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LV2025 트레이딩 아이디어
[하나금융투자] Daily 시황 20210728 (에너지/금속/농축산)에너지/금속/농축산 Key Point
원유 가격은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우려로 하락
중국 정부의 자국 기업규제는 원유 등 위험자산에 타격을 줌. 장 종료 후 발표된 API 원유재고는 472만 배럴 감소하며 예상치 하회
금 가격은 Fed를 앞두고 달러가 약세 영향으로 소폭 상승. 1800달러 회복에는 실패
미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다음 주 냉방수요 감소 전망으로 3% 이상 하락. 최근 천연가스는 폭염으로 인한 냉방수요 증가로 고점 경신
07.26 트레이딩뷰 (오일)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해외증시와 해외선물을 분석하는 트레이더 K입니다
7월 26일 WTI 분석글이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아요와댓글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저번주 금요일 WTI(9월) +0.4% 상승한 배럴당 72.3달러로 마감 하면서 배럴당 70$에대한 가격대를 다시한번 되찾아왔습니다.
코로나 19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이때 OPEC+ 정례회의에서 결정된 증산량에
주 초반 7%대 급락세를 시현했으나 ,EIA 원유 재고및 오클라호마 쿠싱 원유재고 확인 과정에서 견조한 수요가 확인됨에 따라 반등하며 배럴당 70달러선 회복하면서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고있습니다.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오일은 지속적인 상승모멘텀 시현한다고 그랬죠??)
이전글에서 올려드린것처럼 시장분석만 잘이해한다면 이전 하락은 조정 관점이 강한상태라 이야기드렸습니다.
(곧 매수세로 안정화 된다 이야기드렸죠)
금일 시장은 큰 이슈가 없기 때문에 전반적인 안정화 흐름을 보여주며 지속적인 상승세가 유지될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피보나치 추세 목표값 관점에서 바라봤을때에는 1차 목표값까지 다온상황이기 때문에 잠시 쉬어갈 가능성이높습니다
또한 현재 1차 목표값구간을 돌파하더라도.... 기술적 관점에서는 이전에있던 하락채널이 아직까지 유지되고있는 상황이기때문에 윗가격에서의 제한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채널 상단에대한 저항값은 시간에 따라 조금 씩 달라질수있겠지만 현재는 73.00~73.20 정도 로 유가의 상승이 제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또한 현재 유가가 안정된 계단식 흐름을 유지하는것보다는 가시적으로 지나친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상승세를 보여주고있는 상황이라
언제든지 눌림하락이 연출될 수 있습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유가가 어느정도 급등이 연출되더라도 제한될 수 있는 가격구간에서 눌림이 나올 수 있으니 현구간에서는 관망을 또한 추가 상승이 나오더라도 위에서 말씀드린 73.00~73.20 구간 가격대에서는 매수대응보다는 관망 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유가에대한 가장 합리적인 매수 지지포인트는 69.60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
배럴당 70$에대한 가격대와 거의 근접한자리이기도 하고 주요 분석인 피보나치 에대한 1차 지지값인 0.382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오늘글에대한 3줄평가를 여기서 하자면
1. 유가 안정화 들어간 상태
2. 다만 현구간과 73$근처에서는 저항이 깊게 나올수있음.
3. 큰눌림이 발생한다면 69.60 부터 지지 열어두시고 보시길.
[하나금융투자] Daily 시황 20210722 (에너지/금속/농축산)에너지/금속/농축산 Key Point
원유 가격은 원유재고 증가에도 최근 하락이 과도했다는 반발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EIA 원유재고가 210만 배럴 증가하며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지만 낙폭과대 인식과 하반기 수요 기대감이 유지되며 70달러대를 회복
금 가격은 델타 변이 확산에 의한 달러 강세의 영향이 이어지며 4거래일 연속 하락
천연가스 가격은 8월까지 더위가 전망되며 에어컨 수요 증가 전망에 정규장에서 2% 넘게 상승. 장 종류 차익실현이 나타나며 하락
07.20 트레이딩뷰 (WTI)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트레이더 K 입니다.
시장에서 주요한 종목인 오일 트레이딩에대한 지지와 저항가를 기술적 분석과 함께 시장 상황과 연결 지어 이야기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전반적으로 유가 시장에대해서 이야기를 한번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전일 유가 시장은 큰폭의 하락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날 WTI(8월)는 7.5% 하락한 배럴당 $66.42를 기록하면서 월요일 부터 큰폭의 하락마감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단 이부분에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말씀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현재 유가에 대해서 방향성이 궁금 하신분들이 다소 계실듯 하니 순서쌍으로 이야기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
- 유가시장에 가장큰 이벤트였던 OPEC+ 감산 완화 합의
OPEC+는 저번달 말에 진행되었던 정례회의가 3차례 연속 합의점을 맺지못하고 연기가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
그이유는 감산 기준선을 높여달라는 UAE의 반대 때문이였는데요 UAE는 감산의 기준이 되는 생산량 (baseline)이 증산국중 UAE에 너무 불리하다고 주장하면서
다른 증산국들과의 합의점을 도출해내지 못하고있는상황이 합의점을 만들어내지 못했던 것입니다.
작년에 대규모 감산에 합의했던 4월의 생산량과 비교해보면, UAE의 감산 기준선은 OPEC+ 회원국들 중에 가장 낮으며 일간 320만 배럴로 기준선이 설정되어있는데 UAE는 일간 380만 배럴로 재설정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하면서 회의에난항을 겪었었죠
아무튼 이런와중에 저번주 주말에 감산합의에 성공했습니다 .
일단 8월 부터 2022년 9월까지 14개월에 걸쳐 매월 40만 배럴/일의 증산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현재 OPEC+이 총 약 5.8백만 배럴 /일을 감산중이기 때문에 현재 제시된 스케줄 대로라면 회원국들이 성실히 증산에 임한다면 감산은 내년 10월에 공식적으로 종료가 됩니다.
(즉 7월 정례회의에서 시장에 50만배럴/일 기준보다 낮은 40만배럴/일 기준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결과 였고 향후 1년간 증산 스케줄이 명확히 제시된점은 유가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할수있는 긍정적인 평가를 드리는겁니다)
아무튼 상당히 완화적인 (DOVISH) 합의점을 맺으면서 사실상 긍정평가를 받고있는 회의가 잘마무리되었음에도 현재 유가에대한 모멘텀이 많이 하락으로 기울어져있는 상태죠
일단 저는 현재 유가가 내려오는것은 시장 불안 요소로인한 조정 하락이라고 보고있습니다
(이후 실질적인 움직임은 회복세를 보여주면서 상승세로 전환하는 안정화 움직임이보여질거라고 생각합니다)
조정하락이 발생한 이유는 이번달 7월 13일에 발표된 6월 CPI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값으로 발표되면서 시장에 인플레우려라는것이 재부상되고, 이로인해 추후 연준이 통화정책에 점검에대해서 방향성이 바뀔수있다는 점이 부각되었기때문에 시장에 소비심리가 둔화되었다는 점이 가장큰 요소로 보여집니다. (핵심)
즉 추후 통화정책 변화에대한 변수가 시장 심리를 크게 건드리고 있는거죠 그렇다보니 시중 유동자산이 안전자산에 몰리면서 위험자산이라 볼수있는 종목군인 원자재, 지수 시장이 수요가 약화되는 상황때문에 유가가 큰하락폭을 보여주는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시장에 여러 리스크(델타 등등) 지정학적 리스크들도 한 몫 거들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하락 압력이 더 거세진거죠
다들 이번 OPEC+회의에서 40만 배럴 증가로 인해 원유 공급량이 늘어나서 유가가 떨어진다고 보시는분들이 많은데 개소리입니다 .
시장에 수요에 맞춰 진행되는 증산이고 또한 이전에 예상했던 50만 배럴/일의 증산보다 적은 40만배럴/일의 증산이기때문에 오히려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있는 회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회의 트리거 (Triger)로 작용해 유가가 하락한다는 이야기는 말이 안되는이야기죠)
필자인 저는 이번 유가가 하락이후 상승으로 전환되는 안정화 작업을 보여줄것이라 생각합니다.
시간은 다소걸리겠지만 7월 fomc 회의 까지 하락 모멘텀을 유지할것으로 보여지며 추후 안정화를 되찾을거라 보고있습니다 .
(현재 유가 하락원인이 소비심리 둔화 라는것으로 초점이 맞춰져있으니 그에따른 해결안을 fomc에서 줄가능성이 높기때문입니다.)
추후 시장 분석에대해서 글을 지속적으로 올려드릴테니 보시면좋을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