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마켓 요약 4월 15일 🌐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15일
주요 핵심 이슈
🔹연준 월러의 발언에 비트코인 85K 근처… “관세 재개 땐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율 관세가 유지될 경우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에 따라 금리 인하가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
이러한 발언은 비트코인 가격을 $85,000 근처로 끌어올렸으며, SOL과 AVAX 등 주요 알트코인도 상승세유도
시장에서는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중
🔹 크립토 마켓 상황
비트코인 - $84,772.27 / ▲0.37%
이더리움 - $1,632.25 / ▲1.17%
리플 - $2.13 / ▼-0.28%
솔라나 -$129.36 ▼ -1.28%
🔹 주요 핵심 이슈
1.XRP는 지난 7일 동안 22% 상승하여 $2를 회복하며 강한 상승 모멘텀
2. “우린 아니다” 노무라 레이저디지털, 만트라(OM) 폭락 연관성 전면 부인
3. XRP·ADA·SOL 단기 반등 신호… 강세 전환 패턴 주목
4. ACT·IP 토큰, 바이낸스 선물 영향으로 급락 후 반등… 시장 불안 여전
🔹 XRP는 지난 7일 동안 22% 상승하여 $2를 회복하며 강한 상승 모멘텀
-RSI는 60.5로 과매수 구간에서 다소 후퇴
-여전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
-$2.50의 저항선을 향한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 높음
🔹“우린 아니다” 노무라 레이저디지털, 만트라(OM) 폭락 연관성 전면 부인
-만트라(OM) 토큰은 $2.27억 규모의 토큰이 거래소로 이동한 후 90% 급락
-노무라 그룹의 레이저 디지털은 해당 거래에 관여 부인하며 지갑공개
-만트라 측은 시장 전반의 압력과 강제 청산이 폭락의 원인이라고 주장
🔹 XRP·ADA·SOL 단기 반등 신호… 강세 전환 패턴 주목
-XRP는 $2.00을 돌파, $2.10 저항선에 도전, SOL은 $135를 넘어서면 $140까지 상승 가능성
-ADA는 $0.55에서 $0.60 이상밴드형성 , 이후 최소 $0.70까지 상승전망
-이러한 기술적 강세는 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단기 회복 가능성을 시사
🔹 ACT·IP 토큰, 바이낸스 선물 영향으로 급락 후 반등… 시장 불안 여전
-ACT와 IP 토큰은 바이낸스 선물 거래에서의 높은 거래량으로 인해 20% 급락한 후 반등
-최근 OM 토큰의 90% 폭락과 함께 중앙화 거래소의 리스크에 대한 우려 발생
-이러한 사건들은 투자자들에게 중앙화 플랫폼에서의 거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상기
펀더멘털 어낼리시스
04/15 USD vs CNY의 동반 약세, 달러-원 움직임 제한 전일 동향: 급락 후 방향성 찾기, 달러-원 1,420원대 유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지난주 야간장 환율인 1,420원 초반 수준을 유지.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급락 영향에 1,420원 초반대 하락 출발. 다만 오전 중 수입업체 결제수요, 해외투자 환전수요 등 저가매수세 유입에 한때 1,430원대로 반등. 이후 글로벌 약달러 지속, 외국인들의 통화선물 매도 영향에 재차 1,420원대 수준으로 반락. 주간장 전일대비(야간장) 3.1원 상승한 1,424.1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연준 이사의 Dovish 발언에 진정된 미국채 금리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완화된 관세 불안감과 연준 이사의 비둘기 발언 영향에 하락. 주말 사이 트럼프는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 여기에 더해 자동차 기업들을 지원할 방안을 검토중이라 언급하며 자동차 관세 인하 기대감도 부상. 관세 전쟁이 추가로 격화되지 않을 것이란 안도감에 미국채 금리도 아시아 장에서 진정. 이후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의 비둘기파 발언에 미국채 금리는 낙폭을 확대. 월러 이사는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이 일시적이라는 점을 강조. 또한 1) 평균 관세율이 25%인 극단적 시나리오의 경우: 물가 상승은 일시적이나, 경기 둔화를 더욱 고려해 더욱 큰 폭의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언급. 반대로 2) 관세율이 10% 수준으로 유지되는 시나리오의 경우: 물가는 대체로 3% 수준으로 소폭 반등할 것이라 지적. 한편 뉴욕 연은이 집계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은 단기-장기가 엇갈린 모습. 1년 기대인플레는 3.1%에서 3.6%로 상승했으나, 3년(3.0%)은 유지, 5년은 3.0%에서 오히려 2.9%로 소폭 하락.
(달러↓) 달러화는 회복된 미국 자산(주식,채권) 매수세에도 불안심리 유지되며 약세. (멕시코 페소↑) 멕시코 페소는 트럼프가 자동차 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을 검토중이라 언급하자 강세. (위안화↓) 위안화는 달러화 약세에도 당국 절하고시 이어가며 꾸준히 약세. 이날 발표된 중국의 수출은 전년대비 12.4% 증가하며 예상(4.4%)을 크게 상회. 다만 이는 관세 발효 전 선제적 주문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되며 시장 영향은 제한.
금일 전망: 상하방 압력 공존, 달러 움직임 주목하며 달러-원 유지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흐름을 주목하며 1,420원 초반대 수준을 유지할 전망. 간밤 미국 국채시장은 월러 이사의 발언에 금리 상승세가 진정. 여기에 더해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뉴욕장 마감 이후 1) 여전히 강달러 정책을 갖고 있으며, 2) 달러는 여전히 글로벌 준비통화임을 강조. 이에 최근 약세 흐름을 유지하는 달러화가 반등을 시도할 경우 달러-원 환율도 다시 상승압력에 노출될 가능성 존재. 또한 전일 확인됐던 결제수요, 해외투자 환전수요 등 달러 저가매수 수요도 하단을 지지할 재료. 역외에서 꾸준히 약세를 보이는 위안화도 달러-원 환율 재반등 우려를 자극하는 요인.
반면 위험선호 측면에서 보면 환율은 추가 하락 공간도 존재하는 상황. 트럼프는 자동차 관세 인하 가능성도 시사한 데 이어 베센트는 다음주 한국과 관세 협상을 할 것이라 언급. 미국 증시 회복과 더불어 국내 증시에도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될 경우 달러-원 환율도 1,410원대 진입을 시도할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17-1,427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14일]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14일
🔹시장 주요 핵심 이슈
비트코인,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감면 아니다" 발표에 재차 하락
-비트코인(BTC)이 전자 제품 상호관세에도 예외를 적용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표에 14일 하락
-미국 관세국경보호청(USCBP)은 11일 상호관세에서 스마트폰, 반도체 제도 장비를 비롯한 전자 제품을 상호관세 적용
-USCBP의 발표에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는 주말간 반등
-하지만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를 통해 "11일 발표는 예외를 뜻하는 것이 아닌 다른 관세의 범주로 이동하는 것일 뿐"이라고 밝히자 암호화폐는 다시 하락
🔹 크립토 마켓 상황
비트코인 - $84,241.63 / ▼-1.07%
이더리움 - $1,620.55 / ▲0.14%
리플 - $2.13 / ▼-0.78%
솔라나 -$130.35 ▼ -0.38%
🔹 주요 핵심 이슈
- 美 상원의원 "美 암호화폐 통합 규제안, 8월 통과될 것
- 바이낸스, 커뮤니티 투표 통해 두 번째 상장 토큰 3종 결정
-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매수 2주 중단 후 재매수 예고
- 금 etf 유입 3년래 최고치 경신.!
🔹 美 상원의원 "美 암호화폐 통합 규제안, 8월 통과될 것
팀 스콧 미국 상원의원이 13일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 의회 내 암호화폐 규제안 설립에 대한 의지를 지적
미국 내 통합 암호화폐 규제안이 올해 8월까지 통과될 것이라고 주장
미국 의회 내 통합 암호화폐 규제안 설립을 위한 작업이 바쁘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
🔹 바이낸스, 커뮤니티 투표 통해 두 번째 상장 토큰 3종 결정
이낸스가 약 일주일간 진행된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11일 두 번째 상장 토큰 3종을 결정
장 투표 결과에 따라 온도(ONDO) 빅타임(BIGTIME) 버츄얼 프로토콜(VIRTUAL)이 바이낸스에 상장
바이낸스, 투표로 상장 토큰 3종목 결정이후 상승폭 증가
🔹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매수 2주 중단 후 재매수 예고
지난 2주간 비트코인 매수를 중단핶던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설립자가 다시 비트코인 매수를 예고
앞서 세일러는 '주말 보유 현황 공개 후 월요일 매수'라는 공식을 실현
🔹 금 etf 유입 3년래 최고치 경신.!
PAXG와 XAUT는 연초 대비 23%이상상승 ,
토큰화된 금은 암호화폐 투자자에게 블록체인 기반 유동성을 통해 실제 자산에 대한 노출 제공
금ETF에 대한 수요는 1분기에 3년래 최고치 기록 , 안전자산으로의 유동성 몰림 현상 증가
위클리 크립토마켓 요약 [4월 3번째주]🌐이번주 주요 경제 지표 / 서밋 / 매크로성 이벤트
🔹4월 14일 (월요일) .Mon
-주요 경제 지표 X
-서밋 및 주요 일정
STPT→AWE 리브랜딩
코인베이스, 뉴욕 사용자 대상 FLOKI·TURBO·GIGA 지원 중단
- 매크로성 이벤트
OPEC(석유 수출 기구) 월간 보고서20:00
🔹4월 15일 (화요일)
-주요 경제 지표
수출 물가 지수 (MoM) 21:30 🇺🇸
수입 물가 지수 (MoM) 21:30 🇺🇸
-서밋 및 주요 일정
코인베이스, MEDIA 거래 지원 중단
샤디움, 메인넷 출시Why Korea? - Web3 Horizon: AI and DePIN Redefining Consumer Market
(11:30 ~ 15:00)
Open the New Trading Era with GMGN(컨퍼런스/서밋)
(18:00 ~ 22:00)
- 매크로성 이벤트
FOMC 위원 Barkin 연설 (wed/00:35) 🇺🇸
라가르드 유럽 중앙은행 총재 연설 (wed/01:00) 🇪🇺
🔹 4월 16일 (수요일)
-주요 경제 지표
소비자 물가 지수 (*MOM,YOY) (CPI) 영국 국기🇬🇧
(15:00)
소비자 물가 지수 (CPI :YOY,MOM) (18:00) 🇪🇺
소매관리 3월 (MoM) 21:30 🇺🇸
소매판매 3월 (MOM) 21:30 🇺🇸
근원 소매판매3월 (MOM) 21:30 🇺🇸
원유재고 23:30 🇺🇸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thu 02:00) 🇺🇸
-서밋 및 주요 일정
바이낸스, SNT 등 14종 상장 폐지
-매크로성 이벤트
캐나다 중앙은행 통화정책 (BOC) = (22:45) 🇨🇦
캐나다 금리결정 = (22:45)연방 준비 제도 🇨🇦
(FED)의장 POWELL 연설 (02:15) 🇺🇸
🔹4월 17일 (목요일)
-주요 경제 지표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30🇺🇸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4월) 21:30🇺🇸
-서밋 및 주요 일정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COMP·UXLINK·ATH 무기한 선물 상장
아이겐레이어, 슬래싱 기능 도입
-매크로성 이벤트
한국중앙은행 통화정책 = 한국 금리 결정 (4월)/10:00
21:45 유럽중앙은행 기자회견 🇪🇺
22:15 예금금리 (4월) 2.25% 2.50% 🇪🇺
22:15 금리결정 (4월) 2.4% 2.65% 🇪🇺
🔹4월 18일 (금요일)
-주요 경제 지표
부활절 휴일 / 주요지표 X
-서밋 및 주요 일정
미국 부활절
밈코인 TRUMP, 4,000만개 언락 예정
- 매크로성 이벤트
연준 금융감동 부의장 마이클 바, 연설
카카오의 잃어버린 24년 2000년 한창 IT가 핫하던 시절 카카오를 고점에 사고, 지금까지 단 한번도 팔지 않았다면 현재 수익률은 0%입니다. 이건 뭔가 한국 시장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걸로 해석 가능하다고 봅니다.
주가가 상승할라하면 물적분할하고 또 물적분할하고... 쪼개기 상장을 해대니 주가가 안오릅니다. 이는 결국 쪼개기 상장을 규제하면 해결될 문제입니다.
하지만 쪼개기 상장 규제라는 말이 이상하지 않나요? 애초에 주주가치를 실현하지 못하는 이사진이 교체되어야 마땅한데 그러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금융질서가 문란해지고,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을 떠납니다.
남은건 오래된, 이미 옛날부터 관성적으로 투자를 해왔던 투자자겠지요. 심지어 공매도도 금지하니 외국인 투자자들도 한국 주식을 살 이유가 없어집니다.
이는 점점 가속화될거고 사실 지금 주가가 제가 앞에서 말한 모든 할인 요소가 반영된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물적분할로 인한 감가+공매도 금지+신규 투자자 유입 없음 3요소가 모여 24년전으로의 가격이 회귀해버린 것입니다.
정말 매력적인 회사라 주식을 사고싶지만... 앞에서 말한 불안 요소들의 근본적 원인이 해소되지 않는 이상 한국 주식은 투자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04/11 다시 뒤틀리기 시작한 시장 전일 동향: 트럼프 관세 유예에도 위안화 약세 여파 지속
전일 달러-원 환율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유예 영향에 1,450원대로 하락. 이날 야간장 환율 마감가는 1,472원, 오전 7시 NDF 최종호가는 1,442원 수준. 따라서 야간장 기준으로는 하락했으나, 사실상 장 초반 갭업 출발 이후 위안화 약세 따라 1,450원 중반까지 상승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절. 수급적으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증시 순매수, 달러선물 매도에 하락 압력 있었으나, 달러 실수요와 위안화 약세 영향이 우위를 보이며 장중 꾸준히 상승 압력을 소화. 낙폭은 야간장 마감가 대비 15.6원 하락한 1,456.4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경제지표와 무관한 脫달러 흐름 재현
(미국채 금리 단기↓, 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CPI 결과와 무관하게 장기채 매도세 지속되며 장기물 중심 상승.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사실상 금리 하락 재료. 미국의 3월 CPI는 전년대비 +2.4% 증가, 전월대비 -0.1% 감소하며 모두 시장 예상치를 하회. 전월대비 세부 항목으로 보면 에너지 가격 하락이(+0.20%->-2.39%) 물가 하락을 주도. 게다가 주거비(0.28%->0.22%), 운송 서비스(-0.82%->-1.4%) 등 주요 서비스 항목도 둔화. 다만 관세로 인한 향후 물가 재반등 가능성에 시장 영향은 제한. 한편 이날 진행된 30년물 국채 입찰 응찰률은 2.43배로 집계. 최근 6회 평균(2.45)을 하회하긴 했으나, 직전(2.37) 응찰률을 상회하고 간접 낙찰자 비중도 높아 대체로 수요는 양호. 그럼에도 장중 미국채는 장기물 중심 매도세가 지속. 미국채 뿐만 아니라 증시와 유가, 달러가 동반 하락하는, 상호관세 유예 전 흐름으로 다시 복귀한 모습. 예일대학교 예산 연구소는 이미 발효된 중국과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만 산정해도 평균 실효 관세율이 1903년 이후 최대인 27%에 달한다고 추정.
(달러↓) 달러화는 미국 자산에 대한 청산과 차선 안전통화로 자금 이동이 다시 관측되며 급락. (스위스 프랑, 엔화, 유로화↑) 이날 달러화는 -1.84% 하락, 반면 스위스 프랑(+3.84%), 유로화(+2.30%), 엔화(+2.24%)는 급등.
금일 전망: 달러화 약세 vs 위안화 약세, 달러-원 제한적 상승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달러와 위안화의 동반 약세 압력을 소화하며 1,450원 중반대를 유지할 전망. 전일 미국 백악관은 대중국 관세가 104%가 아니라 펜타닐 관련 관세를 포함한 145%라고 지적. 하루만에 관세 우려가 다시 시장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며 자산가격 왜곡 흐름이 재발. 오늘은 위안화 절하 압력에 따른 위안화 약세와, 미국 자산 매도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각각 달러-원 환율에 상,하방 압력으로 동시에 작용할 전망.
수급적으로 봐도 위험회피에 따른 국내 증시 외국인 순매도, 수입업체 결제수요 등 달러 실수요는 상승 압력. 반면 미국 중심 해외 투자자금 청산 자금이 일부 국내로 유입될 경우 하락 압력으로 소화될 여지. 장중 중국 당국의 고시환율, 이에 따른 위안화 흐름 주목하며 방향성에 대응할 필요.
금일 예상 레인지 1,448-1,460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크립토마켓 요약 4월 10일🌐크립토마켓요약 4월 10일
“트럼프가 관세를 유예하자마자, 비트코인이 폭등했다”
▶인과 관계
도널드 트럼프는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125%의 관세 인상을 단행함.
이 발표는 지정학적 리스크의 일시적 완화로 해석되며
투자자 심리에 **‘안도감’**을 줌.
▶시장 반응
해당 뉴스 직후 비트코인은 급등세를 보이며
단 하루 만에 +6% 상승, $81K 돌파
암호화폐 전반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시장 전체가 반등
▶시장 주요 이슈
▶루비니 “연준, 쉽게 움직이지 않을 것”
경제학자 누리엘 루비니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 언급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며 연준은 상황을 지켜볼 가능성 큼
트럼프의 정책 변화에 따라 Fed의 결정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
장기적으로 채권보다 비트코인 같은 대체자산에 대한 선호 가능성 제기
▶미국 첫 XRP ETF, $5M 거래량으로 성공적 출발
Teucrium에서 미국 최초의 XRP ETF(레버리지형 XXRP)를 출시
첫날 거래량 500만 달러 돌파하며 역대급 성과 기록
해당 ETF는 XRP 일일 수익률의 2배를 추적하도록 설계됨
향후 역방향 ETF도 계획 중으로, XRP 관련 상품 확장 기대
▶FARTCOIN, 250% 상승 후 조정 가능성
밈 코인 FARTCOIN, 최근 한 달 동안 250% 급등
SNS 유입과 유머성 화폐로 바이럴 효과 발생
그러나 BBTrend 지표가 하락하며 매수세 약화 조짐
단기 조정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음
▶헤데라(HBAR), 롱/숏 비율 월간 최고치 기록
헤데라(HBAR)의 롱/숏 비율이 최근 30일 최고치 기록
이는 시장 참가자들의 강세 심리가 크게 작용한 결과
동시에 포지션 과열에 따른 이익 실현 가능성도 제기
단기적 반등 기대감과 하락 리스크가 혼재된 국면
04/10 트럼프 풋에 빠르게 되돌린 시장, 위안화 위협은 여전 전일 동향: 관세 전쟁 본격화에 달러-원도 급등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약달러 압력에도 수급 부담 지속되며 1,480원 중반대로 상승.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미국의 대중국 104% 관세 부과에 따른 위안화 약세와 연동. 한때 1,487원 부근까지 상승했으나 이내 위안화 되돌림 영향에 반락. 장중 달러화도 꾸준히 약세를 보이며 환율도 한때 1,477원 부근까지 낙폭 확대. 다만 오후중 위험회피 심리에 따른 외국인 증시 매도에 재차 1,480원 중반까지 반등. 주간장 전일대비 5.1원 오른 1,484.1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트럼프의 관세 유예에 시장 되돌림 움직임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 소식에 단기물 중심 상승. 이날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발표. 이에 최근 확대됐던 장단기 스프레드가 다시 축소. 우선 단기물(2Y)의 경우, 경기침체 우려로 빠르게 하락했던 금리가 다시 반등. 6월 50bp 빅 컷 인하를 반영했던 금리 선물 시장 베팅이 25bp 혹은 동결로 복귀한 영향. 한편 장기물(10Y) 금리의 경우, 아시아 장에서 급등한 이후 10년물 국채 입찰 전 시장 경계감 확대. 다만 예상보다 양호했던 수요에 되려 금리 오름폭은 축소. 이날 진행된 10년물 국채 입찰 응찰률은 2.67배로, 직전(2.59)과 최근 6회(2.56) 응찰률을 모두 상회. 해외 수요인 간접 낙찰률도 전달대비 20.5%p 급등하며 양호한 수요가 확인. 단기물 금리 상승과 장기물 금리 오름폭 축소에 75bp까지 벌어졌던 스프레드가 다시 40bp 수준으로 복귀. 한편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Axios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기업들의 재고가 현재는 충분해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6월부터 드러날 수 있다고 지적.
(달러↑) 한편 달러화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스위스 프랑/엔화/유로화로 이동했던 자금이 다시 복귀하며 강세. (호주 달러, 멕시코 페소, 위안화↑) 동시에 최근 급락세를 보였던 위험통화에도 자금이 다시 유입되며 달러화 강세와 더불어 동반 강세. 대체로 외환시장도 되돌림 움직임이 관찰.
금일 전망: 역외 환율 따라 큰 폭 하락할 달러-원, 남은건 위안화
금일 달러-원 환율은 역외 NDF 환율 종가인 1,440원 초반대로 크게 하락할 전망. 전일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약 75개 이상의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 따라서 안전통화로 이동했던 자금이 다시 평가 절하됐던 위험통화 위주로 유입되며 달러-원 환율도 야간장에서 큰 폭 하락. 수급적으로 봐도 장중 추가 하락 압력이 우위를 보일 전망. 전일 미국 증시가 급등한 점은 오늘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순매수를 자극할 재료. 또한 수출업체 네고 물량이 추격 매도 형태로 출회될 경우 일시적 낙폭을 확대할 것. 외국인들의 포지션도 롱스탑으로 선회할 경우 하방 변동성은 더욱 커질 공산.
다만 주의할 부분은 이러한 하락이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 간밤 중국은 미국에 34%->84%로, 미국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125%로 인상. 달러-원 환율이 최근 급등했던 이유는 위안화/호주달러 영향이 컸으며,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되는 상황 속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하면 과거 1기와 동시에 원화도 재차 약세 압력에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차트3). 오늘 환율의 급락은 되돌림 차원이지 추세로 보긴 어려운 측면.
금일 예상 레인지 1,437-1,447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4월 9일 금 분석D1 프레임은 매수 및 매도 파워가 불분명한 도지 캔들입니다. 하지만 시장은 여전히 하락 추세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H4는 기본 분석 데이터로 인해 2970에서 3050으로 상당히 강력한 가격 상승을 보여줍니다.
거래 시나리오: 금이 피오나치 수정 영역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두 개의 매도 구역인 3063-3065와 3089-3091 구역에 주목하세요.
금이 위의 매도 구역으로 이동하려면 금이 3047을 넘어야 합니다. 3047을 돌파하지 못하고 3039 아래에서 마감될 경우, 미국 거래에서 3021까지 매도할 수 있는 재테스트를 기다리세요. 3021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이 구간에서 매수를 다시 하세요. 만약 3021 이하에서 마감이 확인되면 오늘은 2990까지 유지하세요.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9일 🌐크립토 마켓 요약
주요 이슈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4% 관세 예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4%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암호화폐 시장과 관련 주식들이 큰 영향
이러한 결정은 중국이 미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 중 하나인 점을 감안할 때,
전반적인 시장에 심각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
시장 영향
1. 비트코인 가격 하락 및 대규모 청산 발생
관세 부과 소식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79,000에서 $76,000로 하락
(이는 **2.6%**의 감소)
이러한 하락은 $300 million 이상의 암호화폐 포지션 청산을 초래
2. 암호화폐 관련 주식의 급락
암호화폐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기업들의 주가도 큰 타격
MicroStrategy (MSTR): 주가가 11% 이상 하락
Coinbase, Robinhood 및 비트코인 채굴 기업들: 약 **5%**의 주가 하락을 경험
3. 비트코인 롱 포지션 증가와 시장 심리
흥미롭게도, 비트코인의 롱 포지션 비율은 **54%**로 증가
(단순 저점 매수 기대 심리 해석)
크립토 마켓 주요 이슈
#1.미 법무부, 트럼프 기조 따라 암호화폐 부서 해체
-미국 법무부(DOJ)가 암호화폐 전담 조직인 CELU를 해체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흐름에 따른 정책 변화로 분석
-디지털 자산 관련 범죄 대응 체계의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
-규제 완화는 시장엔 긍정적일 수 있지만 사기/악용 리스크 작용
#2. Bitget, 자체 온체인 플랫폼 출시… CEX-DEX 융합 시동
-글로벌 거래소 Bitget이 온체인 플랫폼을 선보이며 Web3 전략을 본격화
-플랫폼은 탈중앙화 지갑과 온체인 거래 기능을 통합한 구조로 설계
-CEX와 DEX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으로, 유저 중심의 거래 환경을 지향
- 보안성과 유동성 확보가 향후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
#3. 카르다노(ADA), 기술적 분기점에서 매도세와 매수세 충돌
ADA는 현재 기술적 저항선 부근에서 방향성을 고민
(롱포지션 매도포지션 대립)
단기 지표들은 매수세 우위를 시사하지만, 거래량은 감소 중
#4. Web3 벤처 투자, 2025년은 전략의 해가 될 것
-Web3 VC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며 인프라 중심의 투자가 증가
-많은 VC들이 이제는 실사용성과 확장성에 더 주목하는 흐름
-거품기 이후의 투자 흐름으로, 선별적 접근이 더욱 강조
-2025년은 대형 프로젝트보다 '지속 가능성' 있는 솔루션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굵은 녹색 라인은 2023년 9월부터 이어져온 장기 추세선이며 현재 이 추세선을 하방 이탈한 후 리테스트 과정을 거치고 재차 하락하고 있습니다.
1년 이상의 장기 추세선을 이탈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지만 12월 초부터 이어진 하락 추세에서 선물 시장 미결제 약정이 50% 가까이 감소한 부분은 저점이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시장이 이번 관세 정책의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에 접어든다면 현재 나스닥 지수와 커플링 되어 있는 비트코인 시세는 미결제 약정 감소,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암호화폐 규제 완화, 글로벌 금융 기관 진입 등의 시장 분위기와 함께 더 빠른 속도로 회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시간봉 차트상에서 하락세를 마감하는 롱 시그널이 아직 뜨지 않았기 때문에 전 저점을 한번 더 갱신하는 강한 하락이 예상되며 그 시기가 이번 하락의 저점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매물대의 강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자리는 67K 부근이며 더 빠르고 가파른 하락시에는 파란색 점선으로 표시된 하단 추세선 라인에서 저점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04/09 약달러가 아닌 탈달러, 원화는 위안화 영향에 쇼크 전일 동향: 위안화 절하고시와 외국인 자금 이탈에 추가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위안화 약세와 수급 부담 영향에 재차 1,470원 초반대로 상승.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 약세에 1,460원 후반대에서 등락. 다만 위안화의 절하고시와 연동되며 한때 1,470원 초반까지 상승. 오후중 달러화 낙폭 확대에 하락 반전 했으나, 재차 외국인 증시 매도 영향에 1,470원 초반대로 반등. 주간장 전일대비 1.2원 상승한 1,473.2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탈달러 기조 가시화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장기물 중심 매도세 이어지며 베어 스티프닝 확대.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도 10bp 넘게 상승하며 이틀내 40bp 가량 상승. 이는 경제지표와 연관지어 해석하기 어려운 수준. 오히려 1) 최근 자산가치 급락에 따른 현금화 수요, 2) 미국채 장기물에 대한 신뢰도 하락, 3) 트럼프와 관세 협상을 위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미국채 매도, 4) 미국내 금융기관들의 수급 쏠림 현상, 5) 엔 캐리 트레이딩의 청산 측면에서 해석할 필요. 다만 현 시점에서 각 요소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추정하기는 어려워. 이와 별개로 NFIB의 소기업낙관지수는 97.4pt로 전월대비 3.3pt 하락. 3년물 국채 입찰은 응찰률이 2.47배로 직전(2.70)과 최근 6회 평균(2.62)을 모두 하회.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 상승에도 탈달러 기조 영향에 약세. 이날 트럼프와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공동으로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해 비난. 이에 중국의 기존 54% 관세에 더해 추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언급. (스위스 프랑, 엔화↑) 한편 외환시장 내에서 달러를 제외한 안전통화로 자금 쏠림 현상이 지속. 최근 한 주간 +3.95% 강세를 보였던 스위스 프랑은 어제도 +1.34% 통화가치가 상승. 엔화가치도 전일 +1.06% 가량 상승.
금일 전망: 지속되는 위안화發 충격, 달러-원 상승 압력 여전
금일 달러-원 환율은 급등한 역외 환율 이어 받아 1,480원대로 상승할 전망. 전일 트럼프는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응해 추가 50% 관세 부과를 예고. 이에 야간장에서 역외 위안화, 호주 달러와 동조되며 원화도 1,480원을 돌파. 만약 어제와 같이 중국 당국이 위안화를 큰 폭으로 절하하며 환율 전쟁을 암시할 경우, 원화도 장중 추가 상승이 불가피. 특히 최근 Non-Dollar 안전통화로 자산 이동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위험통화인 원화는 추가 약세 압력에 놓인 위안화와 연동이 높아 악재가 겹친 상황.
다만 일시적 급등을 소폭 되돌릴 가능성도 존재. 트럼프는 전일 한국과 일본을 언급하며 관세 협상 가능성을 시사. 트럼프는 韓 권한대행과 관세, 조선, 알래스카 LNG 사업 등을 긍정적으로 논의했다고 언급. 한국에 대한 관세 감면 조치 기대감은 원화에 긍정적 재료. 또한 새벽에 발표된 WGBI는 시점이 연기되긴 했으나, 사실상 외국인의 국채 매수는 통화스왑으로 체결해 원래 현물환 시장 달러 공급 재료가 아니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 장중 환율이 급등할 경우 외환당국의 미세조정 경계감도 작용할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76-1,488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크립토마켓 요약 4월 8일 🌐크립토 마켓 이슈 요약
▶미증시 주요 핵심 이슈
트럼프 관세 유예 90일 유예? . (루머 시작)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를 90일 유예할 것이라는 루머가 퍼짐.
이 소식에 나스닥과 비트코인 모두 급등.
저점 $74,400 → 급등 → $80,000 돌파 → 다시 $79,000선으로 조정
약 10% 가까운 급등락이 90분 사이에 일어남
루머 부인
**백악관 대변인이 “가짜 뉴스”**라고 직접 부인
시장은 다시 반락, 변동성 극심
▶추가 발언들
트럼프는 “세계 여러 나라들이 미국과 협상하러 오고 있다”며 자신감 표출
유럽연합도 "미국과 제로 관세 논의 가능" 언급
▶시장 흐름 전반
이더리움 -11%, XRP -9.3% 하락 중
(전반적으로 ‘패닉 + 회복’ 흐름의 혼란 상태)
▶핵심 포인트 요약:
**관세 유예 "루머"**가 시장을 흔들었고, 실제 발표는 아니었음
비트코인은 $74,400 → $80,000 돌파 → $79,000선 반락
백악관은 루머를 **"Fake news"**라고 일축
시장은 루머와 정정 보도 사이에서 극심한 감정적 움직임 보임
크립토 마켓 핵심 이슈
▶트럼프 대통령, 연준에 금리 인하 촉구하며 '인플레이션 없다' 주장
트럼프 대통령은 Truth Social을 통해 연준의 금리 인하를 다시 한 번 촉구하며, 유가, 식료품 가격 하락 등을 이유로 현재 인플레이션이 없다고 주장함.
최근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커졌으며, 나스닥 선물과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세를 보임.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 문제 해결 전까지 중국과의 무역 협상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함.
▶리플과 BCG, 2033년까지 토큰화 자산 시장이 18.9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리플과 BCG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토큰화된 자산 시장이 2033년까지 18.9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연평균 53%의 성장률을 의미하며, 보수적인 시나리오에서는 12조 달러,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23.4조 달러까지 전망됨.
그러나 규제 불확실성, 표준화 부족, 시장 단편화 등 5가지 주요 장애물이 광범위한 채택을 저해하고 있음.
▶Strategy, 지난주 비트코인 추가 매입 없었으며 1분기 60억 달러 손실 예상
Strategy(구 MicroStrategy)는 3월 31일부터 4월 6일까지 비트코인 추가 매입이 없었으며, 총 보유량은 528,185 BTC로 유지됨.
회사는 1분기에 약 59억 달러의 미실현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새로운 회계 규정에 따른 암호화폐 자산의 시가 평가에 기인함.
평균 매입 가격은 BTC당 약 $67,500이며,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77,000 수준으로, 전체 보유량에 대한 수익률은 약 **14%**임.
▶BitMEX 연구: 영구 스왑 상장 후 평균 62.55%의 가격 상승
BitMEX는 주요 중앙화 거래소의 영구 스왑(perpetual swap) 상장을 분석한 결과, 상장 후 평균 62.55%의 가격 상승을 보였다고 발표함.
BitMEX의 상장은 **58.33%**의 경우 상장 첫날 이후에도 가격이 계속 상승했으며, **41.67%**는 첫날에 최고가를 기록함.
이는 BitMEX의 엄격한 상장 절차와 시장 구조가 이러한 성과에 기여했음을 시사함.
04/08 트럼프가 중국을 때리면 원화가 아프다 전일 동향: 무역전쟁發 위험회피 심리 고조, 달러-원 상승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중 무역전쟁 우려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에 재차 1,460원대로 반등.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야간장 마감가 부근인 1,462원 부근으로 상승 출발. 개장 직후 국내 증시에서 대규모 외국인 자금이탈에 한때 상승폭 확대하며 1,470원도 상향 돌파. 다만 오후중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되자 달러-원 환율도 연동되며 상승폭 축소. 주간장 전일대비 6.8원 오른 1,467.8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엔 캐리 청산? 현금화 수요 급증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증시 급락에 따른 유동성 확보 차원의 매도세 영향에 급등. 이날 유의미한 경제지표는 부재한 반면 무역 전쟁에 대한 방향 전환 재료도 부재. 그럼에도 미국채 금리가 장기물 중심 20bp 가량 급등한 부분은 수급 요인과 현금화 수요가 주효. 특히 미국과 유럽의 국채 금리는 전일 크게 상승했으나, 일본 국채금리는 10bp가량 급락(10년물 기준). 이는 채권시장에서 일부 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 한편으로는 달러화가 미국채 금리 상승과 동반되며 불확실성에 따른 현금화 수요도 작용한 것으로 판단. 경제지표의 경우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고용추세지수가 109.03pt로 전월(108.47)대비 소폭 상승, 다만 시장 영향은 제한. 한편 쿠글러 연준 이사는 "관세가 물가에 상승 압력을 주는 징후가 포착됐다"고 언급.
(달러↑) 달러화는 위험회피 심리에 따른 현금화 수요 영향에 재차 관세 발표 전 부근까지 상승. 트럼프는 이날 중국의 보복관세를 취소하지 않을 경우 50%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 또한 타 국가에 대해서는 협상은 열려있다고 언급. (엔↓) 엔화는 증시 폭락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 영향과 달러 강세 영향에 약세. 이날 발표된 일본의 실질(-1.2%,YoY), 명목임금(+3.1%,YoY) 모두 예상을 소폭 상회했으나 시장 영향은 제한.
금일 전망: 지속되는 관세 불안, 협상 소식 없다면 1,470원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관세 불안 지속에 따라 1,470원대 초반 수준에서 등락할 전망. 전일 트럼프는 4월 9일 전까지 중국이 보복관세를 취소하라고 압박. 따라서 오늘과 내일 중국에서 협상 소식이 들려오지 않는다면 외환시장 변동성은 추가로 확대될 여지. 특히 최근 약세가 두드러진 호주 달러는 최근 달러-원 환율과 연동이 강한 모습(차트3). 2024년 기준 호주는 중국 수출 비중이 34.6%로 가장 크나, 한국의 경우도 19.5%로 중국 수출 비중 매우 높아. 따라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격화될 경우 원화의 추가적인 약세는 불가피한 상황. 중국의 입장 표명에 따라 원화도 급등락을 반복할 수 있어.
다만 추가로 악화되지 않은 위험회피 심리는 상단을 지지. 전일 미국 증시는 추가적인 급락이 제한. 오늘 아시아 증시에서도 전일 급락에 따른 제한적인 반발매수가 일어날 경우 추가적인 환율 상승도 단기간은 진정될 전망. 또한 내국인 투자자의 해외투자자금 청산 자금도 국내로 복귀할 경우 일부 하락 압력으로 소화될 여지.
금일 예상 레인지 1,465-1,47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U..안녕하세요 Descendingkinght_입니다.
----------------------------------------------------------------------
현재 유니티 소프트웨어 주가는 기술적 흐름과 시장 전망이 주목받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상승 요인
1.실적 개선 및 비용 절감 노력
유니티는 구조조정을 통해 비용 효율화를 달성하며 전년 대비 적자를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핵심 사업인 게임 엔진 및 3D 콘텐츠 플랫폼 분야에서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2.AI 및 메타버스 성장과의 연계
유니티는 AI 및 메타버스 기술과의 강력한 연계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시장으로의 확장이 기대됩니다.
이러한 기술 트렌드와의 적합성은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신규 고객 및 계약 확대
유니티는 게임 외 산업(건축, 자동차, 교육 등)에서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며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또한, 기존 파트너와의 계약 갱신 및 추가 계약은 매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시장의 성장
AR/VR 콘텐츠 제작 수요 증가로 유니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1.경쟁 심화
에픽게임즈(언리얼 엔진) 등 주요 경쟁사와의 경쟁은 유니티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제한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2.구조조정에 따른 단기적 불안감
대규모 인력 감축 및 경영진 변화는 내부 안정성과 회사 운영에 일시적인 불확실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경제적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둔화로 기술 기업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약화될 경우, 유니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술적 관점
유니티는 **주요 매물대(20~25달러)**를 터치하며 횡보 중입니다.
거래량의 점진적인 증가세는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
-투자 전략
1.매수 전략
주요 매물대(20~25달러)에서 매수한 투자자라면, **중장기 관점(1년 이상)**으로 보유를 추천합니다.
단기 목표가: 30~35달러
중장기 목표가: 40달러 이상
2.리스크 관리
주요 매물대(20달러)가 무너질 경우 단기적으로 주가 조정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절라인을 설정하시길 권장합니다.
시장 상황 및 업계 경쟁 상황을 주시하며 유연하게 대응하세요.
유니티 소프트웨어는 기술적 분석과 사업 성장 가능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장기적으로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
제 의견이 마음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부탁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5년 나스닥: 큰 성장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은 여전.'2025년 나스닥: 큰 성장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은 여전'
안녕하세요,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오래오래 건강하시고, 올해 원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길 바랍니다. 🎁
오랜만에 유의미한 움직임인 것 같아 아이디어를 남기려 합니다. 작년 2024년의 나스닥은 매우 큰 성장을 이루었고, 그 안에는 AI섹터가 굉장히 강한 모멘텀을 불러일으키며 매그니피센트7(구글,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을 주축으로 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성장하였습니다.
작년 2024년에는 최강의 해결과제 3가지가 있었죠.
1-인플레이션 해결과 함께, 금리 인하는 언제 시작하나?
2-미국 대선의 승자는 누구?
3-미국 부채한도 위기
이 외에도 전쟁이나 이민, 신용등급 강등의 위기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잘 이겨냈고, 나스닥이 포진해 있는 미국 기술 기업들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인정을 받은 한 해였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깔끔하게 해결된 문제가 있는 지에 대해 전 아직 불확실성이 크게 존재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작년엔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약 70여개국에서 선거를 치뤄 여러 정책이 바뀔 수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아직 완전히 잡히지 않았으며, 부채한도는 아직도 살얼음판입니다. 전쟁 또한 극심해지고 있으며 정책 또한 각 정당들의 대립과 감정격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어느하나 또렷하고 깔끔하게 해결된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AI를 주축으로 한 시장에서 나스닥은 성장성을 인정받았고 계속해서 빅테크들은 성장할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의 가격은 이미 어느정도는 다 선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올해는 성장을 하되 속도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고, 어느정도 선반영되어 있는 상태라면 박자가 맞지 않아 균형을 위해 주춤하게 될 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거시 경제 부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2024년의 화두가 '금리를 도대체 언제 인하하지?' 였다면 2025년의 중요포인트는 '그래서 금리를 얼만큼이나 인하할건데?' 라 할 수 있습니다. 선반영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아직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는 점을 기억하고 있어야합니다.
따라서 저는 나스닥의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는 아이디어를 개진합니다.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위 차트를 살펴보면 베어리쉬한 하모닉 패턴 2개가 연속으로 나타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패턴은 딥 크랩(Deep Crab) 패턴이며, 작은 패턴은 나비(Betterfly) 패턴입니다.
여기에서 해석을 덧붙이자면, 딥크랩의 C부분이 좀 짧지만 파동의 힘을 비교할 때, 상승의 힘이 매우 크기에 그러한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하며, 다른 차트나 비슷한 차트상에서도 해당 부분에 베어리쉬 패턴이 자리잡고 있기에 큰 움직임상에서 패턴을 판별하기에 길이가 조금 짧은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반영하였습니다.
이런 경우 조그마한 상승이 한 번 더 연장되어 나타나었지만, 베어리쉬 나비 패턴 이후 반응이 제대로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나비 패턴의 성격과 함께 좋은 신호라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또한 딥 크랩 같은 경우 아직 비율 2가 넘지 않았기에 아직 유의미한 패턴과 비율을 가지고 있는 유효한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RSI(상대강도지수)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RSI 주봉상에서 RSI기반 이동평균선의 지지선을 뚫고 내려간 상태입니다. 현재 월봉은 마감이 매우 많이 남아있으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나 주봉상에서 유의미한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지선을 뚫고 내려가면 한동안 하락세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움직임은 포착하여 기억해두심이 좋습니다.
저는 현재 이 파동에 대한 되돌림이 진행이 될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있습니다.
이 큰 파동에 대한 되돌림일지 아니면 작은 나비 패턴에 대한 되돌림 정도에 그칠 지 모르겠지만, 장기 로그 차트상으로 보았을 때, 채널 중단의 지지자리를 내어 줌에 따라 채널 하단 도달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후에 채널을 뚫는다면 위의 차트처럼 보다 큰 파동의 되돌림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아직은 진행됨이 너무 적어 또렷이 알기가 어렵습니다.
항상 되돌림을 계산할 때에는 무슨 파동에 대한 되돌림인지 어떠한 시간에 대한 관계가 합당하느냐를 살펴야 합니다.
이와는 별개로 미국의 장기 채권 수익률 등이 상승 중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 선호도가 떨어질 염려도 있으므로 같이 잘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2025년 상반기에는 주춤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며, 이후 하단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잘 상승할 것이고, 이탈하며 만약 더 큰 되돌림이 진행된다면 조정 시간을 더 길게 잡아야 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차트를 분석할 때에는 항상 가격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함께 생각하셔야 합니다. (차트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본질인 X축,Y축이니까요.)
올해엔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여러 대응계획을 세워야 하며, 무리한 투자를 하지 않고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아이디어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항상 행운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
❤️❤️❤️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7일 4월 7일 크립토 마켓 요약
크립토마켓 상황 (코인 마켓캡 기준 4월 7일 / 9시 30분 )
현재 비트코인(BTC) 가격은 77K로, 전일 대비 7.24% 하락
최근 비트코인은 시장의 심리적 지지선인 80k 가 붕괴되며 큰 하락 흐름을 보였고
이는 시장의 불안정성 증가로 인한 투자자들의 매도세로 해석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ETH)**은 전일 대비 13.81% 하락,
XRP는 11.27% 하락,
솔라나(SOL)**는 11.71% 하락 (특히 솔라나는 $105.37로 큰 폭의 하락을 기록하며 약세)
이러한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부과
미국 정부는 수입 관세를 강화하며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암호화폐 시장에 부정적 영향 작용
이러한 관세 부과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었으며,
암호화폐시장은 다시한번 대규모 레버리지 청산이 확인되었고 투자자들은 위험 회피 심리▲
#1. 저스틴 선, 퍼스트 디지털 트러스트의 사기 행위 비판
트론(TRON) 창립자인 저스틴 선이 **퍼스트 디지털 트러스트(FDT)**의 $5억 상당 고객 자금 횡령 의혹을 강하게 비판
그는 이번 사건이 FTX 붕괴보다 10배 더 심각하다고 주장하며,
FDT가 고객 동의 없이 자금을 유용하고 내부 구조 없이 자산을 도용했다고 지적
또한, 홍콩 규제 당국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하며,
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5,000만의 현상금 내걸었음
#2. 바이낸스의 전 CEO인 암호화폐 거래 부인
**창펑 자오(CZ)**가 최근 홍콩에서 열린 BNB 슈퍼 밋업 깜짝 등장하여 주목
이 자리에서 그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자신의 관여를 부인하며, “나는 암호화폐를 많이 거래하지 않는다”고 언급했고.또한 CZ는 최근 밈 코인에 대한 과도한 관심을 지적하며, 젊은 투자자들에게 “매달 감당할 수 있는 소액을 투자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며 달러-코스트 애버리징(Dollar-Cost Averaging) 전략을 권장
#3. 코인베이스 3월 한달간 총 $4.600만 달러 사기 피해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사용자들이 3월 한 달간 총 $4,600만 상당의 암호화폐 사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사기는 주로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해커들이 사용자들을 속여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방식
암호화폐 조사관인 ZachXBT는 코인베이스가 이러한 사기에 대해 충분한 경고나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하며, 거래소의 대응이 미흡하다고 지적 또한, 그는 이러한 사기로 인한 연간 손실이 최대 $3억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암호화폐 사기가 여전히 만연하며,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
04/07 대내 불확실성 진정되니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 전일 동향: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달러-원 큰 폭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대통령 탄핵 인용 소식이 불확실성 해소 재료로 소화되며 1,430원대까지 하락.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미국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약달러 소화하며 하락 출발. 이후 탄핵 선고 전 외국인들의 포지션 플레이에 빠르게 1,440원대까지 하락. 11시 탄핵 선고 이후 인용으로 선고되자 1,430원까지 낙폭을 확대. 다만 외국인 증시 순매도 영향에 하단 지지되며 소폭 반등. 주간장 전일대비 19.4원 하락한 1,434.1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퇴색된 경제지표 의미, 관세 전쟁 우려 심화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관세 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 하락. 이날 발표된 비농업고용지표는 오히려 양호. 3월 비농업고용자수는 22.8만 명으로 집계되며 예상(13.7만), 전월(11.7만)치를 크게 상회. 지난 1-2월의 경우 총 6.6만 명이 하향 수정 됐으나, 3월 수치의 서프라이즈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 또한 실업률은 4.2%로 집계되며 전월 4.1%대비 상승했으나, 사실상 소수점 3자리까지 보면 4.139%->4.152%로 소폭 상승. 유일하게 불안했던 지표는 핵심 노동인구인 25-54세 경제활동참가율이 83.5%->83.3%로 하락한 점이나, 과거 장기 평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 즉 이날 미국채 금리 하락은 경제지표가 아닌, 중국의 보복관세에 따른 안전선호 심리가 주도. 한편 파월 의장은 이날 발언에서 1) 이번 관세 인상은 예상보다 상당히 크며, 2) 이에 따른 물가는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 상승이 가능할 수 있다고 언급. 지난 FOMC 회의보다 더욱 매파적인 스탠스에 미국채 금리는 낙폭을 일부 회복.
(달러↑) 달러화는 전일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세와 안전선호 심리 영향에 강세. (위안화↓) 위안화는 중국이 4월 10일부터 미국에 34% 보복관세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약세. (호주, 뉴질랜드 달러↓) 한편 미중 관세전쟁 확산 소식에 미국과 중국 양측에 무역 의존도가 높은 호주달러(-4.6%), 뉴질랜드 달러(-3.4%) 중심 약세가 부각.
금일 전망: 달러화는 양방향 열린 상황, 달러-원은 상방 우위
금일 달러-원 환율은 위험회피 심리에 따른 외국인 매도세 영향에 재차 1,460원 중심으로 등락할 전망. 지난주 금요일 국내 탄핵 정국 종료에도 안전선호에 따른 강달러로 인해 달러-원 환율은 재차 1,460원 수준으로 복귀. 이러한 상황 속 1)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 급락에 더해 오늘 새벽 미국 지수선물이 추가로 급락 중이라는 점, 2) 한국도 호주와 같이 미-중 양국 모두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라는 점, 3) 4월은 계절적으로 국내 기업들의 외국인 배당금 지급이 있어 달러 수요가 확대될 여지가 있다는 점 등, 달러-원 환율은 상승 재료가 더욱 우위라는 판단.
다만 달러화 자체는 추가적인 강세, 약세 모두 예측이 어려운 상황. 동일한 관세 재료가 하루는 달러화 강세, 하루는 약세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현재 달러는 포지션 거래와 같은 수급에 연동되어 움직일 가능성. 엔화와 유로화 등 차선 안전자산은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위험통화인 원화는 이에 동조하기 힘들다는 판단.
금일 예상 레인지 1,450-1,46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 시장의 방향은?안녕하세요, 전업 트레이더 Dusk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4월 3일 한국시간 새벽5시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책 발표가 있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 후 현재까지 주요 투자상품의 움직임
Bitcoin -6.4% BINANCE:BTCUSD
Nasdaq -12.6% CME_MINI:NQ1!
Gold -4.7% TVC:GOLD
Tesla -16.25% NASDAQ:TSLA
상호 관세 발표 후 골드는 씨익.. 웃는지 알았지만
결국 골드 및 모든 투자시장이 곤두박질 치며 시장을 흔들었습니다.
S&P 500은 당일 -5.97% 하락해 이틀 동안 -10.5% 급락 (역대 16위)
는 2020년 3월 12일 (역대 6위) 이후 가장 큰 이틀 간의 낙폭이라고 합니다.
당시 시장상황
모든 시장이 붉게 물들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의 시장상황을 봐야겠죠??
최고점 대비
나스닥은 -22%
비트코인은 -30%
그외 알트코인들은 -40~80%
이후 중국은 미국상품에 34%로 보복관세를 예고했습니다.
또 상호 관세 정책에 해당되는 국가들이 담합하거나 혹은 개별로
미국에대해 보복관세를 적용시키는 순간 이 관세전쟁은 꽤나 길어질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투자자 와 트레이더라면 이런 시장 상황에 더 집중해야합니다.
전 비트맥스의 CEO 아서헤이즈의 트윗입니다.
정리해보면
🌍 글로벌 달러 시스템의 변화
1971년 금본위제 폐지 이후 미국 국채는 85배 증가했으며, 세계 경제를 위한 신용 달러 창출이 필요하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경상수지 적자가 줄어들면,
글로벌 시장에 달러 공급 = 감소
이는 외국인들이 미국 채권과 주식을 구매할 달러가 부족해지걸 의미합니다.
💰 금과 비트코인의 부상
국가들은 글로벌 무역 결제를 위해 금 보유량을 늘릴 것입니다.
금은 관세 면제 대상이므로 새로운 세계 통화 질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중요한 대안 자산으로
"100만 달러까지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 존재 한다고 주장
🔍 시장 영향 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강화는 글로벌 달러 유동성 감소로 이어지며,
금과 비트코인 같은 희소성 있는 자산의 가치가 상승할 환경이 조성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생각
관세로인한 문제가 길어지며 시장은 차차 적응할테고
6월부터는 금리 인하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
현재 시장은 공포심리가 높은상태를 유지하고있지만
투자자 및 트레이더는 지금부터가 시장을 눈여겨 봐야 할 타이밍이죠
*비트코인은 현재 가격대에서 폭력적으로 20~40% 하락 할 가능성은 낮으며,
10~20% 추가 하락시 주요 알트코인들은 세일구간에 접어들게 됩니다.
고로 현재 비트코인이 상승해준다면 그대로 좋고 하락할지언정
주요 알트코인들의 매입 기회를 엿볼수있는 상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비트코인의 자세한 매수 구간에대해선 이전 아이디어를 참고해주세요!!
04/04 무너지는 달러, 심판대 오른 달러-원 전일 동향: 트럼프 관세에 급등 후 진정, 달러-원 1,460원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상호관세가 촉발한 위험회피 심리에 1,460원 중반대로 상승.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예상보다 높은 아시아 국가 관세 영향에 위안화 약세와 연동되며 상승. 한때 1,472원까지 상승한 환율은 이내 글로벌 달러화 약세 영향에 상승폭 축소. 다만 장중 외국인들의 국내 증시 순매도가 대규모로 이어지며 1,465원 중반에서 하단 지지. 주간장 전일대비 4.5원 오른 1,467.0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무너지는 심리, 흔들리는 달러 위상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경기침체 네러티브 강화되며 단기물 중심 큰 폭 하락. 이날 미국채 금리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아시아 장에서부터 하락. 이후 미국의 고용시장, 서비스업 지표 둔화에 금리 인하 가능성 대두되며 추가 하락. CG&C에서 발표하는 민간기업 감원 계획은 27.5만건으로 집계. 이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리해고 영향에 전월대비 60%, 전년대비 205% 증가한 수치. 또한 주간으로 발표되는 실업수당 청구건수(연속) 또한 190.3만 건으로 집계. 전주 대비 5만건 급증하며 시장 예상치(186만)를 큰 폭 상회. 한편 S&P 글로벌에서 발표하는 서비스업 PMI는 54.4pt로 예상(54.3)을 상회했으나, ISM 서비스업 PMI는 50.8pt로 집계되며 예상(53.0)을 크게 하회. 두 지표는 세부 항목에서도 엇갈렸으나, 관세 정책과 DOGE의 예산 삭감 등 정책 불확실성에 기업들의 심리가 위축된 부분은 동일하게 언급. 불안한 지표에 현재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미국의 4회 인하까지 반영.
(달러↓) 달러화는 미국 경기 둔화 우려와 안전자산 위상에 대한 시장 의구심 영향에 큰 폭 하락. (유로, 엔↑) 한편 주요국 통화도 약세 압력 받았으나 달러화 약세 영향에 강세. 트럼프의 관세에 대응해 캐나다는 미국산 자동차에 25% 보복관세 부과. 중국과 유럽, 일본의 경우 협상 가능성은 열어두겠으나 동시에 대응책도 마련하겠다는 입장 발표.
금일 전망: 오전 11시 탄핵 심판 선고, 달러-원 변동성 확대 유의
금일 달러-원 환율은 탄핵 선고를 기점으로 결과에 따라 방향성이 엇갈릴 전망. 오늘은 글로벌 외환시장과 별개로 국내 재료로 환율이 움직일 전망. 지난 4월 2일 탄핵 선고 기일이 발표됨과 동시에 외환시장은 원화 매수로 반응. 그만큼 최근 달러-원 환율 상승에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판단. 따라서 오늘 11시를 기점으로 탄핵 결과가 발표되면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환율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 높아. 단순 비교는 어렵겠으나, 과거 탄핵 심판 이후 환율 흐름을 보면 2004년과 2016년 사례 모두 탄핵심판 결과와 관계없이 환율은 하락한 사례 존재.
다만 탄핵 심판이 기각될 경우 환율은 상승 전환할 가능성도 배제 불가. 과거와 달리 작년 12월 비상계엄 이후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와 괴리되며 하방 제약적 흐름이 지속. 대내외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현 상황속 탄핵이 기각되면 시장은 되려 불확실성 확대 재료로 소화할 가능성도 존재. 오늘 환율의 경우 전망보다는 대응이 더욱 중요한 시점. 탄핵 선고를 기점으로 환율이 하락한다면 수출업체 네고 물량의 추격매도, 상승한다면 결재수요 등 매수세가 각각 유입되며 일시적 변동성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
금일 예상 레인지 1,440-1,460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BTC 방향분석안녕하세요 반딧불이입니다.
팔로우와 부스터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관점을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으로 나눠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분석
1. 상호관세
지난밤 트럼프의 해방의 날 상호관세 안 이후 시장은 급락을 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전 세계 10%에서 이후 개별국가별로 관세를 추가하면서 시장은 큰 하락을 하기 시작하였고 다행히도 비트코인은 이전에 상승분을 반납하는 정도에서 마무리된 상태입니다.
현재 트럼프는 관세 안에 대응하는 국가에게는 더 큰 관세를 부과한다는 엄포를 하였지만 이미 많은 나라들이 대응을 준비 중인 것으로 보아 관세전쟁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일전에 유튜브에서는 말하였지만 관세 안이 나온다고 해서 바로 다른 국가들이 받아들이기보다는 협상하는 과정에서 갈등으로 인해 차트가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만큼 변동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2.4월 15일 미국 세금납부
미국세금납부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금을 줄이기 위해 일부로 중소형주를 물려 감세혜택을 받는 극단적인 상황도 존재하는 만큼 많은 투자자들이 세금을 내기 위해 자기의 자산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하락이 어느 정도 나올 수 있다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저스틴썬 FDUSD 저격
저스틴썬의 발언으로 FDUSD의 페깅이 10% 정도까지 발생하였지만 이내 회복하였으며 스테이블코인의 몰락은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는 게 중요해 보임
종합적으로 봤을 때 리스크관리를 하며 신규지지라인 및 포지션을 어디서 구축할지 시나리오를 구성해 놓는 게 좋아 보이며 관세 안이 변수가 많은 만큼 계속 관심을 가지며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적 분석
비트코인은 빨간색 저항 라인을 결국은 돌파하지 못하고 주황색 하락 채널도 돌파하지 못하고
일봉을 마감한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저항을 돌파하는척하다가 다시 안쪽으로 들어와 마감하게 되면 하락이 이어지는 경우가 높으며 미국 및 나스닥 차트를 고려하였을때 하락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대응 그에따라서 하락채널의 하단부근과 이전 고점돌파직전의 매물대 73000부근에서의 지지를 예측해볼수 있으며 저 구간이 뚤리게된다면 2차 지지구간 63000부근까지도 밀릴 염두를 생각해야함.
현재 나스닥차트를 보았을때 18000 초반부근에서의 지지를 예상하는 바 나스닥 반등시점과 맞물려서 반등할수도 있기에 나스닥차트도 지속적 추적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비트코인이 이전 저점을 깨지 않고 79000쯤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바로 올라가는 시나리오도 존재하지만 현재까지는 조금더 관찰이 필요해보입니다.
크립토 마켓 요약 4월 3일 🌐 4월 3일 크립토 마켓 요약
시장 요약
현재 비트코인은 82K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전일 대비 약 -1.3% 하락한 흐름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으로 인해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단기 매도세가 유입된 상황 (코인마켓캡 기준 시세현황)
시총 2위인 이더리움과 XRP, 솔라나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0.8%, XRP는 +0.3%, 솔라나는 –1.6%를 기록하며
전체 적으로 관망세를 유지
시장 정리
이번 하락 흐름의 주요 배경은 위에서이야기했듯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조치” 발언이 원인임
이 발언은 미국 무역 상대국에 대해 강경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며,
시장은 정치적 리스크 판단함
특히 이번 관세 정책은 확실한 발효 일정과 함께 진행되 ,
일부 투자자들은 리스크 회피 차원의 매도세로 전환
이로인해 금일 새벽 미증시 3대지수와함께 나스닥 선물지수는 동반 하락세를 기록
핵심 이유
#1. 리플(Ripple)의 RLUSD 스테이블코인
리플은 RLUSD를 국경 간 결제 시스템에 통합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이미 초기 수요가 시장의 기대치를 초과한 상황
이는 단순한 스테이블코인 출시가 아닌, 기존 금융 인프라와의 연동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리플의 글로벌 결제망 전략에 있어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
특히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RLUSD는 규제 친화적 구조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되며, 리플 토큰의 가치에도 직접적인 영향
#2.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신규 비트코인 ETF 출시에 대한 소식
기존 GBTC는 프리미엄/디스카운트 문제로 인해 투자자들의 불만이 많았던 상품, 이번 신규 ETF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SEC의 승인 구조에 맞춘 ‘정식 ETF’ 형태로 전환된 것이 핵심
이는 블랙록, 피델리티 등 기존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ETF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신호이며, 그레이스케일 역시 기관 자금 유입 경쟁에 뛰어들 준비가 되었다는 뜻으로 해석
앞으로 ETF 간 수수료, 추종률, 유동성 등 세부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시장 안정성에도 중요한 역할
#3. Polymarket에서의 트럼프 관세 관련 베팅 급증
실제로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미국에 경기침체가 올까?”라는 주제에 대해 약 50만 달러 이상의 베팅 금액이 유입되며 주목
이러한 정치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들의 직접적인 행동은 온체인 시장에서도 감지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이슈 반응이 아닌, 향후 미국 대선과 연관된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 대응으로 해석
특히, 트럼프의 발언이 반복될 경우 해당 이슈는 단기 트레이딩 전략뿐 아니라, 크립토 시장 내 리스크 자산 선호도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장기 시그널로 작용
전체적으로 오늘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이슈로 인해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해졌으며, 일부 주요 코인들은 제한적인 하락 흐름을 보이는중
그러나 동시에 리플, ETF 경쟁, 온체인 베팅 등의 개별 이슈는 활발히 전개되고 있어 이중적 흐름이 감지
(데일리 크립토 시황 매일 올라옵니다 : 팔로우& 부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