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선물로 보는 코스피(한국주가지수)방향성/백워데이션 & 콘탱고나스닥선물을 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하한가없는 미국증시본장을 대변하면서
24시간 거래되는 엄청난거래량의 주가지수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노란점의 시점을 서로 비교해 보면
MACD OSC에서 다이버전스가 나온 후
추세반전(POSITIVE DIVERGENCE)을 바로
나타내지 못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실패(FAILURE 페일류어)로
볼 수 없는 것은 이 챠트의 타임프레임을
다르게 변경하면 얼마든지 유효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다이버전스는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냐? 그렇지 않습니다.
적확한 답이 있고, 완벽한 실패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실패의 확률을 없애기 위해
나타난 것이 두 가지 오실레이터지표의 비교
그리고 채널을 이용한 과매수,과매도권역을
함께 보는 것입니다.
코스피시장은 나스닥(상대적 고평가상태)의
비율을 쫓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미국선물시장과 나스닥을 보는
이유는 방향성의 확인입니다.
*************************************************
제가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파생선물의 기초이론인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에 관련해서입니다.
시장이 정말 부정적인 약세로 지속될
거 같다면 나스닥선물은 백원데이션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나스닥선물은 기준물인
나스닥100지수보다 콘탱고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MNQ1! 트레이딩 아이디어
[나스닥] 강하게 반등중인 나스닥, 하지만 강한 저항이 코앞!!#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지난브리핑 및 채널 간략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보라색 추세선의 저항을 받으면서 마감하였지만, 금일 갭상승과 함께 상승세의 출현으로 돌파 시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현재 상승세를 유지하는 모습이지만 강한 저항인 12523-12551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12523-12551 저항을 돌파한다면 12766-12815.50 저항까지 상승 가능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후 12523-12551 지지가 지속된다면 13542-13584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12523-12551 저항을 돌파 한다면 변동성의 범위가 더 넓은 매물대에 진입하게 되므로 변동성이 넓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니 매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만일 12523-12551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추세가 반전 된다면 12376-12387 변곡대와 보라색 추세선의 겹치는 구간의 지지여부를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라색 추세선 지지에 성공할 경우 재차 12523-12551 저항을 돌파하기 위한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보라색 추세선 지지에 실패한다면 12076.25-12133 지지구간의 지지를 기대해야 하며, 해당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11948-11975 / 11689-11717 두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락추세가 강하게 진행될 경우에는 지난 장기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자주색 추세선이 위치한 11478-11588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야 합니다.
코로나이후 미다우지수와 같은 레벨의 코스피지수챠트상에서 지난 코로나국면 이후(2020년 3월 전후의)
상대비율로 재조명한 각종 지수와 종목별 대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결국 나스닥(챠트상의 봉챠트는 나스닥 이미니선물)은
여전히 고평가를 유지한 상태에서 조정을 통해
격차르 줄이고 있으며, 다우는 코스피와 비슷한
수준으로 동행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오실레이터지표 중 RSI(상대강도지수)는 실패하는
모습을, MACD OSCILLATOR는 지난 코로나국면보다
강한 큰폭의 조정을 보이면서도(노란점선으로 비교)
포지티브 다이버전스를보여 상승으로 전환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말을 다시 말한다면,
지난 코로나 발발국면에서 MACD oscillator는
강한 하락의 폭을 보여줬습니다(노란 점선으로 비교).
현재의 국면에서 또한 큰 폭의 하락을 보여주는데
그 때의 상황보다 지금의 진폭이 더 크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지금의 포지티브 다이번전스가
상승전환으로 더 강한 신뢰성을 갖게한다는 것입니다.
종목별로 선택이 어렵다면
가장 쉬운 시장상승의 선택은 삼성전자와 한전,KT를
사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스닥] 중요한 지지 구간은 아직 남아있습니다.#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날봉
- 단기적 관점보단 장기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해 오늘은 장기브리핑으로 작성합니다.
- 보라색 중기추세선의 이탈 이후 반등을 시도하였지만 저점을 추가적으로 낮춘 모습입니다.
- 현재는 연녹색 하락채널 1레벨 근처에서 20년도11월 만들어준 매물대의 지지를 확인하는 모습입니다.
- 장기적으로 볼 경우에는 아직 조금더 중요한 지지구간의 확인을 위한 하락추세가 남아있는것으로 보여지며, 그 중요한 지지구간은 진한분홍색 내심추세선, 연녹색 하락채널 1.13레벨, 노란색 하락파동 피보나치확장 1레벨이 위치한 11443-11588 구간입니다.
- 상술한 중요한 지지구간의 지지가 실패하게 된다면 중요한 변곡점을 만들수 있는 9700-9800 또는 추세선의 지지확인을 위한 8850-8966 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상승추세로 전환 될 경우에는 12800-12900에 형성된 저항 돌파확인을 하기 위한 상승추세가 진행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만 11443-11588 구간의 지지확인 없이 상승추세로 전환 될 경우에는 연보라색 추세선의 저항 또는 12206-12234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1443-11588 구간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나스닥] 다시 한번 저점을 낮춘 모습. 과연 반등 가능성이 높은 자리는??#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빨간색 단기 지지선을 지켜주며 지난주 마감을 하였지만 노란색 장기지지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채 마감하며 금일 갭하락이 출현하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 지난 주말 강한 반등이 출현한 지지라인인 12550.25 마저 지지에 실패한 모습으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가져야 합니다.
- 추가하락이 출현할 경우 직전 파동의 피보나치확장 1.272레벨과 1.414레벨인 12946.75, 12378.50 모두 지지의 기대감을 가져볼수 있습니다. 그중 12378.50은 하늘색 중기 하락채널 하단이 겹치는 구간으로 조금더 지지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습니다.
- 만일 12378.50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주황색 장기하락채널 하단이 위치한 12076-12142까지의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12378.50 이탈 없이 반등에 성공할 경우 이전 나스닥의 움직임과 같이 최대 13542 까지 상승하는 추세 반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하기 까지 저항으로 보이는 구간(12550.25, 12618-12663.50, 12723)이 굉장히 많으며 적어도 금일 갭 구간인 12663.50 상향 안착 전 까지는 언제든지 하락추세로 전환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나스닥, 2022년5월7일, 하락관점#2022년5월7일
#나스닥
#선물
#NQ1!
#하락관점
지난 1월 중순 쯤 하락장 초입이라 말씀드렸었습니다.
일단 방향(하방)은 때려 맞췄습니다. (지지구간은 못 맞춤 -_-)
#거래량분석
월봉 및 주봉을 보았을 때 하락 진행시 속도가 꽤 빠른 것으로 판단합니다.
반등이 나오더라도 다시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이 문제인데..
#지지구간
미친 사람처럼 보실지 모르지만 아래의 구간을 보고 있습니다.
10517 - 10417
7660 - 7610
6931 - 6881
4629 - 4192
10000을 깨고 네자리 숫자로 내려가는 것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비트코인도 걱정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나스닥] 자이언트 스텝 불안감 해소에 강한 반등을 보인 나스닥. 하지만 장기하락채널의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75bp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된 상황에서 지난 브리핑에서 중요한 지지확인 지점이라고 언급하였던 12915-12960 구간의 지지확인 이후 600포인트 이상의 강한 상승이 출현 하였습니다.
- 지금은 붉은색 저항선과 하늘색 장기하락채널 상단, 그리고 이전 상승파동의 고점인 13542 이 세가지 중요 저항이 겹치는 구간의 저항을 받고있는 모습입니다.
- 전일 불안감 해소 이후 강한 상승세 출현한 만큼 저항 돌파에 대한 가능성을 높게 볼 수 있는 상황이지만 4월중 강한 저항 역할을 한 14280-14305 저항구간 같은 강한 저항을 할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완벽하게 하늘색 장기하락채널 상단을 돌파 한 뒤 지지 리테스트까지 마치고 난 후에야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게 가져갈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 지금 돌파시도중인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3424-13454.50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며, 해당 지지구간 하단에는 전일 출현한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13 지지레벨인 13418.50 지지레벨도 존재합니다.
- 13424-13454.50 지지구간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재차 13542 저항 돌파를 위한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에 실패 한다면 재차 중요 지지대와 상승파동 피보나치 0.618레벨이 위치한 13155.50-13217.50 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늘색 장기 하락채널의 상단을 돌파 한 뒤 리테스트 지지에 성공 한다면 13650까지는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붉은색 저항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붉은색 저항선과 하늘색 하락채널 상단 사이에서의 움직임 출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강한 상승세로 붉은색 저항선까지 돌파해 준다면 완벽하지 않은 변곡대 이지만 13735-1375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피보나치 확장 2레벨인 13831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NQ1!) 하모닉 이론으로 보는 나스닥100 선물차트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나스닥 100차트가 코로나 급락 이후의 전체 상승분의 0.382의 비율만큼 되돌렸습니다.
0.382는 일단 의미 있는 숫자라 생각되며, 잠시라도 지지 받을 수 있는 구간에 도착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샤크 패턴이나 크랩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되는데, 아직 아래쪽으로 수치상으로 살짝 더 여유가 있습니다.
샤크 패턴 같은 경우는 PRZ는 0.886을 미니멈으로 가지고 있지만 ,
지금 차트는 오른쪽 날개 쪽의 (XABCD툴 작도 기준으로) BC프로젝션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0.886을 PRZ값으로 가지기엔 좀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맥시멈인 1.13 구간에 못 미친 상태이지만 전체 되돌림의 0.382지지가 강했기 때문에 지금의 저점에서 일단 멈춘 것이라 생각됩니다.
크랩 패턴 같은 경우는,
이 그림과 같이 크랩 패턴상으로는 아직 추가 하락이 남아있고, 1.902 구간까지 바라보는게 사실 좀 더 비율상 보기 좋다고 판단되기는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바로 반전한다기 보다는 일단 열린 마음으로 지켜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래서 이런 잠시 상승한다 하더라도, 채널 중단인 이런 구간에서 저항을 뚫고 상승하는지 저항을 맞고 다시 하락할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패턴이 이미 과거에 마무리 되었고, T2에 도달하였다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게되면, PRZ리테스트를 하는 타입2의 형태들이 나올지, 아니면 PRZ의 지지를 무너뜨리고 재차 하락하는지는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지금으로서는 딱 뭐다 말하기 애매한 자리라 생각되나, 이런 저런 시나리오를 염두해 두고 지켜보면 좋을 것 같아 아이디어를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나스닥] 전일 강한 반등의 출현!! 하지만 또 와이드닝 패턴 이야?? #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노란색 추세선에서 345포인트 가량 강한 반등이 출현 하였습니다.
- 전일 강하게 저항하였던 12960의 지지 없이 상승중인 모습으로 주황색 와이드닝 패턴 상단 저항 이후 하락추세로 전환 되는지 확인하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하락추세로 전환시 12915-12960 지지 확인의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상황 입니다.
- 전일 브리핑에서도 언급하였듯, 파란색 구간들은 복잡한 매물대가 얽힌 지지/저항 이므로 복잡한 움직임을 보일수 있는 구간 입니다.
- 13216.50은 강한 변곡선으로 보이며 13216.50의 저항도 강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술한 지지/저항 구간들을 볼 경우 13216.50-12915 구간은 복잡한 움직임을 보일수 있는 구간임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조정 없이 주황색 와이드닝패턴 상단을 돌파할 경우에는 13216.50 까지의 상승 가능성도 보입니다.
- 이때 13216.50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와이드닝패턴 상단의 지지여부가 중요합니다.
지지에 실패할 경우 큰 하라세가 출현할수 있으며 이때 중요한 지지구간은 위와 같이 12915-12960으로 보입니다.
지지에 성공할 경우 13216.50과 와이드닝패턴 상단 사이의 수렴 움직임의 가능성도 열어두시길 바랍니다.
- 13216.50의 저항을 돌파 한다면 13333.50 또는 13432.25 까지의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나스닥] 저점 갱신 없이 반등하였지만 장기 저항 너무 강해요....#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26일 저점인 12801.50을 지켜준 채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 입니다.
- 다만 현재 저항받고 있는 12915-12960 구간은 작년 5월 강한 상승추세가 진행되기 전 강한 지지를 해주었던 구간이기 때문에 강한 저항역할을 해줄것으로 예상됩니다.
- 12960 상향안착 이전 까지는 매수대응은 리스크가 굉장히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 12801.50-12815.50 단기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한번 이탈 하였던 하늘색 하락채널 하단을 다시 이탈하게 되므로 저점을 낮추는 강한 하락추세의 출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2월과 3월 저점을 이은 노란색 추세선의 지지여부도 중요해보이며, 해당 지지선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이 출현할 경우에는 12801.50-12815.50 상향 안착 이후 12915-12960 까지의 매수대응을 공격적으로 해볼수 있습니다.
- 12960 저항을 돌파한다면 수많은 단기 변곡대들이 존재하므로 파란색 단기 저항들의 저항 여부를 확인하며 매수 대응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만일 하락추세가 강하게 진행되며 12610 지지까지 실패 한다면 이전에 올려드린 장기분석의 지지 구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