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RSI 의 중요성과 왜 RSI를 같이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 지까지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겠습니다. ^^ 1. RSI란 무엇인가 !? - RSI는 많이들 알고 계시겠지만,웰스 와일더가 그의 저서 New Concepts in Technical Trading Systems(1978)에서 설명한 '상대강도지수' 라는 뜻의 지표입니다. 이 말 뜻에서 2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이름에 지수 즉, Index가 포함되어 있지만, 인덱스 지수로서의 기능을 얘기하는 지표가 아닙니다. 😊 상대 강도라 함은 한 차트 내에서 상대적인 내부 강도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하모닉 패턴을 처음에 접했을 때에는 패턴이 완성되면 반전이 된다고 ? 하면서 입문하게 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반전이라 함은 드라마틱한 반전이죠. ㅎㅎ 바로 이런 예시이지요 . ^^ 또는 패턴을 예측하며 들어간 이 후, 생각대로 완성되면 " It's 스위칭 타임,나우!! 쥐금이니 !! " 를 외치며 스위칭 포지션을 딱 잡습니다. 그렇지만 패턴 완성 후 항상 드라마틱한 반전을 보여주진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패턴의 완료는 끝이 아닌 시작이라 할 수 있는데요 . 또한 이러한 상황들을 판독하는 것이 바로 하모닉 트레이더의 능력이 발휘되는, 개인의 역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순간이라...
#엘리엇파동이론강의 #토미강의 #Diagonal #Wave #종결쐐기형 #다이아고널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오늘은 엘리엇 파동 이론 중 다이아고널(Diagonal) 파동 구조에 대한 강의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저도 이번 자료 준비하면서 알았는데 한글로는 ‘종결 쐐기형’이라고 한답니다. 종결쐐기..! 무슨 게임 캐릭터 궁 스킬 이름 같네요. 그냥 편하게 이 글에서는 다이아고널 파동이라고 통칭하겠습니다. 통상적인 충격파동(Impulsive Wave) 구조는 5-3-5-3-5 지그재그 구조로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세가지 룰을 가지고 있습니다. 1) 2파는 1파의 저점보다 내려갈 수 없다. 2) 1, 3, 5파 중 3파는...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공부하시다가 하모닉 이론의 공부에 입문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경우 , 파동 이론에서 넘어오면서 하모닉 이론을 처음 시작할 때에 몇 가지 헷갈리는 점들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대표적인 경우 몇 가지 의견을 제시 할테니, 트레이딩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경우 1. 피보나치 비율 툴을 바로 또는 거꾸로 상관없이 쓰는 경우.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작도 시에 가끔 피보나치 툴을 방향 상관없이 사용하시던 분들이 계십니다. 본인만 잘 알고 있다면 이럴 경우에 똑바로 보나 거꾸로 보나, 0.382와 0.618이 같은 자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러한...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를 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실전 매매 트레이딩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3가지 선정하여 보았습니다. ^^ 1. C점을 섣불리 단정짓지 말기 하모닉 패턴을 매매 할 때, 많은 분들게서 D점 까지 기다렸다가 승률이 보이는 자리에서만 매매하지 않습니다. 기다림이 가장 힘들다고 하죠. ~ 기다리기 힘들기도 하고, 항상 돈을 벌고 싶은 욕심에 선진입을 많이 노리십니다. 물론 안 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선행으로 패턴을 예측하기도 하고, 그렇게 예측 패턴을 사용 할 수 있게끔 전략이 다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패턴을 작도하실 때, 이것만큼은 주의하셔야 합니다. !! 바로 본인의 C점을 C점으로...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내가 그린 하모닉 패턴이 자꾸 옆으로 간다면? 이라는 주제에 얘기해보려 합니다. 원래의 하모닉 패턴은 본질적으로 패턴이 완성되면 D 점에서 반전을 확인 한 후 진입 하는게 가장 정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응용하여 마음도 급하고, 뱀이나 다른 파동 이론 등등 보조 지표도 있고 해서 선행하여 진입도 종종하게 됩니다. 선행하여 진입을 하지 않는 것은 패턴을 활용하는 차원에서도 좀 아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받쳐주는 보조지표 판독이나, 뱀이론이 보완책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선행하여 많이 그리고 판별하는데요. *상황 1: 하모닉...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박쥐 패턴( BAT PATTERN) 의 쓰임을 이용한 매매 전략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박쥐 패턴은 저점을 지키고 XA 의 0.886 만큼을 되돌리는 패턴입니다. 이 패턴의 보편적인 쓰임새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추세가 위로 가는 쓰임새 2. 추세가 아래로 가는 쓰임새 너무 당연하다고요? ㅎㅎ 당연히 가격 흐름이 위로 갈 수도 있고 아래로 갈 수도 있겠지요? 이 경우 대표적으로 박쥐패턴에서 자주 나오는 형태를 정리하였습니다. 참고하시고 콤보 개념으로 외워 두시면 편합니다. ^^ 1) 위로 갈 경우. 박쥐 패턴의 기원에는 쭈욱 긴 하락 파동 뒤에...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하모닉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비율, 시간, 거리에 관한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 전 항상 이게 궁금하더라고요.. 비율 시간 거리 중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 것일까. 또는 똑같이 중요한 것일까. 파동은 자연의 흐름대로 움직이는 거라서, 항상 주가 가격의 흐름이 비율 시간 거리가 완전히 동등하게 생성되는 것은 아니더라구요. 사실 패턴의 식별에 있어 비율 시간 거리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죠. 오늘은 그 중에서도 하모닉 패턴의 기본이 되는 AB=CD 패턴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해 보려 합니다. 하모닉 패턴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자연의...
안녕하세요 .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제가 지난번에 제 영상과 글을 통해 이야기 해드렸듯 가틀리의 기원 기억하시나요 ?? 가틀리는 리스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최저점이 아닌 , 눌림목을 선택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는데요. 이것이 가틀리 패턴으로 발전된 것이죠. (하모닉 이야기 예전 편 참조, 밑에 아이디어 링크 달아놓겠습니다. ) 나비 패턴은 그림에 보시는 바와 같이 간단히 설명해 드리면, 확장패턴의 유형으로 저점을 찍고 브이자V 반등에 성공하는 그런 유형의 확장 패턴입니다. 즉, 메인 그림 예시에서처럼 역헤드앤숄더 같은 느낌도 있는 것이죠. 이것의 응용편으로 엘리어트 이론을 접목시켜 이상적인 파동 느낌을...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원서에 적혀 있듯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마케팅 전략을 위해 패턴의 전체 전략 과정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로 비현실적인 기대를 만들어 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패턴에서 패턴이 그려지자 마자 엄청난 반전을 시작하리라는 기대는 일단 시나리오 중 하나로 염두 하시고, 다양한 대응전략과 패턴의 형태를 판단하는 전략을 연구하셔야 합니다. 그러한 전략 중 하나가 터미널 바로 판별하는 전략입니다. Terminal Bar (T - bar)라고 하는데요. 하모닉 패턴의 선구자인 스캇 카니가 개발해낸 독창적인 방식의 전략입니다. 우선 터미널 바란, 하모닉 패턴이 완료되는 정확한 지점을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하모닉 패턴을 보고 트레이딩 할 때, 주의하셔야 할 선주문 기능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 Trigger 조건부 선주문의 위험성 * - 패턴 트레이딩을 할 때, 극타점을 위한 미리 선주문을 해두시는 경우가 적지 않죠. ? 하모닉 패턴시에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꼽고 싶습니다. PRZ 의 영역에 도달했을 때, 특히 알트 코인의 경우, 하모닉 패턴 매매시에 PRZ 에 포텐셜 터지면서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PRZ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잠재되어 있는 반전 기회의 영역입니다. 이 반전 영역에서 반전하지 않을 시, 굉장히 기존 추세가 매우 강함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 입니다. 오늘은 Shark 상어 패턴과 Bat 박쥐 패턴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패턴을 그리다 보면 샤크 패턴과 뱃 패턴이 겹치며 나올 때가 꽤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D점 값을 0.886으로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샤크 패턴은 D점의 범위영역이 꽤 넓어서 0.886-1.13 을 가지고 있는대요. 이 또한 뱃 패턴과 알트 뱃 패턴의 0.886-1.13 과 일치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 이유때문에 샤크 패턴과 뱃 패턴은 비율로만 패턴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면 겹치게 나올 때가 상당히 많습니다.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큰 그림에서도 뱃 패턴과 샤크 패턴이 겹침을 알...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 입니다. 오늘은 나비패턴의 재미있는 역사? 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나비패턴을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 특히 나비 패턴은 이런 식으로 파동의 끝에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데요. 크랩 패턴은 1.618이라는 큰 확장을 통해 올라갔기 때문에 상승 추세가 굉장히 강한 경우 우리가 기대했던 D 반전 값에서 바로 반전을 하지 않고, 쪼끄맣게 작은 패턴을 한번 더 완성한 후 종종 반전에 성공하기도 합니다. 이런 자리에서 나비패턴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을 검색하시면 1.618 확장값을 가지는 나비가 등장하기도 하고 규격도 있습니다. 이것은...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이라고 합니다. 기본 W자형과 M자형 하모닉 이론에서는 B 점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동일한 XA 선을 두고 B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패턴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B포인트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대요. 당연히 언제나 가격의 흐름이 칼로 무자른 듯 나오지는 않겠죠 ? 하모닉 패턴의 선구자인 스캇 카니가 연구한 그의 저서에는 B포인트 허용 범위를 발견해 새롭게 제시하였습니다. 가틀리와 나비 패턴은 +-3 %라는 타이트한 허용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른 패턴들은 조금 더 넉넉하게 +- 5% 의 허용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는 하락이후 샤크패턴으로 복합 조정패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어만 엄청 보이네요 샤크가 상어인건 다 알겠죠? ^^ 4시간봉 마찬가지로 이번 기사가 상어패턴 매니아입니다. 덕분에 알트들도 상어패턴이 계속 나오고 있어요. 샤크패턴 배워갈께요 샤크패턴은 하모닉에 나오는 패턴을 이야기해요~ 샤크패턴은 스콧 카니가 2011년 발견하였습니다. 샤크 패턴에서는 스윙 포인트(고점과 저점)를 0, X, A, B, C로 표시합니다. 상승 샤크 패턴에서는 두 번째 고점이 첫 번째보다 높습니다. 또한 피보나치를 엘리엇 파동이론과 113% 등 새로운 비율과 결합해 사용합니다. 샤크 패턴의 핵심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A는 특정 자리가...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항상 그래왔듯 많은 전설의 트레이더들이 강조하는 건 바로 리스크 관리입니다. 절대 이익을 손실로 만들면 안되고, 손실이 나면 짧게 스탑하고 이런 점들이 기본이라 할 수 있는대요. 하모닉 이론의 출발점에서도 이런 전략이 바탕이었음을 옛 문헌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하모닉 패턴의 전신은 1935년, HM 가틀리의 주식 시장의 이익이라는 책에서부터 출발합니다. ~ 여기에서 HM 가틀리는 여러 패턴을 제시하며, 초기 형태의 가틀리 패턴과 AB=CD 패턴을 제시하는대요. 이 패턴 제시를 통해 이야기 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신다면, 가틀리가 연구하였고 재차 강조하는 바가 무엇인지 다시...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오늘은 샤크 패턴에서 그냥 지나치기 쉬운 부분에 대해 짚어보려 합니다. 샤크 패턴을 작도시 어떤 툴로 어떻게 그리시나요 ? 원래의 샤크 패턴은 되돌림 값이 없고 D가 없습니다. 그리고 일반 하모닉 패턴과 다르게 C점이 A 점 보다 깊습니다. 이 2가지가 특별합니다. 일단 여기까지 인지하고 계시죠? 그럼 그 다음에 고민해야 할 부분. 그래서 결국 일단 툴이 없습니다. 그리는 방법 1. 손으로 일일이 O XABC 를 표시한다. ( 위 그림처럼) 근데 비율 수치가 보이지 않아 불편하고, 매번 일일이 글자를 입력해 줘야하는 게 매우 귀찮습니다. 그리는 방법 2. 이게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