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데이터(3) : 'TVL'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에 예치된 총자산 규모)
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레이딩뷰에서 살펴볼 수 있는 온체인 데이터 중에 굉장히 유용한 디파이 지표 중 하나인 디파이라마(DEFILLAMA)의 TVL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TVL은 무엇인가
TVL은 탈중앙화된 금융 플랫폼인 디파이(DeFi)에 예치되어 있는 자산 규모의 총 가치를 의미합니다.
즉, TVL은 프로젝트에 잠겨 있는 모든 자금, 토큰 및 기타 자산의 가치를 측정하며, 이는 프로젝트의 규모와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 지표입니다.
이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현재 안정성이 있는지,인기가 있는지, 현재 저평가가 되어 있는지 이런 것을 살펴볼 때 유용한 지표입니다.
TVL은 플랫폼의 스마트 계약에 잠겨 있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DeFi 프로토콜 중 하나인 Maker DAO(MKR)의 경우 TVL은 플랫폼 금고에 대출 담보로 보유된 자금의 양을 나타냅니다. 분산 거래소(DEX)의 경우 TVL은 유동성 풀에서 잠겨있는 총 금액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TVL 값이 클수록 더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나타냅니다.
2. 트레이딩뷰에서 TVL을 찾는 방법
트레이딩뷰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심볼 찾기에서 DEFILLAMA: 를 입력하시면, 보실 수 있는 모든 심볼이 나오며 TVL을 검색어로 치시면 종목별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3. TVL을 어떻게 유용하게 사용하는가
TVL은 시간 경과에 따른 프로젝트의 성장을 추적하고 서로 다른 프로젝트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보안 및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투자자가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판단하여,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TVL에는 스마트 계약에 잠긴 토큰의 총량, 지갑에 보관된 총 자금, 거래소에 보관된 총 자금, 지갑에 보관된 총 자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수치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투자자는 프로젝트의 상태와 보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TVL이 높으면 좋은 숫자라 생각할 수 있지만, 자금 확보를 위한 다양한 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더 안전한 프로젝트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보안은 스마트 계약에 잠긴 자금의 양,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지갑과 거래소의 수, 전반적인 탈중앙화 수준. 높은 TVL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취한 다
양한 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다른 요소들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를 들면, 미국의 공급량이 어마하게 증가했던 시기에는 디파이 시장의 TVL또한 엄청나게 증가하였고,
미국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상관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4. 크립토 스크리너를 통해 TVL 살펴보기
트레이딩뷰의 암호화폐 스크리너에서는 TVL 의 수치를 반영한 코인의 목록을 차례대로 나열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예치된 TVL이 어느 크립토의 프로젝트로 수급이 몰려있는지 한 눈에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크립토 스크리너로 가셔서 DEFI 스크리너로 이동하신 뒤 컬럼셋 목록에서 TVL을 추가하신 뒤 눌러서 살펴보시면, 차례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크립토 프로젝트를 생각해보고 살펴보세요 .😊
트레이딩뷰과 파트너쉽을 맺은 디파이라마(DEFILLAMA)의 TVL을 사용해보시고,
크립토 시장의 분석에 많은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팀 트레이딩뷰 ❤️
커뮤니티 아이디어
당신은 지금 어떤 생각으로 임하고 있습니까? Liquidity(교육, 심리)
가격의 움직임을 볼때 liquidity를 생각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누군가는 시장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우리는 지정가 매도와 지정가 매수를 더 자주사용합니다. (기관,개미)
세력이나 거래소의 입장에서 전세계사람들이 설정하는 지정가는 곧 청산이 되기때문에 어디까지 가면 수많은 개미들을
청산시킬수 있겠다. 라고 생각하는 거죠
시장의 경우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기도 하지만, 청산시키려고 가격이 움직이는것이고 그런 청산이 liquidity 유동성을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supply 와 demand 에서 Sr flip 이나 Double sr flip 이 발생하는것이죠
SFP ( Swing failure pattern) ..
자 숏을 청산시키는 움직임이 나오기 전 시간을 돌려서 시장참여자들이 어떤생각을 했을까 생각해봅시다.
누군가는 노란색 추세선에서 저항을 받는과정임으로 숏을
누군가는 음운에서 저항을 받는 과정임으로 숏을
누군가는 추세선을 뚫을 거라는 설레발 롱을
누군가는 CVD 와 뭐 등등 근거들을 보고 변곡점 롱을 진입했을겁니다.
롱이나 숏이다 전에 리플레이의 해당지점이 변곡점 = 분기점이라는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것입니다.
그 이유는 하락이 나오고 나서 음운과 만나는 첫 지점이였으며 과매도 구간을 만들고 다음 발산을 위한 수렴의 마지막 단계였기 때문입니다. 추세의 지속이냐 , 추세의 전환이냐
(그물망같은것이 모이는 지점이 다음 추세가 시작되기에 충분한 시간이 모였다는 의미입니다.) 수렴과 발산
기존 추세의 숏과, 위에서 저항을 받고 내려왔기때문에 숏으로 진행될거같다는 생각을 70프로 했습니다.
그리고 설령 뚫어낸다고 해도, 기존의 저항이 되었던 22767을 뚫지 못한다면 , 음운안에서 휩쏘가 나와서 추격 숏들을 죽이고 그대로 하방으로 내릴수도 있었습니다. ( 지금은 휩쏘일지, 음운안에서 버텨서 전고점까지 갈지를 결정하는자리)
그래서 롱을 진입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있는자리였습니다.
주황색으로 표시된 22767 ~ 22854는 POC 등 매물이 겹치는 자리기도 하기때문에 여기를 뚫을거야 하고 롱을 타기에는
기존의 추세를 생각하지 못했던것이고, 그런 생각을 무수히 반복하다보면 한두번은 벌어도 나중에는 잔고가 0원이 됩니다.
그렇다면 롱이나 추세 전환의 근거가 없었냐 ? 그거는 아닙니다.
제가 해당 리플레이버튼 자리에서 숏을 일부 익절한이유는 CVD를 참고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누군가가 에너지가 모인저곳에서 추세선 저항과, 음운 이탈 , 기존 추세를 고려했을때 시장가 매도를 진입했지만
지정가 매수가 그런 시장가 매도를 모두 흡수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 추세의 전환
그렇다면 우리는 어라? 추세의 변곡점인가?
1. 휩쏘로 상방 숏을 청산시키겠다.
2. 휩쏘가 아니라 전고점까지 가서 liquidity 청산시킬수 있겠다.
그렇다면 현시점에서 우리가 고려할수있는 PA는 3가지 정도인데
A. 하얀색 시나리오
현시점에서 적당히 휩쏘로 끝내고
음운이탈 못하고 22767 저항 받고 하락하는 그림
B. 노란색 시나리오
22767은 뚫지만 다음 POC인 매물의 중심 22854를 뚫지 못하고 강하게 하락하던가
C. 파란색 시나리오
그동안의 횡보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설정한 숏들의 SL가 위치한 구간 23400 ~ 23700까지 상방돌파하는 그림입니다.
만약 A, B 로 간다면 고려할게 별로 없습니다.
다만 C로 간다면 이제 1.13 이나 피보나치 비율 , SFP , 고점에서 CVD 다이버전스 등등을 확인해서 Wychoff Utad 개념으로
접근하는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코인 시장의 테마!!! 코인생태계에 대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이 상승장과 하락장을 겪으면서 많은 테마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테마는 ecosystem 이라는 이름으로 서로 연결된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도 다가올 내년의 상승장 이후에는 테마 코인들의 순환 펌핌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코인(토큰)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또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하나의 코인생태계를 만들고 확장시켜나가면서 자신들의 생존력을 높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과 동떨어지게 어떠한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하지 않는 코인(토큰)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독자 생존을 이어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거래할 때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진행하거나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 어떻게 급락하여 다시 회복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USDC을 통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자금과 주식 시장에 새롭게 출시되고 있는 코인 투자 상품들에 의해 기존 투자 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코인 시장을 점점 잠식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들은 더 많은 개인투자자들을 투자 시장으로 투자하게 만들게 되지만, 개인 투자자가 스스로 거래하여 큰 수익을 얻는 시기는 점점 감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점점 더 개인 투자자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줄어들게 되고, 투자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제공하는 정보로 그들의 뒤를 따라 거래해야 하는 시기가 오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형성되어지고 있는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찾아 하나로 묶어 어떠한 순환 펌핑이 일어나게 되는지 파악해 나가야 합니다.
이전처럼 하나의 코인(토큰)의 로드맵이나 재단이 말하는 그러한 기술적인 얘기로는 더 이상 투자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만들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코인생태계(ecosystem) 중에서 관심있게 보고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Ethereum Ecosystem
BNB chain Ecosystem
Cardano Ecosystem
Solana Ecosystem
Polkadot Ecosystem
TRON Ecosystem
Avalanche Ecosystem
Polygon Ecosystem
Near Protocol Ecosystem
Cosmos Ecosystem
Fantom Ecosystem
Optimism Ecosystem
위와 같이 11개의 코인생태계(Ecosystem)입니다.
코인생태계(Ecosystem)의 대표 코인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BTC
ETH
BNB
ADA
SOL
DOT
TRX
AVAX
MATIC
NEAR
ATOM
FTM
OP
이 외에 사용자 커뮤니티가 큰 코인들과 코인생태계(Ecosystem)을 만들 가능성이 있는 코인입니다.
XRP
ALGO
KLAY
현재 대부분의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해 있는 코인 중 대표적인 코인은 LINK 입니다.
다만, 코인의 자체 이슈로 인하여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야 하는 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XRP
SOL
TRX
KLAY
OP
위의 코인(토큰)들은 자제적인 이슈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거래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OP 토큰은 코인생태계(Ecosystem)이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므로 최소한 다음 파동이 나올 때까지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 시장은 내년이 있을 상승장 이후로 개인 투자자들이 접하게 되는 온갖 정보들은 주식 시장에 준하는 정보들로 도배되기 시작할 것이라는 겁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코인 시장에서 꾸준한 수익을 얻기 위해 새롭게 변화되는 있는 테마, 코인생태계(Ecosystem)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Cyper, 3파 연장 충격 파동, 지지 & 저항반갑습니다
지난 아이디어 이어서 분석하겠습니다.
이 전 아이디어 보고오시면 더욱 이해가 가실겁니다.
위 그림을 보자면, 3파 연장 충격 파동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삼중 조합 패턴의 마지막 파동이 "플랫 파동" 으로 나타난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이렇게 된다면, 플랫 파동의 "c파동" 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왔기 때문에,
상승의 힘이 강화됐다.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위 그림은 싸이퍼 패턴을 작용한 모습입니다.
C포인트는 XA projection(1.272~1.414) 에 존재해야하며,
D포인트는 XC(0.786) 구간입니다.
TP구간은,
1차 : CD(0.382)
2차 : CD(0.618)
입니다.
TP구간을 보자면,
각종 주요 저항라인이 존재합니다.
이로써 더 패턴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삼중 조합의 조정파동이 끝난 후,
새로운 충격 파동의 등장인데,
이 파동으로 인해 다시 한 번 불같은 상승장을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비트코인] 간만에 의미있는 파동 나왔으니 엘파 시나리오 업댓 해야쥬#비트코인 #일봉 #로그차트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 토미입니다. 다들 새해 잘 보내고 계시는지요? 비트코인이 최근에 가파른 상승세로 2만불 위로 다시 올라와준 모습이네요. 단기적인 관점에서 Swing High를 성공했으니 파동 카운팅 업데이트를 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일봉 선형차트가 아닌 로그차트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해봤습니다.
- 첫번째 시나리오는 6.9만불부터 시작된 하락파동을 하나의 5-3-5-3-5 하락 충격 파동으로 해석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크게 두가지 케이스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대상승 충격파동 사이클이 끝나는 지점을 21년 4월 6만불 고점으로 보는 카운팅과 21년 11월 2.9만불 고점으로 보는 카운팅입니다. 전자는 3-3-5 Expanded Flat으로 조정 사이클이 다 끝나고 이제 새로운 상승 충격파동이 시작되는 가장 Bullish한 시나리오이고 후자는 5-3-5-3-5로 이루어진 하락 A파가 끝나고 이제 상승 B파가 시작되는, 약간은 덜 Bullish한 시나리오입니다. 해당 관점으로 도출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들은 27700~28700, 37800~38800, 그리고 44700~45700입니다.
- 두번째 시나리오는 6.9만불에서 시작한 하락파동을 WXY 복합조정으로 고려한, 약간 Bearish한케이스입니다. 22년 6월 1.7만불 찍고 8월 2.5만불까지 반등한 파동을 X파, Wave Failure로 보고 이후에 나온 하락 파동을 5-3-5, ABC 파동 구조로 대입해봤습니다. 이 경우도 두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1.5~1.6만불에 형성된 저점을 Y파의 A파로 보고 최근에 나온 단기 상승파동을 Y파의 B파 진행 중으로 보는 시나리오입니다. 다음은 1.5~1.6만불 저점을 Y파의 A파의 1파로 보는, 가장 Bearish한 카운팅으로 2.5만불 상방돌파 시 무효입니다. 해당 관점으로 도출해볼 수 있는 Y파 및 C파 타겟팅 혹은 지지구간들은 13300~13800, 11600~12100, 그리고 9500~10000입니다.
- 마지막 시나리오는 큰 맥락에서 첫번째 시나리오와 비슷한 Bullish한 케이스입니다. 하락 조정 사이클이 끝났다고 가정을 하는 카운팅인데 첫번째 시나리오와 달리 5-3-5 ABC 조정 파동 구조를 대입해봤습니다. 로그차트 상 연장 C파를 고려한 셈이죠. 고로 최근에 나온 상승파를 새로운 충격파동의 시작으로 봐야겠죠. 하지만 두번째 시나리오와 비슷하게 Wave Failure 출현으로 WXY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 또 고려해볼 수 있는 복합조정 카운팅은 WXYXZ 구조로 간주하는 겁니다. 본 관점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저항구간들은 첫번째 시나리오와 동일합니다.
- 모든 시나리오 상 현재 검정색 하락 추세선, 보라색 하락 채널 상단, 그리고 대 하락 파동의 0.236 되돌림 레벨이 겹치는 구간인 22100~22900 상방돌파 여부가 가장 중요해 보입니다. 여기를 뚫어주면 큰 그림에서 더 Bullish한 시나리오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질 것 같습니다. 반대로 22년 12월 고점 부근인 17600~18200의 지지를 실패하고 하방이탈을 한다면 큰 그림에서 더 Bearish한 시나리오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 두 구간(빨간색 박스) 당분간 돌파 및 이탈해줄 수 있을지 잘 모니터링해야 되겠습니다.
탑-티어 트레이딩 플랜을 짜는 방법여러분 안녕하십니까! 👋
오늘 우리는 강력한 트레이딩 플랜을 짜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많은 성공적인 트레이더들은 거래를 식별할 때 종종 다른 '변수'를 사용하지만 모든 좋은 트레이딩 플랜의 핵심 의사 결정 프로세스는 대부분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당신이 당신 자신의 트레이딩 플랜에서 놓쳐서는 안되는 몇 가지 핵심 사항을 살펴볼 것입니다. 시작해봅시다 👇
자산 선택 🏦🏦
모든 좋은 트레이딩 플랜은 거래할 자산을 선택하는 방법을 정의해야 합니다. 선물 및 FX 트레이더의 경우 거래 가능한 심볼 범위가 작기 때문에 이는 비교적 간단한 프로세스입니다. 그러나 주식 및 암호화폐 트레이더의 경우 거래 가능한 심볼의 범위가 방대합니다. 가장 많은 기회와 최고의 위험/보상을 나타내는 심볼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거래하고 싶은 기회를 찾기 위한 정의된 기준을 갖추는 것은 전략의 기대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보기로, 스탁 트레이더는 X개 이상의 거래량/주식에서 밤새 4% 이상 갭이 있는 주식을 찾고자 합니다. 또는 암호화폐 스윙 트레이더는 평균 회귀 기회 (a mean reversion opportunity) 를 줄 수 있는 과매수 또는 과매수 상태의 유동 암호화폐를 찾고자 할 수도 있습니다.
자산이 무엇이든 트레이더에게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핵심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변동성 ✅
유동성 ✅
자산에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지션을 키웠다 줄였다 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자산의 변동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작은 거래 범위에서 절대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일부 옵션 전략은 낮은 변동성에서 이익을 얻으려고 하기 때문에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현물 거래자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입니다.
실행 로직 🧠🧠
거래하려는 자산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 다음 단계는 실제로 거래 기회로 간주되는 자산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거의 모든 자산은 매일 움직입니다. 최고의 위험/보상을 제공하는 "셋업"을 스스로 정의할 수 있습니까?
최고의 거래 계획에는 의사 결정 트리와 같은 논리가 있으므로 거래자는 프로세스에 대해 순간적으로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어려운 결정은 즉각적인 상황보다 먼저 내려진 것입니다.
이러한 의사 결정 트리는 무한히 복잡해질 수 있지만 고유한 실행 논리를 만들고 익숙해지면 이를 따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결정 논리를 생성할 때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방향 ✅
실행 ✅
어떤 트레이더는 양 방향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편하지만, 많은 트레이더는 거래에서 원하는 것을 단순화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만 거래하는 것이 편합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펀드와 트레이더는 "관점"을 먼저 생각합니다.
보기: "자산이 20일 이동 평균보다 높을 때만 매수하겠습니다."
또는
"ISM PMI가 50보다 크면 주식만 살 것입니다."
그런 다음, 거래 방향을 알게 되면(양방향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왜 거래에 들어가고 나가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기: "트렌딩 애셋의 롱 엔트리를 찾고 있다면 30d 하이일때만 바이하고 30d 로우에 스탑을 세팅할 것입니다."
방향과 실행을 모두 알게 되면 거래 기회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단순히 머리 속에만 존재하는 패턴이 무엇인지 정확히/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리스크를 통제하고 나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벗어나게 하는 열쇠입니다.
현금 관리 💵💵
너무 큰 규모의 단일 거래에서 모든 것을 잃게 된다면 거래할 자산을 찾고 하이 퀄리티 플랜에 따라 거래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베스트 트레이딩 플랜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한 플랜으로 리스크 및 드로다운을 관리합니다.
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략은 테마 제한, 섹터 제한 등을 사용하여 거래 규모 조정(보기: 한 번에 자본의 1-5% 이하로 위험을 감수)을 중심으로 합니다. 리스크는 빠져 나가면서가 아니라 들어오면서 내리는 결정입니다.
거래를 할 때 리스크가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귀하의 중요한 포지션 관리 전략에 맞는지 정확히 파악하십시오. 자세한 것은 이 아티클 을 보십시요. .
이제 여러분은 마켓이 여러분에게 날리는 펀치에 대비할 수 있는 난공 불락의 3단계 트레이딩 플랜을 짤 준비가 되었습니다!
자, 무엇을 기다리고 있나요? 일 시작하십시오 😉
-팀 트레이딩뷰 ❤️
트위터와 트레이딩뷰를 함께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 🤩
이번 주에는 트위터의 기능을 빠르게 트레이딩뷰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1. 트위터로 빠르게 차트 업로드
여러분이 작성한 글을 빠르게 트위터에 업로드 하고 싶으시다면 다음의 기능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1) 우측 상단의 카메라 버튼을 눌러주세요.
2) 다음, '트윗 차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본인의 트위터 계정' 으로 빠르게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3) 폰에서도 물론 가능합니다. 🥰
( 하단의 +플러스 버튼을 누르셔서 차트를 공유하기 클릭하셔서, 어플을 선택! 하시면 됩니다.)
2. 트윗을 해당 시간의 차트 위로
만약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의 트윗이 주식의 가격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그 내용은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그 트윗을 차트의 정확한 위치에 넣을 수 있다면
분석하는 데에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 왼쪽의 도구 모음에서 트윗을 찾습니다.
2) 트윗에 대한 해당 링크를 복사합니다.
3) 트레이딩뷰 차트에 붙여넣으세요.
그럼 그 트윗은 트윗된 시점에 자동으로 차트 에 붙어서 표시됩니다. !! 😍
짜잔! 너무나 쉽고 간편한 기능이에요. ^^
해당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곧 주말부터 우리나라 최대 명절 중의 하나인 '설'이 시작됩니다.
새해에 모든 소망 이루시길 바라고,, 따뜻하고 행복한 설날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팀 트레이딩뷰 💌
차트를 볼 때, 차트만 생각해야 하는 이유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투자 시장을 바라볼 때, 우선 시 되어야 하는 것은 차트를 분석하는 것이고, 그 차트를 가지고 어떻게 하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가 가장 핵심이라는 말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 경제 지표 발표와 세계적인 이슈(전쟁, 코로나 등)들의 내용을 보고 투자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려고 합니다.
큰 이슈는 투자 시장에 큰 변동성을 이르킬 수 있는 것임에 틀림없지만, 그러한 이슈가 누적되어지면 더 이상 변동성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니, 그러한 이슈들을 가지고 투자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려는 것은 오히려 잘 못된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갑자기 나오는 큰 이슈 예를 들어서 911 테러와 같은 이슈로 인해 세계적인 쇼크를 입게 되는 경우에는 대처할 수 있는 시간도 없이 큰 변동성을 불러 오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슈말고는 대부분 차트의 가격 움직임이 먼저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선반영되는 모습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서는 여러 경제 지표 발표나 세계적인 이슈와 같은 심리적인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하지 말고 차트를 봐야 합니다.
이런 작업은 별거 아니다 라고 생각되지만, 투자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어떻게 하면, 여러 경제 지표 발표와 세계적인 이슈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차트의 움직임만으로 흐름을 파악할 것인가에 대한 상당한 고민을 해야 합니다.
2022년 6월 19일에 생성된 Low라는 지표 이상 상승함으로서 차트의 흐름을 반으로 나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0지표의 변화는 언제나 저점을 완성해 왔습니다.
현재 예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100지표가 생성된 이상 저점을 형성하게 될 것 입니다.
+100지표는 고점이 형성되었을 때 생성되기 시작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100지표 이상 상승한다는 의미는 고점을 갱신하기 위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38K 이상 상승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고점의 지점은 현재 오랜 기간 유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점의 지점은 -100지표의 변화로 아직 확실한 지점을 형성하지는 못하였습니다.
다만, -100 지점이 현재 가격대 근처로 이동됨으로서 저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는데 있습니다.
이로써 새로운 추세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추세를 만들어가기 위한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17941.69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20552.7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상승세를 보이기 전에 골파기(더 큰 상승을 하기 전에 더 많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현상)가 나온 모습을 완성하게 되는 것 입니다.
StochRSI지표가 상당히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Stoch RSI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를 확인함으로서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검증하게 될 것 입니다.
이와같이 지지와 저항 지점의 변화만으로도 현재 차트의 움직임이 어떠한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의 설명에 결론이 없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결론은 이미 내려져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많은 정보들을 종합하여 객관적인 결론을 유추해 낸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므로, 객관화되어 있는 도구, 지표 등을 사용하여 모든 정보를 객관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수많은 유명인사들의 차트 분석 방법과 거래 방법은 인터넷이나 책으로 많이 소개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거래와 수많은 경험을 통해서만 습득할 수 있습니다.
시간에 지남에 따라 추세는 변화고 모든 패턴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차트를 읽기 위해서는 보다 간편하고 보다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계속 바뀌는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석에 사용되는 시간보다 어떻게 거래를 진행할 것인가하는 거래 전략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함으로서 변동성에 의한 자신의 심리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여려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S&P500은 역사적 고점을 찍었는가? 현물자산 '은'으로 측정한 미국 증시 | 분석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먼저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모두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채널에서 안내드린바와 같이 개인 목표를 향해 눈썹 휘날리며 나아가고 있는 중이라 아이디어 공유가 적어진 점 양해바랍니다.
종종 시간날 때 놀러 오겠습니다.
지난 2021년 9월, S&P500;이 Fibonacci Extension 4.236에 도달하며,
FED의 QE가 이끌어간 역사적 상승 사이클이 종료되었을 가능성 을 안내드렸습니다.
바로 금융 시스템이 가장 큰 위기에 놓였던 2007-08년 하락장을 기준으로 그었던 Fibonacci 입니다.
2009년 부터 S&P500; 및 나스닥 등 미국 증시는 크게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실물자산인 금 또는 실버로 측정한 S&P500;의 가치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 사뭇 다릅니다.
두 자산 대비 S&P500;은 2000년대 고점을 넘어선 점이 없습니다.
<금 대비 S&P500;>
우리는 항상 화폐, 즉 달러나 원화에 비교해서 자산가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착각 아닌 착각 속에 빠져 있던 것 입니다.
금과 은을 기준으로 봤을때, 미국 증시는 2000년이 역사적 고점이었습니다 .
그리고 현재, S&P500;은 (금/은 대비) 2011년 이후 상승 추세선을 하방으로 돌파하며,
장기 하락추세 전환 가능성을 활짝 열어두고 있습니다.
S&P500; / SILVER (또는 gold) 는 다음과 같이 이해해야합니다.
📈 S&P500;이 SILVER 대비 상승 or 덜 하락
📉 SILVER가 S&P500; 대비 상승 or 덜 하락
따라서 "장기 하락추세 전환" 이란, "10년간 SILVER 대비 상승하던 S&P500;이 앞으로는 SILVER 보다 underperform 할 수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나스닥도 마찬가지고요.
GOLD 대비 NASDAQ / 월봉
SILVER 대비 NASDAQ / 월봉
이 시나리오가 cancel되는 조건은 간단합니다.
1) 새롭게 생성되는 하락 추세선을 상방으로 돌파
2) MA12, 36을 재 탈환
3) 전 고점 돌파
=> 역사적인 불장 2.0
차트는 확률 게임 입니다.
현재는 미국 증시 자본이 골드나 실버로 이동할 확률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업로드하는 아이디어와 별개로, 몇가지 투자 아이디어를 언급하고 마무리 짓겠습니다.
우라늄, 오일&가스, 골드, 실버 = Portfolio 80%
1. Fundamental 적으로 가장 좋게 보고 있는 자산: URANIUM
작년 내내 채널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펀더멘탈은 보면 볼수록 가장 좋지만, 차트상 불확실성이 큰 상태입니다.
그래서 분할매수로 모아가고 있습니다.
2. 오일 & 가스
2021년 & 2022년 포트에서 귀금속과 함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군입니다.
배당으로 주주환원을 하는 기업 위주로 편성했으며,
Cash를 찍어내는 이들 기업들이 주는 고배당을 따박따박 받으며 재평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파월이 "경기 연착륙에 성공할것이다"라고 언급한 바로 그날,
실제로 연준이 원하는 건 경기 연착륙이 아니라 " 경기침체 연착륙 "이라고 바로 말씀 드렸죠? 이제는 연준이 대놓고 경기를 잡고 있습니다.
2020년 폭락장에 기업 M&A;와 공격적인 채용을 하던 테크 기업들은 이제는 수천, 수만명씩 해고를 하고 있습니다.
가장 투자금이 많이 몰렸던 전기차 시장은 어떻습니까?
생산량은 급격하게 늘고 있지만 수요는 전년만큼 성장하지 못 할 것 입니다.
소비가 위축될 수 밖에 없는 환경에서는 필수소비재 와 명품 (명품 중에서도 최고급럭셔리)이 가장 실적 방어를 잘 할 것입니다.
3. 제약 - 미래의 신약이 아닌 현재 없으면 생존이 어려운 약을 제조하는 회사
더 극단적으로 가서, 특정 약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사람들이 소비하는 의약품 제조업체 가 좋아보입니다.
규모가 크고, 성장세가 있는 당뇨시장이 떠오릅니다.
단, 아직 매출이 없는 기업은 무시하고, 이미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가 있는 제품을 보유한 업체 를 보면 됩니다.
1위 Novo Nordisk, 2위 Eli Lilly 입니다.
아... 차트가 이게 실화입니까?
이들의 재무제표를 뜯어보면 "필수를 넘어서 생존소비재"를 판매하는 이 두 기업에게 2022년 하락장 따위가 없었던 이유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IR자료를 읽어보면 더 이해가 갑니다.
다만 차트는 단기 조정 확률을 높이 보여주고 있긴 합니다.
4. 기타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투자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이미 투자하고 있는 종목도 있고, 모아갈 예정인 기업도 있습니다.
- 전기차 시장의 성장속도를 못 따라갈 필수 원자재 Lithium
- 미국 반도체 패권의 핵심역할을 맡을 배당 5%의 INTC (5년 이상 장기)
- 마리화나 합법화: IIPR, TLRY, MO
- 헬스케어 x 명품 의료기기 제조업체 INMD
- 식품, 농업, 스마트팜: 특정 종목 없음(DE를 좋게 보고 있으나 산업 종목에 대한 전반적인 리서치 부족)
개인적으로 지정학 - 사회 - 경제 트렌드 분석을 바탕으로 큰 투자 시나리오를 짜기에,
ESG 정책오류로 수요 >>> 공급 이 심한 에너지 섹터에 투자 비중이 큰 것은 저로서 당연합니다.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니 참고만 하시고 항상 성장하는 투자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관점 정리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크립토몽입니다. 개인적인 이슈로 그동안 트레이딩뷰에서는 차트 관련 아이디어를 쓰지 못하였습니다만,
다시금 열심히 작성해볼 생각입니다! 바로 아이디어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주봉 프레임에서 본 전체적인 거래범위를 잡은 차트입니다.
하락 진행 중 작은 거래 범위 이후 큰 거래 범위 형성과 발산의 형태로 17~25k 거래범위에서의 하단 이탈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두 가지로 좁혀졌었습니다.
이 두 가지 경우의 수와 함께 제가 보았던 관점을 복기해보겠습니다.
● 경우의 수 두 가지
첫번째로
price action 관점에서의 po3 패턴으로 트랩 이후의 발산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wyckoff 관점에서는 spring & test 이후의 상승입니다.
(많은 TA 기반 트레이더들이 위 두 가지 관점을 제시 했을 겁니다.)
두번째는
하방 이탈에 대한 추가적인 하락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두번째 입장을 고수했으며, 헷징롱 외에 대개 포지션 진입을 숏 위주로 가져왔었습니다.
두번째 관점에서의 근거로서 제시했던 것은 비트코인 차트외에 각 변동성 지수 및 에센피 그리고 pnf 차트였습니다.
<비트 변동성 지수>
비트 변동성 지수는 18년도와 20년도 새로운 저점 도달과 함께 이번에도 저점을 찍고 반등 중입니다.
VIX는 현재 단기 수렴을 벗어난 상태이며, 상당한 과매도 상태를 유지 중입니다.
에센피 역시 하단부에 대한 테스트를 동반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었습니다.
이번 CPI 발표와 함께 현재는 큰 하락 추세에 대한 리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하단 레벨에 대한 테스트 없이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달러 지수 또한 주요 지지 수준에 도달해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일전에 제가 작성했던 관점에서의 PNF 카운트였습니다.
위에 다양한 차트 뷰를 토대로 저는 하락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판단을 했습니다.
● 비트코인 차트 프레임별 뷰
현재 차트 진행을 기준으로 다시금 차트 작도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처음에 경우의 수를 제시하기 위해 보여드린 주봉 프레임부터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관점으로 접근했을 경우의 17~25k 라는 거래 범위(tr) 형성과 함께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하단 유동성 해소가 없었다는 부분, tr형성 이후 원인 구축의 부족 그리고 이후의 활동성은 spring 가능성보다는 약세관점(sow)으로 접근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 중이며,
상승이 과했던 부분은 ftx 사태 이후 상당한 물량의 거래소 출금으로 인해 공급량 부족으로 인해 만들어진 상승일 가능성이 큽니다.
일봉 프레임입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제시한 주요 레벨의 저항과 함께 ftx 사태가 터지며 강한 하락이 발생해주었고,
15~18k 사이 tr에서의 구조 구축을 보여주며 현재 상승(mark up) 진행 중입니다.
일봉 200ema에 한번 걸려서 눌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나 과거 200ema의 모습을 보면 저항의 역할을 잘 못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습니다.
그래서 200ema 보다는 하락 전 저항받은 21.5 주요 레벨에서의 저항을 다시금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pnf 차트 카운트도 다시 맞추었습니다. 지난번 하락 타겟을 크게 벗어났기에 다시 작년 17k sclx(판매절정)구간부터 계산했습니다.
박스 사이즈 250 반전수 1 로 계산했으며, 15~18k 거래범위에 대한 보수적인 카운트 구간은 20750~21750입니다. 따라서 현재 자리는 잠재적인 구매절정 자리로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진취적인 카운트 구간까지 생각했을 경우 맥시멈 23750까지 생각해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적 카운트를 충족하는 수준에서 발산을 멈춥니다.
4시봉 입니다.
하단에 wwv 지표를 보시면 ut 이후 점점 매도 볼륨의 힘이 약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승 관점으로서 제시했던 차트가 바로 위와 같이 하단부 유동성 제거(+공급량 테스트)와 함께 상승 그림을 그려주는 관점이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저점을 지키며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재는 상승 추세를 유지중이며, 상단에는 주요 저항으로 68k 최고점에서부터 내려오는 하락추세선과 이전에 저항 받은 오더블럭 자리인 21.5k 가 남아있습니다.
아직 이전 LH인 21.5 이상 돌파도 못하는 상황에 이전 LH인 22.8에 대한 돌파까지 나와야 완전한 추세 전환을 시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로 현재 시장이 완전히 전환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일봉 이하의 지표들은 상당히 과열 상황인 점으로 조만간 되돌림을 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생각하는 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큰 거래범위 상 SPRING 관점보다는 SOW(약세신호) 로서 접근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며 (거래량 또한 SOW 로 보는게 제일 합리적임)
19.5 자리에 만들어질 CME 갭과 에센피 상황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과열 해소를 위한 되돌림에 주요 구간이 지켜지는지 지켜보아야 하며,
이번 비효율적인 상승에서 만든 IMB 또한 매우 많아 채워질 가능성도 큽니다.
잠재적 매수 절정(BCLX)와 함께 TR 형성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으로 단기 프레임은 조금 더 지켜보며 주요 저항을 뚫고 추세를 유지해줄 수 있을지 지켜 보아야 합니다.
현 구간에서 TR 형성 그리고 횡보를 진행하며 FOMC 이벤트를 기다리지 않을까 생각 중입니다. 잠재적인 구매 절정으로 추가 고점 돌파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봉 캔들을 추가적으로 확인해야합니다.)
추가적인 내용들은 코멘트 달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제가 눈이 좋지 않아 두서 없이 쓴 글입니다 ㅠ 모니터를 오래 보는게 쉽지 않네요.... 양해부탁드립니다!
[보조지표] TOTAL & DOMINANCE : 올바른 해석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TOTAL 지표와, 시가총액 (Market Cap)을 기반으로 전체 시장의 지분 비율을 알려주는 Dominance 지표를 낱낱이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
I. TOTAL 지표
1. TOTAL : Total Market Cap의 정의와 종류
2. Market Cap 지표에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이 미치는 영향
II. Dominance 지표
1. Dominance란?
2. BTC.D / ETH.D / ALT & OTHERS.D
III. TOTAL & Dominance의 활용 & 한계
1. Dominance, 세간의 오류
2. TOTAL의 중요성
3. 올바른 지표의 활용 알고리즘 : TOTAL → Dominance
4. 한계점
------------------
--------------------------------------------------
--------------------------------------------------
I. TOTAL 지표
1. TOTAL : Total Market Cap의 정의와 종류
1) TOTAL 이란?
📝 Total Market Cap
여러 암호화폐의 시가총액 (Market Cap)을 모두 합한 지표로, TOTAL 이라는 용어로 지표화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크립토 시장으로의 자본 수급 상황 (유입 & 유출)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시가 총액 : Market Cap이란?
특정 “A” 자산의 Market Capitalization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Market Cap “A” = (Current Market Price of “A”) x (Circulating Supply of “A”)
즉, 시가 총액 (Market Capitaliz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두 가지, “시장가 : Market Price”와 “유통 공급량 : Circulating Supply” 뿐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시장가 : Market Price
시장가란 특정 자산 또는 서비스가 “현재” 거래될 수 있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해당 가격은 수요 (Demand)와 공급 (Supply)의 원칙에 의거하여 결정되므로, 해당 자산의 수요와 공급 물량 수준에 따라 가격은 변동하게 됩니다.
② 유통 공급량 : Circulating Supply
유통 공급량이란, 해당 암호 화폐의 총 공급량 (Total Supply) 중, 일반적인 투자자 간에 유통되는 (거래되는) 화폐량을 실제와 가장 가깝게 추산 한 값입니다.
일반적인 주식 시장과 달리 암호 화폐는 POS (지분 증명), Master-node, 스마트 계약 으로 잠긴 (Locked) 경우 등과 같이, 공개된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화폐량이 상당수 존재합니다. 만약 해당 공급량을 제외하지 않은 채로 시가 총액을 계산한다면, 실제 거래되는 자산 규모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를 고려하여, 전체 공급량 중 Private Sale / 에어드랍 / Master-node / Staking / Escrow 등과 같이 화폐 유통에 관여하지 않는 공급량을 제외한 것이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 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Total Market Cap의 종류
Total Market Cap은 그 구성에 따라 TOTAL / TOTAL 2 / TOTAL 3 / OTHERS 로 나뉘게 됩니다.
① TOTA L : Total Market Cap은 크립토 시장에 존재하는 암호 화폐 중, 상위 125위에 속하는 시가 총액을 지닌 암호 화폐들의 “시가 총액 전체 합” 을 의미합니다.
② TOTAL 2 : TOTAL에서 BTC Market Cap을 제외한 지표입니다. 마찬가지로, BTC를 제외한 상위 125개 시가 총액을 지닌 암호 화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TOTAL 3 : TOTAL에서 BTC & ETH를 제외한 지표입니다. TOTAL 2에서 ETH를 제외한 것과 동일합니다.
④ OTHERS : 시가총액 상위 10위 내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제외한, 나머지 코인의 총 시가총액 합계입니다.
2. Market Cap 지표에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이 미치는 영향
📌 Check Point : 시가 총액이 큰 가상 자산의 경우 유통 공급량이 급변하지 않는 이상, 시가총액 (Market Cap)은 시장가(Market Price)를 따라 변화한다.
앞서 시가총액(Market Cap)은 Market Price 와 Circulating Supply, 두 변인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말씀드렸습니다. 또한 후에 서술할 Dominance는 이러한 Market Cap을 기반으로 계산되는 지표입니다.
<인터넷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BTC.D와 알트코인의 상관관계 표 - 출처가 불분명하다>
그런데 다수의 투자자가 참고하는 BTC 가격 및 Dominance와 알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 (위 이미지) 자료의 경우,
Dominance ↔ Market Cap 간의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 아닌,
Dominance ↔ Price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시가총액(Market Cap)의 변화를 가격(Price)의 변화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해석의 오류는 없을까요 ?
해당 가상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유통 공급량이 크게 증가한다면 시가총액(Market Cap)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일텐데 말입니다.
관건은 가상 자산의 유통 공급량이 시가총액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 이 되겠군요.
⚠️ 만약 그 영향이 미미하다면, 시가총액(Market Cap) / 나아가 Dominance의 변화를 토대로 가상 자산의 가격 (Market Price)의 변화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비트코인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BTC Circulating Supply의 변화
BTC의 Circulating Supply 그래프 입니다.
2023년 1월 현재 총 유통량은 약 1925만 개에 달합니다. 하지만 BTC 특유의 채굴 보상 반감기로, 시간을 거듭할 수록 유통량의 증가 폭이 점차 완만해짐을 알 수 있습니다.
BTC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2009년 부터 연 단위로 나누어 유통량의 변화 양상을 알아봅시다.
Source : Glassnode Studio - Circulating Supply
** 2009 초기 시작 값은 0으로 가정 / 소숫점 아래 버림 / 매년 1.1 기준
지속되는 채굴로 유통량 규모는 계속 증가해왔으며, 전년 대비 증가 폭은 반감기에 맞춰 감소해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예로, 가장 최근 2022년 한 해의 유통량 증가 폭은 1.7%에 불과 합니다.
위 통계를 보면 유통량의 연간 변화율이 작아 시가총액 (Market Cap)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 으로 생각됩니다. 더욱이 2024년 경 반감기를 맞으며 유통량 증가 폭이 더욱 줄어들 것을 고려할 때, 이는 더 줄어들 것입니다.
다음은 동일 기간의 BTC 시장가 (Market Price) / 유통량 (Circulating Supply) / BTC Dominance (BTC.D) 의 변화율을 비교해보겠습니다.
2) BTC 시장가 / 유통량 변화가 Market Cap에 미치는 영향
최근 3개년 동안의 BTC 시장가 / 유통량 / 도미넌스 변화입니다.
● 2020년
🔴 가격 > Yealy High : $29,300/ Yearly Low : $3,782
→ 연간 최대 변동율 -87.1%
🟠 유통량 > 18,135,812 → 18,585,887 / 전년 대비 450,075 증가
→ 변동율 +2.5%
🔵 BTC.D > Yealy High : 72.05% / Yearly Low : 57.21%
→ 연간 최대 변동율 - 20.6%
● 2021년
🔴 가격 > Yealy High : $69,000 / Yearly Low : $28,130
→ 연간 최대 변동율 -59.3%
🟠 유통량 > 18,585,887 → 18,917,318 / 전년 대비 331,431 증가
→ 변동율 +1.7%
🔵 BTC.D > Yealy High : 73.63% / Yearly Low : 41.93%
→ 연간 최대 변동율 - 43.0%
● 2022년
🔴 가격 > Yealy High : $48,189 / Yearly Low : $15,476
→ 연간 최대 변동 폭 -67.9%
🟠 유통량 > 18,917,318 → 19,249,637 / 전년 대비 332,319 증가
→ 변동 폭 +1.7%
🔵 BTC.D > Yealy High : 48.45% / Yearly Low : 38.84%
→ 연간 최대 변동 폭 -19.3%
보시면, 시장가 (Market Price)의 연간 최대 변동율이 유통량 보다 훨씬 크게 나타납니다 . 또한 Dominance 역시 20~40% 수준의 큰 폭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Market Cap)에 미치는 영향은 당연히 가격 (Market Price) > 유통량 (Circulating Supply)인 상황 으로 보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Dominance의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과 정확히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Dominance는 무엇이고, 어떤 변수가 작용하는 것일까요?
--------------------------------------------------
--------------------------------------------------
II. Dominance 지표
1. Dominance란?
Dominance는 지배, 우세 등을 뜻하는 용어로, 전체 시가 총액 중 해당 가상 자산이 지닌 시가 총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BTC Dominance (이하 BTC.D)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하게 됩니다.
📝 BTC Dominance = BTC Market Cap ÷ Total Market Cap (TOTAL)
--------------------------------------------------
Dominance의 해석
① Dominance의 증가는 자본의 유입 / 관심의 증가를 의미한다?
Dominance는 앞선 정의와 같이, 전체 시가 총액 중 해당 가상 자산이 지닌 시가 총액의 비율 만을 의미합니다.
물론, 해당 자산이 “유통량에 큰 변화 없이” “시장가가 상승”함과 동시에 Dominance가 상승하는 경우, 해당 자산으로의 자본 유입 및 수요 (관심)의 증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가상 자산 시장의 관심과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Dominance가 상승한다면 어떨까요?
BTC의 가격 하락 폭이 타 암호 화폐의 하락 폭보다 작다면, BTC Dominance는 여전히 우세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BTC.D가 증가하였으니, BTC로의 자본 유입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승 여력이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경우는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Dominance 지표 만을 두고 수요 및 자본의 변화 여부를 섣불리 판단하는 것은 위험한 결과 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② Dominance는 해당 가상 자산의 시장 지배력을 의미한다?
Dominance가 높을 수록,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 총액의 비율이 높아지니 타 암호화폐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질 것이라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ominance 계산에 사용되는 Total Market Cap (TOTAL)의 경우, 시가 총액 3, 4, 7위 (각각 USDT, USDC, BUSD)가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 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 Chapter III.2 참조
스테이블 코인은 기축 통화 (USD)와 페이징 되어 거래소 및 DeFi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에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USDT, USDC, BUSD 모두 USD를 기준으로 가격이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크립토 시장 상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여 계산되는 Dominance 지표 상, 해당 암호화폐가 가상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희석될 수 밖에 없습니다.
2. BTC.D / ETH.D / ALT & OTHERS.D
Dominance의 정의와 해석 상 유의할 점을 알았다면, 이제 크립토 시장의 양대 산맥인 BTC & ETH와 타 알트코인의 Dominance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BTC Dominance (BTC.D)
BTC.D : BTC Market Cap ÷ Total Market Cap (TOTAL)
① BTC Dominance란?
BTC Dominance는 모든 가상 자산의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을 합한 값 중 BTC의 시가총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BTC 시가 총액의 상대적 규모는, 크립토 시장 전체 (TOTAL)와 비교할 때 2010년대 초 중반 (약 99%)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이 사실이나, 여전히 시가총액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거래량 및 시장의 관심을 받는 종목입니다.
② BTC Dominace 감소의 이유
📌 Check Point : BTC.D의 감소는 크립토 생태계의 확장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아직 BTC의 주도권 상실을 논할 수 없다.
BTC는 2016년 중반까지 거의 100%에 달하는 Dominance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이후 가상 자산 투자 열풍에 힘입은 ETH 및 다양한 알트코인의 등장으로 2016~2017년을 거쳐 Dominance의 급락🟠이 나타났습니다.
Dominance의 감소는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시가총액 감소의 원인도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ETH 및 다양한 알트코인의 등장 : 생태계의 확장 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16년 까지는 전체 가상자산의 종류가 1000건을 넘지 않았으나, 이후 다양한 암호화폐가 폭발적으로 등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TH 및 ERC-20 토큰이 표준화되기 시작하면서 ICO (Initial Coin Offering)가 보다 널리 알려진 것이 큰 이유일 것입니다.
다양한 알트코인들의 등장으로, 크립토 전체 시가총액 (TOTAL)이 급증함에 따라 비트코인의 Dominance는 급격히 감소한 것 (붉은 영역 🟥)을 알 수 있습니다.
2017년, 2021년 모두 BTC가 상승장을 이루며 BTC 시가총액 (Market Cap) 역시 커졌음을 생각해보십시오.
BTC Dominance의 감소는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시가총액 감소가 원인이 아닌, 암호화폐 생태계의 확장에 의한 한 현상일 뿐 입니다.
③ BTC Dominance, 주의점
주의할 점은, BTC Dominance는 시가 총액을 기반으로 한 비율 (Ratio) 지표일 뿐이므로 상승 / 하락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표는 아니라는 사실 입니다.
만약 하락장에서 BTC의 가격이 하락하여도, 다른 알트 코인들의 하락 폭이 유사하다면 BTC Dominance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Premined / Forked coin에 의해 전체 시가 총액이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Total Market Cap을 바탕으로 한 BTC.D가 실질 가치 (Real Value)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 또한 유의하여야 합니다.
즉, 단순히 BTC 트레이딩을 위해 사용하는 지표가 아닌 크립토 자산 시장 전반의 변화 및 진화를 관찰하는 도구 라는 점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2) ETH. D
Dominance 산출 방식은 모든 암호화폐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ETH.D : ETH Market Cap ÷ Total Market Cap (TOTAL)
2015년 ETH가 처음 세상에 나온 뒤, 2017~2018 1차 암호화폐 시장 붐(Boom)을 맞아 ETH.D가 약 20% 내외🟥를 차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기할 점은, 2018~2019 Cycle 에서는 ETH.D ↔ BTC.D 가 서로 반전된 양상🟧 (음의 상관관계)을 보였다는 점입니다. 이는 이전 도표에서 암호화폐 종류가 1,000~2,000개에 불과한 시기였으므로 BTC, ETH를 ,제외한 타 알트코인의 시가총액 (Market Cap)과 Dominance로의 영향력이 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2020~2021 2차 암호화폐 붐 (Boom) 시기🟪에는 상관관계가 크게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시기에 알트코인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약 10,000개)하였고, 시장 자본의 유입과 관심이 증가했던 시기임을 고려할 때 BTC, ETH 외의 알트코인들의 시가총액이 증가하며 알트코인들의 Dominance가 늘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알트코인의 Dominance 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3) ALT. D & Others. D
ALT.D는 해당 명칭의 Dominance 지표가 있는 것이 아닌, XRP, SOL 등 본인이 알고자 하는 알트코인을 선택 시 Dominance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나타냅니다.
ALT.D : 특정 ALT Market Cap ÷ Total Market Cap (TOTAL)
🔔 TradingView에서는 현재 100여 종에 달하는 암호화폐에 대한 Dominanc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심볼” 탭에서 Dominance 또는 해당 알트코인 심볼 +.D 를 검색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OTHERS.D : 시가총액 상위 10위 암호화폐를 제외한 알트코인 시가총액 총합 ÷ Total Market Cap (TOTAL)
OTHERS.D는 시가총액 상위 10위를 제외한, 타 알트코인의 전체 Dominance를 알려줍니다.
현재, 시가총액 상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위 10위 시가총액을 지닌 암호화폐 - Source : CoinMarketCap - 2023.01.02 기준>
전체 시가총액 대비 1, 2 위는 BTC (41.95 %), ETH (19.42 %) 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테이블 코인인 USDT (8.64%), USDC (5.83%)가 3, 4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하 알트코인이 뒤를 이어 5~10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위 : BNB 5.14% / 6위 : XRP 2.27% / 7위 BUSD 2.16% /
8위 DOGE 1.24% / 9위 ADA 1.14% / 10위 MATIC 0.89%
이들의 Dominance를 모두 합산하면 약 89~90%에 해당하며, 이는 OTHERS.D가 10% 내외가 됨을 의미합니다.
--------------------------------------------------
--------------------------------------------------
III. TOTAL & Dominance의 활용 & 한계
1. Dominance, 세간의 오류
D
ominance 지표의 경우, 알트코인 시장으로의 자본 상승 / 하락 압력을 판단할 때 주로 사용해왔습니다.
이는 “알트 시즌 : Alt Seasons” 현상에 의한 것으로, 알트코인의 시장 지분이 늘어나는 정도가 BTC에 비해 큰 경우, BTD Dominance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Alt Season” 현상을 알트코인 트레이딩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를 표로 간단히 정리한 자료가 인터넷 및 커뮤니티 상에 흔히 공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레이딩 경험이 많은 투자자께서는, 알트코인의 흐름이 해당 자료(표)의 내용과 상이하게 진행되는 경우를 다수 경험하셨을 것입니다.
놀랍게도, 해당 자료에는 치명적인 함정이 숨어있었습니다.
⚠️ 바로, BTC Price와 Dominance만으로 알트코인의 가격 변화를 예측하려 시도한다는 점입니다.
같은 Dominance의 변화를 보이더라도, TOTAL의 변화 양상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TOTAL 지표의 확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야 합니다.
2. TOTAL의 중요성
📌 Check Point : TOTAL과 Dominance는 반드시 동반 해석하여야 하며, TOTAL을 우선하여 살펴야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 다수의 투자자들은 알트코인의 가격 방향성 예측을 위해 Dominance 지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BTC Dominance를 통해, 특정 가상자산으로의 자본 수급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전제가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TOTAL 지표를 고려하지 않은 Dominance 지표의 단독 사용 만으로 자본 수급을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본 수급 상황을 판단하는 지표는 Dominance가 아닌 TOTAL이다.
TOTAL : Total Market Cap은 상위 125위 (시가총액 규모 기준)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한 것입니다. 따라서 유통량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 가상자산의 가격 (Market Price) 변화에 따라 Total Market Cap은 변화하게 됩니다.
특히, BTC는 여전히 시가총액 1위로 가상자산 계의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알트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으므로 기관과 같은 큰 자본이 우선적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따라서 BTC를 포함하는 “TOTAL”지표는 아래와 같이 크립토 시장의 자본 수급 판단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 TOTAL의 상승 = 크립토 자산의 가격 상승 = 자본의 유입
☑️ TOTAL의 하락 = 크립토 자산의 가격 하락 = 자본의 유출
2) Dominance 지표는 TOTAL을 토대로 계산된다.
Dominance 계산 식에는 “TOTAL” 지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OTAL 값이 변화한다면 Dominance 역시 변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TOTAL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Dominance 지표는 해석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예를 들어, BTC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324B / TOTAL은 약 777.8B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경우, BTC.D는 324/777.8 = 41.66% 일 것입니다.
만약 다른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 없이, BTC 가격만이 하락하여 시가총액이 300B가 된다면 어떨까요?
TOTAL은 BTC를 포함하므로 777.8B→753.8B가 되면서, BTC.D는 300/753.8 = 39.80%로 감소하게 됩니다.
그런데 동시에 ETH의 가격이 하락하며, ETH 시가총액이 33.7B만큼 줄었다고 가정해봅시다.
TOTAL은 ETH 역시 포함하므로 753.8B → 720.1B가 되었습니다.
앗! BTC.D는 300/720.1 = 41.66%로 다시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BTC 가격은 분명히 10% 가까이 하락했는데, BTC.D는 변한 것이 없습니다. 알트코인의 가격 변화도 없었습니다.
즉, 시가총액 규모가 큰 BTC, ETH가 변동하는 경우, ETH를 제외한 알트코인의 가격 변화가 없더라도 BTC Dominance가 유지될 수 있는 것입니다.
--------------------------------------------------
물론, BTC 및 ETH의 가격이 변화하면 알트코인 가격 역시 변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위 사례는 극단적인 가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Dominance의 해석에 TOTAL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3. 올바른 지표의 활용 알고리즘 : TOTAL → Dominance
1) TOTAL & Dominance Algorithm
TOTAL & Dominance 지표는 다양한 가상자산의 가격 방향을 거시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이를 위한 TOTAL 및 Dominance의 해석 절차를 알고리즘화 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 크립토 시장의 자본 수급 상황과, BTC / ETH / ALT 간의 상대적 자본 집중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작은 알트코인 (Minor ALTs)의 경우, OTHERS 지표와 OTHERS.D 지표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① TOTAL (TOTAL1, 2, 3)을 우선 확인합니다.
② 세 지표의 상승 또는 하락 방향이 모두 동일한지 평가합니다.
→ TOTAL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거나, 횡보를 지표가 보이는 경우 Dominance를 참고합니다.
→ TOTAL의 증가 / 감소와 Dominance의 변화를 동시에 해석하여야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③ TOTAL 지표가 동일한 방향의 변화를 보일 경우, TOTAL 1, 2, 3 각각의 비율을 비교합니다.
→ BTC, ETH, ALTs 의 상승 / 하락율 비교를 통해 어느 자산군에 자본 유입 / 이탈이 집중되는 지 알 수 있습니다.
④ BTC Dominance를 확인합니다.
→ 전체 시가총액의 40% 가량을 차지하므로, 타 가상자산 보다 Dominance 변화의 영향이 클 것입니다.
⑤ ETH Dominance를 확인합니다.
→ 전체 시가총액의 20% 가량을 차지합니다. BTC.D & ETC.D 의 상황을 분석하여 이들을 제외한 ALTs로의 자본 집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⑥ Stablecoin Dominance를 확인합니다.
→ 만약 USDT.D / USDC.D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의 Dominance가 감소한다면, 가상자산 구입을 위해 스테이블코인이 소모됨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자본 수급 상황의 참고 근거가 됩니다.
-----------------
사례 분석을 통해 해당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TOTAL & Dominance Algorithm : 사례분석
① TOTAL의 상승률이 2>1>3 인 경우
<2023.01.05 - TOTAL & Dominance by TradingView>
⑴ TOTAL 1, 2, 3 모두 상승
→ 크립토 시장으로의 자본 유입 / 상방 압력 발생
⑵ TOTAL 2 (+2.30%)의 상승이 TOTAL 1 (+1.77%), 3 (+1.75%) 보다 두드러짐
→ TOTAL 2는 ETH를 포함하므로, ETH으로 자본 유입이 집중된 것으로 추정
⑶ Dominance 확인 : BTC.D
→ 시장 전반의 자본 수급이 이루어졌음에도, BTC.D는 감소 (-0.72%)
→ BTC 이외의 다른 가상자산으로 수급이 집중된 것으로 추정
⑷ Dominance 확인 : ETH.D
→ ETH.D의 상승 (+1.59%)확인, ETH로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음
⑸ Stablecoin Dominance 확인
→ 시가총액 3, 4위를 보이는 USDT.D & USDC.D의 감소 확인
→ 스테이블코인이 소비 중임을 의미 : 시장 수요가 존재함을 뒷받침 함
☑️ 결론
크립토 시장 전반의 자본 수급 증가 → 가상자산의 매수 압력 (Buying Pressure) 증가 → 두드러진 상승은 ETH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Further Study
⑹ OTHERS 지표 확인
→ 시가총액 상위 10위 가상자산을 제외한 알트코인으로의 자본 유입 역시 큰 폭 (+3.11%)으로 증가
⑺ OTHERS Dominance (OTHERS.D) 확인
→ Dominance 상승 (1.32%) 확인, Minor ALTs의 전반적 상승 기대
⑻ 개별 알트코인 Dominance 확인
→ 찾고자 하는 알트코인의 개별 Dominance 확인 / 자본 유입 여부 점검
<2023.01.04 03:00 ~01.05 02:00 - Market Price by TradingView>
과연, TOTAL & Dominance로 바라본 큰 틀에서의 방향성이 맞았을 지 확인해보록 하겠습니다.
약 24시간 동안의 BTC / ETH / DOGE (시총 8위) / SUSHI (OTHERS) 의 시장가 (Market PRice) 흐름입니다.
TOTAL2 및 ETH.D가 우세했던 만큼, 가격 상승 폭 역시 ETH가 3.71%로 가장 높았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OTAL 1, 2, 3 의 상승을 통한 자본 수급 증가는, 유사한 우상향 그래프 모양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OTHERS 지표에서 예상한 알트코인 (Minor ALTs)으로의 자본 유입을, SUSHI에서의 가격 상승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알트코인 트레이딩 시, TOTAL & Dominance 지표가 중요한 의의를 지님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② TOTAL의 상승률이 1< 2<3 인 경우
<2023.01.01 - TOTAL & Dominance by TradingView>
⑴ TOTAL 1, 2, 3 모두 상승
→ 크립토 시장으로의 자본 유입 / 상승 압력 발생
⑵ TOTAL 3 (+0.67%)의 상승률이 TOTAL 1 (+0.37%), 3 (+0.54%) 보다 높음
→ BTC, ETH를 제외한 알트코인에 자본 유입이 집중된 것으로 추정
⑶ Dominance 확인 : BTC.D
→ BTC.D는 감소 (-0.24%)
→ BTC 이외의 다른 가상자산으로 수급이 집중된 것으로 추정
⑷ Dominance 확인 : ETH.D
→ ETH.D 역시 감소 (-0.08%) 확인, ETH를 제외한 알트코인의 Dominance 상승 가능성
→ 감소폭이 크지 않아 ETH의 약한 하락세 또는 횡보 추정
⑸ Stablecoin Dominance 확인
→ 시가총액 3, 4위를 보이는 USDT.D & USDC.D의 감소 확인
→ 스테이블코인이 소비 중임을 의미 : 시장 수요가 존재함을 뒷받침 함
☑️ 결론
크립토 시장 전반의 자본 수급 증가 → 가상자산의 매수 압력 (Buying Pressure) 증가 → 두드러진 상승은 ETH를 제외한 알트코인 (ALTs)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Further Study
OTHERS & OTHERS.D 지표와, 개별 Dominance 를 확인하고 상승 구조를 갖춘 알트코인을 매수하는 전략 가능
4. 한계점
1) TOTAL 지표 :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가정
📌 Check Point : TOTAL & Dominance는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시가총액 규모가 작은 알트코인 일수록 공급량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앞선 모든 “시가총액(Market Cap)”의 많고 적음을 논한 것은, 유통량의 변화가 없거나 크지 않다는 사실을 가정할 때, 해석의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실제로, BTC의 경우 추가 발행량이 제한되면서 유통 공급량의 변화율은 점차 감소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만약, 급격한 물량 공급, 해킹 등으로 인한 Lost Coin 증가와 같이 유통량 자체에 큰 변화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발행 규모가 상당한 시가총액 상위권 암호화폐는 해당 가능성이 적을 것이지만, OTHERS와 같은 시가총액이 작은 알트코인에서는 시가총액 및 Dominance의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2) TOTAL 지표 내의 스테이블 코인 : Dominance 지표의 희석
📌 Check Point : TOTAL1,2,3 모두 Stable coin을 포함하며, 이는 전체의 약 16~17%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Dominance 지표의 변동이 희석되어 나타난다.
Dominance 지표의 가장 큰 맹점은 Total Market Cap의 TOTAL, TOTAL2, TOTAL3 이 상당한 규모의 시가총액을 지닌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시가총액 3, 4, 7위를 보이고 있는 USDT, USDC, BUSD 의 경우, Total Market Cap 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USDT 8.64% / USDC 5.83% / BUSD 2.16% 로 (2023.01.02 기준) 도합 16.6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19.4% 가량의 Dominance를 보이는 ETH와 맞먹는 양입니다.
스테이블코인 가격이 기축통화와 큰 차이가 없음을 고려하면, 타 암호화폐의 시가총액 변동에 따른 Dominance 변화가 상대적으로 희석될 수 밖에 없습니다.
--------------------------------------------------
--------------------------------------------------
IV. 요약 및 결론
1. TOTAL의 정의
TOTAL은 Total Market Cap을 의미하며, 구성 가상자산의 종류에 따라 TOTAL / TOTAL 2 / TOTAL 3/ OTHERS로 나뉜다.
2. TOTAL의 의의
TOTAL 지표를 통해 시장 자본 수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3. Dominance의 정의
Dominance는 해당 가상자산의 시가총액 (Market Cap)을 TOTAL로 나눈 값이다.
4. Dominance의 의의
시가총액 상 어느 가상자산의 점유율이 높은지, 자본 수급이 어디로 집중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5. 지표의 활용
TOTAL → Dominance 순으로 적용하여 BTC / ETH / ALTs 중 어느 자산으로 자본이 집중되었는지 알 수 있다.
6. 지표의 한계
시가총액이 작은 ALTs의 경우 유통 공급량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Dominance 는 TOTAL에 스테이블코인이 포함되어 변화의 정도가 희석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
--------------------------------------------------
이상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마인드를(Minds) 소개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트레이더와 투자자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발전했습니다.
시장에 관한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최고의 아이디어를 읽고, 다른 사람들과 직접 협력하는 것은
모든 매체의 연구 프로세스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저희 트레이딩뷰에서는 항상 여러분들의 소통과 소셜 네트워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마인드(Minds) 를 런칭하였습니다.!
: 모든 종목 페이지 또는 우측 바(생각풍선 아이콘)에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마인드 (MINDS) 💭💭💭
여러분의 마음을 보여주세요. ~
마인드를 통해, 좋아하는 종목에 대해 팔로우하고, 채팅을 통해 공유해보세요.
결국, 시장에서 정보는 매우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것은 또 하나의 새로운 도구이자 지표입니다.
1.)
마인드는 트레이딩뷰에서 차트를 보고 있는 참여자들이 직접적으로 함께 만들어 나가는 피드입니다.
- 여러분의 의견, 메모 및 공유되는 주요 뉴스 주제로 가득 채워 보세요. 분명, 소통의 창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
마인드는 종목에 대한 참여자들의 보편적인 현재 관점과 시각을 빠르게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사람들이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그 종목이 강세인지 약세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도 보세요.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무언가 깨닫거나 다시 생각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3.)
마인드로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 고유한 기능인 마인드를 사용하시면, 차트와 함께 커뮤니티의 다양한 구성원들과 함께 채팅할 수 있습니다.
차트와 소셜 대화 기능을 동시에 편리하게 즐겨보세요.
4.)
실시간으로 당신의 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정 의견에 대한 피드백은 어떠신가요? 고민이 될 때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적 없으셨나요?
해당 기호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마인드에서 공유해 보세요.
다른 참여자들은 그 게시물을 보게 되고, 댓글이나 찬성 및 반대 투표를 통해 당신의 의견에 대한 초기 반응에 대하여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피드백은 관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마인드로 관심 종목에 대한 뉴스를 빠르게 접하는 데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인드로 이동하여 참여자들의 채팅에 관심을 기울이고 살펴보세요.
속보가 있거나, 주의를 기울여야 할 사건이 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피드는 필수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마인드는 모든 사용자가 읽고, 팔로우하고, 투표 할 수 있지만,
현재는 유료 회원에게만 (Pro, Pro + 및 Premium) 사이트의 다른 소셜 도구와 유사하게 마인드 피드에 게시하고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인드 기능은 현재 베타 버전이므로 피드백을 보내주세요!
항상 여러분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더욱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께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저희가 제공하는 새로운 기능이 마음에 드시길 바라겠습니다.😊
피드백을 통한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여러분의 첫 번째 마인드를 기다리겠습니다. !
팀 트레이딩뷰 ❤️
[2023.01.10] 비트코인 단기 시황과 다가오는 경제 일정 대비18.3k부터 16.2까지 내려온 파동이 최근 움직임 중 가장 뚜렷했기에 최대한 이 구간을 응용해서 차트를 보려고 합니다.
wxy 이중 플랫 형태이고 y파가 러닝 플랫으로 끝이 났다 라고 가정할 경우 이번 분기에 최소 19.5k까지 도전할 수 있는 파동 관점입니다.
채널선 하방 이탈 후 눌림이 발생해도 빨간색으로 표시한 매물대 부근은 침범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 강조 드리는 포인트는 16.2~3k 이탈과 17.6k 안착만 바라보셔도 중장기 포지션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오늘은 파월이 등장하는 날입니다.
패드워치를 근거 삼아 25bp 인상 가능성에 배팅하는 사람이 70%가 넘어가면서 현재 상승 요인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5bp 인상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기대감의 심리로 상승했다 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오늘 오후 23시 파월의 등장과 12일 22시 30분 cpi 발표 수치에 따라 분위기가 지속되거나 반전될 것으로 보입니다.
www.cmegroup.com
현재 포지션을 쥐고 계신 분들은 경제 일정 발표에 따라 포지션을 홀딩할지 익절할지 결정하면 될 것이고, 보수적인 방법으로는 신규 포지션을 고려 중이시라면 추후 발표에 따라 포지션을 잡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선택지가 2개인데 후자의 경우 상승랠리가 지속될 경우 이전에 진입하신 분들보다 평단이 보다 좋지 않겠지만 보수적으로 움직이는 만큼 안전한 스켈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자 상황과 성향에 맞게끔 포지션을 취하시면 좋을 듯 하네요.
오늘 파월의 등장에서 저희가 얻어야하는 것은 힌트입니다.
연준에서 얘기하는 "고용시장은 여전히 강력하다" 와 같은 이야기는 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합니다.
그 이유는 고용 시장이 강력하면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해도 시장이 충격을 버텨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용지표가 좋으면 악재, 고용지표가 안좋으면 호재로 해석이 가능한데 이 같은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고용 시장이 강력하면 좋게 작용을 하겠지만
현재는 긴축 시즌으로 긴축은 시장의 유동성을 흡수하기 때문에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단 하나의 수단인 금리인상 이라는 장치를 꺼내게 됩니다.
즉, 연준의 스탠스는 고용 시장이 강력하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해도 버텨줄 수 있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고용 시장이 강력하다는 데이터가 발표될 경우 추가 금리 인상의 여지를 심어질 수 있으므로 하락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오늘 같은 경우는 지표 발표가 아닌 파월 의장 연설이 예정되어 있으니 파월 입에서 어떤 말들이 나와주는 지 포인트를 잘 집어서 실시간 대응을 해나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금리인상이라는 장치가 지속될 수록 gdp가 낮은 국가들은 파산하게 되어있습니다.
gdp가 낮은 국가들은 경제에 큰 데미지는 없을 것 같지만 현재 유럽에 있는 금속 관련 기업들이 문을 닫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살펴볼 때 금리인상 장치가 지속될 수록 유럽과 영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신용이 무너지는 것을 체크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 주요 국가 중 하나가 신용이 무너질 때가 되면 금리 동결 이야기가 나올 지도 모르죠.
단기 차트 분석의 경우 현재 비트코인은 베어 플래그 혹은 N파동의 형태로 하락하고 있다 라고 보여지고 확정으로 1:1 비율인 16970까지 하락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패턴이 성립되는 조건으로는 상승 채널선 하방 이탈로 이어져야하는데 손절값은 피보나치 확장이 아닌 되돌림 기준 0.5 부근 손절 잡고 대응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저는 롱 포지션 익절 후 숏 포지션으로 스위칭을 한 상태이고 포지션을 바꾼 근거는 저항대 부근의 캔들 모양과 낮은 프레임에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새벽에 컨펌 시도 중이었기 때문에 rsi가 꺾이는 것을 체크하고 진입하였습니다.
제 평단가는 저항대의 값과 동일하게 17330입니다.
(아쉽게도 포지션 이미지 업로드는 외부 링크라서 올리지 못하나봅니다.)
시간봉 차트입니다.
주요 지지선과 저항선으로는 현재 위치 기준으로
저항 17.3k, 17.5~6k, 18k
지지 15.8k 16.k, 16.3k, 16.7k, 17k,
단기 매물대 16.773~16.9
상승을 한다면 매물대는 건드리지 않는 것지 좋아보이고, 저항대는 17.3~ 17.5~6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현재 비트 포함 알트들이 꽤나 많이 올라서 fomo 느끼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뇌동 매매로 이어지기 쉬우니 지지 저항값은 항시 체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17530 이상 안착되면 숏 버튼은 보수적으로 누르실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도미넌스입니다.
비트 상승, 도미 하락 > 알트 코인 상승
도미넌스가 40%대까지 박으면서 비트 보다 알트들이 변곡점에서 제대로 꺾이는 반등이 나와주었는데 알트쪽으로 쏠려 버린 자금들이 가벼워 보이는 감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탄력을 받아서 추가적인 움직임이 나와주는 것들도 보여질 순 있으나 이 부분 거래량을 중점으로 가져갈 건 가져가고 거를 건 거르시면서 신중하게 접근 바랍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충격파동의 확장 #1충격파동의 확장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확장이라는건
파동이 더 커지는 현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게 단순히 <정상 비율보다 늘어났다>라고 표현하면
형태가 변하는 부분이나 그런 부분을 다 담아낼 수가 없어서
그냥 더 커진다고 표현했습니다.
충격파동의 세부 파동 중 하나가 더 강렬해지는걸로 보시면 될 것 같네요.
확장에는 두 가지 법칙이 있습니다.
1. 확장은 1, 3, 5파동에서만 일어난다.
(=조정파동에선 확장 없다)
2. 세 개 중 오직 하나의 파동에서만 확장이 일어난다.
(=하나가 확장하면 나머진 기본 비율만 채운다)
바쁘신 분들은 이거 하나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확장은 1, 3, 5 파동 중 오직 하나에서만 일어난다>
그림으로 보시면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확장은 충격파동에서만 일어나는 일이고,
조정파동은 확장을 하지 않습니다.
다만 무한히 반복되며 길어지는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거는 주의하셔야 됩니다.
조정파동 자체가 확장은 하지 않지만
조정파동 세부파동에서의 충격파동은 확장을 합니다.
A, C파는 충격파동 형태의 하위파동이기 때문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곳의 1, 3, 5파는 모두 확장이 가능합니다.
여기선 3파가 확장된 것으로 보이네요.
하지만 상위파동(보라색 ABC) 중에서는 확장을 하지 않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그려놨습니다.
확장은 절대로 셋 중 하나의 파동에서만 일어나며,
위의 그림과 같이 3파가 확장했는데
5파가 또 확장을하고 그런 경우는 없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3파의 확장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그림은 3파가 확장한 경우인거죠.
다음 시간에는 1, 3, 5파동이 확장할 때 어떤 모양으로 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피보나치툴을 활용한 파동 카운팅이 시작된다고 보시면 됩니당 ㅎㅎ
오늘도 문제 나갑니다.
다음 중 파동 확장이 나타날 수 있는 파동은 몇 개 일까요?
회색 파동에서 고르시면 됩니다(보라색은 세부 파동)
테슬라(TSLA) 1.618의 매직(2023.01.08.일)안녕하세요.
차티스트랩팀 입니다.
테슬라는 9월 21일 부터 107일 동안 211.99달러 약67.56% 가량 하락했습니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식이라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어려움에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이 정답은 아니겠지만, 투자 활동에 참고가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추세분석
21년 11월 04일, 22년 1월 4일 고점을 연결한 하락 채널(파란색 굵은 실선)내에서 조정 진행 중 22년 11월 21일 채널 하방이탈이 발생함.
22년 9월 21일, 12월 1일 고점을 연결한 하락 채널(파란색 실선)을 기준으로 강한 조정이 진행 됨.
22년 9월 21일, 11월 1일 고점을 연결한 하락추세선(파란색 점선)을 1차 돌파 시도 이후 추가 하락 되어 2차 돌파를 시동 중.
지지/저항 분석
110.60가격은 강한 지지의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이었으나 덤핑과정에서 -7.95% 가량 추가하락 하였음.
재차 지지구간 위로 올라와 있는 상황으로 추가 하락없이 지지를 해준다면, 상방 기대를 해볼 수 있음.
상방으로 저항은 167.50(보통 저항), 182.33(강한 저항), 211.00(보통 저항), 233.33(보통 저항)이 존재
하방으로 지지는 91.14(보통 지지)가 있으며, 하방으로 추가 지지구간이 거리가 멀기 때문에 현 구간에서 저점을 갱신하지 않는 것이 중요함.
파동분석
큰 조정파동 ABC가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임.
8월 16일 부터 진행된 하락의 흐름이 충격 파동으로 카운팅 되는 바 하락 5파가 마무리 되고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음.
AB 피보나치 확장으로 2.618 값이 (104.08)이기 때문에 전체 조정이 마무리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추세전환의 가능성 있음.
낮은 타임프레임에서 엔딩 다이아고날(5파의 종결이 임박했을 때 나오는 패턴)이 관찰되고 있어 파동 상 마무리 단계의 가능을 높게 봄.
패턴분석
Harmonic Pattern 중 Bullish 1.618ABCD Pattern이 관찰됨.
Harmonic Pattern은 잠재적 반전 구역(PRZ: Potential Reversal Zone)을 찾는 분석 기법으로 테슬라는 AB의 길이에 1.618배 만큼의 CD를 형성함.
PRZ에 도달한 가격이 AD깊이의 38.2%(222.00), 61.8%(290.99) 까지 반전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함.
보조지표
3일봉 RSI에서 12월 23일, 1월 3일 상승 다이버전스가 확인 됨.
결론
테슬라는 최근 대내외 악재들을 통해 단기간 큰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국내 투자자분들이 관심있게 많이 보고 있는 만큼 아픔도 크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술적 분석의 관점에서 하락의 막바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 되며, 추세전환의 가능성은 열려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가격에서 신규 진입을 한다고 했을 때 손절은 91.14 달러로 보입니다. 해당 가격을 하방으로 이탈할 경우 가격을 받아줄 지지구간이 약하여, 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상방으로 추세가 전환되어 반등할 경우 기대 수익률이 높은 편입니다.
- 1차: 167.50 = 보통 저항으로 분류된 저항선
- 2차: 182.33 = 강한 저항으로 분류된 저항선
- 3차: 211.00 = 보통 저항으로 분류된 저항선
- 4차: 222.00 = 전체 하락분의 Fibonacci 38.2 되돌림
- 5차: 264.00 = 보통 저항으로 분류된 저항선
- 6차: 290.99 = 전체 하락분의 Fibonacci 61.8 되돌림
따라서, 신규 진입을 하실 경우 손실에 범위, 규모를 판단하시어 유연하게 대처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2022 트레이딩뷰 어워즈(TradingView Awards)!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 2023년 계묘년 (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2년 트레이딩뷰 어워즈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우리가 겪은 작년의 금융 시장은, 많은 트레이더와 투자자에게 매우 어려운 한 해였습니다.
더 늦기 전에! 2022년 트레이딩뷰 코리아(TradingView KR) 아이디어 및 게시물을 작성해 주신 모든 분들께 먼저 감사함을 표하고 싶습니다.🥰
그럼 트레이딩뷰의 2022년을 돌아보며 최고의 아이디어, 교육 게시물 및 비디오와 작성해 주신 작가분들을 만나러 가봅시다!~
🏆 2022년 명예의 전당- 최고의 작가들(Top Authors)🏆
🚀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아이디어 Top 3
🥇 1위 : Tommy_Trader
토미 트레이더님의
‘도대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진입, 익절, 손절하지? ’ 아이디어가 최고의 Best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위 : Tommy_Trader
다이버전스는 후행성? Divergence 제대로 사용하는 법
🥉3위 : Tommy_Trader
볼륨 프로파일은 요즘 시장에 꼭 필요한 지표입니다.
2022년 가장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신 토미 트레이더 작가님께서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휩쓸었습니다. 선정된 아이디어들 이 외에도 많은 교육 아이디어와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꾸준히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2년 트레이딩뷰 최고의 작가(Top Author)로 선정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
🚀 가장 활동적인 라이브 스트리머
🏅 수상 작가 : readCrypto
라이브 스트림은 올해 저희 트레이딩뷰에서 추가한 컨텐츠 중, 가장 기대되는 컨텐츠 중 하나입니다. 우측바에서 보실 수 있고, 라이브 스트리밍 하실 수 있습니다. 리드크립토(readCrypto) 님께서 올해의 가장 활발한 라이브 스트림 작가님으로 선정되셨습니다. 가장 최근의 라이브스트림 입니다. '단기 상승세 전환 성공할지 확인 필요' 축하드립니다. 🎉
아울러 올 2023년에 더 많은 분들의 라이브스트림 관심과 참여를 기다리겠습니다.!
🚀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비디오 아이디어
🏅 수상 작가 : Soultree7
(ETHUSD) 파동과 하모닉패턴으로 보는 이더리움
소울트리7님 축하드립니다. ^^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년 트레이딩뷰 최고의 비디오 아이디어 작가로 선정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
🚀 최고의 에디터즈 픽 작가
🏅 수상 작가 : Yonsei_dent
연세 덴트님께서는 올해 에디터즈 픽(Ep)에 가장 많이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아이디어를 올려주셔서 감사드리며, 특히 교육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와이코프 이론과 관련한 연세 덴트님의 가장 최근 에디터즈 픽에 선정된 아이디어 입니다.
와이코프 3.(Wyckoff’s Distribution)
🎁 수상자를 선정하는 것은 조회 수와 댓글 수, 좋아요를 고려하여 선정되었습니다. 너무 훌륭한 아이디어들도 많기도 했지만, 많은 사람들의 소중한 시간과 땀과 노력이 있기에 너무 감사했고, 선정하기 매우 어려웠습니다.
저희 트레이딩뷰는 새로운 차트 분석 도구 및 브로커 및 거래소와의 새로운 통합 등 많은 혁신적인 시도를 하였고, 여러분들께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해 드리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여러분과 함께 보내게 될 새해가 기대되고 설레입니다.
저희는 항상 여러분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트레이딩뷰를 아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팀 트레이딩뷰 😎
객관성과 주관성 [인디케이터와 스트레티지]오늘 이야기 해 볼 주제는 객관성 과 주관성 입니다.
우리가 매매를 할 때에 대게 주관적인 관점에 의존하여 매수와 매도를 결정합니다.
사람이 하는 일에서 주관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실제로 같은 차트, 같은 수식을 사용하는 인디케이터를 보고도 매수 의견과 매도 의견으로 갈리기 마련입니다.
RSI가 과매도권이므로 매수를 접근해볼만하다는 의견과 과매도권이므로 계속해서 베어마켓이 지속될 것이다.
와 같은 의견으로 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는 자산의 규모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우상향하는 것입니다.
자산의 규모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우상향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상황 에서 동일한 판단 이 도출되어야합니다.
어제는 RSI가 과매도권이므로 숏 을 쳤다가, 오늘은 RSI가 과매도권이므로 롱 을 치는 것은 분명히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매매 방식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객관성이 담지되어 있는 매매 규칙' 을 구성해야함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즉, 'RSI가 과매도권에서 항상 숏을 친다'와 같은 규칙을 구성해야합니다. (예시입니다.)
이러한 규칙을 구성해내기 위해 인디케이터, 차트패턴, 캔들패턴 등을 공부해야합니다.
하지만, 차트패턴과 캔들패턴은 완벽한 객관성을 담지해내기 어렵다는 단점과 백테스팅의 용이성에서 인디케이터에 비해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인디케이터의 경우 수학적 산식입니다.
예시를 들자면, 수학적으로 이동평균(고가와 저가의 평균)은 {(H1+L1)+(H2+L2)+(H3+L3)+...+(Hn+Ln)}/n 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가 차트에 표기되는 것은 항상 그 인디케이터의 산식에 기초하기에 '표기 상황'에서의 사람의 객관성이 개입할 수 없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물론, 인디케이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의 경우와 동일하게 주관성이 개입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매매를 해오신 분이라면 들어봤을 '매매는 기계적으로 하는 사람이 잘한다'와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계적으로 매매를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정에 휘둘리고, 같은 상황에서 판단이 갈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이러한 것은 '스트레티지' 의 활용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티지란, 인디케이터를 통해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판단을 도출해내는 것입니다. (이는 파인 스크립트를 통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이 아예 개입을 하지 않으므로, 사람의 감정과 판단이 개입할 틈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스트레티지를 활용한다면 과거의 차트 히스토리에 실제 우리가 구성한 스트레티지를 적용하였을 때에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어느정도의 손익비와 승률이 나오는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구성한 스트레티지 중 한 가지의 스트레티지 적용시 승률과 손익비입니다.) (드로다운이 커 실제 매매에 사용하긴 어려움(배율 적용된 것))
이렇게 우리가 구성한 스트레티지가 실제 시장에서 수익적으로 작동하는가를 너무나도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트패턴과 같은 경우 실제 시장에서 수익적으로 작동하는가를 백테스팅하기 위해서는 인디케이터를 구성하거나, 손으로 백테스팅을 해보거나, 실제 매매를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차트패턴을 인디케이터로 구성하기는 꽤나 어렵기에 (실제 우리가 아는 이론과 일치하기 어려움) 차트패턴을 통한 매매를 지향하는 것은 굉장히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골드만삭스의 경우 600명의 트레이더를 2명만을 남기고, 스트레티지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있는 사실입니다.(여기서 이야기하는 스트레티지와는 다른 부분이 존재함. ex) 하이프리퀀시 HFT)
따라서, 자산의 규모가 꾸준히 우상향하기 위한 객관적 매매기법을 활용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오늘은 객관성과 주관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Super Trend의 세팅과 활용, 실제 객관적 스트레티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장기관점 | 23년 4분기를 주목하라!
안녕하세요.
안전한트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굳라이프입니다.
2023년이 밝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비트코인의 23년 전망 혹은 장기 관점을 궁금해하셔서
재미있는 관점을 하나 들고 왔습니다.
제가 바라보는 기준에서의 비트코인은 21년 68K를 찍으면서 상승파동을 마무리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하락 조정파동이 시작된 어딘가에서 우리는 하락장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차트는 시간축(가로)+ 가격축(세로)으로 구성이 되어 필연적으로 상승한 가격에 대한 값을
시간축으로 힘의 균형을 맞춰줄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추세와 파동 / 힘의 균형적인 측면에서 비트코인이 바로 68K를 넘어서는 상승장이 바로 오기는 힘드며
가격과 시간의 힘을 맞추기 위해 충분한 조정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안에서는 24-25년의 반감기 이슈로 충분한 상승랠리를 보여줄 수 있는 구간도 존재합니다.
4파의 저점과 5파의 고점을 이어주는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툴을 활용하여 분기점을 분석해볼때
우리는 23년 4분기에서의 변곡을 알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슈로 인하여 유래없는 양적완화를 통한 부양정책은 결국 인플레이션이라는 괴물을 낳았습니다.
우리 모두가 주목하고 있는건 FED Pivot, 즉 인플레이션을 잡고 금리가 인하되는 시점에 대해서 모두의
관심이 쏠려 있으며, 가장 유력한 기간으로는 23년 4분기를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인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툴과 매크로 경제의 분석이 어느정도 맞아떨어지는 구간으로
저는 23년 4분기가 주요한 저점을 만들어주는 혹은 매집의 시간을 충분히 주고나서
24-25년의 비트코인 반감기 상승랠리가 올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채굴업체들이 도산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채굴기업도 상장폐지를 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기득권의 싸움이 시작되었다고 보고있으며 이는 손바뀜의 형태로 나탈것으로 생각합니다.
월가에서는 새로운 거래소를 앞세우고 있고
미국을 대변하는 샘과 중국을 대표하는 창펑이 보이지 않는 국가간의 싸움의 대표주자로 나와있지만
결국 월가의 레거시 금융 회사의 고래들과 미국이 가만두지 않을것이라는 음모론도 좋아합니다.
전저점을 갱신하고 코로나빔 근처까지 시장을 리셋하는 "Great Reset"이 감행된다면
우리에겐 매우 좋은 기회의 영역이 오지 않을까 생각해보고, 기대도 해봅니다.
이때 저는 68K를 넘기보다는 54K 레벨정도의 큰 수렴을 만드는 두번째 고점을 만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큰 삼각수렴의 패턴은 2030년에 68K를 넘기는 큰 상승모멘텀을
만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약 10년 주기의 파동은 결국
2013년에 시작한 상승파동을 2021년에 마무리를 짓고 다시 약 10년간의 시간을 응축한 후
발산될 것으로 예측 해봅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파동 각도와 파동의 연속성양심없지만 이전에 그린 그림을 또 불러오겠습니다.
오늘은 파동 각도와 파동의 연속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파동 각도라고 하면 개별 파동이 치솟는지, 옆으로 기어가는지를
나타내는 말 같이 들리지만... 전혀 아닙니다!!
사실 이 개념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안떠오르네요.
러시아의 마뜨료쉬까 인형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인형을 열면 똑같이 생겼지만 더 작은 인형이 안에 있고,
그 인형을 열면 또 똑같이 생긴게 안에... 이렇게 계속 반복되는 인형이요.
가장 왼쪽 그림의 검은색 파동이 빨간색 파동의 1파의 세부파동입니다.
그리진 않았지만 아마 2, 3, 4, 5파동도 세부 파동이 있겠죠.
중간 그림에서 빨간색 파동은 녹색 파동의 세부 파동이 됩니다.
잘 보시면 검은색 파동도 보이시죠?
오른쪽 그림에서 파란색 파동은 가장 큰 파동입니다.
녹색 파동은 파란색 파동의 세부 파동이고요.
이렇게 마뜨료쉬까 인형처럼 파동 안에 파동이 있는 모습을
<파동 각도>라고 합니다.
여기서 개념을 조금 더 확장해서 <파동의 연속성>까지 다뤄보겠습니다.
파동의 연속성은 2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먼저 파동 각도 측면에서 보면,
하나의 파동은 1차 세부 파동으로 쪼갤 수 있고,
다시 1차 세부 파동은 2차 세부 파동으로....
이렇게 쭉쭉 252,623차 세부파동까지 쭉 이어집니다.
반대로 하나의 파동은 1차 상위 파동의 세부 파동인거고,
그 1차 상위 파동은 2차 상위파동의 세부파동이고...
이렇게 계속 연속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파동의 종류 측면에서 보겠습니다.
결국 모든 차트는 추세가 폭발하고 - 이어서 조정이 나오고
다시 추세가 폭발하는 과정의 반복입니다.
즉, 충격파동-조정파동-충격-조정-충-조-충조 의 연속이죠.
오늘은 그림보다 글자가 많아서 죄송합니다.
요약하면
1. 파동 각도 : 마뜨료쉬까 인형
2. 파동의 연속성 : 상위-세부파동 / 충격-조정파동이 무한히 계속~
퀴즈 나갑니다.
1차 파동의 총 파동수가 8개 (임펄스 5 / 조정 3) 일 때,
그 세부파동의 총 파동수는 34개이다.
O, X 퀴즈입니다 ㅋㅋ
※ 참고 : 파동 각도라는 단어는 실제로 Wave Degree 입니다.
새롭게 시작된 새해 차트에서 중요한 지점은...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M 차트)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면서 StochRSI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였을 때 0.072484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하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ETHUSDT 12M 차트)
log 차트나 일반 차트를 비교해 봐도 BTC 차트처럼 큰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736.42 부근에서 형성되어 있는 매물대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1M 차트)
1572.69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면서 장기 상승 추세선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577.81-736.42 부근을 터치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StochRSI가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재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번에 하락하게 되면 보다 큰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1W 차트)
중장기 관점에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340.1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다가오는 변동성 주간에 1340.1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993.88-1049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1168.36-1198.26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MS-Signal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입니다.
12M 차트부터 1D 차트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새로운 추세, 즉, 장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736.4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생각으로 모든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장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572.69-1879.61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전까지는 단기적인 대응으로 거래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전략이 필요합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1340.12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월 9일경의 변동성으로 1340.12 이상 상승하여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가격대에서 횡보하면서 하락 추세선엣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 현재 위치, 즉, 1198.26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거래 관점으로 1198.26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매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매수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MS-Signal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현재 차트 흐름으로 보았을 때 매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1198.26 부근에서 횡보함으로서 MS-Signal이 자연스럽게 1198.26으로 더 가까이 오게 만들어서 상승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ABCD 패턴] 자석 효과를 활용한 C-D leg 트레이딩과 BAMM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잠재적 반전 구간 (Potential Reversal Zone : PRZ)을 파악할 수 있는 ABCD 패턴, 그 중에서도 ABCD의 3개의 Leg (AB, BC, CD) 중 CD Leg를 활용하는 C-D Leg Trend Trading 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 (Fibonacci) 시리즈를 먼저 읽어보신 후 본 글을 접하신다면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 INDEX >
I. C-D leg Trend Trading이란?
II. BAMM : Bat Action Magnet Movement
III. Practice Examples
-------------------------------------------------
I. C-D leg Trend Trading이란?
ABCD 패턴은 하모닉 패턴 (Harmonic Pattern)의 하위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가격의 반전 (Reversal) 구간을 확인 / 트레이딩에 적용하게 됩니다.
① 잠재적인 패턴의 형태 파악
② Price Action 추적 및 관찰
③ PRZ (Potential Reversal Zone) 위치 파악 및 테스트 (Test)
④ Trend Reversal 확인
이번 시간에는, ABCD의 마지막 변 (Leg)인 C-D leg의 움직임을 활용한 트레이딩 : C-D leg Trend Trading 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D leg Trend Trading
하모닉 패턴 (Harmonic Pattern)의 경우, 가격의 움직임(Price Action)이 마지막 C-D leg를 그려나갈 때 직전의 “B level”을 돌파하면 큰 저항 없이 움직임을 이어나가면서 Potential Reversal Zone에 도달 하는 현상 : 자석 현상 (Magnet Phenomena) 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곤 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B를 기준으로 그어진 지지 또는 저항 (Support or Resistance) 선을 기준으로, Price action이 이를 돌파하는 때를 진입가 (Entry Price)🟧 / 예상 PRZ 구간을 목표가 (Target Price)🟩로 설정하는 트레이딩이 가능합니다.
하모닉 트레이딩에서는 BAMM : Bat Action Magnet Movement 가 이를 활용한 대표적 테크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용어는 “Trading using Magnet phenomena on the CD leg”가 되겠으나, 편의 상 축약하여 본문에서는 로 표기토록 하겠습니다.
🧲 자석 현상 : Magnet Phenomena
다수의 하모닉 패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CD leg 상의 Price action이 B level을 돌파하는 경우 해당 추세가 지속되며 Potential Reversal Zone으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Bat pattern 에서의 BAMM (Bat Action Magnet Movement) 테크닉이 대표적입니다.
2) 특징
자석 현상을 이용한 C-D leg Trend Trading의 가장 큰 장점은, Price Action이 PRZ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트레이딩을 시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패턴 형성 후 PRZ에서 추세 반전 (Reversal)의 성공 유무에 상관없이 우수한 트레이딩 기회를 제공합니다.
물론 자석 현상이 모든 ABCD 및 하모닉 패턴에서 관찰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건을 명확하게 충족하는 경우 (주로 Bat 패턴이 뚜렷한 경우 : BAMM), 아주 유용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 조건
-------------------------------------
① C-D leg의 방향이, 큰 틀에서 주된 추세 (Predominant ; Prevailing Trend)의 방향과 일치하여야 합니다.
→ HTF (High Timeframe) 상에서, 해당 패턴이 속한 추세의 상방 (Upward) / 하방 (Downward)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 자석 현상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전까지 이어진 추세 방향이 동일 한 경우,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에 힘을 실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② ABCD 직전의 변곡점 “X” 와 B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 C-D leg의 경우 단순 AB=CD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X“ (🟣)와 “B” 간의 높이 차가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가 권장됩니다.
🔔 각 변곡점 (X,A,B,C)의 경우, 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각각 매물대 (Orderblock : OB🟡)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을 생각해봅시다.
OB가 밀집된 구간은 S/D Zone (Supply or Demand Zone)과 유사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해당 Zone에 도달 시 가격의 반전 (Reversal) 또는 일시적 정체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OB 가 밀집되지 않은 비어있는 구간 : 모식도 상의 X ↔ B의 경우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의 “반전”이나 “정체”를 유발할 요인이 상대적으로 적다 고 볼 수 있습니다.
→ 추가로 X에 해당하는 구간이 S/D 영역 (Supply or Demand Zone)을 형성하는 경우, C-D leg 상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의 유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③ C-D leg 상에서 B 구간을 돌파 (Breakout; Breakdown)하는 경우,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이 강하게 이어져야 합니다.
→ 만약, B구간을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체된 양상을 보일 경우, 트레이딩을 종료 하여야 합니다.
→ “D” 지점까지 이끌 충분히 강한 추세가 형성되지 못했다는 신호이며, ABCD 또는 하모닉 패턴의 완성 여부마저 불확실해지기 때문입니다.
-------------------------------------------------
-------------------------------------------------
II. BAMM : Bat Action Magnet Movement
Bat Action Magnet Movement의 약자로서, 하모닉 (Harmonic) 패턴 중 박쥐 (Bat) 패턴 상에서 자석 효과로 인해 나타나는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BAMM은 Bat 패턴을 통한 가격 반전 (Reversal)을 트레이딩 기회로 삼는 것과 더불어, C → D 구간에서 트레이딩을 추가로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테크닉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다양한 하모닉 패턴 중, “Bat” 패턴에서 자석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일까요?
답은 하모닉 패턴 간에 적용되는 피보나치 (Fibonacci) 비율과 그에 따른 형태에 의해 Risk-Reward Ratio가 달라진다 는 점에 있습니다.
예로서 가틀리 (Gartley) 패턴과 박쥐 (Bat) 패턴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의 상, 패턴의 각 변곡점은 XABCD로 지칭하였습니다.
① AB의 되돌림 (Retramement) 수준
→ AB는 XA의 되돌림 (Retracement)으로 형성됩니다. 만약 되돌림 비율이 클 경우 (0.618 이상), B 지점은 X와 가까워지게 될 것입니다.
이 때, 상대적으로 패턴 완성 시 나타날 D와 B 사이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게 됩니다.
→ B level을 진입 구간 (Entry)으로 설정하는 경우, 가격 차가 작아질 수록 Risk-Reward Ratio가 불량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가틀리 (Gartley)패턴 의 경우 61.8% 되돌림을 / 박쥐 (Bat) 패턴의 경우 38.2% 또는 50.0% 되돌림을 보입니다.
💡따라서, AB 되돌림이 작은 “Bat” 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자석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손익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② D (PRZ)의 위치
→ 마지막 D 지점은 XA leg의 되돌림 수준 및 BC Extension, 1.27AB=CD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이 비율은 패턴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가틀리 (Gartley)패턴 의 경우 78.6% 되돌림을 / 박쥐 (Bat) 패턴의 경우 88.6% 되돌림을 보입니다.
💡X와 D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Bat” 패턴의 손익비가 보다 유리합니다.
📌 결론적으로, “Bat” 패턴이 “Gartely” 패턴에 비해 B ↔ D 간의 가격 차이가 크므로, 더 우수한 손익비 (Risk-Reward Ratio)를 추구 할 수 있습니다.
-------------------------------------------------
-------------------------------------------------
III. Trading & Practice Examples
1. Trading Guide
-----------------------------------
1) C-D leg Trend Trading / BAMM
🔔Magnet Phenomena를 토대로 C-D leg Trend Trading 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ABCD 또는 하모닉 (Harmonic) 패턴에 대한 확인 및 검증이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 Entry
- C-D leg 상 B level 돌파 구간
🟩 Target Price
- 예상 D (PRZ) 구간
🟥 Stop Loss
- C level 또는 “1R”을 토대로 임의 설정
-----------------------------------
2) 통상적인 ABCD or Bat Pattern 트레이딩
🔔앞서 C-D leg Trend Trading 에 대한 장점 중, 패턴 형성 후 “반전”의 유/무효 여부에 관계없이 트레이딩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목표하던 PRZ (point D area)에서 “반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ABCD or Bat pattern을 이용한 통상적인 트레이딩 역시 당연히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 Entry
- D (PRZ) 또는 D 상방 (Bullish) or 하방 (Bearish)
🟩 Target Price
- TP1 : A-D의 38.2% 되돌림 (Retracement) 구간
- TP2 : A-D의 61.8% 되돌림 (Retracement) 구간 (일반적)
- TP3 : A-D의 100% 되돌림 (Retracement) 구간
🟥 Stop Loss
- ABCD : “1R”을 기반으로 임의 설정 / Bat : “X” 지점 부근, “1R” 기반 임의 설정 가능
-----------------------------------
2. Practice Examples
Bearish Bat Pattern 및 해당 패턴에서 나타난 BAMM을 토대로 한 트레이딩 사례 분석입니다.
지속적인 상승 추세 (Predominant Uptrend) 와중, XABC로 이어지는 Bat 패턴이 형성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 AB : XA의 약 50.0% 되돌림
- BC : AB의 78.6% 되돌림
만약, C → D로 이어지는 Price Action이, B level 🟠을 돌파한다면 BAMM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PRZ (Potential Reversal Zone)은
PRZ ⓐ🔵 : XA의 0.886 되돌림 구간
PRZ ⓑ🔴 : CD=1.27AB 구간 + BC Extension 1.618 구간
두 영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건의 PRZ가 중첩된 ⓑ🔴가 보다 유력한 D 지점 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대로, B level을 급격히 돌파하면서, BAMM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TP 의 경우, 분산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2차 목표인 PRZ ⓐ 가 실패할 경우를 대비합니다.
🟥 Stop Loss : 1R을 바탕으로 임의 설정
🟧 Entry : B level
🟩 Target Price : 1차 목표 PRZ ⓑ🔴 / 2차 목표 PRZ ⓐ🔵
예측대로, PRZ ⓑ🔴 구간에 도달 후 D를 형성합니다.
PRZ ⓐ🔵 를 위한 자본을 제외하고, 수익을 실현합니다.
이제 Bat 패턴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통상적인 Bat 패턴 기반 트레이딩 전략에 돌입합니다.
이 경우, 기존 PRZ ⓐ🔵 와의 헷지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습니다.
🟥 Stop Loss : X level / 1R을 토대로 임의 설정
🟧 Entry : D level
🟩 Target Price
-TP1 : AD 38.2%
-TP2 : AD 61.8% ✅
-TP3 : AD 100%
마찬가지로 분산 접근하여 각 TP 달성 시 분할 수익 실현을 계획합니다.
추세 반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며, 목표했던 최종 TP3 까지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익을 실현하며 포지션을 종료합니다.
기존 BAMM 의 PRZ ⓐ🔵는 TP2 구간에서 Stop Loss 되었을 것입니다.
-------------------------------------------------
-------------------------------------------------
📌Summary
C-D leg Trend Trading은, 자석 현상 (Magnet Phenomena)을 기반으로 PRZ (Potential Reversal Zone)를 목표 로 삼는 트레이딩 테크닉의 일종입니다.
- 주로 하모닉 패턴 중 Bat 패턴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BAMM이라 지칭합니다.
- 패턴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에, 추가적인 트레이딩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단, Magnet Phenomena가 근거를 갖추려면 조건 부합 여부를 엄밀히 따져야 합니다.
- 적절히 활용 시, 우수한 Risk-Reward Ratio를 기대할 수 있으나 단독 적용은 지양해야 할 것입니다.
-------------------------------------------------
이상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