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의 공부하는 차트 분석! 코인 NO.3 리플(XRP)
형들 하이~!!
공부하는 차트 분석! DS야!
주말 잘 쉬었는가!?
나는 고향 내려갔다 와서 이제 글 좀 그쩍거리네~
내 글 잘 읽어주는 형들 정말 고마워~ 나 한 달만에 팔로우 100명 달성했어!!
너무 기분이 좋아~ 내 글을 읽어준다는게 참 너무 고마울따름이여~!!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꾸벅)
오늘은! 코인 3대장의 넘버쓰리! 리플을 가지고 공부를 할껴!!
시작해보자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일봉차트!
오늘은 빗각보다 패턴분석에 더 중점을 둬서 분석했어!
이 그림보고 안다는건 공부를 했던 형이라 혼자 해도 되는겨~ ㅋㅋㅋ
(그래도 봐줘~.... ㅎㅎ)
노란선을 자세히 보면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모습으로 보이지 않는가!?
맞소! 오늘은 삼각형 패턴에 대해 공부를 할꺼여!!
알려줄텡께~ 참고혀봐~!
삼각형패턴에는 대칭, 상승, 하락 패턴의 종류가 있어!
대칭은!
24년 12월 차트!
차트보이는대로
고점은 점차 낮아지고 저점은 점차 높아지는 패턴인데!
이렇게 고점끼리 저점끼리 이으면 이런식의 삼각형의 모습이 나오게 돼!
그런데 대칭패턴은 하락인지 상승인지 예상할 수 없는 어느 한 곳을 돌파한쪽으로 치울게되는 중립적 패턴이야~
그래서 위쪽을 돌파할지 아래쪽으로 돌파할지를 잘 보고 매수를 들어가야해!
그걸 뭘로 파악하냐!?
바로 거래량이야!
삼각형패턴은 이런식으로 흘러가! 아주 공식적인! 전형적인! 일반적인! 평범한 패턴으로 설명하는거야~
코인판은 돌연변이가 많아 패턴은 아주 다양하게 분석되서 어렵다고 하는거여~!
삼각패턴이 시작될때 거래량이 대폭 오르면서 삼각패턴 안에서 점차 감소하는 모습이 보일꺼야!
그리고 돌파를 하고 나서!
리테스트(6번)을 할때 거래량이 튀기 시작! 할때! 신호인거지!
그 뒤로 현저히 거래량이 늘어나는 모습!
이해됬어!?
됬다면 부스터~ ㅋㅋㅋㅋㅋㅋㅋ
이게 대칭삼각형패턴이야~!
다음은 상승 하락패턴인데
아주 일반적인 패턴으로는 이런모습이야!
이건 상승삼각형패턴으로
추세선 하나는 수평! 추세선 하나는 상향하는 모습!
반대는 하락삼각형패턴으로 생각하면 돼~!
근데 코인판에선 이렇게 정직하게 패턴을 주지 않더라고....
호락호락한 곳이 아니여 여긴....
일반형처럼 나오지 않고 돌연변이처럼 변형해서 나오는 패턴이 있어!
나만 이걸 쓰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25년 5월 차트를 보면~
이런방식이야!
노란선 삼각형패턴을 보면
추세선 하나는 수평, 하나는 하향을 하고 있으니 이건 분명 하락삼각형패턴으로 해석이 돼!
근데 분명 밑바닥을 이탈하여 내려가야 정상인데....
무시하고 다시 올려버리는 상황이야... 그리고서는 상단을 돌파하는 모습이 나오지!
그리고 거래량이 서서히 증가하면서 상승을 보여주는 모습..!
나는 이걸 돌연변이 삼각패턴이라고 생각하고 분석을 자주하거든?
물론 다른 방식의 분석도 있겠지만!
나는 이런방식이라는거야~!
개인적인 노하우들이 있자나~ 그런거여~ ㅋㅋ
자! 그럼 최근 차트로 돌아와볼께!
어때?
전 차트랑 똑같이 생기지 않았어?! ㅋㅋㅋ
이런 방식의 패턴이 있다~~
현재는 하락돌파도 안하고 바로 위로 돌파한 모습이 보이지?
이것도 속임수일수도 있다고 봐야되니까 꼭 매매를 할땐 스탑로스를 걸어서 해!
그래야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어!!
거래량을 보면 점차 감소하는 모습도 보이지!?
아무래도 내일이 제일 중요할꺼 같애!
여기서 거래량이 어떻게 되는냐에 따라 달린거 같으니께! 조심히 잘 보고 매수하도록혀!!
삼각형패턴 자주 나오는거니까 이것도 연습 많이 해봐~!
오늘 공부는 여기까지!! 긴 글 읽어줘서 너무 고마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간략 정리
삼각형패턴
대칭패턴
고점추세선 점차 낮아지고 저점추세선은 점차 높아짐!
상,하향 파악이 안되는 중립적! 어느 한곳을 돌파하고 거래량을 확인하며 판단!
상승패턴
추세선 하나는 수평, 추세선 하나는 상향 패턴!
하락해턴
추세선 하나는 수평, 추세선 하나는 하향 패턴!
※ 거래량은 삼각형패턴안에서는 점자 감소하고 돌파 후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
단, 코인판에선 일반적인 패턴으로 보여주지 않는다.
XRPUST.P 트레이딩 아이디어
3.0361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RPUSDT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9월 24일경입니다.
다만, BTC의 변동성 기간인 9월 18일경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해야합니다.
3.0361 부근에서 지지 받고 3.4037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지 못하다면, 2.909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0361 지점은 1M 차트의 DOM(60) 지표 지점이므로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현재 1D 차트의 HA-High ~ DOM(60) 구간이 3.4037-3.4540 구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야 비로소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XRP 분석 SEC가 폭탄 선언을 발표안녕하세요
반포자이에 살고 싶은 반포자이 입니다.
금일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트레이딩에 참고해주시고 매매해주세요
──────────────
XRP LONG +2695%⬆️
현물 포함 분석
리플이 직접 스폰서하는 글로벌 행사, 한국에서 열린다!
XRP ETF 기대감 8억 달거 자금 유입 전망
3달러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있지만 해당가격만 뚫고 안착해준다면 긍정적인 흐름을 예상한다고 말씀드렸고 어떻게보면 마의 구간 같았던 자리를 돌파했습니다.
이제는 3달러 부근에서 자리를 만들어가는 느낌이 한파동을 더 크게 상승하기 위한 자리르 만들지 않을까 생각이듭니다.
녹색박스부근 이탈하게되면 분할로 포지션을 정리하시면서 차익실현을 해두셔야합니다.
반대로 해당자리 위에 있으면 충분히 상승 시나리오 만들어 질 수있습니다.
단기지지 3.04 / 2.99
🔍🔍🔍 보유포지션
LONG 1.67달러 24만달러 수익중
녹색박스부근에서 신규 포지션 오픈 예정
(순환매로 평단가 작업 같이 진행됨)
9월 17일 리플 (XRPUSDT.P) 데이관점뷰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로입니다
매일 오후 1시에서 2시사이 CMC(Coinmarketcap) 기준 상위 시총 15위에 포함된 종목들에대해
데이뷰 , 중기 , 중장기뷰를 올릴예정입니다
오늘은 전일 시장 약세흐름에도 가격 흐름을 버텨주고있고 또한 금일 시장 변동성이 높고 변칙적인 리플에대해서 관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종목들의 기술적 분석은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데이트레이딩 관점에서는 1시간봉을 기준으로 분석을 하며, 리플의 트레이딩 관점은 9월 17일 오후 13:00에 작성한 글임을 인지해 주세요
일단 기초분석을 위한 토대인 축라인은 빗각을 통한 추세라인을 잡았고, 추세라인은 화면에 보시는것처럼 T.1 , T.2 구간을 연결한 라인입니다
(빗각이 유효하려면 빗각라인을 그렸을 경우 2구간이상의 지지및 저항흐름 보여야합니다)
축(빗각)을 기반으로 기울기가 상승 국면인 상태에서는 T.1,T.2 사이 저점라인을 기준으로 평행 채널을 그려줍니다
이후 만들어진 채널라인을 통해 현재 리플의 추세밴드를 설정 하면 기초틀은 완성입니다
현시점 리플은 축(빗각)을 기반으로 윗가격대에 있는가 반대로아래각격대에 있는가로 현재 매수 유리 또는 매도유리 관점을 볼 수 있으며, 현시점 축라인 위로 상승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승 흐름이 유지되더라도 채널의 중심선라인을 돌파하지못해 상승제한의 흐름을 볼 수 있고 현재 시나리오에서는 2가지 관점을 볼 수 있습니다
현 시점 구간에서는 돌파 또는 이탈이 발생하지않을경우 채널 중심 그리고 채널 하단에서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
채널 중심 돌파 또는 현재 채널 하단 돌파에 대한 흐름이 나와주어야 추세 단기성 추세흐름을 보일것으로 예상됩니다
채널 하단 이탈시 반등 구간은 2구간으로
1. 2.9420
2. 2.8840
채널 하단 가격은 현재 2.9960 즉 , 이구간가격이 이탈할경우 밑구간 매수를 볼 수 있는 주요 타점입니다
특히 2.9420은 중심축 그리고 전 가격 매물이 받쳐지는곳이라 히트존이라 부를 만한 매수존입니다
상승에대한 관점은 사실상 돌파 관점이 필요한데 주요 저항대와 돌파점은 각각 가격으로 본다면
1. 3.0670
2. 3.0940
이중 3.0670의 경우 돌파자리 (이구간을 시원하게 밀어줘야 차트적 관점으로 추세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금일 데이트레이딩 관점에서는 3.0670 ~3.0720 구간이 주요 저항 밴드입니다
단기성 매수구간은 전일만 하더라도 3.0080 ~ 3.0120 이였지만 지금은 가격매물이 워낙 이탈되고 돌파되는 경우가 많아 단순 변곡점으로 보시길바라겠습니다
하락이 유리하며
주요 저항가라인 체크 , 이탈시 밑구간 지지라인 대응이 유리합니다
P.S 18일 새벽 9월 FOMC가 있기때문에 제가 분석한 리플의 기술적 관점은 금일 PM 23:30분까지만 유효하다는점 확인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알트코인 현물 ETF 확장…제도권 자금 유입의 새 물줄기 열린다비트코인·알트코인 현물 ETF 확장…제도권 자금 유입의 새 물줄기 열린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가상자산 시장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꿀 중요한 변곡점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바로 현물 ETF의 확장과 그에 따른 글로벌 자본 유입 가속화입니다. 단순히 가격 등락을 넘어, 시장의 체질과 자금 흐름 구조가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변화는 각별히 주목할 만합니다.
먼저 규제 환경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9월 18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는 나스닥과 Cboe, 뉴욕증권거래소 아르카에 대해 ‘제네릭 상장기준(Generic Listing Standards)’ 을 승인했습니다. 이는 곧, 일정 요건을 충족한 디지털자산 현물 ETF라면 개별 안건 심사 없이도 신속하게 상장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복잡하고 지연되던 상장 절차가 사실상 단축되면서,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의 제도권 문턱이 획기적으로 낮아졌습니다. 이 결정은 가상자산 ETF 시장을 비트코인·이더리움 중심에서 알트코인 전반으로 확장시키는 제도적 출발점으로 평가됩니다.
이와 동시에 실제 상품 상장이 이어졌습니다. 같은 날, 미국 Cboe 거래소에는 리플(XRP) 현물 ETF ‘XRPR’과 도지코인 현물 ETF ‘DOJE’ 가 나란히 상장되었습니다. 상장 첫날부터 수백만 달러의 거래가 몰리며, 기관과 개인 투자자들의 수요가 얼마나 즉각적으로 반영되는지 보여줬습니다. 더 이상 알트코인은 “투기적 자산”의 영역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ETF라는 제도권 투자 통로를 통해 공식적으로 자금이 흘러들어오는 구조가 마련된 겁니다.
여기에 그레이스케일의 ‘디지털 라지캡(GLDC)’ ETF 승인 소식까지 겹쳤습니다. 이 상품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물론,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를 함께 담아내는 미국 최초의 멀티 크립토 ETF입니다. 이는 단일 코인에 대한 리스크를 낮추고, 여러 코인을 한꺼번에 편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금이나 기관 자금이 투자하기에 훨씬 매력적인 구조입니다. 다시 말해, 이제 가상자산은 단순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아니라, 다자산 포트폴리오 형태로 제도권 금융에 편입되고 있는 것입니다.
거시경제 환경 역시 이 흐름을 뒷받침합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3만1천 건으로 예상치를 밑돌며 고용 둔화가 완만하게 유지됐습니다. 동시에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는 23.2로 큰 폭 반등해 경기 확장 신호를 보냈습니다. 물론 미국 경기선행지수(LEI)가 –0.5% 로 하락하며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시장은 이를 오히려 연내 추가 금리 인하 기대로 해석했습니다. 결국 이러한 기대감이 증시와 가상자산 모두에 유동성을 불어넣고 있는 것입니다.
온체인 지표를 보겠습니다. 비트코인 비용 분포(URPD) 자료에 따르면, 10만8천에서 11만6천 달러 구간에 매물대가 집중돼 있습니다. 현재 이 구간이 지지선으로 전환된다면, 저항이 희소한 상단 영역으로 빠르게 치고 올라갈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니라, ETF 자금 유입과 결합된 중기 상승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직 모든 지표가 강세 전환을 보인 것은 아니지만, 시장이 과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금 유입의 길이 넓어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중기 전망을 뒷받침합니다.
알트코인 내부에서도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BNB가 사상 최초로 1,000달러를 돌파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펌핑 장세가 아니라, 펀더멘털이 뒷받침되는 자산에 자금이 집중되는 합리적 흐름을 보여줍니다. 또한, 브라질 최대 디지털은행 누뱅크가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도입하고 토큰화된 금 기반 대출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은, 가상자산이 신흥국 금융권의 제도권 서비스로 흡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지금 가상자산 시장은 규제 인프라 개편, 상품 다변화, 글로벌 자금 유입, 그리고 거시 환경의 완화적 시그널이 동시에 맞물린 국면에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ETF 자금 흐름이 주춤하거나 규제 세부 지연이 발생할 수 있지만, 큰 그림에서 보면 시장은 이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넘어, 알트코인 ETF라는 새로운 수로로 자본이 흘러들어오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사이클은 단순한 가격 반등이 아니라, 가상자산 시장의 체질 자체가 제도권 친화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시장은 이제 더 이상 변방의 실험장이 아닙니다. 제도권 자금이 공식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시대, 바로 ‘알트코인 ETF 시대’ 가 막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거대한 변화가 향후 어떤 자본의 흐름을 만들어낼지, 주목할 시점입니다.
XRP ETF, 드디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왔다🔥 “XRP ETF, 드디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왔다”
1️⃣ 리플 CEO 갈링하우스가 확실하게 못 박았어 — “XRP 현물 ETF 승인은 시간문제다” ⏳ 이미 비트와이즈, 프랭클린 템플턴, 카나리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신청서 내놓고 줄줄이 대기 중. 단순 루머가 아니라 현실 시나리오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
2️⃣ 시장 분위기도 이미 폭발 직전 🚀 폴리마켓에서는 승인 확률이 무려 96%,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에릭 발추나스도 95% 라고 찍었어. 사실상 ‘시간차 공격’만 남은 확정 분위기라 보면 된다.
3️⃣ 들어올 돈줄 규모가 장난이 아냐 💵 크립토퀀트는 XRP 유통량의 1~4%만 ETF로 빨려 들어가도 최소 18억 달러, 많게는 72억 달러가 유입된다고 분석. 크립토닷컴 CEO는 더 나가서 “2026년까지 40억~80억 달러까지 가능하다”고 전망했어.
4️⃣ 이더리움 ETF랑 비교해도 속도가 미쳤다 ⚡ ETH ETF는 비슷한 자금 끌어들이는 데 1년 넘게 걸렸는데, XRP는 ETF만 나오면 몇 달 안에 같은 레벨을 찍을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선.
5️⃣ 가격 구간도 이미 계산 끝 📈 지금 XRP는 약 3.0달러. 첫 번째 관문은 연중 고점 3.67달러 돌파. 이걸 넘으면 곧바로 심리적 마지노선 5달러, 이후 8달러 상단까지 바라본다는 뷰가 지배적. 단순히 꿈이 아니라 숫자로 근거가 잡혀 있다는 게 포인트.
6️⃣ 파생상품에서도 신호가 뚜렷해🔥 CME XRP 선물 미결제약정이 이미 10억 달러 돌파했고, 프로셰어즈 UXRP 같은 레버리지 ETF도 성장세 급가속 중. 기관들이 단순 ‘관심’이 아니라 실제 돈을 태우고 있다는 증거.
7️⃣ XRPL 생태계도 확장 가속 🌐 리플이 발행한 RLUSD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7억 2,900만 달러, 한 달 새 토큰화된 실물자산만 3억 달러 근접. 단순 가격 투기 말고, 결제·토큰화 시장에서 실사용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게 진짜 무섭지.
8️⃣ 글로벌 기관들의 참여도 빵빵하다 🌍 일본 SBI홀딩스, 트라이던트, 웹어스 등이 직접 XRP 보유량을 공개했고, 프라임 브로커 히든로드는 “XRPL을 통한 하루 거래량이 100억 달러를 넘는다”고 발표. 이건 그냥 ‘코인판’이 아니라, 메이저 금융 인프라로 편입되는 과정이라는 뜻.
9️⃣ 단기 분수령은 뚜렷해 🎯 3.67달러 뚫으면 시장 분위기는 바로 달라지고, 심리적 저항선 5달러까지 열릴 수 있음. 하지만 2.57달러 지지선 무너지면 단기 강세 시나리오는 무효화 — 변곡점이 확실히 설정돼 있는 상태.
🔟 결국 정리하면 👉 ETF 승인 기대감 + 기관 자금 유입 + XRPL 실사용 확대 이 3박자가 맞물리면서, 2025년 4분기는 XRP가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분기가 될 확률이 99%. “이제는 대세를 거스를 수 없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XRP ETF, 진짜 판을 흔드는 폭탄인가… 순수 현물이 아니라 더 위험한 베팅이다🚨 “XRP ETF, 진짜 판을 흔드는 폭탄인가… 순수 현물이 아니라 더 위험한 베팅이다”
XRP ETF 드디어 나온다, 근데 이거 진짜 순수 현물 ETF 아니야. 구조가 꼬여있고, 오히려 더 큰 변동성을 만들 수 있다는 게 포인트야. 시장은 이미 22~50달러 시나리오를 입에 올리고 있고, 9월 18일이 역사적 분기점 될 수도 있다. (이어서 계속👇)
1️⃣ 📈 9월 18일, REX-Osprey XRP ETF(XRPR) 상장
미국 Cboe BZX에 등록되고 관리보수는 0.75%. 겉보기엔 평범하지만, 이건 1940법 기반 ETF라서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와는 법적 구조가 완전히 달라.
2️⃣ 🔀 “순수 현물”이 아닌 이유
현물 XRP만 100% 담는 게 아니고, 최소 40%는 다른 해외 XRP 현물 ETF/ETP 지분을 끌어와야 해. 유럽·캐나다 상장 상품들이 대표적. 그러니까 “XRP ETF”라기보다 “ETF of ETF” 성격이 강한 거지.
3️⃣ 💸 추적오차(Tracking Error) 리스크
단순 현물 보유가 아니라 중간에 다른 ETF를 껴 넣으니 수수료+거래비용이 겹쳐. 결과적으로 XRP 가격을 1:1로 따라가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초기 거래일에는 괴리율이 확 벌어질 수도 있어.
4️⃣ 🏦 SEC 우회전략
왜 이런 구조로 갔냐? 바로 SEC 심사를 빨리 통과하려고. BTC/ETH ETF처럼 19b-4 승인 절차를 안 밟고, 40 Act 기반 “우회 루트”를 탄 거야. 일종의 지름길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선 더 복잡해졌지.
5️⃣ 📊 기관 자금 유입 시나리오
ETF 상장 자체가 기관들에게 정당한 투자 통로를 열어주는 건 맞아. 과거 BTC 현물 ETF 첫 달만 100억 달러 이상 유입된 전례를 보면, XRP도 최소 수십억 달러 단위 자금이 빠르게 들어올 가능성이 있어.
6️⃣ ⏳ SEC의 다른 현물 ETF 지연
Franklin Templeton XRP ETF는 최종 승인 기한이 11월 14일로 밀렸어. 다른 신청들도 10~11월이 데드라인. 즉, 9월 18일 XRPR은 “첫 상장”이란 타이틀을 먹지만, 진짜 순수 현물 ETF들은 아직 대기 중이야.
7️⃣ 💥 가격 전망 22~50달러?
케니 응웬 같은 평론가는 “현물 ETF 첫 거래 시작 시 XRP는 최소 22달러, 최대 50달러까지 가능”이라 주장했어. 근거는 두 가지: 공급 제한(유동성 부족) + 기관 대규모 자금 유입.
8️⃣ 📉 리스크: 이중 비용 구조
XRPR은 다른 ETF를 편입하니까 ‘Acquired Fund Fees’라는 추가 비용이 붙어. 즉, 단순 보수 0.75% 외에 간접비용까지 투자자가 다 떠안아야 돼. 장기 보유에는 독이 될 수 있지.
9️⃣ 🌍 해외 ETP 연계 리스크
편입되는 유럽/캐나다 XRP ETP는 규제·세제·환율 리스크가 존재해. 시차 문제도 있어서 미국장 기준으로는 괴리가 더 크게 벌어질 수 있어. 결국 글로벌 리스크까지 미국 투자자가 흡수하게 되는 구조.
🔟 🚀 투자자 심리의 폭발 시점
9월 18일 출시 → 11월 중순 SEC 순수 현물 ETF 승인 여부 발표. 이 2개월은 XRP 역사에서 가장 변동성이 큰 기간이 될 수 있어. ETF가 단순 투자 상품이 아니라, **XRP 가격의 “레버리지 이벤트”**로 작용할 거라는 거지.
👉 요약하면, 이번 XRPR은 “순수 현물 ETF”가 아니고 복합 구조 ETF야. 하지만 기관 자금 유입 기대감 때문에 시장 심리를 자극하는 건 확실하지. 결국 투자자는 괴리율·비용 구조·SEC 최종 승인까지 3가지를 계속 체크해야 돼.
은행이 직접 문 열었다—BBVA×리플, 이제부터 진짜 게임 시작🚨 “은행이 직접 문 열었다—BBVA×리플, 이제부터 진짜 게임 시작”
야 이번 뉴스 꽤 충격적이지 않아? 다들 “XRP 결제 도입했나?” 궁금했을 텐데, 사실 핵심은 수탁(custody) 이야. 근데 진짜 중요한 건 스페인 리테일 고객 전부 가 이제 은행 앱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사고 보관할 수 있다는 거지. 그리고 그 뒤를 받치는 게 바로 리플 커스터디(옛 Metaco 기술) 야. (이어서 계속👇)
1️⃣ BBVA 스펙부터 📊
총자산 7,770억 유로 , 25개국 넘게 사업 중. 스페인에서 리테일 고객 누구나 앱에서 BTC·ETH 거래·수탁 가능해졌고, 뒷단은 전부 리플 커스터디가 담당해. 이건 거래소 거치지 않고 은행이 직접 디지털 자산 채널을 연 거라는 뜻이야.
2️⃣ 왜 수탁부터냐 🔐
결제는 규제·회계 문제 복잡해서 바로 못 들어가. 반면 수탁은 규제 맞추고 보안만 확보하면 바로 가능하거든. Metaco 때부터 은행 IT에 붙이기 쉬웠고, 그게 이번 리플 커스터디 통합으로 이어진 거지.
3️⃣ MiCA가 등 떠민다 🗓️
EU 암호자산 규제 MiCA에서 2024년 12월 30일 CASP 규정 발효, 은행들한테 최대 18개월 유예 줬거든. BBVA는 아예 선빵으로 2025년 7월에 서비스 전면 오픈했고, 9월에 리플 커스터디랑 제휴까지 박아버린 거야.
4️⃣ XRP 직접 결제? 아직 아냐 🧭
이번 발표에선 XRP 결제/브리지 는 언급 안 됐어. 근데 리플 스택 자체가 XRPL·XRP랑 붙어 있어서, 나중에 자산군 늘릴 때 XRP 붙이는 건 시간문제일 수 있어.
5️⃣ 은행 앱 내재화의 힘 🏦
예전엔 거래소 쓰던 고객들이 이제 은행 앱에서 바로 보관·거래 하니까 신뢰도는 확 달라져. 보험, KYC, 보고 체계까지 은행 레일 위에 얹히는 거니까, 신규 유입이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밖에.
6️⃣ 수탁=유동성 씨앗 💧
일단 보관이 쌓이면 담보·대출·증권형 토큰(STO) 같은 다음 단계로 확장돼. 그때 브리지 자산(XRP 등) 이 필요해지면 바로 연결할 수 있지. 결국 지금은 판 깔아두는 단계야.
7️⃣ 레퍼런스 효과 크다 🔗
Metaco가 이미 HSBC, DZ Bank, Clearstream 같은 은행 레퍼런스를 깔아놨어. BBVA까지 성공하면, 다른 유럽 은행들도 “우리도 저거 쓰자” 하면서 따라올 가능성이 커.
8️⃣ 스페인만의 얘기 아냐 🌍
BBVA는 유럽뿐 아니라 라틴에도 강해. 스페인에서 성공하면 터키, 스위스, 멕시코 등으로 모델 확산될 거야. 특히 라틴은 송금 수요가 크니까, 나중에 크로스보더 결제에서 XRP 같은 브리지 활용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지.
9️⃣ 가격? 단기 펌핑은 기대 말고 📈
이번 뉴스가 바로 XRP 가격을 쏘아 올리진 않아. 진짜 중요한 건 (1) 자산군 확대 시 XRP 포함 발표, (2) 결제 모듈 연결, (3) 다른 대형 은행들의 동참 . 이 3가지가 연속으로 터지면 가격 반응은 강하게 올 거야.
🔟 앞으로 체크리스트 ✅
BBVA 앱 자산군에 XRP 추가 여부
리테일→기업 송금 확장 신호
유럽 다른 은행들 Ripple Custody 도입
고객 자산 배분 권고에 XRP 언급 나오는지
MiCA 하위 규정이 결제까지 허용하는지
🔥 결론: 이번 건은 “XRP 결제 도입”은 아니지만, 은행이 직접 리테일 문을 열었다는 점에서 엄청난 의미가 있어. 진짜 불꽃은 XRP가 자산군에 들어가고, 결제 모듈에 붙을 때 터질 거야.
11월 14일, XRP 운명의 D-데이—연기=악재? 난 ‘유동성 타이밍’으로 본다🚨 “11월 14일, XRP 운명의 D-데이—연기=악재? 난 ‘유동성 타이밍’으로 본다”
SEC가 프랭클린 템플턴의 XRP 현물 ETF 최종 결정을 2025-11-14로 밀었지. 시장은 잠깐 흔들리는 척만 했어. 근데 진짜 포인트는 시간표가 명확해졌다는 것이고, 그 사이 자금이 어떻게 포지셔닝되느냐야. (이어서 계속👇)
1️⃣ 2025-11-14 D-데이 확정 🗓️: 이번 연기는 19b-4(거래소 규정변경) 타임라인을 3/19 공표 → 180일 + 60일 연장으로 꽉 채운 셈이고, S-1(3/11 접수, 보관기관 Coinbase Custody) 는 별도 트랙이라 둘 다 ‘효력’이어야 상장 가능해.
2️⃣ 멀티 라인업 병렬 진행 📦: 프랭클린 외에도 21Shares, WisdomTree 등 동시 다발. 내가 보기에 최소 3~5건은 가시권, 업계에선 “최대 11건” 까지 언급돼. 포인트는 ‘동시 승인 패키지’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거.
3️⃣ 가격은 $3 부근에서 버팀 📉→📈: 헤드라인 나와도 일중 $3 재돌파/근접 수준에 그쳤지. 이 말은 이미 “연기=악재” 디스카운트가 소진됐고, 데드라인 이벤트 민감도가 더 커졌다는 뜻이야.
4️⃣ 확률은 숫자로 말함 🎯: 예측시장에선 연말(’25) 승인 확률 90%대, ETF 애널리스트 쪽에서 95% 시나리오도 돌아. 확률이 보장은 아니지만, 기관 포지셔닝의 속도와 방향은 바꿔놓지.
5️⃣ 유입 베이스라인 내 계산 💧: BTC 현물 ETF 첫 달 순유입 $10~20B 사례 감안하면, XRP는 초기 $3~8B가 합리, 낙관 상단은 $10B+. 관건은 브로커/RIAs 실제 편입 루트와 커스터디/감시협정 조건이야.
6️⃣ “1조 달러”는 즉시 유입이 아냐 🏦: 난 그 숫자를 TAM(총주소가능시장)·누적 파급으로 해석해. 브리지 통화로 채택되면 프리펀딩(노스트로/보스트로) 줄여서 처리비용 최대 -60% 내러티브가 현실화될 여지가 있어.
7️⃣ SWIFT 변수는 ‘점유율’ 가정으로 보자 🌐: SWIFT 연간 결제액 $155T. “14% 점유” 낙관론도 보이지만, 난 보수적으로 5%만 먹어도 연간 $7.8T 처리액. 이 정도면 네트워크 효과로 프리미엄 부여 가능.
8️⃣ 타임라인은 10월 말→11월 중순 ‘연속 이벤트’ ⏱️: 일부 안건 10/30 전후 체크포인트 → 11/14 FT 최종. 개별 분절 승인도 가능하지만, 동시 발표 시 거래대금 급증 시나리오가 열려.
9️⃣ 리스크 3종 세트 ⚠️: (a) 19b-4 OK / S-1 지연로 상장 딜레이, (b) 커스터디·시장감시 요건 추가로 운용사 수정, (c) 거버넌스 논쟁(SWIFT의 ‘중립성’ 강조)으로 기관 온보딩 속도 둔화.
🔟 가격 민감도는 ‘헤드라인→팩트’로 이동 📡: 연기 뉴스엔 둔감, 최종 명령·효력발생·티커 상장일 같은 팩트 이벤트에 탄력도 집중될 거야. 일봉 기준 베팅 확률(예측시장) ↔ 가격 상관도 체크.
1️⃣1️⃣ 트레이드 프레임 2단계 🚀: (1) 11/14 전 재배치 구간—루머/리포지션 중심 베타 장세, (2) 승인 직후 유동성 체인징—스프레드 축소·프리미엄 정상화 구간에서 알파 노려볼 만.
1️⃣2️⃣ 체크리스트는 디테일이 전부 🧾: 문서번호/다음 마일스톤, 보관기관 변경 여부(Coinbase Custody 유지?), 시장감시 파트너 업데이트, S-1 리스크 공시 문구 변화, 예측시장 프리미엄을 캔들 옆에 붙여서 보는 습관이 승률 올린다.
1️⃣3️⃣ 내 결론 🎬: 이번 연기는 타이밍의 선물이야. 난 “연기=악재” 서사를 지우고, “시간표 확정=유동성 설계” 로 본다. 데드라인 근접→결정→상장 3박자에 맞춰 현금·현물·파생 베타 믹스를 나눠 놓는 게, 이번 사이클에서 가장 깔끔한 플랜이라고 본다.
XRP 코인 종말인가? 모두 거짓말 이었는가?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XRP LONG+2475%⬆️
😇현물 포함 분석
XRP 코인 종말인가? 모두 거짓말 이었는가?
업비트 기준 +8% ⬆️
해외거래소 기준 +200% ⬆️
비트코인 관련된 인사들이 XRP는 결제에 실패하고 폭락이 올 것이라고 보고있는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사설 체인 구축은 비싸고 어렵기 때문에 네트워크 효과가 핵심이기 때문에 XRP는 최저수수료와 빠른 결제시스템, ODL 등으로 실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XRP는 단일 결제가 아닌 다중 결제레일을 잇고 있는 중립적 브리지 자산이기 때문에 가격적으로는 충분히 5달러 이상은 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락폭을 준 뒤 상승폭이 나올것으로 봤지만,하락추세선을 돌파해주면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은 POC 2.9 - 3달러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있지만 해당가격만 뚫고 안착해준다면 긍정적인 흐름을 예상
XRP, 비트코인 수익률 300% 제꼈다: 이번 판은 알트 시즌 시작 신호냐, 또 한 번의 페이크아웃이냐🚨 “XRP, 비트코인 수익률 300% 제꼈다: 이번 판은 알트 시즌 시작 신호냐, 또 한 번의 페이크아웃이냐”
솔직히 지금 장, 재밌는 포인트가 딱 세 개야.
첫째, 트럼프 재선 이후 XRP/BTC 수익률이 300% 를 찍었다는 점.
둘째, 미국 고용 -91만 명 재추계로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터졌다.
셋째, DOGE ETF 상장(이번 주) + XRP ETF 심사 중이라는 ETF 테마.
(이어서계속) 🔥 요 세 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진짜 “알트시즌 개막”이고, 하나라도 삐끗하면 그냥 다시 눌릴 수 있다.
이어서 계속👇
1️⃣ 300% 수익률 차이
트럼프 재선(2024년 11월) 이후 XRP가 비트코인 대비 무려 3배 강세를 보였어. 그냥 단순 가격이 아니라 “상대강도” 트렌드가 바뀌었다는 얘기야. 최근 90일 기준 알트코인 중 75%가 BTC보다 수익률이 높아야 ‘알트시즌’이라 부르는데, 지금은 딱 그 문턱에서 왔다 갔다 중이지.
2️⃣ 차트 핵심 레벨
주봉 차트 기준으로 넥라인 3,145를 뚫어야 해. 여기서 뚫으면 1차 목표 5,700까지 열리고, 만약 2019년부터 막혔던 2,440~3,570 박스권을 아예 넘겨버리면 9,000 도 그림에 들어온다. 하지만 여기서 막히면? 또다시 “찐박스”다.
3️⃣ 골든크로스 등장
지난 8월에 50주 EMA가 200주 EMA를 상향 돌파하는 골든크로스가 나왔어. 이건 장기 모멘텀 신호라서 긍정적인데, 문제는 금리·ETF 뉴스 같은 외부 변수에 쉽게 휘둘릴 수 있다는 점이지.
4️⃣ DOGE ETF 효과
이번 주 목요일, 미국 첫 DOGE ETF(티커 $DOJE) 가 상장돼. 다만 이건 ’40 Act 구조라서 우리가 익숙한 비트·이더 현물 ETF(’33 Act)랑은 달라. 그래도 “ETF라는 헤드라인” 자체가 자금 흐름을 자극할 수 있는 건 사실이야.
5️⃣ XRP ETF 대기
미국에서 ProShares UXRP(2배 레버리지) 는 이미 7월에 상장됐고, 진짜 관심은 스팟 XRP ETF야. 지금 심사 중이고 가을쯤 결론 날 거란 얘기가 많지만 아직 확정은 전혀 없어. 괜히 ‘승인 임박’이라는 말에 오해하면 안 된다.
6️⃣ 리플-SEC 소송 완화
SEC가 항소를 철회하고 합의금 규모도 줄어들면서, 최소한 “XRP는 증권 아니다”라는 흐름이 굳어졌어. 이게 기관 입장에서는 ‘리스크 프리미엄’이 낮아진다는 얘기라 심리에 크게 작용한다는 거지.
7️⃣ 비트코인 도미넌스 하락
BTC 점유율이 65% → 59% → 57% 까지 내려왔어. 이건 자금이 알트로 흐르고 있다는 신호야. 다만 여기서 BTC가 반등하면 도미넌스가 다시 회복될 수 있으니까 그 변곡점은 계속 봐야 돼.
8️⃣ 매크로 빅 이벤트
미국 고용이 -91만 명이나 과대계상됐다는 충격 발표 이후, 시장은 9월 FOMC에서 최소 25bp 인하, 많으면 50bp까지 보고 있어. 만약 예상보다 더 세게 내리면 알트에 불붙고, 반대로 동결하거나 매파 발언 나오면 레버리지 포지션부터 깨질 거야.
9️⃣ 현물 가격 흐름
지금 XRP는 $2.95 부근에서, 하루 고점이 $3.03, 저점이 $2.94로 딱 박스권이야. 이게 보통 큰 돌파 전에 나오는 패턴이기도 하지. 3,145 위에서 거래량 터지면 그땐 신뢰 구간으로 본다.
👉 결론적으로, 지금 그림은 “레벨은 3,145, 이벤트는 9월 FOMC, 심리는 DOGE ETF” 이 세 가지가 맞아떨어지면 5,700 는 충분히 가능하고, 잘하면 9,000까지도 그림에 들어온다. 근데 하나라도 어긋나면 그냥 “페이크아웃 후 다시 박스권”이다. 그래서 나는 돌파 확인 전 추격은 안 하고, 확인 후 가속 구간에서만 베팅하는 게 맞다고 본다.
XRP 현물 ETF 드디어 상장, 유동성 스위치가 켜졌다🚨 XRP 현물 ETF 드디어 상장, 유동성 스위치가 켜졌다
솔직히 비트·이더만의 무대는 이제 끝났어. 9월 18일 XRPR이 정식 상장되면서 시장 판도가 확 바뀌었고, 규제·파생·스테이블·RWA까지 줄줄이 얽혀 돌아가는 중이야. 지금 가격은 3.07달러 선에서 왔다갔다 하지만, 유동성 경로는 예전이랑 급이 달라졌다는 게 핵심이지.
이어서 계속👇
1️⃣ XRPR 첫날 거래량이 최소 2,400만 달러에서 최대 3,770만 달러까지 찍혔어. 도지 ETF랑 합치면 5,400만 달러 수준이고, 생각보다 초기 체결 속도랑 유동성이 빨리 안정된 게 포인트야.
2️⃣ 규제 측면에서 빅체인지. SEC가 19b-4 심사 절차를 줄이고 ‘일반 상장 기준’을 통과시켰어. 덕분에 알트 ETF들이 기존 240일 심사에서 최단 75일로 줄어드는 셈. 속도·비용 구조 자체가 달라진 거야.
3️⃣ 유입될 돈을 숫자로 찍어보면, CryptoQuant는 유통량의 1~4%면 18억~72억 달러, 크립토닷컴 CEO는 최대 80억 달러까지도 본다고 했어. 참고로 ETH ETF가 1년 동안 87억 달러 유입됐으니 비교 대상은 딱 ETH야.
4️⃣ CME XRP 선물 미결제약정이 10억 달러를 이미 뚫었고, 10월 13일 옵션 상장도 예정돼 있어. 여기에 ProShares UXRP(2배 레버리지 ETF)도 7월부터 돌고 있으니 현물-선물-레버리지 3종 풀세트가 갖춰진 셈.
5️⃣ 스테이블코인 RLUSD 시총은 7억~8억 달러 사이, XRPL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RWA)는 3억5천만 달러 수준까지 올라왔어. 실제 결제·담보·토큰화 루프가 돌아가고 있다는 거지.
6️⃣ 히든로드 인수 건도 크지. 연간 결제 규모가 3조 달러, 하루로 치면 약 100억 달러짜리 레일이 XRPL에 붙는다는 건데, 이걸 “XRP 일일 거래량”으로 오해하면 안 돼. 핵심은 기관 유입 장벽이 낮아진 거야.
7️⃣ 기업 트레저리 수요도 다양해지고 있어. VivoPower가 1억 달러, Webus가 최대 1억 달러 라인, Trident가 최대 5억 달러 계획, SBI는 RLUSD 유통 MOU까지. 이제 기업들이 XRP를 ‘재무 전략 자산’으로 본다는 게 중요한 신호야.
8️⃣ 가격 차트로 보면 현재 3.07달러, 200일선 2.57 위에 안정 중. 단기 목표는 올해 고점 3.67달러(약 21% 업사이드), 여기 넘으면 심리적 레벨 5달러까지 열릴 수 있어. 반대로 2.57 깨지면 ETF 모멘텀 랠리 스토리가 깨질 수 있고.
9️⃣ ETF 구조도 다 똑같지 않아. XRPR도 현물 보유 비율이랑 선물·스왑 활용 여부, 커스터디, 보수 체계가 다 달라. 단순히 “현물 ETF”라는 꼬리표만 보고 들어가면 추적오차·세금 이슈에서 차이 확실히 나.
🔟 4분기 캘린더가 빡세. 10/13 CME 옵션 상장, 11월 프랭클린 안건 최종 데드라인, RLUSD×토큰화 MMF 파일럿까지 겹쳐 있어. 뉴스→실거래→파생 유동성이 한 번에 맞물리는 타이밍이 연말에 온다는 얘기지.
🔥 정리하면, 이번 4분기 XRP는 그냥 “ETF 테마”가 아니라 “실제 유동성+기관 머니+파생 인프라”가 동시에 붙는 국면이야. 방향은 내러티브가 정하지만, 성과는 ETF 구조랑 메커닉스가 판가름낸다. 이걸 동시에 챙기면, 변동성은 오히려 기회가 될 거야.
XRP 현물 ETF 첫 상장 + 10월 옵션 대기… 유동성 스위치가 ‘딸깍’ 하는 순간🔥 “XRP 현물 ETF 첫 상장 + 10월 옵션 대기… 유동성 스위치가 ‘딸깍’ 하는 순간”
시장 판이 바뀌는 타이밍엔 늘 ‘두 줄짜리 뉴스’가 깃발이더라. 오늘은 그 깃발이 딱 두 개다: XRP 현물 ETF 상장, 그리고 CME 옵션 예고.
단기 수급은 요동쳐도, 구조적 공급·수요는 이미 기울었다. 숫자 몇 개만 보면 답 나온다.
이어서 계속👇 (이어서계속)
1️⃣ XRP 현물 ETF, 오늘 뉴욕 상장 시작🚀
티커는 XRPR. 첫날 포인트는 호가스프레드, 생성·환매 속도, MMer 라인업 3가지다. 스프레드가 0.30% 안팎으로 빠르게 좁혀지면 기관 참여 온도 높은 거고, 거래대금이 5억~10억 달러대로 붙으면 주도 섹터가 단기 교체된다. 초반 괴리율±1% 이내면 매우 건전.
2️⃣ 파생 트리거는 10/13 옵션🧨
CME의 XRP·SOL 옵션 론칭(규제 컨펌 전제)은 현물-선물-옵션의 ‘3단 기어’를 완성한다. 옵션 마켓이 생기는 순간, 변동성(V)과 방향(Δ)뿐 아니라 감마(Γ) 수급이 붙는다. 초기엔 델타원 추종 + 커버드콜/리스크리버설이 호가를 눌렀다 튀기는 패턴을 만든다.
3️⃣ 비트코인 ‘비유동화’ 곡선이 XRP에도 레버리지📈
피델리티 추정대로 2032년에 비트코인 유통량의 42%가 사실상 잠길 수 있다면(장기 보유·기업 보유 누적), 크립토 전체 베타는 ‘공급 경색’ 프리미엄을 받는다. 알트의 알파가 붙는 타이밍은 보통 ETF/옵션/온보딩 뉴스가 겹칠 때다. 오늘이 그 1막.
4️⃣ 단기 노이즈: 고래 매도 vs 구조적 매수⚖️
최근 30일 BTC 고래 순매도 약 127억 달러 추정, XRP도 2주 새 약 1.6억 개 매도 흔적. 그런데 기관 사이드는 장기 현금흐름으로 들어온다. 오늘 XRPR로 들어오는 돈은 ‘튕기는 돈’이 아니라 커스디·리밸런싱 자금일 확률이 높다. 그래서 급락은 기회가 된다.
5️⃣ 마이크로스트래티지(현 Strategy) 숫자, 공급 스퀴즈의 교과서💼
추가 525 BTC 매수로 총 638,985 BTC. 단순히 “더 산다”가 아니라, 유통 가능한 코인을 구조적으로 흡수해 ‘수급 탄성’을 무너뜨리는 전략이다. 이 논리가 ETF에도 그대로 복제된다. 장기 매집자는 가격이 아닌 수량을 산다. 트렌드는 수량 우선.
6️⃣ 거시 변수: 금리 인하 사이클이 리스크온 스위치🔀
이번 컷이 25bp든 50bp든 핵심은 ‘경로’다. 실질금리 피크아웃 + 달러 강도 둔화 구간에선 하이베타 자산이 먼저 반응한다. 지난 사이클 데이터상 첫 인하 이후 3~6개월 내 크립토 총시총 베타가 주식 베타를 앞서기 시작했다. 타임프레임을 4Q로 맞춰라.
7️⃣ “리플 vs 스위프트”는 구호가 아니라 TTV·수수료의 문제⛓️
국경 간 결제에서 T+일 → T+분·초로 줄이는 순간, 운전자본 회전이 달라진다. 실무는 냉정하다: 전송 성공률, 실패 재시도 비용, 레거시 연결성. XRP가 이 중 2개에서 확실히 시간을 깎아준다. 점유율 14% 같은 숫자보다, 파일럿→리커링 볼륨 전환율이 핵심.
8️⃣ 10월 캘린더: 이벤트 압축 구간⏱️
현물 ETF 상장 잔향(1~2주), CME 옵션 상장(10/13), 다른 알트 ETF 심사 슬록이 10/18~10/25에 겹친다. 캘린더 리스크가 ‘변동성의 친구’로 바뀌는 구간. 전략은 간단하다: 이벤트 전 분할, 발표 직전 헤지(풋 또는 콜스프레드), 결과 따라 델타 재정렬.
9️⃣ 현장 모멘텀: XRP Seoul 2025, 9/21 코엑스, 3,000명 규모🎤
DAT(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RWA, 스테이블코인 토픽은 결국 “기업 재무에 코인을 어떻게 얹느냐”의 문제다. 트레저리 편입·수탁·결제 루프가 실제 케이스로 나오면, 가격보다 ‘채널’이 먼저 오른다. 이번 주는 가격보다 네트워킹이 더 큰 알파일 수도.
🔟 실전 플랜(내 기준)🧭
(1) XRPR 첫 주: 괴리율±1% 벗어나면 대기, 0.5% 이내로 수렴+거래대금 가속 시 스케일 인.
(2) 10/13 전주: OI·IV 체크하며 콜1/풋0.7 비율 리버설로 헤지.
(3) 뉴스 급락: -7~-10% 구간에서 현물 분할(+), IV 급등 시 콜 크레딧스프레드로 프리미엄 수취.
(4) 4Q 뷰: 비유동화·거시 완화·파생 시장 성숙의 3박자. 과열 시그널은 펀드 플로우가 주식형에서 ETP형으로 과도 전이될 때.
XRP ETF 승인, 진짜 10월 불꽃놀이 터질까?🚀 “XRP ETF 승인, 진짜 10월 불꽃놀이 터질까?”
요즘 시장 분위기 장난 아니야. 비트코인 ETF 이후 폭발처럼, XRP도 현물 ETF 승인 얘기 나오니까 커뮤니티에서 벌써 "10월 백만장자 쏟아진다"는 말까지 돌고 있더라. 근데 단순한 기대감이 아니라 숫자들이 꽤나 현실적이야. (이어서 계속👇)
1️⃣ 📈 SEC 승인 데드라인
SEC가 심사 중인 XRP 현물 ETF들, 그레이스케일, 프랭클린 템플턴, 위즈덤트리 포함해서 최종 기한이 10월 18일~25일에 몰려 있어. 이건 그냥 루머가 아니라 실제 공시로 잡힌 일정이야.
2️⃣ ⏱️ 승인 후 속도
비트코인 현물 ETF는 승인 다음 날 바로 거래 개시, 이더리움은 승인 후 S-1 효력 받자마자 상장. XRP도 비슷한 패턴이면 승인 나자마자 24~48시간 내 거래 시작도 충분히 가능해.
3️⃣ 💵 가격 시뮬레이션
지금 XRP가 약 $3.0인데, 만약 ETF 승인으로 $10 간다면 10만 개 들고 있는 사람은 바로 $100만 달러(약 13억 원) 찍는 거야. XRP 리치 리스트 보면 9만5천 개 이상 보유자 단 3만4천여 명밖에 없으니까, 진짜 극소수만 직행 가능.
4️⃣ 📊 CME XRP 선물 OI
CME에 XRP 선물 상장된 지 3개월도 안 됐는데 미결제약정이 10억 달러 돌파했어. 비트코인 다음으로 빠르게 기관 머니가 들어온 거라 ETF 승인 전에 이미 “돈 냄새” 맡은 기관이 꽤 있다는 얘기.
5️⃣ 💡 기관 자금 유입 구조
ETF가 승인되면 리테일보다 중요한 건 연금·자산운용사·보험사 같은 기관 머니야. 이 돈은 들어오면 잘 안 나가, 그러니까 가격이 단순 스파이크가 아니라 장기 트렌드를 바꿀 수 있어.
6️⃣ 🔥 파생상품 확산
ProShares UXRP(2배 레버리지), Teucrium XXRP(2배 롱) 같은 선물 ETF도 이미 상장돼 있어. 여기에 현물 ETF까지 붙으면, XRP는 파생+현물 양쪽에서 제도권 머니가 동시에 빨려 들어가는 구조가 되는 거지.
7️⃣ ⚡ 온체인 시그널
최근 XRP 미결제약정이 27억8천만 XRP(약 84억 달러) 로 사상 최고치 경신. 이건 그냥 단타 수요가 아니라 새로운 포지션이 꾸준히 열리고 있다는 증거라서, 자금 유입이 실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줘.
8️⃣ 🏦 RLUSD 스테이블코인
리플이 발행한 달러 스테이블코인 RLUSD도 BNY 멜론이 수탁하면서 신뢰도 확보했어. 이게 실제 기업 결제나 DeFi에서 쓰이면, XRP 생태계 전반에 결제+수요 동력이 추가되는 거라 ETF와 시너지 날 가능성 큼.
9️⃣ 🏗️ 기업들의 전략적 활용
비보파워 같은 회사는 채굴 토큰을 XRP로 스왑해서 65% 할인 효과 얻었다고 발표했어. 또 리플 비상장 주식 1억 달러 매입 계획까지 내놨고. 기업 차원에서 이렇게 공격적으로 XRP에 베팅하는 건 꽤 큰 흐름이지.
🔟 🎯 가격 타깃 시나리오
커뮤니티에선 연말까지 $10, 일부는 2026년 $30까지 본다고 해. 현실적으로 3배~10배 구간은 기관 유입 규모에 달렸는데, ETF 승인 타이밍이 그 ‘점화 버튼’이 될 수 있어.
👉 결론은, 10월은 진짜 XRP에게 운명의 달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거야. ETF 승인 여부 하나로 수년간의 가격 구조가 뒤집힐 수도 있으니까.
XRP 두 자릿수·세 자릿수? 숫자로 까보니 ‘가능 구간’이 보인다 – BTC 20만·RWA 토큰화·유동성 로테이션🚨 “XRP 두 자릿수·세 자릿수? 숫자로 까보니 ‘가능 구간’이 보인다 – BTC 20만·RWA 토큰화·유동성 로테이션 3박자”
비트코인이 20만 달러에 근접하면, 알트는 ‘따라가느냐’가 아니라 ‘얼마를 더 레버리지로 먹느냐’의 싸움이야.
XRP는 유통량, 실사용 내러티브, 규제 리스크 축소 3요인이 동시에 움직일 때 탄력이 제일 커.
이어서 계속👇
1️⃣ 📈 “BTC 20만 vs XRP 20달러”를 수학으로 보자: XRP 유통량 대략 596억 개 기준, 20달러면 시총 약 1.19조 달러(= 596억×$20)로 전체 크립토 파이가 지금보다 훨씬 커져야 해. 같은 시나리오에서 BTC 20만 달러는 유통 1,992만 개로 약 4.0조 달러 시총이라, 결론은 ‘마켓 전체 유동성 확대’ 없이는 동시충족이 어렵다는 것.
2️⃣ 💥 “세 자릿수(≥$100) XRP”의 상한 체크: 동일 유통량 가정 시 시총 약 5.96조 달러로 단일 자산이 현 시총 전체를 압도하는 덩치야. 이 구간은 초과격(파라볼릭) 유동성 + 규제 명확화 + 대형 채택(결제/브리지/토큰화)이 한 번에 맞물릴 때만 열려. 즉, ‘비트코인 100만 달러’ 같은 최상단 사이클과 세트로 생각하는 게 안전해.
3️⃣ 🧲 도미넌스와 로테이션의 타이밍: 최근 사이클은 BTC 도미넌스가 56~58%대처럼 높을 때 알트가 숨 고르기를 하고, 이후 ‘현금→BTC→메이저 알트→미드캡’ 순으로 돈이 돌았어. 관건은 현물 ETF 자금의 2차 파급이 알트로 번지는 순간이고, 그때 시총 대비 유동성 민감도가 큰 XRP 같은 대형 알트가 탄력을 받지.
4️⃣ 🏦 규제 리스크 축소가 프리미엄: SEC 소송 장기 이슈가 사실상 일단락되면서 ‘세컨더리 유통 리스크’가 낮아졌고, 기관 접근성은 이전 대비 확연히 개선됐어. 이건 가격을 바로 당기는 촉매는 아니지만,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를 줄여 주기 때문에 사이클 상단에서 ‘얼마까지 허용할 것인가’를 밀어 올려.
5️⃣ 🧰 온체인 유틸리티의 구조적 포인트: XRPL은 태생부터 IOU형 토큰과 내장 DEX가 있어 RWA 토큰화·브릿지 결제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핵심은 TPS나 수수료보다 ‘실사용 트래픽(거래 건수·체결액)과 주문서 깊이’가 실제로 늘기 시작하느냐야. 숫자가 따라오면 내러티브가 아니라 펀더멘털 레벨업으로 재평가가 붙는다.
6️⃣ 🏗️ RWA(실물자산 토큰화) 메가트렌드의 현실판: 미국 뉴저지 버겐카운티가 37만 건, 평가액 약 2,400억 달러의 부동산 등기 기록을 온체인으로 올리기 시작한 건 “정부 레벨도 디지털 원장으로 간다”는 신호야. 지금 실결제는 USDC 같은 스테이블이 주류지만, 유통·브릿지·FX 구간에서 ‘비스테이블 유동층’ 수요가 생기면 XRP 같은 브릿지 코인의 틈이 열린다.
7️⃣ 🔄 “결제-토큰화-유동성” 삼각형의 레버리지: 토큰화된 부동산·채권·금융상품이 늘수록, 체결 레일과 브릿지 체인은 네트워크 효과를 가져. 여기서 XRP가 점유율을 확보하려면 두 가지 숫자가 필요해: 월간 활성지갑(MAU) 급증과 체결액(체인 내 결제 총액) 추세적 증가. 이 두 숫자가 꺾이지 않고 2~3분기 누적되면 리프라이싱이 온다.
8️⃣ 🧮 밸류에이션 체크포인트(내 기준표):
베이스: BTC 12만~15만 달러 / 총시총 5~6조 달러 구간 → XRP 합리적 밴드 $3.5~$7.5(유동성·뉴스 민감)
불장 중반: BTC 15만~20만 / 총시총 7~9조 → XRP $8~$15(대형 파트너십/유동성 확장 동반 시 $20 터치)
파라볼릭: BTC 30만+ / 총시총 12조+ → XRP $20 안착 시도, 실사용 데이터 동행이면 $30대도 열림
초과격 상단: BTC 100만 / 총시총 25조+ → XRP 세 자릿수 ‘가능성 구간’ 진입 (현실성은 채택 데이터가 좌우)
9️⃣ 🧭 트레이딩 전술(내 로직): 뉴스보다 오더북·파생 데이터가 먼저야. 현물-무기한 베이시스 스프레드, 펀딩레이트 과열, 김프/역프, CVD(누적 체결량 델타), 그리고 도미넌스 추이를 한 묶음으로 본다. 베이시스가 양(+)이고 도미넌스가 꺾이기 시작하며 XRP 현물 거래대금이 2~3일 연속 시총대비 과잉 증가하면, 난 단계적 매수·손절 6~8%·이익실현 분할로 간다.
🔟 🧠 결론(내 뷰): “두 자릿수 XRP”는 불장 중반에도 조건부로 열릴 수 있고, “세 자릿수”는 ‘마켓 사이즈·규제·채택’ 3박자가 합격점을 받아야만 가능한 상단 밴드야. 그래서 난 구호보다 숫자를 본다—도미넌스 하향, 현물 유입 가속, XRPL 실사용 지표 상승. 이 세 숫자가 동시에 신호를 낼 때, 드라마는 통계로 바뀐다.
REX-Osprey XRP ETF… 진짜 현물? 아니면 또 다른 트릭? 숫자 보면 답 나온다“REX-Osprey XRP ETF… 진짜 현물? 아니면 또 다른 트릭? 숫자 보면 답 나온다”
요즘 시장 뜨겁지? XRP ETF가 나온다는데, 이게 진짜 현물인지 아닌지 논란이 장난 아냐.
SEC 승인 없이 현물 ETF가 가능하다? 🤔 투자자 입장에선 꿈같은 얘기인데, 파고들면 얘기가 달라져.
(이어서 계속👇)
1️⃣ 💥 1940년 투자회사법 기반이라니까… 보통 현물 ETF는 1933년법 루트로 가는데, 이건 1940년법이라서 자동 승인 트릭을 쓴 거야. SEC가 75일 동안 이의 제기 안 하면 바로 통과. 겉보기엔 현물 같지만, 사실상 구조가 완전 달라.
2️⃣ 📊 자회사 구조도 핵심이야. ‘REX-Osprey XRP (Cayman) Subsidiary’라는 케이맨 자회사를 만들어서 XRP 현물을 담을 수 있는데, 최대 25%까지만 허용돼. 100% 현물 ETF랑은 전혀 다른 그림이란 거지.
3️⃣ 🔄 나머지 75%? 그건 파생상품(선물·스왑)이나 다른 암호화폐 ETP까지 섞어 쓸 수 있어. 즉, 네가 산 ETF가 꼭 ‘XRP 현물 1:1’로 가는 게 아니라는 뜻. 추적 오차도 커질 수밖에 없어.
4️⃣ 📉 선물 ETF랑 뭐가 다르냐고? 솔직히 비슷해. 다만 XRP 자회사 비중만큼은 실제 현물을 일부 들고 갈 수 있다는 점이 차별점이지. 그래서 “부분 현물 ETF”라고 불러도 되는데, 이게 진짜 순수 현물 ETF냐? 절대 아니야.
5️⃣ ⏰ 출시 일정도 꼬여 있어. 원래는 9월 12일(금)이라 했는데,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말론 다음 주 9월 18일(수)로 미뤄졌어. 투자자들은 벌써부터 “진짜 나오는 거 맞냐?” 긴가민가 중.
6️⃣ 💸 티커도 확정 아냐. ‘XRPC’라는 얘기가 돌긴 하지만, 아직 거래소·발행사 최종 공시 안 나왔어. DTCC 등록이 있다고 다 된 건 절대 아님. DTCC는 그냥 기술적 준비 단계야.
7️⃣ 🔍 커뮤니티에서는 “최대 80% 현물 들어간다”는 말도 돌았는데, 그건 인플루언서 추정이지 공식 문서엔 없어. 공식 SEC 서류엔 딱 “자회사 25% 한도”라고만 박혀 있어.
8️⃣ 🧮 투자자가 체감할 리스크는 뭐냐? 첫째, 파생상품 롤오버 비용. 둘째, 현금 창·환 구조라서 스프레드 커질 수 있음. 셋째, XRP 가격과 펀드 순자산가치(NAV) 괴리. 이게 진짜 문제야.
9️⃣ 🔮 시장 영향? 그래도 제도권 자금이 XRP에 들어온다는 신호라는 건 부정 못 해. 비트코인 현물 ETF처럼 대규모 자금 유입까진 아니더라도, 심리적 임팩트는 확실히 있어.
🔟 🚀 미래 시나리오? 10월 중순에 Grayscale, Bitwise, 21Shares 등 9개 현물 ETF 신청서 심사 마감이야. 여기서 진짜 1933년법 기반 현물 ETF가 최소 1개 승인되면, XRP ETF는 지금보다 훨씬 강한 제도권 길을 걷게 될 거야.
1️⃣1️⃣ 📈 그래서 내 결론은? “REX-Osprey XRP ETF는 진짜 현물이 아니라 현물 섞은 혼합형 ETF다.” 투자할 땐 ‘현물 ETF’라는 이름에만 혹하지 말고, 구조와 숫자 세부사항을 꼭 봐야 돼.
👉 정리하면, 이 ETF는 현물 느낌은 살짝 내지만, 구조는 절반의 진실. 투자자한테 중요한 건 “내 돈이 진짜 XRP에 얼마나 닿아 있냐”는 거고, 이건 아직 25% 한도에 불과하다는 거야.
XRP, 드디어 ‘유동성 3단 로켓’ 점화: ETF·RLUSD·아프리카가 돈길을 연다🚨 “XRP, 드디어 ‘유동성 3단 로켓’ 점화: ETF·RLUSD·아프리카가 돈길을 연다”
사람들은 아직도 XRP를 ‘스테이블 같은 코인’이라고 놀리지만, 난 숫자를 놓고 보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진다고 본다.
소송은 2025-08에 1.25억 달러 벌금으로 정리, 남은 건 유동성 통로를 얼마나 넓히느냐다.
이어서 계속👇
1️⃣ 📜 규제 리스크는 얇아졌다: 2025-08 최종 정리로 리플 벌금 $125M 납부, 공개시장 거래의 XRP 자체는 증권 아님 취지 유지, 다만 기관판매(계약형 판매) 엔 규제 잔존—즉, “불확실성 프리미엄”은 크게 걷혔고 밸류에이션의 초점이 수요·유입 으로 이동했다.
2️⃣ 🧾 ETF 파이프라인이 실체화: 프랭클린 XRP 현물 ETF 가 Cboe BZX에 19b-4 로 올라 있고(파일 SR-CboeBZX-2025-040 ), 그레이스케일 XRP 트러스트 의 NYSE Arca 전환안도 심사 중—아직 ‘승인’은 아니지만, 절차가 공식화 됐다는 게 핵심이다. ETF는 “내러티브”가 아니라 정기적 현물매수 수요 를 만드는 기계다.
3️⃣ 🇪🇺 유럽은 ‘패스포팅’으로 폭 넓다: 리플은 아일랜드 VASP 등록 으로 EU 내부에서의 합법적 서비스 기반을 확보했고, 포르투갈 Unicâmbio 같은 PSP와 결제 네트워크를 확장 중. MiCAR 체계 하에 한 번 발판을 만들면, 서비스 확장은 행정적으로 한결 빠르게 굴러간다.
4️⃣ 🌍 아프리카는 ‘결제-송금’ 볼륨의 기회의 땅: Onafriq(舊 MFS Africa) , Chipper Cash 등과의 연결로 역외 송금·리테일 결제 로 실사용 트래픽을 키울 조건이 마련됐다. 이 지역은 모바일 머니 인프라가 촘촘하고, 전통 금융의 빈틈이 커서 체감 효용→빠른 채택 이 나오는 구조다.
5️⃣ 💵 RLUSD가 게임 체인저: 리플 달러 스테이블코인 RLUSD 는 XRPL+이더리움 양체인 발행, 유통규모 $700M+ 까지 확대 보도가 이어졌다. 결제·보험·무역금융 담보에서 단기채 유사 수요 를 흡수할 수 있고, 무엇보다 온체인 달러 결제 가 XRPL 파이프를 타게 만든다—이건 XRP 자체의 결제 레이어 네트워크 효과 로 번진다.
6️⃣ 🔥 공급 구조의 ‘수학’: 유통량 ≈ 59B XRP , 누적 소각 ≈ 14.1M XRP (수수료가 워낙 낮아 소각 속도는 완만), 월 1B 에스크로 해제→대부분 재에스크로 가 관례. 즉, 공급은 급격히 줄지 않지만 예측 가능 하고, 수요만 터지면 플로팅 공급 대비 가격 탄력성 이 커진다.
7️⃣ 🧮 가격 상단의 현실 체크: $100 = 약 $5.9T 시총 , $200 = 약 $11.8T (유통량 59B 가정). 이건 애플(약 $3T대)·금 ETF 총합 일부를 합친 급의 거대한 숫자다. 결론? $100 ~ $200은 ‘오늘 당장’의 예측이 아니라 ‘조건부 상한’ 이다—ETF 승인+기관 배분+결제 실사용 볼륨이 동시에 커져야 비로소 접근 가능한 영역.
8️⃣ 🧲 수요 엔진을 수치로 쪼개 본 내 기준: (a) ETF 정규매수 —미국 RIA·브로커딜러 파이프에서 수십억 ~수백억 달러/연 유입 가능, (b) RLUSD 결제 —유통 $1B→ $3B→ $5B 단계로 확대 시 XRPL 수수료·유동성 풀 동시 성장, (c) Cross-border 결제 —아프리카/유럽 페이아웃 국가 수 90+ 레벨에서 월간 처리액 수십억 달러 가 잡히면, “이건 내러티브가 아니라 숫자”가 된다.
9️⃣ 🛣️ 내가 보는 ‘현실적 로드맵’(12~~24개월): ① ETF 승인 (감시공유·커스터디 명확화) → ② RLUSD 유통 $3B+ & 주요 PSP 5곳 이상 상용화 → ③ XRPL 월간 결제액 두 자릿수 억 달러→십억 달러대 안착 → ④ 유럽 패스포팅 국가 5~~7개 실서비스 . 이 4단계가 데이터로 체크 되면, 멀티플 재평가가 온다.
🔟 🎯 가격 시나리오를 숫자로 솔직히: 보수(ETF 지연·RLUSD $1B 미만) $0.6 ~ $1.2 , 기준(ETF 승인·RLUSD $2~~3B) $1.5 ~ $3.0 , 공격(ETF+유럽 패스포팅 확장·아프리카 결제 급증·RLUSD $5~~10B) $5 ~ $10 . $100 ~ $200은 ‘조건 충족형 장기 상단’ 으로 남겨둔다—그게 수학적으로 정직하다.
➕ 한 줄 결론: 내 포지션은 간단하다— 소송 불확실성은 역사 속으로, 이제는 RLUSD·ETF·아프리카/유럽 실사용 데이터가 가격을 끌어올릴 차례 다. 숫자가 쌓이면 내러티브는 따라온다.
블랙록이 스웰에 뜨면 XRP ETF다🚨 “블랙록이 스웰에 뜨면 XRP ETF다?” 이렇게 단순하게 보면 안 돼. 진짜 키는 10월 마감 데드라인이랑 감시·유동성 지표야. 소송은 끝났고(8/7), 선물은 이미 깔렸어(CME·Coinbase). 이제 10월 18·19·23에 숫자가 답한다.
이어서 계속👇
1️⃣🔥 11월 4–5일 뉴욕 스웰 2025: 참석자 600+ / 연사 60+ 규모. 블랙록 Maxwell Stein이 무디스 Rory Callagy랑 “토큰화 자산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션에서 연단에 서. 내러티브 파워는 확실히 붙었지만, 아젠다에 XRP ETF 직접 언급은 없음.
2️⃣🧊 블랙록 공식 입장(8월 보도): “XRP ETF 계획 없다.” 스웰에 연사로 나온다고 바로 ETF 신청이라는 착각은 위험해. 토큰화 논의와 ETF 서류 제출은 전혀 다른 게임이야.
3️⃣🏁 ETF 승인 타임라인 3연전:
— NYSE Arca/Grayscale: 10월 18일
— Cboe BZX(Bitwise·21Shares·Canary·WisdomTree): 10월 19일
— Nasdaq/CoinShares: 10월 23일
이 주간이 진짜 승인/불승인/연장 발표 창구. 시장이 여기서 터질지, 쉬어갈지가 갈린다.
4️⃣⚖️ 법적 불확실성 해소: SEC v. Ripple 소송은 2025-08-07 종결. 벌금 $1억2500만 + 기관 판매 금지 명령. 거래소·리테일 유통은 증권 아님으로 사실상 정리 → ETF 심사에 최대 걸림돌 제거.
5️⃣📈 가격발견·감시 인프라 완비:
— CME XRP 선물: 5월 상장, 공식 레퍼런스 CF XRP-USD RR.
— Coinbase Derivatives XRP 선물: 4월 21일 상장, CFTC 규제.
비트코인·이더 ETF 승인 때처럼 현물–선물 감시공유 프레임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
6️⃣🧾 승인 조건 = 서류 2종 세트:
① 거래소 규정안(19b-4) 승인
② 등록서(S-1) 발효
둘 다 맞아야 실제 거래 시작. 예: Bitwise XRP ETF S-1/A(8/22 제출) → 계속 보완하면서 준비 중.
7️⃣📊 다중 발행사 구조: Bitwise·21Shares·Canary·WisdomTree·Grayscale·CoinShares가 BZX·Arca·Nasdaq에 분산 신청. 단일 리스크가 아니라 포트폴리오 구조라서 승인 확률 체인이 높아져.
8️⃣🧠 SEC 가이던스 업데이트(7/7): 크립토 ETF 공시 지침(커스터디·리스크·유동성 공시 강화). 룰북이 생기면서 심사 예측 가능성↑. 발행사들이 커스터디·보험·시장 데이터 공시를 더 빡세게 준비 중.
9️⃣🧲 블랙록 미참여(현재): 데이원 상징성과 대규모 자금 유입은 줄어들 수 있음. 대신 Bitwise·Grayscale·21Shares 같은 크립토 강자들이 세그먼트별 고객층 유입을 분산해서 충격 완화 가능.
🔟🛰️ SEC 심사 핵심 3포인트:
(1) 감시공유: CME·현물시장 데이터 교차 감시 체계
(2) 유동성: 선물 상장 후 누적 거래일수·스프레드·베이시스 안정성
(3) 커스터디: 보관기관 구조, 보험 한도, 키관리 방식, 분산보관 비율
→ 이 3개가 통과 점수판.
1️⃣1️⃣🧮 가능성 산식(내 뷰):
소송 종결(+1) + 선물 상장(+1) + 다중 발행사(+1) + SEC 가이던스(+1) − 블랙록 미신청(−0.5) − 현물시장 데이터 요구(−0.3)
= +2.2 우호 모멘텀. 내 베이스라인은 “10월 부분 승인 + S-1 보완”.
1️⃣2️⃣🧭 트레이더 체크리스트:
— 10/18·19·23 발표 직후 → 승인/불승인/연장별 전략 미리 짜놓기
— S-1 정정본에서 수수료(bp)·커스터디 명시·리스크 공시 확인
— CME OI·볼륨·베이시스로 현물 유입 신호 크로스체크
1️⃣3️⃣🪙 Amplify XRP 옵션 인컴 ETF: 현물 ETF랑 대체재가 아니라 보완재. 현물 승인 나오면 현물+파생+인컴 전략 삼각 구도 형성, 시장 깊이 배가.
9월 5일 리플 (XRPUSDT.P) 데이관점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로입니다
매일 오후 1시에서 2시사이 CMC(Coinmarketcap) 기준 상위 시총 15위에 포함된 종목들에대해
데이뷰 , 중기 , 중장기뷰를 올릴예정입니다
오늘은 그중 근래 변동성이 높고 변칙적인 리플에대해서 관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종목들의 기술적 분석은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1시간봉을 기준으로 현재 리플의 추세와 함께 채널,밴드,지지및 저항 그리고 매물대와 피보나치를 통해 기초 분석 부터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기술적분석의 가장중요한 축(Trendline)을 먼저 그립니다
(기술적 분석을 하기위한 기초공사중 가장중요한 축라인을 먼저 그어야하는데 이때 저는 기울기 측면 그리고 연결성이있는 *특이점이 존재하는 빗각을 기준으로 축을 긋습니다)
일단 제가 판단하는 빗각(축)은 차트에 보이는것처럼 특정 고점구간과 특정 저점 구간을 기준으로 그었습니다
그후 축을 그은 고점과 저점의 기울기가 하락이므로 채널링은 저점 구간을 맞춰 그리는게 아닌 맨윗상단 고가라인(t1 과 t2사이 고점)라인을 이어줍니다
이후 처음 만든 채널링을 반으로 축소해 각 상단 하단을 가격대에 이어줍니다
이때 만든 채널링이 유효하기위해서는 특이점이라 부를 수있는 구간(채널 중심 상단 하단에 지지나 저항이 작용되었는지를 판단)최소 2구간이 이상 보여야 유효한 채널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후 또한번 채널링을 축소하여 그어주면 현시점 리플의 변동범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 리플은 이렇게 보이시는것처럼 채널의 상단과 하단 구간에서의 변동폭을 볼 수 있으며 상단돌파 또는 하락 돌파의 여부로 추세흐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2.8260 ~ 2.8320 상단과 하단 2.7480 ~2.7520 구간의 변동성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점과 고점을 연결한 상승형 피보나치를 통해 매수 타점(되돌림) 자리를 파악 할 수 있는데 현재는 0.382 구간 이탈이후 0.5 ~ 0.618 사이의 중심단에서 반등을 보였습니다
윗쪽에서 하락형 피보나치를 본다면 3개의 눌림(되돌림) 자리를 파악 할 수 있고
현재는 가장 가까운 자리 0.382 구간은 2.8180입니다만
채널(밴드) 상단과 마주하는 0.5(중심값)구간에 저항이 조금더 신뢰성이 있는 라인입니다
저항대는 2.8280 ~ 2.8320 구간
만약 주요저항대( 2.8280 ~ 2.8320 구간)을 돌파할경우 0.618 구간에 2.8440라인의 저항가격이 그다음 존재하지만 채널라인을 벗어난 상황에서의 저항가격이므로 사실상 단기성 저항타점(신뢰도가 적은)으로 판단하셔야합니다
XRP가 사라진다는 말, 진짜 무슨 뜻일까?🚨 “XRP가 사라진다는 말, 진짜 무슨 뜻일까?
소각·국채·블랙록·구겐하임까지 전부 까보자”
1️⃣ 📉 소각되면 무조건 오른다고? 지금까지 소각된 XRP는 약 1,419만 개. 전체 발행량이 100억 개니까 비율로 따지면 고작 0.014% 야. 거래 한 번에 수수료로 0.00001 XRP가 날아가긴 하지만, 이 정도는 가격을 단독으로 끌어올리기엔 턱없이 부족하지.
2️⃣ 🏛️ “미국 국채를 XRPL에서 발행했다”는 말은 과장임. 미국이 직접 국채를 찍은 게 아니라, 국채를 담보로 한 토큰 상품(DCP) 이 XRPL에서 돌아간다는 얘기야. 쉽게 말해 전통 금융(국채)하고 블록체인(XRPL)이 연결된 거지, 발행 주체가 바뀐 게 아냐.
3️⃣ 🧾 구겐하임은 실제로 움직였어. 2025년 6월 10일, 구겐하임이 XRPL 위에서 국채 담보 단기채(DCP)를 발행했고, 리플도 거기에 1,000만 달러 투자를 넣었어. 그냥 시범 운영이 아니라 진짜 상업화 1단계에 들어간 거라 보면 돼.
4️⃣ 🧠 블랙록이 XRP만 본다? 절대 아냐. 블랙록은 이미 IBIT(비트코인 현물 ETF) 로 BTC를 크게 잡고 있고, 또 BUIDL(토큰화 펀드) 로 자금시장 토큰화도 하고 있어. XRPL이랑 연결된 건 Ondo Finance의 OUSG 펀드가 XRPL에 올라오면서 RLUSD로 결제하게 된 덕분이지. 직접 진입은 아니고 간접 연결이야.
5️⃣ 🪙 OUSG 구조는 이렇게 보면 됨.
① XRPL에서 바로 민트/리딤 가능 (단, 기관·전문투자자 위주)
② 결제는 24/7 돌아가는 RLUSD 스테이블코인으로 처리
③ 안에 블랙록 펀드 BUIDL이 담겨 있어서 간접 노출
즉, 돈은 전통에서 오고, 토큰은 온체인에서 돌고, 결제는 스테이블로 묶이는 구조야.
6️⃣ 💵 “국채 시장 규모가 크니까 XRP 오른다”는 건 논리 비약. 미국 국채 하루 거래액이 1.16조 달러인데, 그게 곧 XRPL 위 거래액을 의미하는 건 아냐. 실제로 중요한 건 온체인에서 발행된 RWA 거래량, 민트/리딤 속도, 스프레드 같은 실질 지표야.
7️⃣ 🧮 내가 보는 가격 영향력 순서 = 유동성 35% + 규제 25% + 실사용 20% + 경쟁체인 대비 강점 15% + 소각 5%. 소각은 플러스 알파긴 한데 메인 드라이버는 아냐. 결국 실사용과 기관 수요가 붙느냐가 관건이지.
8️⃣ 🔗 RLUSD는 진짜 중요함. 이게 XRPL·이더리움 둘 다 지원되고, 매달 준비금도 공개해. OUSG 결제에도 쓰이니까, 사실상 기관 맞춤형 결제 레일이 되는 거야. 은행 영업시간에 묶이지 않고 24시간 결제 가능하다는 건 생각보다 큰 차이야.
9️⃣ 🧭 단기 트레이딩은 뉴스 나오면 내러티브 타고 바로 반응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결국 실제 체결 데이터가 가격을 만든다고 봐. 체크리스트는 네 가지야 👉
① XRPL 위에서 RWA 민트/리딤 얼마나 쌓이는지
② RLUSD 시총·회전율
③ 거래소·브로커 커스터디 파이프라인 확장
④ 규제 완화 속도
🔟 🏁 결론: “XRP 계속 사라지니까 무조건 오른다” → 이건 단순한 스토리야. 진짜 봐야 할 건 XRPL 위에서 RWA랑 스테이블코인이 실제로 돈을 돌리고 있냐는 거. 구겐하임 발행, OUSG 결제, RLUSD 레일 이 세 가지가 제대로 굴러가야 가격도 진짜 힘 받는다. 그 전까지는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맞다고 본다.
유엔·ETF·파트너십 3중호재가 불붙는 XRP 판🚨 유엔·ETF·파트너십 3중호재가 불붙는 XRP 판🔥
“이건 그냥 뉴스가 아니라 시장 방향을 바꾸는 신호탄”
이어서 계속👇
1️⃣ 🌍 유엔 산하 UNCDF가 2023~24 웨비나에서 리플·스텔라를 국제 결제 핵심 후보군으로 지목했어. 이건 UN 결의 채택은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 포용 논의의 중심에 XRP가 올라왔다는 건 분명 의미 있지. UNCDF 문서에서 Ripple이 저비용 송금 인프라 대표 사례로 다뤄진 건 팩트야.
2️⃣ 🏛️ 반대로, “UN이 XRP 공식 승인했다”는 헤드라인은 과장된 뉘앙스야. 진짜는 UNCDF의 연구·토론 차원이라는 거. 하지만 이게 내러티브상 제도권 채택 기대감을 강하게 키운 건 부정 못하지.
3️⃣ 📊 지금 SEC에 올라간 XRP 현물 ETF는 최소 4건이야. 21Shares·Bitwise·WisdomTree·Canary 전부 Cboe BZX를 통해 심사 중이고, Bitwise·Canary는 10월 23일 최종 결정일이 잡혔어. ETF 승인 타임라인이 XRP 가격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거지.
4️⃣ 💸 만약 승인되면? 기관 자금 유입이 수십억 달러 단위로 들어올 수 있어. 물론 예측치마다 차이가 있지만, 시장에서는 XRP 10~16달러 시나리오까지 흘러나오고 있어. 블룸버그 공식 타깃은 아니고, 크립토 매체들의 낙관론이라는 건 체크해야 하고.
5️⃣ 🤝 Ripple은 최근 Thunes와의 파트너십 확장으로 90+ 지급 시장 커버, 일일 FX 거래의 90% 커버리지, 그리고 누적 처리액 $70B+라는 성과를 냈어. 이건 그냥 발표가 아니라 실제 사용량에서 증명된 거라 의미가 커.
6️⃣ 💱 일본 쪽에서는 SBI랑 손잡고 RLUSD(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2026년부터 유통한다는 계획까지 발표했지. 일본 내 제도권 확대의 신호탄이라고 봐도 돼.
7️⃣ 🔑 결론적으로, UNCDF 언급 → SEC ETF 심사 → Thunes·SBI 파트너십, 이 3가지 흐름이 동시에 돌아가고 있어. 이건 흔히 말하는 트리거 클러스터야. 각각 따로만 있어도 호재인데, 동시에 맞물리면 시장은 폭발적으로 반응하지.
8️⃣ 📉 물론 리스크도 있어. ETF 승인이 일부만 통과될 수도 있고, UNCDF 언급이 실제 정책 채택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야. 하지만 시장은 이미 “제도권 진입 서사”에 베팅하기 시작했어.
9️⃣ 🔮 내 시각엔 10월이 XRP의 역사적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커. ETF 결과·UN 내러티브·파트너십 성과가 동시에 차트에 반영될 거야. 이 구간은 변동성도 크겠지만, 제대로 잡으면 인생 트레이드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지.
🔟 🚀 한마디로, 지금 XRP는 단순 알트코인이 아니라 글로벌 결제 인프라 후보로 무대가 바뀌고 있어. ETF 승인 여부와 함께, 이게 진짜 10달러 돌파 랠리의 불씨가 될지 판가름나는 시기야.
👉 너라면 10월 ETF 데드라인 앞두고 XRP 포지션 어떻게 가져갈래?
블랙록은 손절쳤다더니 뒤에선 리플을 주워담고 있다?🚨 블랙록은 손절쳤다더니 뒤에선 리플을 주워담고 있다? ETF는 없다는데, 정작 숫자를 까보면 판이 이상하게 돌아간다. 나도 이거 처음 보고 머리가 띵했음. 숫자는 거짓말 안 하니까 그냥 다 보여줄게.
🔥 리플 소각? ETF? RLUSD? 멜론은행? 다 얽혀 있는데, 요약하면 "겉과 속이 완전히 다른 흐름"이야. 겉으로는 안 한다고 하면서, 뒤로는 준비가 착착 진행 중. 이게 불장의 서막 아닐까 싶다.
(이어서 계속👇)
1️⃣ 📉 XRP 소각 데이터: 하루 평균 수수료 소각량이 4천6천 XRP 수준으로 집계돼. 30일이면 12만18만 XRP가 사라져. 연간으로 돌리면 150만~200만 XRP가 줄어든다는 건데, 총발행량 대비 0.003%밖에 안 돼. ‘대규모 소각’은 루머일 뿐이고, 진짜 의미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늘면서 자연스러운 소각 속도가 빨라진다는 거야.
2️⃣ 🏦 SEC 소송 종결: 2025년 8월 최종 합의로 벌금 1억 2,500만 달러 확정, 기관판매 제한만 유지. 즉, 거래소 유통은 증권 아님이라는 판결이 살아있어.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기관 입장에선 이제 리플을 공식적으로 쓸 수 있는 구간이 된 거지.
3️⃣ 💰 XRP ETF 흐름: 블랙록은 8월 공식적으로 “계획 없다” 했어. 하지만 Grayscale, Bitwise, 21Shares는 여전히 SEC에 보완서류 넣고 심사 대기 중. 시장 예상 유입 규모? 최소 43억~84억 달러. 블랙록이 안 해도, 옆에서 뚫리면 결국 따라갈 수밖에 없어.
4️⃣ 🪙 RLUSD 스테이블코인: 리플이 2024년 12월에 출시한 달러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은 전액 현금+단기 국채, 수탁기관은 바로 BNY 멜론. 이게 진짜 큰 의미야. 왜냐면 글로벌 톱티어 은행이 리플 생태계의 ‘달러 기둥’을 맡은 거거든.
5️⃣ 📊 블랙록 토큰화 사업: 블랙록은 BUIDL 펀드에서 1500억 달러 규모 미국채 토큰화에 BNY를 수탁으로 쓰고 있어. RLUSD가 직접 들어갔다는 증거는 없지만, 같은 파트너 네트워크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해. 결국 인프라가 겹친다는 얘기지.
6️⃣ 🏥 Wellgistics Health (NASDAQ: WGRX): 이미 5천만 달러 규모 XRP 신용한도(ELOC)를 SEC에 제출. 단순 결제를 넘어서 전략적 금융자산으로 쓰겠다고 명시했어. 헬스케어 체인에서 실사용이 들어간다는 거 자체가 게임체인저야.
7️⃣ 🔋 VivoPower (NASDAQ: VVPR): 비트고랑 손잡고 XRP 1억 달러 매입했고, 리플 지분까지 1억 달러어치 따로 샀어. 자기들 말로는 “시장가 대비 86% 할인된 간접가치”라고 강조. 이미 기업 차원에서 트레저리에 리플을 쌓는다는 거야.
8️⃣ 🏦 BitGo 연결고리: VivoPower의 XRP 보관 파트너가 바로 BitGo. 근데 BitGo는 블랙록 토큰화 사업의 공식 파트너이기도 하지. 결국 블랙록-리플-비트고-상장사 라인이 하나로 묶여버려. 이게 그냥 우연일까?
9️⃣ 📈 기관 수요 전망: 현재 XRP 시총 약 380억 달러, 일평균 거래대금 15억 달러. ETF로 50억 달러만 들어와도 시총 15% 점프 가능. 기관이 결제·스테이블·토큰화에 쓰면 네러티브는 단순 ‘알트’가 아니라 ‘금융 인프라’로 바뀌어.
🔟 🚀 내 해석: 리플은 지금 “겉으론 외면, 속으론 매집”의 전형적인 시그널이 보여. ETF, 기업 트레저리,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모든 조각이 따로 노는 게 아니라 결국 한 판으로 모이는 중. 이게 진짜 불장의 전조 아닐까 싶다.
👉 내 결론: “리플, 사라지기는커녕 오히려 금융 시스템 속으로 깊게 파고드는 중이다.”
니들은 어떻게 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