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USD 롱들롱들 하방각이 열려있습니다. 떡락경보!!현재 2차 상승 후 개미들이 롱을 많이 탈 시기죠. 이더리움의 상승세는 슬슬 꺽이게 될 겁니다. 잡코인들이 설치고 호재는 없습니다. 현물에 개미가 몰렸을테니 이제 지옥갈 타이밍이겠죠? 차트에서 강한 양봉이 뜨고 지속된다면 손절해야되며 현재 그런 상승없이 떡락이 올 것 같습니다. 숏치고 돈버세요 ^^숏AGGRINV의663
느그리움은 하드포크이슈로 전고점을 돌파할 것인가?BITMEX:ETHUSD 이더리움 개발자의 '버그는 없고 하드포크는 예정대로 될 것이다'라는 뉴스 이후 계속되는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각수렴 이후 상방돌파하여 조정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저는 120.1에 매수했던 이더 전량을 128.8에 털고 125.1에 재진입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과 이전 고점들이 지지로 작용할 것을 기대하며 아래로 추가매수를 할 계획입니다. 2:1 손익비로 접근 가능하며 130을 강하게 돌파할 시 별다른 저항이 없기때문에 급격한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느그리움으로 모두 수익내시길.롱supremezero의업데이트됨 4
ETHUSD....어디까지 가능할까...개인적인 이더의 목표가를 설정해봤습니다. 현재 죽어있는 거래량과 비트의 알수없는 행방으로 앞으로의 흐름을 짐작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네요 우선 단기적인 흐름으로 본다면 우선 하드포크내용도 있고 하니...128부근을 지지이탈한다는 전제로 130~132 부근은 터치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림처럼 수렴돌파의 패턴예상가로 144~146을 예상해봤지만 시간도 너무 지체 되었고...사실상 현재로선 가능성은 희박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나마 가능하다면 136~138 부근이 목표최대치로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것도 그나마 비트가 상방을 바라봐줄때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트가 상방을 바라보지 못하면 이더도 130을 넘지 못하고 하락으로 가는상황을 염두해둬야 하는 상황이니 비맥을 하시는분들이라면 분할접근으로 빠른 수익실현으로 이어갈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현재 하락다이버전스도 형성되어 있으니 롱진입은..빠른 수익실현으로....또는 숏으로 분할진입하는 대응을 고려 해보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momo_79의3
2월17일 이더리움 간단 매매전략요청으로 올려드리는 이더리움 매매전략입니다. 저번 매매전략에서 매도 포지션으로 그려져 있던 128.7-129.4 구간에서 정확히 저항받고 내려 왔네요 들어가신분들 축하드립니다. 상승 마무리 저번 브리핑에서 많아야 1번정도의 슈팅기회가 남아있을꺼라 말씀드렸지요 그 슈팅이 오늘 나왔습니다. 상승은 이제 마무리가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제는 조정이 올 타이밍이지요 차트에 그려진대로 진행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떨어진다면 어디서 받아야할까요? 단기 반등을 노릴만한자리는 124.4-122.2 1차 구간과 117-115 2차 구간이 있습니다. 차트를 참고하셔서 분할매수 or 풀배팅으로 짧은 반등 단타등 개인 취향에 맞는 매수전략을 짜보시길 바랍니다. 라이징웻지 현재는 하락패턴인 라이징 웻지 패턴이 진행중입니다. 1차 지지구간과 2차 지지구간 갭차이가 큰 이유이기도 하지요 1차지지구간에서 매수를 들어가실분들은 패턴을유심히 보시고 스탑로스를 철저히 걸어주시길 바랍니다. (요청질문) 현재장이 너무 횡보에요 이런 상황에서 포지션은 어떻게? 들어가나요? 예를 들어주세요 📉#ETHUSD #매매전략332-2(수정) #중단기 short EP1 : 128.7 - 129.5 EP2: 130.4 -131.3 Sl 132.05 TP1: 128- 126.6 TP2: 125.2-123.35 TP3 121.5 -117.8 116 하방돌파시 익절권 스탑 118.8 맞춘후 홀딩 (ep2진입시 ep1이 tp1이 됩니다.) 요번에 나갔던 매매셋업 입니다. 매도를 잡으실꺼면 이렇게 위에서 잡으시고 매수를 잡으실꺼면 저번에 말씀드렸던 어센딩트라이앵글 패턴을 믿고 매수를 잡으셨으면 되셨습니다. 만약 이 두가지를 하셨다면 위로 8$ 아래로 5$ 수익을 드시고 있으시겠네요 -종합- 슬슬 상승보다는 조정을 기다려야 하는 시기입니다. 현물 매수를 받으신게 있으시다면 70%이상은정리를 하시고 밑에서 받을 준비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더리움 매매전략은 요청시 올리는거라 주기적으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 wisobo의19
1월 7일~1월 10일 프랙탈로 보는 다음 구간 예상EHTUSD, XBTUSD 차트 둘다 1월7일~1월10일과 비슷하게 가고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다들 비트코인 기준으로 3480이 지지라인으로 생각해서 저도 같은구간에서 반등으로 1차적으로 3800부근 그 이후로는 4200불까지 보고있습니다. 4200불에서 하락시 최저점이였던 3.1k를 돌파하고 신저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추천 자리 XBTUSD 3575 부근 숏포지션 진입 ETHUSD 121부근 숏포지션 진입 스탑로스로 타이트하게 XBTUSD 3600돌파시 ETHUSD 125불 돌파 손절 어처피 올라가면 비트의 가치가 오르기때문에 큰 손절은 숏Bl4CKC0WTR4D3R의0
간단한 비트맥스 이더리움 분석1시간 봉/ 4시간 봉 (비트맥스 차트) 눈에 확 들어오는 상승 쐐기 형태입니다. 꼬리들이 많이 나왔지만 계속해서 패턴 속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편의상 몸통들만 패턴에 적용하겠습니다. 현재는 지지를 한 번 더 확인한 상황이고 거래량은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눈에 띄는 것은 지난 이더리움 분석 글에서 언급했던 하락 채널입니다. 하락 채널에서도 저항선 부분이죠. 어제의 상승으로 저항을 한번 받았습니다. 비트코인과 같이 수렴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패넌트 형태가 아니고 상향 쐐기의 패턴이기 때문에 하락세 쪽으로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향 쐐기는 대부분 하락으로 진행되지만, 간혹 상승으로 진행될 때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인 매매를 하기 위해선 봉 마감이 저항선 위에서 되는지, 지지선 밑에서 되는지를 꼭 확인하고 포지션 잡으시기 바랍니다.Trader_AlexK의4
2월 14일 이더리움 매매전략 하락추세선 현재 중기 하락추세선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먼저 두번의 돌파시도가 있었고 모두 125 저항에서 밀린 상황입니다. 이 두번의 실패로 쌍봉을 만들었다고도 볼수 있겠습니다. 남은 돌파기회는 많아야 1번정도로 볼수 있습니다. 라이징웻지 현재 4시간봉 프레임에서 라이징웻지 형태를 취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추가 상승이 있더라도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 판단하고 있으며 저항 자리는 $ 125/131 입니다. 어센딩 트라이앵글 현재는 웻지 안에서 어센딩트라이앵글 패턴으로 수렴이 진행중입니다.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상승 패턴이지만 상단으로만 돌파가 발생하는게 아닙니다. 확율상 위 77%, 아래 23% 확율상 위가 높을뿐입니다. 현재 자리는 어센딩 트라이앵글 하단부입니다. 확률배팅을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자리는 짧은 손절을 걸고 매수 배팅을 해볼수도 있겠습니다. 하락한다면 지지구간 만약 하방으로 이탈이 나온다면 다음지지구간은 116/113/110이 되겠습니다. 108이 뚫리면 손절을 생각하시고 분할매수를 받아보실수 있겠네요 종합 요청으로 올려드리는 이더리움 매매전략이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패턴과 저항 지지구간을 참고하셔서 매매전략을 짜보시길바랍니다. -추천과 팔로우는저에게 힘이 됩니다.- 롱wisobo의14
190213 ETHUSD ETHUSD 1D 일봉상 서포트레벨을 뚫고 지지하는 중 50ema의 지지와 활발한 거래량 등 비트와는 다르게 상당히 긍정적인 모습 다만 바로 추가적인 상승으로 이루어지기에는 힘이 부족하다고 생각 가격이 하락한다면 공격적인 매수포지션으로 접근해볼 수 있으며 각 추세선을 뚫고 바로 상승할 경우 빨강박스 부근의 지지가 되는지 체크 후 매수 ETHUSD 4HRJJucifer의1
이더리움 현주소안녕하세요. 이더리움 요청 분석입니다. 지난 콘스탄티노플 연기 이후 오랜만의 이더리움 분석입니다. 기술적 분석에 앞서 현재 다시 부상하고 있는 이더리움 관련 뉴스는 역시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 소식입니다. 기술적 결함을 확인하고 하드포크 업데이트를 연기했던 기술진이 오는 2월 27일 전까지 하드포크를 한다고 합니다.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 이더리움 블럭은 7280000 째 블럭에서 업데이트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1월 초, 12월말 혹은 그 전부터 우려먹던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기 때문에 이번에도 핫한 영향을 줄지는 의문입니다. 소식을 아는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있겠죠. 이어서 기술적 분석입니다. 일봉부터 특징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9월부터 현재까지 우하향 채널 을 만들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거래량은 비교적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최근 상승했을 때 패턴 완성과 같은 상승이 있었습니다. 그 후 큰 거래량 없이 수렴 중입니다. 하락 채널에서 절반 위에 위치하면서 채널 돌파를 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보조지표 MACD의 0 밑에서 골든 크로스 ADX and DI의 추세 약화 = 하락추세에서 추세 전환 가능성 염두 장기적으로 볼 땐 채널 저항선의 돌파 여부에 따라서 상승/하락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4시간 봉 하락 채널에서 저항선에 위치하는 부분을 주황색 사각형으로 표기했습니다. 상승비율을 피보나치 되돌림에 적용했을 때 76.4%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선들만 살아있습니다. 보조지표들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과열되어있습니다. RSI 과매수 찍고 조정 중입니다. 히등 하락 다이버전스까지 나오면서 하락/조정 움직임 보입니다. MACD 0위에서 데드크로스 50 EMA와 100 EMA의 교차가 있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해석됩니다. 4시간 봉 중단기 모습에서는 조정이 한번은 필요한 모습입니다. 5파까지 완료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고 채널 저항에서도 저항받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요약: 1. 장기적으로 하락 채널의 이탈에 유의. 2. 상승 이탈한다면 지지선 리테스트시 진입으로 리스크 헷지 3. 중단기적으론 조정이 불가피한 모습. 4. 횡보 혹은 조정이 진행되고 4시간 보조지표 냉각 필요. 5. 5파 완성의 가능성을 두고 보수적으로 대응 Trader_AlexK의업데이트됨 7
ETH USD Bitmex 간단 매매전략 요청으로 올려드리는 이더리움 간단 매매전략입니다. 상승파동마무리 현재 이더리움은 상승파동을 마무리 하고 조정을 기다리는중입니다. 이자리에서 추가상승이 있을수도 있겠지만 그폭은 매우적을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시점매수보다는 지지구간내 분할매수로서 대응을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지지구간 지지구간은 차트에 표시된바와 같이 두군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본인의 투자성향에 맞게 구간내 배팅을 하시면 되시겠습니다. 매도구간 이더리움의 최대 상승폭은 131을 넘지 못할것이라고 판단중입니다. 추가 상승파동이 나온다 가정할시 131까지의 저항구간은 지지구간과 마찬가지로 두군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매도하실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롱wisobo의6
ETHUSD 하락장은 끝난 건가요?1년 넘게 지긋지긋하게 유지되어왔던 하락장은 끝난 걸까요?... 글쎄요... 거래량이 엄청나게 터졌네요.. 제가 음모론자인 걸까요? ㅎㅎ..숏serendipity-의0
ETHUSD8월부터 이어진 초 장기 뿅망치 라인이 끝에 다달았습니다. 방향을 정해야 하는 시기이지만 세력들이 횡보로 흘려버릴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자리가 어려운 만큼 짧은 s/l 을 걸고 숏에 들어가보겠습니다.숏serendipity-의0
ETH USD 매매전략 요청이 있어 간단하게 올립니다. 현재 이더리움은 하락파동이 진행중입니다. 현재 이더리움은 총 3차 지지구간이 존재하며 현재는 1차 지지구간에서 반등이 나온 상황입니다. 분할매수를 노리시는분들이라면 이 지점부터 3차 지지구간까지 매수전략을 짜보시면 될듯합니다. 롱wisobo의117
[19. 02. 06]ETH 이더리움 차트 패턴(2)BITFINEX:ETHUSD 안녕하세요. 이더리움 차트 패턴 진행 현황입니다. 역시나, 하루하루 계속 다른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분석이 많아 차트 분석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지 못하는 초보 투자자 분들에게는 트레이딩 뷰에 업로드 된 차트 분석이 오히려 독이 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근 몇달간 계속 되어 오고 있다는 것은, 비단 저의 생각만은 아닐 것 입니다. 큰 프레임에서 수렴의 진행과 투자 심리의 감소로 인한 거래량 감소, 그로인한 각종 지표들의 신뢰도 하락이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있으니, 매매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Quantkr의업데이트됨 0
ETH/USD VB지표매도시그널이 발생하였습니다. 매수는 조심스럽게 자신이 정한 손절라인을 벗어나면 매매원칙을 꼭 준수하시길 바랍니다. 이더 차트의 백테스팅결과 첫번째매매 롱 -23퍼손절은 거래량이 없을때 발생한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벡테스팅은 손절2번 최대손실률 4.97%에 가까운 높은 승률의 지표의 분석입니다.숏sw6794의업데이트됨 0
[19. 01. 29] ETH 이더리움 차트 패턴BITFINEX:ETHUSD 이더리움 종목 차트 패턴. 패턴트의 반복. 패넌트 수렴의 영역에서 저항선/지지선을 터치 할 때 등장하는 반등과 조정이 반복 중. 이번 작은 패넌트 수렴 후 지지 이탈 시 이더리움은 100$를 지키지 못 할 것으로 확신. 한국 트레이딩뷰에 호감이 크지 않아, 퍼블리쉬 자제 하고 있었으나, 최근 크게 보지 않고 작은 변화에 롱/숏 리스크 큰 마진 분석들이 많아 답답한 마음에 적어봅니다. 분석은 자유고 의견이고 매매는 선택이지만, 어느정도 위치에있고 파급력 있는 위치에 있다면, 업로드 이후 삭제조차 안되는 이 플랫폼에선 좀 더 신중한 분석을 올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 Quantkr의업데이트됨 3
이더리움 매도 (BITMEX-ETHUSD) EMA 50 PULLBACK BITMEX-ETHUSD EMA 50 PULLBACK 전략 진입가 103.6 이상 손절가 108.6 익절가 99.7 손익비 1:1숏Jangis의3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 딜레이로 인한 영향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더리움입니다! 한동안 이더리움을 필두로 해서 많은 알트코인이 큰 상승을 하며 연말 좋은 수익을 내 신분들 계실 겁니다. 이때 상승했던 알트코인들 중 왜 이더리움이 갑자기 주목을 받게 되었는지 짧게 설명하자면 일단 이전 ICO 코인 회사들이 자신들이 발행한 코인이 시중에 나오게 되니 개발을 하지 않고 비트가 요동치니까 버티다가 결국 손절치고 투자금 회수하게 되면서 이더리움의 가격은 어느 알트코인들보다 빠르게 떨어졌습니다. (그 당시) 현재 시장보다 가치를 덜 인정받던 이더리움은 사실 작년 하드포크를 준비했습니다. 콘스탄티노플이죠. 작년에는 7월부터 말이 많았습니다. 작년 12월까지만 해도 그렇게 많은 사람이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표면적으로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사실이 작년에 연기가 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하락하는 시장에 한줄기 빛 같은 이슈 몰이로 매수세가 상당하게 모이고 몇몇 알트코인들도 덩달아 상승을 하게 되었습니다.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이더리움이 시장을 움직인다는 소리도 나올 정도로 매수세가 강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가 또다시 지연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하드포크 이전에 매집하고 꼭대기에서 이득 보시고 빠진 분들이 눈치를 보게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지연 이유는 엄청난 약점이 발견되어서 이 오류를 수정하고 진행하겠다고 하였고 금요일에 있는 Devcon에서 연기된 하드포크 예정일 발표한다고 합니다. 이 예정일을 중심으로 또다시 한번 매수세가 살아날 가능성도 생기겠습니다. 이더리움의 이슈에 대해서는 말이 좀 많았지만, 전체적인 그림에 필요한 이야기여서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더리움 차트는 보시는 것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상향 쐐기가 보이면서 지지선 위치가 뚫리면서 하락 이탈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상향쐐기의 목푯값의 수치까지 완벽하게 도달하지 못했지만 인정해야 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만약 여기서 추가 하락이 나오고 목푯값을 뚫는다면 다른 패턴으로 인식하겠습니다. 또 횡보 수렴한다면 목푯값 도달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공격적인 매매전략: $113 에서 오차 범위 설정하고 분할 매수로 공격적으로 진행해 볼 수 있는 위치입니다. 이때 손절가는 $109로 하시기 바랍니다. 직전 매물대입니다. 수비적인 매매전략: 패턴이 생기고 이해할 만큼의 지지 저항을 확인 후 확정 이탈에서 매수 4시간 봉 보조지표입니다. 크게 인상적인 보조지표의 움직임은 없습니다. 하락 쪽으로 무게가 더 실리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EMA도 교차 직전인데 저항받을 것 같습니다. 200과 초록색과 파란색 EMA. 거래량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매수 익절 비율이 높아서 매집 느낌이 없습니다. 차트 패턴 상으로 볼 때는 공격적인 진입 위치가 나왔지만, 보조지표들을 참고하니 지지를 확인하는 게 먼저인 것 같습니다. Trader_AlexK의업데이트됨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