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나온 것이 고점이라고 생각한다면, 일봉 혹은 주봉 기준으로 SFP를 적용할 수 있음 급락이 나오지 않는 이상 현실 가능한 레벨은 T1 T1도달 이후 SL 진입가 조정 필요 1차 진입 현재가, 2차 진입 330 사토시 차트의 경우 와이코프 패턴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UT에서 BC RANGE 안으로 다시 들어오는 접근을 기대 트리거가 명백하지 않고, 예측하는 거래인만큼 낮은 배율로 진입이 필요하며, 실패하더라도 손익비가 아주 좋은 구간
이번 상승에서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할 시, swing failure pattern으로 나아갈 확률이 높음 그러므로 전고점을 스탑으로 잡고, 1차적으로 스윙 로우이자 liquidity level을 노리는 포지션 오픈. 2차 목표는 이전 스윙 로우. 사토시차트를 참고하면, 며칠 동안 다이버전스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전고점에 도전 중.
하락 직전 고점 기준 피보나치 저항대에 걸려, 하락 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SFP로 해석할 수도 있음 1차 매수 현재가, 2차 매수 45.6 직전 swing low까지의 하락을 예상하며, 그 이후는 리액션을 보고 판단
더블탑 패턴으로 접근할 수도 있고, SF 패턴으로 접근할 수도 있음 심지어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였음 넥라인을 뚫고 내려갈 때, 전고점을 위협할 것으로 보이며, 다음 레벨은 작년의 750대의 저항대
페일러 스윙 발생 후 전저점이자, 작년 이맘때의 가격대까지 하락 가능성 전저점을 깰 경우 작년의 저점까지 하락할 높은 가능성 사토시 차트 또한 그를 증명
이더리움 비트코인 차트의 bearish flag 발생, 그 추세선이 깨지면서 하방이 예상되고, 그럴 경우 ethusd는 저점을 갱신할 것으로 보임
더블탑 패턴에 넥라인이 깨지면서 하방 가능성 열림 전저점까지 돌파할 경우 밑을 알 수 없음 주의할 것은 펀딩피 뿐
전고에서 강한 저항을 받고 있으며, 내일 장전으로 크게 뚫어내린다면 아이디어 폐기 채널 미들에서 상단까지 익절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