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Q1! 트레이딩 아이디어
22.02.09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대형 매물대 지지 이후 강한 반등!! 어디까지 상승 할 수 있을까??#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14483-14445'의 지지확인을 마친 뒤 '하락추세선(하늘색)'을 돌파하며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고있는 모습입니다.
- '단기매물대(초록색 박스)' 상단인 '14781' 저항에서 주춤하였지만 돌파하며 리테스트 지지 확인 까지 마친 뒤 재차 상승추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 매수세가 강하게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중기 상승추세 피보나치 되돌림(보라색 실선)' 0.236 레벨 저항의 가능성을 무시할수 없으며, 장초반 '14781'의 지지확인을 다시 한번 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상승추세가 계속 진행된다면 2월초 강한 저항이었고 돌파 이후 강한 지지를 보여주며 긴 밑꼬리를 만들어 주었던 '14956-14960'의 저항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강한 매수세가 진행되며 저항을 돌파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15323' 부근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14956-14960' 또는 '14893' 저항을 받은 뒤, 눌림이 출현 하였을때 '14781' 지지가 실패 한다면, 다시한번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를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때 대형 매물대 상단이 위치한 '14483-14445'의 지지여부가 중요합니다.
- '14483-14445'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지난 브리핑과 동일하게 '14161' 또는 '13883-13876' 까지의 단중기적인 하락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2.08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도대체 매물대 확인을 언제까지 할거야??#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향돌파 이후 매물대 범위 만큼의 상승이 출현하였지만 눌림이 출현하며 계속하여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단 지지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계속된 지지 확인중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 의 하향돌파 이후 저항을 받으며 금일 프리장중 횡보추세를 보이던 중 하락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단 지지선 '14535.50'의 지지가 실패하였지만, '상승분 피보나치 되돌림(보라색 실선)' 0.5레벨과 '날봉 지지선(자주색 실선)'이 위치한 '14483-14445'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재차 반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됩니다.
- '14483-14445'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한다면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저항구간은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 하단과 '4시간봉 저항선(노란색 실선)'이 겹치는 '14575-14610'의 저항돌파가 중요하며, 해당 저항을 돌파할 경우 '14781'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4483-14445' 지지가 실패한다면 '14380'/'14300' 지지선이 존재하지만 중요한 지지구간은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강한 저항이었고 돌파 이후 강한 지지로 변한 '14161'로 보여집니다.
- '14161'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 하단이 위치하는 '13883-13876'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2.02.03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중기 매물대 지지 확인을 위한 추가 하락??#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강한 상승세가 진행되던중 '장기 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하늘색 점선)' 0.5 레벨의 저항을 강하게 받으며 강한 눌림이 출현중인 모습입니다.
- 상승중 만들어주었던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의 지지가 실패하면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가 위치한 저항 구간인 '14893.25-14943.75'를 돌파하지 못한다면 '중기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금일 저점 지지구간이던 '14766-14751.50'의 지지도 중요해 보이며, 지지에 실패할 경우 '중기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 확인 이전까진 매도 위주의 대응이 안전해 보입니다.
- 하락추세가 진행된다면 반등 기대 구간은 '14502.25-14483' / '14306.25-14299.75' 두 구간으로 보여지며, '14502.25-14483'에서 반등 출현시 '14674-14666.25'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4306.25-14299.75' 지지 확인 가능성이 생기므로 본절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만일 금일 상승세가 출현하며 '14893.25-14943.75' 상향으로 안착한다면 '15058-15078'의 저항 돌파가 중요하며, 저항 돌파시 '15433.50-15462' / '15653.50-15682.75' 두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2.01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장기간 머물던 660포인트 가량의 박스권을 강한 매수세로 상향이탈한 모습입니다.
- '중기 하락 추세선(연녹색)' 저항 돌파이후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돌파를 앞두고 있습니다.
- 하락중 저항을 받았던 '14829.50-14798.75'구간의 상향안착을 시도하는 모습이며 이대로 매수세가 이어진다면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돌파 시도를 위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을 돌파한다면 리테스트 확인 이후 매수대응 하는것이 좋으며, 단중기적으로 최대 '15516.25-15567.75'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실패시 '14829.50-14798.75' 지지가 중요하며, 지지 실패시 매물대 상단인 '14602.25-14547' / '14390-14335' 까지 지지 확인을 할 가능성이 보입니다.
- 넓은 범위의 박스를 돌파하였기 때문에 큰 변동성의 출현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보수적인 대응을 추천드립니다.
22.01.27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또 고점 높히고 저점 낮추는 나스캠...#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강한 하락으로 프리장에 지지해주던 '중기 상승 파동 저점'인 '14367.75'의 하향이탈이 출현하였습니다.
- 노란색 고점 두개와 저점 하나로 이루어진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의 하단에서 반등이 출현하며 프리장 갭인 '14194-14150.75'를 돌파해준 모습입니다.
- '14194-14150.75'의 리테스트 중인 상황으로 리테스트 지지가 성공한다면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중심선과 금일 오전 프리장 저항인 '14267.25-14282.25'의 저항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돌파하지 못할 경우 본장 개장 전까지 '14194-14150.75'~'14267.25-14282.25' 두 구간 사이의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가 진행될 경우, 전일 강한 지지를 보여주었던 '14367.75-14390' 구간의 저항은 강할것으로 예상되며, 돌파하지 못할 경우 다시한번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하단의 지지테스트를 위한 하락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14367.75-14390' 저항을 돌파한 뒤 리테스트 지지에 성공한다면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상단'과 '장기 하락 추세선(하얀색)' 그리고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쳐있는 '14641.25-14674'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하단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21년도 상반기 매물대들인 '13740-13702.50' / '13603.75-13571' / '13395.50-13374.25' 세 구간에서의 지지확인 이후 매수대응을 추천드립니다.
- 장기추세는 아직 하락추세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중기추세는 고점과 저점을 높혀주는 상승추세를 확인할수 있지만, 단중기추세로는 고점을 높히고 저점을 낮추는 행보로 추세 방향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매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2.01.26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강한 반등 출현중!! 저항돌파 못한다면 지지 해줘야 하는 자리는??#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금일 오후 '초장기 하락 추세선(자주색)'의 상승돌파를 강하게 해주며 지속된 상승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 상승중 '단기 상승 추세선(하늘색)'의 저항을 받고 눌림이 출현하였지만 눌림이후 재차 반등을 하며 돌파시도를 하고있는 모습입니다.
- 돌파해준다면 24일 하락전 매물대인 '14529.50-14563'의 저항을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다만 저항이후 눌림시 '단기 상승 추세선(하늘색)'의 리테스트 지지가 성공한다면 '14529.50-14563' 돌파의 가능성을 높게 두어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25일 새벽 하락 이후 저점을 높힌뒤 상승추세가 나오고 있는 모습으로 '14524.75' 고점을 갱신해준다면 '단기 평행 채널(청록색)' 상단, '장기 하락 추세선(하얀색 실선)',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14815.25-14824.75'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단기 상승 추세선(하늘색)'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단기 하락 추세선(노란색)'의 지지가 중요하며 추세선과 피보나치 레벨이 위치한 '14306.25' 부근의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단기 하락 추세선(노란색)'의 돌파를 강한 캔들로 해준 모습으로, 리테스트 지지에 실패한다면 '단기 평행 채널(청록색)' 하단이 위치한 '14150-14105.50' 까지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익일 04시 금리결정 및 FOMC 이벤트가 대기하고 있으니 변동성 및 방향성에 주의하시며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22.01.25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어마어마한 하락... 그러나 양봉마감...#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5%에 가까운 하락을 보여주었지만, 새벽중 강한 반등이 출현하며 양봉 마감하였습니다.
- 하지만 금일 프리장 초반 전일 하락추세 출현 전 쌓아주었던 매물대 '14529.50-14563'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조정중인 모습입니다.
- 현재는 작년 7월과 10월의 저점을 이은 '장기 하락 추세선(자주색)'을 끼고 크게 횡보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14347.50-14367.75' 저항구간중 상단인 '14367.75'를 1H캔들이 돌파마감 해준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수 있는 상황이며, 이번 4H캔들이 양봉마감 된다면 이후 4H캔들의 형성동안 상승을 기대해 볼수 있는 상황입니다.
- 하지만 오랜 하락추세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매물대(저항)이 굉장히 많이 쌓여있는 모습이며, 아직까지 제대로된 고점갱신 없이 고점을 낮추는 모습만 보여주었기 때문에, 금일 오전 고점인 '14524.75'를 갱신하기 이전까지는 언제든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고점 기준인 '14524.75'를 갱신 이후부터 눌림에 매수대응이 안전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 고점 갱신 하지 못한채 하락추세로 전환된다면, 전일 저점 캔들 종가가 위치한 '13922-13878.25'의 지지 확인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 '13922-13878.25'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 저점 갱신의 가능성을 높게봐야 하며, 작년 상반기 매물대가 위치한 '13740-13375' 구간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최근 변동성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본장 이후에는 대응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22.01.24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장기 하락 채널 하단에서 반등!! 과연 저점일까??#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장기 하락 채널(보라색)' 하단에서 장대 양봉을 보여주며 금일 프리장 초반 매수세를 보여준 모습입니다.
- 하지만 본장에서 나온 움직임이 아니기 때문에 큰 영향력을 가질지는 의문인 상황입니다.
- '디스조인트 채널(하늘색)'의 하방이탈 이후 재진입이 출현하여 단기적인 상승추세를 기대해볼수 있지만, 중장기적인 고점의 갱신이 없는 상황으로 아직까지 중장기 추세에 대한 방향성은 애매한 상황입니다.
- '14591-14617.75'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디스조인트 채널(하늘색)' 하단이 위치한 '14513-14502.25'의 지지확인이 중요해 보이며, 지지가 실패할 경우 다시한번 '장기 하락 채널(보라색)' 하단 그리고 '10월 04일 저가(14367.75)' 의 지지를 위한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단기적인 지지/저항 기대 구간들에서 단타 위주의 대응이 안전해 보이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