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분석 (eat.횡보장 대응방법)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코인차트는 주말마다 횡보를 하는 경향이 잇습니다. 이번 주말도 어김없이 횡보하였고 지루한 횡보가 월요일까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횡보장에 대처하는 매매전략을 크게 두 가지 알아보고, 이더리움 관점 브리핑 드리겠습니다 !
먼저 횡보장에 대처하는 첫번째 전략은 박스권을 포착해서 스캘핑 을 하는 방법입니다.
빨간색 체크표시처럼 꼬리가 길게 달리는 부근을 채크하여 롱포지션의 손절라인을 확보하고, 급반등 이후 저항받는 부근을 체크하여 숏포지션의 손절라인을 잡아 본인의 주 매매전략(엘리어트파동, 하모닉, 일목 등등)과 조합하여 손익비 매매를 하는것입니다.
두번째는 거래량이 터지는 방향을 확인 하고 수렴 폭만큼 하락했을 때 여러 근거들을 수집 하여 역추세 진입을 노려보는 전략이 있습니다. 아래 제가 기다리고 있는 자리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지금 만약 거래량을 동반하며 하방으로 이탈하여
1525부근이 온다면
------------------
1. 거시적 4파(빨간색4파) 부근
2. 거시적 상승 임펄스의 382되돌림 부근
3. 매물대(빨간색 박스)
4. 주황색 채널의 하단
5. 주황색 ABC의 피보나치 1대1부근
6. 카운팅상 5파로 카운팅되는 부분(노란색)
7. 노란색 소파동의 3파와 5파간 상승다이버전스(1시간봉상)
8. 수렴의 폭만큼 하락
------------------
등의 근거로 롱을 진입할 것 같습니다.
이렇듯 시나리오를 짜고 미리 근거를 수집하여 확신에 찬 포지션을 잡으려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
부스트와 팔로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THUSDT.5S 트레이딩 아이디어
ETH 가 상승하려면? (feat. 이더리움4시간봉 카운팅 시나리오)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오늘은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이 2-4추세선을 돌파했기때문에 중단기적 카운팅 시나리오를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이더리움 차트가 더 쉽고 단순하게 흘러간다고 생각하기때문에 이더리움 기준으로 카운팅 해보겠습니다.
이더리움은 현재 5파가 완성된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차트를 보시면 이번 하락으로 인해 빨간색 2-4추세선을 이탈하였습니다.
때문에 이번 1076달러부터 상승에 대한 되돌림이 나올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하락 이후 빨간색 매물대를 표시한 부분을 괜찮은 매수자리로 보고있으며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통 충격파동에 대한 조정은 4파 부근까지 되돌리는 경향이 있다.
2. 1076달러부터의 상승에 대한 382되돌림 부근(빨간색 피보나치)
3. 고점부터 ABC하락의 A:C 1:1 혹은 1:1.382부근(주황색 피보나치)
만약 이 구간을 무시하는 하락이 나온다면 상승은 임펄스 상승이 아닌것으로 보고 이 연장플랫에 무게가 실리면서 아래처럼 삼각수렴을 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오늘의 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
팔로워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ETHUSDTPERP] 20230220 트렌드 분석Weekly
- 21년 11월부터 22년 7월까지 이어진 하락추세 이후 시작된 박스권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상황
- 현재 1680 부근의 저항선을 3번째 돌파시도 중
- 약 22년 8월에 있었던 첫번째 돌파 시도에서는 120선에 저항당함
Daily
- 현재 매물대 구간이 직전 매물대에 비해 많이 높아진 상황 -> 하락보다는 상승의 가능성
- 3일전 쯤 5일/20일 골든 크로스 발생
- 2월 18일 음봉 도지, 거래량이 17일에 비해 확연히 줄어듬 -> 하방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판단 됨
- 조금 우려되는 포인트는 RSI 하락 다이버전스
4H
- 최근 거래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을 봐서는 상방의 힘이 다소 약해짐
- 5일/20일 지지선은 아직 지켜지고 있는 상황
- 변동성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
결론
- 잘 모르겠음, 다만 저항선을 돌파하면 큰 상승이 있을 것으로 보임
기타 아이디어
- Weekly에서 페넌트를 형성 중이라고 함, 완성되면 breakout의 가능성이 높음
이더리움(ETH) 23년 2월 17일 : 매매 복기1693 진입, 로스컷 1720
아쉽게 로스컷이 나면서 약간의 손실을 보았고,
캔들은 주루룩 주루룩 내려가고 있습니다. (뭐 사실 아직 그렇게 내린 것도 아닙니다만ㅎㅎㅎㅎ)
울어야 할까요?
뭐 이런 일이 처음이라면 짜증나겠지만, 이제는 이런 실패에 익숙해서 덤덤합니다.
조금 잃은 것에 감사할 뿐이죠.
선물은 9번 실패하고 1번 성공해서 돈을 버는 시장 아닙니까ㅎㅎㅎ
./
하락으로 봤던 근거는 다음 3가지 입니다.
1) 달러인덱스가 오르는 추세였고, 어제 10시까지만 해도 나스닥이 조금씩 흐르고 있었죠.
하지만 이건 매매에 참고할만한 사항 정도인 것 같습니다.
2) 비트코인에서 더이상 미체결약정 물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선물 누적거래량델타(cvd) 값이 현물을 초월한 상태에서는 미체결약정 물량이 중요한데요.
어제와 같은 경우, 두 번의 숏 스퀴징으로 미체결약정 물량이 많이 해소가 됐었고
추세상 추가 상승 여력은 있더라도 전과 같은 단기 급등이 나오는 건 굉장히 힘듭니다.
3) 그래서 결과적으로 전고점은 뚫기 힘들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물론 틀렸지만..ㅠㅠ)
이제 슬슬 롱 자리를 보고 싶은데 내일이 주말이네요.
그리고 아직 이번 하락이 어디까지일지, 다시 반등할지 감이 안잡히는 것도 문제네요.
그래서 오늘은 가급적 매매는 자제할 생각입니다:)
./
출근길에 들었던 생각들을 차분히 정리해 봅니다.
저는 원래 거시경제에 관한 글을 주로 썼는데요. 지난 12월 이후로 별 쓸모 없다고 여겨져서 안썼습니다ㅎㅎ
하지만, 최근 '노-랜딩'부터 실업률에 관한 새로운 해석들이 나오는 걸 보니, 짧게 나마 하나 써볼까 싶네요.
차근차근 자료를 한번 모아보고 유의미한 내용이 있으면 정말 쓸게요ㅋㅋ
그나저나 최근 일본은행 신임 총재가 우여곡절 끝에 선임이 되긴 하였으나,
그간 언론에서 거론되던 인물들이 모두 고사하고 뜻밖의 인물이 등장한 것에 대해서 한번쯤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현재 일본에서 가장 큰 이슈는 '채권저금리정책(YCC)의 마침표를 어떻게 찍느냐' 아니겠습니까?
하지만 총재 인선을 둘러싸고 (별 잡음은 없없지만) 혼선을 겪었다는 것은
'그만큼 그 일이 어려울 것'이라는 모두의 예상에 대한 방증이 아닐까 싶네요.
현재 일본의 금리정책은 올해 매크로 이슈에서 빼놓지 않고 챙겨봐야 할 뉴스일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기축통화 중 하나인 엔화는 달러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입니다.
절대로 일본 혼자서 풀 수 없는 문제이며, 미국의 공조가 필수적입니다.
작년은 꾸준히 하락하는 분위기였다면, 올해는 공포가 엄습한 가운데 전반적인 시장의 예측과 어긋나는 일들이 굉장히 많이 벌어질 것 같아요.
이런 경우 호재/악재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 보다는 모든 것을 통화지표와 연결지어서 생각해 보는 게 자산을 지키는 현명한 습관이 될 것 같아요.
뜬금없지만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에서나 화폐적 현상이다'라는 프리드먼의 유명한 명제가 떠오르네요ㅋㅋㅋㅋ
모두 안녕!
1W 차트의 HA-High지표을 터치한다는 것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BTC가 크게 상승하면서 ETH 도미넌스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ETH의 상승의 힘을 폭발시키기 위해서는 0.079552 이상 상승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BTC의 상승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승의 힘을 소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BTC가 횡보를 시작할 때, 다시 상승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ETHUSDT 1W 차트)
BTC 아이디어 차트에서 말씀드린 HA-High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하여야 한다는 얘기는 ETH의 차트처럼 나와야 한다고 의미입니다.
이러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상승세를 지속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따라서, BTC차트도 ETH 차트와 비슷한 모습이 반드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ETH 차트에서 다음 주 캔들까지 HA-High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게 된다면, 중장기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만일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이 이루어진다면, 다음으로 봐야 하는 것은 1M 차트에서 MS-Signal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1W 차트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1572.69-1879.61 구간에서 지지받고 상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1879.61 이상 상승하게 되면, 급등하여 2531.05-2871.13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ETHBTC 차트 설명에서 말씀드렸듯이 ETHBTC 차트에서 상승하는 모습을 다시 보이지 않는다면, ETHUSDT 차트에서의 상승세를 지속할 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었을 때, 1M 차트의 M-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ETHUSDT) 파동과 하모닉패턴으로 보는 이더리움 엘리어트 파동과 하모닉 패턴을 이용해 매매하는 소울트리입니다.
이번 분석글의 이더리움은 중간중간 작은 조정은 있겠지만 상승 추세를 계속해서 이어나갈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있습니다.
현 위치를 아직 3파 상승중이라 가정했을 때 deep crab (빨강) 패턴의 prz까지 캔들이 올라왔다가 하락 반전에 성공한다면 3파의 마무리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3파의 상승이 마무리 된다면 기간조정의 형태로 B포인트 부근에서 어느정도 횡보할 가능성이 있고, 횡보를 거치면서 수렴 혹은 채널이 형성된다면 그 채널을 위로 뚫을 때 마지막 5파를 노리고 롱 포지션을 잡을 계획입니다.
(빨간 deepcrab 확대)
B포인트에서 지지에 성공해 상승 추세를 이어나간다면 목표는 샤크패턴의 PRZ까지입니다.
2150달러 부근은 채널의 상단+샤크패턴의 PRZ라는 강력한 저항이 있으며, 만약 캔들이 해당 위치까지 올라온다면 보유중인 코인을 매도하고 숏 포지션 진입 각을 볼 예정입니다.
제일 중요한 부분은 B포인트가 깨지지 않는것이고, B포인트가 깨진다면 매매를 해볼만한 기준이 사라지는거니 관망하는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B포인트를 잘 지켜내 상승추세를 이어나갔으면 좋겠네요.
이더리움(ETH) 23년 2월 16일 : 전고점을 못깼네?최근 상승 흐름에서 비트가 이더보다 훨씬 더 힘이 강했는데요.
매번 비트코인이 전고점을 조금씩 갱신할 때 마다, 사실 이더리움을 그러지 못했어요.
지금도 마찬가지로,
비트코인은 이번 상승에서 전고점 24281을 훌쩍 깨고 올라갔지만,
이더리움은 1717에 아슬하게 못미치는 1715를 찍고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잡고 있던 이더 롱은 급하게 정리하고 대신 비트코인 롱을 잡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물려있는 숏 포지션에서 더이상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니까요.
그 대신 이더 숏을 잡았습니다. 로스컷은 1720으로 잡았고요.
이제 남은 건 기도 뿐이군요ㅎㅎㅎㅎㅎㅎㅎㅎ
ETH(Ethereum/이더리움) 방향, 매매전략안녕하십니까
이해하기 쉽게 심플한 매매 전략을 공유하는 케이입니다.
비트방향을 상방 보기 때문에
이더리움 전략도 가져 왔습니다
1455 이탈시 손절로 가성비 좋은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비트 방향에 대한 매매전략이 있기에
이더리움은 자세한 내용이 따로 없으며
컵핸들 패턴을 만들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다들 성투하시고 제 아이디어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부스터(로켓 버튼) 한번씩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ETH] 아직 꺼지지 않은 상승의 불씨현재 상승의 시작점과 고점까지의 피보나치 되돌림 0.382 구간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지지가 나오고 있음.
형태는 이러한 수렴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수렴의 모양이 하방에 기울어져있는 모양이긴 하나
그간 이더리움은 작년 10월부터 현재까지 하락 후 발생하는 수렴의 방향이
모두 상승으로 터져주었으며 현재 구간을 이탈하게 되면 단기 추세가 완전히 숏으로 기울어갈 것이라 판단
롱을 노려보기에는 나쁘지 않은 구간이 아닐까?
여기서 상방을 다시 시도한다면 상승 추세가 보다 명확히 그려질 것이고 상승의 종착지는 2.1K 부근이 되지 않을까.
현재 이더리움의 위치와 대응 주봉 scale로 먼저 보겠습니다.
이더리움은 지난 2022년 6월 저점의 부근을 지지선으로 반등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은 2021년 11월 고점이후로 생긴 초록색 추세선에 저항을 맞고 조정을 이루고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다른 알트들에 비해 거래량이 살짝 부족해보이기는 하지만,
흰색으로 표시된 장대음봉의 거래량을 2달간의 매집기간을 거쳐 더 적은 거래량의 장대음봉으로 다 잡아 먹어버린 상태입니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때, 반등을 매집기간은 충분히 거쳤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이더리움은 주봉 상 7EMA에 바로 붙어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매수받기에 좋은 자리라고 보입니다. 7ema 하방을 강하게 뚫는다면 손절로 잡습니다.
주봉 상에서 7EMA에서 잘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초록색 지지선을 뚫고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더리움의 개인적 견해-2위 차트 분석으로 저는 지금 큰 하락분의 4파 조정기간이라고 판단합니다.
아직 저점갱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으며
그 근거는 2022년 초에 명확하게 보여지는 일봉상의 베어플래그 모양입니다. 그 곳이 2파 조정기간이라 보고 있으며 이더리움은 2022년 6월 비트코인은 2022년 11월을 기점으로 3파가 끝나고 4파 조정구간에 돌입했다고 보고있습니다.
4파 구간이 2파와 같이 베어플래그 형태로 나올지 임펄스에서 5파직전의 4파 삼각수렴의 형태가 나올지는 이번 상승을 조금 더 지켜보아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 상승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지금 형태로 보았을때
이더리움은 11월 9일을 기점으로 저점이 나왔고(비트는 11월 21일이 저점입니다) 21일에서 2파 조정이 마무리 되었으며 현재 11월 9일부터 시작한 상승 임펄스 파동의 3파 진행중입니다.
또한 21일 2파 마무리 이후 진행된 임펄스 파동의 3-4파가 현재 진행중으로 보여집니다.
앞으로 몇일간의 조정 이후에 상승이 나온다면 추세선이 형성되면서 눈에 익숙한 패턴이 4시간봉 일봉상으로 눈에 띄게 보일 것으로 생각합니다(3-5파 마무리)
또한 그 이후 큰 조정이 있겠지만 고점을 갱신하는 나머지 5파가 있을 것이라고 생합니다
반박시 님말이 다 맞으며 지금 전체 하락임펄스의 4파로 치기에는 조정기간이 너무 길다 라는 의견은
1000일 이상의 임펄스 상승에 비해 지금 하락기간은 반도 되지 않을 정도로 귀엽다고 생각하기에 받지 않겠습니다.
다른 의견은 겸허이 받아들이고 참고하여 발전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피드백 얼마든지 해 주십시오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나기 위해 1777.05 이상 상승해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엄청 복잡하게 보이지만, 핵심은 간단합니다.
1. 0.072484-0.079552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와
2. 0.048765-0.053586 구간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입니다.
-------------------------------------------
--------------------------------------------
(ETHUSDT 1W 차트)
1611.62 부근에서 지지 받고 1M 차트의 M-Signal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
1572.69-1879.6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340.1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777.05 이상 상승하게 되면,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777.0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연장된다면, 2531.05-2871.13 구간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CP┃이더리움 파동분석※파동의 크기는 Ⅰ > 1 > (1) > ①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현시점 제가 보는 기준에서 비트코인보다 조금은 더 명확한 파동을 보여주고 있는 이더리움의 단기 카운팅을 공유코자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이번주가 중요한 한주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가적인 상승으로 가느냐 본격적인 조정의 시작이 되느냐 결정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540이 중요한 Key 값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540 위에서 지지하는 경우
: 예상 반등구간은 $1620-1570 구간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해당구간에서 반등이 나온다면 마지막 상승파동(빨간⑤)이 남아있으며 추가적으로 고점을 두번 더 높일것이라 생각합니다.
■$1,540 지지에 실패하는 경우
: 마지막 빨간⑤의 파동이 조금 짧게 끝나면서 최근에 나왔던 $1,710이 단기적인 고점으로 확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1,400 정도까지의 조정을 생각합니다.
■정리
①현시점 이더리움의 하락을 생각합니다.
②$1620-1570 구간에서의 반등 가능성을 생각합니다.
③해당구간에서 반등이 나오지 못하고 $1,540을 하락돌파 한다면 $1,710이 단기적인 고점으로 확정된다고 생각합니다.
④$1,540을 하락돌파한다면 시간은 걸리겠지만 $1,400 까지의 조정을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