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BTC.P 트레이딩 아이디어
[2019-06-13] 무작위 알트코인(XRPBTC) 분석 14탄, 어서와 챠트는 처음이지?안녕하세요? rEPLAYEr 입니다.
분석에 앞어 분석의 관점과 취지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1. 본 분석은 다른 분석 기법을 모두 제거하고 오로지 OB (Orderblock)으로만 매매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2. 본 분석의 대상은 트레이더일 수 있지만 주로 챠트를 잘 못보더라도 수평매물대만 가지고도 매매가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 다른 분석과 같이 함께 사용하면 분석의 신뢰도가 높아짐
따라서 본 분석의 주 대상은 챠트를 못보시는 분들을 위함이며,
무작위로 알트를 보기 때문에 현재 자리에 맞지 않으면 복기 형식으로 진행되며 자리가 보일 시 매수 자리고 표시될 수 있습니다.
1. OB에서 무조건 지지가 나올것이라고 믿지 않고 현재 주가에서 위에 OB를 돌파를 확인하고 다시 조정이 올때 해당 OB에서 매수를 함
2. 현재 주가가 하락할때 한번 지지가 나온 뒤 다시 조정이 올때 해당 OB에서 매수를 함
3. 새로운 OB일 수록 신뢰도가 높다
4. OB에서 진입하고 위에 OB에서 매도한다
- 진입 이후 반등이 나오면 익절로스를 꼭 건다 -> 약반등으로 끝나고 다시 테스트를 할 경우가 있음
5.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메이저 알트코인일 수록 높은 시간 프레임에서의 Orderblock이 신뢰도가 높다.
※ 리플 사토시 챠트의 경우 추세선에 의미가 있어보여 추가하였습니다.
<주봉관점>
1. 크게 보면 오더블럭이 2개가 있음
2. 4024 사토시 전저점에서 지지가 나와 상단 OB를 결국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였음
<일봉관점>
1. 일봉에서도 주봉과 겹치는 OB를 결국 뚫지 못하였음
2. 현재 거래량이 줄고 있으며 삼각수렴이 진행중이며 이 과정에서 현 구간에 저항이 되는 일봉 OB를 2개 생성하였음
<4H 관점>
1. 삼각 수렴을 상방 돌파하는거 같더니 결국 4H OB에서 저항이 부딪혀 하락 진행함
2. 아래쪽 OB에서 지지가 나와 단기 반등을 하였지만 기존 삼각수렴의 하락 추세선에서 저항을 계속 받고 있음
<종합>
1. 리플은 현재 상단부에 저항이 매우 많습니다.
2. 원화챠트보다가 사토시 챠트를 보니 현재 상황이 느껴지네요.
3. 이 상단 저항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이전 상승 랠리와 같이 큰 힘이 필요해보입니다.
4. 업비트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btc 마켓이 어떻게 움직이는지가 원화보다 중요해보입니다.
[독학야매차트분석] 이제 리플은 잊고 사렵니다.<들어가는 말씀>
저는 여러가지 책을 읽고 독학을 해서 제 나름의 기준으로 "야매캔들매매법"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다가 이제 실전을 위해 작도를 많이 해보려고 합니다.
경험적으로 알트 차트는 사토시 차트를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리플 42층에 있었던 사람 입장에서 300원대까지 내려와보니 원화차트는 의미가 없다는 것을 그때 알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리플이 혼자 영차영차 올라도 결국 사토시 가격이 오르지 않으면 비트 가격이 무너질때 거품이 빠지는 과정을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리플 현황 분석>
제가 새로 그린 캔들들을 분석하면 하락세가 끝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 중간 상승 시도가 계속 있었지만 하락이 가속화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2017년말의 madness에 대한 반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리플 대응 방법>
리플은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에서 꼼짝을 않고 있습니다.
이런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에서 통상적으로 상방으로 튀어오르는게 인지상정입니다.
하지만 리플은 튀어오르지도 않고 그냥 가만히 엎드려 있네요.
일단은 야매캔들이 됐든, 정상적인 캔들이 됐든 피보나치 50 구간을 올라서야 답이 나오기 시작할 것으로 봅니다.
그때까지 2017년산 빈티지의 제 리플은 가슴에 묻고 지내겠습니다.
20190519 리플 추가업데이트와 매수전략 (+이전 예측성공)리플 업데이트.
(이전 예측에서 매수한 분량이 있는 리플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금일이 아닌...
1~2일 정도 지난 후 추가 매수할 예정입니다.
비트코인 차트와 비교해보세요.
비트코인이 제가 예측했던대로 움직임을 보인다면.
고점 도달시에 리플을 매수받기 가장 좋은 시점입니다.
추가 코멘트는 하루 정도 지난 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팔로워와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이전 예측차트
근거는 비트코인 차트를 참고하세요.
정확한예측이란 없습니다. 제 분석은 늘 틀릴 수 있습니다.
xrp/btc 1w 솔직히 모르겠습니다2019년 5월 1일
매매진입 기준을 만들고
후에 리플의 방향성이 생각해놓은 방향대로 결정 났을때
과연 나의 분석에 내가 설득당한것이 객관적으로 합리적인 판단에 의한 분석이었는지
아니면 나의 주관적인 감정에따라 쓰레기같은 매매기준을 설정했던것인지
복기해보기 위해서 퍼블리싱을 합니다
200주 이평선에서 지지를 받거나, 노란색박스 부근에 올 때까지 분할진입 할것이며
반등이 일어났을때
이것이 기술적인 반등에 의한 데드캣인지, 추세전환 신호가 나타나서 추세가 전환될 수 있는것인지
확인을 해 본 후에 목표가설정을 하겠습니다
스탑로스는 형광색 실선을 일봉 종가 하방이탈 하는것으로 기준 잡겠습니다
골목대장의 XRPBTC골목대장 입니다.
BTC로 보는 리플입니다.
현재 가파른 기울기의 4시간봉 저항선을 상방돌파하며 주요 수평선을 앞두고 있지만.
리플의 경우 장기추세선인 흰색 선을 하방 이탈한 전적이 있어서, 이 선은 상방 돌파 해주기 전 까지는 안정기에 들어왔다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장기 지지추세선이 하방 이탈이 되면, 현재는 이곳이 저항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선 위로 복귀를 할지, 못할지에 따라서 1차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면 노랑색 박스 같은 경우에는 현재의 단기 반등이 지속되기 위해서 최소한 지켜줘야 할 자리로 보여집니다. 만일 노랑박스 구간 이탈시에는, 리플의 회복은 시간이 꽤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추세 끝내고 횡보장 오나. XRPBTC / 2019-04-291. 제가 늘 말씀드리지만 추세장 뒤엔 횡보장(조정장)이 오고 다시 추세장이 시작됩니다.
- 암호화폐 차트에서는 그 횡보장(조정장)이 뭐같이 길거나, 추세장이 뭐같이 긴게 함정일 뿐입니다.
2. 주봉기준으로 가속화된 하락추세가 오더블럭 브레이크에 걸렸습니다만 EQ를 돌파해버려서 추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3. 일봉 기준으로는 하락 파동을 거의 완성했습니다.
4. 1H기준에서는 하락 추세가 진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V자 체크를 한 캔들은 반등기준 캔들입니다. 이 캔들을 올라서야 단기적인 반등을 더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현재 구간은 매도포지션을 취하고 계신다면 아직 좀더 홀딩을 해도 되는 구간입니다.
-하지만 1H 기준에서는 하락보다 단기 횡보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6. 오늘도 성투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리플(XRP) - 세가지 근거에 의한 매수전략리플은 현재 모든 트레이더들이 눈여겨본 구간 6100사토시를 가볍게 뚫어주었습니다.
비트는 현재 우상향 중이지만 리플은 지지부진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전 상승에 대한 베팅을 하려고 합니다.
1) 첫번째 근거
장기 상승추세는 깨졌지만 수평 매물대를 참고하였습니다.
먼저 일봉에서의 단기,장기 스토캐스틱이 바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2018년 9월 17일 장대양봉을 기준을 1파로 잡고 현재를 2파 되돌림이라고 잡는 가정하에 0.786 ~ 0.886 지점에서 세력들이 이어서 상승랠리를 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2) 두번째 근거
전고점 0.00011739사토시 기준 하모닉의 첫 지점으로 잡고 W패턴을 고려한 피보나치 비율에 따른 예상 반등 영역 계산
2018년 9월 17일 장대양봉 시가를 하모닉의 첫 지점으로 잡고 M패턴을 고려한 피보나치 비율에 따른 예상 반등 영역 계산
2017년 연말 장대양봉 시가 기준 Anti Star(M) 패턴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세번째 근거
USD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수렴 말단에 끝에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미 중요 하락추세선을 횡보로 돌파했다고 볼 수도 있고 보라 점선 추세선을 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전저점을 깨더라도 페이크일 확률이 높으며 일봉에선 깼지만 휩쏘로 주봉 종가로는 다시 올리는 무빙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비트가 전고를 돌파한 상태이고 계속해서 상승랠리를 이어가서 횡보를 한다면 리플이 가장 먼저 움직일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선물거래 하시는분들은 파란색 영역을 확인해주시고 현물 투자하시는 분들께서는 파란색 네모박스 근방이 최저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매수는 어디서?
위 두개의 겹치는 영역 -> 파란색 박스영역
혹은 1.414까지 페이크 무빙 가능성 있음
추후 자세한 타점 및 변동사항은 계속 업데이트를 통해서 공유할 생각입니다.
손절은 어디서?
기본 손절라인은 전저점 아래로 잡는 것이 좋아보입니다.(약 4000~4050사토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