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27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의 큰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 하단 지지라인(103.180)부터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지만, 다시 하단지지라인 근처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번주 또한 단기 상승세는 103.602 라인까지 예상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갈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 예상라인은 11월 21일 저점(103.180)보다 낮은 102.990 라인 근처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DXY 트레이딩 아이디어
23.11.15 DXY 달러인덱스 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어제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이후 달러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큰 평행선이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되며, 소비자 물가지수 하락에 대하여 투자은행 코멘트로는 BOA의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된것으로 연준 금리경로 전망을 수정하였으며, 바클레이를 제외한 투자은행들의 관점은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전체 흐름은 하락세로 생각되며, 오늘 단기 상승 포지션은 어제 하락분에 대한 되돌림 상승으로 목표 가격대는 105.097 라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XY : 105.664 이하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DXY가 105.664-106.416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05.664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DXY의 하락은 투자 시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SPX500USD 차트)
4369.8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NAS100USD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4328.9 부근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1D 차트의 HA-Low 지표(14437.6)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미국 달러의 폭락이 시작된다.미국 달러의 폭락이 시작된다.
1. 슈퍼 사이클 12345 임펄스 파동 마감후
2. 하락 조정 파동이 시작되었고
3. 첫번째 A파동이 임펄스 12345로 마감
4. 두번째 B파동이 ABC로 마감
5. 강력한 세번째 하락 C파동이 시작하려고 합니다.
통상적으로 엘리어트 파동 관점에서 보면 이 자리에서 임펄스 처럼보이기도 하고 C파동 처럼 보이면서 올라갈 것처럼 하다가 B파동의 바닥자리에서 "폭락 C파동"이 나옵니다.
앞으로 가까운 시일내에 러시아, 아랍, 중국 등 세계 전쟁과 맞물리면서 격변이 일어날 것 같습니다.
엄청난 기회가 오겠습니다.
DXY : 침체기 경계 구간에 위치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5.664-106.416 구간 이상 상승하여 상승세를 유지한다면, 투자 시장은 침체기에 빠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105.664-106.416 구간 이하로 하락하여 하락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SPX500USD 차트)
1D 차트에서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면서 단기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1W 차트나 1M 차트에서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장기 관점에서 아직 하락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4369.8 이상 상승하여야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NAS100USD 차트)
NAS100USD 차트에서는 아직 단기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14797.1 이상으로 상승하여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23.10.24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10월 4일까지 상승세 이후 10월 4일 ~ 10월 12일까지 단기 하락세와 12일 ~23일까지 박스권 움직임을 나타냈습니다.
어제 미국장 이후 다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105.428 라인에서 한차례 단기 상승이 나타날것으로 예상하여 기준라인을 조금 더 위쪽인 105.869 라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상단 SL 저항라인은 106.269 라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가격대는 105.174 라인까지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DXY : 105.664-106.416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5.664-106.416 구간 이하로 하락하여 하락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상승세를 유지한다면, 투자 시장은 침체기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SPX500USD 차트)
현재 SPX500USD가 위치한 지점에서는 손가락이 가리키고 있는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4142.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차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D 차트)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4369.8-4476.0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여야 합니다.
----------------------------------------------
(NAS100USD 차트)
SPX500USD 차트에 대한 설명과 같이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
거의 SPX500USD 차트의 모습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만, 1D 차트에서 아직 HA-Low 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의미는 아직 상승 강도, 상승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서, 10월 24일경을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파동을 만드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10월 1일 현재 유효한 관점 정리#2023년10월1일
달러, 증시와 관련하여 현재 유효한 관점 정리합니다.
#달러인덱스
#DXY
- 중장기 목표가 121 이상
#채권 (미국정부 10년만기 채권)
#US10Y
- 6% 근처에서부터 채권 매수 관점
- 많이 올라가도 6 ~ 7.2% 정도가 한계로 보임
#애플
#AAPL
- 매수보다는 매도가 훨씬 유리
- 긴 시간에 걸친 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
#나스닥
#NQ1!
- 8000 이하 고려
#원달러환율
#USDKRW
- 1800원 이상 고려
#코스피
#KOSPI
- 1900 이하 고려
#삼성전자
- 10년 이상 진행된 장기추세 이탈. 최근에 장기추세 재진입 도전했으나 저항발생.
- 56100 ~ 53000 강한 지지 있음. 깨지면 안 좋음.
#부동산 (대한민국)
- 2021 ~2022년의 가격이 우리 생애 다시 가기 힘든 고점
——————————
달러인덱스(2023년7월14일):
채권(2023년4월29일):
애플(2023년7월2일):
나스닥(2023년8월20일):
종합(2023년8월11일):
부동산(2023년7월18일):
달러인덱스_ 장기 예측달러의 주봉차트를 살펴보면
1. 임펄스 파동이 끝나고
2. 하락 조정 파동이 진행되고 있다.
3. A파동과 B파동이 끝나고
4. C파동이 진행중이다.
소파동으로 볼 수도 있어서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으로는 ABC후 상승할 수도 있다.
하락에 한표를 던진다.
달러화 가치의 하락은?
대체 자산의 상승을 의미한다.
과연 그 다음 대체 자산은 무엇이 될 것인가?
개인적으로는 "디지털 금"을 선택하고 싶다.
세계 주요 6개 통화인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스털링,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의 가치에 경제규모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여 산출한 값을 미국 달러와 비교한 지표이다.
1973년 3월의 값을 100으로 하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에서 작성·발표한다.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 성립 이후로 달러의 가치는 금 1온스에 35달러로 고정되어 왔으나 1971년 8월 15일 닉슨 쇼크로 브레튼우즈 체제가 무너진 후 달러의 가치는 더 이상 고정되지 않고 수시로 변하게 되면서 달러의 가치 등락을 평가할 필요성 생겼고 이를 위해 1973년 부터 미국의 연방준비제도가 달러 지수를 만들었다.
23.09.25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슈에 의한 상승이 강하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미국 경제지표 발표시 예상치를 상회하며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주 또한 금요일에 주요 지표들이 대다수 발표 예정이며, 지지/저항라인은 차트상 상-중-하 라인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중간 지지라인인 105.343 라인 유지시, 상단 105.974 ~ 106.021 라인까지 도달할 확률이 높을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DXY : 105.664-106.416 중요한 경계 구간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5.664-106.416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투자 시장은 침체기에 접어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SPX500USD 차트)
각각의 차트에서 HA-High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차트에서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1D 차트)
현재 1D 차트에서만 HA-Low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 중 입니다.
HA-High 지표를 터치하고 하락하여 HA-Low 지표를 터치하게 되면, 추세 전환 구간에 위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때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추세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현재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면서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계단식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계단식 하락을 멈추기 위해서는 HA-Low 지표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4247.8 부근으로 하락을 지속하게 되면, HA-Low 지표가 하락하여 생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합니다.
------------------------------------------------------
(NAS100USD 차트)
NAS100 차트는 SPX500 차트와 다른 점은 아직 1D 차트에서 HA-Low 지표를 터치하지 않았다는 것 입니다.
(1D 차트)
하지만, 좀 더 하락하게 되면,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때,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DXY와 SPX500에서 추세 전환을 시도 중 입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M 차트, 1W 차트에 표시한 화살표 부근으로 아직 상승한 상태는 아닙니다.
하지만, 1D 차트에서는 추세 전환 움직임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104.789 에서 유지된다면, 결국 DXY는 상승추세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M 차트의 105.664 지점, 1W 차트의 106.416 지점 이 두 지점이 이루고 있는 105.664-106.416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되면 투자 시장은 침체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투자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SPX500USD 차트)
1M 차트를 보면, 4419.8 지점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4419.8 부근에 유지된다면 추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1W 차트)
1W 차트는 HA-High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아직 HA-Low 지표가 2755.8 부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중기적인 관점에서는 아직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해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지지와 저항 지점인 3903.4, 4116.0 4403.3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D 차트)
1D 차트에서는 추세 전환 구간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420.0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NAS100USD 차트)
NAS100USD 차트는 SPX500USD 차트와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D 차트)
따라서,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되지 않는다면, 아직 상승할 기회가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1M 차트)
그러므로, 1M 차트에서의 15090.3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는지가 관건입니다.
최대 지지 구간은 14710.6 부근까지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추세 전환 구간 : 103.484-104.064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이번의 상승으로 1M 차트의 105.664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새로운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새로운 추세는 1W 차트의 106.416 이상 상승하게 되면, 정확하게 방향성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의 손가락이 가리키고 있는 고점의 위치를 보면 하락세로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하락세를 이번의 상승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 위해서는 103.484-104.064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DXY는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SPX500USD 차트)
1M 차트의 HA-High 지표(4419.8), 1W 차트의 HA-High 지표(4478.4)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면서 신고가(ATH)를 갱신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1D 차트의 HA-High 지표(4563.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4514.3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NAS100USD 차트)
15624.6 이상 상승하게 되면 신고가(ATH)를 갱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15090.3-15379.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23.08.30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잭슨 파월 의장의 발언이후 고점인 104.447 라인 근처까지 상승후, 어제 노동부 구인 구직 보고서 발표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제 구인구직 발표건수는 882만7000건으로, 21년 3월 이후 최저 수치로, 2년5개월여 만에 구인 건수가 900만 건을 하회 하였습니다. 이는 시장 전망치 946만5000건 보다 훨씬 적게 발표되어 달러인덱스가 하락세를 나타내었습니다.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지켜져오던 달러인덱스 상승평행선이 깨지면서 하락세 전환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추세는 이번주 금요일 발표예정인 (한국시간기준) 21:30 미국 비농지표 이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단 예상 저항라인은 103.763 라인으로 예상되며, 목표 하단 라인은 102.768 라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XY 103.881-105.664 : 저항 받아야 하는 구간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DXY가 103.025 이상 상승하면서 투자 시장이 둔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W 차트에서 보면 103.881 지점이 저항 구간에 해당되고, 1M 차트에서 보면 105.664 지점이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103.881-105.664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SPX500USD 차트)
1M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인 4419.18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371.6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4255.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NAS100USD 차트)
14710.6-15090.3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3418.8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원죄의 가설오랜만입니다.
Imf 당시 국내 이슈는 대기업의 무리한 확장과 투자였으며, 결정적으로 달러 빚이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대외적으로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의 하락 또한 주요 변수로 작용했는데요. 지금과 거의 유사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원인은 다르지만..
어쨌거나 미국과 금리차이도 큰데, 이런 뉴스를 접할 때 마다 계속 신경이 쓰이는 게 사실입니다. 안그래도 수출 실적이 안좋은데..
그런 와중에 오늘 한국은행발 흥미로운 연구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신흥국이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이 불가능하다는 '원죄가설(Original Sin Hypothesis)'의 소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부디 이 어려운 시기를 무사히 잘 지나갈 수 있기를 바라며, 오랜만에 소식을 전합니다^^
DXY가 102.034 부근에서 저항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102.034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SPX500USD 차트)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4478.4 지점에서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점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4419.8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NAS100USD 차트)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15379.1 지점에서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NAS100USD는 SPX500USD 차트와 다르게 생성되려는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으므로 생각보다 많이 하락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15379.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4710.6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23.08.07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지난주 비농지표 발표에서 예상치 200k 보다 낮은 187k로 발표되며, 달러인덱스가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인 달러인덱스 흐름은 7월 18일부터 상승세가 작은 평행선으로(붉은색 평행선)나타났지만 저번주 비농지표 이후 다시 단기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주 붉은색 단기 평행선 하단 라인과 101.670 라인이 겹치는 지지라인을 돌파할것으로 보며 하락뷰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락시 목표가격대는 7월 27일 저점 근처인 100.816 라인 근처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DXY는 102.034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2.034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따라서, 큰 그림상 102.034-105.873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느냐를 확인해야 합니다.
작은 그림상으로는 102.034-103.494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느냐를 확인해야 합니다.
투자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102.034 이하로 하락하여서 횡보(sideways)하여야 합니다.
(SPX500USD 차트)
4419.8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신고가(ATH)를 갱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8월 15일경-22일경입니다.
(NAS100USD 차트)
15090.3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신고가(ATH)를 갱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8월 17일경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23.07.24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7월 18일까지 99.590 라인 근처까지 하락 후 지지를 받고 소폭 상승세로 전환되고있는 모습입니다.
단계적으로 저점이 올라가고 있으며, 예상 지지라인은 101.000 라인과 100.800 라인 근처에서 지지라인이 형성되어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시 목표 라인은 101.650 ~ 101.730 라인까지 상승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주 목요일 한국시간기준 03:00 미국 금리결정이 예정되어 있으며, 오늘자로 25bp 인상확률은 99.8%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