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인간 지표가 되어가고 있는 지금 새로운 의견을 한번 내어보려 합니다.
상승 추세가 시작되었다는 관점이기에 현재 2파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파 거의 막바지에 도달했으며 혼합형 이중 3파가 진행 중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15분 봉으로 확인했을 때 자세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3분 봉으로 확인했을 때 확실한 파동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 파동으로 주로 나오는 삼각형 파동이 진행 중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이번 1파동에서 동인파동의 2파와 4파의 길이다 1대 1의 비율을 보이는 것 외에는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관련 지수
4/17조정이 길어지면서 관점에 대해서 조금 더 확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조금 더 자세하게 파동을 세어보았습니다.
우선, 지금이 플랫형 파동의 마지막 파동이라는 관점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번 4파가 길어지면서 삼각형 파동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가장 이해하지 못했던 3/26~4/1 파동의 형태도 어느정도 관점이 잡혔습니다.
또한 이번 조정파동이 마무리 될 것 같다고 생각한 구간은 A파동의 길이와 같습니다.
그리고 조정파동의 C파가 시작한 부분에서 이번 조정파동의 4파의 고점까지 의 0.618의 되돌림과 일치합니다.
마
그런데 김프는 왜 생길까요비트코인 시총을 비트코인 1개 가격으로 나누면
비트코인의 공급량이 나옵니다.
상식적으로 공급량 차트는 당연하게도 꾸준히 우상향 해야하겠죠?
아이디어 제목과 관련해서 비교를 위해 3가지 페인을 가져왔습니다.
위부터 순서대로
첫번째는 코인베이스 비트코인 공급량 - 빗썸 비트코인 공급량
두번째는 코인베이스 비트코인 공급량
세번째는 빗썸 비트코인 공급량 입니다.
코인베이스의 페인에서는 너무나도 당연하게
시간이 지날수록 비트코인의 공급량이 우상향하는 모습이 보여집니다.
그런데 세번째 빗썸의 공급량 페인을 보면 한번씩 공급량이 줄어듭니
[20.01.05] 비트코인 시가총액에 대한 이야기와 지지선과 저항선위 자료는
트레이딩 뷰에서 계산된
현재가 기준의 마켓 캡 (시가총액)에 대한 그래프와
좌측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한 모든 의미있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표현한 것 입니다.
**들어가기 전에**
*시가총액의 개념 : 특정 종목의 현재 가격기준으로 계산된 가치 (내재 가치는 아닙니다.)
*시가총액 = 발행량 * 주가
로 Calculate 되며, 봉 마감 전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재 가격"에 영향을 받아 계산됩니다.
따라서, 시가총액은 물리적인 시장에 들어온 금액을 100% 확신하지 않습니다.
제가 비트코인 10개를 거래소에서
모든 아이디어 보기
지난 몇 년간 심볼의 가격 변동을 표시하여 반복되는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