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Q1! 트레이딩 아이디어
2/2일 새벽 4시 fomc 시나리오1.10,751부터 시작하는 파동 시작점을 아직 임펄스로 예단하긴 이르지만 abc 파동이라는 전제하에 보면 피보나치 1.618자리가 12,940.25
2. 코로나 저점 2021년 고점 피보나치 382자리가 12894.50
3. 2021년 고점 16767.50 에서 10/13일 2022년 연저점 10484.75 (피보나치 382반등 자리가 12,884.75)
4. 이자리는 5~6월 상스 최고점 및 9월 cpi최고점 저항레벨 값
5. 6월 16일 연저점 갱신 저점 빗각에서 11월~12월 확산패턴 고점 빗각을 이은 자리는 약 12,700부근( 1번의 abc파동의 1.382자리는 12,702.25)
예상 시나리오 : 12,700~12900 부근까지 상승 후 공통 숏자리가 나올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3-01-19 나스닥 분석 by Vivid안녕하세요. 비비드입니다.
23년 1월 19일 나스닥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나스닥 브리핑 그림입니다.
상승 추세선이 월요일 휴장에 따라 약간의 수정이 있었으나 횡보 하면서 고점을 만드는 척 하더니 fomc 연설 이후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앞전에 언급했던 1차 매물대인 11450 구간 근처에서 횡보 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 관점으로 아직까지 녹색 박스 구간의 저항선은 돌파를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까지 유효하다고 말씀드립니다.
어제의 하락 시점을 좀 더 줌인해서 확인 했습니다.
30분 봉 기준으로 녹색 구간대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었겠습니다.
1계약 기준으로 약 400만원 가량의 수익자리였으니 생각보다 큰 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시점의 나스닥입니다.
우선 파랑박스 구간이 오늘 오전장부터의 움직임입니다.
가격은 횡보를 외치지만 저점을 낮추는 횡보 같습니다.
왼쪽의 녹색 박스 구간의 경우 이번 주봉의 시작이며 핑크색 박스는 어제의 하락이 나오기 직전까지의 저점이였습니다.
주황박스에서 어제 미장이 마감될때쯤에 주간 저점을 깨면서 지지가 약하다는 것을 보여줬으며 목표한 11450까지 내려왔고 현재 약반등 중입니다.
이로서 알 수 있는 점은 나스닥이 다시 반등 회복을 하려면 오늘 장에서 주황박스 구간 상방 돌파를 해야 11635 근처까지의 상승을 보여줄 것이고 만약 반등 실패를 한다면 하락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의 반등을 기대하려면 주황박스 구간을 돌파해야 합니다.
단기로 15분봉의 이평이 모이고 있으면서 유럽장에서 잠시나마 30분봉의 20선을 돌파하는 모습은 보여줬으나 아직까지 20선 위에서의 안착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저점을 낮추면서 횡보하고 있기 때문에 매물대가 다져진다기 보다는 매물들이 빠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주황박스 구간을 돌파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2시간봉입니다.
2시간봉에서 이평이 모이면서 데드크로스가 나기 직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구간이 마침 또 추세 전환에 필요한 돌파 구간입니다.
매수의 관점은 주황색 박스 돌파 외에는 없다고 현 시점에서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반면 매도 구간도 현재 어려운 점 중 하나는 1월 12일부터 13일 까지의 움직임이 차트쟁이 상으로는 개판을 쳐 논 상태라 매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오늘 실업수당 발표가 있기 때문에 특정 거래량에 화력이 실릴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만 한가지 알 수 있는 점은 12/7, 12/15, 1/13 의 저점들이 11400 근처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 된 바 11400의 지지가 매우 중요할 것으며 1월 13일의 저점인 11389의 지지가 깨질 경우 추세 전환으로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가운 심장으로 매매할 수 있는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23-01-15 나스닥 분석 by Vivid안녕하세요. 비비드입니다.
1월 15일 나스닥 브리핑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주봉입니다.
이평선 20선을 상방 돌파 하면서 위로 안착한 모습이 나왔습니다.
주봉 특성 상 20선 위로 안착을 하게 되면 20선 하방이탈은 기대하기 어려워 보이며 현 시점에서 주중에 조정이 온다고 해도 20선이 위치한 11500 근처까지만의 조정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주황색 박스 구간을 보면 20선을 돌파 했으나 주봉 마감은 다 20선 아래에서 마감을 해주었습니다.
이는 지속적으로 추세는 하락이다 라고 알리는듯한 모습이였습니다.
하지만 금요일의 마감은 주봉의 마감이 20선의 위에서 마감을 할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추세 전환은 어렵다고 판단 되며 상승은 최대 60선까지 보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주봉의 60선은 13000 근처입니다.
이치모쿠클라우드로 보는 주봉입니다.
래깅스팬을 통해서 위로 열려있는 부분을 확인했습니다.
최대 13% 가량 추가 상승이 된다고 해도 그 이후 하락으로의 전환 가능성은 열어둬야 합니다.
13% 상승이 나온다고 해서 추세 전환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나스닥의 일봉입니다.
장기 저항 추세선은 약 1년정도 진행 되었습니다.
2022년도 1월부터 시작 되었으며 총 3차례 저항 받았습니다.
따라서 장기 저항추세선을 상방 돌파 하게 된다면 단기적인 추세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12026의 돌파 여부가 13000 위로 갈 수 있는 시그널이 될 듯 합니다.
현 시점에서 나스닥의 일봉은 추세 전환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아직까지 이평이 올라서거나 골든크로스가 나지 않은 상황에서 캔들만 60선 위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중이라 지표 발표가 나온다면 차트를 뭉게는 그림도 나올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이치모쿠 클라우드로 보는 나스닥입니다.
현 시점의 가격대를 유지 한다면 아무래도 금요일 정도에 추세 전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구름대 위에 올라선 것으로 보이며 이제 구름대가 지지로 바뀔 경우 장기저항선인 빨강색 저항선까지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의 나스닥 매매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고민이라면 참고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우선 빨강색 저항추세선이 돌파가 된다면 추세 전환의 시그널로 12000 구간 근처에서 진입해서 못해도 12300까지의 상승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앞 서 확인했습니다.
다만 현재의 가격이 11600 구간인데 그렇다면 너무 오래 기다리지 않을까 싶어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하는데 현 시점 노랑색 박스를 보면 나스닥은 신고점을 만든 상태에서 캔들 마감을 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매수를 잡는 행위는 만약 나스닥이 단기 조점을 했을 때에 대비를 전혀 안하겠다는 말입니다.
무지성 상승을 보고 매수 진입을 하는 것이죠.
저라면 매수 포인트는 어느정도 조정이 한번 오고 재 진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대로 매도 진입은 한번 가능할 것 같은데 만약 나스닥이 현 가격대를 유지하고 옆으로 횡보 한다면 (근래 아시아장과 유럽장에서는 지속적인 횡보를 보여줬음) 최대한 고점과 비슷한 금액대에서 빨강색 지지선 이탈 시 매도 진입을 하고 목표가는 수평선 2개로 잡을 듯 합니다.
그 이후에 올려도 매수 진입자리는 새로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오늘의 브리핑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