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이번 하락 무빙에서 아직 차트분석하는 방법을 잘 모르시거나 미숙하신 코린이 분들에게 어려운 장이라고 느껴지실 것 같아서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에 저의 생각을 옮겨 보려고 합니다. 매주 이와 같은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기에 처음 보신다면 팔로우해두시면 알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제게 큰 힘이 되니까 꾹 한번 눌러주세요:) 위 차트가 바로 하락과 약 반등을 반복하는 코린이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장이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는 RSI다이버전스 하나만 제대로 체크한다 해도 큰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빨간색 박스 안에 있는 긴 음봉 캔들이 출현하면서 저점을 갱신. 🟠 주황색 박스 안에 있는...
반갑습니다 주식, 코인 어떤 시장에서든 돈을 벌기 위해서 기술적 분석은 필수입니다. 투자수익을 내기위해 즉, 돈을 벌기위해서 매매는 열심히 하고 있으나 기술적 분석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돈을 잃고 있을 가능성이 높죠 기술적 분석을 위해 알아야 할 추세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매주 이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 글을 처음 본다면 팔로우를 하셔서 알람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부스트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캔들을 보며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차트를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추세는 상승추세와 하락추세가 있습니다. 먼저 차트에서 상승추세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전 관점. 작년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올라온 비트코인이 한 파동이 끝났다고 보고 있었고 지금 나온 조정이 이 상승파동에 대한 조정이라고 보고 있었습니다. 이전에 첫 하락이 나왔을 때 🔵'이게 끝이라고?? 절대 노노 진짜 적어도 한 번은 더 내려간다.' 이와 같이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유는? 상승파동이 1파 연장 충격 파동일지 복합 조정으로 올라온 것일지는 100% 장담할 수 없지만 확실한건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이 박스를 봤을 때 아 조정의 첫 파동이 '시작되었구나' 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런 생각들이 어떻게 매매에 도움을 줄 수 있냐? 🟢이후에 올라오는 캔들이 추세를 타고 올라가는 충격 파동이...
"팔로우"해두시면 제 아이디어를 바로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시드 2배 불어나세요~ ================================ 많은 분들이 위 차트에서 헤드앤숄더 패턴으로 매매에 참여하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헤드앤숄더 패턴을 실제매매에 참고하진 않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보시는 것 같더라구요. 제가 만약 헤드앤숄더 패턴으로 매매를 한다면 이런 점들을 생각하면서 매매할 것 같다라는 것들을 적어보겠습니다. 헤드앤숄더는 이렇게 '왼어깨 / 머리 / 오른어깨' 이렇게 3개의 고점으로 형성된 패턴입니다. 모든 패턴매매가 그렇듯 차트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파동이론 공부 한 번쯤은 해보는 건 어때요? 반갑워요 엘스입니다. 음... 제가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기반으로 매매하지만 여러분에게 "엘파 개오지고 지리는 부분입니다. 다 공부하세요" 이런 접근은 아닙니다. 다만, '어린아이에게도 배울 것이 있다' 했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이론과 매매 방법에 대해서 배척하기보단 한 번쯤은 공부해 본다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너무 깊은 내용으로 들어갈 생각은 없으니 가볍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박스 구간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가정으로 생각을 해보자. 매매의 참여하는 우리는 이때 보통은 "지겨운 하락이 끝나고 상승이 시작되는 건가?? 그럼 지금 사는 건 좀 오바 같은데 어디서 사야...
반갑습니다 엘스입니다. 비트코인이 눈으로 보기에도 명확한 3개의 조정파동이 나왔습니다. 이전 부터 보고있던 관점은 메인으로 올려드린 박스 첫 번째 구간 (모두가 보고있는 곳 이겠죠?)에서 집중적으로 봐야겠다 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첫 박스구간의 상단은 직전 상승파동의 전체 되돌림 0.382 구간과 겹치는 자리기도 합니다. 아직 엄청나게 상승을 보여준건 아니지만, 단기 상승이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 매물대도 비어있는데 왜 이자리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냐면, 🔴 파동 카운팅을 했을 때 만약 ABC라면 c가 충격파동이어야 하는데 어떻게 봐도 그렇게 보이지가 않음. 🟠4시간봉에서도 확인되는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출현 🟡채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