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유동성 메커니즘시장은 그저 구매자와 판매자가 서로 거래를 하여 가격을 형성하는 곳이 전부일 뿐이며, 어떠한 기법 및 보조지표 들에 의해서 움직이는게 아닙니다. 유동성 메커니즘을 파악할 줄 안다면 다음 목표가 어딘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구간까지 관망 후 예측 매매가 아닌 Top Down Trading 으로 모든 유동성을 다 확보하는것을 확인 후 트레이딩 할 뿐입니다. 롱Kmong_ICT의0
NAS100USD : 15978.3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2.089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SPX500USD 차트) (1M 차트) 4419.8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신고가(ATH)를 갱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adCrypto의3
코스피 앞으로 어떻게 될까?복잡한 설명따윈 잘 못하겠습니다. 이럴수도 있고 저럴수도 있죠. 그리고 보통 잘못된 생각일 수 있습니다. 재벌: 부자3대 없고 거지3대 없다.. 그러나 승계는 해야하고 승계하기에는 너무 비싸고 싸게 만들어야 한다. 코스피가 상승 사이클일까? :인구가 줄어들고 노인인구가 늘어나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단순 반복패턴이라면 이렇게 될까 생각해봤습니다. 사실 이런건 단기 매매에 도움은 되지 않죠 자기 시스템을 만들고 그대로 매매하시길 바랍니다~huinso의2
장기파동과 사이클에 대한 고찰위태롭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패권을 쥐고 있는 초강대국 미국과 인덱스 중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다우산업지수. 과연 미국은 언제까지 현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지, 우리는 현재 어느 정도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초장기 파동을 작은 사이클부터 확장해가며 카운팅 1. 1982~현재까지 사이클 두차례의 오일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에 의한 경제후퇴가 일어났던 1970년대와 그 영향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1982년부터 새로운 파동이 시작. 파동을 어디서부터 카운팅할지 기준점이 애매할 경우에는 다른 유의미한 경제지표로 주dvkpoi의1
23.11.27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의 큰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 하단 지지라인(103.180)부터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지만, 다시 하단지지라인 근처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번주 또한 단기 상승세는 103.602 라인까지 예상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갈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 예상라인은 11월 21일 저점(103.180)보다 낮은 102.990 라인 근처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숏Momantic_FX의3
DXY 달러 지표DXY 달러 지표 1.고점 낮아지고 저점 낮아지는 하락 패턴 2.하락 추세 3.엘리어트 파동관점 C파동 스타트 4.추세기반으로 90달러까지 하락 가능 5.거래량이 점차 감소중 달러 가치의 하락만 보입니다. 숏KangChulTan의444
NASDAQ나스닥 조정채널 딱딱 들어맞고있는데 아직 상승은 이른것 같습니다. 마지막 피날레 조정한번 남았다라고 강하게 생각은 드는데,,, 조정의 정도가 그게 저 채널 중간지지를 확인하는 정도인지, 다시 아니면 채널 하단을 뚫는 강한 조정의 피날레가 나올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나스닥 상승은 좀 이르다라는 생각,,,Hedge_Trader의업데이트됨 1
한국 인구 차트 연도별, 월별 한국 출생아수 차트 입니다. 아래 그림이 윗그림을 가리고 있는데 PC 에서는 마우스로 윗그림에 갖다대면 윗그림이 다 보입니다. 1. 연도별 연도별로 보면 하락하는 시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먹고살기 힘들어지면 안 낳습니다. 자연의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죠. 현정부에서는 지난정부 탓 하지만 데이터에는 다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2. 월별 월별로 보면 1~3월에 고점 (많은 출산) 후에 서서히 내려가다가 10~12 월에 저점을 찍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것을 보면 사람들 살아가는 패턴이 보이죠. 앞으로 30년SGLee의업데이트됨 227
NAS100(나스닥) 240분봉차트 분석트랜드 어낼리시스 및 차트패턴(쐐기형 지속 패턴)을 활용하여 방향성 체크해봅니다.nalsae66의업데이트됨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