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eum (ETH) - 11월 6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0.080311-0.089490 구간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0.072484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ETHUSDT 1W 차트)
1741.38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
1622.46-1879.6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1554.26-1696.52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HA-High 구간에서 가격을 유지하다가 1777.0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554.26 에서 저항을 받게 되면, 1340.12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11월 7일경 (11월 6일-8일)의 변동성으로 위와 같은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M 차트의 M-Signal선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게 되면, 급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ETHUSDT.5S 트레이딩 아이디어
[22.11.02] 이더리움 | 데이트레이딩 관점
안녕하세요
안전한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굳라이프입니다.
이더리움입니다.
비트와 동일하게 수렴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보여집니다.
수렴 이탈대로 매매가 가능하겠습니다.
만약 하방이탈을 한다면 넓게는 1450-1490까지는
지켜야할 구간으로 보여지며, 매수를 받아보기에 괜찮아 보입니다.
물론 컷의 기준은 1450을 못지키고 하방으로 이탈시엔
컷해야하겠죠?
조정을 좀 해주고 다시 상승파동을 만들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메시 Vs bj 파월 누가이길지 이기는편 우리편입니다.
오늘은 fomc가 있는날입니다.
변동성에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잃지않는 안전한 매매하시길 바래요.
감사합니다.
WANT의 트래블룰 / 10-31 / 일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더리움이 현재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숏 포지션를 추천드렸었는데요,
현재 자리에서 숏 관점은 폐기하고 좌측에 보라색 박스권을 돌파해주는지, 아니면 앞으로 며칠 지켜보면서
지지하는지 하락하는지 관망 하신 후에 다시 진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300불 부근에서 꽤 오랫동안 횡보한 이후에 나와준 반등이라서, 한 파동 더 올라갈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비트코인 또한 현재 어센딩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져서 힘 좋은 이더리움 숏 포지션은 빠르게 손절하시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현재 자리에서 롱 진입하시는 것도 꺼려지네요. 롱 진입하시겠다면 비트코인 추천드립니다.
이더리움 장기 하락추세선 돌파?#2022년10월29일
#비트코인
#이더리움
1일봉
지난 달 중순 쯤 이더리움 현물 목표가에 대해 언급드렸습니다. (연관아이디어 참고)
현재는 많은 분들이 보고 계실 장기하락추세선(선형 차트 기준)에서 멈췄었고 다시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당장에 거래량을 동반해서 상승하면 좋고, 혹은 그냥 저냥 마감해도 좋을거 같습니다.
주말에는 거래량이 없으니 옆으로 뺄거 같은데, 옆으로 빼기만 해도 추세선 자체는 넘어설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제가 보고 있는 목표가는 여전히 동일합니다.
1826 - 1806
2508 - 2528
2691 - 2671
3343 - 3373 (희망회로)
빨간색 선은 그냥 낙서로 그린거니까 너무 신경쓰지 말아주세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Ethereum (ETH) - 10월 27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1741.38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1879.61 이상 상승하게 되면, 2285.94-2558.23 구간으로 상승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285.94-2558.23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1D 차트)
1542.32-1574.40 구간에서 지지 받고 1622.46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0.786(1398.88)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741.38-1777.05 부근에서의 움직임이 중요합니다.
BTC와 마찬가지로 1978.61 지점은 돌파 매매가 가능한 지점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WANT의 트래블룰 / 10-26 / 일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더리움이 지난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비트코인에 비해서 강한 상승 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같이 상승다이버전스를 컨펌하고 올라온 것으로 오래간만에 시원한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다만 현재 차트에 있는 보라색 박스와 같이 매물대 부근에 근접하고 있으니 피보나치 0.382 구간 1500불 후반에서 1600불 후반까지
저배로 숏 포지션 진입하시는 것 추천드리며 손절라인은 피보나치 0.236으로 1700불 중반 부근을 추천드립니다.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하락 4파 조정으로 2000불 부근까지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니, 손절라인은 꼭 지키시고
4파 조정이 끝났을때 다시 숏 포지션 진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모닉 고민
문제 01) 중, 장기 추세선 긋는 경우를(산술n로그 둘 다 적용) 제외하고.. 최대한 로그차트로 고정시켜놓고 싶다. 귀찮쓰
//
문제 02 ) 특히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에서는 중, 장기 T.F.에서..
산술차트에서 구해진 하모닉 패턴 TP값 외,
로그차트에서 구해진 Fib. TP값들이 유의미한 변곡이 되는 경우들을 보게 된다.
물론 이 TP=변곡(로그차트 적용)으로부터의 다음 변곡(PRZ)예측은 하모닉 툴(산술차트가 적용된)로 잡아낸다.
헷갈리게 로그와 산술을 반복하여 클릭하지 않고...
로그 차트only로 고정 시켜서, 하모닉 패턴을 분석하고 싶다..
//
문제 03 ) 샤크와 싸이퍼 패턴 분석루틴에 대해 다시 정리하고 싶다.
.
.
.
* XB : BD
(= XA까지 올라간 파동에 대한 AB의 되돌림 비율 : BC만큼 올라간 파동에 대한 external 하락CD파동의 되돌림 비율)은
로그차트와 산술차트 둘 다에서,
하모닉 패턴 Tool자체에 고정된 값(산술차트 베이스)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
이 점을 고려하여 샤크n싸이퍼 패턴 분석 루틴 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
1) C point가 A point를 초과했으니, Shark or Cypher패턴으로 분류.
2) 로그 차트로 고정하여, 하모닉 툴에 적힌 XB : BD (.382 or .618 : 1.272/ 1.618/ 2.0/ 2.24/ 2.618 prz들을 기입.)
; A가 C point를 초과하는 패턴 등장 시, 샤크와 싸이퍼 루틴을 통합한 루틴으로 구함.
.
3) 기입된 prz들 => 경우의 수 줄이기. (XD값 확인, FCZ, NEo PRZ, prz를 써포트 하는 분석 루틴의 여타 컨펌리스트 참고)
.
4) 남은 prz를 Fix로 <= 이에 가까운 BC P. / XC .786, 886~1.13 prz 구하기. (그 외의 패턴의 경우..abc확장, abcd추가)
.
.
.
.
장점 01 ) 로그n 산술 차트에서의 Fib.값을 한 번에 분석하여 보면서, 이 둘의 비교 분석이 가능해짐.
.
; 피보나치를 중심에 둔 이론은 하모닉 패턴만 존재하는 게 아님.
=> E.W. or NEo 이론은 로그n산술차트를 융통성있게 사용함을 권장함.
; EW or NEo Trader 뿐만 아니라, 로그 차트를 기준으로 삼은 많은 분석가 & 트레이더들의 예측분석 타점을 참고할 수 있게 됨.
.
.
장점 02 ) 긴 시간 범위와 큰 가격 변동에 있어서, 시각적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로그차트가 필요함.
(;큰 변동폭에도 왜곡 현상 없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어 트레이딩에 유리함.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 환경...)
장점 03 ) FCZ를 본질에 두고 거래의 기준을 세울 거라면.. 산술차트에서 구하는 값과 로그차트에서 구해지는 값들이
최대한 뭉친곳(FCZ)을 거래의 기준으로 참고하면 좋을듯. (중장기 TF에선 각 차트의 0.5, .618 등 중요 Fibo 모두 보기)
.
장점 04 ) 산술차트에서의 TP값 만(.382 .618)을 고집하기에는 TP기준으로써 로직 빈약..
(당근..382 or .618과 크로스 되는 여타 근거 들이 필요하겠지만..)
; 큰 시간봉에서는 더욱이 많은 사람들이 로그차트를 기준으로 삼음..
.
; 산술차트 상의 AD .382도 .618도 아닌,
로그차트의 AD 0.618 부분이 => 여타 컨펌리스트들이 최대 중복된 곳이면 어쩔티비..
게다가 이 TP부분이 다음 하모닉연계의 B point로써 가장 잘 들어맞는다면?.. (X점을 다른 유의미한 곳으로 옮길수도 o)
.
.
(다른 패턴에서, 특히 중장기 TF에서, abc확장과 abcd패턴은 어찌할지 추후에 고민하도록...)
Ethereum (ETH) - 10월 20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 1D 차트)
1340.12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1.13(1228.15)-0.886(1349.2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하락 채널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이 채널에서 벗어야 추세를 전환할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하락하게 되면, 1196.8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여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는 시도로 이어지는지를 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196.81 부근, 즉, 1.27(1158.66)-1.13(1228.15) 구간이나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변동성 기간은 10월 21일경-24일경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