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 상황 브리핑 (25.05.01)안녕하세요 전업 트레이더 Dusk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와 "부스트"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존 도달할것으로 생각했던 자리로 생각보다 빠른 시일내 도착했습니다
BINANCE:BTCUSDT
최근 흐름 요약
4월 30일 미국의 지표발표로 약간의 하락폭 발생
그러나 지표발표는 추세 자체를 바꿀수없으므로
여전히 단기 상승추세 유지하며 $95K 안착한 상태입니다.
$75K 부터 이어져온 상승 채널을 4월 30일
채널의 하단부 $93K를 밟으며 채널의 컨디션을 체크했습니다
최근 현물 ETF 기관 Fidelity, Bitwise, Ark 의 순유출이 이어지지만
반대로 시장을 주도하는 Blackrock 은 순유입으로
다른 기관들의 순유출에 대한 물량을 모두 흡수하고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채널을 이탈하지않게된다면
⚪가장 가까운 저항대
- 현재의 박스 구간 상단 $95.5K
*해당 구간에서 매도 에너지를 흡수하며 자리를 지켜 저항으로서
매물대가 다소 약해진것으로 보여집니다.
⚪중간 저항대
- 이전에 쌓인 매물대 $97~98K
*해당 구간은 25년 2월내내 머물었던 자리로 큰 매물대를 형성한 자리입니다
이 자리를 한번에 돌파하지않는다면 다시 한번 이 구간에서 매물대를
해소할 시간이 필요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심리적 저항대 - $100K
심리적 저항대란? 종목의 앞자리수가 바뀌거나
혹은 숫자의 수가 늘어나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최종 저항대
- $100~103K
상승채널을 이어간다면 위 매물대 자리들을
돌파 시도할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도미넌스가 급격한 상승 움직임을 보이면서
최근 알트코인들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있어
알트코인 매매에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비트코인 움직임에 따라 추가 브리핑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부스트" 와 "팔로우" 를 눌러놓으신다면 추가 브리핑에 대해
보다 편하게 안내받으실수있습니다
4월 정산
모두 4월 매매하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항상 부족한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술적 분석을 뛰어넘어
차트무당 마코 5월 7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5월 7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후 관점 공유 글 입니다.
5월 5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관점을 복기 해보면
횡보구간으로 마무리가 되었으며 6일 횡보하면서 저항선 터치 후
지지선 터치부터 움직임 나오기 시작하여 현 구간까지 도달 하였습니다.
03:00 USD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성명서
03:00 USD 금리결정 4.50% 4.50%
03:30 USD FOMC 기자 회견
금일은 금리결정 및 FOMC 가 예정이 되어 있는 날 입니다.
변동폭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자리이니 참고 부탁 드리며
항상 금리결정이나 FOMC 때 움직임을 관찰 하다 보면
같은 패턴의 움직임이 많이 나오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상방으로 올리면 결정발표 나 FOMC 때 조정을 주고 하방으로 눌리면
상승이 나오는 패턴들이 대부분 이었습니다.
이에 가능성 있는 구간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지지라인 터치 없이 상방으로 올리는 경우의 조정에 대비 하셔야 합니다.
98,309 구간은 일봉차트의 몸통의 전고점 저항구간 및 8시간 차트의
볼린저밴드 저항선의 저항구간까지 포함이 되어 있는 자리 입니다.
지지라인을 터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방으로 바로 올린다면 조정의
조건을 갖추는 자리가 될 수 있는 구간입니다.
그 다음 저항구간은 4일차트 볼린저밴드 저항선인 99,479 입니다.
이 구간은 제가 몇 주전 부터 강한 저항자리를 표시하여 말씀 드린 구간 입니다.
공교롭게도 금일은 4일차트 저항선의 저항구간과 만나는 자리에서
저항이 나올 수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 참고 부탁 드립니다.
2.하단에 지지라인을 터치 한 후 발표 때 상승하는 움직임의 가능성
하단에 지지구간인 95,342 자리는 각 시간대 볼린저밴드의 지지선 및 중앙선
일목균형표상 양운의 지지구간으로 반등이 가장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자리 입니다.
지지라인을 터치 한 후 반등구간이기 때문에 상단에 저항구간들을 차례대로 누르면서
상승 할 수 있는 자리이니 지지라인의 반등구간을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95,342 구간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일봉차트 볼린저밴드 중앙선의 92,807 자리까지 꼬리로 밀릴 수 있는
가능성도 있는 구간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총) 현재 상방으로 바로 올린다면 비트코인은 강한 과매수 구간으로
접어들게 되며 하단에 일목균형표상 구멍을 메워주러 내려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강한 조정에 대비하셔야 합니다.
또한 90,636 구간의 주봉차트 일목상 구멍까지도 열려 있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금일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통해서 이번 달 말까지의 움직임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하루가 될 듯 합니다.
각자의 포지션 및 분석에서 여러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중장기 상승세 시작 : 333.5-348.2 이상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CHUSDT 1D 차트)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한 상태에서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333.5-348.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세를 이어간다면,
1차 : 473.4-480.4
2차 : 590.6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333.5 이하로 하락한다면, 294.6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지지와 저항 구간 : 42.19-44.57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ZECUSDT 1D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42.19-44.57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1차 : 49.89
2차 : 70.62-73.2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
하락한다면, 32.27-33.1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재 위치에서의 움직임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ZEC를 거래하고자 한다면, 현재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0.8033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OSUSDT 1D 차트)
0.8033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이 지점 부근으로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0.8033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0.8033 지점은 돌파 매매가 가능한 지점이라 생각합니다.
다음 돌파 매매 가능 지점은 1.3193 지점입니다.
-
0.8033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1.0044-1.100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
0.8033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1차 : 0.6678-0.6920
2차 : 0.5255-0.582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현재는 시장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단기 중요 구조입니다.
상방 97.5k - 98.4k 매물대 저항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모습 확인되실 겁니다.
아래 95.7k - 95.2k 구간 돌파했기 때문에 이제 중요 지지 구간입니다.
이탈한 반등 추세선과 매물대 저항을 받으면서 상승 캔들이 꺾이는 모습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 구조가 돌파한 95.7k 지지가 중요해졌고, 위로는 이탈한 추세선 저항과 매물대 저항으로 잡혀있습니다.
아직 FOMC 일정을 앞두고 있는 만큼 변동성 움직임에 주의가 필요하고, 거래량이 실리고 있는 만큼 중요 구간 외에 단기 매매는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아직 상승 움직임이 깨지지 않았지만, 4시간 캔들 95.7k - 95.2k 확정 이탈에 움직임이 발생한다면 단기적인 움직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구간에서 매매를 잡으시려는 분들은 무리한 진입보다는 시장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FOMO, 투자에서 감정 관리의 중요성저는 3월 25일부터 5월 4일까지 투자에서 27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제 스타일 자체가 고승률을 지향하긴 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매우 높은 승률이었기에 승률을 일부 희생하더라도 손익비를 개선하기 위해 전략을 조정했습니다. 이 전략 변경은 2연패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제가 예상했던 대로 큰 폭의 상승이 나왔고, 만약 기존 포지션을 그대로 유지했더라면 100%에 달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저는 FOMO(Fear Of Missing Out, '나만 기회를 놓쳤다'는 불안감)를 강하게 느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 즉 FOMO는 장기적인 수익을 추구함에 있어서 결코 판단의 근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물론 이번 경우처럼 버텼다면 100% 수익률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만약 반대로 상승하지 않고 하락했다면 어땠을까요? 저는 본질적인 매매 근거가 훼손되었다고 판단했기에 손절을 결정했던 것입니다.
만약 본질적 근거가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에 이끌려 마냥 버티려 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단기적으로는 10번 중 9번 성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단 한 번의 실패로 인해 100%의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이는 곧 전액 청산을 의미합니다. 아무리 9번 성공해도 단 한 번에 모든 것을 잃게 된다면, 이는 결국 생존을 최우선으로 하는 투자자에게는 올바른 선택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FOMO가 밀려올 때는 성급한 추격 매수나 감정적인 동요 대신, 이 감정은 거래 판단에 사용될 수 없음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대신, 이러한 아쉬움과 감정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른 활동으로 풀거나, 혹은 앞으로 더 원칙을 철저히 지키고 성장하기 위한 동기부여로 삼아야 합니다.
이 글은 제가 작성하고 인공지능이 글을 다듬었습니다.
KODEX 200 과 KODEX 인버스 를 이용한 리밸런싱 전략다음은 2010년 2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전략 전체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요약한 지표이며, KODEX 200 ETF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 총 누적 수익률 : ≈ +1796% (KODEX 200: +56%). 즉 약 19배의 누적 수익으로, 벤치마크의 약 0.56배(원금 대비 +56%)에 불과한 성과를 크게 뛰어넘습니다. 초기 1억원 투자 시 본 전략은 약 18억 9천6백만 원으로 불어난 반면, KODEX 200은 약 1억 5천6백만 원이 되는 수준입니다.
• CAGR (연평균 복리 수익률) : ≈ 21.4% (KODEX 200: 3.0%). 약 15년간의 연복리 성장률을 비교하면, 본 전략은 연평균 20%를 넘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반대로 KODEX 200 ETF의 연평균 수익률은 3% 내외에 그쳐, 사실상 시장평균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본 전략의 CAGR 21%대는 장기적으로 자산을 7~8년마다 두배 이상으로 불린 매우 우수한 기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 MDD (최대 낙폭) : ≈ 23.8% (KODEX 200: 40.7%). 최대 낙폭은 투자 기간 중 전고점 대비 최대 손실률을 의미하는데, 본 전략은 가장 힘든 시기에 약 -23.8%의 하락을 기록한 반면 시장은 -40% 이상의 깊은 손실을 보았습니다. 이는 '시장 급락기에도 본 전략이 상대적으로 자본 보존을 잘 했음을 시사하며, 위험 관리 측면에서 벤치마크 대비 뛰어난 안정성을 보였습니다.
• Sharpe Ratio (샤프 지수) : ≈ 1.21 (KODEX 200: 0.26). Sharpe 비율은 초과수익(이 경우 무위험 수익률을 0으로 가정) 대비 변동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위험조정 성과지표입니다. 본 전략의 Sharpe Ratio가 1을 크게 웃도는 1.21로 나타나, 위험 1단위당 1.21의 초과이익을 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동일 기간 Sharpe 0.26에 불과한 KODEX 200에 비해 약 5배에 달하는 수치로, 변동성 대비 현저히 높은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줍니다.
• Sortino Ratio (소르티노 지수) : ≈ 1.52 (KODEX 200: 0.35). Sortino 지수는 Sharpe 지수의 변형으로, 총 변동성 대신 하방(손실) 변동성만 고려하여 하락 위험 대비 성과를 평가합니다. 본 전략은 하락 구간에서의 표준편차당 수익이 1.52로, Sharpe보다도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는 하락장 방어에 특히 효과적이어서 손실 위험 대비 탁월한 성과를 달성했음을 의미하며, 동일 기간 KODEX 200의 Sortino 지수 0.35와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 연율화 변동성 : ≈ 17.6% (KODEX 200: 17.5%). 양 전략의 연간 변동성 수준은 비슷하게 약 17%대로 나타났습니다. 다시 말해 위험 수준은 거의 동등했음에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전략은 훨씬 높은 수익률을 시현하여 위험 대비 효율이 높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두 투자안의 변동성이 유사하다면 Sharpe 비율 등 위험조정지표의 우열은 수익률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전략은 동일한 변동성으로 월등히 높은 수익을 올렸기 때문에 앞선 Sharpe, Sortino와 같은 지표들이 크게 우수하게 나타난 것입니다.
전략의 상대적 우위 및 해설
요약하면, 채널 기준 변율 리밸런싱 전략은 지난 15년간 시장 벤치마크를 크게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낮은 MDD와 높은 Sharpe/Sortino 등 안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압도적인 성과는 시장 상황에 따라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비중을 능동적으로 조정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본 전략은 동적 자산배분(Dynamic Asset Allocation)의 한 예로서, 시장 추세에 따라 포트폴리오 구성을 조정함으로써 위험을 관리하고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전략 운용 중 상승장에서는 레버리지로 상승폭을 확대하고 하락장에서는 인버스로 방어 및 수익 창출을 한 덕분에, 비교지수 대비 일관된 초과수익을 누적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동일한 기간 동안 KODEX 200 ETF의 미미한 상승에 그친 정적 전략과 달리, 본 능동적 리밸런싱 전략은 훨씬 높은 복리 수익률을 확보했고 하락 위험도 작게 유지하여 위험조정 성과 측면에서도 탁월한 우위를 보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TOTAL2 주봉 구조·유동성·사이클 종합
| 항목 | 2025 사이클 | 2021 사이클 |
| ------------------- | ------------------------------------ | ------------------------------------------- |
| **총알트 시총 CAGR** | ≈ **50 %** | ≈ **160 %** |
| **글로벌 M2 YoY** | **4.7 %** (’25‑03) ( ) | **26.6 %** (美 ’21‑02, 최대치) ( ) |
| **시총 증가율 / M2 증가율** | **≈ 10‑11배** | **≈ 6배** |
: en.macromicro.me "World - M2 Growth of Fed, ECB, PBoC & BOJ (YoY) | MacroMicro"
: www.ceicdata.com "US M2 Growth, 1960 – 2025 | CEIC Data"
| 시나리오 | 트리거 | 목표/리스크 |
| ----------------------- | ------------------------------ | -------------------- |
| **A. 슈퍼‑사이클 돌파 (40 %)** | 주봉·월봉 **1.3 T** 돌파 + 신규 BOS 연속 | 1.7 T 고점 → 2.4 T |
| **B. 건전 조정 (45 %)** | 쐐기 하단 이탈, 21W EMA 지지 | 680‑850 B 오더블록 → 재상승 |
| **C. 거시 베어 (15 %)** | 200W EMA(≈ 450 B) 이탈 + CHoCH | 250‑300 B까지 회귀 |
결론 — “속도 둔화 vs 과속 배율 확대”
성장률 ↓ → 모멘텀 냉각 (피크 징후 ①)
M2 대비 과속 ↑ → 완충 유동성 부족 (피크 징후 ②)
따라서 : 상승 여력은 남았지만 리스크‑리워드 기울기가 2021보다 불리.
전략적 제언
강세 연장 : 1.3 T 돌파 후 추격 롱, 21W EMA 이탈 시 즉시 헤지
포트 재배분 : 현물 70 % 이하 유지, RWA·T‑Bill·스테이블 수익으로 캐시플로 확보
순환매 매집 : AI·Infra → L2 → Meme 순으로 라스트 웨이브 흐름 추적
결국, 지금은 “속도가 아니라 내구성을 점검할 때” —
모멘텀의 마지막 불꽃일 수도, 슈퍼‑사이클의 발판일 수도 있습니다.
‘21W EMA × 유동성 흐름 × 구조 시그널 3종 합치가 방향을 확정할 것이니
욕심보다 생존이 먼저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쇼박스..안녕하세요 Descendingkinght_입니다.
-----------------------------------------
오늘 소개할 종목은 쇼박스(086980) 입니다.
-상승 요인
1. 영화 산업 회복과 흥행 기대작
코로나 이후 침체됐던 극장 산업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관객 수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쇼박스는 과거 ‘도둑들’, ‘암살’, ‘택시운전사’ 등 굵직한 흥행작들을 배급했던 경험이 있고, 현재도 기대작을 여러 편 준비 중입니다.
흥행작 한 편만 터져도 실적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2. OTT 시장 성장 수혜
넷플릭스, 디즈니+ 등 OTT 시장이 커지면서 판권 판매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쇼박스는 기존 영화 외에도 드라마, 웹툰 기반 콘텐츠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향후 2차 판권 수익 확대가 기대됩니다.
특히 자체 IP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3. 오리온 그룹과의 시너지
쇼박스는 오리온홀딩스가 주요 주주로 있는 계열사입니다.
오리온과의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자금 운용이 가능하고, 해외 유통망을 통한 콘텐츠 수출 기회도 열려 있습니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1. 흥행 의존도 높은 구조
영화 산업 특성상 한두 작품의 흥행 여부에 따라 실적이 크게 출렁입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은 대형 흥행작 부재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에도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기대작이 흥행에 실패할 경우 투자심리가 빠르게 냉각될 수 있습니다.
2. 경쟁 심화 및 OTT 시장 변화
콘텐츠 시장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CJ ENM, 티빙 등 경쟁사들의 자체 제작 강화로 시장에서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OTT 플랫폼들이 자체 오리지널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추세라, 기존 배급사들이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투자 전략
1. 매수 전략
└ 1차 매수 타점: 2910~3190원
└ 2차 매수 타점: 2270~2670원
└ 3차 매수 타점: 1320~1670원
2. TP 설정
└ 1차 TP: 4170~4680원
└ 2차 TP: 6500~7100원
쇼박스는 ‘흥행 성공 시 큰 수익이 가능한’ 고위험·고보상형 콘텐츠주입니다.
단기적인 급등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접근할 때 그 매력이 더욱 돋보이는 종목입니다.
-----------------------------------------
제 의견이 마음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부탁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와 함께 성투하세요.
거래 전략 및 CEX 스크리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CEX(Centralized Exchange) : 중앙화거래소를 의미
DEX(Decentralized Exchange) : 탈중앙화거래소를 의미
코인 선물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CEX거래소의 코인 선물 차트를 분류하기 시작 것으로 생각됩니다.
-
트레이딩뷰에서는 다양한 스크리너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메뉴에 여러 스크리너가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
코인 시장이 커지면서 각종 테마로 분류가 되어지고 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기존 주식 시장과 같은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는 의미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분류가 계속해서 세분화된어진다면, 결국 개인 투자자들은 점점 더 수익을 얻기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 즉, 거래 전략이 명확해야 합니다.
거래 전략은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법 및 수익 실현 방식
위의 1-3번이 명확해야 합니다.
거래하고자 하는 코인(토큰)를 투자 기간으로 분류하고, 그 투자 기간에 따라 투자 규모를 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게 거래 방법 및 수익 실현 방식을 정하여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
거래 방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거래 방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HA-Low 지표에서 상승하게 되면 매수 시기에 해당되고, HA-High 지표를 만나게 되면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위와 같이 HA-Low 지표 ~ HA-High 지표 구간에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만일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게 되고,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이게 됩니다.
-
코인 시장과 같이 소수점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면, 수익 실현 방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매수한 코인(토큰) 갯수로 매도하여 현금 수익을 얻게 됩니다.
하지만, 소수점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면, 매수 원금만큼 매도하여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는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 나가는 방식으로 중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는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현금 수익을 얻을 것인가, 아니면, 미래를 위해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갈 것인가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BTC, ETH와 같이 장기적으로 보유해도 되는 코인(토큰)들은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코인(토큰)를 장기적으로 보유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그에 맞게 수익 실현 방식을 결정하면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투자금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 기간이 길어진다 하더라도 자금의 압박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0.113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ICXUSDT 1D 차트)
중장기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ICX를 거래하고자 한다면, 마음의 여유를 갖고 상황을 살펴봐야 합니다.
-
0.1135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격적인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0.1135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의 HA-Low 지표는 0.0832 지점에,
1W 차트의 HA-Low 지표는 0.1602 지점에,
1M 차트의 HA-Low 지표는 0.1976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결국 0.197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타 거래(day trading)이나 단기 거래를 진행하기에는 어려운 상태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95.73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LTCUSDT 1D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에 따라서, 95.73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79.84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113.39 이상 상승하면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LTC를 거래하고 한다면, 95.73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하고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차트무당 마코 5월 5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5월 5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2일 남겨드린 비트코인 차트를 복기 해보면
각 시간대 저항선을 터치 한 후 상승우위에서 지표 발표 이 후 움직임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금요일 움직임에선 큰 움직임 없이 횡보구간을 마무리가 되었고
이 후 주말 움직임에서 4시간부터 일봉차트 MACD 눌림구간이 출현하며
94,136 구간까지 터치한 비트코인 입니다.
현재 구간에서 보면 아직까지 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가 각인이 안된 자리에서
2주봉 차트까지 생성된 비트코인 입니다.
상단에 94,959 구간은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으로
이 구간을 메워 준 후 움직임이 가장 중요해 보이는 자리 입니다.
4시간 부터 12시간 차트까지 일목균형표상 눌림의 저항구간을 터치 한 후
비트코인이 버텨만 준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목균형표가 상방으로
뻗치면서 일봉차트의 MACD는 눌림구간 일목균형표상 저항이 해소되면서
횡보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이는 자리 입니다.
만약 94,959 자리에서 저항을 받는 다면 일봉차트 MACD 눌림과 동시에
저항이 나오면서 지지 받을 수 있는 구간을 살펴보면
6시간 8시간 12시간 지지구간의 92,792 자리의 각 시간대 지지선을 볼 수 있으며
최대 일봉차트 중앙선 구간인 91,641 자리까지 터치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 참고 부탁 드립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금일 91K 구간까지 눌림이 나오게 된다면
2일차트 MACD 눌림구간이 출현하는 자리이며 각 일별차트 구멍도 메워주는
구간이 될 수 있으니 이 구간 참고 부탁 드립니다.
금일 2주봉차트까지 생성된 자리이며 이번 주 금리결정까지 있는 주이니
움직임이 많은 한 주가 될 듯 합니다.
내일까지의 황금 연휴 즐겁게 보내시고 저는 중간중간 찾아뵙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비트코인의 마지막 매수 자리 알려줄게 읽어봐안녕하세요. 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 입니다.
직전 게시글에서 95.6K를 돌파했을 경우 상승에 대한 근거와 내용을 다뤘지만,
비트코인이 저점을 기준으로 23K의 상승 이후 3~4K의 눌림 횡보 진행 중 입니다.
<3월 5일 업로드>
📌로켓 70개를 받은 73K에서의 무.조.건 반등 관점📌
"3달 전 비트코인 저점을 정확히 예상할 수 있었던 이유"
<4월 17일 업로드>
📌전 게시글 횡보와 상승에 관한 관점📌
"비트코인 "73K" 에서 반등했으니 이제 불장만 기다리면 된다?"
<4월 27일 업로드>
🔥비트코인의 상승을 위한 전제조건에 대한 근거
"비트코인 : 모든 우주의 기운이 94.7K에 달렸다"
------------------------------------------------------------------------------------------
지금부터 비트코인을 매수하려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하는 마지막 가격과 근거를 말하겠습니다.
📌 91.4~92.2K 구간입니다. 근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시간에 따라 이평선의 지지 가격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91.4K~92.2K에서 지지가 나왔을 경우 유효한 내용입니다.
⚠️91.4K를 이탈한 경우에는 80K 중후반까지 열어두셔야 하면 빠르게 대응 글 올리겠습니다.
1. 4시간 봉 120일 이평과 채널 미들선의 지지 중첩(92K)
2. 일봉 120일 이평 지지(91.5K)
3. 주봉 5일 이평 지지(캔들의 꼬리 생각했을 경우 90.3K)
4. 월봉 5일 이평 지지(91.6K)
5. CME갭 92~92.5K
💡CME갭이란?
- CME (시카고 상품 거래소)가 닫혀 있는 동안 현물 시장에서 발생한 가격 변동으로 인해
생기는 가격 차이를 의미합니다.
💡CME갭 메우기란?
- 비트코인 차트를 보았을 때 갭이 발생하면 그 가격을 다시 확인하면서 그 구간을 메꾸는 것을
의미하며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지금까지 2020년 7월 말과 2020년 10월 중순을 제외한 이번 갭까지 포함 3곳을 빼고는
전부 갭을 메우러 갔던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히 근거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뷰에 BTC!을 검색하시면 쉽게 CME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저점부터 상승한 되돌림 0.236 구간과 저항 추세선 리테스트
이 경우는 5월 중순까지 횡보를 이어가야 합니다.
횡보를 생각할 수 있는 근거로는 일봉의 이동 평균선의 "이격" 차이 때문입니다.
7. 이번 주요 저항 91.4K 저항대 돌파했을 때의 장대 캔들
(저항은 돌파하면 지지가 되고 지지는 이탈하면 저항이 된다.)
---------------------------------------------------------------------------------------
혹여 이 근거를 무시한 채 91.4K를 이탈하였을 경우에는 손절 대응하시고
돌파했던 채널의 하단에서 매수 시도를 하셔야 합니다.
부가적으로 알트코인 불장에 대한 내용도 짧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알트코인 도미넌스입니다.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으로 현재 지지 구간을 7.79%구간을 이탈할 경우
다음 지지 구간인 4.7~6.1%까지 왔을 경우부터 알트코인을 매수하시는 것이 좋다고 판단합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입니다.
"왜 내 알트는 맨날 안 가지?" 라고 한탄만 하지 마시고 무엇 때문에 안 오르고 오를 수 없는지
찾아보는 노력과 의지가 필요합니다.
BTC 심리구간별 매매 시나리오
1. 시작 (94,455)
지금은 방향성 애매하고 유동성도 애매함. 괜히 들어갔다가 체결만 되고 물릴 수 있음. 그냥 관망 or 주문 걸어놓고 대기.
2. 초기 하락 (92,096)
VaR 95% 지점. 반등 한 번 나올 수 있는 구간이라 슬슬 워치리스트에 넣고 소량 현물 매수 가능. 10~15% 정도만.
3. 반등 트랩 (93,300)
숏 청산시키고 롱 유도하는 트랩 냄새. 지금 들어가면 물림. 무조건 관망. 매수 금지.
4. 고점 돌파 (99,384)
포모 유입 + 숏 손절 구간. 추격매수 하면 꼭지 잡을 확률 높음. 짧게 숏 잡거나 아니면 그냥 구경.
5. 더블탑 (101,000)
진짜 숏 타점은 여기. 고점 트랩 한 번 더 만들 가능성 있음. 25~30% 숏 진입 생각, 손절은 103K 넘기면 바로 컷.
6. 급락 전환 (92,000)
롱 다 죽는 구간. 이제 숏도 많이 들어올 타이밍. 숏 익절하고, 이제 반등 준비 슬슬 해야 함.
7. 저점 극단 (89,692)
공포 최대치. 롱 손절 몰리는 자리. 여기서부터는 분할매수 진지하게 들어가야 함. 현물 + 저레버 선물로 30~40%까지.
8. 반등 역습 (92,500)
숏들 손절 나오고 반등 이어질 가능성. 여기서 롱 추가 진입, 종목은 분산해서 들어가는 게 좋음.
9. 상승장 개시 (105K 이상)
이제 대중 다 들어오는 자리. 과매수권. 익절 시작해야 함. 20~30%씩 쪼개서 천천히 털기 시작.
[5월6일] 비트코인 관점 브리핑 - 단기 반등 나올 수 있는 자리! - 하지만 아직 숏이 더 유리!
안녕하세요! 미니미 입니다!!
오전1시 기준 관점 브리핑 시작해 보겠습니다!
96.5에 들고 있던 숏 포지션은 93.6 부근에서 전량 익절 했습니다!!
이번 포지션도 익절로 나왔습니다 ㅎㅎ
더 잘해보겠습니다!
그럼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현재 4시간봉 기준 볼린저 밴드 하단을 한번 찢어주고 다시 볼밴 하단에 닿은 모습입니다!
그리고 smi 12/5/5 설정값 기준 과매도권 진입 후 골든크로스가 나오려고 하고 있습니다.
rsi,cci 또한 과매도권 진입 하고 있습니다!
지금 A파동이 거의 다 나왔다고 보이고 이제 슬슬 B파동 반등이 나오지 않을까 보고 있습니다.
예측하고 있는 구간은 되돌림 0.5~0.618 구간이고 0.5 부근과 볼린저 밴드 중앙 부근이 겹쳐져 있습니다.
쌍바닥도 만든 것 같고 반등이 좀 나오지 않을까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들고 있던 숏도 완익절 했습니다.
그럼 롱을 진입 했나!? 라고 생각 하실 수 잇는데 롱은 잡지 않았습니다
롱보다는 역시 아직 숏이 손익비가 좋아 보입니다.
그래서 반등 나오면 다시 숏을 진입할 생각 입니다.
제가 보고있는 반등 구간에서 진입 할 것 같은데
가격은 95.7~96.2 정도 되겠네요!!
1일봉상 smi cci rsi macd 모두 과매수권에 들어와 있고
cci는 하락다이버전스 까지 걸려있는 상황이라 조금더 장기적으로 눌림이 나올 것으로 예측하고 잇습니다.
그래서 오름 숏을 보고 있습니다!!!
그치만 당장 깊~게 빠지는 무빙은 솔직히 잘 모르겠고 좀더 이 부근에서 박스권 횡보 할 수도 있겠다 싶어서 포지션 너무 길게 가져가진 않을 생각입니다.
순환매로 대응 하면서 적당히 익절하고 눈치좀 보면서 다시 상승추세로 돌아서는지
아니면 다시 한번 저점깨러가는 하락파동이 나오는지 체크할 생각입니다.
-----매매계획-------
반등 나올때 다시 숏 진입할 생각!
예상 가격은 95.7~96.2 정도 생각하고 잇습니다!!
만일 그냥 반등 안나오고 쭉 내려가면 89k 부근에서 롱 단타 트라이 해볼 생각 입니다!!
이렇게 매매 계획 짜놓았고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트 , 팔로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성투하세요!!
롱)마지막 플랜비트코인은 그동안 반감기 이후 12~18개월 뒤에 최고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에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다면, 이전 최고점을 돌파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가능합니다.
비트코인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중국은 21년에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하고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용도 중 하나는 자본의 이동입니다. 비트코인이 법제화 되기 전에는 다른 나라와
재화나 상품을 거래할 때 별다른 제약없이 자본을 침식할수 있었습니다.
중국이 비트코인을 금지한 것은 금융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비트코인 자체의 가치나 기술적 문제 보다는 자국 경제 통제라는 요인이 크고,
다른 국가들에서는 점차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시세 조종에 대한 규제가 어려운 만큼, 가상화폐 시장처럼 전세계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세력질하기 좋은 시장은 없을겁니다. 트럼프가 코인을 선점하고자 하는 이유는 여기에 맞닿아 있습니다.
트럼프가 이더리움 솔라나 등 미국 내 코인을 육성하려고 하는 노력과 스테이블 코인을 만든 이유는
가상화폐 시장을 미국이 장악하기를 원하기 때문이죠.
이것이 철저한 준비를 거쳐 정해진 계획을 실행하는 단계인지, 아니면 단순히 표를 얻기 위한
포퓰리즘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어떤 종류의 코인에 주목해야할지는 제시한 셈입니다.
암호화폐 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국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움직임으로 , 초강대국인 미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시장에 긍정적일수 밖에 없습니다.
수천개의 스캠 코인들은 앞으로 . 곧. 상장폐지되고 사라질 것인데. 트럼프가 언급한 미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코인들이 중요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앞으로는 반감기가 오더라도 이전과 같은 광기 어린 상승세는 나타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지만
비트코인 공급량이 줄어든다는 근본적인 시스템에서 수요가 유지된다면 장기적으로 가격은 오를
것입니다.
하락장에 대한 우려 또한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반감기 이전부터 etf의 영향으로 가격이 크게 올랐고,
이것이 반감기 효과를 미리 반영했거나 시장의 사이클에 변화를 준것이라면 , 당장 하락장이 시작된다 하
더라도 반감기로부터 13개월이 지난 현재 시점에는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최근 현물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블랙록 피델리티 등 거대 자산운용사를 통해 기관 및 개인 투자
자들의 꾸준한 자금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 시장의 새로운 수요 기반을 형성하며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매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인 하락장이 온다하더라도
장기적인 우상향 가능성을 높이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또 전 세계적인 유동성 증가 가능성 , 법정화페 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 재평가,
그리고 엘살바도르와 같은 일부 국가의 비트코인 법정화폐 채택 등 긍정적인 제도적 변화도 비트코인의
상승 잠재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현재 상승 사이클에 대한 관점으로 투자시기를 기다리고 있었고
상승 채널을 지키면서 주봉마감을 했다는 점에 승부수를 던질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채널을 지킬지 아니면 단순한 롱포지션을 청산시키기 위한 유동성 스왑일지는
장담할수 없습니다. 박스권을 만들기 위해 빨간 상자안으로 떨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합니다.*
상승여력의 기간, 지지 저항, 리스크 관리 등등 어디서 어떤 비율로 투자를 할지 전략을 잘 세워 성투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돌파(Breakout) 매매가 가능한 지점 : 1861.57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861.57 지점은 1W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입니다.
A 구간, 즉, 1861.57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647.06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1647.06-1861.57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1647.06-1861.57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1647.06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하락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0(1190.57) ~ 0.786(1259.39)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단타 거래(day trading)이나 단기 거래 관점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1861.57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돌파 매매가 가능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거래는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이상에 위치해 있으면 매도할 시점을 찾는데 집중하고, 중간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으면 매수할 시점을 찾는데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보조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 때는 반드시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차트무당 마코 5월 2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5월 2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어제 1일 움직임을 복기 해보자면 월봉캔들이 생성됨에 따라
지겨운 횡보가 끝나고 곧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 설명 드렸습니다.
상승하더라도 과매수 구간이기 때문에 크게 올리지는 못하는 구간에서
탑구간을 짧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지금 현재 구간에서 각 시간대 저항선을 터치 하였기 때문에
다시 패턴을 복구가 되었고 일봉차트 MACD 눌림구간도 해소 시켰습니다.
각 시간대 지지구간이 견고하게 생성되었기 때문에 하방으로 눌리는 힘이
많이 약해진 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금일 비트코인은 95,829 구간만 지지 해준다면 상승의 힘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추고 있지만 과매수 구간의 비트코인이 상단에 저항구간들은
쉼게 뚫고 갈 수 있을지 체크 하셔야 합니다.
1차적인 저항구간은 98,302 구간의 일봉차트 몸통 전고점 자리를 체크
2차적인 저항구간은 4일차트 저항선의 저항구간인 99,499 구간의 저항구간 입니다.
비트코인이 99K 에 도달하게 된다면 강한 과매수 구간에서 조정이 강하게
내려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하단에 지지구간들은 각 시간대 중앙선 지지선의 지지구간으로
95,829 자리만 이탈하지 않는다면 상승우위 패턴을 지켜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자리들이니 이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내일부터 연휴인데 즐거운 연휴 되시면서 오늘 하루도 화이팅 하십시요!!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도미넌스가 바뀌고 있다– 이더리움의 구조적 전환 시그널과 비탈릭의 간소화 선언 Crypto J | 시장 구조 통역자
1️⃣ 지금, 도미넌스를 주시해야 하는 이유
지금은 단순한 가격 조정의 순간이 아닙니다.
시장 전체의 주도권이 어디로 이동하고 있는가를 살펴야 하는 구조 전환 구간입니다.
도미넌스(Dominance)는 자금 흐름의 방향성이며,
투자자 심리가 어디에 쏠려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선행적인 구조 지표입니다.
2️⃣ 기술적 흐름 요약
📉 비트코인 도미넌스 (BTC.D, 주봉 기준)
RSI 하락 다이버전스 지속 중
피보나치 0.707~0.786 구간 근접
볼린저밴드 상단 저항에 연속 반응
👉 구조적으로 상승 피로, 조정 전환 구조 형성 중
📈 이더리움 도미넌스 (ETH.D, 일봉 기준)
장기 하락 후 명확한 RSI 상승 다이버전스 발생
볼밴 하단 이탈 후 반등 → V자형 반전 구조
도미넌스가 7% 초반에서 바닥 확인 후 상승 재개 조짐
👉 기술적으로 ETH 중심의 자금 회귀 시나리오 가동
3️⃣ 펀더멘털과 연결된다면?
이번 기술적 흐름이 단기 이탈이 아닌,
펀더멘털에 의한 구조 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 중 핵심은 바로,
**비탈릭 부테린이 최근 제시한 “이더리움 구조 간소화 계획”**입니다.
4️⃣ 비탈릭의 '간단한 이더리움' 선언 – 구조를 바꾸려는 내부 신호
비탈릭은 2025년 4월 말 발표에서,
“이더리움은 너무 복잡해졌다.
이제는 더 간단한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계층화된 기능 축소’: 각 레이어(합의, 실행, 데이터 가용성)의 책임 분리
모듈성 강화: 코어는 작게, 주변 생태계는 자유롭게
스테이킹 간소화: 사용자와 개발자의 진입장벽 최소화
전환 부담 최소화: L2와의 상호운용성 + L1의 경량화
👉 이건 단순한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이더리움의 체력 회복 + 대중화 속도 상승”을 의미하는 설계 방향 전환입니다.
5️⃣ 구조적 해석: 기술 + 펀더멘털이 만나는 자리
Crypto J는 지금 구조를 이렇게 해석합니다:
기술적으로 ETH 도미넌스는 바닥을 확인하고 상승 흐름을 준비 중
BTC 도미넌스는 주봉 기준 고점 피로 구조로 하락 압력 증가 중
이 흐름에서 펀더멘털(ETF 승인, EIP 간소화, 비탈릭의 구조 리셋 선언 등)이 붙게 되면
→ 주도권은 BTC → ETH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이번 조정 이후 이더리움 중심의 강세장이 열릴 가능성은
기술적 + 펀더멘털 모두에서 구조적으로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 Crypto J의 인사이트
우리는
“이더리움이 오를 것”을 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왜 지금 ‘이더리움’이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지를 해석합니다.
출처 입력
Crypto J는 방향을 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구조를 통역합니다.
판단은 언제나, 당신의 몫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