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8 화)
1. 지난 분석 복기 (2022.11.7)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0,951) 터치
5일선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임.
10,865매수 후 10,951 매도가 안정적으로 보임.
#시나리오 1처럼 목표가까지 상승하고 10,850까지 하락,
새벽 2시부터 반등, 종가 11,014
11월 7일 분석과 마찬가지로 일시적 상승중.
2. 시황
- 11월 10일까지 특별한 지표발표가 없음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분석
- 5일선, 10일 선이 벌어져 있고, 10일 선이 20일 선 데드크로스를 만들기 직전
- 이동평균선으로 예측하기 애매하므로, 저항 지지선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상승추세였기 때문에 지지라인(11,940)을 테스트할 것으로 보임.
4. 2022.11.7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지지라인 테스트(11,940) 터치
11,022매도후 10,940에 청산
손절가는 11,061
애매한 구간이므로 추가 진입은 자제.
--------------------------------------
MNQ1! 트레이딩 아이디어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7 월)1. 지난 분석 복기 (2022.11.1)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1,442)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2 :일봉 10일선(11,400)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3 :일봉 20일선(11,254) 종가
11월 1일 종가 11,332
11월 3일 종가 10,728
11월 4일 종가 10,849
11,254까지 하락하고, 12,000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와 급락
쌍바닥을 찍은 상태.
2. 시황
- 11월 10일까지 특별한 지표발표가 없음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분석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까지 일시적 상승 예상
- 과매도로 인해, 11월 7일 기준, 5일선 10일선의 거리가 벌어져 있음.
- 악재는 다 반영되었고, 바닥이라는 기대감에 의한 매수세와 경기둔화로 인한 매도세로 인해 횡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4. 2022.11.7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0,951) 터치
5일선 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임.
10,865매수 후 10,951 매도가 안정적으로 보임.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 화)1. 지난 분석 복기 (2022.10.31)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1,505)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2 :일봉 10일선(11,380)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3 :일봉 20일선(11,266)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4 :일봉 20일선(11,266) 지지받지 못하며 하락
시나리오2처럼 11,380부근에서 지지받으며 상승 (종가 11,447)
2. 시황
- 기대인플레이션,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출, 잠정주택판매,PCE물가지수 등의 지표 발표 후 장대양봉 형성
- 금리인상속도 조절 기대로 인한 상승
- 11월3일(목) 새벽 3시 FOMC 기준금리 발표 예정
3. 분석
- FOMC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금리인상속도조절론에 대해 혼조
- 11,380 부근에서 지지 받았으나 캔들 몸통이 밑꼬리 보다 크다는 점을 유의
4. 2022.11.01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1,442)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2 :일봉 10일선(11,400)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3 :일봉 20일선(11,254) 종가
상승추세든 하락추세 전환이든
조만간 일봉 20일선에 닿아야 할 것으로 보임.
따라서 금일은 5일선에 손절걸고 목표가 11,560에 청산을 걸어두는 것이 안정적.
11,560에 청산하고 숏 진입후 20일선을 목표가로 잡는 것도 좋을듯.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0.31 월)1. 지난 분석 복기
- 시나리오 1 : 11,100 부근 지지 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2 : 10,900 부근 지지 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3 : 10,700 부근 지지 못 받고 하락
시나리오1처럼 11,100에서 지지받으며 강한 장대양봉 형성 (종가 11,626)
2. 시황
- 기대인플레이션,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출, 잠정주택판매,PCE물가지수 등의 지표 발표 후 장대양봉 형성
- 금리인상속도 조절 기대로 인한 상승
- 11월3일(목) 새벽 3시 FOMC 기준금리 발표 예정
3. 분석
- 11월 3일(목) 기준금리 50bp, 75bp 중에서 정해질 것으로 예상.
- 기준금리 여부와 상관없이 하락할 것. 금리속도조절에 대한 기대는 이미 시장에 반영되었기 때문.
- 기준금리 발표가 수익실현 구간이 될 것.
- 기준금리 발표 전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약 3%이상의 장대양봉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약간의 조정을 받고 상승할 것으로 보임.
4. 2022.10.31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1,505)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2 :일봉 10일선(11,380)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3 :일봉 20일선(11,266) 지지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4 :일봉 20일선(11,266) 지지받지 못하며 하락
보통 상승 추세에서는 5일선과 10일선을 지지받으며 올라가므로 시나리오 1, 2의 가능성이 높아보임.
다만 변동성이 굉장히 심한 장세와 구간이므로 시나리오 4까지 염두하며 매매.
시나리오 2, 40%
시나리오 1, 30%
시나리오 3, 20%
시나리오 4, 10%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1. 시황
- 미국 cpi 발표 후부터 상승 추세.
- 이미 많은 악재가 반영. (물가, 금리, 전쟁 등)
- 미국 경제는 견고.(미국 소비↑, 실업률↓)
2. 분석
- 단기 상승 후 하락을 예상하고 있음.
- 경기 침체 진입.
- 인플레이션과 기대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음.
- 실업률 약 6~10% 예상
3.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 11,100 부근 지지 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2 : 10,900 부근 지지 받으며 상승
- 시나리오 3 : 10,700 부근 지지 못 받고 하락
4. 차트 패턴
현재 차트 패턴은 6월 차트 패턴과 유사.
시나리오 2번 확률이 가장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