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USDTPERP 단기 조정 후, 롱? 아니면 하락 시작?ETHUSDTPERP 관점입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화살표는 가격 단기 조정 후 상승 관점이고, 세 번째 화살표는 하락 관점입니다. 롱 관점으로는 하늘색 박스와 보라색 박스에서 가격이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 보고 entry를 들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nakji의5
98swan- 매매 일지1. 첫번째 거래 2. 두번째 거래 그렇다면 어떻게 거래한 것이 가장 좋았을까?? 1. 첫번째 거래때 2. 두번째 거래때 이번 거래를 하며 느낀점: 확실히 단타 거래 일수록 반익절 + 반본절 전략을 잘 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확실히 단타로 갈수록 ABC 파동이 나올 경우 파동의 끝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첫번째 거래때 마지막에 불규칙 조정으로 내려가는게 뻔히 보였는데 그점을 트레이딩 하면서 못봤던 것을 보아 좀 더 잘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TH을 통한 거래는 본절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ABCDE에서 E 구간이나 기다리려고 합니다, 그게 몸과 마음과 정신에도 좋은 것 같습니다 최근 비트가 굉장히 지지부진하게 움직이고 있어서 굉장히 지루한 장이네요 ㅋㅋ 비트랑 커플링 되는 이더도 지루한 것 같습니다. 지루한 장이다보니 수익이 크게크게는 아니지만 그래도 잘 쌓이고 있어서 다행입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BlackSwan98의555
ETH/USDT Short 매매일지 Start #1 " 과매수 해소/저항돌파 실패? "BINANCE:ETHUSDT 과매수 해소/ 저항 돌파 실패 가정 하 숏포지션 진입숏GooGooGooGooGoo의1
ETHUSDTPERP SHORTETHUSDTPERP 숏 아이디어입니다. 주 거래셋업은 숏이지만, 항상 시장이라는게 확률게임이니 상방 아이디어도 표시해놨습니다.숏nakji의업데이트됨 4
98swan- 추세 거래법 (ex이더리움)ETH(이더리움) 같은 코인 같은 경우는 엘리엇 파동 이론으로 세부카운팅을 하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그런데 이더리움 같이 엘리엇 파동 카운팅을 하기 힘든 경우 일반적으로 추세를 만들어 one way로 파동이 흘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엘리엇 파동으로 거래를 하기 보다는 추세로 거래를 하는 것이 상당히 좋습니다 그렇다면 추세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을 알아야 할까요?? 1. 일반적으로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으로 갈 확률이 큽니다 = 반대 방향으로 가려는 힘이 강하다 우상향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뚫릴 가능성이 크고 ( 가능성이 큰 것이지 무조건이 아닙니다 ) 우하향 추세라인은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뚫릴 가능성이 큽니다 2. 내가 그은 추세라인이 의미가 있는 추세가 맞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내가 그은 추세라인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추세라인이라면 추세를 긋는 이유가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내가 그은 추세가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가 그은 추세선을 캔들이 이탈하였을 때 장대 양봉 or 음봉이 나오며 거래량이 터지는 것입니다 3. 추세라인을 이탈하여도 큰 장대 음봉이나 양봉이 안만들어져도 누가봐도 추세라인 같은 것들이 있다 위에서부터 이미 장대 음봉으로 내려온 캔들이라 이렇게 적은겁니다. 물론 장대 음봉으로 뚫리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긴 합니다 자 이제 이러한 점을 알게 되었다면 거래를 하는데에 있어서 1. 시나리오 2. 매수 타점 3. 손절 라인 4. 익절 라인 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시나리오: 추세라인을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추세라인으로 다시 5분봉이 들어와 안착하면 진입한다 (다시 안돌아오면 보내준다) 매수타점: 추세라인으로 다시 들어온 5분봉이 안착하면 바로 진입 손절라인: 추세라인을 벗어난 캔들의 고점 익절라인: 추세라인 하단부 터치시 이러한 점을 알았다면 추세라인을 이용한 매매를 하였을시 어떠한 결과를 얻게 되었는지를 차트를 보면서 확인해 봅시다 ** 진입 하실때 손익비와 확률을 보시고 괜찮은 지점에서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삼각수렴의 경우 손익비가 별로입니다. 페러럴 채널이나 적당한 확장형 추세라인이 거래하기 좋습니다 ** ETH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코인들에도 적용하기 괜찮은 매매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삼각수렴은 이 매매 방법에서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저점과 고점이 한방향으로 흘러 갈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성투하세요 ^^ BlackSwan98의114
ETH 하모닉/수렴패턴으로 본 매수목표가상당히 정석적인 흐름의 수렴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바닥권에서 더블바텀이 이루어진것으로 판단하고있다. 하모닉패턴을 사용해 최소 목표가를 3950~4000 구간으로 설정했으며 피보나치 886 부근인 4420불 구간이 수렴패턴 목표가와도 겹치는 부분이다. 1차 TP 3900~4000 2차 TP 4420~4450 다들 해피주말 보내시라롱trading_for_a_better_life의4
(ETHUSDT) 하모닉 패턴으로 보는 이더리움 분석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이더리움 장기 분석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지금 현재 사이퍼 패턴의 X와 D점을 연결한 상승 추세선과 위에서 내려온 하락추세선의 교차점 부근은 지지하고 한번 더 retest를 거쳐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Test지점을 C 지점으로 잡고 하모닉 패턴을 그려보았을 때 C point의 저점을 유지하고 한번 더 테스트 하고 지지받고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이 저점을 지킨다면 더 올라갈 것 같습니다. 이탈한 장기 상승 추세선위로 다시 올라가 나비 패턴의 PRZ가 보입니다. 거기서 리테스트 하고 다시 올라간다면 박쥐 패턴 더 나아가서는 알트 박쥐 패턴의 완성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박쥐 패턴들은 너무 먼 미래기 때문에 올라가는 파동의 모양을 다시 살피면서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C점을 이탈한다면 이 관점은 폐기입니다. 계속 지지 받은 자리니 지켜주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일봉 RSI가 50선 위로 넘어가는지 같이 관찰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롱HARMORIN의2217
이더리움 관점임펄스파동 (하락다이버전스) 현재 5파동 고점을 갱신한 조정파동 b파가 나온걸로 보여진다. 조정파동 익스팬딩 플랫조정으로 보여져 임펄스 파동의 0.618 구간을 목표로 생각하고 숏 관점으로 들어갔다.숏pixg1990의0
2022년 2월 28일 (Ethereum)안녕하세요 유비빔입니다. 이더리움 1시간 봉 정배열 발산 지지구간 에서 뚫리지 않는 한에서 단기 관점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롱Pororo_의업데이트됨 339
[2월20일] 현재 비트보단 이더리움 15분봉 하하향 박스권라인 형성안녕하세요 디버스 카피 트레이너 입니다. 요 몇일 차트가 아주 똥망이네요 ㅋㅋㅋ 이더리움 15분봉 박스권라인 형성 위아래 단타 진행하셔도 좋고 롱위주로 매매하는게 좋아보이네요 하방 숏 이탈 시 그냥 관망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Divers_trainer의4
이더리움 추세선과 매물대 저항 근거 숏 진입선형차트로 장기 상승추세선의 저항을 맞고 있고, 로그차트로는 1월 중순 반등의 상승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방추세에서 '억지로' 그은 추세선의 저항을 받고있으며 현재 자리는 매물대이기 때문에 쉽사리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짧은 스탑로스를 갖고 숏 포지션을 진입합니다. 만약, 현재 위치를 상방돌파시 강한 상승이 나올 수 있으며 그 상승이 꽤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숏포지션에 진입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유념하시고 "반드시" 스탑로스를 잡으시길 바랍니다. 더 올라오면 "반드시" 숏을 빼겠다는 다짐이 있는 분들에겐 손익비 좋은 숏자리라고 생각합니다. 1차 tp : 2991 (매물대 근거) -> 전체 물량의 1/2 익절 2차 tp : 2712 (꼬리 지지 근거) -> 전체 물량의 1/4 익절 (나머지 물량은 헷징 개념으로 들고 있다가 아래에서 롱을 잡을 예정입니다)숏Simulatio의업데이트됨 779
[2월 16일 - BTC/ETH] 현재 자리에서의 관점(비트코인/이더리움)안녕하세요 로또띠입니다 현재 자리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관점입니다. 지금 자리가 매우 헷갈리실 거라고 생각되요 사실 개인적으로는 박스권을 깨지않는 선에서 하루나 이틀정도 횡보했으면 하네요 감사합니다. ※ 이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롱04:56bok_ri_의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