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타는 최소 기존 저점을 테스트해야하며, 기존 저점을 깨거나 기존 저점에서 횡보를 할 때 매수하기 아주 좋은 코인입니다.
BITFINEX:IOTUSD 총 3번의 RSI의 상승다이버전스 형성으로 인한 추세선을 돌파하는 강한 상승과 총 2번의 RSI의 상승다이버전스 형성으로 인한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한 강한 상승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갈 팩트는 일봉상 상승 다이버전스 형성시 물론 연장되더라도 큰 폭의 상승을 기대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 BTC 의 하락장학형 캔들 발생으로 하락추세가 이어진다면 또 다시 일봉상 다이버전스 형성의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봅니다. 2번의 추세선 돌파 실패가 있었기...
1. 일봉상 Descending Triangle 패턴이 밑변의 하방 이탈로 완성되었고, 이는 매도 전략의 근거가 됩니다. 2. 단기적으로는 0.5297달러라는 피보나치 되돌림상 0.786 자리를 타겟으로 잡고 매도 전략을 취할 수 있겠습니다. 3. 알트코인의 하락은 기본적으로 비트코인의 하락이 전제되는 바, 이의 근거는 와 같습니다.
※ 비트의 변동성이 박스권(혹은 삼각수렴) 형태에서 움직이는 가운데. 박스권 후방으로 갈수록 알트들의 변동성이 증폭되고있습니다. ※ 비트의 움직임을 주시해야겠지만. 알트들의 변동성을 이용한 매매를 하고자. 차트를 분석해봤습니다! ※ 차트는 항상 가변적이고 변동성이 큽니다.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일뿐 후행성 지표로 이를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차트의 흐름.방향예측을 확률적으로 접근하고자 분석했습니다. ◆ IOTA라는 코인을 분석해봤습니다. 차트뷰 - 12시간봉 ◆ 주봉/일봉 분석 - 2017년8월 #피보나치채널 1(0.1427) # 을 달성하고 2017년 11월 까지 일봉상의 삼각수렴 형태를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AK입니다. 아이오타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캔들차트. 일봉으로 본 아이오타의 상황은 다른 알트 코인들과 비슷하게 하이먼 민스키 모델을 고대로 박아놓은듯한 그림을 그려주고 있습니다. 3월16일을 기점으로 도지형 캔들을 그리면서 추세전환적 그림을 그려주었습니다. 4월 2일도 마찬가지로 도지형 캔들로 추세 전환적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추세적관점. 다만 아이오타같은 경우는 상승 추세선을 다 무시하였고 남아 있는 추세선이라 함은 하락추세선입니다. 3월 16일 추세전환후 하락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내려오게 되어 다시 4월 2일 추세전환적 그림을 통해 한번더 하락추세를 상승 이탈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내가 처음산 코인 지금도 모르지만 더 모를때 그저 좋다는 말에 샀다가 된통물려서 1/4토막나서 존버중 ㅠㅠㅠ 오랜 하락추세선을 드디어 이탈(쬐금)했으니 3.22577까지 반등을 기대해본다. 그래도 마이너스 ㅠㅠ
아이오타는 평행채널을 상향 돌파 한후 수렴횡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돌파된 채널이 지지선이 되었고, 상승 추세선이 곧 닿게 됩니다. 이에따라 상승 추세가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추가적인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깊은 조정과 악재로 상승 추세를 벗어난 이후, 낮은 범위의 수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속적인 볼륨 감소로 사람들 기억속에서 잊혀지면서, 곧 더 많은 조정이 예상됩니다. 주 지지선은 2.5~3달러에 있습니다.
기존의 A-B 에서의 0.782 되돌림자리, 약 0.89를 우선 뚫고나왔다고 판단하여 목표치를 설정해봤습니다. 만약 일봉상 종가 마감이 0.89이하에서 된다면, 단기간 하방으로 전환가능성을 줄 수 있을듯합니다.
장기간 하향추세에 있던 IOTA가 피치포크 상단을 돌파하였습니다. 지지선은 0.42~0.43 구간에 강하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0.485까지 상승 후 조정이 예상됩니다. 0.485를 강하게 상향돌파할 경우 0.55~0.56까지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BITFINEX:IOTUSD 가 하락쐐기를 그리고 있으며, 과매도에 따른 반등이 24시간 이내에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Entry : 0.45 부근 S/L : 0.4(Loss 11.1%) 매물대에 따른 TP 설정 TP1 : 0.535(Profit 18.9%) TP2 : 0.65(Profit 38.5%) Period : 7 days
IOTA 가 엘리어트 1파로 시작했다고 가정한다면, 2파에 의한 도돌림 범위를 감안하여, 매도 후 재 매수를 고려해 볼 수 있지 않을 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