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늘은 하모닉패턴을 보는 법을 가져왔는데요. <하모닉패턴이란> 하모닉패턴은 주가 차트 상에서 특정한 기하학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차트 패턴을 의미하며 이러한 패턴들은 주가의 향방을 예측하거나 특정한 매매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모닉패턴으로는 많은 패턴이 있지만 오늘은 저번 글에 이어서 하모닉 패턴중 하나인 Bearish three drive pattern , Bullish three drive pattern 패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hree Drives 패턴은 주로 시각적 패턴으로서 엄격한 수학적인 공식이나 정확한 규칙이 없지만 이 패턴을 찾기 위해 주로 주가 차트에서 나타나는...
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늘은 하모닉패턴을 보는 법을 가져왔는데요. <하모닉패턴이란> 하모닉패턴은 주가 차트 상에서 특정한 기하학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차트 패턴을 의미하며 이러한 패턴들은 주가의 향방을 예측하거나 특정한 매매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모닉패턴으로는 많은 패턴이 있지만 오늘은 단순하고 하모닉의 기초가 되는 패턴인 Bearish AB=CD Pattern , Bullish AB=CD Pattern 패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B=CD 패턴은 시장에서의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하모닉패턴 중 하나로 이 패턴은 주가 차트에서 특정한 형태를 이루는데 각 구간마다 길이가 서로 일정한 비율을...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의 차티스트 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이모지에도 피보나치 비율이 숨어 있습니다. 얼굴 전체를 기준으로 피보나치를 측정했을 때 볼은 0.382 / 눈은 0.5 / 눈썹은 0.618 비율 입니다. 또한, A와 B의 높이는 같습니다. (0.382) 이처럼 우리가 흔히 쓰는 이모지에도 피보나치 비율이 숨어져 있고 기술적 분석에서 피보나치 비율의 중요성 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귀여운 포스팅이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 댓글 부탁드릴게요🤭 추석 잘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참고 ①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열은 1, 1, 2, 3, 5, 8, 13, 21, 34, 55,...
🔋🔋🔋🔋🔋🔋🔋🔋🔋🔋🔋🔋🔋🔋🔋🔋🔋🔋🔋🔋🔋🔋🔋🔋🔋🔋🔋🔋🔋🔋🔋🔋🔋🔋🔋🔋🔋 🥇 안녕하세요 김재생입니다 ================================= 📌 결론 선요약 - 추세선 = 채널은 같은 개념을 지닌다고 보아도 좋다 (지지/저항과는 다른 개념) - 추세선과 채널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오래 된 추세선과 채널일 수록 강하다 2. 돌파 시도를 할 수록 약해진다 (추세선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적 호가) 3. 추세선이 뚫리면 "S/R Flip"이 발생하고, 채널이 뚫리면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S/R Flip : 지지(Support)는 뚫리면 저항(Resist)이되고, 저항은 뚫리면 지지가 된다) 📌 추세선의...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 입니다. 오늘은 나비패턴의 재미있는 역사? 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나비패턴을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 특히 나비 패턴은 이런 식으로 파동의 끝에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데요. 크랩 패턴은 1.618이라는 큰 확장을 통해 올라갔기 때문에 상승 추세가 굉장히 강한 경우 우리가 기대했던 D 반전 값에서 바로 반전을 하지 않고, 쪼끄맣게 작은 패턴을 한번 더 완성한 후 종종 반전에 성공하기도 합니다. 이런 자리에서 나비패턴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을 검색하시면 1.618 확장값을 가지는 나비가 등장하기도 하고 규격도 있습니다. 이것은...
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늘은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엔숄더 보는 법을 가져왔는데요.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엔숄더란> 주가가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하는 걸 헤드앤숄더라고 말하며 세 개의 저점을 형성하면 역헤드엔 숄더라고 합니다. 헤드앤숄더의 경우 목선을 하향 이탈하면 상승에서 하락으로 추세 전환을 의미하며 역헤드앤숄더의 경우 목선을 상향 이탕하면 하락에서 상승추세로 전환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앤숄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헤드앤숄더 헤드앤숄더는 상승추세가 하락 추세로 전환될 때 자주 등장하는 패턴으로 왼쪽 어깨, 머리, 오른쪽 어깨 각 3개의 고점을 형성한 뒤 넥라인을 하향...
xabcd ; FIB cluster zone + Volume POC zone + Liq. Pump 중요 피보 레벨과, 바로 이전 볼륨 터졌던 구간, 그리고 OI의 움직임을 살펴보며 단타 고고링 지금 m3 TF (9:21am) ; -1,019,000 (이전 -500 추가...) 빠졌다가 total +.00이 됐음.. 흠냐흠냐 ㄷ_ㄷ
반갑습니다 :) 팔로우 해두시면 알람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신다면 부스터 꾸욱 눌러주세요 ! 이번 포스팅에선 엘리어트 파동을 왜 공부해야 하는지 !! 무슨 의미가 있는지 !! 알아보려고 합니다. ▼ 엘리어트 파동을 사용하는 이유 제가 파동을 공부하고 매매할 때에 메인으로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충격 파동, 조정 파동, 삼각 수렴 등 전부 인간의 심리가 담긴 결과물입니다. 충격 파동엔 탐욕 조정 파동엔 공포 삼각 수렴엔 갈등 ... 그 외에 추세 방향으로의 심리가 강할 땐 - Bullish 연장 파동 - Bullish 강세 조정 - 불완전 지그재그 - 어센딩 트라이앵글 등등.. 추세 반대 방향으로의 심리가 강할 땐 -...
피보안경(Fibo-Lens)은 차트와 그 안의 캔들의 위치를 해석하는 하나의 '개념체계(Sys.)'가 된다. 이러한 차트 세계관은, '피보나치 툴은 렌즈와 같아서, 초점을 맞추어 차트와 캔들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피보나치 트레이딩을 잘 할수록, 더 좋은 광학렌즈를 사용하는 셈과 같다. * 피보렌즈는 세밀한 타점을 계산하는 용도로서, 부분적 기능만 할 뿐이다. FCZ(Fibonacci Cluster Zone; 세 개 이상의 중요 Fibo값이 뭉친 곳)와 MFCZ(Mean of FCZ), 최대.최소 오차값 등과 같은 개념들을 고안하여 피보렌즈를 만들 수 있다. 1D, 4h, 1h, 15m의 TF에서,...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 벌써 하모닉 이야기의 30번째네요. 오늘은 하모닉 이론을 이용한 응용 전략으로 수많은 트레이더들이 사용하고 있는 하모닉 패턴 '예측(豫測)' 이라는 소재로 설명해보겠습니다. 하모닉 패턴의 기본은 패턴이 완성되면 D점에서 잠재적인 반전 영역(PRZ)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진입해보는 기법입니다. 이런 식으로 말이죠.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은 언젠가부터 D점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예측해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되는 배경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단순하면서도 설득력 있는 이유 중 하나는 ' 기다리기 지루하니까.' 라는 이유도 생각해 볼 수...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잠재적 반전 구간 (Potential Reversal Zone : PRZ)을 파악할 수 있는 ABCD 패턴, 그 중에서도 ABCD의 3개의 Leg (AB, BC, CD) 중 CD Leg를 활용하는 C-D Leg Trend Trading 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 (Fibonacci) 시리즈를 먼저 읽어보신 후 본 글을 접하신다면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 INDEX > I. C-D leg Trend Trading이란? II. BAMM : Bat Action...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 오늘은 제가 나름 흥미롭게 생각했던 쓰리 드라이브 패턴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우선 쓰리 드라이브는 드라이브가 1,2,3으로 총 3개여서 쓰리 드라이브입니다. 각 드라이브는 정확한 피보나치의 비율로 완료된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쓰리드라이브는 '대칭' 이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하고, 그 대칭의 측면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1) 가격 대칭 - 각각의 구조물 형성에서 가격 대칭은 동일해야 합니다. (2) 시간 대칭 – 거의 동일한 시간적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 (3) 시각적 대칭-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은 대칭적인 모양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시장의 흐름이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다. 시점이 어떻든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단 한 가지다. 수요가 가용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이다. -버프 도르마이어(Buff Dormeier) 이런 얘기 들어보셨을 거에요. 하모닉 패턴 또한 사람들의 심리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하모닉 패턴의 기본 토대가 되는 AB=CD 패턴과 관련하여 패턴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 속 심리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트위터 차트이며, AB=CD패턴 이전의 배경 지식을 위해 트위터 뉴스를 정리하였습니다. 2022년 4월 4일 일론 머스크 트위터 주식 9.2% 보유...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왕초보분들을 위한 하모닉 패턴 그리기 글을 한번 작성해보려 합니다. ^^ 패턴을 그리다 보면 매우 재미있습니다. ~ 아직 안 그려보셨다면 한번 따라서 그려보세요 ! 하모닉 패턴의 기본은 삼각형의 형태부터 시작합니다. 1.피보나치 되돌림 긋기 피보나치 툴 긋는 법을 알아봅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피보나치 툴은 왼쪽에서 보실 수 있는 '피보나치 되돌림' 툴이며, 패턴을 그릴 때 매번 사용하고,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보편적으로 B포인트의 비율을 잴 때에는, 1. X점에 마우스 클릭 -> 2. A점에 마우스 클릭하면서 툴을 넓게 넉넉하게 펼친다....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찰스 다우와 하모닉 이론이라는 주제로 오늘은 이야기를 풀어나가볼까 합니다. 찰스 다우(1851년 ~ 1902년) 는 기술적 분석학의 아버지라 불리웁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학의 뿌리는 여기에서부터 이루어졌다 볼 수 있습니다. 현대의 기술적 분석은 1900년대에 미국의 월스트리트(월가)에서 유행하며, 이후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많은 이론들로 발전하였는데요. 여기의 중심에는 월스트리스에서 활동했던 찰스 다우가 있습니다. 찰스 다우라는 인물은 특히 아래의 몇 가지로 유명합니다. 1. 월스트리트 저널 창간 -그는 뉴욕타임즈, 워싱턴 포스트와 함께 미국의...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실전 적용에 있어, 제가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올바른 마음가짐에 대해 풀어보겠습니다. 하모닉 이론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 🤔 1. 미래 예측 패턴을 맞추는 데 너무 집중하지 말자. - 하모닉 패턴의 기본은 지지와 저항의 XABCD라는 점들의 구성이 있고, 이 점들을 패턴으로 연결시키는 형태입니다. 원래의 패턴 구조는 XABC 이 후 D점이 발생하였을 때, D의 완료를 확인한 후 진입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패턴이 매번 매순간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차선책으로 미리 예측해서 패턴을 그리기 시작하는데요. 그러다 보면 거의 대부분 나오지...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하모닉 패턴에는 0.618을 B점으로 가지는 가틀리 패턴이 있습니다. 그런데 크랩의 B점 또한 0.618의 되돌림을 가집니다. 뱃 패턴도 마찬가지 입니다. 뱃 패턴의 0.5의 B포인트는 크랩 패턴에서도 동일하게 B포인트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크랩의 B포인트는 범위값을 가집니다. 우리는 패턴이 완성되기 이전에, 미리 선행하며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 오늘은 가틀리 패턴 vs 크랩 패턴 비교와 몇 가지 전략을 통해 미리 판별할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한 번 풀어나가 보겠습니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차트의 이론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이탈리아의...
오픈소스를 수정해서 고친것은 맞는데 오픈소스랑 똑같지 않다는걸 한번은 보여줘야 할꺼 같습니다. 추가만 한게 아니라 기존에 맞지 않았던 하모닉 수식을 고쳐서 사용중입니다. 디자인만 바꿨다는 말에 비교해서 올릴께요 왼쪽이 차돈녀 하모닉지표이고 오른쪽이 제가 참고한 오픈소스 지표입니다. 하모닉 지표는 작년에 오픈소스를 엄청나게 수정해서 쓰고 있었는데 제가 내놓지 않으니깐 이런 오해가 생기네요. 하모닉 지표를 만들면서 저도 하모닉의 대략적인것을 공부하게 되었고 하모닉 지표를 만든건 D점을 알고 싶고 D점이 바로 변곡점이 되기 때문인데 이거 하나로는 알기 힘들고 역시 제일 기본기인 지지 저항 추세를 잘 알아야한다는걸 알았어요~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