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시총이 감소하기 시작했다ㄷㄷkr.tradingview.com
마지막으로 어쩌면 가장 중요한 전체코인시총과 스테이블코인의 시총 및 도미넌스 중장기 추세를 살펴볼게요. 제가 시즌 종료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근거들 중 하나가 바로 스테이블코인 시총의 꾸준한 증가입니다. 그런데 현재 그것이 살짝 애매해지고 있습니다
차트 우측을 보시면 전체코인시총이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여태까지는 스테이블코인의 시총이 증가해왔는데요, 최근 들어 그 시총이 포물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스테이블코인의 도미넌스는 상승(=코인 매도의 증가)중입니다
물론 스테이블코인 시총 감소
주요 데이터 포인트
이전 종가
—
열기
—
일간범위
—
크립토 토탈 마켓 캡, $ 정보
준비된 트레이더는 시장의 더 큰 그림을 보는 능력에 의해 정의됩니다. 암호화폐 트레이더도 마찬가지입니다 — 동의하신다면, 전체 암호 시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차트를 준비했습니다. 그것은 총 암호화폐 시가총액을 보여주는데, 이는 TradingView가 코인 시가총액 상위 125개를 합산하여 계산한 것으로, 각 코인 시가총액은 코인수와 현재가를 곱합 것입니다. 시가총액이 증가하는 것은 투자자들의 관심과 현재 시장 상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이것이 어디서 순풍이 불어오는지, 디지털 코인이 좋은 투자 도구인지 아닌지에 대한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공급발 랠리, 조만간 다시 재현될까?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지난 2년 동안의 전체코인시총과 스테이블코인의 시총 및 도미넌스를 한데 모은 차트입니다. 이 차트를 통해 얻을수 있는 투자 인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테이블코인의 시총은 절대평가로,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전체 코인 시총과 가격은 상승한다
- 스테이블코인의 도미넌스는 상대평가로, 하락하면 하락할수록 언스테이블코인(비트/이더/알트)의 도미넌스는 상승한다
-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의 시총은 늘어나는데(=판돈은 커지는데), 스테이블코인의 도미넌스가 감소한다면(=현금대기성 자산이 쪼그라든
모든 상승장은 언제나 힘들었다최근 비트코인이 빠른 조정을 겪었습니다.
큰 조정폭은 아니지만, 알트코인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하락을 보이며 시장에 공포감을 조성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비트코인이 현재 기관 수요가 있기 때문에 큰 하락폭을 기록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래서 알트코인을 크게 하락시키면서 시장의 공포감을 조장하고, 약한 손들을 떨구려는 의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토탈캡1 차트를 보면 하단 추세선에 닿고 반등하였습니다.
이 추세선을 다시 깨고 내려갈지, 아니면 올라갈지는 이 차트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
강세장의 근간인 스테이블코인시총과 글로벌 유동성의 추세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지난 2년 동안의 전체코인시총(하얀선)과 스테이블코인시총(노란선), 그리고 글로벌 유동성(주황색 영역)을 한데 모은 차트입니다
보시다시피 '24.1분기부터 전체코인시총은 감소했지만 스테이블코인시총은 커졌죠. 그리고 글로벌 유동성은 지난 1년 동안 대체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을 종합해볼때, 전세계에 유동성이 풍부해진 과정에서 그 일부 자금이 코인시장으로 유입은 되었으며, 다만 코인시장에 잔존해있을뿐 코인 매수에 적극 활용되지 않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 BTC가격이
알트 섹터의 시장 지배력의 향방은?!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지난 8년 동안의 전체코인시총과 비트&알트 도미넌스, 그리고 미 대선 시점을 한데 모은 차트입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어떤 연유인지 "미 대선(세로 파란색 선)"을 기점으로 해서 전체코인시총은 증가하는데 비트 도미넌스는 하락하고 알트 도미넌스는 상승했습니다. 물론 표본이 고작 2개뿐이지만 우연이라고 하기엔 시총과 도미넌스의 전반적인 흐름이 똑같아서 참고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방금 언급한 흐름(전체코인시총은 증가하는데 비트 도미넌스는 하락하고 알트 도미넌스는 상승)
반등랠리를 위한 "유동성 확보"는 이미 끝났다
kr.tradingview.com
지난 4년 동안의 전체코인시총과 키레벨 50주 이평선(주황선), 그리고 대내외적인 유동성을 나타내는 글로벌 M2(초록색 영역)와 스테이블코인 시총(노란색 영역)에 주목해 봅시다
현재 시장이 저 개인적으로 위태로워 보이는 이유는 코인시총이 현재 진행중인 상승사이클에서 굳건하게 사수해왔던 키레벨 50주 이평선 바로 위에 위치해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8월 초에는 시총이 이 이평선을 일시적으로 하회했었고 9월 초에는 시총이 이 이평선을 종가로 하회했었습니다
이렇듯 특정 지표가 키레벨 이평선을 하
전체코인시총의 향방은 글로벌 유동성과 스테이블코인의 흐름에 달려있다!kr.tradingview.com
지난 2년 동안의 전체코인시총(비트코인시총+알트코인시총)과 대표적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시총, 그리고 글로벌 유동성을 한데 모은 차트로 대내외적인 요인을 다 때려박은 자료입니다
딱 봤을때 뭔가 되게 복잡해보이는데요, 이 차트로부터 얻을수 있는 투자 인사이트를 정리해볼게요
- 코인시장은 지난 2년 동안, 약간의 눌림 이후에 폭발적인 랠리로 인해 기존 시총 기록을 경신하였음
- 동일한 기간에 글로벌 유동성은 증감을 반복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증가했다고 볼수 있음
- 그 와중에 테더 시총은
'프랙탈' 분석 하는 방법 (feat. 워뇨띠 분석법)반갑습니다. 베이지컬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랙탈 분석을 하는 방법' 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종종 사람들이 '프랙탈 프랙탈~' 하며 이야기 하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그 '프랙탈' 이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고 싶습니다.
이 글에 나오는 분석 자체는 이전에 한 적이 있는 분석인데요.
이 글에서는 차트 분석보다는 '프랙탈 분석을 어떻게 하는 것인지' 를 중점적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워뇨띠' 도 본인 스스로 '닮은꼴 분석' 을 한다고 말한 바 있죠.
그 닮은꼴 분석
모든 아이디어 보기
지표가 시사하는 바를 요약합니다.
오실레이터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오실레이터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요약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요약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요약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무빙 애버리지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무빙 애버리지
뉴트럴
셀바이
스트롱 셀스트롱 바이
스트롱 셀셀뉴트럴바이스트롱 바이
지난 몇 년간 심볼의 가격 변동을 표시하여 반복되는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