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U 트레이딩 아이디어
미국 1위 기업 한국 1위 기업, 대중적 미국 ETF 비교알려드립니다.
ETF 투자할떄 수익률 차이 확인차 비교했습니다.
이전 차트는 년도별 그래프 포함, 이번 게시물은 압축 오른쪽에 있는 수익률만 보시면 깔끔합니다.
1. 종목: 애플,삼성전자,미국 22개 ETF 합계 24개 종목
2. 수익률 순서
3. 국내 투자 개별 세금 45%, 해외 투자 고정 세금 22%
4. 국내 ETF투자는 세금 메리트 없음 해외 ETF선택
5. 기준일 2011년1월3일 ~ 2021년 12월 17일 (10년)
ETF란? 단일 기업이 아닌 묶음으로 된 인덱스 추종지수 (EX 100개의 기업이면 100개의 평균치)
레버리지 파생상품 +X3 -X3은 제외
복리계산기
매달 150만원 연이율 20% 투자
10년 투자시 5억 6천만원
20년 투자시 40억
30년 투자시 250억
나스닥 추종지수 10년 연평균 상승율 20%
30살 청년이 매달 나스닥 추종지수에 150만원씩 30년 투자시 은퇴시 60살에 250억 자산가?
화면에 마우스를 클릭하여서 움직일수 있습니다.
수익률
1위 APPL 애플 (미국 1위)
2위 SOXX (반도체)
3위 SMH (반도체)
4위 VGT (정보기술)
5위 QQQ (나스닥추종)
6위 XLK (정보기술)
7위 SKYY (클라우드)
8위 VCR (소비재)
9위 SPYG (S&P500성장)
10위 IBB (바이오)
11위 ARKK (기술)
12위 XLV (헬스케어)
13위 QLCN (친환경)
14위 삼성전자 (한국 1위)
15위 VOO (S&P500추종)
16위 SPY (S&P500추종)
17위 VTI (미국시장)
18위 ITA (방위산업)
19위 DIA (다우존스추종)
20위 ARKG (바이오)
21위 XLF (금융)
22위 IMW (러셀2000추종)
23위 VYM (배당)
24위 VNQ (미국부동산)
25위 SPYD (미국배당)
대표 대중적 미국 13개 ETF 종류 _ 역사적 수익률 + (삼성전자)알려드립니다.
1. 모두 미국 ETF 입니다.
2. 13개의 ETF 입니다.
3. 수익률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4. 국내 투자 개별 세금 45%, 해외 투자 고정 세금 22%
5. 국내 투자는 세금에 대한 메리트가 없어서 해외 ETF로 집중적으로 했습니다.
번외 삼성전자 추가
ETF란? 단일 기업이 아닌 묶음으로 된 인덱스 추종지수 (EX 100개의 기업이면 100개의 평균치)
레버리지 파생상품 +X3 -X3은 제외 했습니다.
화면에 마우스를 클릭하여서 움직일수 있습니다.
수익률
1위 SOXX (반도체)
2위 SMH (반도체)
3위 VGT (정보기술)
4위 QQQ (나스닥추종)
5위 SPYG (S&P500성장)
6위 VCR (소비재)
7위 ARKG (바이오)
8위 VOO (S&P500추종)
9위 SPY (S&P500추종)
10위 삼성전자 (005930)
11위 DIA (다우존스추종)
12위 VYM (미국배당)
13위 VNQ (미국부동산)
14위 SPYD (미국배당)
삼성전자 : 누구도 기대하지 않는 삼성전자 절대 저평가, 22년 2월 9만전자 복귀한다7만전자에 있는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극단적인 저평가 상태로 순수 메모리만 영위하는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러지 P/E 15배 수준에 못미침
삼성전자는 2026년까지 파운드리 생산량을 3배 증가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했었음, 월 100만장 가까운 CAPA 수준인데 향후 주가 평가에 있어서 마이크론을 못넘긴다고 보기 매우 어려움
최근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시 미국 증설을 확정지었고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감, 또한 평택 P3는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고 금일 서울경제 단독 보도로 P4 증설 작업에 들어간다고함
지난 20년 연간 영업이익이 35조 9천억 수준이었는데 이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의 주가를 달성했음 (9만원대) 이후 주식시장에 개인 참여자들이 많아지면서 삼성전자 종목에만 동학개미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음
상반기 내내 횡보를 보이다가 8월부터 10월까지 외국계 증권사의 목표주가 하향과 반도체 겨울론 등장으로 기존 상반기에 들어왔던 개인 자금이 인내심의 바닥을 확인하는 구간이 찾아왔음
8~10월까진 약 18% 수준의 조정이었고 상반기부터 보유했던 투자자들은 약 30% 수준의 손실이 계좌에 찍히게 된 것인데, 이후 11월부터 외국인들의 집중적인 매입으로 주가는 바닥을 잡고 있음
이미 개인들은 삼성전자 주식을 팔기 시작했고 그동안 하락으로 지친 개인들의 심리상 주가가 반등하면 보유했던 물량을 시장에 내놓는 경우가 상당히 많을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외국계든, 국내 기관이든 이러한 개인들의 물량을 서서히 잡아가며 실적에 수렴하는 주가 상승률을 충분히 보일 것으로 판단함
현재 삼성전자 시가총액 444조, 22년 연간 잠정 영업이익 52조에 멀티플 X10만 줘도 시총은 최소 500조를 넘어가야함, 그럼 주가는 기본 8만원을 돌파해야함
8만전자는 12월 혹 22년 1월에 충분히 도달을 할 것으로 판단하며 9만전자는 2월~3월 사이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후 신고가도 고려)
무엇보다 현재 삼성전자를 언급하고 투자자의 수가 명확히 줄었고 실제 수급에서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음, 누구도 삼성전자를 언급하고 싶어하지 않음 (또한 주식시장 비관론이 확대되고 있음)
이런 시기에 유대투기자본과 같은 주체들은 현재의 기회를 가만히 두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국내 증시가 세계 증시 상승률 대비 상승률이 꼴찌라는 이슈가 부각되고 있음
이런 시기야말로 증시를 비롯해 증시 대표 주식인 삼성전자 주가가 재평가 받기에 아주 적절한 시기라고 확신하고 있음 (추가 : 대만 TSMC 주가 추세도 박스권 유지, 고점 돌파가 나올 것으로 봄)
결론 : 12월~1월 8만전자 돌파 및 3월까지 9만전자 회복, 마이크론 테크놀러지 P/E 15배 수준을 따라잡을 것으로 기대,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삼성전자와 비관적인 주식시장 속에 기회가 있다
[국내주식] 삼성전자 주가분석 (5차)⭐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최근 코스피 200종목들이 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코스피 200의 대표종목인 삼성전자 주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포스팅 " 국내주식 삼성전자 주가분석 _매수 대응전략 포함 (2021.10.09.토)"을 보겠습니다.
- 요약 -
① 삼성전자는 디센딩 삼각수렴 하방이탈로 큰 장대음봉이 출현되었습니다.
② 이후 주봉상 상승의 기준이 되던 검정색 추세선을 이탈하면서 다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③ 현재 삼성전자의 주봉 RSI는 코로나펜데믹 주가급락 시 형성되었던 RSI 지수와 비슷합니다.(즉, 현재가 저점일 수 있다)
④ 또한, 3일봉에서 RSI 상승다이버전스 관찰이 됩니다.
⑤ 주식시장에서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거나 주목하는 자리는 안줄 수 있다.
⑥ 상위 내용을 근거로 69,600원까지 하방을 열어두고 20%, 30%, 50% 분할매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⑦ 하지만 빨간색 매물대(70,000원 ~ 69,600원) 이탈 시에는 덤핑이 나올 수 있기에 이때는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피보나치 되돌림 0.5 구간인 69,600원까지 하락할 여지가 있다는 점을 안내드렸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관점으로 69,600원까지 하방을 열어두고 분할매수 전략을 말씀드렸습니다.
⭐ 본 론 ⭐
본격적으로 삼성전자 주봉입니다.
삼성전자 주가는 RSI 검은색 저항선을 돌파했지만 주가 눌림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란색 삼각수렴 하방이탈 목표 값은 어느 정도 채웠다고 생각하며 현재는 검은색 단기 추세선을 기준으로 반등을 시도하려 하고 있습니다.
42,400원을 저점으로 96,800원을 고점으로 피보나치를 측정했을 때 69,600원은 0.5 되돌림 구간이며 이는 상승과 하락의 힘의 분기점이 됩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주가는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69,600원 부근을 지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직까지 96,800원에서 내려오는 하락 추세선의 영향에 있기에 빨간색 추세선을 돌파하고 지지받는다면 반등파동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편, 빨간색 추세선과 캔들과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 주가의 큰 방향성이 출현될 날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반등관점으로는 빨간색 매물대인 70,000원 ~ 69,600원을 지키고 빨간색 추세선을 돌파하는 것이며
조정관점으로는 피보나치 0.382되돌림 구간인 63,200원 ~ 62,800원 부근까지 하방을 열어두어야겠습니다.
상하방 지지 및 저항구간은 위 차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결 론 ⭐
① 삼성전자 주가는 RSI 검은색 저항선을 돌파했습니다.
② 69,600원은 상승과 하락의 힘의 분기점이 되는 중요한 가격으로 지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③ 개인적인 관점으로 반등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상하방 방향성이 불투명합니다.
④ 매매와 관련해서는 빨간색 추세선을 돌파하고 지지를 확인했을 때 진입해도 늦지 않겠습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삼성전자 (005930) - 11월 4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M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65000 지점대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급격한 상승이 나오면서 가격 방어가 된다면, 상승 추세로 전환되어 11000 지점대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W 차트)
7150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CI-RC지표에서 CCI선이 -100~+100 구간으로 진입함으로서 횡보 구간으로 들어섰기 때문입니다.
59700 지점은 2020년 11월 9일이 포함된 주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에서 중요한 지점입니다.
59700 지점으로 가까워질수록 급격한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70000-74000 구간은 중요한 구간으로 지지를 받는 모습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7150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따라서, 74000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1월 11일경(11월 10일-12일) 입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삼성전자, 한번 더 내릴 것#21년10월16일
#삼성전자
#매도세줄어듬
#조금더내릴것
#저항구간많음
일단 지난번 올려드린 지지구간 두번째 자리 (70200원 - 69500원)을 관통했다가 다시 올라온 상태입니다.
최근의 볼륨 상 매도세는 줄어든 것으로 판단(빨간색 화살표)합니다. 다만 한번 정도 더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2가지 흐름으로 보이는데요,
1) 한번 더 내리고 횡보 후 계단식 상승 <파란색 곡선>
2) 한번 더 내리고 곧장 반등 후 횡보 <주황색 곡선>
일단 반등 목표가는 74400 - 73700 정도로 보입니다.
볼륨낙서-> 예상되는 볼륨을 낙서해보았습니다.
만약 예상과 달리 더 많이 하락한다면, 그 다음 지지구간은 넓게 잡아서 62800 - 5600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저항구간은 좀 많습니다.
#저항구간
94000 - 93300
86100 - 85400
83200 - 82500
77700 - 77000
74400 - 73700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10.15 / 삼성전자 1일봉 분석 / 반등의 시작일수도!!#크랙 #크랙분석 #삼성전자 #005930 #1일봉
- 1월부터 시작된 하락추세에서 아직까지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8월이후 낙폭이 커지며 하락파동의 진폭이 커진것을 확인할수 있으며, 상승분의 피보나치 되돌림(하얀색 실선) 0.5레벨(69600)과 상승장중 만들어주었던 단기저항대(노란색 실선, 68400)의 지지를 받으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RSI와 RACD 모두 과매도 구간에서의 상승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으로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볼수 있습니다.
- 금일 갭상승이 출현하며 69600 상향시작 하였지만 71100 단기저항의 저항을 받으며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 69600~68400 지지가 깨지지 않는다면 단기적으론 72400~73700 까지의 상승을 볼수 있으며, 해당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77800~78400까지의 단중기적 상승을 볼수 있으며, 77800~78400 돌파 안착 해준다면 중장기적으로 83000~84300 / 89100 까지 상승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만일 69600~68400 지지가 깨져도 66000~65600까지는 공격적으로 매수 대응을 해볼수 잇는 자리로 보이지만, 66000~65600의 지지가 깨진다면 60300~58300까지의 하락가능성이 보이기 때문에 손절은 짧게 설정하여 대응하여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69600~68400 / 66000~65600 두 구간에서 매수 대응을 해볼수 있으며,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60300~58300에서 매수를 기다려 보는것도 좋을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