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00, 26400 안녕하세요? 하이퍼 입니다. 일봉 100일선 위에서 그리고 눈여겨본 25,200$에서 26,550$ 사이의 가격대 사이에서 지지를 받으며 상승 시그널이 발생했습니다. 아래는 일봉 기준 차트입니다. (100일선 확인) 다시 메인 15분 차트로 돌아와서 15분 주요 채널 안으로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하락 시그널이 다시 발생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겠습니다. (15분봉 기준) 왜냐하면 큰 그림에서의 움직임은 아직 하락 관점이기 때문입니다. (일봉 기준)
안녕하세요, 하이퍼 입니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자산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이런 시장에서는 조심스러운 관망도 좋은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언제나 투자에 주의를 기울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 관점은 하락이지만, 비트코인 가격은 주요 구간대에서 지지를 받으며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승 관점을 더하여 중립적인 시각으로 채널과 가격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크게 세 가지 채널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첫째, 헤드 앤 숄더 채널 비트코인은 현재 헤드 앤 숄더 채널의 하단을 리테스트 중입니다. 현재 neckline 주변에서 롱과 숏 서로 눈치를 보고 있습니다. 방향성이...
하늘색 채널라인을 따라 비트코인이 베어플래그 패턴이 나타남 하얀색 넥라인과 하늘색 채널라인을 힘있게 상향 돌파한다면 숏보다는 롱으로 생각을 바꿀 것임 아직까지 개인적인 지표도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5/15 10:30 ~ 5/16 08:00 넥라인 위로 잠시 돌파했던 무빙은 앞서 5/12 00:00경 넥라인 아래로 나온 무빙에서 들어온 추격 숏의 Stop Loss를 받아내기 위한 무빙으로 보임)
<하락 관점 근거> (1) 15k 부터 이어온 미니랠리는 31k까지 대략 100% 상승을 하였음 15~17k구간에서 매수한 보유자들이 차익실현의 유혹을 느낌 (2) 100% 정도 상승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거래량은 점차 줄어들며 상승동력이 떨어짐 (3) 마지막으로 헤드앤숄더 패턴을 만들어가고 있는 모습을 보임 <헤드엔숄더 패턴 완성시 TP 예상> 27k 부근의 넥라인이 깨지면서 거래량을 동반한 음봉이 나올시 헤드앤숄더 패턴은 완성이 되며 TP는 머리에서 넥라인까지 길이인 23k 부근 패턴 완성까지의 기간과 매도세에 따라 +-2% 버퍼를 둬서 22.6k ~ 23.4k 에서 매수세가 나올 것으로 예상됨 반등시 25k 부근까지 반등할...
크게보면 박스권이지만 비트코인 가격이 며칠간 위아래 큰 진폭을 보이면서 괴랄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음 이런 움직임에 예측하는게 맞나 싶지만 과거에 발생했던 유사한 패턴이보여 아이디어를 공유함 <과거 패턴 관점> 22.01.06 ~ 22.01.20 까지의 패턴 22.03.05 ~ 22.03.14 까지의 패턴이 유사하게 보임 현재 (B) 부근이 과거의 (A) 패턴과 유사하게 흘러갈지 지켜보는 것이 관점 포인트 만약 그렇다면 오늘 내일중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39.5K ~ 41.2K 까지 상승하고 크게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음 <단기 하락 관점> 1. 16일 - 러시아 디폴트 여부 2. 17일 - 3월 FOMC 3. 18일 - 4...
이전 단기 하락 관점을 박살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음 긴장이 고조되었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갈등이 일부 해소되는 모습이 있었다고는하나, CPI(소비자물가지수), PPI(생산자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코인 시장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줌 (바이낸스 선물 고래도 주요지점에서는 매수/매도 활동이 보임) 이런 추세라면 내일 새벽에 발표되는 1월 FOMC 회의록도 가볍게 무시하는 무빙이 예상됨 본인이 시장을 잘못 판단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돌아볼겸 상승 관점으로 차트를 분석해봄 <상승 5파> 우선 상승세가 계속 이어진다는 가정하에 파동을 보면 4파가 끝나고 5파가 진행중임 120일선과(일봉) 주요 저항선을 조합해보면...
비트코인 단기 하락 관점 <하락 관점 근거> 1. 바이낸스 선물 고래의 매수세 실종 2. (A) 주요 상승 추세선 저항 3. (B-1) 주요 상승 채널 하단 지지 확인중 <설명> 1. 02/05 부근부터 장기 하락 추세선을 뚫고 상승세를 이끈 주체는 바이낸스 선물 고래로 추정 (10m~30m 정도씩 꾸준히 매수했음) 현재 더블탑 및 (A) 주요 상승 추세선 저항 자리 이후 매수세는 확연하게 줄어듦 그러므로 단기적인 상승 동력 주체가 사라졌다고 볼 수 있음 2. 33K 부터 올라온 주요 (A) 상승 추세선을 뚫지 못하고 내려오는 모습을 확인 3. (A) 상승 추세선과 더불어 주요 상승 채널인 (B) 채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