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아이디어
코스피 수렴 및 횡보 구간 살표보기#코스피200 #일봉 #중장기분석 #토미
- 코스피 지수 일봉입니다. 작년 3/19 코로나 악재로 1439에 저점을 기록한 이후 가장 큰 되돌림폭(-9.77%)이 나왔습니다.
- 3/10~3/12에 저점(2930)을 약간 내리고 파란색 하락 채널 상단 저항을 테스트하러 왔습니다.
- 본 저점을 만들어준, 지지가 나온 구간이 바로 초록색 상승 채널 하단입니다. 이 초록색 채널에 당분간 주목 하셔야겠습니다. 하단 뚫리면 조정세가 더 나올 수 있으니 채널 유지 여부 잘 지켜볼 일입니다.
- 저점이 약간 낮아지기는 했지만, 디센딩 트라이앵글 형국을 만들며 수렴 중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하방이 나올 때 확정이 되는 패턴으로 지금 상황에선 무조건 하방으로 이탈 방향이 나온다는 말은 아닙니다.
- 다음주 이내로 트라이앵글 상단, 즉 파란색 채널 상단을 뚫는 흐름이 출현한다면 다시 한번 신고점을 시도하러 갈 확률이 높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중기적인 관점에서 기대해볼 수 있는 지지구간은 2910~ 2940 (3/25까지 유효), 2780~2820 (4/2까지 유효), 2580~2620, 그리고 2410~2450 입니다.
- 파란색 채널 상방돌파 성공 시 고려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3205~ 3235 (4/1까지 유효), 3295~3335(3/30까지 유효), 그리고 3455~3495입니다.
비트코인 (비트파이넥스) - 엘리엇파동, 이평, 구름대 관점 분석1. 파동 관점 분석
큰 관점은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주봉 3파 진행중이라고 보고 있어요.
다만 세부 파동 해석이 좀 갈립니다.
우선적으로 보고 있는 시나리오 입니다.
4파 진행중으로 보고 있었는데, 3파 고점이 갱신되면서 러닝, 익스팬디드, 페넌트 조정 파동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식의 조정 파동 생각중입니다.
차선으로 보는 시나리오 입니다.
1월 8일부터 머스크빔 까지를 주봉 4파 조정으로 보고 있고,
그 이후를 임펄스 또는 엔딩 다야고날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단, 이 시나리오에서 3파의 세부 카운팅이 잘 안맞기 때문에 차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엔딩 다야고날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상단을 깨고 올라갈 경우 임펄스로 해석, 하단선을 깨고 내려가면 1번 시나리오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D, E 점을 찍은 후 하단선이 깨지면 되돌림 숏으로 대응 할 계획입니다.
2. 이평 관점 분석
4시간에선 200 이평이 깨져서 좀 불안하고...
일봉에서 200선 터치가 많아서 깨지게 될까봐 불안합니다.
상승 기울기도 완만해지는 중이고, 현재 위치가 주봉 3파 2.0 되돌림 값을 채우기도 했으니
조정 파동 진행도 고려해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3. 구름대 관점 분석
별 다른건 없고...
4시간에서 양운대 지지 되는지 체크하시면 됩니다.
구름대 안으로 들어가면 안좋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새로운 중형파동 시작이라는 관점고정 안내문 :
- 칭찬 감사의 말씀은 수익이 확신될 때만 써주세요. 욕은 맘속으로 하십시오. 질문하셔도 되는데 답을 언제할지 알 수 없습니다.
- 손절, 분할매매는 직접 정하세요. 리딩방 아니며, 리딩방 극혐합니다.
- 각자 매매법과 포지션이 달라 자세한 코멘트는 어렵습니다. (확률, 위험성, 레버리지 등에 대한 코칭 없음)
- 저는 모니터링 하지 않고, 매매 거의 안해요. 대응을 실시간으로 해드리지 않습니다. 예상선 이탈시 저는 일상생활 or 수면중일 수 있습니다.
경고
- 10개중 1개만 틀리더라도, 고배율에 손절을 안하면 잔고가 0이 되는게 확정된 결말입니다.
방금 중형파동 하나가 마무리된 것 같아요.
지금이 새로운 중형파동 시작이라면
15분봉으로 약 70개 봉정도는 상승이겠다 싶습니다.
그렇다고 하나 최고점들을 연결해서 그린 하얀선을 넘기지 못하면서
중장기적으론 약하락 횡보라는 가설을 부수지 않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음...그래도 57.8은 너무 높게 본거 같아서 걱정이네요.
아무튼 롱은 짧게, 숏은 해볼만한 그런 장임을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진짜 지금 세력 무빙인거 기정 사실이니 이 점도 기억하시고요.
아마도 또 고점일만한 저항선 직전에 고볼륨으로 누를 것이고, 세력님 익절하시면 눈치빠른 개미가 익절해야합니다.
[NH선물] 3월 15일 ~19일 commodity 전망1. WTI (선물)
- 예상레인지 : 63.00 ~ 69.00
- 방향성 : 강보합
OPEC 3월 석유시장보고서에서는 올해 전세계 석유 수요전망치를 전년대비 6.5%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 높은 수치임.
2. 골드, 실버 (선물)
- 예상레인지(골드) 1,650~1,750
- 예상레인지(실버) 25.00~28.50
- 방향성 : 약보합
명목금리 상승시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가 생기지만, 올해의 명목금리 상승은 기대 인플레이션보다 실질 금리가 주도된 것으로써 조기 긴축 우려가 인플레이션 헤지수요를 저해함. 이런 헷지수요감소로 하락추세를 이어 갈것으로 전망됨. 다만 실버의 경우 산업수요로 하락세는 제한적일 것
3. S&P500
- 예상레인지 : 3,800~4,000
- 방향성 : 강보합
바이든 대통령이 1.9조 달러 부양책에 서명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한 상황. 시장은 2022년부터 연준이 테이퍼링에 들어 갈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만약 이번주 FOMC에서 이런 시장의 예상을 깨는 듯한 발언이 나오는 경우 시장은 크게 요동 칠수 있음
[NH선물] 3월 15일 ~ 19일 환율 전망1.달러/원 (선물)
- 예상레인지 : 1120 ~ 1140
- 방향성 : 상승
코로나 유동성 공급으로 약해져온 달러는 금리인상 기조영향으로 강세 유지. 1.9조달러 부양책승인도 이미 예견된 것이라 시장은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음. 작년 말부터 국민연금을 포함한 국내투자자들의 투자대상이 국내물을 팔고, 해외시장으로 옮겨가는 추세가 이어 지고 있다는 점도 환율상승을 이끌 주요 요인임
2. 유로/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1.1900 ~ 1.2150
- 방향성 : 강보합
미국이 지속적인 경기부양책을 펼치며 달러약세를 이어 나가고 있어, ECB는 EUR가 강세가 되고 있는 것을 방치할 수 없기에 추가통화정책을 펼쳐야 하는 상황임. 하지만 ECB는 2분기부터 채권 매입 속도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하며 이외의 추가통화정책에 대한 언급은 없는 상황으로 유로화 강세 전망
3. 엔/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0.91000~0.92850
- 방향성 : 약보합
BOJ 관계자는 엔저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기업비용 인상 등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다는 발언을 하며 하락세가 잠시 멈추어 있는 상황임. 하지만 미국의 1.9조 달러 부양책으로 인한 위험선호추세가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엔화를 지속적인 하락세로 이끌것으로 전망
더 빠른 차팅을 위한 5 가지 팁여기 여러분의 차팅을 빨리 하기 위한 5 가지 팁이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의 각 팁은 간단한 키보드 숏컷을 갖고 있습니다: 맥에서는 코맨드키를 누르거나 피씨에서는 콘트롤키를 누릅니다. 이 키보드 숏컷을 마스터하게 되면 여러분이 멀티플 드로잉 고르기, 벌크 에디팅하기, 그리고 궁극적으로 여러분의 리서치 프로세스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됩니다.
1. 맥의 코맨드키나 피씨의 콘트롤키를 누른 채 여러분의 고르고자 하는 에어리어위로 마우스를 드래그합니다. 이 것이 멀티플 드로잉을 한 번에 고르는 가장 빠른 방법가운데 하나입니다. 코맨드/콘트롤키를 누른 채 특정 에어리어위에서 마우스를 드래그 하십시오.
2. 여러 개의 드로잉을 한꺼번에 고를 수도 있습니다. 코맨드키 (맥) 이나 콘트롤키 (피씨) 를 누른 채 각 드로잉을 하나씩 클릭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차트에 여기 저기 흩어져 있거나 찾기 어려운 특정 드로잉을 고를 때 도움이 됩니다.
3. 여러분의 차트에 나오는 멀티플 드로잉을 고르는 법을 배웠으니 이제 거기에 벌크 체인지를 걸 수 있을까요? 보기로, 차트에서 멀티플 드로잉을 고른 뒤 원 클릭으로 각 드로잉 컬러를 바꿀 수 있습니다. 코맨드/콘트롤키를 누른 채 각 드로잉을 고른 뒤, 플로팅 툴바에서 컬러를 바꾸면 됩니다.
4. 컬러말고도 많은 것을 바꿀 수 있습니다... 라인 두께, 보더, 비주얼 오더 및 폰트 컬러 등을 한꺼번에 바꿀 수도 있습니다. 코맨드/콘트롤키를 누른 채 플로팅바에서 바꾸고 싶은 대로 바꾸면 됩니다.
5. 코맨드 및 콘트롤키로 드로잉을 클론할 수도 있습니다. 맥의 코맨드 또는 피씨의 콘트롤을 누른 채 고른 드로잉을 드래그하십시오. 바로 클론이 만들어집니다. 🕺🕺
이들 다섯 가지 퀵팁을 써보시기 바랍니다. 그 키는 바로 코맨드 및 콘트롤 키의 파워를 마스터하는 것입니다. 이 키보드 숏컷으로 멀티플 드로잉 고르기, 벌크 체인지하기, 드로잉 클론하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들 팁에 대해 물음이나 코멘트를 보내 준다면 당사 팀에서 모두 읽고 최대한 도와 드리겠습니다. 또한 피드백 및 써제스쳔을 보내 주셔도 됩니다.
덧말씀. #트레이딩뷰팁 해쉬태그로 플랫폼 쓰는 법에 대해 많은 팁을 셰어하십시오. 🙌
비트코인 : 출발제가 보는 파동 카운팅입니다.
이전 조정들은 이전 파동의 4파 종결점까지 도달하며 모두 가격적인 조정을 마친것으로 보입니다.
급각과 횡보가 교대로 일어나는것도 정석적인 모양이네요.
1번과 3번의 길이가 많은 차이가 나지 않는걸 보면 5파가 꽤 길거같네요.
아직 먹을게 그만큼 많이 남았다는 소리니. 당분간은 고배율만 아니라면 롱포지션이 압도적으로 유리할거같습니다.
현재 5파의 1번 파동 안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시점은 장기투자할 평단이 아니니 스윙관점에서 현금비중이 높다면 조금씩 눌림이 있을 때마다 매수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현재까지 나온 그림으로만 카운팅해서 틀릴 수도 있지만
현재 보고 있는 파란색으로 표시된 1-2가 급각이었으니. 3-4는 횡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어디가 3일지는 모르겠네요. 단순 프라이스액션이니 가격은 크게 상관 안하셔도 됩니다.
B파의 마무리58K -> 44K의 조정 A파동 이후
되돌림 B파의 진행으로 보고있습니다.
아직 마무리 확정은 아닙니다..
하지만 B의 C파 파동의 갯수가 9개라 거의 끝자리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여기서 꺾이지 않고 추가적으로 고점을 갱신.. 60k 이상 단번에 상승한다면
되돌림 B파보다는 새로운 임펄스의 시작으로 봐야 할 것 같네요.
이전 아이디어에서 B의 C파 타겟을 55~56K 부근으로 보았으나
기존 상승채널 중단에서 지지가 나오면서 (파란색 박스부분 회색 점선)
추가적으로 상승해 이전 조정 A파 폭의 50퍼센트에 해당하는 채널 자리까지 터치한 상황입니다.
이평의 배열이 살짝 지저분한 느낌이 있어서 상승 하기 이쁘게 배열될 때까지는
아직까지 어느정도의 조정기간이 필요하다고 보고있는터라..
B파동 이후 나오는 C파동의 진행 기간동안은 단기적으로는 숏 관점을 유지할 생각입니다.
만약 관점이 바뀌게 되면 추가적으로 아이디어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
이어지는 내용이라 이전 아이디어도 같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1.03.08 XAUUSD GAP FILL 이후 움직이는 것을 연구해보자 매매연구 #54/100현재 매도 진행중이고, 가격이 지지권 근처에 있기 때문에 밑으로 얼마나 내려갈 수 있을지 불분명한 상태입니다.
+20핍 정도 진행중이여서 SL TO BE 진행했고 ,가격이 밑으로 얼마나 내려갈 수 있을지 지켜보고 있습니다.
1. 현재 가격대에서 반등을 할 수 있는 시나리오 - NEW LOW 를 만들기 위해선 현재 가겨에서 반등을 해야합니다.
2. TP AT PREVIOUS LOW. 전저점에 TP 를 놓고 전저점까지 내려가는 모습을 보아야 합니다.
3. 가격이 높은 시간대의 추세를 따라 피보나치 되돌림 -27 까지 내려가는 모습을 기대합니다.
일단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전저점까지 내려가는 것입니다.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현재 높은 시간대에 잡은 지지권의 갭이 50핍 정도 된다는 것이고,
50핍은 충분한 핍수이기 때문에 PARTIAL TP 를 50핍에 지정해두고 나머지는 1680 타겟까지 가도록 두는 것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 마지막 버스를 타보자.크게 2가지 관점에서 매매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조정은 끝났고 상승이 시작되었다. (ABC - 123(진행중)45 )
아직 혼합적인 조정파동 안에서 횡보중이다. ( ABC - wave x - ? or ABC - wave x - ABC - wave x - ?)
저는 개인적으로 붉은 색 ABC가 9일 정도에 걸쳐서 만들어졋는데. 43K라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조정은 잘 마무리 된 느낌이지만
이전의 조정에 비해서는 시간적으로 이른 느낌이 있기에 조금 더 횡보할 수 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52K를 짧은 시간 내에 돌파한다면 추세전환이라고 생각해서 돌파 후 52K~ 54K 그 어딘가에서 나올 눌림에 추가매수를 들어가고
아니라면 3월 중순 전까지 어떠한 조정패턴을 보여줄지 관망하는게 좋을거같네요. 그 때의 기준이 또 생기겠지만
확실하게 추세전환이라고 생각되면 그 이후로는 현물 비중을 늘리면서 추세를 따라가려구요.
저는 3월 중순 이후로 본격적인 상승이 시작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미 저점이 나왔을 수도 있지만
어차피 안전할 때 들어가서 수익을 내는게 중요하니까요. 그 때 가서 사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지막 버스는 아직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BAT PATTERN의 저항구간에서 하락 후에 TP1을 달성했군요. 저는 포지션을 잡지는 않았지만
패턴으로 본 TP2는 대략적으로 49K네요. 반등이 나오는지 눈여겨 봐야겠습니다.
[NH선물] 3월 8일 ~ 12일 환율 전망1.달러/원 (선물)
- 예상레인지 : 1120 ~ 1140
- 방향성 : 상승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에 따른 달러화 강세와 위험자산 불안 심리가 이어지며 달러-원 환율은 상단을 테스트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2월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한층 강화되고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실망감 까지 가세함. 이번주 주요국 물가 지표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미국채 금리 변동성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추가 상승 동력을 탐색할 것으로 예상. 다만 지난주 달러-원 환율이 1130원대로 레벨을 높이면서 수출업체 네고물량이 상당 수 유입되었음. 금주 역시 수출 업체 네고 물량이 이어질지 여부가 상단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
2. 유로/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1.1900 ~ 1.2150
- 방향성 : 강보합
유로화는 미국과의 장기금리 격차 확대로 지속적인 약세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 당분간 미국 등 글로벌 금리 변동과 증시 조정등이 위험회피 요인으로 작용하여 유로화에 지속적인 하락 압력을 줄 것으로 보임. 다만 지난주 급락세에 유로화가 과매도 구간에 가까워 지면서 레벨 부담감이 상존. 이에 차익 실현 및 저가 매수 출현으로 최근의 급락 흐름을 되돌리는 기술적 반등세 가능성 존재
3. 엔/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0.91150~0.93500
- 방향성 : 강보합
지난 주 엔화는 미국 국채 금리 급등 및 미 연준의 실망적인 대응에 큰 폭 하락. 또한 BOJ 총재가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 허용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없다고 발언함에 따라 미일 금리차 확대 기대 반영되며 급락. 미 금리 움직임에 대한 경계감이 지속되면서 중기적 하락 추세 흐름은 유효할 것으로 보임. 다만 지난 주 급락으로 엔/달러는 작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에 반발 매수 등의 기술적 반등 가능성 농후. 하단을 탐색하면서 강보합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NH선물] 3월 8일 ~ 12일 commodity 전망1. WTI (선물)
- 예상레인지 : 64.50 ~ 70.0
- 방향성 : 강보합
사우디의 자발적 감산 연장으로 인해 오버슈팅중. 인플레이션 헷지수요까지 몰려 추가 상승가능. 지난달 워렌버핏이 오랜기간 보유중이던 애플을 팔고, 에너지주인 쉐브론을 샀다는 것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침. 시리아 민병대 사태는 더이상 문제가 커지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 되는 분위기이기에 이로 인해 상승했던 가격분은 반납될 가능성 있음.
2. 골드, 실버 (선물)
- 예상레인지(골드) 1,650~1,750
- 예상레인지(실버) 25.00~28.50
- 방향성 : 보합
골드 : 최근들어 에너지주와 여타 커모디티 가격들이 디커플링을 보이고 있음. 일부에서는 금가격이 오르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미국에서 가격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라는주장도 있는데, 이는 2011년도 미국 신용등급 하락과 달러의 극심한 약세를 보였을때 미국이 취한 조치를 다시 할 것이라는 기대로써 현재 강달러 상황과는 많이 다르기에 잘못된 것임.
실버 : 미국 CFTC가 Silver와 천연가스 가격 급등관련하여 조사중에 있기에 투기세력이 실버가격에 영향을 주기 힘든 상황임. 하지만 최근 있었던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인한 하락세가 너무 가팔랐기에 이에 대한 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임
3. S&P500
- 예상레인지 : 3,750~3,950
- 방향성 : 강보합
미국 1.9조달러 부양책의 하원표결이 내일(9일)로 의결될 가능성이 높음. 해당 이벤트로 상승세를 이어 나갈 가능성 높음. 미국채금리는 코로나 시작전인 2020년 1월경의 금리수준인 1.5~1.6%가량 까지 올라와 있는 상태, 2.0%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 피셔효과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은 기준금리를 올려야만 하는 상황이 연출됨. 전 재무장관 로렌스 서머스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우려를 지속해서 경고하고 있는데, 해당 우려로 상승세는 일부 제한적일 수 있음
비트코인의 지표로서의 DXY, 거대 다이버전스하늘색 선: 비트코인
주황색 선: 나스닥
옥색 선: DXY
DXY는 오랜 시간 전부터 나스닥,비트코인과 정 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였습니다.
양적완화가 심해지며 그 원리는 빛을 발했고 비트코인 역시 연초의 5~10배 가격에 도달했습니다.
비트코인이 고점 신호를 보내고 조정받고 있는 와중에
DXY(달러인덱스)가 저점을 만들고 하락 추세를 돌파하였습니다.
그런데 만약 DXY로 비트코인의 가격을 예측할 수 있다면
곧 DXY는 비트코인의 지표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테고
이 와중 DXY와 비트코인의 다이버전스가 발생한것은
시장의 지금 가격에 큰 괴리가 있다는 뜻이라고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1월 말 즈음 엘론머스크의 지지트윗으로 조정세가 끝나버린 점도 그렇지만
고점을 돌파하려는 개미들의 힘이 뭉쳐 (상승웻지이자 전고점 위인)50k를 상향돌파한 점도 매수세가 과잉이었던 것으로.
그에 반해 smart money이던 고래들이 대부분 50~58k에서 보유중이던 물량을 포기했다는 것.
역사적으로 3월장에서 조정이 안나온게 드물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지금 장이 과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가능성이 모두 사실이라면 시장에서의 조정은 아주 거대하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모든 개미들이 100k를 넘긴다는 희열에 차있고,
기관투자자들까지 50k 윗쪽에서 많이 매수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물량이 모두 손절을 위해 나온다면 2월말을 다시 보는 투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은 파는것이 손해다'라는 말까지 있는 만큼
강한 상승에 대한 믿음이 깨지기는 쉽지 않을것이고(존버)
기관투자자들은 여전히 (자기자본대비) 적은 자본으로 리스크배팅을 하는 점(여전히 매집에 고플 수 있다)
따라서 저점을 갱신하더라도 상승이 모두 깨질만큼의 폭락은 나오지 않을것이다,
지금보다 거대한 조정 (예: 고점 대비 50%)을 받을수 있어도 S2F를 지키기위해 언젠가 상승할 것이다 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락에 대한 시나리오를 적어보면
(1) 다이버전스는 언제든 무시되거나, 지표가 조정받을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약한 조정이 있더라도 저점을 깨지는 않을것이고 고점을 다시 돌파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
단 그럴수록 다이버전스가 심해질 수 있으니 하방압력만 증가할 것 같습니다. (검증필)
만약 그렇다면 지표(DXY)와의 괴리가 해결되도록 이 자리에서 횡보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2) 50k가 고점이 되는 설입니다
전날 3월3일, 저점에서 반등한 후 기관 투자자의 FOMO를 타고 50k를 뚫어낸 결과가 있지요
하지만 그곳에서의 지지는 부족하고, 내리 흐르는 그림만 보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곳의 상승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것이고
매수세가 실종되어 이곳을 멀리하게 될 것입니다.
반대로 제가 다이버전스설보다 무섭게 보는 시나리오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비트코인과 달러인덱스의 결별 인데요,
비트코인이 S2F를 따라 상승해야 한다면 달러인덱스는 무한하게 하락할 수 없으니 언젠가 디커플링이 일어나야할테고
그것이 바로 지금이 될 수도 있을까? 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게 당장 일어날일로 보이지는 않는데요.
분명히 거대한 두 통화(상품)의 correlation은 거대한 추세와 같고
거대한 추세는 바뀌기 전에 크고 작은 반대추세가 수십여번은 일어나야하기 때문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10303 조정 기간은 쉬는게 맘 편합니다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퍼블리쉬 합니다.
지난 상승분에서 예상했던 최종 목표치를 근접하게 상회하고
조정기간 동안 푹 쉬다가 왔습니다.
사실 지난주부터 퍼블리쉬는 계속 하려고 했으나... 사람이 한번 쉬니까 계속 쉬고싶어지네요
원래 퍼블리쉬 하려고 했던 시점을 놓치긴 했으나 한번 잘 풀어보겠습니다
지난 퍼블리쉬
지난 퍼블리쉬에서는 삼각 수렴 돌파 후 최종 목표를 54.6k로 선정
58.5k (바이낸스 기준)까지의 상승이 발생하였습니다.
1월과 비슷한 조정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 잠깐 매매를 멈추고
관망만 했던 보름이었습니다.
현재 반등은 찐인가?
바이낸스 기준 43,000$을 정확히 터치한 후 상승중인 상황입니다.
많은 분들이 직전 고점인 42k 근방에서 매수를 기다리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작년 12월부터 이어오는 상승 추세선도 42k 근방에서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조정을 1월 조정과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45k에서 51k로 가는 반등을 완전한 추세 전환이라 판단하지 않았고 42k 에서 기다리고 있었는데요
1월과는 다르게 저점을 한번 더 갱신 후 쐐기형으로 추세 전환을 성공해냈습니다.
네, 결론은 현재 보이는 모습으로는 추세 전환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하락은 다시 지옥가는 움직임이 아니었나?
어젯밤 나스닥 개장과 함께 비트가 50k를 완벽히 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저도 48k 근처에서의 공매수 포지션을 홀드중에 있다가
스탑이 나가버렸는데요.
단기 움직임이 조금 아리송해서 고민 하였지만 하락쐐기의 리테스트 움직임이라고 생각하고
재차 공매수 포지션 진입을 했습니다
비트는 큰 하락쐐기(블루)와 작은 하락쐐기(레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큰 하락쐐기의 기준으로는 상승 돌파 직전의 단기 매물대에서 반등하는 리테스트의 정석을
작은 하락쐐기의 기준으로는 상승 돌파한 쐐기의 상단에서 반등하는 리테스트의 교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상 0.382 자리기도 합니다.
어제의 하락은 재차 하락이 아닌 상승 추세 전환 과정중 매수 기회를 준 것이다.
라고 판단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다음 목표가는 어디인가
1. 쐐기형의 목표가로 선정
통상적으로 하락쐐기 / 상승쐐기의 목표가는
돌파가 나온 지점으로부터 쐐기의 폭만큼 상승 / 하락 을 목표가로 선정합니다.
큰 하락쐐기(블루)의 폭은 약 13,321$로 돌파 시점으로부터 목표가 산정시
59,720$
작은 하락쐐기(레드)의 폭은 10,000$로 돌파 시점으로부터 목표가 산정시
58,154$
의 목표값이 산출됩니다
2. 일목구름으로 단기 목표가 선정
최근 상승에서 가장 일목구름을 기반으로 하는 매매의 정석을 보여주는 3시간봉입니다.
음운 진입 후 되돌림 구간에서 구름 하단 반등후 재차 상승중인 모습입니다.
현재 위치상 구름 상단은 51,150$ 근방이며
만약 상승 속도가 조금 더뎌지며 우측으로 횡보하며 자연스럽게 구름대 이탈이 나올 경우
49,050$ 근방을 지지대로 삼고 슈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도 단기 저항 구간은
51,150$ ~ 51,650$ 구간입니다.
4시간봉 또한 구름 진입을 성공한 모습인데요
4시간봉 음운 상단 또한 현재 구간에서는 3시간과 동일합니다.
51,150$ 구간을 단기 목표로 잡고, 해당 가격을 돌파할 경우 다음 목표가로 도전하는 모습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3.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목표값으로 선정
작도하는 사이에 상승이 나오는 모습인데요
무튼 최근 추세에서의 의미있는 저점 - 고점 - 저점을 연결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의 목표값은
직전 고점 근처인 50,067$ - 54,870$ 으로 보여집니다.
54,870.3$ 는 2월 23일 48,255$까지의 하락 후 약 6,700$의 강한 반등의 저항 값이기도 하기 때문에
의미 있는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트 도미넌스
만약 제가 정한 목표값을 차례대로 도달하는 계단식 상승이 발생한다면
이번 상승은 알트보다 비트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비트 도미넌스는 너무 긴 시간 현재 위치에서 횡보중이며... (기를 모으는 중입니다)
잡알트 도미넌스도 슬슬 저항 구간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
비트는 다시 상승 추세로의 전환이 완료 되었다고 판단
50,067(단기) - 51,150~51,650(단기) - 54,863 - 58,154 - 59,720
의 가격대를 계단식 상승으로 돌파하는 움직임 기대
이번 상승에는 알트보다는 비트의 상승률이 클 것으로 생각
만약 단기 목표값을 돌파하지 못하고 47k를 이탈시에는
앞자리 3까지의 하락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됨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03-03 코스피 차트비비드입니다.
30대 남성들이 제일 많이 투자한 종목이 인버스 / 곱 버스 라고 들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차트가 코스피입니다.
3270 정도가 코스피의 고점이었습니다.
코스피는 그 이후 3000대까지의 조정이 나오면서 횡보 중입니다.
횡보를 하는 중이지만 차트를 보면 저점은 낮아지고 있으며 고점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차트의 경우 삼각 수렴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렴이 돌파되는 구간들을 확인하고 대형주들에 투자하는 방법도 좋아 보입니다.
수렴 안에서는 수렴이 위로 돌파가 될지 혹은 아래로 지지 이탈을 할지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아직 시장에 긍정적인 것은 고점 돌파 후 위에서 수렴 중이라는 것입니다.
이 경우 패턴이 위로 상방 돌파가 나올 시에 추가 파동이 한 차례 더 남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패턴입니다.
아쉬운 점 중 한 가지는 어느덧 코스피의 지지선이 일봉 상의 20선에서 60선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입니다.
만약 60선의 이탈이 나오면 코스피의 이동평균선이 약세전환지표가 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만약 하방 이탈을 하면 현재로서는 주요 지지 구간 중 한 곳은 2790대로 보고 있습니다만 최악의 상황에는 최대 17%가량의 조정도 예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지지 구간을 만든 상승이었다고 보기보다는 일방적인 원웨이 상승이었기에 하락을 할 때도 상승분의 캔들을 다 채워주는 내림세가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름대의 후행 스팬을 보면 현재는 캔들보다 아래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다만 캔들 돌파를 하기에도 그렇게 차이가 크게 나는 구간은 아니다 보니 후행 스팬도 캔들의 수렴 구간 안에 갇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코스피의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어렵다고 볼 수 있으나 가격 횡보가 이런 식으로 지속한다면 3월 말 내외로는 패턴이 끝나게 되어 있습니다.
패턴이 방향을 정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추세가 나왔을 때 진입 혹은 대응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의 관점기존의 플랫 관점에 따라서 저점 부근에서 물량을 조금씩 담았고,
반등이나와주어서 현재는 30%를 정리했습니다.
추후의 물량은 과거의 지지/저항을 토대로
50k, 51k, 55k 등에서 각각 30%, 20%, 20%을 덜어낼 계획입니다.
(떨어진다면 나머지 물량은 본절 부근에서 정리를 고려할 것 같습니다.)
55k까지 올라준다면 그때부터는 숏 물량을 모으려고 합니다.
전에는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이론 또는 패턴에만 너무 집착했던거 같은데,
막상 왜 그런 이론, 또는 패턴이 생기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너무 간과했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파동의 움직임을 보고 상승장에서 급격한 가격의 하락(지그재그)이 나왔기에,
저점을 크게 지나지 못하는 선(플랫)에서 매수세가 계속 붙어서 다시 상승을 할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어디까지 오를지는 모르겠으나, 큰 모양으로 보았을때
상승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반등이 비교적 높게 나오는, 상위 파동에서의
플랫 모양으로 전고를 갱신할 수도 있기에
숏 물량을 모은다면 최대한 위에서 모으는게 당연히 안전할 것이며, 저는 위에서 말한
최소 55k부근부터 분할로 모으기 시작할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배우는 입장에서 조언과 지적, 다른 아이디어 공유도 환영합니다.
모두 안전매매하시고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NH선물] 3월 2일 ~ 5일 commodity 전망1. WTI (선물)
- 예상레인지 : 59.50 ~ 64.50
- 방향성 : 강보합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감, 텍사스 지역의 원유생산 차질, 원유재고 감소 등의 영향으로 최근 큰 폭 상승했던 유가는 기상이변에 따른 수급차질 완화와 레벨부담 등의 여파로 최근의 급등세는 다소 진정된 상황에서 완만한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2. 골드, 실버 (선물)
- 예상레인지(골드) 1,680~1,780
- 예상레인지(실버) 26.00~28.50
- 방향성 : 약보합
골드 : 미 국채금리 상승으로 인한 우려는 실물자산에 대한 매력을 감소시키며 지난주 금 가격에 악재로 작용. 이번 주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세는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은 달러 약세 및 금 가격의 지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다만 최근 금 관련 ETF 등에서 지속적인 자금 유출은 금이라는 자산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어 당분간 상승랠리는 쉽지 않을 전망.
실버 : 최근 골드 대비 실버 가격은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음. 다만 월 초에 보였던 투기적인 매수세는 상당부분 진정되었고 금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 전망은 실버 가격 상승도 제한할 것으로 전망
3. S&P500
- 예상레인지 : 3,780~3,930
- 방향성 : 강보합
주말간 있었던 미국의 1조9천억 달러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 하원 통과 소식과, G20 회담에서 옐런 재무장관의 경제 회복을 위한 확장적 정책의 지속 촉구 발언을 긍정적으로 소화하며 주 초반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 지난주 후반 큰폭의 하락에 대한 반발매수세 유입 또한 하단을 지지하는 재료로 볼수 있으나 오히려 최근의 리플레이션 흐름에서 경제지표 및 고용지표가 예상대로 좋게 나올 경우 출구전략에 대한 우려로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음에 주의 필요.
[NH선물] 3월 2일 ~ 5일 환율 전망1.달러/원 (선물)
- 예상레인지 : 1,090 ~ 1,124
- 방향성 : 하락
지난주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는 추가 경기부양책 통과 등의 재료를 소화하며 숨고르기를할 것으로 전망. 지난주 다소 냉각됐던 위험 선호 심리 회복 전망 또한 원화대비 달러 약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지난주 급등으로 인한 1120원대의 레벨도 달러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2. 유로/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1.2050~1.2300
- 방향성 : 강보합
지난주 후반 유로는 미국 장기금리 급등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와 이로 인한 시장의 위험회피 선호 강화로 초반의 상승폭을 반납하여 하락 마감. 이번주 금리 상승세 진정과 최근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비율 증가로 방역조치가 강화된 유로지역 경제의 부진한 모습으로인한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유동성 공급 기대감은 상승 요인.
3. 엔/달러 (선물)
- 예상레인지 : 0.93500~0.95500
- 상승 일본 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방역조치 강화로 개선세가 약화됐지만, 대규모 재정부양책 등으로 개선세가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 지난 주 큰 폭으로 하락했던 엔/달러는 기술적 반등세와 더불어 이번주는 상방 우세 전망.
여러분은 코인시장에 언제 들어오셨나요? [재미로 보는 비트코인 연대기]#재미로보는 #비트코인 #연대기 #토미
안녕하세요. 토미입니다.
올해 비트코인 불장에 새로 코인 입문하신 분들이 생각보다 너무 많더라고요.
물론 저도 크립토 및 블록체인 기술이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믿는 사람으로써 우상향할거라는 걸 믿고 있는 사람이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 입니다.
17년도에 일명 ‘박상기의 난’때의 그 공포를 겪어 보셨던 분들은 아실겁니다. 밑으로 한번 꽂기 시작하면 빠꾸 없이 원웨이로 내려버리는 그 무빙을..
조정은 언젠간 오긴 할 겁니다. 그게 지금이 됐든 아니면 7~8만불까지 간 다음에 됐든.. 언제 올지는 신 혹은 일론 머스크 아니면 모릅니다.
이렇게 장이 과열될수록 항상 보수적이게, 원칙 잘 지키면서 매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꼭 손절가, 익절가 손익비 맞게 잘 설정해 두시고 잘 지키세요!
특히 이번 불장 때 새로 들어오신 코인 뉴비분들 항상 명심하세요.
빠꾸 없이 올라온 파동은 빠꾸 없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