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ART(CPRT, NASDAQ) 기업분석안녕하세요, 오늘은 나스닥 100에 상장된 COPART에 대한 분석을 준비했습니다.
이 회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부터 진행하겠습니다.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B2B 형태의 중고차 매매 플랫폼 회사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 마지막에 적어 놓은 간략한 회사 소개를 참고해주세요.
📊기술적 분석
1. 현재 상승채널을 하락 이탈하여 이전 매물대 근처인 45.6달러 부근에서 하락에 대한 되돌림 발생
→ 상승이 지속되어 50달러 돌파 후 안착 시, 상승채널 복귀로 판단하여 매수 진입 가능
2. 현재 지지구간을 깨고 하락할 경우, 단기적인 매수구간은 42.6달러, 좀 더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40.4달러 구간으로 볼 수 있음.
→ 40.4달러 구간은 2019년도에 처음 대세 상승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작도된 상승채널을 현 시점까지 유지했을 때의 채널 상단이자, 큰 흐름에서의 전고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
3. 해당 가격대에서 매수 진입 시, 기술적인 관점에서 익절구간은 50달러(1차), 60달러(2차)로 예상해볼 수 있음(이전 매물대 및 고점 부근)
→ 다만, 장기투자의 관점으로 접근할 경우, 익절이 아닌 각 저항 돌파 및 리테스트가 확인될 때 마다 분할 매수 혹은 일정 기간마다 적립식 매수를 추천
기본적 분석 기준, 해당 회사는 5년간 매출/영업이익/EPS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부채비율도 낮은 편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 시, 아래와 같은 투자전략을 수립해볼 수 있음.
📊 투자 기간별 관점
1. 단기 (6개월~1년)
기대효과:
단기 모멘텀은 제한적. 최근 실적 가이던스 하향, 금리 부담 등으로 주가 반등 여력은 제한적.
결론 : 기술적 반등으로 $50~60 구간까지 회복 가능성은 있으나, 큰 폭 상승은 쉽지 않음.
2. 중기 (2~3년)
성장 요인:
EV 보급 확대 → 전손 처리 차량 증가
중고차 시장 구조적 확대 (신차 가격 상승, 소비자 신용 위축)
글로벌 확장 (유럽·신흥국 시장)
리스크:
경기 침체 시 거래량 둔화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축소 가능
결론: 안정적 연평균 8~12% 수익률을 목표로 할 수 있는 구간.
3. 장기 (5년 이상)
구조적 장점:
보험사와 독점적 계약 → 차량 공급 안정
플랫폼형 사업 특성 → 네트워크 효과 & 높은 진입장벽
재무 건전성 → 장기 복리 성장 가능
전망:
5년 후 시가총액은 현재 대비 1.52배 성장 가능 (연평균 1215% 복리 성장 가정).
배당은 없지만 자사주 매입 및 이익잉여금 재투자로 주주가치 상승.
결론: “장기 보유형 우량 성장주” 성격이 강함.
✅ 최종 정리
Copart는 짧게 가져갈 주식은 아님.
권장 투자 기간: 최소 3년, 이상적으론 5년 이상.
단기적으로는 가격 변동성에 흔들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구조적 성장 요인 덕분에 충분한 투자 매력이 있음.
📊 Copart (CPRT)
1. 개요
산업: 온라인 자동차 경매 & 재판매 서비스
본사: 텍사스주 댈러스, 미국
설립: 1982년
상장: NASDAQ (티커: CPRT)
시장: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브라질 등 11개국 이상
2. 사업 모델
온라인 경매 플랫폼 운영
보험사, 은행, 렌터카 회사 등이 사고 차량·압류 차량·중고차를 판매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제공
구매자: 중고차 딜러, 정비업체, 수출업자 등
Copart은 판매자에게 수수료를 받고, 물류·보관 서비스도 제공
3. 경쟁 우위
미국 최대 규모의 자동차 경매 네트워크
독자적인 온라인 경매 플랫폼(VB3 기술) → 실시간 글로벌 경매 지원
보험사와 장기 계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공급 확보
4. 재무 특징
지난 10년간 매출·영업이익·EPS 꾸준한 고성장
매출 CAGR 약 1315% (20142024 기준)
영업이익률(OPM) 35% 이상으로, 소프트웨어 플랫폼형 사업 특성을 보여줌
부채비율 낮음 → 탄탄한 재무 안정성
5. 리스크
중고차 시장 경기 변동(특히 금리·소비자 신용 상황)에 민감
사고 차량 공급은 보험사 청구 건수에 의존 → 사고율 감소 시 공급 축소 가능
미국 외 지역 확장에 따른 규제 리스크
📊 기본적 분석
1. 구조적 성장 (자동차 평균 수명 연장 & 중고차 시장 확대)
미국의 차량 **평균 사용 연수 12년+로 사상 최고치.
노후 차량이 많아질수록 사고 발생 → 보험사가 Copart에 차량 공급.
중고차 수요는 고금리·신차 가격 상승으로 오히려 더 증가 → 경매 거래량 확대.
2. 보험사와의 강력한 네트워크
Copart는 미국 주요 보험사와 장기 계약을 맺어 사고차량 공급을 독점적으로 확보.
경쟁사 진입이 매우 어렵고, 공급 안정성이 뛰어남 → 진입장벽 높은 플랫폼.
3. 글로벌 확장
미국 이외에도 영국, 독일, 브라질, 인도 등으로 확장.
특히 신흥국에서 중고차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 Copart의 글로벌 거래량은 계속 증가할 전망.
4. 높은 수익성 & 재무 안정성
영업이익률(OPM) 35%+ → 소프트웨어 플랫폼형 사업 구조.
부채비율 낮음 → 경기 하강기에도 버틸 수 있는 재무 체력 보유.
현금창출력이 강력해 장기 성장 투자 여력 충분.
5. EV 시대에도 기회 존재
전기차 사고율은 초기 단계에서 오히려 높음(배터리 화재, 수리비 비싸서 전손처리 많음).
EV 보급 확대 = Copart 경매 차량 공급 증가 요인.
⚠️ 리스크 요인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점)
중고차 가격 변동 → 경기침체 시 중고차 가격 하락, 경매 수익성에 부담.
사고율 감소 → 자율주행·ADAS 보급 확대 시 장기적으로 사고 발생률이 줄어들 수 있음.
규제 리스크 → 해외 확장 시 국가별 규제 및 세제 환경이 불확실.
Valuation 부담 → P/E ~27배로, 역사적 평균보다 다소 높은 수준 → 안전마진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