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UST.P 트레이딩 아이디어
솔라나[SOL]ㅣ상승분을 모두 반납할 것인가?종목명:솔라나
*SEOVEREIGN을 팔로우하시면 알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는 SEOVEREIGN이 다른 종목들을 더 많이 분석하는 추진력이 되어줍니다!
반갑습니다. SEOVEREIGN - 서버린(SeoVerign)입니다.
최근 있었던 비트코인의 상승랠리에 솔라나도 함께 탑승했습니다.
솔라나는 다른 알트들에 비해 좋은 포텐셜을 보여주고 꽤 큰 폭 상승에 성공을 했는데요.
저희의 분석에 따르면 솔라나의 고공행진이 이제 끝났으며 하락을 시작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근거는 엘리어트 파동에 있으며 5파동의 형태가 모두 진행된 모습입니다.
모쪼록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SEOVEREIGN은 분석 종목과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36.9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OLUSDT 1M 차트)
136.92 지점은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따라서, 136.9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W 차트)
MS-Signal 지표가 0.618 (119.71) ~ 0.707 (135.56)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0.5 (98.71)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HA-High 지표가 168.41 지점에 형성되었으므로 이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으로 볼 때 거래상 30 이상 상승하여야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없습니다.
다만,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136.9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됩니다.
현재 BW 지표의 수평 지점이 153.16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BW 지표의 수평 지점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153.16 이상 상승하여야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136.92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면 공격적인 매수를 진행합니다.
153.16 부근이나 새롭게 생성되는 BW 지표의 수평 지점이나 MS-Signal 지표 등을 만나게 되면 분할 매도해야 합니다.
이것이 공격적인 매수의 기본 거래 전략입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100% 매도나 매수 원금만큼을 매도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매수는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 BW 지표의 수평 지점,
- MS-Signal 지표,
- HA-High, HA-Low 지표,
-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
위의 부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가능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SOL 솔라나 저항받을 위치 체크포인트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갑자기 날씨가 추워졌어요 감기 조심하세요~
솔라나는 작년인 23년9월28일부터 조정이 없는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 하시는 과연 조정이 어디서 올까에 대한 부분을 가장 궁금해 하시는거 같았습니다.
그래서 장기추세선관점으로 솔라나가 어디서 저항을 받을지를 예측해봤습니다.
■빨간색 장기 상승추세라인 두줄이 높은 확률로 저항을 받을 위치 입니다.
그리고 녹색 장기 상승추세선을 리테스트를 할것이며 성공한다면 단기적 파동에 대한 조정을 할것이고 리테스트에 실패한다면 최종 상승분에 대한 조정을 추가적으로 할것이라고 봅니다.
■금색 장기 하락추세선은 솔라나가 상승돌파 할때 튀어오르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각도를 찾은것으로 해당 각도는 아주 신뢰도가 높습니다.
위 차트는 솔라나가 빨간색 장기 상승추세라인 두줄에서 저항을 받을때의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강한 매수세의 힘으로 조정을 성공하고 재상승하는 루트를 형광색으로 표기했습니다.
솔라나의 가장 강력한 지지저항 라인입니다. 중간중간 추세선의 영향을 받아 제대로 닿지 않은곳은 있어도 파동으로 볼때는 정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 관점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케트 한방씩 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밤보내세요
시장 탕고: "Twisted Pair" 댄스의 신비를 밝히다
금융 시장의 큰 무대에서, 모든 거래자는 자신을 잘 댄스로 이끌어갈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Twisted Pair" 지표는 시장 변동성에서 우아하게 춤추는 파트너입니다. 두 선을 사용하여 시장의 리듬을 짜고, 거래자들이 시장의 댄스 홀에서 리듬을 찾도록 도와줍니다.
시장이 물처럼 고요할 때, "Twisted Pair"는 꼭 얽혀 있는 두 리본처럼 보입니다. 그들은 차트에서 거의 겹쳐지며, "이제, 이 조용한 댄스 스텝을 즐겨보자"고 속삭인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시장의 콘솔리데이션 기간입니다. 가격 변동이 크지 않으며, 거래자들은 시장의 모든 세부 사항을 느껴보며 천천히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마에스트로는 언제든지 멜로디를 바꾸는 것을 좋아합니다. 변동성이 갑자기 증가하면, 음악의 리듬이 가속하는 것처럼, 원래 조용한 댄스 홀이 갑자기 활기차게 변합니다. 이 시점에서 "Twisted Pair"의 두 선이 시작적으로 분리되며, 그들은 열정에 불타는 댄서처럼, 각각 고유한 댄스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이 두 선이 분리되는 순간은 거래자에게 "준비가 되셨나요? 시장이 춤을 춰야 합니다. 춤 실력을 보여줄 시간입니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Twisted Pair" 지표의 변화는 시장 심리의 표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선이 밀접하게 연결될 때, 시장 심리는 안정적이며, 거래자들은 차분히 관찰하고 기회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분리되면, 시장 심리가 높아지고, 거래자들은 빠르게 반응하여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순간을 포착해야 합니다.
이 지표의 계산 방법은 신중하게 안무된 댄스와 같습니다. 시장의 역동성을 평균가, 거래량의 가중 이동 평균, 가격의 단기 편차를 계산하여 포착합니다. 이러한 계산은 댄서의 움직임처럼, 각 단계가 정확하고 강력하여 거래자들이 시장의 리듬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합니다.
실제 적용에서, "Twisted Pair" 지표는 정적인 차트 선이 아닌, 살아있는 댄스 파트너와 같습니다.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시장의 댄스 홀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안내합니다. 시장이 조용한 기간이든 변동성이 있는 기간이든, 거래자들이 현명한 결정 내리도록 명확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코드의 시장 논리를 자연어로 설명하겠습니다:
- **HJ_1**: 이것은 시장 댄스 스텝의 기초입니다. 평균가와 거래량을 계산하여 시장의 리듬을 설정합니다.
- **HJ_2**와 **HJ_3**: 이 두 선은 댄스 파트너의 팔입니다. 시장의 장기적인 추세를 식별하기 위해 스무딩을 통해 거래자들에게 도움을 줍니다.
- **HJ_4**: 이것은 시장 심리의 망원경입니다. 가격의 단기 편차를 계산하여 시장의 긴장과 흥분을 드러냅니다.
- **A7**와 **A9**: 이 두 선은 댄스 스텝의 안내입니다.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면, 이 두 선은 분리되어 거래자를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합니다.
- **WATCH**: 이것은 댄스 신호등입니다. 두 선이 겹칩니다. 시장이 조용합니다. 분리되면 시장이 활성화됩니다.
"Twisted Pair" 지표는 신중하게 안무된 댄스처럼, 시장의 댄스 홀에서 조용한 슬로우 댄스든 열정적인 탱고든지, 거래자들이 자신만의 리듬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장은 항상 변화하고 있으며, "Twisted Pair"는 멋진 춤을跳出시킬 수 있는 완벽한 댄스 파트너입니다. 다음으로, 이 고양이가 이 지표의 TradingView 코드를 소개할 것입니다:
// ____ __ ___ ________ ___________ ___________ __ ____ ___
// / __ )/ / / | / ____/ //_/ ____/ |/_ __< / // / / __ |__ \
// / __ / / / /| |/ / / ,< / / / /| | / / / / // /_/ / / __/ /
// / /_/ / /___/ ___ / /___/ /| / /___/ ___ |/ / / /__ __/ /_/ / __/
// /_____/_____/_/ |_\____/_/ |_\____/_/ |_/_/ /_/ /_/ \____/____/
// This source code is subject to the terms of the Mozilla Public License 2.0 at mozilla.org/MPL/2.0/
// © blackcat1402
//@version=5
indicator(title=" L2 Twisted Pair Indicator", shorttitle="TPI", overlay=true)
//define DEMA
DEMA_function(src, length) =>
ema1 = ta.ema(src, length)
ema2 = ta.ema(ema1, length)
2 * ema1 - ema2
//define TEMA
TEMA_function(src, length) =>
ema1 = ta.ema(src, length)
ema2 = ta.ema(ema1, length)
ema3 = ta.ema(ema2, length)
3 * (ema1 - ema2) + ema3
//input
swi = input.string(title="Switch", options= , defval="EMA")
ma(src, length) =>
out = swi == "DEMA" ? DEMA_function(src, length) : swi == "TEMA" ? TEMA_function(src, length) : ta.ema(src, length)
out
//Twisted Pair algorithm
HJ_1 = (high + low + close) / 3 * volume
HJ_2 = ma((ma(HJ_1, 3) / ma(volume, 3) + ma(HJ_1, 6) / ma(volume, 6) + ma(HJ_1, 12) / ma(volume, 12) + ma(HJ_1, 24) / ma(volume, 24)) / 4, 13)
HJ_3 = 1.08 * HJ_2
HJ_4 = ma(HJ_3 - (ma(close, 3) - HJ_3), 5)
A7 = HJ_4 <= HJ_3 ? HJ_4 : HJ_3
HJ_5 = 2 * HJ_3 - A7
A9 = HJ_5 >= HJ_3 ? HJ_5 : HJ_3
WATCH = A7 == A9 ? A7 : na
plot(A7, color=color.yellow, linewidth=2)
plot(A9, color=color.yellow, linewidth=2)
plot(WATCH, color=color.green, linewidth=2, style = plot.style_steplinebr)
HJ_6 = close * 1.1 - close < 0.01 and high == close
HJ_7 = HJ_3 >= HJ_3 and A7 < A7 and close > HJ_3 and open > HJ_3
// plot candle color indications
plotcandle(open, (open + close) / 2, open, (open + close) / 2, color=HJ_7 ? color.yellow : na)
plotcandle(close, (open + close) / 2, close, (open + close) / 2, color=HJ_7 ? color.red : na)
이 "Twisted Pair" 스크립트는 EMA(지수 이동 평균), DEMA(이중 EMA), TEMA(삼중 EMA)의 세 가지 다른 이동 평균 유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유형은 사용자가 거래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EMA 및 TEMA 기능 정의: 이 두 기능은 해당 이동 평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EMA는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특별한 이동 평균 유형입니다. 첫 번째 단락에서 ema1은 "길이"의 EMA이며, ema2는 ema1의 EMA입니다. DEMA는 ema1의 2배에서 ema2를 빼서 얻습니다.
2. 사용자가 EMA, DEMA 또는 TEMA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이 코드 부분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평균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3. "Twisted Pair 알고리즘"이라는 복잡한 알고리즘을 정의: 이 코드 부분은 "HJ"라는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복잡한 알고리즘을 정의합니다. 이 알고리즘에는 EMA, DEMA, TEMA의 다양한 복잡한 계산 및 적용이 포함됩니다.
4. 차트 그리기: 다음 코드는 TradingView에서 차트를 그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lot 함수를 사용하여 선을 그리고, plotcandle 함수를 사용하여 캔들 차트(K-line)를 그리며, 노란색과 빨간색을 사용하여 다른 조건을 나타냅니다.
5. 색상 지정: 코드의 마지막 두 줄은 HJ_7의 조건을 나타내는 노란색 및 빨간색 캔들 차트를 사용합니다. HJ_7의 조건이 충족되면, 캔들 차트의 색상이 해당 색상으로 변경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제 7 매도 국면입니다.반갑습니다 훈쌤입니다
트레이딩뷰는 정말 간만에 오네요 ㅎㅎ
오늘도 관점 공유 한 번 해볼게요 😊
"다 읽고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터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
▼ 그랜빌의 8법칙 (비트 대입)
차트에 삽입되어있는 이동평균선은 4시간봉 200sma입니다.
그랜빌의 법칙은 총 8개의 국면으로 나뉜다. 매수 국면과 매도 국면이 각각 4번씩 반복됩니다.
고점을 깨기 전까진 유효하며, 제 3국면의 고점에서 저항을 받는게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제 4국면의 저점을 제 6국면의 저점이 깨주는 모습이 가장 이상적인 모습입니다.
-
▼ 상승 조정 파동의 종결
복합 조정의 형태는 이중 지그재그의 형태로 판단됩니다.
복합 조정의 종결 후 상승 지그재그의 C파가 복합 조정의 X파를 돌파 후 내려가는 중입니다.
이는 상당히 의미있다고 보여집니다
이유는 저 X파가 존재했던 구간은 '스탑헌팅' 이 많이 발생하는 구간이며, 이는 유동성을 불러옵니다
세력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쉽습니다.
숏물량을 모으고 싶거나, 롱 물량을 익절하고 싶은데 현재 시장에 세력의 물량을 소화시킬만큼의 물량이 없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렇다면, 개미 혹은 고래들의 청산 물량 혹은 손/익절 물량을 필히 이용해야 할 것입니다.
그 물량이 가장 많이 나올 구간은 '스탑 헌팅' 구간이며, 의도적으로 그 구간을 터치함으로써 본인들의 물량을 소화시킬 것입니다.
한 번만 이해한다면, 차후에는 자연스레 이런 사고 방식을 갖게 될 것입니다.
-
▼ 하락 채널의 상단 트랩
채널의 트랩이란, 채널을 뚫었다가 다시 채널 안 쪽으로 회귀하는 패턴으로, 이 경우 채널의 반대편까지 갑니다.
아직 많이 진행된 차트는 아니지만, 리테스트까지 해준 모습이다. 유심히 지켜봐야 할 채널임은 분명합니다.
만일 트랩 패턴이 컨펌되고, 하락한다면 36K까지 열려있음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결론
→ 큰 타임프레임으로 봤을 때, 하락 관점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한 번 더 오른다면 더 좋은 매도 타점이 오긴 할테지만, 저는 천천히 모아가는걸 택하겠습니다.
"이 시장에서 방향을 맞추는 것과,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영역입니다."
방향을 맞춰도 수익을 못낼 수 있고, 방향을 맞추지 못해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못한다면, 이 시장에 살아남기 힘들 것입니다.
언제나 현명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솔라나 1달봉 , 가격의 추론시장의 주인인 마켓 메이커들은 개미들의 유동성을 원합니다.
유동성 메커니즘을 통해 가격의 경로를 알 수 있으며 , 그 가격 구간에 도달할때마다 탑다운 트레이딩을 통해 스캘~스윙 트레이딩이 가능해집니다. 스캘이냐 스윙이냐는 결국 가격범위의 차이일 뿐이며 LTF에서 정해 집니다. 모든 가격은 효율적으로 균형을 이루면서 개미들의 유동성을 확보 해야지만이 움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캘핑과 스윙의 차이점은 손/익 포인트가 달라질 뿐이며,
손익비와 승률은 비슷하게 나옵니다. 가격의 메커니즘과 프랙탈의 원리를 마스터 하신 분들은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