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재 시점에서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
오랜만에 비트코인 엘리엇 파동 시나리오를 준비했습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오랜 기간 횡보하면서 많은 분들이 다양한 카운팅을 고민하고 계실 텐데요. 저 역시 여러 가능성을 두고 신중하게 분석해봤으며, 다음과 같이 정리해봤습니다. 현재 수많은 시나리오가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능성이 높은 케이스 여섯 가지를 추려봤습니다. 함께 살펴보시죠.
A1 시나리오: 상승 충격 1~5파 진행 후 ABC 조정파가 전개되는 카운팅
- 현재 가장 많은 트레이더들이 고려하고 있으며, 가장 교과서적인 시나리오입니다. 10.9만 달러의 역대 고점을 상승 충격파 5파의 정점으로 보고, 이후 하락 조정 ABC파가 진행될 가능성을 예상하는 카운팅입니다.
- 조정파동이 출현하면서 오렌지 상승 채널을 하방이탈하는 움직임을 동시에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 시장이 과열되었기 때문에 이제부터 조정이나 횡보가 나올 수 있는, 꽤 Bearish한 시나리오입니다.
조정파동이 본격화되면서 오렌지 상승 채널을 하방 이탈하는 움직임도 함께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장이 상당히 과열된 상태였던 만큼, 조정이나 횡보 국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다소 Bearish한 시나리오입니다.
- ABC 조정파의 주요 타겟은 전체 상승폭의 0.382 되돌림인 7.17~7.33만 달러, 그리고 0.618 되돌림인 4.83~5.16만 달러까지 열어둘 수 있습니다.
A2 시나리오: 상승 충격 5파의 세부 5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A1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 흐름을 5파로 해석하지만, 아직 5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관점입니다. 현재 트레이더들이 많이 고려하는 카운팅 중 하나로, 흔히 "아직 한 파동 더 남았다"는 분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이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최근 강하게 다져진 바닥(빨간색 박스, 9.05~9.18만불) 을 한 번 깬 후 세부 하락 4파를 만들고 올라갈 것인지, 아니면 이 구간을 지켜주고 그대로 상승할 것인지 입니다. 만약 저점을 한 번 낮추고 간다면, 최근 박스권의 스탑헌팅 레벨과 5파의 0.382 되돌림 레벨 근처인 8.37~8.54만 달러가 4파의 주요 타겟이 됩니다.
- 이후 상승 5파가 진행될 경우, 파란색 상승 추세선, 오렌지 채널 상단, 그리고 1.414~1.618 프로젝션 확장 레벨을 기준으로 11.86~12.12만 달러와 12.81~13.07만 달러를 타겟가로 볼 수 있습니다.
B1 시나리오: 상승 충격 1~3파 진행 후 4파가 전개되는 카운팅
- A 시나리오들과 달리, B 시나리오는 1파의 끝점을 3만 달러대가 아닌 7.37만 달러로 설정하는 카운팅입니다. 이후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을 3파로 해석합니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 역시 “아직 한 파동 더 남았다”는 분석에 해당하지만, A2보다 더 큰 단위의 상승파를 가정합니다.
- 이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포인트 역시 최근 바닥(빨간색 박스, 9.05~9.18만 달러)을 한 번 깨고 4파 조정을 거친 후 상승할지 여부입니다. 만약 조정이 진행된다면, 3파의 0.382~0.5 되돌림 구간인 8.37~8.54만 달러와 7.77~7.94만 달러가 4파의 타겟가가 될 수 있습니다.
- 이후 상승 5파가 전개될 경우, 파란색 상승 추세선, 오렌지 채널 상단, 그리고 1~2파의 1.13과 1.414 프로젝션 확장 레벨이 중첩되는 구간을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은 11.86~12.12만 달러와 12.81~13.07만 달러로 정도 됩니다.
B2 시나리오: 상승 충격 3파의 세부 4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B2 시나리오는 B1 시나리오와 동일하게 1파의 끝점을 7.37만 달러로 설정하지만, 아직 3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가정을 둔 카운팅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시나리오 중 가장 Bullish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을 3파의 세부 4파(혹은 5파)로 해석할 수 있으며, A2 시나리오와 비슷한 방식으로 11.86~12.12만 달러를 3파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4파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크며, 5파의 목표가는 3파의 고점이 확정된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아직 5파의 타겟을 정확히 정하기엔 다소 이르지만, 1~2파의 1.618 프로젝션 확장 레벨을 고려했을 때, 최소 14~15만 달러까지는 상승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C1 시나리오: 상승 조정 ABC파 진행 후 하락 충격파동이 전개되는 카운팅
- C 시나리오는 다소 Bearish한 카운팅으로, 2023년 초부터 진행된 전체 상승 흐름을 5-3-5-3-5 충격파동이 아닌 5-3-5 조정파동으로 해석하는 관점입니다. 즉, 상승이 조정의 일부였으며, 이후 하락 충격파동이 전개될 가능성을 고려하는 시나리오입니다.
- C1 시나리오는 C파의 세부 1~5파동이 마무리되고, 이제 하락 충격 1파가 시작되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이 경우, 기존 오렌지 상승 채널을 명확히 이탈하며, 상승분을 모두 되돌리는 강한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C 시나리오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회의적인 입장이며, 명확한 파동 타겟팅은 따로 설정하지 않겠습니다.
C2 시나리오: 상승 조정 C파의 세부 4파가 진행 중인 카운팅
- C2 시나리오는 2024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의 상승 흐름을 5파가 아닌 C파로 해석하지만, 아직 C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고 가정하는 시나리오입니다. B1 시나리오와 매우 유사하지만 핵심적인 차이점은 이후의 방향성입니다. B1은 현재 상승 파동 이후 추가 상승이 남아 있다고 보는 관점이라면, C2는 현재 상승 파동 이후 하락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해석하는 카운팅입니다.
- 본 시나리오에 의하면,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을 3파의 세부 3파(혹은 4~5파)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부 파동 타겟팅은 B1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후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조정 이후 본격적인 하락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여러분은 현재 시장을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각자의 엘리엇 파동 카운팅이나 시나리오에 대한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커뮤니티 아이디어
어린이보호구역입니다 제한속도는 ........
....
....
???:................
근래 .. 영상 만들고 자료 만들고 ...레퍼런스 짜고 리포트정리하고 자료 준비하고 통계분석하고
키워드 분석하고 채널 운영&분석하고 영상찍고 OKR 작업하고 KPI 작업하고 .. 에세이 쓰고 ..
그러다보니 번아웃 비슷하게 온것같음
예전처럼 트레이딩뷰 작업할때는 창작욕이 올랐는데 글래 내가 쓴 글을 보니 재미가없음
그래도 재미없다라도 최선을 다해 오늘도 써보겠음..
- 상보) 코인은 잠시 정체기(횡보)를 보여줄것으로 예상
2월 초부터 오늘까지 이슈가 상당히 좀 많았음
그러다보니 트레이딩뷰에 글쓰는 횟수가 상당히 많아졌는데
(시장상황이 거의 매일 바뀌는것같아 일별 이슈나 시장 상황 정리를 하고있음)
2월 굵직 굵직한 이슈들을 보면 .. 미국 관세 성명 , 백악관 암호화폐 관련 데이비드 이슈 , 미국 CBDC관련 , 파월 발언 (상원 하원 청문회) CPI , PPI , 고용지표 .. 더있는데 이정도면될것같음
뭐 여러 굵직한 이슈들 덕에 시장 변동성이 있었지만 어느정도 잠잠해 진것같고
다음주는 어느정도 그래도 굵직한건 없을것같음
다만 다음주 2월 20일에 미국 1월 FOMC 의사록이나옴
그런데 파월이 1월FOMC 부터 상원 청문회 하원 청문회에서 똑같은 입장(태도) 만 보여서 사실은 의사록에서 볼 내용은 없을것같음
(참고로 의사록은 FOMC 이후 3주뒤에 나옴)
그리고 매번 시장을 느낀건지만 의사록은 3월 6월 9월 12월에 나오는거 빼고는 사실 그리 중요한 내용들이 나오지않기 때문에 실상 이번 1월 FOMC 의사록이 더더욱 기대가 안됨
그래서 통화정책 관련한 방향성도 사실 3월 FOMC정도 밖에 기대가 안되서 당분간은 그냥 특정 이슈만 보면될것같음
더욱이 트럼프 관세 관련 내용도 어느정도 잠잠 해진게 X에 쓴거처럼 상화관세 발효 시기도 4월이다보니 관세 관련 이슈나와도 어느정도 무덤덤 할듯
(아니 그러면 이XX는 왜 2월부터 설친거야..)
뭐 결과적으로 여러 이슈나오면서 100K 무너졌긴했는데 앞으로 특정해서 볼 만한 시장 상황이 그렇게 큰 게 없어서
(특히나 경제 지표도 큰 영향 주는게없음 그나마 제조업 , 주택판매 , 서비스 정도 ? )
그래서 제목이 큰이슈가 없을거라 아마 차트 흐름으로 갈것같은데 그래서 이전처럼 큰 변동없이 없을것같아 어린이 보호구역이라 한거임 ...
(어느정도 밴드 형성하면서 횡보성 움직임 예상..?)
그래도 그나마 회의록 때는 그림 좀 나올것같아 다시 리프레시 할 분위기를 맞이 할것같아서
그전까지는 차트 분석좀 하면서 시장 보도록 하겠음
- 기술적 분석 (간만에)
전체적으로 봤을때 하락 추이를 보여주는 채널링이 유지되는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반대로 박스 흐름을 이어가는것처럼 보이기도함
(그런데 전자쪽 관점으로 보고)
그안에서 하락 채널링을 완만한 각도로 형성 하고있음
채널 상단에대한 돌파 관점은 98.5K 구간 으로 보이고
반대로 채널 하단 이탈한다면 93.2K 구간정도로 볼 수 있음
다만 아래서 올리는 추세선도 보여서 삼각수렴 형태로도보여 하단 지지를 본다면
98.5K ~ 94.8K 정도 흐름으로 예상 해 볼 수 있음 (이게 현재 밴드고)
15분봉상 딥 크랩 패턴(하모닉)이 보여서 만약 C 구간 (95.2K 구간만 이탈하지않는다면
잠재적으로 101.22K 구간까지 갈수있음
그후 내려온다면 TP 구간 까지내려오는데 그건 101.2K 까지 올라온다음을 봐야겠죠
정리
현재 밴드폭(변동폭) : 98.5K ~ 94.8 K
상단 돌파 98.5 K > 최대 101.2K > 이후 하락하면서 98.9K > 97.5K 순으로 하락 가능성
하단 지지 94.8K 이탈시 > 93.2K 지지 이탈시 > 중채널 하단 채널링까지 91.8~92.2K
현재 96.8 이라는 구간은 매우 애매함
단기 피보나치 지지구간 / 95.8K
단기 피보나치 저항구간 / X
끝
(다음에 리플 관점한번 써볼게요 이더랑...)
션타임 아카데미 - GBPUSD(영국 파운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3.0%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및 전월치 2.9%를 상회, 코어 CPI도 3.3%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3.1%를 상회
- 연준의 3월 금리 동결은 기정사실화되었으며, 시장에서는 하반기는 되어야 연준이 금리인하를 재개할 것이라 전망
- 이번 CPI 결과에 대해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목표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달성하지 못했다고 발언
- 트럼프 미 대통령은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과 통화를 통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을 시작하기로 동의했다고 언급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2월 13일: 영국 4분기 GDP, 독일 1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
+ 2월 14일: 미국 1월 소매판매
GBPUSD 차트 분석
최근 1.25000 라인까지 올라섰지만, 해당 구간을 돌파하는데 실패하면서 잠시 밀려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갖춰진 재료에 따라 올라설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1.25000 라인을 돌파하는데 성공한다면 1.27000 라인까지 올라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1.25000 라인에서 다시 한번 막힌다면 1.20000 라인까지 낙폭을 키울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본질에 대해서오늘은 엄.근.진 모드로 글을 써봄
....
-나만 생각이 많은듯..
저번주 고용지표 발표하고 그런 다음 파월 발언이 있었고
오늘 10:30분 미국 핵심 지표 CPI 발표가 있음
그중 중요한건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전월대비임
(연준에서 이지표를 보고 물가압력이 있는지 아님 어느정도 물가가 낮춰지는지를 판가름의 척도 지표임)
그렇기에 고용지표에서는 비농업 (현재는 실업률도 같이봄) 그리고 CPI 지표를 통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
이번 1월 CPI 예상치는 0.3% 작년 11월달 부터 예상치 변화가 없음 이번에도
CPI 수치를 통해서 본다면 정말 파월은 그전까지 이중책무에 대한 원칙을 가지고 통화정책을 시사했다는게 느껴짐
미국이 양적완화를 멈추고 테이퍼링을 시기를 가져가면서 양적긴축을 시사하면서 기준금리를
가장 높은 수준인 5.50%를 달성한게 23년 7월임
그리고 기준금리를 인하한 시점은 24년 9월 이니깐 정확히 1년 2개월만에 금리를 낮춘건데
미국 기준, 통화정책을 엿보면 역사적으로 미국에서 금리를 가장 높은 수준을 만들고
이후 동결기간을 가지며 이후 금리 인하를 하는데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준 금리 동결기간을 평균 6~8개월간의 기간을 가짐
* 대부분 금리를 올리는건 시장내 물가안정을 위한거고 금리가 올라갈 수록 물가는 낮아진다
이후 동결기간을 갖는이유는 고금리 상태를 유지해 물가가 어느정도로 잡히는지 사실 확인하는거다 아무튼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 동결기간을 갖는건데
*이번 양적완화이후 양적 긴축 그리고 동결기간이 상당히 길었던 이유는 그만큼 미국내 물가가 찐득한 흐름을 보였다는걸 간접적으로 말한거
다만 동결기간이 너무 길어지면 고용이 약해짐 > 미국경기하락
반대로 동결기간이 짧으면 다시 물가가 오름 > 인플레 문제
높은 수준의 금리를 꽤나 길게 유지함에도 다행이
고용자체의 밸런스는 꽤 괜찮았기 때문에
파월입장에서는 물가압력이 낮춰지는 타이밍을 잡았을거
잘보면 24년 5월 부터 8월까지 CPI가 튀지않고 4개월간 예상치를 벗어나지않음
(거기다 6월과 7월은 예상치를 더낮췄음)
이때 생각해보면 7월에 CPI 예상치를 낮췄음에도 만족하는결과를 보여줘서
7월말과 8월초에 금리인하 가능성이 논의 됬고
8월 잭슨홀에서 확답을 준거 그후 9월부터 금리를 내렸고 자신감을 보이듯
첫금리인하부터 50BP 인하했음
금리를 내리게 되면 당연히 물가는 오름 하지만 어느정도 유도리는 가짐
하지만 이때 대선레이스였고 트럼프 당선가능성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래 물가 가속이 시작됨
일단 9월 CPI실제치가 0.2%를 벗어나 상회를 한건 금리인하를 하겠다는 통화정책 선반영에 의해서임
잘보면 CPI는 9월 11일에 발표했고 9월 금리인하는 9월 19일에 했음
이부분은 어느정도 예상했던거고 이후 10월에 발표되는 9월 CPI 예상치를 동일하게 0.2%로 맞춰났지만 트럼프 대선이 확정이 거의 났던 상황이라 CPI가 다시한번 튄거임
그후 예상치를 0.2% > 0.3% 수정한거고 지금은 12월 11일 까지 그범주안에 있었음
다만 25년 1월 발표된 CPI 발표치는 4개월만에 0.1% 낮아진 0.2%로 나왔는데
이유는 다들 알다시피 작년 12월 점도표에서 금리 전망이 바뀌었기 때문
25년 4회 금리 인하할껄 2회로 줄어드니 사실상 예상했던 수준보다 낮춰지는게 아니잖슴
그부분이 물가압력을 해소해서 낮아진거고 (반대로 증시랑 코인은 좀 크게 휘청였지만)
- 결론?
아무튼 여기 까지만 보면 파월이 정말 이중책무에대한 요소를 지켜가면서
중립적인 성향을 보여준거임
(즉 시장과 소통을 잘했고 그과정에서 신뢰도가 있었다는걸 증빙하는건데)
이후부터는 사실 알 수 가없음
1월 FOMC에서 파월이 이중책무에 관해 이야기를 하며 통화정책을 시사할것이라 이야기했지만
성명문이 수정되고(물가관련)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 변수로 보여져 아직 확답을 못준다고 했다
= 여기서 알 수 있는건 고용에대한 이야기는 딥(Deep)하지않았고 물가 관련해서만 이야기 했음
= 그리고 이중책무에 달성이 통화정책을 결정짓는게 아닌 트럼프의 행보(관세)가 문제가된다고함
그럼이걸 어케 생각해야하냐면 이후 파월은 고용보다 물가를 중요시하게 될거고 이중책무에 추가적으로 트럼프 관세눈치까지 봐야하는 숙제를 가지게 된거임
이전부터 통화정책에 간섭을 하고싶어하던 트럼프한테는 좋은 기회이긴함
거기에 1월 fomc 끝나자마자 바로 강경하게 관세정책 행정명령 서명했음
(뭐 2일뒤 바로 번복했지만.. 이 과정에서 트럼프가 ''관세라는 협상카드를 협박의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라고 보여준거라 생각함)
관세정책으로 주변국 협상카드로 쓸뿐아니라 간접적으로 통화정책까지 영향을 주니깐
그럼 사실 파월 입장에서는 앞으로 cpi나 고용이 좋아지더라도 트럼프란 변수때문에 통화정책에대한 판단이 어려울 수 밖에 없음
그래서 지금 어떤 생각이 드냐면...
이런 무한궤도를 탈것 같다는 생각이듬
어차피 파월도 이번년도 상반기 까지 금리인하 가능성 배제해 놨고
뭐가 됬든 3월 FOMC에서 점도표 나올때 까지는 그냥 지켜봐야할것같음
(사실 뭘 기준으로 얘기하고 그럴게 없다고 판단함)
오늘 CPI는 예상치 0.3% 인데 여러 요소로 인해 0.3% 이거나 그것보다 상회 할 수 있다
가능성 보고 있음
1. 식자재값 상승
2. 겨울 연료(시즌성 에너지 가격) 상승
3. 차량 거래가격 상승
4. 전력 가격 상승
= 결론 높을 수 있다 ...
아무튼 여기 까지만 이야기하고 오늘 CPI도 있어서 차트 분석 패스 하고 오늘도 여기서
마무리 하겠음
그럼 다들.. 팔로우 ,부스트 부탁!
추세가 강한 "1티어" 알트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안녕하세요. 빅쇼트입니다.
직전 게시글에서 비트코인의 "BULL FLAG" 관점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위에 내용도 참고해야 하는 이유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가격의 연관성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1티어" 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저점 매수 기회를 잡아봅시다.
1. OM
OM 코인은 "만트라"의 유틸리티 토큰이며 "만트라"는 Layer1 블록체인이며, 실물자산(RWA) 토큰화를 활성화하여 전통 금융(De-fi)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OM 코인은 저점 경신 이후 581일 동안 횡보 후 23년 12월부터 계속해서 상승을 해주고 있습니다.
매수를 했던 지점마다 차이는 존재하지만, 신규 진입을 하려는 분들은 4.5~5.2$이 온다면 분할매수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보나치 1~1.13 비율 저항에서 현재 막히고 8%정도의 조정이 왔지만 힘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저항 구간을 돌파한다면 8.4$까지 상승을 열어두셔야 합니다.
2. RAY
RAY 코인은 탈중앙화 거래소(DEX)들의 꾸한 성장으로 매우 좋은 전망을 갖고 있습니다.
(* DEX는 중앙관리자 없이 지갑을 스스로 관리하는 거래소)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레이디움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내용입니다. 3.4~3.8$이 온다면 매우 좋은 별 5개짜리 매수 구간입니다.
(흰색선)
횡보 후 첫 상승이 시작되고 0.618 비율만큼 되돌린 이후 1.13 스탑헌팅 구간을 넘기지 못하고 다시 0.618 비율만큼 되돌림이 나왔습니다.
(초록선)
두 번째 상승이 시작되고 1.618비율보다 더 큰 상승 비율이 나오면서 0.5 ~ 0.618 사이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파란선)
흰색선 때와 초록선 때와 비교하면 현재 가장 좋은 매수 구간은 파란선에서 0.618 비율만큼 되돌림 구간이고
과거 지지와 저항으로 쓰여던 중첩 구간인 3.4~3.8$ 입니다. 이곳이 깨진다면 빠르게 손절하셔야 합니다.
이곳을 이탈한다면 최대 -33%까지 열려있기 때문입니다.
3. SOL
SOL 코인은 플랫폼 코인으로서 높은 TPS와 저렴한 수수료를 바탕으로 밈코인 생태계가 발달했고 이더리움과 비교되는 모습을 보이며 "이더리움 대항마"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TPS : 비즈니스 거래 중 데이터 수집과 검색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 처리 소프트웨어)
솔라나의 경우는 과거 작성했던 177$에서 반등이 나왔으나 207$에서 저항을 맞고 있습니다.
(파란선)
첫 번째 상승이 나온 이후 0.5 비율까지 되돌림이 나오고 다시 되돌림 확장 1 비율까지 상승이 나왔습니다.
파란선 고점 이후 조정이 나오고 있으며 0.5 ~ 0.618 되돌림 비율까지 보고 있고 지지선으로 보아도 매우 좋은 구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L 솔라나 코인을 매수하려는 분들은 126~177$ 사이에서 분할 매수하고 112$이 깨졌을 때는 85$까지 하락을 고려하시어 여유있게 큰 틀을 보시길 바랍니다.
4. PEPE
도지 코인만큼 유명한 밈 코인 중 하나입니다.
(밈 코인을 좋아하지 않지만 손익 비 좋은 구간이라고 생각해서 올립니다.)
하얀 추세선이 닿는다면 손절 짧게 매수하면 좋을 밈 코인입니다.
5. FET
FET 코인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결합해 탈중앙화된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AI : 인공지능)
"FALL WEDGE"
"DESCENDING TRIANGLE"
폴링 웻지라고 무조건 상승으로 가는 것이 아니고 디센딩 트라이앵글이라고 해서 하락으로 가는 것이 아닙니다.
확률상 그렇다는 것이지, 항상 패턴으로 차트를 볼 때에는 지지와 저항 추세 중 어디를 먼저 이탈 혹은 돌파 하는지 중요하게 보셔야 합니다.
FET 코인의 경우는 패턴도 함께 봐야 하지만 0.48 ~ 0.686$ 사이에서 분할매수 하면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같은 시기에 미리미리 유망한 알트코인을 분석하며 매수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가장 좋은 첫 걸음이라고 시작합니다.
여유 있을 때마다 5개씩 묶어서 2편과 3편도 작성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50211]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2/11)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예고에도 불구하고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MACD가 매수시그널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우상향하는 모습을 만들어주면서 장대양봉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수급이 현재 혼조스러운 구간으로 거래량없는 상승을 기록하며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확정적으로 나오기 전까지는 박스권 관점으로 보는 게 유리하며, 22000 부근의 박스권 상단을 강하게 돌파하는 양봉이 만들어져야만 의미있는 추가 상승을 바라볼 수 있겠습니다. 21000~22000의 큰 박스권을 위든 아래든 돌파하지 못하면 MACD가 Signal선과 이격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박스권 횡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상승하며 다시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려는 매수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다시 되밀리는 그림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하지 못하고 다시 하방으로 만들어지는 그림이라면 매수 실패에 따른 급락이 나타날 수 있고, 특히 어제 거래량없는 상승을 가져갔던 만큼 추격매수보다 최대한 박스권 관점으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또한 박스권 상단을 넘어서는 상승이 나타나지 않으면 MACD의 다이버젼스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추격 매수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10일선까지 상승마감하였습니다. MACD가 Signal선과 닿으려는 성질에 따라 70~71불 지지라인에서 상승하였습니다. 매물대가 많은 구간이기 때문에 큰 그림에서는 눌림 시 매수대응하기 수월한 자리이며, 어제 언급드렸던 것처럼 다시 70~71불 부근에서 쌍바닥을 형성하고 상승하는 흐름이 나올지, 아니면 그대로 급등하는 흐름이 나올지는 지켜봐야하는 위치입니다. 다만 일봉상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상승이후 골든크로스를 만들지 못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74불 위에서 매수추격 하는 건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다이버젼스 형성 이후 강한 상승을 이어가고 있고, 매수 수급이 오랜만에 강하게 들어오는 그림이니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신고가를 기록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골드가 무서울정도로 상승하면서 과매수구간까지 진입하며 볼린저밴드 상단선까지 뚫어버리는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전세계적인 관세 압박에 따라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고, 골드와 구리 등 일부 원자재 랠리가 펼쳐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골드는 1월 16일 매수신호를 확정지은 이래로 계속 상승하고 있는데, 현재 구간에서는 급등에 따른 급락도 언제든 펼쳐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하며 수요일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목요일 생산자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과매수영역에 접어든 만큼 최대한 저점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으며, 일봉상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 하는 그림이 나와야만 단기적인 조정 관점을 가져갈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계단식 상승 이후 2940~2950 부근이 파동상 고점부근으로 체크되는데, 오버슈팅이 나올 수 있으니 고점여부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에서도 아직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으니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어제 급등에 따른 오늘 조정 가능성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주 수요일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전 세계의 변동성을 크게 만들고 있습니다. 늘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네이버에서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를 검색해주세요. 감사합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SOLUSDT : 저항 추세선 돌파 후 안착(쌍바닥)을 활용한 LONG 매매 진입 전략안녕하세요. 프랍 겸 전업 트레이더 '차트의 왕도' 입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신고점을 갱신했으나 불확실한 움직임으로 인해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이 조정이나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한한 조정은 없듯이 어느 순간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순간은 꼭 찾아옵니다.
오늘은 그런 하락 추세이던 알트코인들 중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된 모습을 보여주는 코인인 SOL코인에 대한 LONG 진입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OLUSDT는 상승 관점으로 대응하는 게 옳다.
1) 대표적인 지지구간의 가격대 (201.85 ~ 204.46) 에 도달해 있는 상황
지지구간에 가격이 위치해있는 건 결국 매수세의 유입으로 인해 하락할 확률보다 상승할 확률이 현저히 높습니다. 통계학적인 요소로 매수 참여자들의 포지션 유입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2) 저항 추세선을 상승 돌파
닿으면 매도세의 유입으로 인해 하락하는 저항 추세선을 상승 돌파했다는 건 매수세가 매도세를 이겼을 때 나오는 현상이며, 이는 곧 추세의 반전을 의미합니다.
3) 쌍바닥 패턴의 완성
쌍바닥 패턴이 완성됐다는 건 이 또한 매수세가 매도세를 이겼을 때 나오는 패턴입니다. 즉 이 또한 추세의 반전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현재 가격대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Bitcoin (BTC): 기술 및 기본 분석📈 BTC/USDT 기술 분석
도널드 트럼프가 일부 국가의 수입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하락은 91,000의 큰 지원 블록에 의해 멈췄습니다. 현재 BTC 가격은 EMA 200 라인 아래에서 통합되었으며 가치 구역 제어 지점 수준에 있습니다. 매수자가 95,000-97,000 구역에서 새로운 지지 수준을 형성하지 못하면, 우리는 추가 하락과 90,000 레벨의 재테스트를 예상할 것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그 아래로 통합되면, 0.61과 0.78 피보나치 레벨로의 완전한 수정이 가능할 것입니다. 불균형 4H 및 불균형 1D 구역의 거래량 수평 수준에는 거래를 통해 해소해야 할 큰 격차가 있습니다.
그리고 성장을 지속하려면 비트코인 가격이 동적 저항선 EMA 200 위로 돌아와 심리적 수준인 100,000 위로 통합되어야 합니다. 이 경우 108,000-110,000의 저항 블록을 다시 테스트하고 역사적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분석.
일간 로그 차트에서는 반전 형태인 더블 탑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이는 90,000의 지지선을 깨고 그 아래로 가격이 고정된 후에야 완료될 것입니다.
RSI 지표의 차이는 또한 수정이 계속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2024년 11월 비트코인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면서 77,000~85,000 범위에서 1D 불균형 구역이 형성되었고, 거래량의 수평적 수준에 큰 격차가 발생했으며, 이는 거래를 통해 해소해야 합니다.
수정이 완료된 후, 비트코인 가격 성장의 다음 목표는 이전 성장 주기의 두 정점을 기반으로 구축된 글로벌 추세선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테스트는 약 120,000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거래소 주문장의 대량 주문 블록을 분석하여 확인됩니다.
💠 유동성 수준 및 존 분석
두려움과 탐욕 지수는 중립지대인 49에 있습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 자본금은 30억 8천만 달러로 감소한 반면, 비트코인 지배지수는 61.82로 상승했습니다.
거래소 주문장에 대량 주문 블록이 누적된 상황을 분석한 결과, 공급 및 수요 구간은 다음과 같은 수준에 위치합니다.
🟢 수요 구역: 85,000 - 90,000
🔴 제공 지역: 100,000 - 120,000
롱 포지션의 수준:
90,000 - 92,000 - 대형 지원 블록
87,000 - 88,000 - 대형 지원 블록
80,000 - 대규모 지원 블록
77,000 - 대규모 지원 블록
단기 포지션의 수준:
105,000 - 대규모 저항 블록
110,000 - 가장 큰 저항 블록
120,000 - 상승 추세선 저항
📊 기본 분석
도널드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한 후,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히 붕괴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가격이 9만 달러 근처로 떨어져 역사상 가장 큰 청산이 발생했으며, 총 22억 달러가 발생했습니다. 같은 날, 캐나다와 멕시코의 지도자들이 미국 대통령과 관세 시행을 연기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는 회복되었지만, 시장은 아직 정상화되지 않았습니다. 대규모 투자자(1,000 BTC 이상 보유)의 수는 아직 회복되지 않았으며, 대규모 축적은 아직 완전히 재개되지 않았습니다. 시장이 회복되려면 최대 2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국가 비트코인 보관소를 만들라는 명령은 비트코인 시장 주기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주기는 이전 주기보다 안정적이며, 폭락 시 실현 손실도 작게 유지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더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고, 기관들이 BTC에 대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BTC로의 순 자본 유입은 이미 8,500억 달러를 초과했고, 암호화폐의 일일 거래량은 평균 약 90억 달러입니다. 주요 암호화폐의 자본금은 현재 2조 달러로 추산됩니다. 이로써 이는 은과 사우디 아람코, 메타와 같은 기업을 제치고 세계에서 7번째로 큰 자산이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의 추가 성장은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정책과 미국의 규제 정책에 달려있습니다. 정부가 암호화폐에 친화적인 입장을 취하면 가격이 오를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조절기의 저항으로 인해 교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경제의 다가올 이벤트
다음 날짜까지 주식 및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7.02, 16:30 - 1월 미국 실업률.
➤ 12.02, 16:30 -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지수(CPI).
➤ 02/27, 16:30 - 미국 GDP 데이터.
➤ 03/19, 21:00 - 새로운 연방기금 금리 결정.
또한, 저는 우리의 인공지능이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에 대해 장기적으로 예측한 결과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이 예측은 방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추가 가격 움직임의 궤적도 구축합니다.
제 2의 관세 전쟁? 비트코인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안녕하세요. 빅쇼트입니다.
저번 글에서 상승과 횡보, 하락에 대한 3가지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전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전에 썼던 글 중 일부를 발췌해서 말해보겠습니다.
"상승" 관련해서 작도한 차트이며 고점을 살짝 경신한 이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이 나왔습니다.
"횡보" 관련해서 작도한 차트이며
현재 가장 흡사한 모습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관세 전쟁"의 시발점이 될 수 있는 시점에서 "하락"에 대한 차트까지 보시면 좋을 거 같네요.
1번에서 최근에 관세와 딥시크로 인한 급락이 발생하였고 지지 구간에서 반등이 나왔지만 다시 하락 채널 상단에서 저항을 맞고 하락 캔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것을 좋은 반등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거래량도 발생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거래량이 수렴하고 있기 때문에 작년 4월~10월 하락 횡보 채널 같은 움직임이 적어도 25년 4월까지는 진행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는 차트의 방향은 "BULL FLAG" 패턴입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르기만 한다면 과연 모든 사람들이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절대 아닙니다. 항상 상승한다고 해서 좋은 것도 아닙니다.
적당한 가격의 조정이 발생해야 하고 그 이후 상승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현재 할 수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와 발언을 주시하면서 너무 급하게 시장을 바라보기 보다는 현금 보유를 하면서 여유있게 보시면 좋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tesla 재진입 또는 신규진입의 위치가 오고있다현재 개인적인 생각으로 테슬라 주가에 있어서 일론머스크발 악재로써는
정치적인 악재와 선거 소송건 관련 악재가 존재한다고 봅니다.
기업적인 측면에서 당해오던 공격과는
차원이다른 정치적인 공격을 또 감내하면서 나아가야하는 일론머스크가 됐습니다.
예상은 여기까지로 하고,
보이는 굵은 상승채널안에 녹색 사각 영역은
기존에 무려 900일간의 하락을 멈추고 상승한
상승채널의 상단이자 채널안쪽의 영역입니다.
굉장히 매력적인 위치로 생각돼서
채널 상단 지지받는다는 가정과 채널안쪽 진입하는 가정 두개의 시나리오를 두고
채널 상단 부터 안쪽영역까지 다회의 분할 매수로 접근 계획입니다.
약 현재가로 부터 300달러까지의 부근이 되겠네요.
결과가 기대되네요. 모두 성투 되십시오!
[2025.01.31][XRP] Rising Wedge[상승쐐기형] 리플 힘이 좋긴하지만....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강하게 매수가 들어와주는 구간의 힘이 조금씩 약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체적인 날봉흐름은 라이징 웻지 패턴으로 상승쐐기형 패턴이라고도 합니다.
단기간 하락추세 를 돌파해준다면 다음예상저항구간으로 표시해둔 구간까지 상승을 충분히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99% 이상 라이징 웻지 패턴으로 보셔도 무방할 듯 합니다.
해당 패턴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무엇이냐?
빨간점선 위로 뚫어줄 확률 30%
파란점선 아래로 빠질 확률 70%를 통상 이론적인 확률로 잡습니다.
위로 뚫어준다면, 첫파동의 크기만큼 위로 1:1비율로 상승하는 것을 이론적인 목표값으로 잡는데 상승이후 고점과 저점에 대한 피보나치를 적용시켜보면 그 구간이 피보나치 4구간과 딱 맞게 떨어집니다. 물론 무조건이란 없기 때문에 돌파해주었던 추세아래로 내려온다면 이건 물량을 덜어내던지 포지션에 대한 종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라이징 웻지 상단부분을 지지받아준다면 목표가까지 충분히 볼만하니 유연하게 대처하셔야겠습니다.
반대로 아래로 뚫릴 경우에는 저점을 찍어주었던 구간까지 최대 목표값을 잡아볼 수 있습니다. 결국 저 라이징웻지 하단이 뚫릴 경우에는 올림숏 대응으로 매매를 하는 것이 좋겠죠. 최대 빨간박스권구간까지 목표값을 잡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경우에도 다시 추세로 올라탈 경우 상승관점에 대한 목표값까지 봐도 무방하지만 라이징웻지 하단이탈에 대한 리테스트가 나오고 돌파지지에 실패한다면 계속해서 올림 숏 대응이 유리한 포지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주봉차트 입니다.
장기 상승저항추세선을 돌파해주고 현재 지지를 받아주는 모습은 상승관점에서 충분히 긍정적으로 바라볼만하죠. 이 차트만 봐서는 무난히 10테더까지도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는 차트로 보입니다. 장기 상승저항추세선에 대한 지지만 무난하게 나와준다면 빨간색 채널의 미들라인까지는 목표가로 노려볼만 합니다.
조금 단기적인 흐름으로 돌아와서 4시간봉으로 한번 더 보겠습니다.
이전 관점에 올려드렸었던 상승채널입니다. 미들라인에 대해서 반등가능성을 체크하기 위해 만들어두었던 것인데 반등이 한번나와주었고 경국 하방이탈 크게나와주며 다시 한번 미들라인에 대한 저항을 확인했습니다. 4시간봉 차트로 봤을 때 주황 -> 노랑 -> 초록 순으로 충분히 매수를 해볼만한 자리이며, 만약 이미 포지션이 들어가있는 경우는 각 구간들이 추가매수구간이 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초록색선 아래로 하방이탈할 경우에는 매수포지션 보다는 매도포지션으로 스위칭하여 올림숏 대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부분은 앞에서 이야기했던 라이징웻지 패턴 하방이탈 구간입니다.
현재는 힘이 조금씩 약해지고 있지만 라이징 웻지 패턴으로 차트가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위로 돌파냐 아래로 뚫리느냐가 관건인 듯 합니다. 하방이탈한다면 매도포지션에 대해 적극적으로 덤벼볼만해요. 이유는 손익구간이 좋기 때문입니다.
추가적인 변동사항이 생긴다면 새로이 관점을 이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_^
오늘도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이제 우리 2차전지 끝인가요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2차전지는 사실상 중국 제품들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기사들을 쉬이 찾을 수 있습니다
그에 더해, 주주들에게 실망감을 계속해서 안겨준 악덕 기업들로 이미지는 더욱 안좋아졌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2차전지에 미래가 있을까-
이 모든걸 '선반영' 한 결과가 지금 가격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의 가격은 모든 악재가 반영 된 가격이며 -1
앞으로 나올 촉매를 기다리고 있다 -2
라는 생각으로 접근한다면, 현재 2차전지는 바닥에 이른 상황이라고 여겨집니다
이 차트는 2차전지 2배 상품입니다
최고가 19600을 찍던 이 상품의 현재가는 1300원.. 15토막이 나있는 상황이네요
전고점 회복을 기대하지는 않지만, 현재가 바닥권이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면
대단히 매리트 있는 가격이라고 생각 해 볼 수 있겠습니다
너무나도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상장폐지의 우려도 있긴 합니다
어쩌면 이런 레버리지 상품들이 상장폐지 되고 나서 본격적으로 올리기 시작할 수도 있겠습니다
따라서 아주 적은 비중으로 담거나, 레버리지가 없는 상품/개별종목이 더 좋을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적은 비중으로 진입 후 반등 확인 될때 개별종목에서 따라 붙을 생각입니다
대주, 이수, 엔솔, 엘앤에프 등의 종목들에서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작도 관련하여-
log fib 로 살펴보면 1215는 파동의 종점으로 의심해도 좋은 가격이라 생각 됩니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트레이딩이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글을 남겨 주신 @TradingBrokersView님께 감사드립니다.
(원본)
🚨 Bitcoin update! 🚨 BTC rejected at MA50 (4h) inside a Channel Down pattern. If history repeats, we could see a Lower Low at 95K (-10.7%), aligning with MA100 (1d) support. RSI (4h) is confirming bearish momentum.
🔥 Trading Plan: Sell now before further downside!
(구글번역)
🚨 비트코인 업데이트! 🚨 BTC가 MA50(4h)에서 채널 하락 패턴 내에서 거부되었습니다. 역사가 반복된다면 MA100(1d) 지원과 일치하는 95K(-10.7%)에서 더 낮은 저점을 볼 수 있습니다. RSI(4h)는 약세 모멘텀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거래 계획: 더 하락하기 전에 지금 매도하세요!
어떻게 말씀드리는 것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렇게 아이디어로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
#BTCUSDT 1M
차트에 표시된 것과 같이 많은 상승을 한 상태이니 하락 압력을 받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 하락 압력이 얼마나 크게 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자금의 흐름입니다.
좀 더 자세한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1D 차트에서 갭 발생 상태를 봐야 하지만, 전체적인 자금의 흐름을 볼 때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도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자금의 유입에서 모두 매도하는 것은 앞으로 다가올 상승장에서 변동성을 이기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입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 입니다.
그 이유는 매수 평균 단가가 너무 높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고 변동폭 구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투자 스타일이 급하고 빠른 거래를 원하는 스타일이라면 언제든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 전략이 적합할 것 입니다.
그렇지 않고 좀 더 긴 전망을 보거나 현물 거래 위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모두 매도하기 보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둠으로서 차후 상승장에서 보다 쉽게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둔다는 것은 매수 원금이 0인 코인(토큰)을 말합니다.
즉, 매수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만큼 매도한 것을 말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TCUSDT 1M 차트를 볼 때,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1.618 (89050.0) 부근이 상당히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CUSDT 1D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결국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의 아이디어를 계속 읽어 보셨다면, 차트 분석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려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였을 겁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로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제 하락할 것이니 모두 매도하라는 의견은 보는 사람들마다 다르게 와닫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수익 중인 분들도 있고 손실 중이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수익 중이신 분들은 하락하더라도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있을 것이고, 손실 중이신 분들은 심리적인 압박에 시달리실 수 있을 겁니다.
제가 드리고 정보는 이러한 모든 분들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가 굳이 말씀드리는 가격, 즉,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인의 매수 평균 단가가 제가 말씀드리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하락의 추세와 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여유를 갖고 상황을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규모가 총 투자금의 20% 미만이고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하다고 느껴진다면 일부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추가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심리적인 안정을 어느 정도 보장 받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이란 이와 같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떤지 냉정하게 바라보고 현금 보유를 잘 체크하여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 전략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것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전략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2025.01.22][VTHO] 저항구간 도달, 과연 어디까지 눌릴지안녕하세요.
COIN TRADER TEAM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 투자하는 EZ GROUP 입니다.
어제 업비트에 상장되었던 비토르토큰 인기가 어마무시합니다 ^_^;;
과거데이터가 업비트에는 없기 때문에 정확한 차트분석을 위해서 바이낸스 거래소 기준으로 차트분석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날봉차트입니다.
상장이후 최고점을 빠르게 찍어주고 21년도부터 지속적인 하락세를 이어왔습니다. 그리고 23년도 부터 저점을 점차 올리며 상승의 각을 가파르게 올리기 시작했네요. 올해 1월에 장기하락추세를 돌파해주면서 상승에 대한 긍정적 시그널을 보내오고 있습니다만, 무지성으로 매수들어갈 자리가 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물론 장기적인 흐름은 좋습니다. 모든 종목에 저는 세력들이 하나씩 다 개입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프렉탈이라는 것을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부분 중 하나죠.
장기하락추세를 뚫고 올리기 전 무빙과 비슷한 패턴으로 상승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피보나치 4구간을 터치하고 나서는 장기간조정 or 빠른돌파 둘중에 하나로 봅니다.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장기간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대해 생각해봤네요.
조금 더 확대해서 아까 체크했던 프렉탈구간에 대한 봉패턴을 그대로 넣어보면 이렇게 하나의 큰 상승채널이 보입니다. 결국 중요한 구간은 채널 미들라인과 그 아래 초록색 구간으로 확인이 됩니다.
어디까지 눌릴 수 있는지는 지금 체크가 어느정도 되었죠. 만약 여기서 채널 상단을 뚫고 바로 쏘아버린다면 돌파매매를 진행하셔서 따라가시면되고 이 부분에 대한 손절라인은 결국 다시 채널아래로 뚫고 내려왔을때 하시면 됩니다.
조정이 끝나고 상승을 시작하는 시기는 앞에서 체크했듯이 하락추세돌파가 나와주는 시점부터겠죠. 돌파를 확인하고 진입해도 충분히 늦지 않고 충분히 괜찮은 가격대에 진입하는 것이니 급하게 매수하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조금 더 단기적인 흐름을 1시간봉으로 체크해보겠습니다. 2.272구간을 깨지않고 상승이 한번 더 나와준다면, 위 4구간까지 다시 한번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여기서부터 어떻게 차트가 움직이는지를 보고 매도포지션 분할로 접근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상승이 아닌 하락이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한다면, 1.618 / 1 / 0.618 구간이 제가 예상하는 반등구간으로 차분히 기다렸다가 해당구간에서 기술적 반등에 대한 수익을 노려봐도되며, 현물을 주로 매매하시는분들은 각 구간들이 신규진입구간 및 추가매수구간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앞에서 체크했던 프렉탈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이라 보기 때문에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체크 해둔 자리까지 기다렸다 진입하셔도 늦지 않으니 절대 급하게 매매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변동사항 생길시에 추가 업로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뇌피셜) 롱이냐 숏이냐 어디냐(공부 중인 개인의 의견일뿐 매수매도의 추천이 아님)
장기적 관점은 아직 상방추세에 있으며 단기관점은 수렴으로 인한 혼조세이므로 이탈방향을 보고 매매를 해야겠다
-1일봉 : 기준선과 전환선의 골드크로스상탸 유지중, 기준선은 2주간 횡보가 예상되며 전환선은 3일 후 움직인다
캔들은 당일선행스팬1보다 많이 위에 있으며 전환선에 닿아있어 지지여부가 중요하겠다
저점(892)과 고점(1095)은 33변곡 아님
-12시간봉 : 기준선은 급격히 상승, 전환선은 횡보가 예상되며 가격격차가 커 크로스여부를 예상하기 어렵다
캔들은 당일선행스팬1보다 많이 위에 있으며 전환선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저점과 고점은 33변곡이 아니다
-8시간봉: 기준선과 전환선이 데드크로스 되었고 기준선은 횡보가 예상된다
현재 캔들은 당일선행스팬1보다 약간 위에 있으면서 기준선과 전환선 사이에 갇힌 형세다
-4시간봉: 캔들이 삼각수렴의 양상을 띄고 있어 전환선과 기준선의 크로스가 잦으며 현쟈는 골드크로스 상태이다
후행스팬이 전환선과 기준선에 닿아있지만 발산이 될 때까지는 약간의 이탈은 의미가 없겠다
캔들은 당일선행스팬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준선과 전환선 사이 및 양운 상단에 머물고 있다
현재 캔들은 892에서 올라온 스피드팬의 0.75에 걸쳐진 채 단기 상승포크와 초단기 하락포크 사이에 있다
단기상승포크에서 미드와 하단1.0을 찍어주었기에 대칭론에 따라 상단1.0에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초단기하락포크에서는 미드 근처에서 반등하며 스피드팬0.75를 타고 상단 2.0값까지 와있으며 이곳을 상방이탈하면 상승가속화가 일어날 수 있다
다만, 아래에 큰힘인 장기 상승포크의 미드가 캔들을 당기고 있다
게다가 이 장기 상승포크의 상단 1.25를 찍었기 때문에 대칭론에 따라 하단 1.25값을 찍으러 갈 수도 있다
장기상승포크의 미드에 끌려 내려온다면 바로 아래에 초장기 상승포크 상단1.5에서 지지받는지 여부가 중요하겠으며 하방이탈한다면 장기상승포크 하단 1.0까지 빠르게 하락할 수 있으며 가까운 값으로 초장기상승포크의 상단1.0이 있고 대략적인 날짜는 일봉 기준선이 상승하는 때와 겹칠 것으로 예상된다
스피드팬 0.75를 지키면서 초단기하락포크 상단 2.0을 상방이탈할 때 매수, 1차타겟은 미드와 팬이 만나는 자리 2차타겟은 초장기상승포크 상단2.0과 팬이 만나는 자리가 되겠다
손절은 초단기하락포크 상단1.5이며 손익비는 대략 1:2정도 되겠다
스피드팬ㅇ초장기상승포크 1.5를 하방이탈 시 매도, 1차타겟은 장기상승포크 하단 1.0이 되겠고 손절은 짧게 장기미드로 하면 손익비가 무려 1:6가까이 되겠다
...손익비 계산 적용은 처음이라 부정확할 수 있음...
NATGASUSD (천연가스) : 상승 추세와 DEMAND ZONE 을 활용한 롱 포지션 진입 전략안녕하세요. 전업 겸 프랍 트레이더 ' 차트의 왕도 ' 입니다.
최근 천연가스의 가격은 기온 하강, 유럽의 재고 감소 그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 불확실성 등의 요인으로 계속 상승하는 상황인데요.
차트적인 관점에서 봐도 명백하게 상승 추세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승 추세에서 가격의 하락은 '조정'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처럼 현재 LONG 진입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 입니다.
🌳 천연가스는 하방보다는 상방의 관점이 유리하다 !
현재 제가 천연가스를 상방의 관점으로 보는 이유는 여러 가지의 요인이 있습니다.
① 일봉에서 강력한 지지의 역할을 하는 20일 이평선을 닿고 반등 !
위의 차트를 보다시피 일봉의 20일 이평선에 닿고 반등하는 모습 입니다.
가격도 모멘텀이라는 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평선을 닿고 상승하는 상황인 만큼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② 일봉에서 확인되는 상승장악형 캔들 패턴
캔들 패턴이라는 건 결국 매도세와 매수세의 싸움을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상승장악형 패턴이 완성 되었다는 건 결국적으로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했다는 걸 의미합니다.
③ 강한 지지구간에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상황
지지구간 에서 가격은 하락할 확률보다 상승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심리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요인 때문인데요.
어째든 이는 가격이 하락할 확률보단 상승할 확률을 높여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승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매매 전략
항상 분석글에서 말씀드리다시피 매매 진입 전 마킹 트레이딩 (MARKING TRADING) 은 필수 과정입니다.
"제 아무리 상승 혹은 하락할 확률이 높다"한들 확률적인 요소기 때문에 예측과는 다른 방향성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항상 진입 전에 매수세 혹은 매도세의 유입을 확인하고 진입 해야 하는 데
현재 가격대는 상승할 확률이 높은 가격대로 이미 매수세도 유입된 모습을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할 경우 바로 진입할 예정 입니다.
🛑 손익비 / 진입가 / 손절가
저는 손익비 1 : 5자리가 아니면 진입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입자리의 경우 손실 대비 수익이 5배가 되는 자리에서 진입할 예정입니다.
손절가는 쌍바닥 패턴의 저점이 깨지는 시점으로 잡을 예정입니다.
손절가 : 3.707
진입가 : 3.820
🟩 목표가 설정
목표가의 경우 LONG 포지션의 관점에서는 매도세가 유입되는 가격대로 잡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목표가 를 ( 4.391 ) 로 설정할 예정입니다.
애플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25.01.23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이번 분석은 애플(APPLE)에 대해 다룹니다.
애플의 현재 상황
차트:
애플은 이전 분석 이후 고점을 찍은 뒤 조정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반면, 나스닥은 계속해서 신고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지만, 애플은 왜 조정을 보이고 있을까요?
파랑 박스 구간을 살펴보면, 애플은 일봉 기준 상승 추세선을 이탈하며 주황 박스 매물대 안으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앞으로 어떻게 될지, 그리고 중요한 가격 구간이 어디인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과거와 유사한 패턴
차트:
차트:
현재 애플의 차트는 과거의 움직임과 유사해 보입니다.
위 차트는 현재의 상황을, 아래 차트는 2021년 7월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공통점:
일봉에서 ascending triangle(상승 삼각형) 패턴이 발생한 후 돌파되었습니다.
목표가까지 상승한 뒤, 일봉 기준 추세선을 이탈하며 조정이 나왔습니다.
과거 사례
차트:
2021년 7월, 애플은 패턴의 시작점 아래로 하락했지만, 지지 테스트를 마친 뒤 다시 상승했습니다.
만약 과거 패턴이 반복된다면, 현재 차트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추가 조정 가능성
차트:
과거 패턴에 기반하여, 애플은 약 12% 정도 추가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패턴의 시작 구간 저점은 약 $196이며, 이 가격대가 주요 목표가가 될 것입니다.
애플의 현재 위치
차트:
애플은 2024년 11월 4일 저점에서 약간 반등했지만, $219 근처의 반등은 강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하락 기울기가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패턴의 시작점인 $195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수자의 관점
차트:
매수자들이 기대해야 할 것은 추가 저점 갱신이 아니라, 현재 구간에서의 횡보 이후 저항 추세선의 돌파입니다.
주요 저항:
$237.5: 현재는 메이저 저항 구간으로 자리 잡은 상태입니다.
$237.5를 돌파하면 매수자에게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며, 신규 매수나 추가 매수를 고려할 수 있는 구간이 될 것입니다.
만약 돌파하지 못하면, 지지부진한 움직임이 지속되며 결국 $19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규 매수자 전략:
가격이 녹색 박스 구간에 진입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만약 녹색 박스 구간에서도 가격이 급락하여 하단을 이탈한다면, 추가 하락이 끝날 때까지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현재 애플의 상황은 부정적이며, 어쩌면 조정이 시작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주요 가격대:
$237.5: 돌파 시 상승 전환 신호.
$195: 현재 조정의 주요 목표가.
지금은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며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BTCUSDT : 신고점 갱신 이후 하락 ! 현 비트코인 추세와 그에 맞는 매매 전략은 ? 안녕하세요. 전업 겸 프랍 트레이더 ' 차트의 왕도 ' 입니다.
반등을 예상했던 가격대에서 매수세의 유입으로 크게 반등하였고, 다시금 신고점을 갱신하였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신고점 갱신 한 이후 약간 하락한 상황인데요.
아무래도 역사적인 신고점이 갱신된 이후의 하락이라 '매수를 진입해야할 지...' 아니면 '공매도를 진입해야 하나?' 하고 고민하는 분들 꽤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런 분들을 위해서 현 비트코인의 추세 와 어떤 식으로 매매 전략 을 세우면 될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게습니다.
🌳 아직까진 LONG 포지션으로 대응하는 게 유리 !
① 일봉에서 등장한 쌍바닥(Double Bottom)
비트코인의 가격이 1월 13일 이후로 가파른 상승을 하면서 결국 쌍바닥 NECKLINE ( 102724 ) 를 상향 돌파 하였고, 쌍바닥이 완성 되었습니다.
2개의 저점을 만들고 상승하는 모양인 쌍바닥은 결국 매도세보다 매수세의 힘이 강할 때 만들어지는 패턴이기 때문에 상방의 관점에서 가격이 하락하면 오히려 LONG 포지션을 진입하는 게 옳은 판단입니다.
② 중단기 이평선들의 정배열
이평선은 '지지와 저항' 말고도 '추세'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특히 이평선이 정배열 이라는 건 상승 추세 라는 걸 의미하는 것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은 정배열입니다.
이는 LONG 포지션 으로 접근해야 확률적 / 손익비적 측면에서 유리 하다는 걸 의미합니다.
(캔들이 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해도 이평선에 닿고 반등 후 재차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이기 때문입니다)
👑 매매 전략
현재 비트코인의 추세를 상승 추세로 보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지지구간에 도달하면 항상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옳은 판단이 되겠습니다.
현재 가격은 지지구간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가격이 ( 99540 ) 혹은 ( 92520 ) 까지 내려올 때까지 기다리는 게 BEST 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언제 상방에 대한 관점이 깨지나요 ?
전저점인 ( 89256 ) 을 하향 이탈할 시 하락 추세로 바뀐다고 인지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가격을 하향 돌파할 경우 매수세의 유입을 나타내는 쌍바닥 패턴이 깨지는 시점 이 되기 때문입니다.
쌍바닥이 매도세와 매수세와의 힘 싸움 끝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써 쌍바닥의 저점이 깨지면 다시금 매도세가 이기는 상황이 되기 때문입니다.
🛑 마킹 트레이딩의 필요성
항상 말씀드리지만 매매하는 데 있어서 마킹 트레이딩(MARKING TRADING) 과정은 필요합니다.
제 아무리 신뢰도가 높은 지지구간 혹은 저항구간이라 한들 확률적인 요소 기 때문에 해당 지저선을 뚫고 하락하거나 뚫고 상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저선에서 한 번 더 매수세의 유입 혹은 매도세의 유입을 확인하는 과정 이 필요합니다.
??? : 간다고했지 지금 간다곤 안했다 ???(1) : 저 다시 해보겠습니다....
???(2) : 넌 안되 너를 아무도 좋아하지않는다고..
???(1) : 이젠 아니야
..
...
-트럼프 v2.01.. 출범
안녕하세요 원래 월요일에 위클리(weekly) 느낌으로 글을 올려야 했는데..
저는 시장에 빅 이벤트를 아~주 주의하기 때문에 내용이나 차트분석을 하루 건너띄고 올립니다
(빅 이벤트때에는 차트 분석이 의미가 없음 다 때려 부수거나 올리기 때문에)
일단 주식시장이든 가상화폐 시장이든 다들 기대하셨을 트럼프 2기가 출범했습니다
이날 마틴 루터킹 데이로 미국 증시는 휴장이였으나 비트코인 시장은 잘만 돌아갔기 때문에
취임식 전부터 비트코인은 오전 오후 새벽 급등과 급락을 반복했음
어느정도 수준이였냐면 심리적 가격인 100k를 부수고 99k 부터 109k 신고점을 갱신 했고
방향성을 트럼프 발언에 기대하고 있었음
(이날 120k도 갈기세로 20~30분만에 올린 파죽지세 상승은 대단했다고봄..)
아무튼 이날 시장에 대한 부분을 이전 타임라인으로 봤던 '크립토 대통령'의 모습을 기억할거라
생각함
9월부터 가속이붙더니 대선이 확정된 11월 부터는 시장내 심리적 고점인 66k~70k를 갱신하면서
108k구간까지 갔던 그의 비트코인 약속의 맹세를 ....
이 당시 트럼프는 시장내 공개했던 파급적인 코인 공약들을 요약하자면
이렇게 5개정도임
(검은 글씨라 안보일것같아서..다시적어보면)
1. 미국을 암호 화폐 중심지로 육성
2.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적 자산으로 비축 ☆
3. SEC 의장을 교체하고 규제를 완화☆
4. 비트코인 자본소득세 폐지 ☆
5. 비트코인 자문 위원회 설립
솔직히 엄청나게 파급력있는 5개의 공약이라 볼 수 있음 하나씩 보자면
1~2번은 같이 보는게 좋은데 일단 비트코인 중심지에대한 공약인데 이부분은 일단 트럼프 임기
동안 가상화폐시장에대한 친우호적 환경을 만드는 건 물론
미국 정부가 5년동안 매년20만개의 비트코인을 총 100만개 보유하겠다는것인데
총 발행량이 2100만개로 정해진 공급량에 받쳐지는 수요량을 제공하겠다는것으로
소비심리를 유발함에 따라 가격상승을 부추기겠다는 것이다..
(현재 20만개면 현재 비트코인 시세가 1억 5천정도니 매년 30조 이상 쓰겠다는건데 우리나라 현재 국방비 1/2 이다)
1~2번은 미국이 직접 주도해 수요를 견인하겠다는거고
3번째인 SEC 의장 교체는 정말 가상화폐 시장에 좋아할만한 이슈였다
(특히 리플)
게리겐슬러... 정말 가상화폐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의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SEC 위원장 이였으니 그기간동안 많은 가상화폐 규제를 이야기했다
그런 인물이 떠나고 폴앳킨스라는 가상화폐 우호적 인물이 차기 위원장 상원 인중을 대기하는중
(현재는 직무대행을 위해 마크 우예다가 지명함)
그렇다보니 25년 SEC 개편에 시장은 기대를 걸고있다 (아주좋다)
그리고 바이든 때부터 이야기가 나온 세율 관련 내용도 폐지 공약도 했고
대통령실 소속 ‘가상화폐 자문위원회' 까지 설치한다는 공약까지 내세워 친우호적 환경을 만들겠단 이야기를 했다
이모든게 하나로 합쳐저 지금의 100K가격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아니다
(선 반영힘이 이정도다)
이게 다 될것같냐? 라고 생각할 사람도 있는데
대통령에 상하원 휩쓴 레드웨이브다 대통령힘이 가장쎈 1년임기일동안 정책에대한 입법도
수월할가능성이 너무 높다.
그런 양반이 1월 20일에 취임한다고하니 시장은 더욱 붕뜰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취임전부터 신고점을 갱신했다고 생각함)
그런데 그와중 더한번 기대를 해본것같다 시장은 취임식날 과연 떡고물이 한번더 떨어질까?
하고말이다
(마음속으로 트럼프형 'Bitcoin is good' 한번만해줘...! 라고 속으로 생각한 사람들도 많았을것)
그리고 취임식 당일 새벽 2시 (조금 늦게옴) 트럼프는 발언이 지속됨에따라 104k 구간에서 금방 106~107k구간까지 올랐다 < 기대심리
그런데 트럼프는 매우 무거운 주제들을 이야기했다
(바이든 정책 종료 , 남부 지역 국가 비상사태 선언 , 파나마 운하 , pc 정책 폐지 , 에너지 비상사태 등등)
입에서 전쟁 얘기 나올때마다 식겁했다 그럴정도로 무거운 주제를 이어갔기에 생각이들었다..
여기서 과연 비트코인이야기가 나올까?..? 뜬금없이..?
그리고 그 '발언'은 나오지않았고 실망 매물은 쏟아진것같다
그렇기에 -4%나 되는 하락흐름으로 마감했던것으로 추측
그리고 이런 하락 덕분에 이야기가 많이나왔다 무슨얘기냐면 재료 소멸...
뭔 .. 말도안되는..
일단 트럼프 대선 공약으로 70k > 100k 만들었다 .....
그리고 주말에 밈코인까지 출시하면서 비트코인 시장내 파급력과 영향력을 과시했다.
이런 퍼포먼스를 보인 사람을 단순히 취임식때 발언 안했다고 재료소멸?
....
....
말같잖은 소리다
그냥 그날 떡고물 안떨어져서 떨군거다
시장에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면 바로 이해했을거라 생각함
취임식은 끝났고
앞으로는 공약에대한 행보가 더욱 중요된 상황이다 이제부터 시장 체크가 가장 중요한
(거기에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는 변수까지...)
이부분에대해 앞으로도 자세히 다룰테니 팔로우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시장 분석하는 채널이 거의 나밖에 없던것같은데..?)
아 차트분석은 오늘 안올림
전일 휴장영향탓에 시장 전일 보다는 변동성이 높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호흡 한번 가져가며 오늘 까지 관망하고 내일부터 기술적 관점 서술하겠음
긴글 읽어주셔 오늘도 대단히 감사
'' 날아오는 모든 공에 스윙을 할 필요가 없다. ''
"The stock market is a no-called-strike game. You don't have to swing at everything-you can wait for your pitch. The problem when you're a money manager is that your fans keep yelling, 'swing, you bum!"
-워런버핏
[ETH] 난 이더 게임을 해봤어요!!!!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솔라나를 비롯한 메이저 코인들이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고있는데
우리 이더리움은 왜이럴까요..??
오늘은 이더리움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
이번 상승장에서도 노란색으로 표시한 24년 3월 11일부터 두달간 이어진 하락이후의 급반등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하얀색으로 표시한 구간이 진행된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렇게 이더리움은 프렉탈적인 접근이 참 잘 먹히는 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짜고짜 이 얘기를 왜하나면 지금 구간 역시 보다시다피 24년 5월 상승했던 이구간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마 이때 매매를 하셨던분들은 시장분위기를 기억하실겁니다.
이때도 비트코인이 급등함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은 한참을 줄줄 흘렀고,
사람들이 이더리움은 망했다며 이더리움 민심이 나락가면서 매수심리가 완전 죽어있었습니다
그렇게 이더리움에 대한 조롱이 극에 달하고있던 찰나에
비트코인보다 3~4일정도 늦게 큰 상승을 보여주면서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에게 포모를 안겨주었는데요
-------------------------------
저는 이번에도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코인 시장을 보시면 메이저코인들이 상승할동안 이더리움은 지지부진 하면서 이더리움에 대한 민심이 매우 안좋은데요
심지어 트럼프쪽에서 이렇게 의도적인 기사를 내며 펌핑을 시도해도 쉽게 매수세가 붙지 않고있는 모습입니다
이런점들을 미루어보아 저는 이번에도 역시 비트코인보다 늦지만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줄것이라고 보고있으며
빨간색 하락추세가 돌파되는 시점이 그 거대한 상승의 트리거가 되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저는 어떻게 대응을 할 생각인지 말씀드리자면
저는 개인적으로
초록색 매물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이 매물대근처 까지 다시 하락이 나와준다면 매물대가 하방이탈 되지 않는한 매집을 계속해서 해볼 생각이고
매물대까지 하락하지 않고 빨간색 하락추세를 돌파한다면 돌파할 때 시장가매수로 대응해볼 생각입니다.
비트코인 고점과 시기 예측해보기차트를 보면 2013년 11월 최고점 기준 포물선이 3개 떨어지면서 2017년 12월 고점을 갱신하였고 2017년 고점기준 포물선이 4개가 떨어지면서 2021년 4월 고점을 갱신하였음
이번에 포물선이 몇개가 떨어지는지에 따라 고점을 예측해볼수 있을것같은데 포물선이 5개가 떨어진다면 140k가 최고점일것이고 4개라면 180k 3개라면 250k가 될것으로 보임
대상승장의 고점시기를 예측해볼수도있는데 우연하게도 2017년과 2021년 고점은 그전의 최저점기준 달봉상 35개봉 1066일 정도에서 최고점이 형성됨을 알수가 있음
즉 이번상승장의 최고점시기는 10월달이 될수도 있다 생각함
다만 변수라면 2021년인데 최고점은 11월이 맞으나 이미 4월부터 알트코인 같은경우엔 하락 하는중이였음을 기억해야됨
붉은색 포물선 기준으로 본다면 140k가 최고점일 확률이 유력해보임
시바이누 재분석안녕하세요 시바이누 분석입니다
순서대로
주황색 상단추세선을 돌파하여
LPS로 하락추세선과 로우피크 돌파후 지지받는
지지저항의 교대가 이루어진 구간입니다
이후엔 PHASE E,PHASE D의
SOS강세신호 SIGN OF STRENGHT 저항선돌파로 진행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상승한다면 도달할수있는
피보나치레벨0.88 1.13 1.272구간의
0.03불 0.0304불 0.035불이 각 목표 구간이며
주황채널상단을 돌파후 지지받는 LPS마지막돌파후 지지구간
sr플립구간이므로 현재구간 캔들의 하단과 주황색 하락추세선 이
손절 -1~3%구간입니다
주의할 변수로는 전체 패턴이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형태로
진행될수있는점을 유의해야합니다
(이탈시 급락)
BTCUSDT : 다시금 상승 추세의 시작점에 도달 ! 비트코인의 방향성과 매매 전략안녕하세요. 전업 겸 프랍 트레이더 ' 차트의 왕도 ' 입니다.
오늘 처음으로 비디오 퍼블리싱을 이용한 터라 부족한 점도 있을 텐데
그 부분은 너그러히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전 분석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비트코인의 방향성은 ( 102724 ) 를 기점으로 상방 혹은 하방 이 갈린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 일봉의 종가는 ( 102724 ) 를 돌파한 채 마감 하였고, 이제는 하방보단 상방의 관점으로 대응 하는 게 옳은 판단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현재 지지구간에 내려왔을 때 매수 진입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 상승 추세로 바뀌었다고 판단한 근거
① 일봉에서 쌍바닥 패턴이 완성되었습니다.
쌍바닥 패턴의 완성은 시장에서 매수세가 매도세를 이겼다는 걸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과 같습니다.
이는 즉, 쌍바닥의 저점이 깨지지 않는 이상 가격이 하락하면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② 강한 하락이 나왔던 구간을 상승 돌파했다는 점.
전고점인 ( 102724 ) 은 매도세의 유입으로 인해 이전 저점 ( 89256 ) 까지 깼다가 올릴 정도로 강한 하방 압력이 나온 가격대입니다.
그 가격대를 강하게 상승 돌파 후 종가 마감했다는 건 "시장의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고 있다" 라고 판단할만한 근거가 됩니다.
결론 : 숲의 관점에서 보면 하방 추세보다 상방 추세로 대응하는 게 옳은 판단 이 되었다.
👑 매매 전략
그럼 하락 추세 → 상승 추세 로 관점이 바뀐 현 시점에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 게 옳은 전략일까요?
상승 추세는 결국 고점과 저점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가격의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가격이 하락했을 때 조정이라 판단 하고 오히려 매수에 진입할 생각 을 해야 합니다.
현재 눈에 보이는 지지구간은 2군데가 있습니다.
1차 지지대 : 99540
2차 지지대 : 91530 ~ 92520
1차 2차에 도달할 경우 가격이 반등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여기선 매수 진입을 고려해볼만 하겠습니다.
🟩 목표가 설정
자.. 그럼 목표가는 어디까지 바라보면 될까요?
바로 전고점 ( 108353 ) 이 되겠죠.
이 구간에서 매도세가 나왔기 때문에 ( 89256 ) 까지 하락한 모습을 보여줬던 것입니다.
다시금 이 저항구간에 도달할 경우 강한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목표가 는 ( 108353 )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