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랙 #이더리움 #바이낸스 #4시간봉 - 강한 상승세가 출현중인 이더리움 입니다. - 현재 강한 상승세가 진행중인 모습이지만 장기저항인 '3377.89' 가까이 도달한 모습입니다. - '3377.89' 저항은 21년도 8월~10월중 만들어준 변곡선으로, 이후 긴 하락추세 진행중 강한 저항을 보여준 라인 이므로 이번 상승에도 중요하게 봐야할 라인으로 보여집니다. - '3377.89'와 더불어 중기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이 위치한 '3424.66'의 저항까지 더불어, '3378-3424'저항을 돌파하기 이전까지는 하락추세로의 변곡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3378-3424' 저항을 돌파해 준다면 붉은색 파선으로 확인되는...
3월 넷째주 비트코인 차트분석 시작하겠습니다. ※파동의 크기는 Ⅰ > 1 > (1) > ①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BTC보다 조금더 명확한) ETH 차트를 통해 단기적인 조정이 나올것 같은데... 나오지 않고 있는 BTC의 차트를 함께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중장기파동 : (BTC/ETH) Ⅳ - D - (C)파동이 진행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삼각수렴의 윗변을 향해서 잘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기파동 : ETH 차트를 통해 BTC 차트의 경우의수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번) : 조정없이 추가적인...
※파동의 크기는 Ⅰ > 1 > (1) > ①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BTC차트 : 현시점 하락에 대한 관점은 참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상승에 대한 카운팅을 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①확장플랫 ②다이아고날 등등 ... 다만 현재의 움직임을 보았을때 추가적인 상승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BTC와 동일한 카운팅을 해가고 있지만 보다 명확한 그림을 보여주는 ETH 차트를 통해 현 시점의 추가적인 상승카운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ETH차트 : BTC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시간봉에서 하락다이버젼스가 나와있지만, 제가 보는 기준으로는 유일하게 현실적인 추가적인...
1. 첫번째 거래 2. 두번째 거래 그렇다면 어떻게 거래한 것이 가장 좋았을까?? 1. 첫번째 거래때 2. 두번째 거래때 이번 거래를 하며 느낀점: 확실히 단타 거래 일수록 반익절 + 반본절 전략을 잘 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확실히 단타로 갈수록 ABC 파동이 나올 경우 파동의 끝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첫번째 거래때 마지막에 불규칙 조정으로 내려가는게 뻔히 보였는데 그점을 트레이딩 하면서 못봤던 것을 보아 좀 더 잘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TH을 통한 거래는 본절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ABCDE에서 E 구간이나 기다리려고 합니다, 그게 몸과 마음과 정신에도 좋은 것...
BINANCE:ETHUSDT 과매수 해소/ 저항 돌파 실패 가정 하 숏포지션 진입
ETH(이더리움) 같은 코인 같은 경우는 엘리엇 파동 이론으로 세부카운팅을 하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그런데 이더리움 같이 엘리엇 파동 카운팅을 하기 힘든 경우 일반적으로 추세를 만들어 one way로 파동이 흘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엘리엇 파동으로 거래를 하기 보다는 추세로 거래를 하는 것이 상당히 좋습니다 그렇다면 추세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을 알아야 할까요?? 1. 일반적으로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으로 갈 확률이 큽니다 = 반대 방향으로 가려는 힘이 강하다 우상향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뚫릴 가능성이 크고 ( 가능성이 큰 것이지 무조건이 아닙니다 ) 우하향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뚫릴 가능성이 큽니다 ...
상당히 정석적인 흐름의 수렴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바닥권에서 더블바텀이 이루어진것으로 판단하고있다. 하모닉패턴을 사용해 최소 목표가를 3950~4000 구간으로 설정했으며 피보나치 886 부근인 4420불 구간이 수렴패턴 목표가와도 겹치는 부분이다. 1차 TP 3900~4000 2차 TP 4420~4450 다들 해피주말 보내시라
수렴 끝단에 위치한 상태이기에 방향이 한 번 나오는 순간 그 방향으로 원웨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이 드는 상황. 과연 세력의 전쟁은 어디로 끝낼지..?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이더리움 장기 분석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지금 현재 사이퍼 패턴의 X와 D점을 연결한 상승 추세선과 위에서 내려온 하락추세선의 교차점 부근은 지지하고 한번 더 retest를 거쳐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Test지점을 C 지점으로 잡고 하모닉 패턴을 그려보았을 때 C point의 저점을 유지하고 한번 더 테스트 하고 지지받고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이 저점을 지킨다면 더 올라갈 것 같습니다. 이탈한 장기 상승 추세선위로 다시 올라가 나비 패턴의 PRZ가 보입니다. 거기서 리테스트 하고 다시 올라간다면 박쥐 패턴 더 나아가서는 알트 박쥐 패턴의 완성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박쥐 패턴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