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Q1! 트레이딩 아이디어
[나스닥] 대형 매물대 저항 받으며 하락변곡??#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초록색 대형 매물대중 5월초 강한 저항을 보인 12865-12933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하락추세가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 이후로 강한 저항 역할을 하였던 12542-12574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 12542-12574 지지가 성공 한다면 12710-12770 저항을 돌파하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저항을 돌파한다면 13131-13155까지 진행되는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2542-12574 지지가 실패 한다면 지난 브리핑에 언급한것과 같이 12356-12374, 노란색 추세선, 그리고 12056-12097 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만일 하락이 강하게 출현하여 노란색 추세선의 지지가 실패 한뒤 저항으로 전환 된다면, 주황색 평행채널 하단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RSI 지표상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으므로 12542-12574 지지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 한 뒤 대응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새로운 포트폴리오와 챠팅에 대해새로운 포트폴리오는 민트색 실선마커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전 종목은 실선으로
뉴 포트에 구성된 종목은 다시 스텝(계단식)으로
표현이 되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을 해보면
역동적으로 지표를 이용하여
위험에 대비하고 과평가된 이익이 발생시
비중을 줄일 수 있고
포트폴리오의 구성종목교체시
능동적 대체가 용이합니다.
현재 기준점은 2020년 3월 저점
코로나의 발발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것을 기준으로 퍼센트로 그려진 것입니다.
현재 챠팅의 종목은 나스닥이미니선물
최근월물입니다.
저는 아직 5파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대형 매물대 진입 시도 중!!#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최근들어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는 모양입니다.
- 초록색 대형 매물대 하단인 12710-12770의 저항을 받는 상황으로 rsi 지표에서 계속된 추세 반전 신호가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하락추세로 반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락이 진행 된다면 강한 저항 역할을 하였던 12542-12574 구간의 지지가 중요해지며, 해당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상승채널 중심선, 12356-12374 또는 노란색 추세선 까지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12710-12770 저항을 돌파 한다면 초록색 매물대 내부의 변곡대인 12865-12933 또는 13131-13155까지의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황색 상승채널 상단에서의 저항이 강하게 출현 한다면 13131-13155 까지 닿지 못한 채 추세가 반전 될 수 있습니다.
[나스닥] 수렴 진행 중입니다. 수렴 돌파 이후 지지/저항을 알아봅시다.#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전일 반등에도 불구하고 하락채널 상단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어제의 상승분을 반납한 모습입니다.
- 장기적으로는 저점이 계속 낮아지는 모습이지만 단중기 적으로는 고점은 낮아지고 저점은 높아지는 수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어제 미장 이후 강하게 등락을 반복하였던 11689-11726 구간의 지지를 확인하고 있는 상황으로 금일 개장 이후 다시한번 등락을 반복할 가능성도 존재하며, 이로인해 수렴 돌파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고 보여집니다.
- 수렴 하향 돌파의 경우. 하락채널 중심선과 피보나치 확장레벨이 겹치는 11450-11500의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다만 분홍색 장기 추세선의 지지 테스트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11394 까지도 하락 가능성은 열려있습니다.
이때 분홍색 장기 추세선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하락채널 하단이 위치한 11085-11209까지 하락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수렴 상향 돌파의 경우. 거대한 다이아몬드 패턴의 상향돌파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수렴 상단의 리테스트 지지가 성공 할 경우에 단기 천장인 12065-12076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위 저항을 돌파할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12550-12600 천장을 확인하기 위한 강한 상승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NQ1!) 하모닉 이론으로 보는 나스닥100 선물차트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나스닥 반등할 때가 되지 않았나 자꾸 생각이 들어 한번 아이디어를 내봅니다.
퍼펙트 AB=CD 를 완성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다만 시간상 1의 비율이 되려면 아직 약간의 시간이 남아 있으므로, 파동의 형성이 시간을 기다리고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0.618과 1.618의 자연의 아름다운 비율로 구성된 굉장히 강한 패턴 중 하나라 생각됩니다.
거리 , 시간, 비율 모두 아름답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이 있는 나스닥 차트의 RSI를 보시면
주봉
일봉
4시간봉
바닥을 지지하고 올라가고 있는 형태라 생각됩니다.
장기 200일 이평선입니다. 2008년 이 후 과거에도 이 선 근처에서 많은 지지를 해왔습니다. 그렇기에 이번에도 지지를 다시 한번 기대해 볼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나스닥]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이는 상황. 시나리오를 알아봅시다.#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11689 저점을 갱신하며 추가적인 하락이 출현하였지만 하락 파동 피보나치 확장 0.618 레벨의 지지를 받으며 강하게 반등이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 해당 파동의 고점인 12096.75 갱신 전까지는 아직 안심하기 이른 상황입니다.
- 12096.75 갱신 이후에는 눌림이 출현하더라도 현재 단기 저점인 11928가 갱신되기 전 까지는 매수대응이 안전해 보이며 저점이 갱신되지 않는다면 파란색 저항구간들의 저항을 확인하기 위한 상승추세의 출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2096.75 갱신 후 눌림 출현시 11928 저점이 갱신된다면 다이아몬드패턴 또는 확장삼각형패턴의 출현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패턴 이탈 이후 방향에 맞게 대응하는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 만일 12096.75 갱신 이전 하락추세로 전환 될 경우 11491.25 갱신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다만 11689-11717 지지구간의 지지가 성공 할 경우 장기적으로 12630-11689 대형 박스권의 가능성도 엿볼수 있습니다.
- 11491.25 저점이 갱신 된다면 상술하였던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레벨과 1.13레벨이 위치한 11206.75또는 11091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나스닥] 더블 바텀 반등 가나요?#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지난 하락 밑꼬리 구간인 11689-11717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중인 모습입니다.
- 전일 개장 이후 11948-11975 구간을 끼고 위아래로 크게 흔들었지만, 오늘 오전 다시 해당 구간을 상향돌파 한 뒤 지지 리테스트까지 마친 모습으로 앞으로 11948-11975 구간은 중요한 지지 구간임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 11948-11975 지지가 깨진다면 저점이탈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하며, 이후 지지구간은 전일 업로드한 '1D 장기브리핑'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중요한 변곡대로 보이는 12076.25-12133 저항을 돌파한다면 파란색 구간들로 이루어진 매물대에 진입하게 되며 이전 움직임들과 같이 매물대 상단인 12523-12551 저항을 확인하기 위한 상승추세의 출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나스닥] 장기 분석. 더블 바텀 기회!! 과연 반등할 수 있을까?#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D
- 2020년도 매물대 상단인 12411-12610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강한 하락세가 출현하였습니다.
- 현재 지지하고 있는 구간은 지난 목요일 하락에 긴 밑꼬리를 구간입니다. 해당 구간은 2020년도 매물대 변곡대인 11834-11843, 그리고 대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 0.886 레벨인 11879.75가 중첩된 구간이므로 11834-11880의 넓은 지지대로 생각하는것이 좋습니다.
- 위 구간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더블바텀 패턴의 형성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12172-12208 변곡대 그리고 피보나치 확장 0.786레벨인 12262.25가 겹치는 구간인 12172-12262.25의 저항을 테스트 하기 위한 상승을 보일것으로 예상됩니다.
- 장기적으로는 12411-12610 저항을 돌파안착 하기 전 까지는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보는것이 좋습니다.
- 11834-11880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11560-11604, 11162-11197, 10730-10785 변곡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구간은 더 하방에 위치한 10326-10403.25 그리고 9744-9860.25로 확인됩니다.
- 보조지표들에서 추세반전의 신호가 계속하여 출현하고 있습니다. 다만 장세는 하락추세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매수관점은 12411-12610 돌파 이후부터 대응하는것이 안전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