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동석코인 마코 데일리 분석 6월 22일 나스닥(NASDAQ) 차트 분석 글 입니다
안녕하세요 마동석코이 마코 입니다.
6월 22일 나스닥 (NASDAQ) 차트 분석 입니다.
나스닥 은 현재 6시간 지지선까지 이탈 해줬고
12시간 중앙선을 이탈 하는 중입니다.
6 + 12 패턴은 깨졌고 그 다음 패턴에
주목 하셔야 합니다.
현재 자리에서 분석 입니다.
하락추세중인 나스닥은 14480.6 까지
눌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14480.6 은
12시간 차트 지지선 자리 입니다
일명 메이저 12 + 일봉중앙 반등구간 입니다
하지만 중간에 14707.1 자리에서 지지 한번
받을 수 있는 자리 표시 해놨습니다.
이 구간은 6시간 차트 양운지지라인
일봉차트 중앙선 자리 입니다
14707.1 자리가 깨진다면 최대
바텀까지 보셔야 합니다
만약에 반등 한다면 14966.8 구간이
저항대가 있는 자리니 보시면서 매매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참고 정도만
부탁드리며 원칙매매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USTECH100MINICFD 트레이딩 아이디어
나스닥 메이저 5파동 3파 구간떨롱 오숏 구간으로 보입니다. 현재 3파의 5파 삼각수렴으로 수렴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이고
마켓 타이밍상 고점 갱신시에 숏진입이 가능 할 것 같지만.. 빅 이벤트인 fomc가 있어서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이번 조정 구간 이후 한번 상승 후 (5파가 연장 안될 경우) 아마 둘째 주 혹은 셋째 주 메이저 5파동 마무리로 조정 구간에 돌입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 선물옵션 만기 이후 오버슈팅(나온다면)이 마지막 구간 일 것 같습니다.
나스닥,유로
1w: 나스닥은 작년 말부터 반 년간 강한 상승세였습니다.
시장의 주기를 3~4개월로 봤을 때,시간적으로 6,7월은 추세전환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가격적으로는 주봉상 리젝션 레벨+ 전체 구조상 할증가 영역입니다.
2h: ltf에서 봤을 때, 최근 수렴기간동안 만들어진 range를 상방돌파하고 htf rjb에 도달한 상태입니다.
range 하단의 쌍 저점은 이후 매도 측 유동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구간은 잠재적인 추세 반전 영역으로 볼 수 있고 숏 거래를 계획한다면 낮은타임프레임에서
진입기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낮은 타임프레임은 최소 1시간~4시간 캔들이여야합니다.
1d: 유로달러는 큰 일봉상 오더블럭 안에서 롱 거래기회가 있었습니다.
가격범위가 워낙넓은 구간이라 이 구간 자체를 pd array로 나누고 그 안에서도 ltf으로 쪼개서 들어가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1h: 유로는 장기관점에서 롱에 들어갔었다가 시간이 오래걸리는거 같아 수익실현 후 단기거래를 좀 했었습니다.
아쉽게도 유로는 오더블럭의 시가를 마지막으로 테스트 후 올라가버렸고 재매수 하진 못했습니다.
스윙~포지션 트레이더가 되기 위해선 느긋한 마인드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새로운 변화가 발생될 수 있는 한 주의 시작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DXY 차트의 중요한 추세는 102.034-105.873 구간에서 벗어나면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02.034-105.873 구간 중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투자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102.034 이하로 하락하여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02.034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SPX500USD 차트)
4255.2-4310.8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구간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면, 4419.8 부근으로 급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419.8 지점은 1M 차트의 HA-High지표 지점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분할 매도할 시점에 해당됩니다.
----------------------------------------------------------
(NAS100USD 차트)
14710.6-15090.3 구간은 1M 차트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분할 매도할 시점에 해당됩니다.
14710.6-15090.3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15978.3 부근으로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4710.6-15090.3 구간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12896.2-13418.8 부근에서 지지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6월 12일경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6월 13일까지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나스닥이 너무 나댑니다.안녕하세요. 베이지컬리입니다.
나스닥이 요즘 왜 이렇게 나대는지, 어쩌다 나대게 된 건지.
간단하게 차트적으로 알아보고 싶습니다.
(틈틈이 해오던 분석인데 그걸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나스닥 일봉)
🟢 상승쐐기형
나스닥은 상승쐐기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약 100일 수준의 중~대형 규모.
상승쐐기형 패턴은 전형적인 하락형 패턴입니다.
패턴 형성 중에는 고점과 저점이 계속해서 올라가기만 합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수렴을 하고, 하방 이탈을 하면 쏟아내리는 식.
그리하여 패턴 형성 중에 '미리 숏 진입'을 하는 트레이더들이 많습니다.
계속해서 최고점이기 때문에 심리상 자꾸 숏을 타고 싶기 때문이죠.
그리고 실제로 하락형 패턴이기도 하니까, 심리적으로나 차트적으로나 근거가 준수하죠.
🔵 돌파
하지만 나스닥은 하락형 패턴을 돌파했습니다.
이 시점을 저는 '특이점'으로 분석합니다.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라 '무언가 특이한 일이 벌어난 시점'
이때 이후로 더 이상 '상승쐐기형 패턴에 의한 매도 포지션 진입'은 불가능해졌습니다.
근거가 붕괴 되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하락형 패턴을 역으로 돌파'하는 경우는 숏 입장에서는 매우 무섭습니다.
왜냐, 하락형 패턴에 의해 계속해서 유입되던 매도세를 삼켜버리는 수준의 거대 매수세가 새로 유입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존 매수세를 초과하는 매수세 없이는 상승쐐기형 패턴을 역으로 돌파할 수 없습니다.
⚫ 미끼 저항선
패턴 돌파 이후 가장 가까운 저항선입니다.
22년도 여름 최고점.
하지만 저는 당시 이걸 '미끼 저항선'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제 막 패턴 역돌파가 발생했는데(거대 매수세가 들어왔는데) 해당 저항선의 위치는 너무 가깝습니다.
더불어 '숨어있는 저항선'도 아니고 대놓고 보여주는 저항선입니다.
대놓고 보여주는 저항선에서 정석적으로 하락할 가능성?
저는 희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해당 저항선을 터치한다면 오히려 그 이상을 타겟값으로 보게 됩니다.
🔴 리테스트
패턴 상단 리테스트 지점은 '숏 포지션 손절 기회'이자 동시에 '롱 포지션 진입 기회'입니다.
이후 본격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게 됩니다.
*
그렇다면 나스닥의 무한 질주가 언제쯤 멈출지 궁금합니다.
-
(나스닥 일봉)
🟠 일봉 오더블럭
이중 장악형 캔들로 오더블럭을 형성했던 구간입니다.
캔들 패턴상 속임수가 연속적으로 나왔던 구간.
해당 구간에서 양방향으로 손실 입은 트레이더가 많았을 법한 자리입니다. (이중 개미털기)
🟣 나락행
오더블럭 형성 이후 나스닥은 나락을 갔습니다.
개미털기를 제대로 끝마친 이후에는, 큰 추세가 나오는 법입니다.
🟠 저항 영역 (오더블럭)
그리고 나스닥은 약 300일만에 오더블럭 근방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저항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오더블럭의 상하폭은 약 2% 수준으로, 제 분석상 나스닥의 질주는 최대 2%가 한계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더블럭에서 최종 저항 받고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싶습니다.
-
분석을 참고용으로 이용해 주세요.
아이디어를 잘 보셨다면 추천, 댓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메이저 4파의 플랫 패턴이 하락 관점레귤러플렛 일지 익스펜딩일지 런닝일지 모르지만
임펄스 파동으로 마무리되는 플랫 페턴으로 2파가 삼각 수렴으로 나오는 중인듯 싶고 수렴 마무리가 되면 하락 할 것 같습니다.
2파의 고점이 이탈시 관점 폐기 입니다.
이더리움,나스닥,골드
1h:
문맥상 seasonal tendency=bearish, htf(6hour,daily) bias =bearish였기에
완화블럭에서 진입 그리고 하락 중 생성된 단기 오더블럭도 숏으로 볼 수 있습니다.
ltf에서 이더리움 상대적 약세의 smt 다이버전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포지션에 대한 리스크 완화가 된 상태여서 추가적인 포지션을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1h,15m:
나스닥 daily bias는 롱이므로 이전 저점들이 모인 유동성 풀을 터치하지 않을것으로 보고
hourly 오더블럭에서 롱진입을 계획했습니다.
그러나 가격은 뉴욕 킬존에서 15분상 짧게 유동성을 낚아채갔습니다.
가격의 추세가 강할 때 세력은 단기 유동성만 챙기거나 fvg의 일부분,ce영역까지만 채우고
추세 지속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 뉴욕 세션에서 po3를 만들러 되돌림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이번엔 한 방향으로 확장되서 진입기회를 놓쳤습니다.
1h:
골드는 weekly bias=short이지만 단기 구조상 할인 구간이라 가격이 튈 수 있어서
단기 거래위주로 계획을 짰습니다.
유동성 논리로 봤을 때 제 관심 영역은 bsl가 위치한 고점이였고 낮은 타임 프레임에서 숏 거래 기회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나스닥] 하락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feat.까마귀는 운다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부채한도협상을 앞두고 증시가 혼란스러운 움직임을 보입니다.
부채한도협상이 발효되고 나면 1년 만기의 싱싱한 채권들을 발행해서 증시의 유동성을 가져갈 수 있다고 이전 아이디어에 작성했었는데요.
현재 갑작스럽게 하락하기 시작한 고용지표들과 더불어 제조업지수를 트리거로 발행되는 채권에 맞물려서 증시의 하락을 예상했었습니다.
과연 어떻게 흘러갈까요?
저는 거시경제적인 관점에서 지표를 참고하여 증시를 예측하고 추세를 잡는 편입니다.
이번엔 의도치 않게 역추세 매매를 했습니다.. 이 짓도 오래하기 참 힘드네요. 다음부턴 추세매매로 편하게 가야겠습니다.
현재 제가 보는 그림은 이렇습니다.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입니다.
일반적인 파동과는 다르게 불규칙적인 파동패턴으로 삼각수렴으로 분류됩니다.
엔딩 다이아고날의 가장 큰 특징은 삼각형을 만드는 움직임도 있으나, 3-3-3-3-3 파가 총 5번 지속되는 모양 또한 이에 해당됩니다. (주황색 불투명한 라인)
시장 변동성이 많이 큰 탓에 파동이 꽤나 흐트러져 상당히 불규칙적인 파동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가 여기서 유심히 지켜봐야 하는 부분은, 다이아 고날이 끝나는 지점에서 돌파 상승을 크게 보여주었다는 점 입니다.
이전 앤비디아의 실적발표로 AI 테마주의 매수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며 나스닥과 반도체 섹터를 함께 이끌었습니다.
부채한도협상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 그리고 기대하지 않았던 호실적 등으로 매우 거대한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덕분에 추가적인 돌파상승이 발생하였습니다. 보통 이러한 상승쐐기 패턴에서는 지지라인 돌파 후 더욱 크게 떨어지는 움직임을 보이곤 합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숏을 매수하게 된 결정적인 움직임입니다.
05/30 거대한 갭을 만들고 상승했던 캔들이 그대로 갭을 매우며 장을 마감
그리고 오늘 05/31(미국 기준) 윗꼬리 음봉으로 하락중입니다.
추세전환 캔들패턴인 '하락 반격형' 패턴으로 보여집니다.
아마도 이번 하락이 마지막 거대한 하락이라고 생각 됩니다. 과도한 금리인상의 효과로 인해 증시에 불확실성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여기서 마지막 거대한 하락 5파를 그리고 끝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2년부터 사이클이 뒤집혀서 상승5파 하락 3파가 아닌 하락 5파 상승 3파의 움직임이 자주 보입니다...
어서 이 약세장이 끝나고 강세장이 다시 돌아오기를..
[나스닥] 리세션은 아직 오지 않았다. 2023/05/24
부채한도협상을 앞두고 있습니다. 현재의 분위기는 협상이 지지부진 한 느낌이 있으나 저를 포함한 모두가 부채한도협상 타결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짧게 살펴보겠습니다.
최근의 차트 변동을 확인해보면, 꽤나 불규칙적인 파동을 보여줍니다.
되돌림 값도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합니다.
삼각수렴 형태인 상승쐐기 패턴입니다.
삼각형의 꼭짓점이 위를 향하며 결국 폭락하게 되는 패턴입니다.
하지만 폭락은 커녕 현재 상승쐐기를 돌파하고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저는 이런 경우 두가지로 해석합니다.
Case 1.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과매수 상태의 돌입
Case 2. 실질적 경제성장으로 인한 회복
저는 해당 현상을 1번 상황으로 해석했습니다.
부채한도협상에 큰 기대를 품고 증시가 단기적인 폭등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에 연기금과 헤지펀드들은 풋옵션을 매수하면서도 상승의 물결에 타거나 인내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콜옵션은 근 5년중 역대 최대 수준이며 많은 사람들이 낙관론에 빠져 있습니다.
시장의 분위기와 더불어 차트의 움직임에 위화감을 느낍니다.
Case 2 시나리오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긴축은 진행중이며, 고용률은 조금씩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의 개인저축률은 상당히 낮습니다. 이외에도 부채잔액도 굉장히 높은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이 과도하게 장기화 될수록 소비자들은 계속해서 빚을 지게 되며 빚을 지지 않기 위해선 소비를 강제적으로 줄여야 합니다.
자칫하면 채무불이행률의 상승으로 은행의 디폴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 기업의 실적은 악화되고 증시가 폭락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AI의 완전한 상용화와 같은 산업의 게임 체인저가 등장하지 않는 한 Case 2는 타당하지 않습니다.
과거엔 어땠을까?
2011년 08월 03일 부채한도협상이 타결된 적이 있습니다.
부채한도협상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나돌기 시작하며 증시가 상승한적도 있었습니다만...
채결 이후 S&P에서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 에서 AA+로 하향하여 증시에 폭락을 불러 일으킨 적이 있습니다.
이번 2023년 부채한도협상은 자금 조달을 위해 FED가 1년 이내 만기의 단기채를 대량으로 발행하여 증시의 유동성을 흡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더해 RP의 금리가 상승하는등 시장의 관심사는 한동안 채권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채를 추가 발행하게 될시 긴축의 효과 또한 발생합니다.
기업은 이러한 긴축효과에 점점 어려움을 느끼고 소비자들의 소비가 감소하여 기업실적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최근 기업실적들을 둘러보면 총매출이 감소하였으나 EPS가 상승하는 현상이 종종 보입니다.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주당순이익이 상승한데에는 높은 물가의 반영과 비용의 감축과 같은 이변이 이유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기업어닝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는 것은 위험합니다.
NASDAQ 타점지금까지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타점을 구한다면 두 가격 구간을 도출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저항 구간은 Ending Diagonal 시나리오들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손절이 매우 짧은 구간이지만 많은 추세선의 저항이 있었던 자리입니다.
또한 이전 매물대도 존재를 하여 단기 저항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저항 구간은 제가 생각하는 많은 시나리오들이 겹치는 저항 구간입니다.
주봉의 Order Block도 존재를 하여 저항이 나올 가능성이 큰 구간인 것 같습니다.
다른 의견 있으시면 꼭 코멘트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