와 연동되며 소폭 상승. 이날 발표된 영국의 공공부문 차입 금액이 180억 파운드로 시장 예상(128억)을 크게 상회. 이에 영국 장기채 금리의 상승과 연동되며 미국채 금리도 상승. 이날 특별한 경제지표 부재한 가운데,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에세이를 발표하며 최근 물가와 고용에 대한 의견을 발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1) 최근 고용시장 둔화 소식에도 불구, 주식 가격의 상승세와 신용 스프레드 등을 보면 과연 금리가 긴축적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 2) 다만 이는 AI 데이터 센터 건설과 같은 노동 집약도가 낮은 산업에 자본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현상. 새로운 데이터센터 건설(CAPEX, 주식↑)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할 수 있겠으나, 운용에는 인원이 적게 투입되기 때문(고용↓). 3) 관세와 연준에 대한 독립성 우려는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요인. 다만 기대인플레가 3%를 장기적으로 상회하기 위해서는 '임금-물가'의 선순환이 작용해야 하나, 현재 노동시장은 오히려 실질임금 둔화 국면. 4) 따라서 주식 강세나 기대인플레와 별개로 고용 둔화가 더욱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판단.
(달러↑) 달러화는 파운드화 약세 속 지속적인 숏커버 물량이 유입되며 소폭 상승. CFCT에서 집계한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은 지난 FOMC 이전인 16일까지 크게 확대된 것으로 확인. (엔↑) 엔화는 BOJ 기준금리 동결(0.50%)에 소폭 강세. 특히 9명의 통화정책 위원중 2명이 인상 소수의견을 개진하자 한때 강세폭 확대.
금일 전망: 당국 개입 없다면 달러-원 1,400원 돌파 가능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당국 개입 여부를 주목하며 1,400원 돌파를 시도할 전망. 지난 한주간 달러인덱스는 0.1% 상승한 반면, 달러-원 환율은 0.3%, 지난 금요일 하루만 0.7% 가량 상승. 이는 주요 아시아 통화 환율을 보더라도 원화에 약세 압력이 두드러진 상황. 외국인들의 숏커버 영향도 있겠으나, 3,500억 달러 대미투자 압박이 지속적으로 환율에 반영되는 모습. 만약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과 수출업체들의 네고 물량이 없다면 환율은 1,400원 상향 돌파할 가능성 높은 상황.
다만 당사는 1,400원 이하 레벨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 그 근거는 1) 지난 몇달간 좁은 박스권(1,380-1,400) 움직임을 상향 이탈할 경우, 환율의 추세가 상향으로 자리잡을 위험이 존재. 이에 따른 당국 경계감 확산. 2) 3,500억 달러 관련 미국과 실질적인 협상이나 전개 없이 재료와 우려만으로 외국인들의 이례적인 달러 매수가 확인. 국내 증시에 유입되는 외국인 자금도 상당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매수 베팅은 자제될 전망. 3) 달러인덱스 자체에 대한 숏커버 물량도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달러發 추가 상승이 제한.
금일 예상 레인지 1,394-1,402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보고서는 좋은데 주식 동향이 없네요MSFT는 보고서 발표 후 약 555달러에 갭업하며 시가총액 4.1조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보고서가 주요 지표에서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분기 보고서는 기록적인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분기 매출은 764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였습니다.
순이익은 272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였습니다.
주당순이익(EPS)은 3.65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미 보고서 발표 이전 수준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Capex는 242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
2026 회계연도에 경영진은 Capex가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1분기에만 300억 달러 이상).
영업 비용은 AI 및 엔지니어링 투자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했습니다.
회사는 이번 분기에 17억 1천만 달러의 기타 비용을 기록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지분 투자(아마도 OpenAI) 손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투자자들과의 통화에서 회사 경영진은 시장 참가자들에게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마진 축소와 AI 인프라에 대한 예상보다 높은 자본 지출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따라서 이는 투자 자체의 미래 수익성과 향후 보고서에서 발표될 회사 전체의 미래 실적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전문 투자자들은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DCF 모델을 변경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술"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전반적인 시장의 역동성이 약화되고 있음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발언이 최근 몇 달 동안 관찰되어 온 상승 추세를 어떻게 깨뜨렸는지 분명합니다.
우리는 주식에 대한 감정이 더욱 냉각되고, 아래에서 또 다른 갭이 닫히고, 가격이 $400-420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9월 셋째주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트뷰에 매달 돈은 나가는데 이렇게 돈값을 못하면 아쉬워서 글을 남깁니다 .종목만 재미로 봐주세요.~
1. 테슬라
뱃자리가 오고 전고점을 도전하는데, 머스크 형님의 특별한 발언이 없으면, 한번 저항받는생각으로 지켜보고있습니다.
2. BNP PARIBAS
최근 프랑스가 난리죠.. 은행주는 아주 많이 그동안 올랐었고요. 저 같은 숏쟁이들은 한번쯤 나도 들어가볼까하는 대형이슈죠.. 그래서 들어가볼려고 합니다. 프랑스 은행주들 위주로 ..
일봉
시간봉
지난 고점 에서부터 숏이나 공매도를 . 지면 지는거고 .. 제발 망해라 프랑스. .
3.페이팔
저항자리같아서
4.트위스트 바이오
참 786은 중요한 자리같아요.
5.유로
달러 강세가 올거라 생각하고 앞 시나리오가 일어날경우
6. AAC
이친구도 좀 떨어져야함
7.QTRX
금리인하 덕을 볼듯한 작은 종목.... 특허는 좋지만 결국 로얄티로 먹고살아서 .. 좀 아쉽네요
8.너드 월렛
독일 CHECK 24 처럼 중개플랫폼
저평가. 자본넉넉 . 배당만 주면 혜자인데 ..
다음주면 한국가네요 .. 결혼도하고 이제 돈 좀 벌게 해줘 시장아.. 큰돈을 ... ㅋㅋ
09/19 쉽지 않은 달러-원의 하락 여정 전일 동향: 달러화 반등, 숏커버 물량에 다시 1,380원 중후반
전일 달러-원 환율은 FOMC 이후 달러화 반등과 연동되며 1,380원 후반으로 상승. 지난 새벽 FOMC 발표 이후 성장률 상향 조정과 내년 도 금리 인하 기대감 축소에 달러화가 반등. 이에 1,380원 수준에서 개장한 환율은 꾸준히 달러화와 연동되며 상승. 외국인들의 통화선물도 숏커버 유입되며 장중 상승폭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11.5원 오른 1,387.8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양호한 경제지표 지속, 英 기준금리 동결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양호한 주간 고용지표와 이틀째 FOMC를 소화하며 소폭 상승. 이날 발표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3.1만 건으로, 시장 예상(24.1만)을 하회. 무엇보다 지난주 텍사스주 일부 주민들의 신분도용으로 인한 사기 청구가 거론되며 해당 지표가 급증했는데, 이번 주는 텍사스주 청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전체 청구건수는 전월대비 하락. 한편 필라델피아 연은에서 발표한 제조업지수는 23.2pt로 집계되며 전월(-0.3)대비 큰 폭 반등. 09.08~09.15 한 주간 기업들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신규주문, 출하 지수 모두 상승. 또한 판매가격과 수취가격의 차이를 통한 제조업 마진을 보면 여전히 마진 압박이 지속. 즉 소비자 물가로의 전이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단계. 이날 진행된 10년물 물가연동채(TIPS) 입찰도 응찰률 2.2배를 기록하며 상당히 부진. 대체로 지난 몇 주간 플랫을 형성하던 수익률 곡선이 스팁으로 반전 지속. 다만 FOMC 점도표와 달리, 금리선물 시장은 여전히 연 2회 + 내년도 추가 2~3회 인하를 반영하며 금리 상승폭 제한.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와 연동되며 반등세 지속. (파운드↓) 파운드화는 다소 중립적인 금리 동결에도 QT 축소와 달러 반등 영향에 약세. 영란은행은 기준금리를 4%로 동결함과 동시에 QT규모를 1,000억 파운드-> 700억 파운드로 축소.
금일 전망: 위험선호 vs 달러 반등, 달러-원 1,380원 후반 유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과 달러 반등 여부를 주목하며 1,380원 후반대를 유지할 전망. 현재 채권시장과 FOMC 점도표간에는 여전히 괴리가 존재. 연내 추가 2회 인하를 반영한 부분은 유사하나, 내년 상반기 추가 2~3회를 반영하는 채권시장과 달리 점도표는 내년도 전체 1회 인하를 반영. FOMC를 소화하는 데 수 거래일이 걸리는 점을 감안, 이러한 부분이 당분간 미국채 금리와 달러화 반등세를 부추길 여지 존재. 또한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는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역시 원화 약세 요인으로 소화될 여지 존재.
다만 금리 인하에 따른 글로벌 위험선호 심리는 상단을 지지. 최근 각국 주식시장에 대한 매수심리가 유지됨에 따라 오늘도 외국인 자금이 유입된다면 1,390원 선을 지지해줄 것으로 예상. 오늘 예정된 BOJ에서도 정치적 상황과 별개로 금리 인상 기조를 시사한다면 엔화 강세 재료.
금일 예상 레인지 1,383-1,391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09/18 신중한 매둘기 파월, 재료는 달러 반등 전일 동향: FOMC 앞두고 위험회피 심리, 달러-원 소폭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FOMC 앞둔 경계심리에 1,380원으로 소폭 상승.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약세와 연동되며 1,378원 수준에서 개장. 다만 FOMC를 앞둔 위험회피 심리에 달러화가 소폭 반등을 보이자 달러-원 환율도 반등. 최근 국내 주식시장으로 대규모 유입되던 외국인 자금도 순매도로 선회하며 환율은 한때 1,382원 수준까지 상승폭 확대 후 반락. 주간장 전일대비 0.6원 오른 1,380.1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단기 비둘기와 장기 매의 조화
(미국채 금리, 달러↑) 전일 미국채 금리는 FOMC의 수정경제전망과 파월의장 발언을 소화하며 상승. 이날 FOMC는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4.25%로 25bp 인하. 점도표를 먼저 살펴보면, 지난 6월과 달리 9월에는 연내 추가 2회 인하까지 반영. 다만 내년도 인하횟수는 1회로, 시장 예상이었던 2~3회 인하와는 다소 괴리가 발생. 경제전망(SEP)의 경우 올해와(1.4%->1.6%) '26년, '27년 성장률을 모두 상향 조정했으며, 실업률은 반대로 '26년과 '27년 각각 0.1%p씩 하향 조정. 근원 PCE 물가는 내년도 물가를 소폭 상향 조정했으나, 장기 물가는 여전히 2.1%로 고정하며 관세 영향을 일시적으로 평가. 대체로 올해 추가 2회 인하 가능성을 내포한 점도표를 제외하면 매파적으로 해석될 재료. 한편 파월 의장 발언을 요약하면 1) 고용 시장은 더 이상 강하지 않으며, 양대책무의 무게추는 고용 쪽으로 이동. 2)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일 가능성 존재. 3) 다만 미국 경제가 아직 나쁘지 않으며, 이번 25bp 인하는 보험적 성격이(risk management) 강한 만큼 추가적인 인하를 약속하지 않는다고 언급. 즉 이번 FOMC는 연내(단기적) 추가 인하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나, 펀더멘탈(장기적) 관점에서 금리 하단이 제한적임을 시사.
(유로↓) 유로화는 유로존의 8월 CPI가 2.0%로 시장 예상(2.1%)을 하회하자 약세. (엔↓) 엔화는 한때 대미수출 감소 지표와 달러화 반등 영향에 약세. 일본의 8월 수출은 전년대비 -0.1% 감소하며 예상치 대비 양호. 다만 대미 수출이 전년대비 -13.8% 급감한 것으로 집계.
금일 전망: 예상대로 신중했던 파월, 외환시장도 다시 신중론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반등 움직임 주목하며 1,380원 초반에서 거래될 전망. 오늘 새벽에 종료된 FOMC는 점도표에 반영된 올해 추가 2회 인하를 제외하면, 대체로 매파적이었다는 평가. 따라서 시장에서 빠르게 반영했던 내년도의 연속 인하 기대감의 되돌림, 다시 Data dependent로 옮겨질 외환시장 신중론 모두 일시적인 달러화 반등 추세를 지지할 요인.
다만 FOMC 종료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 이에 따른 위험선호 회복은 환율 하락 재료. 전일 FOMC 대기 장세에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은 순매도로 선회. 다만 오늘 불확실성 해소 영향에 외국인 자금이 다시 적극 유입될 경우 환율은 1,370원 중후반대에 안착할 여지 존재.
금일 예상 레인지 1,377-1,38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이미지스 115610 상한가 기록하며 저점 돌파반도체 AI 테마로 역대 최저점 구간에서 상한가 기록하며 반등하고 있습니다.
현 구간과 아래 구간에서의 분할 접근으로 리스크를 줄이고 중장기로 접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미지스 (115610)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시총 순위 : 코스닥 1533위 | 시총: 328억원 | 거래소: KOSDAQ
🎯 기업 개요
이미지스는 2004년 3월 반도체 설계 전문 팹리스 기업으로 설립되어 2010년 2월 코스닥 상장됨. 생산라인 없이 설계 기술로 비메모리 반도체 집적회로(IC)를 개발하고 파운드리 업체에 위탁 생산하는 구조를 가짐.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용 Touch Controller IC, SAR(Grip) Sensor IC, Power & Haptic IC를 주력으로 공급하며, 모바일 산업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사업을 영위함.
최근 HBM 및 AI 칩 관련 테마로 주목받으며, 터치 및 센서 기술 강화와 글로벌 파운드리 협력을 통해 사업 다각화 중. 모바일 기기 수요 회복과 소비자 구매력 변화 대응으로 원가 경쟁력 확보와 신제품 개발 추진.
💰 투자 정보
모회사: 없음 (독립 기업)
주요주주: 김정철(외 1인) (23.15%, 2025/08 기준)
설립일: 2004년 3월 25일
상장일: 2010년 2월 26일
발행주식수: 23,637,538주
외국인 지분율: 3.00%
📊 정량 지표
* 매출액: 2025 상반기 약 60억원 (전년比 -25.4%)
* 영업이익: -10억원 (손실 215.2% 확대)
* 24시간 거래량: 32,286,476주 (2025-09-17 기준, 주가 1,389원)
* 주주 수: 성장 중 (투자자 관심 ↑)
📅 배당 일정
배당 없음 (적자 지속으로 미실시) | 향후: 흑자 전환 시 도입 검토 (2026년 예상)
💡 핵심 기술
🔹 Touch Controller IC: 모바일 기기 터치스크린 제어 (고정밀 입력 기술)
🔹 SAR(Grip) Sensor IC: 그립 센서 및 안전 규제 준수 (모바일 안전 기능)
🔹 Power & Haptic IC: 전력 관리 및 햅틱 피드백 (배터리 효율화, 진동 기술)
🔹 팹리스 설계: TSMC 등 파운드리 위탁 생산 (비메모리 IC 최적화)
🔹 디지털 전환: AI 통합 센서 솔루션 (모바일 AI 기기 대응)
🚀 성장동력
⚡️ 모바일 수요 회복: 스마트폰·태블릿 시장 확대, HBM/AI 칩 테마 연계 (2025 글로벌 반도체 시장 +10% 성장 예상)
🏦 파트너십: 글로벌 파운드리(TSMC 등) 협력, 모바일 OEM 공급망 강화
💳 실용성: 터치·센서 IC로 고객 가치 제고, 저전력 설계로 에너지 효율
🎮 생태계 확장: 비메모리 반도체 포트폴리오 확대, 2025년 AI 모바일 트렌드 활용
🌍 글로벌 접근: 아시아·미국 규제 준수, 해외 OEM 수출 (중국·미국 시장 공략)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상반기: 매출 25.4%↓, 영업손실 확대에도 Q2 매출 33억원 유지 (모바일 경기 변동 영향)
✅ 2025년 9월: 반도체 테마 강세로 상한가 기록 (+29.93%), 주가 급등 (1개월 +50%대)
✅ 2025년 8월: 골든크로스 형성, 투자자 유입 증가 (3개월 +60% 상승)
✅ 2025년 Q2: 영업손실 -6억원 (적자 지속이나 안정화 조짐)
2025년 하반기 예정
🎯 신제품 출시: AI 통합 터치 IC 개발 완료 (모바일 매출 15% 증가 예상)
🎯 공급망 강화: 파운드리 파트너십 확대 (Q4 수주 증가)
🎯 수요 회복: 글로벌 모바일 출하량 증가, HBM 관련 테마 활용
🎯 실적 개선: 영업손실 축소 및 매출 반등 (연간 매출 120억원 목표)
2026년 로드맵
🏗 플랫폼 강화: 센서 IC 빅데이터 분석 및 AI 업그레이드
🔗 글로벌 파트너십: 아시아·유럽 OEM 연동 (수출 비중 30% 목표)
⚡️ 상품 최적화: 저전력 Haptic 및 SAR 센서 고도화
🌐 글로벌 확장: 북미 AI 기기 시장 진출
📈 디지털 전환: 팹리스 효율화로 마진 20% 목표
생태계 실질적 성과 🏦 파운드리 협력
* 고객 기반 확대 (모바일 OEM 수백 공급, 글로벌 네트워크)
* 매출 구조 개선 (터치 IC 비중 ↑)
* 기술 도입으로 효율 상승 (2025 상반기 Q2 안정)
💼 비즈니스 모델
* IC 설계 및 판매: Touch/SAR/Haptic 라이선스 (주요 매출원)
* 위탁 생산 수수료: 파운드리 기반 외주 (마진 중심)
* 프리미엄 서비스: 맞춤형 센서 솔루션 (고부가 가치)
* 개발자 생태계: OEM 및 파운드리 네트워크 지원
⚡️ 투자 포인트
✅ 반도체 테마 모멘텀 (최근 상한가 +29.93%, 1개월 +50%)
✅ 팹리스 강점 (Touch IC 전문, HBM/AI 연계 잠재력)
✅ 최근 상승 (3개월 +60%, 1년 +20%대)
✅ 거래량 폭증 및 Bullish 심리 (저평가 PER 6배대)
✅ 모바일 회복 (2025 글로벌 반도체 성장 +10%)
⚠️ 주의사항
❌ 2025 상반기 매출 25.4%↓ 및 손실 확대 (Q2 영업손실 -6억원)
❌ 1년 주가 변동성 (52주 저점 800원대)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테마 의존)
❌ 배당 미실시
❌ 반도체업계 경쟁 심화 (시노펄스, 구글 등)
❌ 글로벌 불확실성 (모바일 경기, 환율 리스크)
🎯 주식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8/10 (Touch/SAR IC, AI 통합)
💰 토크노믹스 (재무): 5/10 (매출 감소 주의, 손실 확대)
🏢 팀/거버넌스: 7/10 (경영 안정)
📈 시장포지션: 6/10 (팹리스 중소형)
🌐 생태계: 6/10 (파운드리, OEM 파트너십)
⚡️ 실행력: 6/10 (상반기 부진, 테마 상승)
🏆 최종 평가
총점: 64/100 (B-급)
등급: 보통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단기 모멘텀형 (High Risk, Event-Driven Return)
💡 핵심 투자 논리 강점: 2025년 반도체·AI 테마로 주가 상한가 및 +50% 상승 모멘텀 강함. Touch IC 팹리스 전문성과 모바일 수요 회복으로 성장 잠재력. 약점: 상반기 실적 부진(매출 -25%)과 적자 지속으로 안정성 주의. 테마 의존도 높음.
샌즈랩 411080 5개월 횡보의 종지부를 찍일까?샌즈랩은 지난 2023년 6월 부터 매우 커다란 박스권 움직임을 보여 쥐고 있습니다.
지난 4월 부터 약 5개월간 박스권 중앙 라인 위에서 매물대를 쌓고 있으며, 만약 주봉 기준 고점이 갱신된다면 앞으로 상승이 기대됩니다.
최근 SKT, KT 해킹 사건으로 인해 디지털 보안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며 자연스레 트랜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샌즈랩 (411080)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시총 순위 : 코스닥 609위 | 시총: 1,440억원 | 거래소: KOSDAQ
🎯 기업 개요
샌즈랩은 2004년 11월 세인트시큐리티로 설립되어 2021년 7월 사명 변경 후, 2023년 2월 코스닥 상장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전문기업임. 악성코드 등 사이버 위협을 AI와 빅데이터 기반으로 자동 분석·예측하며, 하루 200만 개 악성코드 분석과 300억 개 위협 빅데이터를 보유함.
2024년 에이아이딥 자회사 편입으로 AI 보안 강화, 생성형 AI(LLM) 관련 딥페이크·지능형 공격 대응 솔루션 개발 중. 공공·금융·보안업체 대상 CTI 서비스 제공으로 사업 다각화,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
💰 투자 정보
모회사: 없음 (독립 기업)
주요주주: 최대주주 등 (59.65%, 2023/02 기준)
설립일: 2004년 11월
상장일: 2023년 2월
발행주식수: 15,267,638주
외국인 지분율: 0.39%
📊 정량 지표
* 매출액: 2025 상반기 44억원 (전년比 +160.7%)
* 영업이익: -14억원 (전년比 손실 11.4% 감소)
* 24시간 거래량: 2,219,855주 (2025-09-17 기준, 주가 9,430원)
* 주주 수: 성장 중 (투자자 관심 ↑)
📅 배당 일정
배당 없음 (적자 지속으로 미실시) | 향후: 흑자 전환 시 도입 검토 (2026년 예상)
💡 핵심 기술
🔹 AI CTI: 빅데이터 기반 악성코드 자동 분석 및 예측 인텔리전스
🔹 LLM 가드: 생성형 AI 역기능(딥페이크) 대응 초고속 가드 솔루션 (GLX)
🔹 NDR: AI 기반 네트워크 탐지·응답 (공공기관 대상)
🔹 하이퍼오토메이션 디셉션: 내부 보안 테스트(BAS) 및 디셉션 기술
🔹 sLLM 모델: 사이버 보안 특화 RAG 기반 AI 모델 개발
🚀 성장동력
⚡️ AI 보안 수요 확대: 생성형 AI·LLM 급부상으로 딥페이크·지속 공격 증가, CTI 시장 2026년 4.6억달러 (CAGR 6.2%)
🏦 파트너십: MS 협력 AI 모델 개발, 공공·금융 기관 네트워킹 (커뮤니티 밋업)
💳 실용성: 실시간 개인정보 유출 알림(IDPW) 서비스, 조달 등록으로 공공 유입
🎮 생태계 확장: 자회사 에이아이딥 활용 AI NDR 솔루션, 2025년 글로벌 컨퍼런스(VB2025) 발표
🌍 글로벌 접근: EU/아시아 규제 준수, 독일·아시아 시장 진출 (악성코드 계보 추적 기술)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상반기: 매출 160.7%↑에도 영업손실 -14억원 (감소세), 순손실 45.4%↓
✅ 2025년 9월: KT 무단소액결제 사건으로 보안 테마 강세, 주가 상승 (1개월 +10%대)
✅ 2025년 8월: 커뮤니티 밋업 개최, 파트너 네트워킹 성공
✅ 2025년 Q2: AI LLM 가드(GLX) 출시, 공공기관 공급 확대
2025년 하반기 예정
🎯 AI 기술 투자: sLLM 모델 업그레이드 및 NDR 솔루션 조달 등록 (공공 매출 20%↑ 예상)
🎯 글로벌 진출: VB2025 컨퍼런스 발표, 해외 파트너십 확대
🎯 수요 회복: KT 사건 반사이익, 딥페이크 대응 서비스 출시
🎯 실적 개선: 영업손실 축소 및 매출 성장 (연간 625억원 목표)
2026년 로드맵
🏗 플랫폼 강화: AI CTI 빅데이터 확대 및 sLLM 모델 상용화
🔗 글로벌 파트너십: 아시아·유럽 보안사 연동 (수출 확대)
⚡️ 상품 최적화: 하이퍼 디셉션 및 LLM 가드 고도화
🌐 글로벌 확장: 동남아 e-보안 시장 진출
📈 디지털 전환: AI 보안 비중 70% 목표 (CTI 시장 성장 활용)
생태계 실질적 성과 🏦 AI 빅데이터 활용
* 고객 기반 확대 (공공·금융 수백 기관, 하루 200만 분석)
* 매출 구조 개선 (AI 솔루션 비중 ↑)
* 기술 도입으로 효율 상승 (2025 상반기 매출 160%↑)
💼 비즈니스 모델
* CTI 서비스 수수료: 위협 분석·예측 제공 (주요 매출원)
* AI 솔루션 판매: LLM 가드·NDR 라이선스
* 파트너 네트워크: 커뮤니티·조달 통해 생태계 지원 (마진 확대)
* 개발자 생태계: 에이아이딥 자회사 및 MS 등 협력 네트워크
⚡️ 투자 포인트
✅ AI 보안 성장 (생성형 AI 위협 증가, CTI 시장 CAGR 6.2%)
✅ 상반기 매출 160%↑ 및 손실 감소 (연간 매출 625억원 전망)
✅ 최근 테마 강세 (KT 사건 +10%, 보안주 Bullish)
✅ 글로벌 발표 (VB2025) 및 파트너십 (MS, 공공)
✅ 빅데이터 강점 (300억 개, 실시간 분석)
⚠️ 주의사항
❌ 2025 상반기 영업손실 -14억원 지속 (Q2 적자)
❌ 1년 주가 변동성 (상장 초기 변동)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테마 의존)
❌ 배당 미실시
❌ 보안업계 경쟁 심화 (안랩, 싸이버원 등)
❌ 글로벌 불확실성 (사이버 공격 진화, 규제 리스크)
🎯 주식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9/10 (AI CTI, LLM 가드)
💰 토크노믹스 (재무): 6/10 (매출 증가 주의, 손실 감소 강점)
🏢 팀/거버넌스: 7/10 (경영 안정, 자회사 운영)
📈 시장포지션: 8/10 (보안업 중소형 선도)
🌐 생태계: 8/10 (빅데이터, 파트너십)
⚡️ 실행력: 7/10 (상반기 성장, 글로벌 확대)
🏆 최종 평가
총점: 75/100 (B+급)
등급: 우량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중장기 성장형 (Medium Risk, High Potential Return)
💡 핵심 투자 논리 강점: 생성형 AI 위협 증가로 CTI·LLM 가드 수요 폭발 (시장 CAGR 6.2%), 상반기 매출 160%↑와 KT 사건 모멘텀으로 Bullish. 빅데이터·글로벌 컨퍼런스 기반 성장 잠재력. 약점: 영업손실 지속과 경쟁 심화로 안정성 주의. 보안 테마 의존도 높음.
쎄트렉아이 099320 상승을 위한 도약과거 2016년 2월, 2020년 8월과 동일한 저점 맴루대 상향 돌파를 시도 하고 있습니다.
하단 차트 이미지의 파랑, 노랑, 흰색 매물대는 모두 저점 부터 고점까지 155.69% 정확히 동일한 크기입니다.
2016년 2월, 2020년 8월 매물대 돌파 이후 패턴도 정확히 동일합니다. 2개월 조정 후 급등
매수의 기회가 오고 있군요!
🚀 쎄트렉아이 (099320)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시총 순위 : 코스닥 111위 | 시총: 6,965억원 | 거래소: KOSDAQ
🎯 기업 개요
쎄트렉아이는 1999년 12월 위성시스템 개발 및 관련 서비스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2008년 6월 코스닥 상장됨. 지구관측 위성체 개발 전문성을 기반으로 위성영상 공급 서비스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GEOINT(지리공간 정보) 솔루션을 제공함.
초고해상도 위성 개발, 위성영상 임대 및 공급, AI 기반 분석 서비스로 사업 다각화 중. 자회사 SIIS(위성영상 공급), SIA(위성 분석)를 통해 해외 시장 확대와 기술 고도화 추진. 위성 수출(말레이시아 등) 경험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
💰 투자 정보
모회사: 없음 (독립 기업)
주요주주: 주요주주 정보 미상세 (2025 기준 외국인 지분 7.74%)
설립일: 1999년 12월 29일
상장일: 2008년 6월 13일
발행주식수: 10,951,278주
외국인 지분율: 7.74%
📊 정량 지표
* 매출액: 2025 상반기 445억원 (전년比 +6.7%)
* 영업이익: 흑자전환 20억원 (2025 상반기)
* 24시간 거래량: 최근 거래 활발 (2025-09-17 기준, 주가 63,600원)
* 주주 수: 성장 중 (투자자 관심 ↑)
📅 배당 일정
배당 없음 (적자 이력으로 미실시) | 향후: 흑자 지속 시 도입 검토 (2026년 예상)
💡 핵심 기술
🔹 위성시스템: 초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개발 (기술력 및 가격 경쟁력)
🔹 AI 분석: 위성영상 AI 솔루션 (GEOINT, 데이터 처리 최적화)
🔹 해외 거점: 자회사 SIIS/SIA 통해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 (말레이시아 수출 기반)
🔹 위성영상 서비스: 임대 및 공급 플랫폼 (고해상도 이미지 제공)
🔹 디지털 전환: AI 통합 GEOINT 솔루션 (위성 데이터 분석 자동화)
🚀 성장동력
⚡️ 해외 시장 확대: 글로벌 위성 수출 및 영상 서비스 강화, 2025 위성 발사 기대 (SpaceEye-T 1호)
🏦 파트너십: 한화에어로 등 국내외 협력 (수주 잔고 4,000억 이상)
💳 실용성: AI 기반 GEOINT로 고객 가치 제고, 위성 컨스텔레이션 수요 증가
🎮 생태계 확장: 자회사 활용 위성영상 사업 확대, 2025년 우주산업 긍정 환경
🌍 글로벌 접근: EU/아시아 규제 준수, 해외 동종업계(플래닛랩 등) 경쟁력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상반기: 매출 6.7%↑, 영업이익 흑자전환 (20억원), 당기순이익 170.9% 증가 (33억원)
✅ 2025년 8월: 흑자전환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연초比 +32.1%)
✅ 2025년 7월: 수주 잔고 확대, 위성영상 서비스 강화 (Q2 매출 474억원)
✅ 2025년 Q2: 영업이익률 개선 조짐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
2025년 하반기 예정
🎯 위성 발사: SpaceEye-T 1호 상반기 발사 완료 후 컨스텔레이션 구축 (Q4 추가 수주)
🎯 AI 투자: GEOINT 솔루션 업그레이드 (고객 유입 20% 증가 예상)
🎯 수요 회복: 글로벌 위성 시장 확대, 영상 서비스 매출 성장
🎯 실적 개선: 영업이익 125억원 목표 (매출 1,952억원, YoY+14%)
2026년 로드맵
🏗 플랫폼 강화: 위성 컨스텔레이션 확대 및 AI 빅데이터 업그레이드
🔗 글로벌 파트너십: 아시아/유럽 위성사 연동 (수출 확대)
⚡️ 상품 최적화: 고해상도 GEOINT 및 지속가능 위성 서비스
🌐 글로벌 확장: 동남아/북미 e-서비스 시장 진출
📈 디지털 전환: AI 분석 비중 50% 목표
생태계 실질적 성과 🏦 해외 수출 활용
* 고객 기반 확대 (글로벌 위성영상 공급, 수백 고객)
* 매출 구조 개선 (위성영상 비중 ↑)
* AI 도입으로 효율 상승 (2025 상반기 실적 흑자전환)
💼 비즈니스 모델
* 위성시스템 판매: 개발 및 수출 (주요 매출원)
* 위성영상 서비스: 공급/임대 수수료
* AI GEOINT: 분석 솔루션 서비스 (마진 확대)
* 개발자 생태계: 자회사 및 파트너 네트워크 지원
⚡️ 투자 포인트
✅ 흑자전환 성공 (2025 상반기 영업이익 20억원, 연매출 +14%)
✅ 위성 발사 및 AI 통합 (SpaceEye-T, GEOINT 성장)
✅ 최근 상승 (연초 +32%, 최근 +14%, 주가 63,600원)
✅ 수주 잔고 4,000억 및 Bullish 심리 (우주 테마)
✅ 글로벌 경쟁력 (기술력, 해외 수출)
⚠️ 주의사항
❌ 과거 적자 지속 (2024 영업손실 44억원)
❌ 1년 주가 변동성 (위성 지연 리스크)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시장 의존)
❌ 배당 미실시
❌ 우주산업 경쟁 심화 (맥사, 에어버스 등)
❌ 글로벌 불확실성 (발사 지연, 규제 리스크)
🎯 주식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9/10 (위성 AI, GEOINT)
💰 토크노믹스 (재무): 7/10 (흑자전환 강점, 과거 적자 주의)
🏢 팀/거버넌스: 8/10 (경영 안정, 자회사 운영)
📈 시장포지션: 8/10 (우주산업 선도 중소형)
🌐 생태계: 8/10 (글로벌 수출, 파트너십)
⚡️ 실행력: 8/10 (상반기 흑자, 수주 확대)
🏆 최종 평가
총점: 80/100 (A-급)
등급: 우량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중장기 성장형 (Medium Risk, High Potential Return)
💡 핵심 투자 논리 강점: 2025년 위성 발사(SpaceEye-T)와 AI GEOINT로 우주산업 성장 주도. 상반기 흑자전환과 수주 4,000억으로 안정적 모멘텀, 최근 주가 +32% 상승과 Bullish X 심리. 약점: 과거 적자 이력과 발사 지연 리스크 주의. 우주 테마 의존도 높음.
노랑풍선 104620 월봉 저점 매물대 상향 돌파노랑풍선이 작년 8월 부터 쌓아온 1년 짜리 매물대를 이번달 상향 돌파 하였습니다.
하단 1년 매물대가 지지대 역할을 해주고 있어 하락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 노랑풍선 (104620)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시총 순위 : 코스닥 775위 | 시총: 1,088억원 | 거래소: KOSDAQ
🎯 기업 개요
노랑풍선은 2001년 8월 일반 여행업(여행알선)과 항공권 및 선표 발권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2003년 10월 상장됨. 내국인 및 외국인 대상 기획여행상품과 항공권을 제공하며, 직접판매 채널을 통해 고객 소통과 신뢰를 구축하고 있음.
프리미엄 및 테마 여행상품 강화, AI 기반 개인화 추천 시스템 도입, 일본 YBJ와 태국 방콕 현지사무소를 통한 해외사업 확장으로 사업 다각화 중. 여행 인프라 직접 사입으로 원가 경쟁력 확보와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 투자 정보
모회사: 없음 (독립 기업)
주요주주: 고재경 회장 (12.6%) 및 최대주주 등 (36.60%, 2025/03 기준)
설립일: 2001년 8월
상장일: 2003년 10월
발행주식수: 16,810,552주
외국인 지분율: 2.45%
💡 핵심 기술
🔹 여행 플랫폼: 온라인/오프라인 직접판매 채널 (앱, 웹사이트)
🔹 AI 추천 시스템: 데이터 기반 맞춤형 CRM 및 개인화 상품 제안
🔹 해외 거점: 일본 YBJ 법인, 태국 방콕 사무소 (현지 인프라 활용)
🔹 프리미엄 상품: 테마 여행 및 고급 패키지 (원가 절감 및 차별화)
🔹 디지털 전환: 모바일 앱 통합 및 빅데이터 분석 (고객 경험 최적화)
🚀 성장동력
⚡️ 해외 시장 확대: 동남아(태국) 및 일본 공략 강화, 중국 단체관광객 증가 기대 (2025년 국제선 여객 824만명 역대 최대)
🏦 파트너십: 현지 여행사 및 항공사 협력 (원가 경쟁력 확보)
💳 실용성: AI 개인화로 고객 충성도 제고, 프리미엄 테마 여행 수요 증가
🎮 생태계 확장: 온라인 플랫폼 강화 (직접판매 비중 확대), 2025년 여행업계 긍정적 환경
🌍 글로벌 접근: EU/아시아 규제 준수, 무비자 정책 활용 (중국인 관광객 유치)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상반기: 매출 19.1%↓에도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 13.2% 감소 ✅ 2025년 9월: 중국 시진핑 주석 방한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1개월 +5.70%)
✅ 2025년 8월: 여행 테마 강세, 주가 +8.89% (롯데관광개발 등 동반 상승)
✅ 2025년 Q2: 매출 244억원 (-20%), 영업이익 -3,800만원 (적자 지속이나 회복 조짐)
2025년 하반기 예정
🎯 해외 거점 강화: 태국/일본 매출 비중 확대 (Q4 목표 20%↑)
🎯 디지털 투자: AI 시스템 업그레이드 완료 (고객 유입 15% 증가 예상)
🎯 수요 회복: 중국 단체관광 재개, 패키지 상품 출시
🎯 실적 개선: 영업이익 흑자 유지 및 매출 성장 (여행 수요 반등)
2026년 로드맵
🏗 플랫폼 강화: 모바일 앱 통합 및 빅데이터 AI 업그레이드
🔗 글로벌 파트너십: 아시아/유럽 여행사 연동
⚡️ 상품 최적화: 지속가능 여행(에코 테마) 및 고급 리조트 패키지
🌐 글로벌 확장: 동남아 e-커머스 시장 진출
📈 디지털 전환: 온라인 판매 비중 70% 목표
생태계 실질적 성과 🏦 해외 거점 활용
* 고객 기반 확대 (직접판매 채널 통해 연간 수백만 이용자)
* 매출 구조 개선 (프리미엄 상품 비중 ↑)
* AI 도입으로 고객 만족도 상승 (2025 상반기 피드백 긍정)
💼 비즈니스 모델
* 여행 알선 수수료: 패키지 및 자유여행 상품 (주요 매출원)
* 항공권/선표 판매: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
* 프리미엄 서비스: 테마 여행 및 맞춤형 상품 (마진 확대)
* 개발자 생태계: 파트너 여행사 및 항공사 네트워크 지원
📊 정량 지표
* 매출액: 2025 상반기 약 500억원 (전년比 -19.1%)
* 영업이익: 흑자전환 (2025 상반기)
* 24시간 거래량: 230,024주 (2025-09-16 기준, 주가 6,300원)
* 주주 수: 성장 중 (투자자 관심 ↑)
📅 배당 일정
배당 없음 (적자 지속으로 미실시) | 향후: 실적 개선 시 도입 검토 (2026년 예상)
⚡️ 투자 포인트
✅ 여행 수요 회복 (2025 국제선 최대 실적, 중국 단체관광 재개)
✅ 해외 확장 및 AI 도입 (원가 경쟁력, 개인화 서비스)
✅ 최근 상승 (1개월 +5.70%, 3개월 +27.27%, 1년 +21.62%)
✅ 거래량 증가 및 Bullish 심리 (중국 방한 기대) ✅ 디지털 전환 (플랫폼 강화로 매출 성장 잠재력)
⚠️ 주의사항
❌ 2025 상반기 매출 19.1%↓ 및 적자 지속 (Q2 영업손실)
❌ 1년 주가 변동성 (52주 저점 4,365원)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시장 의존)
❌ 배당 미실시
❌ 여행업계 경쟁 심화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 글로벌 불확실성 (환율, 규제 리스크)
🎯 주식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7/10 (AI 추천, 디지털 플랫폼)
💰 토크노믹스 (재무): 6/10 (매출 감소 주의, 흑자전환 강점)
🏢 팀/거버넌스: 7/10 (경영진 안정)
📈 시장포지션: 7/10 (여행업 중소형)
🌐 생태계: 7/10 (해외 거점, 파트너십)
⚡️ 실행력: 7/10 (상반기 흑자, 해외 확대)
🏆 최종 평가
총점: 70/100 (B급)
등급: 보통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단기 모멘텀형 (Medium Risk, Event-Driven Return)
💡 핵심 투자 논리 강점: 2025년 여행 수요 폭발적 회복 (중국 관광 재개, 국제선 최대)과 AI/해외 확장으로 성장 동력 확보. 최근 주가 +21.62% 상승과 Bullish X 심리로 모멘텀 강함. 약점: 매출 감소와 적자 이력으로 안정성 주의. 여행 테마 의존도 높음.
IMX 저점 매물대 돌파를 시도하다지난 2월 부터 쌓아오던 저점 매물대 (에너지 박스)를 상향 돌파 시도하고 있습니다.
해당 매물대 박스는 203일간의 기간동안 1.65B의 거래량이 채워져 있습니다.
바로위 저항 매물대 박스 210일 1.06B의 거래량 보다 우위에 있으며, 이는 저점의 매물대의 힘이 저항의 힘을 앞지르고 있으니 상승시 해당 매물대를 상향 돌파할 확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4년 미니 불장 당시 형성된 고점의 매물대 크기 또한 1.03B 정도로 이번 저점 매물대의 힘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번에 상승이 발생한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상단 두 매물대의 경계이자 고점 헤드엔숄더 매물대의 넥라인 2.520이 강한 저항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IMX의 CVD RSI는 일봉 과매수 구간인 75.59, 4시간봉과 1시간봉 모두 50 위에서 강세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주봉은 이제 막 저점 구간을 벗어나 50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번주 종가가 매우 중요하며 종가가 0.751 위에서 마감 된다면 IMX의 상승 길이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IMX가 상승 궤도로 올라선다면 IMX 생태계 프로젝트들 또한 함께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BINANCE:OMUSDT , OKX:GODSUSDT , BINANCE:ILVUSDT , BINANCE:SUPERUSDT , BYBIT:AGIUSDT , MEXC:UOSUSDT , BYBIT:OBTUSDT , MEXC:TAKEUSDT , BYBIT:CTAUSDT , MEXC:RARIUSDT , BYBIT:OIKUSDT , MEXC:LRDSUSDT 등)
🚀 Immutable X (IMX) 코인 펀더맨탈 분석 🚀
📊 기본 정보
랭크: 71위 | 시총: $1.39B (DropsTab, 2025-09-17 기준)
FDV: $1.44B | 희석배율: 1.04배
유통비율: 97.5% (1.94B/1.99B)
거래소: Binance Futures, OKX Futures, Bybit Futures, Upbit, BVOX Futures
🎯 프로젝트 개요
Immutable X는 Ethereum의 Layer-2 스케일링 솔루션으로, NFT와 블록체인 게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즉시 거래 확인, 거의 제로 가스 비용, 탄소 중립 NFT 민팅을 제공하며, zkEVM을 통해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합니다. IMX 토큰은 스테이킹, 거버넌스, 거래 수수료, 생태계 보상에 사용되며, Immutable Pty Ltd가 개발합니다. 2025년 Immutable zkEVM으로의 전환과 Web2 게임 개발자(예: Ubisoft) 온보딩으로 Web3 게임을 주도하며, 총 펀딩 $298.56M를 유치했습니다. 로드맵은 2025년 말 zkEVM 통합 완료와 600명 이상 직원 확대를 포함합니다.
💰 투자 정보
모회사: Immutable Pty Ltd
사용자 기반: 560만 지갑, 주간 활성 사용자 2.5만 (Immutable Play 기준)
출시일: 2021년 11월 TGE
초기 공급량: 2.00B IMX (고정)
컨버전: ICO 가격 $0.15 (ROI 4.78x, 총 $298.56M 유치)
💡 핵심 기술
🔹 ERC-20 토큰: Ethereum Layer-2 (Immutable zkEVM, zk-Rollup)
🔹 NFT 민팅: 가스비 무료, 탄소 중립 (StarkWare zk-STARKs)
🔹 Perpetual Rewards: 게임 퀘스트 및 보상 (IMX, NFT)
🔹 Immutable Play: Web2-Web3 브릿지 플랫폼 (Ubisoft 파트너십)
🔹 거버넌스: IMX 홀더 투표 및 스테이킹 (14일 사이클)
🚀 성장동력
⚡️ Layer-2 NFT/게임: zkEVM으로 9000 TPS, 제로 가스비
🏦 파트너십: Ubisoft, Altura, Polygon Labs (Inevitable Games Fund)
💳 실용성: 스테이킹 보상 (2025년 6월 zkEVM 이전), 거래/거버넌스
🎮 생태계 확장: Immutable Play 런칭 (Web2 개발자 온보딩), 25K 주간 사용자
🌍 글로벌 접근: EU 규제 준수, MEXC 입출금 지원 (4000만 사용자)
✅ 실행력 추적 지표
2025년 주요 성과
✅ 2025년 8월: Immutable Play 런칭 (Ubisoft 첫 파트너)
✅ 2025년 8월: Altura 파트너십 (마켓플레이스 및 보상 확대)
✅ 2025년 7월: Digital Worlds Foundation과 IMX 가스 통화 협력
✅ 2025년 Q1: 일일 거래 수수료 28.8% 증가 (477→614 IMX)
2025년 하반기 예정
🎯 zkEVM 통합 완료: 2025년 말 (스테이킹 이전 6월 19일)
🎯 토큰 언락: 9월 5일 24.52M IMX (1.31% 공급)
🎯 에어드랍/보상: Perpetual Rewards 확대 ($1M+ IMX 배분)
🎯 파트너십: Web2 스튜디오 추가 온보딩
2026년 로드맵
🏗 zkEVM 강화: VR/AR 지원 및 AI 통합
🔗 크로스체인: Polygon 및 기타 L2 연동
⚡️ 보상 최적화: 동적 스테이킹 및 게임 인센티브
🌐 글로벌 확장: 아시아/유럽 e스포츠 및 게임 시장
📈 거버넌스 활성화: IMX 홀더 주도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생태계 실질적 성과
🏦 zkEVM 통합
- 560만 지갑 및 25K 주간 사용자 (Immutable Play)
- 거래 수수료 증가 및 TVL 성장 (Q1 2025 28.8%)
- Ubisoft 파트너십으로 Web2-Web3 브릿지 성공
💼 비즈니스 모델
- NFT/게임 거래 수수료: zkEVM 가스 (IMX 결제)
-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 네트워크 참여 보상
- 개발자 그랜트: Immutable Fund 통해 생태계 지원
개발자 생태계
📊 정량 지표
- 활성 사용자: 25K 주간 (Immutable Play)
- 스테이킹 참여율: zkEVM 이전 중 (6월 19일 시작)
- 24시간 거래량: $133.93M (2025-09-17 기준)
- IMX 보유자 수: 성장 중 (스테이킹 증가)
📅 에어드랍 일정
에어드랍 1차: 2025년 하반기 (Perpetual Rewards, 게임 퀘스트 참여자)
대상: NFT 홀더 및 거래 사용자 ($1M+ IMX 배분)
에어드랍 2차: 2026년 초 (예정)
대상: zkEVM 스테이커 (미확정)
📈 X Performance
Bullish (최근 포스트: IMX 가격 상승 +17% 및 Immutable Play 런칭 논의 활발)
⚡️ 투자 포인트
✅ Ethereum Layer-2 NFT/게임 선도 (9000 TPS, 제로 가스)
✅ $298.56M 펀딩 및 Ubisoft 파트너십
✅ 최근 급등 (24h +1.96%, 7d +33.46%)
✅ 거래량 $133.93M 및 Bullish 심리
✅ zkEVM 전환 (2025년 말 완료)
✅ Web2-Web3 브릿지 잠재력
⚠️ 주의사항
❌ 1y -42.93% 하락 및 언락 (9월 24.52M IMX)
❌ Q1 가격 60.1%↓ (IMX $0.53)
❌ X Performance 초기 (Bullish이나 변동성)
❌ 에어드랍 세부 미확정
❌ NFT/게임 시장 경쟁 심화
❌ zkEVM 이전 리스크 (6월 19일)
🎯 코인 펀더멘털 점수
📊 기술혁신: 9/10 (zk-Rollup, Immutable Play)
💰 토크노믹스: 7/10 (스테이킹 강점, 언락 주의)
🏢 팀/거버넌스: 8/10 (Immutable Pty Ltd)
📈 시장포지션: 8/10 (NFT/게임 Layer-2)
🌐 생태계: 8/10 (560만 지갑, 파트너십)
⚡️ 실행력: 8/10 (Play 런칭, zkEVM 진행)
🏆 최종 평가
총점: 80/100 (B+급)
등급: 우량급 프로젝트
투자 등급: 중장기 안정형 (Medium Risk, Steady Return)
다른 자산들 다 오를 때 코인만 안 오르는 이유 ㄷㄷ암호화폐 시장은 레버리지와 마진거래 비중이 높아 자금시장이 흔들릴 때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2019년 9월 미국 '레포칼립스 (레포시장 금리 급등)' 당시 비트코인은 한 달간 20% 급락했지만, S&P500은 1% 하락에 그쳤습니다. 이는 단기 자금시장 불안이 암호화폐에 더 직접적으로 반영된 사례입니다.
최근에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레포 금리가 연방기금금리보다 높게 거래되며 단기 유동성 부족 신호가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 준비금이 줄고, 미국 재무부가 단기국채 발행을 크게 늘리면서 레포시장으로 흘러들 자금이 부족해진 상황입니다. 여기에 머니마켓펀드가 맡겨두던 초과유동성(역레포 기구)도 사실상 바닥을 보이면서 단기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미 연준의 역레포(RRP,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시설 사용 규모
또한 헤지펀드들의 국채 베이시스트레이드 확대도 자금 수요를 키워 레포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국채 발행이 늘면서 현물 가격이 떨어지자 차익을 노린 거래가 급증했고, 이는 레포시장에서 자금 차입 수요를 높이는 악순환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부 은행이 상설 레포기구(SRF)를 이용해 긴급 자금을 빌린 정황도 포착돼 긴장감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전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JP모건 등은 이번 레포금리 상승이 재무부 단기채 발행 영향으로 일시적이라 보고, 연말에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면 시티 등은 준비금 감소와 QT(양적 긴축) 지속으로 유동성 압박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금리 인하가 M2 유동성을 늘릴 수는 있어도 은행 시스템 준비금 회복까지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결국 이번 흐름은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니라, 단기 자금시장 불안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크립토는 레버리지와 유동성 민감도가 높은 만큼, 시장의 조기 경고등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라면 단순한 차트가 아니라 레포금리·준비금·역레포 잔고 같은 자금시장 지표까지 함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by Walker
이 내용은 "2025.09.16 한경 글로벌마켓_빈틈없는 월가"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