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전에 정배열(a regular array) 상태인지 확인 먼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는 역배열 상태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이므로 사실 거래할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HA-Low 지표 부근과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 위치해 있으므로 지지 받게 되면, 공격적인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적인 매수는 짧게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ETH는 2555.38-2646.97 구간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하였을 때 정배열(a regular array) 상태(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로 전환되었다면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단타 거래(day trading)에 익숙하다면 공격적인 매수부터 진행하여 본격적인 거래로 이어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공격적인 매수는 패스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격적인 매수를 진행하여 위아래로 흔들 때 버티지 못하고 매도함으로서 본격적인 거래를 진행해야 할 때 매수를 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수익이 줄어들거나 가격이 상승함에도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현재 BTC 다음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코인은 ETH 뿐 입니다.
이에 대해서 반박하실 수 있지만, 이건 펙트입니다.
그 다음으로 몇 개의 코인들이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즉, XRP, SOL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는 BTC와 ETH이고 나머지 코인 및 토큰들은 중기 이하로 거래를 통해 수익을 얻는 거래 코인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ETHUSDT 12M 차트)
병렬 채널을 작도할 때 가장 중요한 추세는 첫번째, 두번째 선택 지점으로 생성되는 추세선 (1)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두번째 선택 지점을 잘못 선택하게 되면, 엉뚱한 채널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세번째 선택 지점으로 채널의 폭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 또한 잘못 선택하게 되면, 엉뚱하게 해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추세선 (2)번이 중요한 추세선에 해당됩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1)과 (2) 중간에 생성되는 추세선 (3) 입니다.
그러므로, 추세선 (1), (2), (3) 을 통과하게 되면 추세에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렬 채널의 선택 캔들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로 피보나치 비율을 표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본적인 차트 분석을 위한 작도가 마무리되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이나 병렬 채널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목적이기 거래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혼동하셔서는 안됩니다.
피보나치 비율을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생각하고 따로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다면 거래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어야 합니다.
-
(ETHUSDT 1W 차트)
12M 차트에서 상승 병렬 채널을 그렸다면, 1W 차트에서 하락 병렬 채널을 그렸습니다.
1M 차트는 12M 차트와 같은 상승 병렬 채널로 작도되기 때문에 그리지 않았을 뿐 입니다.
이로써 하나의 병렬 채널만으로 볼 때 좀 더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왼쪽에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은 1W 차트에서 작도되었습니다.
원으로 표시된 구간을 통과함으로서 추세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1D 차트)
가격이 상승 파동을 만든 다음 하락 파동을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위의 1D 차트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하락 파동이 두개로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락 파동의 첫번째 파동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파동의 변화가 발생한 첫번째 파동에서 추세선을 작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 하락 파동은 현재의 파동과 연결되므로 이 또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 따라 중요 구간을 표시한다면, 차트에 표시해 둔 원의 순서와 같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ETHUSDT.3S 트레이딩 아이디어
상승 추세 전환 구간 : 2555.38-2646.97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상승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2555.38-2646.97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즉, 2359.3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2464.82-2499.0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위의 내용이 차트 분석의 핵심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 내용만으로 왜 이렇게 분석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답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의 분석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근거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
2464.82-2499.0 구간은 1D 차트의 HA-Low 지표의 박스 상단 지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구간 이상 상승한다는 의미는 상승 추세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므로 중요한 구간에 해당됩니다.
-
그전에 설명드려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Heikin Ashi 차트에서 거래를 하기 위한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HA-MS 지표 참고)
따라서,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이 형성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그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HA-Low, HA-High 지표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박스 구간을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상승하는 척 하락하는 척하는 움직임에 HA-Low, HA-High 지표가 무용지물인 것 처럼 느껴졌었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이 지표로 선물 거래를 할 수 있는지를 문의하시는 분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면서 HA-Low, HA-High 지표를 기준으로 박스 구간을 형성한 다음 추세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차트에 포함된 지표 형식으로 여러분께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박스 구간을 돌파하였다고 반드시 그 추세가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하지만, 어느 지점에서 매도 및 손절을 해야 하는지는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려놓지 못하였하더라도 1M, 1W, 1D 차트에 표시된 HA-Low, HA-High 지표와 관련된 지점을 빠르게 그려놓을 수 있다면, 빠른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
그러기 때문에 2464.82-2499.0 구간이 왜 중요한 구간에 해당되는지 알 수 있고, 2359.35 지점에서 왜 지지 받아야 하는지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2555.38-2646.97 구간은 위의 HA-Low, HA-High 지표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 구간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서는 1W 차트를 참고해야 합니다.
1W 차트를 보면, BW선 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BW선 지점과 1D 차트의 BW선 지점으로 이루어진 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장기 추세선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단기 및 중기적인 상승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승 추세에 대한 거래 전략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단타 거래(day trading)이나 단기 거래를 주로 하신다면,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가격이 위치해 있는지 아니면, 아래에 위치해 있는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1D 차트의 M-Signal 지표는 2464.82-2499.0 구간을 지나고 있으므로 다시 한번 2464.82-2499.0 구간의 중요도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이 BTC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대로 자신이 표시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 대한 근거를 찾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찾기 위해서 어렵게 차트 분석을 한다는 것은 오히려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은 직관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차트 분석을 오래하게 되면, 온갖 잡생각으로 머리속이 뒤죽박죽이 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요소입니다.
차트 분석은 최대한 객관적인 요소를 가지고 직관적이고 빠르게 진행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데 있습니다.
이점을 잊지 마시고 차트 분석을 통해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리고 그에 대한 근거를 찾아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어야 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024년 9월 30일 매매일지BINANCE:ETHUSDT.P
매매 진입 근거
1. $2727을 고점으로 생각하고 작은 헤드앤숄더 패턴을 만들고 넥라인을 이탈하였다고 생각함
2. 고점에서 하락 후 $2650 ~$2680대 베어 플래그 패턴
3. 베어 플래그와 헤숄 넥라인 이탈 후 되돌림에서 베어 플래그 고점을 못 꺠는 시나리오
4. 넥라인 되돌림 자리에서 숏 포지션 주문 대기.
- 손익비 1:1.5 자리에서 50% 익절 후 1:2 자리에서 40% 익절 / 10% 홀딩 물량은 반등 나오면서 약익절로 마무리
- 1시간 봉 더블 상승 다이버젼스 + 폴링 웻지 + 4시간 봉에서 크게 보고 있던 헤숄 머리 부분 완성 후 오른 어깨를 만들러 가는 넥라인 부근 + 작은 헤숄 목표가 1:1 자리였으나 이전 저점을 좀 더 크게 깨고 되돌림이 나올거라 생각해서 롱포지션을 작은 헤숄 목표가 1.414 자리에서 대기하면서 롱 포지션 실패.
차트상 매수 시기와 실제 매수 시기의 차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ETH가 매수하기 좋게 보일 때가 손가락이 가리키는 구간 부근으로 상승하였을 때 일 겁니다.
그렇게 되면, 더 이상 기다렸다가는 놓치고 말 것이라는 심리가 작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매수해야 하는 구간은 화살표가 가리키는 구간입니다.
이 중에 가장 좋은 위치는 9월 17일 이후에 화살표가 가리키는 구간을 넘어설 때 입니다.
그 이유는 BW선과 HA-Low가 위치한 부근에서 DMI와 OBV가 상승하였기 때문입니다.
현재 OBV는 고점선(High Line) 이상 상승한 상태이지만, DMI가 0 지점에 위치해 있으므로 DMI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다리지 못하고 매수할 것이였다면, 이전에 매수해야 할 시기에 매수를 했어야 합니다.
-
현재 가격 부근에 다시 BW선이 생성되었습니다.
따라서, BW선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생성된 BW선 최고점(100)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상승하더라도 지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531.05-2621.99 부근에서 지지받는다면 매수 시기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ETH는 BTC보다 많은 하락을 하면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의 위치, 즉, 2531.05-2621.99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기 때문에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지지 받고 상승하여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를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ETH는 현재가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일 하락하게 되면, 2159.0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상승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지 받아야 하는 구간이 1941.90-2159.0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BW지표가 최고점(100)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조만간 BW선이 생성될 것입니다.
따라서, 새롭게 생성되는 BW선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신의 거래 스타일에 맞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손절 지점은 2531.05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현재 1W 차트의 M-Signal이 바로 위에서 하락 중 입니다.
따라서, 지금 지지 받고 상승하더라도 1W 차트의 M-Signal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9월 30일경(9월 29일-10월 1일)입니다.
따라서, 이때를 기준으로 하여 1D, 1W, 1M 차트의 M-Signal이 어떻게 배열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4.09.24 고래지표 - ETHUSDT안녕하세요 Whale _ signal입니다
오늘은 ETHUSDT - 4H 차트를 올려드립니다
현재 SUPPORT LINE에서 반등이 나와주고 있고,
상승세를 보여준다면
다음 RESISTANCE LINE은 아래 고래지표 실시간 차트 셰어링에 공유하겠습니다
(실시간 차트 셰어링에는 SUPPORT LINE 닿기도 전에 이미 공유드려서 벌써 수익중입니다)
주요 관점을 분석한 후
정확한 매수 및 매도 타점을 고래지표를 통해 잡으시길 바랍니다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거래 시작의 핵심은 지지와 저항 지점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하다 보면, 알게 되는 것이 추세 전환 구간입니다.
따라서, 캔들의 모양이나 패턴을 익히는 것보다 이를 공부하게 되었을 때 큰 그림으로 매물대 구간, 추세 전환 구간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와 저항 지점, 구간을 알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캔들의 모양이나 캔들의 배열, 패턴을 외우려고 하지 말고 그러한 모양, 배열, 패턴 등이 나타났을 때 지지와 저항 지점 및 구간이 형성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트와 관련된 다른 공부를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하다 보면, 캔들이 모여 있는 구간에서 공부한 내용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여있는 구간을 수평선으로 그려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게 됩니다.
다만, 이렇게 그려진 수평선에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이 그려 놓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라도 막사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믿지 못해 쓸모 없는 선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자신의 심리 상태가 차트를 분석하는데 방해를 하게 되기 때문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러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Heikin Ashi 차트와 Renko 차트입니다.
Heikin Ashi 차트나 Renko 차트는 fake나 휩쏘를 감소시켜 보여주기 때문에 추세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Heikin Ashi 차트)
(Renko 차트)
이 중에서도 Renko 차트가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데 좀 더 수월하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
Renko 차트의 블록 끝 부근이 여러 개 같은 지점이 지지와 저항 지점 역할이 강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위의 차트에 그려 놓은 수평선 중에서 2800.0, 4000.0 지점이 3개의 블록의 끝 지점이므로 강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Renko 차트를 일반 캔들 차트로 바꾸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형성할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다만, Renko 차트는 가격을 블록 단위로 바꾸었기 때문에 이 지점을 가지고 거래를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Heikin Ashi 차트나 Renko 차트는 차트를 분석할 때 활용하기에는 좋지만 거래를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이를 보완하고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던 지표(StochRSI, OBV, CCI, RSI) 를 활용하여 가격 위치에 수평선을 만들도록 만들었습니다.
수평선이 현재 캔들 위치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현재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수평선이 길면 길수록 지지와 저항 역할이 강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캔들까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Heikin Ashi 차트나 Renko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은 거래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1D 차트만 보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지지와 저항 구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캔들 차트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지지와 저항 역할이 강한 차트 순서는 1M > 1W > 1D 차트 순입니다.
-
HA-MS 지표를 활용하여 1M, 1W, 1D 차트를 보면, 위와 같은 수평선들이 표시됩니다.
이를 알아보기 쉽도록 선 종류나 선 굵기 등에 변화를 주어 표시해 두고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
위의 내용이 일반 차트 관련 책에 수록되어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 방법에 해당됩니다.
당연히 차트 관련 책의 설명과 다르지만, 좀 더 명확하게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
위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가지고 거래를 진행하더라도 실제 거래를 진행하면 잘 안됩니다.
이는 거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거래 전략을 만드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위에서 설명드린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는 것 보다, 추세선을 보는 것 보다, 지표들을 보는 것 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 입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거래 전략을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니, 객관화시킨 차트의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를 진행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드는 연습을 하여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식 및 수익 실현 방식
위의 세가지을 정해야 합니다.
1번, 2번은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거래를 시작한 이후에 1번, 2번은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번이 실제 차트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매수 구간, 매도 구간, 손절 지점 등을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투자 기간에 따라 수익 실현 방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수익 실현 방식으로는
1. 현금 수익을 얻는 방법
2.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늘려나가는 방법
위의 1번, 2번 방식이 있습니다.
-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차트에 모두 표시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고 거래를 시작한 이후에 차트에 선들을 표시하게 되면 심리적인 요인이 추가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거래를 시작한 이후에 그려진 선들을 신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HA-MS 지표에 추가된 지표를 활용한다면 상관 없습니다.
이유는 객관화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객관화된 정보를 활용하여 거래를 진행하면서 투자 비중 조절을 통해 수익을 늘리거나 손실을 줄여 나가야 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대한민국의 명절인 추석 연휴가 9월 18일까지입니다.
이에 따라서,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건강하고 즐거운 연휴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
(ETHUSDT Renko 1D 차트)
240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와 2600.0 이상 상승하여 상승 블록을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ETHUSDT 1D 차트)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ETHUSDT는 BTC와 다르게 아직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2531.05-2621.9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2359.35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엣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현재 고점을 형성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2531.05-2621.99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차트 공부를 시작하면 익숙하게 되면, 추세선은 사실상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HA-MS 지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차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추세선을 그려 두었습니다.
이로 인해 차트를 보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는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저의 차트를 처음 보신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MS-Signal 지표로서 1M, 1W, 1D 차트에 있는 MS-Signal 지표의 주요 선인 M-Signal 선의 배열 상태입니다.
이를 통해 추세를 예상하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HA-Low, HA-High 지표과 관련된 것 입니다.
즉, HA-Low,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외의 선들은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선과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을 통해 추세를 알고 싶으시면, MS-Signal 지표에 해당되는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의 위치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거래를 진행하고자 한다면, HA-Low, HA-High 지표로 이루어진 지점이나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참고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면 됩니다.
핵심적인 지표에 의한 지지와 저항 지점만을 표시한다면, 위의 차트와 같습니다.
이것만 가지고도 거래는 진행할 수 있지만, 가격 변동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거래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차트 분석을 통해 알리고자 하는 것은 분석한 사람만이 제대로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는 각자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359.35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M 차트)
1M 차트에서 볼 때, 박스 구간에서 거래량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W 차트)
1W 차트로 볼 때,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지점은 1021.49, 2354.39 입니다.
따라서, 2354.39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D 차트)
2359.35 지점에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2531.05-2621.99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2359.35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2196.5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ETH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하락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2196.52-2621.99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9월 26일경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터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는 중요한 지지 구간을 터치하였습니다.
따라서, 2159.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2159.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605.23-1783.0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024년9월6일 #이더리움#2024년9월6일 업데이트
#이더리움
#큰그림
- 현물은 기존 대응 전략(1~4번) 여전히 유효
- 최고점 4900 달러 갱신 가능성 여전히 유효
- 매도보다 매수가 유리
#작은그림
- 시간 봉 상 상승 다이버전스 중첩중
- 앞서 언급한 비트와 마찬가지로 옆으로 흐르는 시간 있을듯
-----
현물 대응 전략
#대응1
#대응2
#대응3
#대응4
트레이딩뷰에는 생략. 텔레그램에만 공유.
-> 저라면 3번 또는 4번으로 할 것이고,
-> 만약 이 돈은 절대로 잃으면 안 되는 것이다 라고 하면 3번으로 진행할겁니다.
-----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단기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점 (2851.75)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단기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2851.7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현재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 인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9월 8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으므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2851.75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여 하락하게 되면, 2621.99-2700.43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렇게 2621.99-2700.43 부근에서 지지 받을 때, StochRSI > StochRSI EMA 인 상태로 전환된다면, 2851.75 이상 상승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1W 차트의 HA-High 지표 (3265.00)와 1M 차트의 HA-High 지표 (3321.30) 부근이 첫번째 저항 구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BTCUSDT 차트에서 변동성 기간이 9월 13일경입니다.
다만, ETHUSDT 차트에서는 9월 8일경부터 변동성 기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9월 8일경 이후에 단기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 있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가장 좋은 알트코인의 매수 타이밍안녕하세요. 빅쇼트입니다.
제 관점은 여러분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절대 매수, 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지금부터 팔로우 해주신 분들이 추천해주신 20가지의 알트 코인을 분석하겠습니다.
그동안 업로드 했던 알트코인들은 보통 TP를 적어두었지만 오늘 분석글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지금부터는 꾸준히 매집하는 시기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단타를 위한 수익을 원하신다면 뒤로 가기 버튼을 추천드립니다.
1. ETH
채널로 보았을 때 노란색 상승 추세의 미들선과 초록색 하락 추세의 하단선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즉 이 구간에서 지지가 나왔고, 반대로 말하면 손절의 기준이 되어야 하는 구간입니다.
가장 안전한 매매 방법은 손절의 기준이 짧은 곳에서 타점을 잡거나, 하락 채널의 미들선을 돌파하는 시점이 되겠습니다.
4시간 봉으로 본다면 삼각 수렴이 진행되고 있으며 빠르게 중요 저항 매물대인 2,735~2820$ 위로 올라서 마감해줘야 차트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겠습니다.
2. SOL
솔라나의 118$ 지지는 21년도부터 만들어진 구간입니다.
118$을 이탈했을 때는 80$까지 가능성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과감한 손절이 필요한 구간이죠.
매수하기를 희망하시는 분들은 118$을 기준으로 손절 라인을 설정하시고 그곳에서 매수하거나, 흰색 저항 추세선을 돌파했을 때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3. SLERF
OKX 거래소에서 7월 23일에 상장한 코인입니다.
0.171$에 강력한 저항이 존재합니다.
저점이 나온 이후 상승 추세선을 지키며 저점을 높이고 있습니다.
4시간 봉 이평의 배열을 본다면 길게 이어져 온 역배열의 모양을 깨고 상승을 준비하는 정배열의 모습이 나오고 있네요.
0.158$ 밑에서 계속 놀면서 이평이 꺾이는 것이 아닌 이상 괜찮다고 보여집니다.
4. APU
BITGET 거래소에 있는 밈코인 중 하나로 4시간 봉으로 확인했을 때 폴링웻지 패턴이 보입니다.
가장 안전한 매수 구간은 차트에 적어두었으며 단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끼리 정배열 하려는 모습이 보입니다.
5. SOFI
21년에 상장해서 지금까지 하락의 추세를 이기지 못하고 -99%가 찍혀버린 코인입니다.
캔들만 보아도 위아래의 세력의 장난이 느껴집니다. 이런 코인은 하지 않길 권유드립니다.
6. BOBA
SOFI와 같이 이러한 코인은 사지 마세요..ㅠ
주변만 봐도 좀 더 안정적이고 괜찮은 코인들 많습니다.
7. WIF
1.957$을 넘어서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지 구간을 확인할 수 없고 바닥을 알 수 없기에 지금 구간에서는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8. ONDO
RWA의 대장격으로 취급되는 코인입니다. 1분기에 엄청난 상승폭을 보인 이후로 잠시 주춤하고 있지만, 그 폭발력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을 것입니다.
0.65$의 지지를 근거로 분할 매수하며 그곳을 이탈하였을 때는 과감한 손절이 필요합니다.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는 순간과 저항 매물대를 돌파하는 시점이 우리가 알던 폭발력 있던 ONDO의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9. HBAR
위꼬리를 길게 만들며 엄청난 거래량을 보였던 저 캔들에서 무엇을 보셨나요?
일봉으로 보아도 그 전에 매집한 물량을 위에서 던진 이후 다시 매집을 하는 것으로 보셔야 합니다.
0.05$ 구간을 잘 보셔야 합니다.
10. CELO
0.39$를 기준으로 지지를 보이며 상승하였고 단기 저항 추세선을 돌파했습니다.
핑추선 돌파가 포인트입니다. (궁금하시면 댓글로 적어주세요_)
11. NEAR
주황색 추세선을 꼭 필수로 그려보시고 4.68$ 위로 올라가서 마감해야만 합니다.
12. ZIL
질리카는 이미 지지 구간을 이탈했기 때문에 다시 위로 올라오지 않는 이상 리스크를 감수하며
매수할 메리트가 전혀 없습니다.
13. COMP
작년부터 제가 정말 좋아했던 코인입니다.
수정 없이 그대로 가져왔고, 이보다 더 나은 분석은 없다고 자부합니다.
지금부터는 46$ 이탈 없이 진행되며 더할 나위 없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14. FET
AI 대장 코인입니다. 1~1.3$에서 횡보하며 매물대를 만드는 것은 좋습니다.
1$ 밑에서 가격대가 형성된다면 .069~1$로 매물대의 횡보로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15. AAVE
2주 동안 56%의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오른 코인들의 경우는 지지 구간의 눌림까지 기다리거나, 저항을 돌파했을 때 잡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지지 구간은 118$이고 눌림이 오거나 157~168$의 저항을 돌파했을 때 보셔야 합니다.
16. CRV
0.39$ 돌파 후 마감을 보고 매수하시길 바랍니다.
저항이 코 앞인 곳에서 바닥이라고 생각했다가 지하실 구경을 할 수 있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17. LSK
0.7$ 이탈 시 필수적으로 손절해야만 합니다.
18. WAVES
지지, 저항, 추세의 근거로 봤을 때는 1.3$의 최종 지지를 이탈했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평의 근거로 보았을 때는 단기 이평과 중장기 이평의 정배열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조 지표는 보조일 뿐이기 때문에 1.3$ 위로 돌파 마감했을 때 보시기 바랍니다.
19. UNFI
저항 추세선과 저항 근처에 있습니다. 돌파한 이후에 매수가 좋습니다.
20. TIA
4.9$를 이탈해서는 안 됩니다. 목표가는 8.2$입니다.
중요 구간 : 2531.05 ~ 0.382 (2647.88)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8월 19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시작되는 변동성 기간에 상승 추세선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2531.05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다시 2159.0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531.05 ~ 0.382 (2647.88)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그러므로,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시기는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되었을 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 차트가 1W 차트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태가 되었을 때 많은 상승을 보인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구간 (2531.05 ~ 0.382 (2647.88))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분할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현재의 흐름을 과거의 흐름과 비교해 보면, 2022년 5월 9일경에 해당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그때와 현재의 상황은 좀 다릅니다.
2022년 5월 9일경에 해당되었을 때는 USDT의 하락이 있었지만 현재는 USDT가 상승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가격보다 더 하락하더라도 매수할 시점을 찾을 때이지 손절할 시점을 찾을 때가 아니라는 점에서 예전과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