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셋째주 주식시장~1안녕하세요. 이제 4월달도 중순을 지나고 있습니다.
열심히 열정을 항상 가지고 주식시장을 바라봤지만, 현생이 바빠서 투자기록도 못남겼네요.
1년에 ㅇㅅㅇ 프리미엄 이용하는 뽕은 뽑아야하는데 말이죠 자기전에 종목 몇개 남겨둡니다.
1. kospi
지금 모양
좀더 내려서 버티거나 2300까지 후루루룩가는거.
국장 보유 종목도 같이 후루루루룩
2.usd krw
독일에서 마라탕 하나 먹으면 4만원은 그냥 나오네요. 환율이 아주 미쳤습니다. ..
뱃을 바라보고 c파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떨어지면 플랫이겠지만 겹치는 부분이 이쁘니깐 기다려봅니다. ..
3.한국항공우주
오늘 막 엔비디아 떨어지는거보고 트뷰 글쓰러 온건데 ,우주 테마가 쪼금 부상했으면 좋겠다 싶어서 계속 보고 잇습니다. 수렴 하락만 아니길 기도하면서 .
4.비트코인
플랫 대야사마의 따고나서의 되돌림을 적용해보고 싶은 그림입니다. 롱걸어두고 주말보내야겠습니다.
5. 한화 솔루션
707 786라인 지질르 지켜봅니다.
거래 아이디어
코스피 조정 타겟 - 외환위기, 닷컴버블, 금융위기, 펜데믹 폭락장 저점 참고안녕하세요, 1PERCENT입니다.
최근 국내 증시 하락으로 인해 많이 힘드신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역대 코스피 차트를 보고 조정의 정도를 한번 예측해보겠습니다.
KOSPI, 상승채널 상단을 터치하다.
보시다시피 코스피는 상승채널 안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저점, 2020년 펜데믹 폭락장 저점이 채널 중앙에서 반등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폭락장이 오기 전에는 항상 채널 상단에 도달 후 하락이 시작되었습니다.
금번 하락도 채널상단 + 1997년 외환위기 저점 기준Fib 3.618 에서 일어난 리젝션입니다.
중앙선인 빨간선까지의 하락은 금융위기, 펜데믹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만 일어난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난세의 영웅이 생기는 법입니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큰 위기가 다시 한번 와야지만 중앙선까지의 깊은 하락이 있을 거라고 봅니다.
헝다그룹 파산, 미국정부의 디폴트, 중국 전력난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그 원인이 될까요?
그렇게까지 깊은 하락이 없을지라도 1년 6개월간 130% 상승한 코스피가 한번도 리테스트 하지 않은 주요 s/r flip과 전 고점에 대해 리테스트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올해 4%로 예상되며,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은 4차 산업 핵심 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과 성장성을 갖췄습니다.
또한 글로벌 평균 대비 낮은 벨류에이션도 향후 재평가가 기대되는 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이 선진국에 걸맞는 평가를 받기 시작하며 몇십년 동안 뚫지 못하던 채널 상단을 뚫고, 새로운 채널을 만들 수 있을까요?
매력적인 기업이 넘치는 시장을 완전히 떠나가기 보다는 현금 비중을 유지하여 기회가 왔을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훌륭한 국내 기업들을 저렴하게 담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PERCENT
아직도 국내 주식만 하시나요? 코스피 vs 물가 상승, 달러, 금안녕하세요, 1PERCENT입니다.
산뜻한 일요일 오후, 사랑하는 이들과 행복하게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야외 테라스에서 책을 읽다가 우리 트뷰 구독자분들께 다시 한번 강조드리고 싶은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공유드린 차트는 1980년대 우리나라의 '3저 호황(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당시 코스피 최고점 부터, 현재까지의 수익률을 비교한 차트 입니다.
1989년: 코스피 1000 달성
2024년 현재: 코스피 2750
3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9%
이 정도면 왜 투자를 무서워하시는 분들이 "예금은 원금이라도 보장되지... 예금이나해" 라고 하는지 이해가 갑니다.
당시 기준금리가 약10% 였던걸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죠.
자, 이제 코스피에 성장세를 물가상승, 달러, 금과 비교해보겠습니다.
- 코스피는 35년간 약 200% 상승
- 원화 환율 고려시 35년간 +50% 상승
- 물가상승을 고려하면 -4% 하락
- 금과 비교하면 -74%
특히 금은 원화가치 대비 계속해서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금 1돈을 구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원화라는 '종이 쪼가리' 또는 '디지털 숫자'를 가져와야한다는 겁니다.
즉, 원화의 가치는 모든 면에서 살살 녹고 있습니다.
제가 자산분배를 계속해서 강조드리는 이유입니다.
원화자산 100%는 장기적으로 지는 게임입니다.
아래 두 차트는 달러 대비, 그리고 스위스 프랑 대비 원화를 나타낸 차트 입니다.
USDKRW / 월봉
CHFKRW / 월봉
원달러 환율은 장기적으로 상승세에 들어섰다고 판단됩니다.
---
지정학적 불리함부터 저출산까지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시간이 흐를수록 떨어질겁니다.
국가의 갱쟁력은 국민 모두가 힘을 합치고, 허리띠 졸라매고 “suck it up” 해야 올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개개인의 구매력은 개개인만 노력하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오히려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본인의 노후는 본인이 책임져야하고, 또 책임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개인 투자자에게 블루프린트는 다음과 같다고 봅니다.
- 국가 경쟁력 하락 헷지 = 지정학적으로 우세한 위치에 있는 국가의 돈 잘 버는 기업 주식
- 원화 가치 하락 헷지 = 달러 표기 자산, 스위스 프랑 표기 자산 등 타 국가 통화 표기 자산
- 달러 가치 하락, 금융 시스템 붕괴 헷지 = 현물 금, 은
이상입니다.
1PERCENT
중요한구간의 kospi 그리고 일본 topix 분석안녕하세요 트뷰여러분
근래에 들어 세상이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정말 알기어려운 정세입니다
그래서 topix와 kospi를 비교분석해보았습니다
코스피는 현재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파란박스2820을 뚫지 못하면
일본 topix의 1-2파의 2파조정형태로 갈수도 있죠(kospi는 3-4 사이에 위치해있습니다)
장기추세로 보면 특이한게 다이아고날형식으로 우상향 했다는것입니다(각도를 올리는 급등락)
반면 topix는 확장쐐기와 엔딩다이아고날로 조정을 마무리 하였죠
단 kopi는 파란박스를 뚫고 매물대를 형성해준다면 추가적인 상승도 기대해볼수있다고 보고있습니다
단지 흐름을 알기위한 개인적인관점이며 오른다 내린다는 아니니 참고해주시길 바라구요
topix는 3파의 마무리로 향해서 가고있는듯합니다
채널상단과 피보나치 1.618-1.764구간에서 한번 조정을 받을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조정받게되면 0.764와 0.618부근의 2038-2312부근에서 조정을 마무리 해줄것으로
보고있습니다
3월 넷째주 꺽이지 않은 코스피 !? 지난주에 코스피 하락에 대한 글을 썻지만 , 요친구들이 대형주들이 잘 올라주면서 야금야금 올라갔네요. 그래도 지수가 그래도 내려가는 것보단 좋네요 ㅎㅎ
1. 비츠로 테크
2주째 이놈만 내려오길 기다리는데 안내려오네요. 언제라도 금방 쏠거 같아서 전 월욜날은 조금 넣어두고 내려오면 원래 살려 했던 자리에 꾸준히 모아보는걸로 .... 다음주는 좀 내려가서 매수기회를 줫으면 좋겠습니다.
2.카카오 페이
패턴에 의한 매매 거래량은 줄었고 .. 수렴같아 보이고 ... 886을 향한 급락. 저점을 깨서 올리거나 886에서 가거나 를 생각한 매수 자리
3.lg디스플레이
시총순으로 내리다가 아 많이 떨어졌다 싶어서 ... 올려봤습니다. 뱃자리랑 2.618자리
4.한국앤컴퍼니
저평가고 이자리 저는 마음에 듭니다. 내리든 올리든 평균가격에 유지하는 이 위치 ...
1,2가 가장 마음에 드네요.
코인들은 잘 눌려주고 있고 ...
비트가 유동성이 커서 재미잇네요.
지난번에 즉시 계속 소파동으로 wxy로 했다면 지금은 크게 w끝나고 x 후 y로 1ㄷ1 로
내일은 월급 들어와서 주말에 재밋게 놀고 다음주에 돌아오겠습니다.
즐주되세요~~
코스피 부정론자 였는데 반성하고있습니다안녕하세요 트뷰여러분
오늘은 코스피를 상세히 분석해보았습니다
일본차트와 비슷한점이 많았습니다
단지 일본이 먼저 상승을 해주었던거같습니다
앞서 코스피 분석에서 삼각조정or 어센딩이 나올거같다고 언급한적이있는데요
어센딩과 사이클III파가 겹치는 어센딩이 나오지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구간은 마지막 ABC의 하위 C조정중이며 파란색박스와 검은색 SR플립구간
(지지저항이 많이 겹치는구간)
내심 추세선에서 지지를 받아줄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코스피3765에서 시간조정이 있겠지만
3120-3340사이를 오가며 중간크기의 4파조정후 상승을 이어 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불장의 시작?!
(사실 저는 코스피 부정론자 였습니다)
(차트 업데이트를 하며 계속 볼수록 각도가 올라가네요;;)
(점점 잘 하고 있는건지 아닌건지..)
코스피 수렴의 시작 (매집의 기회)
단순하고 명료하게. 늘 그래왔드시 중장기 관점은 틀리지 않습니다.
코스피 최대 저점 나왔으며 지속적인 수렴의 과정을 2200~2800 레인지에서 이년정도 움직임 보여줄 예정 . 이 구간 매물대 형성 후 3000위에서 움직이는 코스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올11월 대선 , 그리고 내년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지언정
폭발적인 상승은 어렵고 코스피 3200을 지금 상황에서 볼 수는 없습니다.
한가지 좋은 점은 주목할만한 주식 종목들에 대해 다시한번 적금처럼 매집의 기회가 왔다라는 점입니다.
코스피 2000에 대한 하방이 단단합니다. 매달 ETF 처럼 몇가지 종목들 오래 홀딩하시면 결국
3년뒤, 좋은 선물로 올기마련입니다.
3월 주말에 하나 더 작성 ㅎㅎ 일기로 남기는게 좋아서 남기는거니깐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1.kospi
지수가 2700을 뚫었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2가지를 고려합니다.
첫번째는 이레귤러 플랫 후의 조정
두번째는 상승파동의 연장전에 조정 올라온파동의 비율이 618관계에 이어서 5연장으로
하락관점에 좀 강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폭이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거니
2450-2530 사이에서 지수 etf를 매수한다면 여기에 해볼거같습니다.
-----
이번주는 조선이 좋은 모습을 보이고 우주항공은 지난주대비 떨어졌네요.
저는 pbr낮고 부채 낮고 아 이거 오를거같다하는 친구들 사는게 안전하다 생각하면서 매수하는 스타일인데 요즘은 그런 종목들이 없네요 . 그래도 고금리 시대 저성장에 돌입한다는 대한민국에서 살아남는 기업은 현금 빵빵하고 매출이 꾸준히 나오는 기업이라는 생각에 안전한 투자처가 더 빛이 바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소비재 , 쇼핑, 에너지 , 가격이 높지 않은 소비
미래 성장성이 좋아보이는 산업 (반도체-ai /생명공학/우주-조선 )
-------------------------------------------------------------------------------
건설사는 ... 부채도 높고 한국은 집도 많은데 수도권에 집중되고 ... 빚을지고 주택을 사기에는 주택값이 너무 높기도 하고 .... 특별히 우크라이나 재건 의 이슈를 제외하고는 오르기는 힘들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매출로 이어지는 이슈는 아닌거같아서 완전히 제외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삼성전자를 지난글에 작성했고 ..
오늘은 우주쪽 차트를 하나씩 보려합니다.
2.현대로템
5파 끝나고 a파가 wxy로 끝나고 현재 플랫 b 끝나고 x인지 큰 하락인지 .. 매출은 우상향하고
철도, 방산쪽도 잘 수주해오는게 꾸준히 이어오면 b가 3-3-5로 이어지는 느낌도 가져볼수도 있겠네요 . 눌리는걸 잘 봐야할거같습니다. 27500정도 오면 봐야겠습니다.
3.비츠로테크
우주산업을 영위하고 배터리 사업이 주를이룸 수렴이고 배터리도 향후 좋은 방향을 갖는다고 생각해서 긍정적으로 상승쪽을 생각해봅니다.
4. Rklb
전 저점에서 한번 2.8부근에서 한번 , 지금도 괜찮은데 더 내려오면 좋겠으니깐 .. 기달려보기로 .
5.spirit aero system holdings
arirang etf에 잇는 종목으로 괜찮은게 있나 찾는데 다 올라서 흠... 이것도 내리면 사볼거 같습니다.
ai반도체는 아무래도 공부가 필요한 종목이다 보니 ... etf나 대기업을 매수하는게 좋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6.btc
wxy 플랫으로 생각했고 64000에 안전하게 잡을려고했지만 이미 반등한게 아쉽네요 ..
7.key usdt
kyc 인증 역할을 하니 앞으로 금융권과 연결할때 좋은게 아닐까 ... 상상만 ...
이제 가보겠습니다. ㅎㅎ 다음주도 화이팅
한국 인구 이야기이전 아이디어에서 한국 인구 이야기는 충분히 했으니 더 할 것은 없으나
사상최저치 나왔다고 해서 한번 더 이야기 하자면
인구 감소는
2000년 부터 이미 예상된 결과였다.
출산이 40만으로 떨어졌을 때 준비를 했었어야 했는데
무능한 정치인들과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 무지한 대중들 덕에
지금 이지경까지 온 것이다.
다시 말하면
남탓하지 말자.
다 님들 본인 때문이다.
지금와서 뒷북으로
인구감소 떠드는 것보다
앞으로 어떻게 될 지 고려해야 한다.
거시흐름은 이미 정해져 있다.
문제는 인구가 감소하는게 아니라
인구가 너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다.
100만명이 태어나는 시대에서
40만명 태어나는 시대가
'20년' 걸렸다.
40만명 태어나는 시대에서
20만명 태어나는 시대가
'10년' 걸렸다.
현재 시점에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보다는
그 출산율을 계산하는 모집단이
40만 밖에 안된다는 사실이다.(2000년 이후 생들)
지금부터 출생율이 올라봤자
모집단이 40만 밖에 안되므로
출생수 가 절대적으로 급격히 늘어 날 일은 없다.
내수붕괴는 필연이다.
노인들이 조금 더 오래 산다고 해봤자 그것은 조금 일 뿐이고
국내 부동산도 터지는게 필연이다.
노인들은 가진게 부동산 뿐이고
그 부동산으로 노년을 버텨야 하는데
그 부동산을 사가야 하는 젊은이들이
1/2 로 줄어든 상태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1/4 까지 떨어지게 된다.
소비자 절대수가 1/4로 줄어드는 것은 절대적인 요소다.
눈치챈 자들은 해외로 도망가겠지.
고래들이 해외로 도망가기 시작하면
멸망은 더 급속도로 진행된다.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거시흐름을 뒤집을 수는 없다.
붕괴는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에 계속해서 보게 될 것이고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한다고 크게 바뀌진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손자 세대가 좀 더 나을 세상을 살기를 바란다면
스스로 무엇을 해야할 지 생각을 하고
유튜브는 그만 봐라.
돌* 들이 모여서 더 돌* 이 된다.
수천녀간 내려온 책들을 봐라.
그 안에 다 답이 있다.
과거에 이미 수많은 사건이 있었고
그때마다 기록과 자신들의 과오를 기록으로 남겨놨다. 인간들은.
그래프는 이전 아이디어에 있다.
다시 올리기 귀찮으니 보고 싶은 분들은 이전 아이디어 보시길.
코스피 대각채널 엔딩 다이아고날 시나리오 분석: 2024년 2월 18일 기준1. 엔딩 다이아고날 개념:
상승장 또는 하락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패턴
가격과 시간이 대각선으로 움직이며, 변동성이 점차 줄어드는 특징
강력한 추세 반전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
2. 코스피 엔딩 다이아고날 분석:
2.1. MACD:
MACD 선과 신호선: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시, MACD 선과 신호선이 교차하며, 이후 수렴 또는 발산 패턴 형성
수렴 패턴: 추세 지속 가능성
발산 패턴: 추세 반전 가능성
MACD 히스토그램: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시, 히스토그램 크기 감소
히스토그램 방향 변화: 추세 변화 가능성
2.2. RSI:
현재 RSI 값: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시, 과매수 또는 과매도 영역 진입
RSI 값 변화: 추세 변화 가능성
RSI 수렴 발산:
RSI 수렴: 추세 지속 가능성
RSI 발산: 추세 반전 가능성
2.3. 볼린저 밴드:
볼린저 폭: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시, 볼린저 폭 좁아짐
폭 변화: 변동성 변화 가능성
가격 밴드 위치:
가격이 상단 밴드 또는 하단 밴드에 근접: 반전 가능성
2.4. 거래량:
거래량 변화: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시, 거래량 감소
거래량 증가: 추세 변화 가능성
3. 투자 전략:
3.1. 엔딩 다이아고날 진입 확인:
MACD 선과 신호선 교차, RSI 과매수/과매도 영역 진입, 볼린저 폭 좁아짐, 거래량 감소 확인
3.2. 추세 지속/반전 판단:
MACD, RSI, 볼린저 밴드, 거래량 변화 분석
지표 수렴/발산 패턴 확인
3.3. 투자 타이밍 결정:
지표 분석 결과 투자 타이밍 결정
추세 지속: 매수 또는 포지션 유지
추세 반전: 매도 또는 포지션 종료
4. 주의 사항:
엔딩 다이아고날은 확실한 추세 반전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다른 지표 및 시장 상황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투자는 개인의 판단이며, 본 분석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본 분석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전에 충분히 분석하고,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십시오.
KOSPI종합지수 분석주요 (3)파 진행중 마이너3파 진행 상황
(1)파의 쐐기형 상승과 급락(2)파 (abc-335) 전년 10월말까지
전년 11월 이후 강한 추세전환 1파후 1월 급락 2파진행중
2개의 파동이 3파에 위치하며, 급등을 연출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향후 주요 저항자리는 노란색 3파자리인 161.8%자리 지수 2924포인트자리
또는 흰색 (1)파의 161.8%자리 지수 2980포인트 자리
이 자리는 일목상 주요 저항자리이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수익실현 및 조정시 매수 기회를 엿볼 자리입니다.
나스닥, 다우지수는 5파 완성한 상태로 조정이 예상되나, 연장파동을 쓸지, 우리지수의 디커플링이 될지는
추후 지켜봐야 겠습니다.
다우와 나스닥이 127.2% 확장에서 138.2%확장하고, 그 사이 우리지수가 폭등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종합지수 2920-2980(많이 본다면 3050)자리에는 반드시 큰 저항자리 이므로 상당수 수익실현후
재매수 기회를 노릴 계획입니다.
한국 경제성장과 코스피, 엘리어트 파동 싸이클 4파 조정으로 갈까?한국 경제는 롤러코스터처럼 급격한 성장과 하락을 반복하는 나라였습니다. 1980년대에는 고도성장을 거듭하며 세계 10대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했지만,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거대한 낙차를 경험했습니다. 이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며 2010년대에는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지만,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다시 한번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한국 경제는 늘 변동성이 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은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코스피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2022년에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코스피가 조정을 받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1월 말부터 코스피는 10% 이상 하락하며, 2020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악재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따른 전망: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주식 시장의 움직임을 5개의 파동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현재 코스피는 3파 상승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3파 상승이 완료되면, 4파 조정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4파 조정의 폭은1파 고점의높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 이유는 1파와 4파가 겹치는 다이아고날 형식으로 오르고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코스피가 10% 이상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추가 하락 가능성은 10% 내외로 볼 수 있습니다.
KOSPI 종합지수 4파구간 진입예상작년 말 진행한 1파의 176.4%자리(3파)를 완성한 종합지수
4파구간 진입한 것으로 보이며, 전형적인 횡보장세를 보이며, 급상승한 종목들은 조정이 예상되고,
지지부진했던 종목들은 상승하는등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다만, 2파가 50%자리도 오지 않았기에, 전형적인 횡보구간이 아닌, 급락을 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횡보하다, 5파 완성을 기대해 봅니다.
종합지수 주요 상승종목 예를들어 삼성전자, 하이닉스는 5파를 완성한 형태이며, 해당종목들은 조정이 예상되고,
기타 종목들중 지지부진했던 네이버, 현대차같은 종목들을 매수하는 것이 좋은 투자전략일 것입니다.
24년 1월 둘째주 지수가 반등이 올까 맨날 퇴근하면 차트만 보는데, 많은 기업들을 알아가는 재미는 있지만 본다고 수익률이 올라가고 그러진 않더라고요. 그래서 올해는 길게도 홀딩해보고 짧게 먹을거 기준을 정하고 , 한해를 임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삼성전자 실적 하회뉴스에 따른 반도체 2차전지 섹터가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로 상승하는 종목들 보면 테마주이고 제가 산 종목들은 다이나믹한 무빙이 없어서 아쉽네요 .ㅎㅎ
부동산 태영건설에 따른 부동산 이슈로 건설과 관련된 모든 주가가 영향이 있을까봐 겁나는데 ... 무난히 끝났으면 좋겟습니다.
1. 코스피
이제 지난번 글 처럼 이제 사야할 구간이 와서 꾸준히 마딧가마다 사서 1년뒤 결과를 지켜보고 싶네요 . 618부분을 더 많이 사고 싶습니다.
지정학 /전쟁 /국가가 위기에 혼라스럽지 않는한 지수가 폭락하지는 않을거라 생각을 하고요.
2.코스피 200
코스피랑 같은 맥락인데 etf가 200 etf로 주로 잇어서 그려봣습니다.
3.sk 텔레콤
매년 3200원 정도의 배당이 나옵니다. 2700원 정도 나옵니다. 0.5 마딧가부터 707까지 꾸준히 매수해서 배당금이 손해를 매꿀 수 있을정도의 평단을 형성해서 수익과 배당을 동시에 맛보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공시에 텔레콤이 ai 관련 개발을 많이 하고 있고 uam 교통기술을 개발도 하고 우리가 t맵으로 네비를 이용하듯이 시장에서 통신사로서 플랫폼의 우위를 어느정도 그래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좋은 재료도 많다 판단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확률이 더 높다 생각한다.
4.jyp
와이지는 블핑 계약 안되서 폭락중이덛데 , 요즘은 데이식스라는 남자아이돌 제이와이피더라고요.
886까지 기대해봅니다.
5.삼목에스폼
한번 글 쓰면서 올린적잇는데 놓쳐서
다양한 생각으로 그려봣습니다.
6. 팬오션
나름 hmm인수에 좀 힘든 부분이 있겠지만 장투용으로 냅둘려고한다.
그럼 내일도 화이팅입니다 .~~ 졸려서 이만 ..
23년의 마지막 날 12월 31일 23년이 오늘이 지나면 끝이네요. 뭔가 올해는 바쁘게 지나간 거 같네요. 시차적응이 망해버려서 맨날 불규칙하게 일어나서 일찍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ㅎㅎ 이렇게 트뷰 글 쓴지도 어엿 2년이 다 되가네요. 대학생 때 일을 하면서 인연이 되서 좋은 투자 가르침을 알려주신 귀인이 계셨고 , 투자의 재미를 느끼게 해주시고 , 좋은 커뮤니티에서 좋은 사람들과 투자얘기를 공유하면서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있던게 전 행운이고 행복한 한해였던거 같아요.
전문가도 아니고 개인의 생각이니 재미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스피 부터 시작해볼게요 ~
1. 코스피
올한해는 횡보를 하다 2차전지 테마에 힘입어 지수가 크게 오르락 내리락 했던거 같습니다.
중간중간 조선업의 슈퍼사이클이 부각되기도 했엇죠 . 아 살걸 이생각을 엄청많이 했네요. 아쉬워도 놓친건 어쩔수 없죠 . 다음 기회를 노리면되니깐!
올해 대야님이 알려준 크립토 차트들을 참고로 해서 생각한 모양입니다.
저는 횡보구간이 삼각형으로 마무리해서 끝낫다 생각을 했고 그후 상승을 펄스가 아니라 조정으로 가정했습니다. 그래서 첫파동의 저점을 깼으니깐 이레귤러로 가정하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5로 가는 패턴이라면 내려오면 2파라고 생각하고 분할로 차근 차근 매수해보고 결과가 어떨지 지켜보려합니다.
2. 코스닥
코스닥은 정말 차트가 너무너무너무 이쁩니다. 값도 깔끔하고
딥크랩이 이후 707되돌림에서 멈췄고 깔금한 상승을 보여주고 expanded flat이 나왔고 마지막 펄스값고 깔끔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한 싸이클이 끝난것 처럼 보이기도 하고 더 큰 스케일로 보라고하면 큰 파동의 1파2파가 될수도 있는거 아니야 ? 이런 생각도 듭니다. 올해 본 차트중에 제일 이쁘네요. 맥락은 동일한데
내려오면 매수를 해보고 하모닉 패턴을 이용해서 886까지 노려보고 숏을 진입해보고 싶습니다. 단기 조정일수 잇으니 짧게씩 먹고 롱을 길게 보고 싶고요. ㅎㅎ
대야님의 어록으로 확장플랫은 매번 어떻게 볼수도 있다고 말씀도 해주셨고 ... 그냥 존경할 수 밖에 없는 분이십니다. ..
--------------------------------------
어떤 업종을 내년에는 골라야할까 . 당연히 저는 머릿속으로는 반도체 / 조선 제조업 수출비중이 큰거에 투자하는것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런 공정과정에 대해 전문적이지 않으니 선택하기 어려운게 제갠 단점이에요 ..
제일 뭔가 팟 하고 생각이 드는건 게임주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cbdc를 도입하려고 하려고 시도하고 있고 .. 다른나라들보다 가상화폐 투자에 열을 가하는 모습이 보이기도하고요. 그저께 에어드랍이라는 개념을 좀 찾아보면서 코인 생태계를 활성화 시킬려면 투자자도 필요하지만 투자자도 원금을 회수하려면 그만한 이익을 남겨야할텐데 그럼 커뮤니티가 형성을 해서 어떤 무언가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유지해야합니다. 만약 공공기관이 이런 가상자산에 관심을 기울이고 산업을 키우고 친화적으로 접근할만 한게 있다면 게임만한게 없지 않을까요. ㅎㅎ 저는 파일코인으로 햄버거 쿠폰 삿던게 아직도 기억에 남네요.
그래서 게임 주식과 요즘 sto테마? 요런 애들 지켜봐야하지 않을가 싶어요. ㅎㅎ
3. 컴투스
딥크랩이 나오고 반등을 보였습니다. 딥크랩이 나오면 저는 반등은 확실히 잘주는데 힘없으면 폭락합니다. 진짜 위험하다고 생각하고 , 맥스트, sk , 서울 옥션, 핀에어 암튼 딥크랩쓰려고하다 물리고 손절한것도 많았습니다. 그런 친구들도 떨어졌다가 제가 산 가격으로 되돌아 온걸보고 참을걸 이렇게 생각도 들지만, 떨어질 당시에는 그런 마음이 눈에 안들어오죠. 눈에 음봉 커다란게 매일 생기면 ... 희망이 없어보이니깐요. ㅎㅎ 그래서 분할로 가면 적립 매수가 수익률은 낫더라도 큰 돈이 되면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죠. 그리고 큰 차트로 봤을 때 지금 가격은 낮다고 판단합니다. pbr이 저평가엿던걸로 알고요 올라서 이제 1 넘엇을지는 확인해봐야겠지만, ㅎㅎ
4. 카카오 게임즈
실적이 부진해도
유저는 카카오로 모으는거 만큼 좋은게 없지 않나 게임매니아는 아니라서 모르겟네요.
저점 안깬다면 요렇게 횡보후 상승 아니면 가틀리에 걸어보고 아니면 알수가 없네요 .
----
5. 비트
횡보하거나 쏟아 내려서 저기 네모칸으로 가던가
6. 설탕
5연장이라 생각해서 넣고 6퍼올라서 홀딩햇는데 어제 본절 나갔습니다. 아쉽지만 그래도 한번더 도전해서 1.27까지 결뎌보는걸로! 아니면 폭락할까봐 홀딩은 어려울거같습니다.
글은 여기서 끝낼까 하고요 .
이렇게 투자 인사트를 키우게 해주신 투자 스승과 좋은 커뮤니티 센세들 , 대야님 항상 감사합니다. 내년에는 좀 더 전문지식도 쌓고 올해보다 나은 성과의 투자를 하도록 저도 정진하겠습니다. 올해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내년에는 모두 부자되길 바라면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오늘 타종들으러 가야지 ~ ㅎㅎ
한국 인구 차트
연도별, 월별
한국 출생아수 차트 입니다.
아래 그림이 윗그림을 가리고 있는데
PC 에서는 마우스로 윗그림에 갖다대면 윗그림이 다 보입니다.
1. 연도별
연도별로 보면 하락하는 시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먹고살기 힘들어지면 안 낳습니다.
자연의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죠.
현정부에서는 지난정부 탓 하지만
데이터에는 다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2. 월별
월별로 보면
1~3월에 고점 (많은 출산)
후에 서서히 내려가다가
10~12 월에 저점을 찍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것을 보면
사람들 살아가는 패턴이 보이죠.
앞으로 30년은
한국은 잃어버린 30년이 될 것이고
일본이 다시 상승 할 것으로 보입니다.
잃어버린 30년이면 다행입니다.
전쟁으로 한국이 끝나지 않기를 바래야 합니다.
인구로 인해 내수가 서서히 무너질 것이 분명하므로 (무역수지 악화도 포함)
앞으로 투자를 어디에 해야하는지는 분명하니
남은 노후 잘 대처하세요.
여러분이 좋아하시는 것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실버산업이 클테니까요
코스피_B파동의 연장으로 변환, 5 - 3 - 5 ABC로 상방향코스피_B파동의 연장으로 변환, 5 - 3 - 5 ABC로 상방향
엘리어트 파동은 자연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자연의 법칙은 그렇게 방향대로 흘러감으로 인간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변화가 불가능합니다.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트는 하락 C파동이 나오다가 B파동이 연장되는 모양으로 변경되고 있습니다.
이는 공매도 금지라는 조치가 발효되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B파동의 연장을 가늠하기 위해 XABCD를 사용해보았습니다.
앞으로 종합주가지수는 3,000포인트를 향해 우상향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대외 여건상 재료가 많습니다.
1. 원달러 환율하락 추세
2. 총선
3. 전쟁과 유가 등
좋은 종목을 선정해서 5 ~ 10년 보고 묵히는 것이 어떨까요?
231107_코스피 : 공매도 금지와 수급의 문제어제 와이프가 자기 주식 계좌를 보여주며 으쓱 하더라고요ㅎㅎ그래서 오늘 제가 '폭망했다며?ㅋㅋㅋ'라고 놀렸더랬죠.
(참고로 저희는 맞벌이고 각자 월급은 각자 알아서 합니다. 투자도 각자!)
잘은 모르겠는데,
- 어제처럼 예외적으로 급등한 건 숏 포지션 커버링이었을 거라 생각하고요.
- 오늘 하락은 (평소 시황을 봤을 때) 상승세를 뒷받침 할만한 현물 거래가 없었기도 하고
- 아마도 기관 쪽에서 수익 실현하려는 매도 물량도 제법 있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어제 오늘의 기현상은 일시적인 수급의 불균형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사실 이런 건 그 누구도 예측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지금처럼 경직된 시장 상황에서는요.
그나저나 앞으로가 어떨지 약간 걱정되기도 합니다. 약세장에서는 선물 거래가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순기능도 있는데, 그걸 막아놨으니 말이죠.
이럴 땐 그냥 tv 쇼 보듯이 지켜보는 게 더 재미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