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생각 (w. ES1!, 가상화폐)머릿속에 있는 정보가 글로 정리가 안돼서 썼다 지웠다 썼다 지웠다 반복하다가 결국 업로드를 못하기도 했고, 올리기엔 이미 지나간 차트라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안했어요. 그래도 어떻게 생각했는지, 어떻게 할 것인지라도 작성해야 될 것 같아서 짧게나마 써 봅니다.
(이 글 역시 두서 없을 수 있어요..)
<미국 주식>
ES1! 주봉 차트입니다.
주봉상 20선에 닿았을 때 지수나 개별주나 가장 좋은 매수 시점이라고 생각 하고, 그 전까진 개별주(개잡주x)에서 채널 하단에 닿으면 매수 하는 전략을 구사하면 될 것 같아요. (아래 예시 참고)
20선이 붕괴 됐을 경우 대응 방법은 빠른 손절 or 60선에서 물타서 약손절~본절에 나가는 방법 둘 중 본인 스타일에 맞는 전략을 구사하면 될 것 같아요.
만약 위와 같은 구간이 발생했을 때 약손절~본절에 꼭 나가주셔야 합니다.
직접 차트 보시면 아시겠지만, 60선이 깨진 뒤에는 잠깐의 반등 후 대부분 큰폭의 하락이나 장기 조정이 이어졌습니다.
때문에 아쉬워 말고 깔끔하게 털어준 뒤 60선을 다시 탔을 때 혹은 채널 하단에 닿았을 때 다시 진입하시는 걸 추천해요.
요약 - 아직 상승 추세에 있다. 무서워 말고 원래 계획대로 매매해라. 다만 영원한 상승은 없으니 깨졌을 때 대응책은 꼭 마련해라.
<가상화폐, 코인>
제가 보는 비트코인 주봉 기준 채널입니다.
제가 보는 이더리움 주봉 기준 채널입니다.
제가 보는 테더도미(USDT.D) 주봉 기준 채널입니다. 이건 기준점을 잡고 작도한 게 아니라 가장 잘 맞는 채널을 임의로 그린겁니다. 대충 보니까 저기 3점(작도 점) 찍혀있더라구요.
토탈2 주봉 기준(이더리움 포함 알트기 때문에 이더리움 과 같은 지점이 나옴)
토탈3 주봉 기준
토탈3E 주봉 기준 (잘 쓰진 않는데 그냥 참고용으로 봐요.)
(보기 편하게 이평 + 일목 + 하프라인 은 지웠습니다만 아래부턴 그려진 차트입니다.)
코인은 오름숏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
폭발적인 상승을 한번 더 하려 했다면 테더 도미가 이렇게 가는 그림이 동반됐어야 함
계속해서 저항 받는 비트
이더리움 캔들이 이평 + 일목 보다 아래 있음.
<과거 이더리움>
<과거 이더리움2>
<토탈2,토탈3,토탈3E>
알트코인 캔들이 일목, 이평, 채널 전부 하방으로 이탈함
때문에 현 시점에선 오르더라도 채널, 이평에 저항 받고 내려 갈 것 같다는 생각
(모든 상승 = 데드켓, 구라 반등)
그렇다면 어디서 받아 볼만할까?
<비트코인 일봉>
돌파에 대한 확인을 하러 오는 시점에 받아 볼만하다고 생각
<비트코인 주봉>
주봉상 일목이 받쳐주는 구간이기도 함
<이더리움 일봉>
이더리움 또한 하프 + 200선이 겹치는 구간
<테더 도미 일봉>
테더 도미가 채널에 닿을 때
요약 - 오름숏이 유리한 것 같다. 지금 롱은 데드켓or구라반등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기 때문에 짧게 먹자.
진짜 롱 타점은 아직인 것 같다.
뭔가 또 정리 안 되고 두서 없이 쓴 것 같은데, 부족한 설명이나 무슨 생각인지 이해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최대한 정리해보겠습니다.
거래 아이디어
S&P500 (W/ES1!)이전 포스팅에서 포스팅 당시 시점으로 진입해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었고
저는 실제로 포지션을 진입했었습니다. 근데 오늘 차트를 다시 보다가 포지션 진입이 뇌동의 성향(성급한 진입)이 강했단 생각에 포지션을 정리했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주봉상 50선은 그렇다 칠 수 있는데 이전 돌파 구간들과 비교 했을 때 20선의 큰 괴리율
2) 일봉상 돌파 초입 구간에서 이미 과열상태
2-a) 돌파 전 한번 식히고 돌파
2-b) 돌파 전 한번 식히고 돌파2
3) 돌파 후 식히고 재상승
즉 돌파 전,후로 한번 과열된 지표를 식히는 과정을 거치는데
현 시점에서는 '과열을 한번 식혔다' 라고 생각될만한 구간이 없습니다.
물론 지금 이 상태에서도 시장의 과열상태가 지속돼 계속 오를 수 있겠지만
한번 식히는 과정이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고로 이전 포지션은 뇌동이었다는 생각에 정리를 했고 지금 올라가더라도, 후회 없이 이전 포스팅에서와 같이 전략을 구사 할 예정입니다.
S&P 중장기 관점(w/es1!)
월봉상 ES1!의 채널을 보면 이와 같이
"채널 돌파 > 채널 하단 체크"를 반복하며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위치입니다. 지금 타긴 살짝 늦은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인생 풀시드 몰빵만 아니라면 지금도 손익비 괜찮은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매수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매수 전략>
1) 채널 상단 돌파 양봉 확인 후 시초가에 매수
2) 채널 하단 터치 할 때 매수
<매도 전략>
1) 20선 닿을 때 반익
역사적으로 채널 상단에 닿기 전에 20선을 터치한 경우가 한번뿐이지만 차트엔 100%가 없기 때문에,
채널 상단을 터치하기 전에 20선을 뚫고 하단을 터치 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배제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중간에 한번 확정 수익을 가져가는 타이밍을 잡아야 하는데, 차트상 그 타이밍이 20선 닿을 때가 가장 적합 한 것 같습니다.
2) 채널 상단 부근에서 완익
어차피 위 모든 전략은 채널 하단을 무조건 온다는 것을 전제하에 짜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 꼭대기(채널 상단)에서 팔 이유가 없습니다. 욕심내다가 채널 상단 보다 하단 먼저 찍어서 수익률 원점 되는 일이 없도록 그냥 상단 근처에 완익하십쇼.
종합하자면 이렇게 되겠습니다.
추가 전략으로는
이와 같이 채널 하단 터치 후 캔들이 20선 위에서 마감 할 때, 종가에 불타는 전략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신 20선 아래로 내려갈시 불탄 물량은 바로바로 덜어내주는 게 좋습니다.
이건 채널 하단 터치전에 불타기 하면 안 되는 이유지 않을까 싶네요.
<저점 예상 시기>
각 기간의 기준은 (채널 돌파 양봉 ~ 채널 하단 터치)입니다.
만약 규칙(?)대로 흘러 가 준다면, (규칙 ~ 3번 평균값 사이 + 이평 예상 움직임)을 그려 봤을 때
26년 10월 ~ 27년 8월 쯤 채널 하단 터치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ㅋㅋ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거 보면 더 일찍 올 수도 있구요.
지지와 저항 구간 : 5879.75-5972.7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S1! 1D 차트)
두 개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존재합니다.
5879.75-5972.75 구간과 5664.75-5720.50 구간입니다.
5879.75-5972.75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6031.75-6051.50 구간 부근이 저항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879.75-5972.75 구간에서 하락한다면,
1차 : 5664.75-5720.50
2차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 : 6066.50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S1! 12M 차트)
피보나치 비율로 보았을 때, 원으로 표시된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현재 가격이 위치한 구간에서 추가 상승이 나온다면, 왼쪽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3.618(6579.25) 부근에서 다시 추세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0.618(5273.25) ~ 2.618(5434.75)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1D 차트)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HA-High 지표는 6066.50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6066.50 부근을 지나고 있으므로 6066.50 지점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6066.50-6106 구간에서 지지 받고 피보나치 비율 1 (6178.50)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6066.50 이하로 하락하게 돠면, 5935.75-5972.75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결국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박스 구간에서의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HA-High 지표의 박스 구간은 5906.50-6148.0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