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E-mini 데이트레이딩: POC 중심 시각과 모멘텀 전략안녕하세요. 트레이딩뷰 가족 여러분?
팔로우와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은 제가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하고 정리해온 나스닥 E-mini 선물 CME_MINI:NQ1! 데이트레이딩 전략을 공유하려 합니다.
트레이딩을 이야기할 때 항상 마주하는 근본적인 질문은 단 세 가지입니다.
1. 언제 매매할 것인가?
2. 어느 가격에서 진입할 것인가?
3.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 (익절과 손절 포함)
이 단순해 보이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 바로 트레이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답을 찾는 도구로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 와 Squeeze Momentum Indicator(Lazebear 버전) 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FRVP: 거래 흔적을 보여주는 지도
FRVP(Fixed Range Volume Profile)은 보이는 차트 구간 안에서 거래가 어디서 집중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거래량이 많은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 합의를 이룬 자리이고, 반대로 거래량이 적은 구간은 합의가 부족한 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즉, FRVP은 단순히 가격 차트가 아니라 “어디에서 시장이 가장 활발하게 거래됐는가” 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해당 사진은 8월 13일의 FRVP입니다. 분석 대상은 미국 동부 표준시로 전날 18:00 ~ 익일 09:29 입니다.
사진에서 막대로 강조된 부분이 가장 거래가 많이 된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가격은 대체로 이 부근으로 회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우리는 올바른 진입 가격과 익절 구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POC 중심의 시각
저는 FRVP을 볼 때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VA(Value Area) 를 따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POC(Point of Control) 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더 나아가 저는 하나의 POC만 보는 게 아니라,
가장 큰 거래량이 형성된 POC (절대 분기점)
두 번째, 세 번째로 큰 거래량이 쌓인 POC (차순위 분기점)을 모두 중요한 분기 레벨로 둡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거래량이 집중된 구간은 시장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가장 치열하게 부딪힌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레벨은 가격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반드시 한 번쯤은 반응을 보이는 지점이 됩니다.
👉 제 시각에서 FRVP은 단순한 분석 도구가 아니라,
“어디서 시장이 진짜 분기점을 맞이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3. Squeeze Momentum Indicator: 모멘텀의 전환 포착
하지만 가격 레벨만으로는 타이밍을 잡기 어렵습니다. 여기서 Squeeze Momentum Indicator가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지표는 단순히 상승/하락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모멘텀의 확장과 수축 / 추세 전환의 조짐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FRVP로 구간을 설정한 뒤, 그 구간에서 모멘텀의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라는 것입니다.
즉, 지표 하나만 보고 매매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FRVP로 진입 가능한 가격대를 찾고
Squeeze Momentum으로 실제 매수/매도 에너지가 붙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4. 실전 매매 시나리오
예를 들어, 프리마켓 동안 분석한 결과 POC가 예시의 지점에 형성되었다고 합시다. 본장 개장 이후 가격이 이 POC 위에서 머무르고, 불완전 거래 구간을 돌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매수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Squeeze Momentum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된다면 매수세가 실제로 붙는다는 신호가 됩니다. 반대로 POC 아래에서 약세 흐름을 보이고, 모멘텀이 음으로 강하게 확대된다면 매도 시나리오가 유효해집니다. 실제 진입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지표가 0에 수렴할 때 진입하면 됩니다.
진입: POC 기준 돌파/리테스트 + 모멘텀 전환 확인
익절: 다음 POC
손절: 단기 고점
이렇게 되면 매매는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구간(프레임워크) → FRVP
타이밍(모멘텀) → Squeeze Momentum
리스크 관리(청산 전략)
의 구조를 갖춘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됩니다.
예시를 보면
총 4단계의 의사결정과정이 나타납니다.
1. POC가 지지에 실패함 -> 숏 고려
2. 재돌파하며 매도세가 들어옴
3. 지표가 0에 수렴하며 추세가 다시 나올 수 있게 됨
4. 그 아래 POC로 회귀할 것을 예상하여 익절구간 설정
4. 마무리
트레이딩은 언제나 불확실성 속에서 확률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FRVP와 Squeeze Momentum의 조합은, 그 불확실성을 줄이는 하나의 틀을 제공합니다.
물론 지표가 답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일관된 실행을 해내는 것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트레이딩 전략을 정리하고 발전시키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향후 POC로 돌아오지 않는 사례와 몇 가지 특이 케이스들을 두고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앞으로 실제 차트 예시와 함께 구체적인 매매 사례도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QM2018 트레이딩 아이디어
25.08.15
기존에 언급했던 상승추세선의 이탈이 나왔었습니다만 보다시피 다시 말아올렸으며 2시간봉 기준의 60선 지지 반등이 나왔으며 구름대 하방 이탈은 되지 않았습니다.
하방 이탈이 나왔을 때에 지표 발표로 인한 급락이였으며 미장에서는 다시 올려주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현재 취할 수 있는 액션입니다.
지금 매수는 조금 짧게 가져가고 있습니다.
반대로 매도는 전략으로 좀 길게 끌고갈 예정입니다.
상승추세선 + 23863 하방 이탈시 1차 매도 대응이 될 것이며 어제자 날짜인 25.08.14 저점 23793 하방 이탈이 나올 경우 2차 매도 대응을 할 예정입니다.
TP의 경우 하늘색 원형으로 보고 있는데 범위는 약 23667~23587 정도가 되겠습니다.
목표 범위가 큰 이유는 왼쪽에 파랑박스 확인을 해보시면 장대 양봉과 윗꼬리가 매우 길게 달린 캔들이 공존하기에 그 구간이 매물대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지가 나오거나 그렇다기 보다는 원웨이 하락이 나오지 않을까 싶어 범위를 크게 잡고자 합니다.
DS의 NQ1 나스닥 선물 현 시황 시점!!!!!형들 나 DS라고 해~ 이제부터 나의 차트 분석법을 이용해서 시점을 그려서 공유 해볼 생각이야~
참고만 혀~ 이런거 좀 해보고 싶더라~
나도 나름 공부도 좀 했고 시드가 크지 않아서 크게 먹진 못해 그래두 꾸준히 수익중이야~
그럼 바로 시작해볼께!
내가 보는 현 시황! NQ1 나스닥 선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건 나스닥 선물 차트!!!
제일 중요한건 모든 주식 코인 통틀어서 나스닥이 대장이라고 보면 돼!
나스닥의 움직임 부터 파악을 해야되는거지!
내가 그린 빗각이야.
여기서 중요한건 빗각에 의미를 알아야해!
빗각은 수평선으로 이루워진 기울어진 상태의 채널을 형성이 되는 선을 말해!
대체적으로
우상향 빗각 = 상승
우하향 빗강 = 하락
이렇게 의미를 할 수 있어.
나스닥 차트 월봉으로 그린걸 주봉으로 바꿔서 볼께!
여기서 선을 뚫거나 닿거나 하는 부분을 볼 수 있을꺼야!
이렇게 표기된 부분을 보면 닿고 하락 닿고 상승 이런식으로 반복하는걸 볼 수 있어!
여기서 분석한 부분은 나스닥은 지금 위치가 빗각채널의 상단부분인걸 알 수가 있지!
그래서 이 차트를 확대하면
빗각채널 상단 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걸 알 수 있지! 저길 닿는다면 나스닥은 어떻게 되냐?
내가 본건 하락이야.
뚫는다고 해도 무조건 떨어진다고 생각해.
설명 들어간다.
이유 1
다음 채널을 통과하기전엔 무조건 한 번은 닿더라도 뚫더라고 무조건 찍은 후 하락이 나오게 되어있어!
빗각채널을 그리면 다 저렇게 한 번에 뚫지 못해!
닿고 후 조정 한 다음 다시 올라가서 뚫거나 못뚫거나 둘 중 하나지!
그래서 난 지금 현 상단을 찍고 하락을 보는 이유1 이야!
이유2
자! 패턴을 보면 상승엔 하락이 있는거 보이지?
이게 상승의 조정인데 저렇게 오르면 조정이란게 있어야 계속 올라갈 수 있어!
그런데 지금 차트를 보면!
보라 상승 조정
주황 상승 조정
노랑 상승 조정
빨강 상승 ㅈ...??
그래서 지금 얼마남지 않은 상단구간 찍고 내리지 않을까 생각해!
이게 이유2 야!
내가 본 나스닥 차트 분석 예상도 보여줄께! 참고혀~
1번
2번
내가 보는 2가지 예측! ㅋㅋ 조정이 오는 부분은 채널의 하프라인!
숏 포지션
24250 ~ 24350
손절 24500
익절 21100 ~ 21200
롱 포지션
20900 ~ 21200
손절 20350
익절 24350
여기까지!! 훗! 이상 DS 였어!!! 봐준 사람들은 너무너무 고맙고 굿 체크 부탁해~
돈 벌러 가자!!!
25.08.11 나스닥 분석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트레이딩뷰에 글을 남깁니다.
나스닥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는 4시간봉을 가져왔습니다.
현재 보면 저항추세선을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됩니다.
지금 봐야할 것은 신고점이 갱신되느냐 마느냐 입니다.
신고점 가격은 23875입니다.
재밌는 것은 신고점이 미장에서 나온것이 아닌 유럽장에서 나왔습니다.
지금 나스닥은 당일 08.11 월요일 일본이 휴장이면서 아시아장이 끌어올릴 때 추가 상승이 가능해보이는 것 마냥 올렸지만 유럽장에서부터 조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차트의 흐름만 봤을 떄 계단식 상승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뚜렷한 지지와 저항이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구간인데 30시간동안 약 4% 가량 빠진 전적이 있기에 이번에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시장이 현 구간을 고점이라고 보고 있다는 점은 참고하면서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보고있는 전략입니다.
지금 당장 섣부른 매수는 안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000P 내리고 다시 800P 올린게 이상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는 매도 관점만을 보고 있습니다.
단기 상승 추세 이탈 + 매물대 이탈을 보고 있습니다.
구간은 대략 23508 정도로 보고 있으며 매도 진행이 될 경우 파랑색 원형들이 구간 entry가 될 듯 합니다.
목표가는 수평선들로 확인하고 있으며 22775가 깨질 경우 시장의 변곡을 보고 있습니다.
결론
꾸준한 업로드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06.21 나스닥 분석📝 나스닥 매매 결과 리포트
차트 링크:
📈 매수 전략
전략 기준: 저항 추세선 상단 돌파 시 매수 진입
진입 시점: 파란 원형 지점에서 1차 매수 진입
목표가 도달: 최대 목표치는 약 126불 구간
수익 구간: 1랏(Lot) 기준 약 $2,500 수익 가능 구간 확보
📉 매도 전략
전략 기준: 파란 박스 구간 하방 이탈 시 매도 진입
진입 시점: 하방 이탈 구간에서 1차 매도 진입
목표가: 최대 목표치는 21,692포인트
시장 흐름: 현재 나스닥은 흔들림 속 하방 추세 유지 중
수익 구간: 목표치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1랏 기준 약 $2,260 수익 가능 구간 확보
📊 총 수익 정리
손절 대응 없음
총 수익 구간 (1랏 기준): 약 $4,760
📰 나스닥 주간 브리핑
📌 일봉 분석
차트:
현재 일봉 2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종가 마감
장중 흐름에서는 20선 하방 이탈 및 6월 13일 저점 갱신 → 상승 탄력이 약화된 흐름
상승 추세의 둔화와 하방 압력의 시작 가능성 시사
⏱ 1시간봉 분석
차트:
장중 하락이 나오면서 나스닥은 **노란색 박스 프레임(21915~21765)**을 새로 형성
직전 보라색 박스(21845~21950) 대비 고점과 저점 모두 낮아진 상태
새벽 5시 마감 직전 장외 거래에서 반등 발생 → 추세 전환보다는 마감 전 발악 가능성
고점 갱신 이후 원웨이 하락 + 매물대 형성 → 하락 지속 시 추가 하락 가능성
과거 녹색 박스 장대 양봉 사이에서 현재 박스 움직임 → 추가 조정 가능성 높음
공휴일로 인한 빨간 박스 갭 리스크도 존재 → 하락 시 저점 리테스트 가능성 고려
⏱ 15분봉 매매 전략
차트:
🔼 매수 전략
현재 기준 유효한 매수 전략 없음
새로운 추세가 형성되면 추후 전략 업데이트 예정
🔽 매도 전략 (녹색 박스 표시)
상승 추세선 이탈 시 진입 고려
21765 하방 이탈 시 진입 고려
21650 하방 이탈 시 진입 고려
각 매도 구간별 목표가는 다음 진입 구간 또는 차트 내 흰색 점선으로 표시
✅ 결론 요약
나스닥은 현재 고점과 저점을 낮추며 하락 프레임 내 움직임
단기 반등은 있으나, 이는 추세 전환보다는 기술적 반등 또는 조정 국면의 일부로 해석
매수는 보류, 매도 전략 중심의 보수적 접근 필요
박스권 하단 이탈 여부가 향후 방향성 결정의 핵심 포인트
2025.06.15 나스닥 분석📊
By 그리디올데이
🔹
지난주 나스닥은 rising wedge(상승 쐐기) 패턴을 형성한 뒤
예고했던 대로 하방 이탈이 발생하였고,
1차 하락 목표가로 제시한 일봉 20EMA에 도달했습니다.
📌 이 구간은 금요일 낮 시간에 달성되었으며,
1랏 기준 약 $8,000 수익 구간이었습니다.
🔹
주봉 상에서는 아직까지 상승 트렌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빨간 박스 구간 내 움직임을 고려할 때,
20694포인트를 하방 이탈하기 전까지는
완전한 추세 전환으로 보지 않으며,
상승 흐름 속 조정으로 판단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매수 전략
현재 단기 저항 추세선에서 3차례 저항을 받은 상황.
검정색 박스 구간을 상방 돌파할 경우,
단기 전환의 신호로 해석 가능하며
목표가는 차트 내 수평선으로 표시한
단기 저항 및 변곡 구간입니다.
매도 전략
아래 세 가지 조건이 동시 충족 시 매도 유효:
① 단기 상승 추세선 이탈
② 더블 바텀 구간 (21601) 하방 이탈
③ 직전 지지(21577) 하방 이탈
→ 해당 조건 충족 시,
1차 목표: 21471 (강한 매물대, 6월 6일 반등 지점)
2차 목표: 21071 (보라색 박스 하단)
📌 결론 요약
현재는 중기 상승 추세 유지 중
그러나 단기 하락 압력 존재
매수·매도 모두 뚜렷한 조건 충족 시에만 진입
무리한 뇌동매매 금지, 조건 충족 시 명확하게 대응할 것
25.06.11 나스닥 분석그리디입니다. 현재 일봉 상의 나스닥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
현재 나스닥은 5월 12일부터 시작된 rising wedge(상승쐐기) 패턴 안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패턴은 천천히 고점을 높이며 수렴해가는 형태로, 현재 흐름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힘이 강하진 않은 상태입니다.
즉, 현재의 상승은 명확한 우상향이라기보다는 횡보를 동반한 제한적 상승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상승 추세이긴 하나 강한 모멘텀이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무리한 매도 진입은 리스크가 큰 전략일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구간 위에는
→ 22093 / 22319 / 22425 부근의 메이저 저항대가 존재합니다.
이 구간에서 일시적인 조정은 가능하나, 지금이 명확한 변곡이라고 판단하기엔 다소 이릅니다.
현재 위치에서는 위아래로 강한 슈팅이 반복되며
→ 시장의 불안심리와 기대심리가 동시에 반영되고 있어,
→ 원웨이(단방향성) 장세가 아니며 투자자들의 혼란이 커진 상황입니다.
💡 전략적 대응 방향:
현재는 상승을 무리하게 따라가기보다는 관망
만약 rising wedge 하단(노란 박스) 이탈이 발생하면
→ 매도 진입 유효
→ 1차 목표: 일봉 20EMA,
→ 2차 목표: wedge 시작점(20,694p 부근)
2025.06.09 나스닥 분석📊
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6월 10일 기준, 나스닥 차트를 기반으로 주요 흐름과 전략적 시나리오를 분석하였습니다.
📈 1. Rising Wedge 패턴 분석
🔗 차트 보기:
현재 나스닥은 Rising Wedge(상승 쐐기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해당 패턴은 5월 12일 강한 상승 이후 완성된 형태입니다.
과거 흐름을 참고했을 때, 나스닥의 현 프레임 범위는 20,694 ~ 22,425p로
중장기적으로 넓은 변동성이 존재하는 구간입니다.
현재 Rising Wedge의 상단 저항은 21,935p이며,
노란색 박스 하방 이탈 시 최대 하락 목표는 20,694p로 설정됩니다.
이 20,694p는 5월 23일의 저점이자, 당시 일봉 20EMA의 지지 반등이 발생했던 구간입니다.
따라서 wedge 하단 이탈 시에도 20EMA에서의 반등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점별 유연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2. 단기 흐름 및 매매 전략
🔗 차트 보기:
현재 단기 상승 추세선은 아시아장 개장과 함께 하방 이탈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노란색 박스로 표시하였습니다.
현 구간에서는 Double Top + Descending Triangle 패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며,
붉은 박스 하단 이탈 시 본격적인 하락 추세 전환이 예상됩니다.
이 경우 단기 하락 목표가는 주황 박스 하단, 약 21,635p까지로 전망됩니다.
반면, 매수 시나리오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단기 저항 추세선(검정 실선) 상방 돌파
Double Top 상단(21,870p) 돌파
이 조건이 충족될 경우,
1차 상승 목표는 Rising Wedge 상단인 21,935p,
추가적으로는 상단 프레임 확장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요약
추세 방향: 현재는 하방 이탈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하락 시나리오: 노란/붉은 박스 하단 이탈 시 21,635p ~ 20,694p 구간까지 하락 여지
상승 시나리오: 21,870p 돌파 시 상승 추세 전환 가능성
전략 제안: 패턴 이탈 여부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 과도한 선진입보다는 조건부 시나리오 중심 대응 권장
25.06.02 나스닥 분석📊
📌 금요일 흐름 요약
검정 박스 구간 저항 돌파 실패
지속적으로 해당 구간에서 저항 받으며 하방 압력 강화
현 시점도 동일 구간 돌파 전까지는 하방 우세 전망
📉
5월 27일 장대양봉 캔들 내부로 진입
이탈 시 **일봉 기준 20EMA(20,930p)**까지 하락 가능성
현재 거래량 감소 및 횡보 흐름, 추세 방향 확인 필요
🔍
유럽장까지 상승세 이어지지 못하면 일시적 반등으로 판단
21218 하방 이탈 + 상승추세 이탈 시 매도 유효
목표가(TP):
1차: 21071p (금요일 저점)
2차: 20930p (일봉 20EMA)
📌 전략 결론
방향성: 하방 우세
다만 현재는 거래량 감소와 박스권 움직임이므로
→ 성급한 진입보다는 확실한 신호 후 진입 추천
매도 진입 조건 충족 시 확실하게 대응
25.05.30 나스닥 분석📊
📌 전일 매매 복기
대다수는 전일 상승에 따라 상방을 기대했으나, 실제 흐름은 매도 추세선 이탈이 발생하며 하락 전개.
결국 매도 진입이 유효했고, 진입 포인트는 빨간 원형으로 표기.
1계약 기준 약 139P, 약 $2,800 수준의 수익 구간 형성.
🕓
현재 4시간봉 기준 60EMA에서 지지를 받는 중이지만, 전체 추세는 상승추세선 이탈로 인해 여전히 하방 기울임.
60EMA 이탈 시, 추세는 본격 하방 전환 가능성.
오전 저점인 21,268.50은 잠재적 반등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금 시점에서는 명확한 매도 시그널 부재.
➡️ 현 시점: 매도 관점 보류
📈
현재 단기 저항추세선 돌파 여부가 매수 진입의 핵심.
상승 추세 전환의 기준선은 21,557.75 돌파로 판단되며,
이전까지는 단계적 익절 전략 유효.
🟢 매수 진입 기준
Entry: 21,417.5 돌파 시
TP 1: 21,447
TP 2: 21,485
TP 3: 21,522
TP 4: 21,557 (추세 전환 기준선)
🔴 손절 기준
진입 이후 15분봉 20EMA 종가 하회 시 손절
📌 결론 요약
매도 관점은 추가적인 흐름 확인 필요
매수는 21,417.5 돌파 시 진입 가능
추세 전환은 21,557 돌파 여부가 핵심
과도한 예측보다는 조건 충족 시 매매 대응
25.05.29 나스닥 분석📊
단기 저항 추세선 돌파와 함께 나스닥은 상방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호실적 발표가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하며 반등이 발생했고,
아시아 장에서는 해당 흐름을 이어받아 추가적인 상승 압력이 확인되었습니다.
📈
일봉 기준, 2024년 2월 25일 고점인 21,813p를 돌파하며 상방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현재 주가가 위치한 레벨은 직전 캔들 범위(21,652~22,245p) 내로,
다음 주요 저항은 21,968p로 판단됩니다.
이 구간은 일봉 기준 매물 밀집 구간이며, 단기 차익 실현 압력이 발생할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
상방 돌파 이후 고점을 높이며 박스권 조정 형태의 횡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구간은 눌림 매수나 저점 매수가 유리하지 않은 구간으로
추가 매수 진입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21968p까지의 상단은 열려 있으나, 중간 조정 시 변동성을 견디는 체력이 요구됩니다.
📉
하락 전환 시 유효한 매도 조건은 21,408p의 이탈입니다.
이 구간이 무너질 경우, 하단 빨간 매물대까지의 하락 열림이 예상되며
그 외 구간에서는 역추세 매도 진입은 다소 무리한 접근으로 판단됩니다.
📌 결론
현재는 상방 돌파 이후 과매수 구간에 근접한 만큼,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매수는 조정 후 재진입 전략이 유효하며,
매도는 21,408 이탈 이후에만 유의미한 시그널로 판단됩니다.
추가적인 변곡 구간이 포착되면 별도로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25.05.28 나스닥 분석
30분봉으로 확인하는 나스닥입니다.
나스닥의 패턴을 확인해보면 ascending triangle 패턴이 보입니다.
저항의 돌파가 된다면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맞으나 반대로 이 구간에서 저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이 조금은 이상하다고 판단 되기에 상방 돌파가 되어도 보내주려 합니다.
현재 계획은 상승추세선의 이탈 구간인 빨강박스 구간 하방이탈이 나올 경우 매도 관점으로 진입할 예정이며 목표가는 최대 파랑박스 구간까지 보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파랑박스 하단 이탈이 나온다면 오늘의 매매는 매도 관점으로만 대응하려 합니다.
2025.05.25 나스닥 주말 분석
금요일 장 상황분석과 결과 분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추세의 흐름은 아래로 접어들었다고 언급했으며 가급적 매수는 잡지 말고 매도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말했습니다.
상승 추세선의 이탈이 두차례 나왔지만 한번의 경우 이탈한 척 다시 말아올렸습니다.
추후 빨강박스 구간 지지 이탈이 되면서 1계약 기준 목표가까지 달성으로 최대 약 $363의 하락을 선보였으며 1계약 기준 약 $7260 수익구간이었습니다.
반등 시점의 경우 미장이 시작되면서 반등을 하였으나 막판에 단기 추세선의 이탈이 나왔기에 월요일 장의 결과가 주말간 좋은 흐름의 뉴스가 없다면 아무래도 아래로 쏠릴 듯 합니다.
주봉으로 확인하는 나스닥입니다.
이번 주 마감된 주봉을 보면 직저의 고점을 살짝 넘겨줬으나 큰 차이로 넘긴 것이 아니기에 의미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주봉 기준 20선의 위치는 20272에 위치하기에 만약 나스닥이 저점 이탈을 하게 된다면 높은 확률로 주봉의 20선 + 일목구름대 상단까지는 열려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봉으로 확인하는 나스닥입니다.
아직까지 나스닥의 매수세가 죽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20선 위에서 안착 되어 있으며 추세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20선의 위치구간인 20647 정도가 하방이탈 될 경우 주황박스 매물대로 진입을 하게 됩니다.
과거에도 20400~19300 정도의 매물대에서 박스권 움직임이 나왔듯이 일봉의 20선 이탈이 나오게 된다면 이번에도 반복될 수 있습니다.
지지의 경우 보라박스 구간인 19300~18980 정도가 나름 강한 지지구간이라 매수 전환의 경우 그쯤에서부터 노려봐야 할 듯 합니다.
결론
* 주말 간의 뉴스 영향을 보고 판단되겠지만 특별한 뉴스가 없을 경우 월요일 시작은 일봉의 20선 리테스트일 가능성이 높음.
* 이탈 시 다음 범위는 약 $1000 정도라 매우 클 것으로 예상 됨.
* 이번에도 그랬듯이 기다리면 언젠가 주니 줄때 먹자.
2025.05.23 나스닥 분석
어제의 매매 전략 결과발표 입니다.
지지 상승추세선 이탈이 되면서 급락이 나왔으며 미장이 시작되기 전 좋은 수익률을 안겨주며 이른 퇴근을 도왔습니다.
1계약 기준 약 $2000 정도 수익 나왔던 자리입니다.
지금의 나스닥은 상승추세선의 이탈이 바로 앞에 놓여있습니다.
올려주는 척 해도 결국 계속 내려주는 것을 보면 어느정도 나스닥은 상승의 흐름이 꺾이기 직전인 듯 합니다.
보수적으로 접근을 하며 오늘 또한 매수 관점은 보지 않을 예정입니다.
오늘의 매매 전략은 21112를 하방 이탈할 경우 조정추세로 들어설 것으로 보며 21112를 이탈하게 된다면 계속해서 매도 대응으로 최대 20827~20667 까지 보려고 합니다.
목표가가 큰 이유는 아무래도 급락이 나온다면 당시 실리는 힘에 따라 하락의 크기가 커질 가능성이 있기에 최대 목표치까지 홀딩해보는 것도 좋은 듯 합니다.
결론
* 오늘까지는 매수 전략보다는 매도전략을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 주말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오늘 하루쯤은 매매를 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5.05.22 나스닥 분석
일봉 관점 입니다.
현재 저점을 매물대에서 갱신을 했으나 미장 마감 직전부터 하락을 한 움직임으로 현재 아시아장에서는 관망을 하고 있는듯한 모습입니다.
현 시점에서 추세가 하방으로 나올 경우 왼쪽 빨강박스 부분을 확인하면 장대 음봉이 나왔으며 원웨이 하락이 나올 경우 20583 근처까지 하락이 열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봉의 20선도 그 근처에 있으며 과거 빨강박스에서도 하락이 원웨이가 나왔기에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1시간봉으로 보고 있는 현 상황입니다.
나스닥은 확장형 패널로 움직이는 듯 하고 있으며 추세가 전환되어 하방이다라고 이야기 하기에는 아직까지 확장패턴 안에 있기에 추세 전환으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다만 지금 구간이 어느정도 천장을 만들어줬기에 트레이딩의 방향성이 어느정도 나왔다고 판단 되며 왼쪽의 검정박스 구간 진입할 경우 추세의 완전한 전환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매매 전략입니다.
현 시점 나스닥 매수 관점은 어제의 급락으로 현재 예정된 자리가 없어보입니다.
매도 전략만 진입 예정입니다.
매도 1차
진입 21112 이탈시
TP 1 21075
매도 2차
진입 21070 이탈시
TP 1 20996
매도 3차
진입 20970 이탈 + 상승추세선 이탈
TP Max 20830~20770
결론
* 추세 흐름은 어느정도 하방으로 나온 듯 합니다만 매물대 이탈이 되면 진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5.05.21 nasdaq analysis
This is the current NASDAQ range.
It appears to be attempting an upward move after breaking above the short-term resistance trendline.
Since the current price has broken through a resistance level, if it surpasses the previous inflection point at 21452, it is expected to rise smoothly up to 21475.
Even if 21475 is broken, I recommend taking profits around that level because it’s a zone that has acted as resistance about four times.
It could pretend to break upward only to drop back again, so a short-term profit-taking strategy is advised.
Now, from a bearish perspective:
If the upward trendline is broken, there’s a high probability of a downward move to around 21340.
If this break occurs, the previous rebound zone at 21300 would act as a short-term support.
Should the price break below 21300, a move down to 21187 is likely.
Since the market hasn't yet chosen a clear direction, it’s risky to hold positions long-term based on a guess that a major reversal is underway.
Conclusion:
Whether buying or selling, go for short-term trades for now.
2025.05.21 나스닥 분석
현재 나스닥의 구간입니다.
단기적 저항 추세 상방 돌파를 하면서 위로 올라가려는 듯한 모습이 보입니다.
현재 가격대에서 저항 가격대를 돌파했기에 직전 변곡인 21452 구간을 상방 돌파하게 될 경우 21475까지는 무난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1475 구간 돌파가 나와도 이쯤에서 매물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리는데 이유는 약 4차례 저항받았던 자리라 올리는 척 다시 조정이 나올 수도 있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짧게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매도 관점입니다.
상승추세선의 이탈이 나올 경우 높은 확률로 21340까지 하방 이탈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이탈이 나올 경우 직전 반등인 21300 구간이 단기 지지구간이며 21300 저점 갱신할 경우 최대 21187까지 끌고갈 수 있을 듯 합니다.
아직 시장의 방향이 나온 것이 아니기에 변곡이라 생각하고 홀딩을 장기간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듯 합니다.
결론.
* 매수든 매도든 당분간은 짧게 먹자.
2025.05.20 나스닥 분석
유럽장에서는 하락세를 유지하면서 언급했던 21187 구간을 하방 이탈하며 움직임이 아래로 추세 전환 되는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만 그 이후 나스닥은 상승 추세를 만들면서 횡보하다가 파랑박스 구간에서 저항 추세가 돌파되면서 단기적 추세가 전환 되었습니다.
추세가 전환되던 시점이 미장 개장을 하면서 거래량이 폭발한듯 하며 강한 상승을 이뤄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미장 마감이 기존 패턴의 신고점을 갱신하면서 추세를 상승으로 올려놨다고 볼 수 있습니다만 현재 아시아장에서의 조정 움직임을 보면 아시아장은 상승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듯 합니다.
현재 나스닥의 패턴입니다.
확장형 패넌트로 저점과 고점을 확장하면서 나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높은 확률로 위아래 움직이며 방향의 횡보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 패턴이 어느 방향으로 깨느냐에 따라 시장에 힘이 더 실릴 듯 합니다.
현 시점에서 상방으로는 볼 수 있는 관점이 과거의 데이터를 보고 확인을 해야하는데 이 시점에서 22000까지 열려있기에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따라서 매수 관점으로는 어제처럼 시장의 변곡을 나타내는 움직임이 나올때나 진입하는 것을 추천하며 지금처럼 고점 돌파가 되었다고 해도 다시 내려오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으니 보수적 접근이 좋을 듯 합니다.
반대로 매도 관점으로는 어제의 저점이였던 21112를 하방 이탈 하였대도 확장형 패넌트 패턴의 안에 있기에 다시 말아올릴 수 있다고 봅니다.
보수적 접근으로는 강한 상승이 나오기 전 일시적으로 횡보했던 매물대 위치인 검정박스 하방 이탈이 되어야 추세 전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보이는 가격대는 20723~20680 정도가 되겠습니다.
결론
* 현 구간에서 스탑헌팅이 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 매수든 매도든 자리를 줬을 때 진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이 구간은 언젠가 끝이 나지만 지금 시점에서 버티면 평단은 오겠지라는 마인드로 매매를 하는 분들이 계실건데 그러다 방향이 나올 경우 회복할 수 없을 손실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현재 위치가 잘 먹으면 엄청난 수익률로 이어질 수 있겠지만 근거 없는 트레이딩은 마약같은 존재입니다. 오늘만이 날이 아닙니다.
2025.05.19 나스닥 분석
금요일 장 마감 직전 일봉 마감의 경우 장이 끝나기 한시간 전에 종가마감 기준으로 일봉이 완성이 되기에 일봉과 주봉 마감은 21500에 마감 되었으나 장 마감 이후 1시간동안 급락을 하면서 주황박스 구간에 상승추세선 이탈이 나왔습니다.
이 추세선이 이탈 된 후 월요일 장을 마지하여 월요일 장이 개장하자마자 급락을 하면서 갭하락이 나왔고 아시아장이 시작 되기 전 갭을 채워줬다가 나스닥은 추세선 retest를 마치며 다시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간봉으로 확인해보면 나스닥은 아직 하락 전환이 되었다 보기에는 이릅니다.
25.5.13부터 지지해주고 있는 21187의 이탈 여부가 중요한데 이를 이탈할 경우 약 1주일간 지지해주었던 매물대 하방 이탈을 하게 되며 화살표로 다음 매물대까지 이동할 방향성을 표시했습니다.
21187 지지 실패시 메이저 지지구간은 21000과 20765 정도가 되겠습니다.
반면 매수 관점은 아직 죽지 않은 채로 일시적인 조정이라 볼 수 있는데 이에 되돌림이 나올 경우 진입을 고려해볼만한 자리는 최소 15분봉의 20선 돌파시 입니다.
15분봉 20선 상방 돌파를 하게 되면 그때의 힘에 따라 TP 설정을 다르게 해야 하는데 단기적으로는 30분봉 20선 높게 본다면 21415 정도가 되며 오늘의 고점 갱신 시 높은 확률로 일시적 추세 전환이 되었다 판단하여 매수 홀딩 후 목표가 최대 21500 구간까지로 열어두는 것이 좋은 계획일 듯 합니다.
결론.
* 갭하락 나왔으며 갭 채웠음. 월요일 시작이 하방으로 조정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지는 살아있음.
* 지난주부터 계속 강조하고 있는 21187 지지 실패가 추세 전환을 주며 이 박스권같은 나스닥의 움직임을 끝낼 것.
* 매수는 오늘 갭하락이 나왔으며 움직임이 하방으로 쏠리고 있기에 보수적 임하며 짧게 가져가는 것 추천.
2025-05-16 나스닥 분석
어제자 나스닥의 브리핑 결과입니다.
브리핑을 시작했던 시점은 노랑박스 구간입니다.
노랑박스 시점에서부터 분명 단기적으로 조정단계에 들어섰다고 말씀 드렸으며 빨강박스가 위치한 21187의 지지 실패가 추가 하락에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브리핑 결과처럼 21187을 하방 이탈하지 않고 지지 반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시 한번 21187의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후 다시 추세는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15분봉을 기준으로 지속적인 아랫꼬리로 지지선 이탈을 하는 모습을 보이기에 현 시점에서 상승추세선의 이탈이 매도로 이어질 거라는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매도 전략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 처럼 단기 상승추세선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상승추세선 이탈 + 21376 하방 이탈이 나올 경우 최대 파랑박스 구간인 21320~21300까지 조정이 나올 것으로 예상 되 단기적인 매도 전략을 짤 수 있습니다.
일봉 기준의 나스닥을 살펴보면 어제도 양봉 마감이 되었으나 어제의 일봉 마감은 도지 형식으로 위 아래 꼬리의 길이가 비슷해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 살펴봐야 하는 것은 나스닥이 다시 매물대로 진입이 되었기에 방향이 나오지 않았으나 위로 올라가는 시점에서는 어느정도 올랐을 때에 지속적인 찍어누름이 나오기에 이 구간에서 많이들 포지션 정리를 하는 듯 합니다.
반대로 하방의 경우 앞 서 언급한 21187의 지지가 나왔기에 해당 구간 이탈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확인 되며 이탈 시 나스닥은 일봉 기준 조정 추세로 전환 될 것으로 확인 됩니다.
결론
*아직 방향 안나옴.
*어제까지는 위로 올라가는 방향이었으나 일봉 마감이 심상치 않음.
*추가 상승을 위해서라면 지금의 매물대 위로 안착 마감하는 것이 중요할 것.
*아래로 조정이 나온다면 21187 하방 이탈 중요.
*나름의 저점을 높이며 고점을 갱신하는 채널 상승형 패턴 / 이 구간에서 트레이딩 전략만 잘 잡을 경우 나쁘지 않음.
2025-05-15 나스닥 분석안녕하세요. Greedyallday입니다.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이번 분석은 나스닥입니다.
일봉으로 확인해보는 나스닥입니다.
현재 나스닥의 프레임 위치를 보면 기존 24년도 11월부터 25년도 2월까지의 프레임 안으로 들어온 것이 확인이 되며 범위의 경우 20790~22430 정도가 되겠습니다.
레인지가 크지만 그만큼 현 구간에서의 변동성이 강했다는 점을 확인해보면 납득이 가능한 구간이라 판단 됩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파랑박스 구간입니다.
갭 상승이 두 차례 나왔다는 점과 최근 나스닥의 움직임을 보면 강한 상승의 캔들들만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 조정이 온다면 최대 낙폭은 어디까지인가를 본다면 20763 혹은 25.05.13의 저점인 20818 근처가 되겠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일봉의 큰 프레임에 진입을 했기에 조정이 나온다면 앞서 언급했던 프레임의 하단까지 내려올 수 있다고 판단 되며 그 전의 최근 지지 구간이 20818이기에 조정의 저점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나스닥의 15분봉 분석.
25.05.09의 주봉 마감 이후 갭상승이 나왔던 시점으로부터 상승트렌드가 오늘 오전에 이탈하였습니다.
현재 단기적으로는 조정 추세에 들어왔다고 볼 수 있겠으나, 아직까지 나스닥의 노랑박스 구간을 본다면 지금의 움직임은 저점을 높이며 고점을 높이는 패턴에 있습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조정 추세여도 아래의 긴꼬리로 반등이 나오는 움직임이 나올 것이기에 완전히 프레임 아래로 벗어난다면 조정 추세가 완전히 들어왔다고 판단될 것이며 그 시점을 21187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21187 구간 하방 이탈시 파랑박스의 상승했던 움직임을 해소시켜주는 매도세가 나올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20996 최대 20763까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결론
현 시점에서의 관점 정리를 한다면 현재 구간의 프레임을 저점을 높이며 고점을 갱신하는 상승이 나오고있는 시점에서 조정 구간에 들어오기는 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완전한 조정은 아니기에 앞 서 언급한 21187 이탈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매매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매수 관점
없음.
현 시점의 추세는 매수이지만 계속해서 고점을 갱신하고 있는 점에서 진입할 자리가 아직까지 보이지 않음.
조정이 나온 이후에는 시점이 달라질 것으로 판단 됨.
매도 관점
21187 하방 이탈시
TP 1 21070
TP 2 21000
TP 3 20780
손절의 경우 21282 정도로 하방 이탈 이후 다시 상승 프레임의 중간에 진입했을 경우 손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 됨.
2025.05.15 해외선물 나스닥 복기&신규관점
➡️기존관점
첫번째 화살표부근은 1시간봉으로도 마감을 못한 것으로 뚫은것으로 보면 안되는 구간이었습니다.
(브리핑은 항상 4시간봉으로 드리고 있음. 이전에도 이런 장면들이 몇번 나왔었죠)
그리고 제가 표시해드린 뚫어줘야하는 파란박스를 기점으로 계속해서 매물대를 그렸습니다.
두번째 화살표를 보면 휩쏘도 많이 나왔고 결국 주말 오버나잇을 통해 목표가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과정들은 홀딩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며(실제로 저도 홀딩못했습니다)
무승부로 기록하겠습니다
현재 전적 : 23승 5무 7패
(무승부는 관점대로 흘러갔으나 무빙상 홀딩하기 어려웠던 것을 말함)
➡️신규관점
이번 브리핑은 애매한 구간이라 다시 드려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우선 이렇게 브리핑 드리고 움직임을 보고 추후 다시 관점을 드리거나 하겠습니다
전과 같이 파란색 박스가 뚫리는 방향으로 포지션을 잡고 초록색박스를 목표가로 합니다
#해외선물 #나스닥 #해선 #파생상품 #선물옵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