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1 ETH LONG (feat. Bull Flag Pattern)비트와 같이 이더도 상승 패턴을 이루어낸 것으로 보이고, 강세플래그로 보입니다. 바쁘셔서 차트를 못 보신 분들을 위해 눈에 보이는 차트 패턴을 공유드려보았습니다.롱Korea_Ant_ooo의225
[2025.02.10][ETH] 좋은 기회로 보이는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비트는 가는데 이더는 대체 언제가냐, 쓰레기코인이다, 망했다 등등 많은 이야기들이 들리는 종목입니다. 알트들의 대장이었던 이더리움이 대체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슬프네요ㅠㅠ;;; 저는 아직 이더리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해당차트는 주봉차트입니다. 2019년도 그리고 2020년도에 고점을 찍어주었던 추세를 위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를 해보면 이런 그림이 나옵니다. 차트분석 뭐 어려울게 있나요. 보이는데로 해석하고 거기에 맞춰서 플랜을 세우면 됩니다. 나름 의미가 있는 추세선이기 때문에 반응 또한 확실히 나올 추체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2년도부터 저점을 조금씩 올려주면서 어센딩트라이앵글 패턴으로 차르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관세이슈로 인해 급락이 나오며 걱정을 많이 했지만 꼬리를 말고 올려주면서 여전히 유효한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에 대해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력의 의도가 무엇일지 알 수는 없지만 이전 불장때도 그랬습니다. 공포를 주고 밑도 끝도 없이 올렸죠. 올라탈 기회를 제대로 주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지금 가격대가 저는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 손익구간이 매우 짧기 때문입니다. 주봉상 그어놓은 1,2,3번 추세선을 기준으로 초록색선 이탈시에는 1번 추세선에서 진입을 노려볼 수 있으며, 1번 추세 이탈시에는 2번, 그다음은 3번 순서대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초록색선 이탈시에는 단기적으로 매도포지션을 집중적으로 잡아보면 되겠죠. 주봉상 체크해놓은 것이기 때문에 날봉이나 1시간, 4시간봉으로 보았을땐 굉장히 큰 폭일 겁니다. 날봉차트입니다. 1:1비율로 하락은 다 나왔다고 보여집니다. 다시 한번 저점을 깨는 경우에는 위에 체크했던 1,2,3번 추세선에 대한 반응을 봐야하겠지만 현구간부터 반등이 나온다면 초록색 박스권구간까지에 대한 리테스트를 하러 올릴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겠네요. 따라서 단기적인 목표가는 3K 정도로 잡아볼만하다 판단됩니다. 현재 주봉, 날봉기준으로 큰흐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드렸으니, 단기적인 흐름을 체크하기 위해서 1시간봉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큰 하락채널 안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그 안에서 단기상승채널을 만들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큰 하락채널 안에서 지지를 받으며 내리다 상승채널을 만들기 시작한 시점에서 미들라인과 겹치는 변곡 구간 반등 그리고 상승채널 하단과 큰 하락채널 하단의 변곡 구간에서 반등이 나와주었고 현재는 미들라인에 대한 돌파를 시도중입니다. 미들라인에 대한 돌파지지가 마무리가 된다면 단기적을 저항구간에 대한 돌파시도를 한번 더 하러 올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해당구간을 돌파/지지 한다면 큰 하락채널 상단까지의 상승을 단기적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후 움직임은 채널상단에 대한 돌파 지지를 받냐 못받냐가 관건이 되겠죠. 반대로 하락관점으로 체크를 해보자면 미들라인 돌파에 실패한다면 높은 확률로 단기 상승채널 하단까지 내릴 가능성이 높으며, 단기상승채널이 뚫릴 경우 큰 하락채널 하단까지에 대한 하락은 무조건적으로 나온다고 생각하고 있어야 합니다. 채널 하단이 뚫릴 경우에는 큰 하락이 나올 수 있으니 매수포지션을 잡고 계시는 분들은 이점 유의하셔서 손절을 하시던지 적절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복잡하게 분석을 할 필요가 없는 구간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역시나 손익구간 좋다고 생각하고 중간에 트랩만 나오지 않는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자리이며 천천히 분할매수로 모아볼만하다 생각합니다. 본격적인 상승흐름은 큰 하락채널에 대한 상단돌파시 나올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물론 실시간 변하는 차트에 대한 분석은 필요하겠지만 현재 보여지는 관점은 매수포지션에 대해 매력적이다가 맞는것 같습니다. 롱EZ_TRADING_GROUP의4462
2706.15-2879.9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2706.15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513.01-2706.15 부근에서 지지 받고 MS-Signal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D 차트) 그러므로, 2316.10-2513.01 부근에서 지지 받고 2706.15-2879.9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가간은 BTC 의 변동성 기간과 같은 2월 16일경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readCrypto의업데이트됨 13
[ETH] 이더리움 또 프렉탈 발견.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이더리움은 프렉탈이 참 자주 나오는 코인인데요 꽤 괜찮은 프렉탈을 발견하여 공유합니다. 24/03/10 ~ 24/07/05 진행된 형태가 24/03/10~2025/02/03 진행된 형태와 매우 유사한 움직임을 포착했으며 이를 토대로 파란색 반등구간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매수관점 분석입니다. 다른 상승 근거들은 이전 이더리움 분석 글을 참고해주세요 롱turtlecoinR의5
2025년 2월 8일 ETH 전망안녕하세요, 뚜버지입니다. 이더리움은 차트상 크게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는 위, 아래 두 개의 큰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하단 박스는 약 210 ~ 290이며 상단 박스는 290 ~ 410 정도입니다. 둘째는 상승 이후 하락 시 추세선 저항대에 저항을 맞으며 하락하다가 추세선 상단을 돌파하여 지지 받으면 상단 박스의 고가권까지 상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현 상황에서는 하단 박스권 저가의 지지 여부와 더불어 내려오는 C 추세선을 언제 강하게 돌파하느냐이며 추세선 돌파 이후 상단 박스권 하단 290선을 강하게 돌파한다면 새로운 시세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보입니다. C 추세선 돌파와 박스 상단 돌파전까지는 추세와의 이격을 이용한 단기 롱숏 전략도 유효해 보입니다. 항상 성공 투자하는 투자자가 되시기를 ~~~tutuuniverse의12
Eth 스윙 롱포지션채널 하단 지지를 성공한 것으로 보고 롱포지션 진입하였습니다. 오늘 장 저가를 스탑로스잡고 진입해봅니다 1.618 부근까지를 장기 목표로 들고가려합니다!롱bypp의115
1M 차트의 M-Signal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제목) 1M 차트의 M-Signal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현물 거래시 거래 전략의 예)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MS-Signal(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879.90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2316.10-2513.01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거래하기 위해서는 최소 5EMA+StErr 지표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즉, 2879.9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현재 위치로 보면, 3136.41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3265.0-3321.30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되므로 이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선정하였다면, 그 지점 부근에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거래 전략을 만들기에 적합한 지표는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입니다. 현재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 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박스 상단 지점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은 2125.01-2921.0 입니다. 이에 따라서, 2879.90 부근에 중요한 지점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나 3265.0-3321.30 구간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현물 거래는 하락할 때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장입니다. 다만, 투자 기간이 단기 이하일 때는 수익 중일 때 수익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딱히 거래 전략을 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단기 이상의 투자 기간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금액 중 일부를 매도하고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도한 금액만큼 다시 매수하여 보유 수량을 늘리는 거래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수한 다음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일부를 매도하고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다만, 상승세에 있을 때는 다시 매수하기 전에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물 거래시에는 하락할 때가 거래 전략을 만드는 중요한 시기에 해당되고, 상당히 바쁘게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렇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금액을 모두 매도하게 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만 남기 때문에 그때부터는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순수 코인(토큰)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것이 현물 거래로 장기 투자에 좋은 거래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 총 투자금의 약 20% 정도는 항상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번과 같은 큰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현금이 없다면, 반드시 일정 부분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해 두어야 합니다. 현물 거래시 손실 중이더라도 위의 방법대로, 즉, 매도 후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유 수량을 늘려간다면 보다 빠르게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저의 차트에서 추세 지표인 MS-Signal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중요합니다.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관찰이 필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readCrypto의업데이트됨 19
고래지표 - 이더리움 (조심하세요)⚠️이더리움... 조심하세요 ETHUSDT - 1D 현재 이더리움 일봉 차트를 보면, 하락 채널을 상방 돌파하는 듯했으나 결국 다시 채널 내부로 회귀한 모습입니다. 트랩 패턴이 발생하며 하락하는 흐름이고,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보라색 고래 지표입니다. 고래 지표를 기준으로 보면, 최근 급락 당시 밑꼬리를 만들며 지지받는 듯했지만, 결국 전일 음봉으로 몸통 이탈 마감되었습니다. 조금은 기술적으로 불리한 구간에 들어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현물은 분할 매수 중이지만, 선물은 지표 회복 전까지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합니다. 👉 이더리움 상방 관점을 위해서는 고래 지표 회복이 빠르게 나와주어야 하겠습니다.Whale_signal의업데이트됨 6
이더리움 현물 매수 관점이더리움 1일봉 차트입니다. 차트 중앙 흰선은 2021년 2월 부터 이어져온 장기 S/R Flip 입니다. (S/R Flip = 지지/저항이 바뀌는 구간) 무려 10회를 사용한 신뢰도가 높은 선이며, 그만큼 중요한데 오늘 급락에 지지를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중요한 만큼 이곳이 무너진다면 차트에 표시해둔 1,520~1,700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줘야 합니다... 다행히 지켜주고 반등에 성공 한다면 2,620~2,940까지는 상승해 줄것으로 보고, 의미있는 저항이 나올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어느정도 물량 정리가 필요해 보이며, 뚫어준다면 물량을 재차 늘려도 될 것으로 봅니다.롱Korea_Ant_ooo의1
[2025.02.03][ETH] 예....살벌합니다... 인정 그래도 시나리오는 만듭시다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관세 부과 발표한 것으로 인해 가상화폐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해당 차트는 주봉차트인데 큰 그림은 여전히 삼각수렴진행중입니다. 주요지지구간 아래로 강하게 뚫리고 밑꼬리를 달고 다시 회복을 현재는 해주고 있습니다만, 이번 숏빔으로 인해 시장의 분위기가 많이 얼어붙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 또한 세력들이 원하는 그림을 만드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22년부터 저항을 받았던 주황색 추세에 대해서는 23년 말에 돌파를 해주고 24년도부터는 계속해서 지지가 나와주었습니다. 현재도 날봉상으로는 아래로 뚫리고 올라온 그림이지만, 주봉상으로는 밑꼬리를 달고 올렸기 때문에 현 구간 가격대만 지켜준다면 매수관점으로 보셔도 나쁘지 않겠습니다. 만일 아래로 다시 뚫릴 경우에는 1.5K 그리고 1K 까지 열려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저는 하지만 공격적으로 롱을 한번 받아보고 싶긴 한 자리 입니다. 추천하는 가격대는 2200~2250이며, 손절가는 2100정도로 잡아놔도 될 듯 합니다. 참 이더도 어렵다고 생각하는게 내리기 전 날봉차트를 보면 하락쐐기형패턴으로 차트를 만들었고 중간에 트랩으로 뚫어주는척 꼬리달고 내려와 그 시점부터 하락이 진행 됐습니다. 첫 파동의 크기만큼 위든 아래든 목표설정값으로 잡는데 생각한것보다 더 많이 하락이 나왔네요. 롱 청산 물량이 어마무시할 듯 합니다. 이전 관점에서 롱 관점은 빨간색 박스권을 지켜주는 조건이었는데 허무하게 해당구간을 뚫고 내렸습니다. 그래도 마지노선은 잡아놨기 때문에 제 관점을 보고 매매하신분들이라면, 큰 피해는 없으셨을거라 생각하겠습니다 ! 주봉차트에서 살펴봤듯이 전체적인 큰 흐름은 아직 삼각수렴 형태로 진행중이고, 장기상승추세선에 다시 캔들이 올라탄다면 그때부턴 다시 내림 롱으로 매수포지션을 잡으시면 되고 장기상승추세선을 올라타지 못하고 리테스트시에 돌파하지 못하고 저항이 나온다면 1.5K / 1K 까지는 열어두고 올림숏 대응을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추가적인 사항은 차트변동성에 따라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 롱EZ_TRADING_GROUP의2258
이더리움의 주봉상 20ma가 이탈마감 한다면큰그림의 삼각 트렌드의 하단에 월봉의 20ma가 있어서 그 구간을 지지 가능 구간으로 생각 중입니다. 시장이 참 어렵게 움직이네요 어느정도 흔들고 좋은 장 만들어주길..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WWWAVEEE의1
이더리움 Double three 아이디어 업데이트안녕하세요 이더리움의 카운팅상 Flat X Triangle Double three 삼각형의 e 웨이브가 나오지 않았나 생각중입니다. 상단 트렌드를 돌파후 강한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해당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구간은 삼각트렌드의 하단이 이탈되었을 경우 입니다. 삼각트렌드의 하단 이탈 = 주봉상 20ma 이탈 이므로 주의 해야 될 것 같고 상승장은 항상 공포를 머금고 찾아오니 기준점이 있다면 손익비가 짧으니 도전해봐야되는 자리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항상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UPBIT:ETHKRW UPBIT:BTCKRW 롱WWWAVEEE의0
이더리움 비수기 예상시나리오이더리움이 가속화 채널로 들어서는 것을 실패하면서 저항을 맞고 다시 정상 횡보채널로 회귀하게 된다면, 정상 횡보채널의 하단을 한번 터치하러 갈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가격은 한 700불~1000불 정도로 대충 예상중이고, 그쯤이 된다면 가격이 싸든 안싸든 지지가 깨지면 밑으로의 지지가 없기에 선택이 어려운 지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숏MARUKO99의0
이더리움 매수심리 발생구간에 근접한 상태와 곡선 지지,저항선 분석안녕하세용 이번 분석에서는 다음 하락 시 큰 반등을 보여 줄 수 있는 매수 라인 2603 $ - 지지선을 보여드리는 차트 입니다. 현자리에서 바로 상승할 수 도 있지만 2603 $ 자리까지 내려 올 경우 어떻게 진행 될지 예상 안 입니다. 그 외 하락 가능한 시나리오로 2603 $ 선을 이탈하며 반등 할 경우 반등하더라도 3000 $ 를 넘지 못하며 2300 $ 까지 하락할 가능 성이 높습니다. 정리하자면 2603 $ 지지 또는 이상의 가격대에서 상승 시 상승 전환 전망, (적극매수) 2603 $ 이탈하며 반등 시 추가 하락 가능성 높음 감사합니다.CherryCoke의3
[2025.01.20] 꿀주먹/이더리움 현물/50% 스윙 매매전략/목표 타겟 5k안녕하세요, 꿀주먹입니다. 1. 박스권 횡보 1) 이더리움은 일봉관점에서 크게 보면, 박스권으로 오랜 기간 횡보하고 있습니다. 2) 4.1k 통곡의 벽 (1) 24년도 초에 상승장에서 2번의 큰 저항을 맞았습니다. (2) 24년도 말에 상승장에서 2번의 큰 저항을 맞았고, 총 4번의 두드림 끝에, 이번 불장 싸이클에서 마침내 돌파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3) 3k~3.1k 현물 큰 비중으로 매수 (1) 박스권 하방을 이탈한 후 재진입 중인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현재 솔라나가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더리움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 알트코인 장세가 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그 전에 이더리움 흡성대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비트코인 차트 참고 2. 상승채널 1) 이번에 눌림목에서 형성된 2.9k 의 저점을 지켜준다면, 상승채널 작도가 가능해 보입니다. 2) 상승채널의 내부의 작은 하락채널은 폴링 웻지 또는 불 플래그 패턴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 추천 3. 패턴 값 분석 1) 이를 기준으로 추세 기반 피보나치를 작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상승채널 상단과 패턴 값이 중첩되는 4.8~5k 타겟가로 보고 있습니다. 3) 온체인 데이터와 기타 차트에서 다양한 근거가 포착되었지만, 복잡한 설명 대신 직관적인 작도로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어제 관점을 먼저 제시해드렸는데, 글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보며 작업을 못하니 작업하기가 불편하네요. 목표가에 도달하면 다시 글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롱Honey-punch의업데이트됨 4410
이더리움 롱 포지션 전략 이더리움이 만약 수렴 구간 트랩이 아니라면 크게 롱으로 먹을 수 있는 구간인 것 같습니다. 최근 메이저 두개가 이러한 형식으로 돌파하여 많이 먹은 기억이 나 이더리움도 기대중입니다. 1. 지난 1월 11일 리플의 수렴 돌파 2. 지난 1월 17일 솔라나의 수렴 돌파 1. 진입: 3300 2. 목표(1) : 3428 목표(2) : 3750 목표(3) : 4099 3. 손절: 3230 *승률이 100%는 아니기 때문에 매매 시 참고만 해주세요.롱bnm6313의10
이더리움 주봉상 컵앤핸들 가능성 안녕하세요 직전의 아이디어인 이더리움 Double Three (Flat x Triangle)과 더불어 주봉상 20MA를 지지하며 큰 컵앤핸들의 작은 컵을 역헤드엔숄더로 만들고 있는 듯한 모습이 보여 공유 드립니다. 넥라인 돌파시 강한 상승이 오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항상 성투 하시길 바랍니다. BINANCE:ETHUSDT 롱WWWAVEEE의3
the circle is perfect (ethusdt.p 롱포지션)the circle is perfect 이더리움 4시간 차트 진입가 : 2680 목표가 : 1차 : 3030 2차 : 3730 3차 : 4110 근거는 차트에 적어둠롱turtle-man의0
이더리움 심플한 추세선 전략안녕하세요 이더리움 단순한 추세선 전략입니다 (단기) 1. 빨간색 라인 돌파 entry / 또는 돌파-지지 확인 후 entry 2. 파란색 라인 돌파 entry / 또는 돌파-지지 확인 후 entry 3. 보라색 라인 돌파 entry / 또는 돌파-지지 확인 후 entry 또는 파란색 라인 맞고 적당한 조정이 나올 때 롱포지션 잡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해당 라인에서 entry short도 가능하겠네요 이더 바낸 저는 $2900 정도 내려오면 ethu로 받아볼까 고민하고 있긴 합니다 물론 가상화폐 거래소가 세금 없어서 매리트있기는 한데요 주식을 주력으로 하고 계시는 분들은 이쪽이 더 나을 수도 있겠습니다 ethu h&s 완성하면 비슷한 자리 도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eth.d 이더 도미/사토시가 크게 망가졌다는 생각이라서- 이더리움 매수 포지션 잡더라도 중단기로 운영하고 잔여 수량 홀드하는 정도로 준비 중입니다 이더 도미/사토시가 크게 올라간다면 그 때부터 불타기 하더라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ethu 기준 invalidation - $4.00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fantasticair의5
이더리움 Double three 조정파 후 상승 가능성안녕하세요 이더리움이 주봉상 20ma를 지지하며 조정파동 종류중 하나인 Double three 조정파를 만들고 있는 가능성입니다. 상단 트렌드를 돌파하며 강한 롱이 나오길 바라고 있습니다. 다만 주봉상 20ma를 이탈하는 흐름이 나온다면 다소 깊은 하락 가능성을 생각중입니다. 항상 성투하시길 바랍니다.롱WWWAVEEE의16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 중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의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26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BTC의 변동성 기간이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1월 26일까지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TH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빠르게 3265.0-3321.30 부근이나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3136.41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이번 변동성 기간에 3136.41-3321.30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3136.41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다시 3265.0-3321.30 구간으로 상승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락세가 진행되면서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1월 26일이나 1월 31일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다시 발산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readCrypto의업데이트됨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