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2 BTC 15M 복기
어제 21:30분경 CPI 지표가 좋게 나와주면서 '상승 모멘텀' 캔들 형성이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과거차트를 보며 간단히 복기해보도록 하자면.
어제 CPI 발표 전까지의 (15M) 단기 프레임의 추세는 하락추세였음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러나, 12일 06:45경부터 더 이상 저점을 제대로 낮추지 못하는 단기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었고, 이것은 단기 하락추세가 제대로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볼만한 그림.
이런 상황 속에서 CPI 발표와 동시에, 몸통형 양봉 캔들 하나가 15분봉에서 하나의 몸통형 양봉 캔들 발견, 이 캔들은 결과적으로 몸통 마감기준 0.5%의 상승 변동성을 보여줌.
이전의 15분봉 10개 캔들의 고작 위 아래로 0.25% 사이에서만 움직인 것에 비하면,
CPI 발표시 나온 양봉 몸통 캔들은 "모멘텀"이라고 생각하기에 상대적으로 충분했다고 판단.
결과적으로 몸통 종가 이후 1%의 추가 상승 변동성을 보여줬으므로 단타 치는 사람 입장에서는 수익을 챙길 수 있었던 자리였고, 복기해보면서 공부하면 괜찮은 사례라고 판단이 들기에 브리핑 드림.
BTCUST.P 트레이딩 아이디어
2025 하반기 비트코인, 지금이 ‘끝’이 아니라 ‘진짜 시작’인 이유🚀 2025 하반기 비트코인, 지금이 ‘끝’이 아니라 ‘진짜 시작’인 이유🚀
요즘 120K 근처에서 비트코인 숨 고르기 중이라고? 난 오히려 이게 더 무섭다. 숫자 뜯어보면, 9월 말부터 판이 뒤집히고 10 ~12월이 진짜 승부처가 될 가능성이 크거든.
ETF, M2, 옵션, 기관 매수… 이 모든 게 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어.
(이어서 계속👇)
1️⃣ 120,000달러 돌파 후 밴드 재정의📈
지금 가격대는 115K~~125K 박스권을 만드는 중인데, 하단(115K) 지지가 단단하면 Q4에 135K~~150K까지 뻗을 여력 충분하다고 본다.
2️⃣ 실시간 물가 1.75 ~1.8%⚖️
Trueflation 데이터로 보면 6개월 전 3%에서 급락. 실업률 4%대 조합이면 연준 입장에서 금리인하 명분은 이미 확보된 셈.
3️⃣ 연내 금리 인하 최대 3회 전망📉
CME FedWatch에선 올해 2 ~3회 인하 확률이 반영 중. 금리만 내려도 멀티플 상향, 여기에 돈풀기(QE)까지 붙으면 위험자산 파티 시작.
4️⃣ M2 증가 = 비트코인 탄성 최강💧
2023 저점 찍고 M2가 다시 팽창 중. 글로벌 유동성 민감도 1위가 비트코인이라는 건 데이터로 검증된 사실.
5️⃣ 탑 시그널 0/30 = 아직 중반전📊
온체인·파衍 지표 30개 중 상단 시그널은 0개. 지금은 피크가 아니라 ‘가속 전환 구간’이라는 해석이 더 맞다.
6️⃣ 9월 말 옵션 만기 = 변동성 폭발🌪️
분기 옵션 OI 규모가 수십억 달러라, 120K·125K·140K 라운드 스트라이크 부근에서 가격이 한 번쯤 크게 휘청일 가능성 높음.
7️⃣ 200주 이동평균(200WMA) vs 전 ATH📏
전 사이클에선 200WMA가 직전 고점(69K) 돌파할 때 상단 근접 신호였지만, 이번엔 ETF·기관 매수 구조가 변수를 만든 상황.
8️⃣ TLT 5년 -50% vs BTC 5년 12배🚀
미 20년 이상 장기채 ETF(TLT)는 5년간 절반 토막.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12배 상승. ‘채권=안전자산’ 공식이 깨지고 있다.
9️⃣ 금 vs S &P, 그리고 BTC⚔️
2000년대 초 이후 장기적으로 금은 6 ~10배 올라 S &P를 앞선 구간이 있었지만, 최근 10년은 S &P 총수익이 우위. 비트코인은 장기·단기 모두 압도.
🔟 BTC 담보 대출·모기지 실서비스🏦
Xapo Bank, Milo 같은 곳에서 BTC 담보대출(LTV 20 ~40%, 최대 $1M)과 모기지가 이미 상용화. BTC가 금융시스템 깊숙이 스며드는 중.
결론적으로, 지금은 “끝물”이 아니라 “하반기 가속 전”이 맞다.
9월 말 옵션 만기 전후로 단기 변동성에 휩쓸리더라도, 10 ~12월에 상단을 새로 쓰는 그림이 기본 시나리오다.
내 기준으론 ETF 순유입, M2, 옵션 구조, 온체인 심리 이 네 가지가 동시에 꺾이기 전까지는 롱 관점 유지가 맞다고 본다.
8.13 비트코인 관점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은 그렇게 올리더니 이틀전 음봉으로 마감하는 기염을 통했네요.
그리고는 어제는 다시 양봉 마감.
쉽지 않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어제 마감된 양봉의 시가라인을 지켜주는 것이 상승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상단의 786과 81라인을 돌파 여부가 금일의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검정 박스 표기)
만약 위로 돌파한다면 이전부터 언급한 126~128k라인까지 기대가 되며,
반대로 하방 돌파시 116.1~2k 지지 여부를 추가로 체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들 대증 잘하시길 기원합니다.
BTC 대 불 숏안녕하세요 옵저버 입니다
이번비트코인 장세에 완전한 숏 타이밍이 왔다고 봅니다
0.618구간인 120,700 부분에서 저항을 받을것이라고 생각하며
특히 A1구간에서 A2구간의 지지대 매물을 만들었는데 상승파동이라면 , A2구간이 되돌림이 적게나와야
되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A1~A2 구간의 일자 지지대 (가짜 매물대 (구조물))을 만든후에 하락할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만약 다음에 만드는 구조물이 A2구간에서 아주가까이 가거나 혹은 ,닿게되는 시점에서
하락의 힘이 아주 강하다고 해석이 가능할거 같습니다
다음은 기간상으로 하락하는 이유를 큰틀에서 분석했습니다
비트코인 5파였네?!!! 안녕하세요 트뷰여러분 비트코인 하락시나리오 입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12만2천불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카운팅상 5의5파 그리고 5파이후 하위파동 ABC의 B 위치에 있습니다
12만2천불을 돌파후 매물대를만든다면
추가상승의 가능성도 있으나
현재 구간은 중요구간으로
(상단추세선의 하단 , 로우피크
피보나치 1.382)
만약 하락할시 38.2%가 되돌려 지는
A파가 나올수도 있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A파가 나온다면 피보나치 확장프로젝션의 1.13(노란색)
연장 3파의 0.382구간(3파영역)이 겹치는 82000-85000불 사이이며
추가로 하락한다면 하단 POC와 피보나치 전체비율의 피보나치 0.5
그리고 피보나치 확장 프로젝션의 1.618 그리고
전 고점도 겹치는 자리이므로 조정의 마무리가 예상되는곳이며
추가로 하락한다면 예상이 어렵게 됩니다
이후 녹색이나 빨간박스에서 매물대를만들어준다면 다시 분석하도록하겟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이 보기가 좀 어려워서 알트만 봤었는데
비트코인과 같이봐야 할거 같습니다 같이봐야 좀더 방향에 대한 힌트를 얻기가 좋은거같습니다)
[서버린] 2025년 8월 12일 비트코인 하락 관점 공유서버린은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부스트와 따뜻한 코멘트는 서버린에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버린입니다.
8월 12일 비트코인 숏 관점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번 아이디어의 근거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임의의 파동 X가 또 다른 임의의 파동과 0.382 길이 비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5파동이 1파동의 0.382 길이 비율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케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카운팅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다이아고날 형태로 보이는 파동에 피보나치를 역방향으로 적용해 본 결과,
2의 길이 비율이 형성되는 지점이 이번 고점인 112,360 부근과 거의 정확히 일치했습니다.
저는 이러한 ‘역방향 피보나치’를 자주 활용합니다.
보통 피보나치는 과거 시점을 첫 번째 포인트, 미래 시점을 두 번째 포인트로 잡지만,
저는 반대로 미래 시점을 첫 번째 포인트, 과거 시점을 두 번째 포인트로 설정하여 그립니다.
이 경우, 1.618 / 2 / 2.24 / 2.618 / 3 / 3.618 등의 비율이 자주 활용됩니다.
특히 A파와 C파, 3파와 1파처럼 한 파동을 건너뛰는 파동쌍 간의 비율 측정에 효과적입니다.
현재까지 유효한 포지션은 총 세 가지입니다.
모두 같은 맥락으로 하락 방향성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함께 읽어보시면 크게 도움이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 아이디어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1) 8월 10일 리플 숏 관점
2) 8월 11일 솔라나 숏 관점
3) 8월 12일 비트코인 숏 관점(본 아이디어)
여러분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함께 공유드립니다.
앞으로도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며,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길 때마다 추가 업로드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제나 강한 행운이 함께하시기를 바랍니다.
서버린 드림
비트코인, 9월 150K? 숫자·유동성·수급으로 다시 그려보니 시나리오가 이렇게 바뀐다“비트코인, 9월 150K? 숫자·유동성·수급으로 다시 그려보니 시나리오가 이렇게 바뀐다”
주말 급등으로 추세선이 흔들리고, CME 갭이 열리고, 글로벌 M2가 또다시 화두야. 그냥 ‘오른다’가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무엇 때문에 오를(혹은 꺾일)지를 숫자로 쫘악 깔아볼게.
(이어서 계속👇)
1️⃣ 📌 오늘 판의 기준점부터: 당일 고가 122,242 / 저가 118,355 / 현가 118,9K 부근. 변동성 확 커졌고, 단기 박스는 118K(갭 하단) ~123K(ATH 경계)가 핵심 축이야.
2️⃣ 🏁 ATH 체크: 7월 14 ~15일 기록한 123,153달러가 확실한 맨 위 경계선. 이걸 종가로 뚫는 순간 모멘텀 가속이 통계적으로 자주 발생해. “123K 상단 탈출→속도전” 시나리오에 힘이 실리는 이유.
3️⃣ 📉 추세선 돌파의 진짜 ‘확정’은 일봉 종가야: 윗꼬리로 넘었다고 끝난 게 아니고, 재테스트에서 지지로 바뀌는지까지 봐야 해. 확인 없이 쫓으면 슬리피지 크게 맞기 쉬움.
4️⃣ 🕳 CME 갭(약 118.4 ~119K) 열린 상황: 주말 급등으로 선물 마감가와 개장가 사이에 빈 구간이 생겼고, 시장은 보통 이 ‘빈칸’을 다시 테스트하곤 해. 다만 항상 100% 채우는 법칙은 아니고, 강한 추세에서는 ‘런어웨이 갭’으로 오래 열려있기도 한다.
5️⃣ 🧲 전형적 전개 하나: 갭 부근(또는 살짝 하회)까지 눌림→추세선 재확인→123K 재도전. 이 루트가 깔끔하면 위쪽 ‘저유동 구간’을 빠르게 통과하는 경우가 많아.
6️⃣ 🎯 첫 목표 130K의 논리: 123K 돌파 순간 대기 매도 얇은 구간이 열리면 피보나치 확장(-0.236/0.236) 대략 130K 테스트가 자연스러워. 피보는 보조지표일 뿐 정답은 아니지만, 레벨·리스크 관리용으로 유용해.
7️⃣ 📅 9월 시즌성은 평균 –4.5%로 약세지만, ‘항상 하락’은 아님: 2024년 9월은 플러스 마감했지. 그러니까 9월=하락은 기대값이지 숙명은 아니야. 이벤트(예: CPI/FOMC)와 포지션이 더 세게 작동할 때가 많다.
8️⃣ 💵 글로벌 M2와 BTC의 ‘동행·시차’ 프레임: 유동성 팽창 국면에서 BTC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은 다년간 관찰돼 왔어. 다만 ‘시차 90일=정답’은 아니고, 지표 구성/국가가중/샘플링에 따라 오차가 커진다. 방향성 잣대지 날짜·숫자 고정 예언이 아냐.
9️⃣ 📈 최근 내러티브(“9월=150K”)는 ‘M2 래그 모델’의 가능한 산출치 중 하나일 뿐: 유동성·정책·달러 인덱스가 함께 맞물려야 확률이 높아져. 그래서 나는 날짜+숫자는 “밴드”로 보지 “정확값”으로 보지 않아.
🔟 🧮 ETF 현금흐름은 당장 체감 가능한 수급: 8/7 +277.4m, 8/8 +403.9m, 8/11 +138.2m(달러 기준)처럼 최근 재유입이 붙고 있어. 다만 8/5엔 –196.2m처럼 역유입도 있었지. 이 축이 살아있으면 눌림 매수 탄성이 커진다.
1️⃣1️⃣ 💱 달러·금리 축: CPI가 컨센서스 아래면 9월 조기 금리인하 베팅이 세지고 달러가 약해질 가능성, 반대로 상회면 달러 강세·리스크오프로 기울기 쉬워. 이번 주 CPI가 빅 이벤트인 이유.
1️⃣2️⃣ 🧪 온체인 ‘상단’ 지표들은 아직 여유: 대표적으로 Pi-Cycle Top이 미발동. 이런 류의 과열 신호가 바스켓로 동시 점화되기 전까지는 “사이클 상단”을 단정하긴 이르다.
1️⃣3️⃣ 🧱 장기 보유자(LTH) 비중은 역사적으로 높은 구간 유지: 공급 탄력성이 낮아지면, ETF·현물 수요가 충격적으로 들어올 때 가격 탄력이 커짐. (정확 수치보다 흐름 자체가 포인트)
1️⃣4️⃣ 🏗 마이크로구조 포인트: 123K 위는 체결 공백(저체결대)이 산재. 한 번 관통하면 ‘가격이 가격을 부르는’ 속도전이 자주 나온다. 그래서 알림은 122.5K/123.2K/125K 이렇게 계단식으로 걸어두는 걸 선호.
1️⃣5️⃣ ⚠️ 리스크 첫째, 갭 하회 스파이크: 갭만 메우고 튀는 게 아니라, 관성으로 0.5 ~1.0% 더 미끄러졌다가 잡히는 패턴 빈번. 손절 위치에 여유를 둬야 ‘낚시 바늘’에 안 걸린다.
1️⃣6️⃣ ⚠️ 리스크 둘째, ETF 흐름 급반전: 앞서 본 것처럼 –196.2m 같은 하루 역유입이 누적되면, 현물 매도압이 의외의 타이밍에 터질 수 있어. 그래서 유입/유출 ‘연속성’을 본다.
1️⃣7️⃣ ⚠️ 리스크 셋째, 매크로 헤드라인: 관세·환율·정책 가이던스 같은 거시 트리거는 차트의 시나리오를 하루 만에 바꿀 수 있어. 숫자만 보지 말고 뉴스도 병행 모니터.
1️⃣8️⃣ 🎯 내 시나리오 맵(단기): 119K 부근(±0.5%) 테스트→반등 성공 시 122.5K 재돌파 체크→종가 기준 123K 위 안착→130K 피보 확장값 탐색. 실패 시 118K 재하방 열림, 손절·재진입 분리.
1️⃣9️⃣ 🧭 중기(4~~8주): 시즌성은 경계하되, 유동성·ETF 흐름이 유지되면 ATH 상방 확장 유효. 반대로 CPI 상회+달러강세+ETF 역유입이 겹치면 113~~115K대 중간 지지 확인 라운드가 필요할 수 있음.
2️⃣0️⃣ 🪜 사이클 상단 밴드: 보수 1.618(≈173K), 공격 2.0(≈306K). 이건 ‘언제·어떻게 도달할지’가 관건이라 온체인 과열, 유동성 둔화, 정책 변곡을 함께 본다.
2️⃣1️⃣ 🧰 실행 팁: 알림은 118.4K/119.0K(갭), 121.8K/123.2K(브레이크), 127.8K/129.8K(익절·분할)로 쪼개고, 레버리지는 CPI 직전엔 줄이는 게 보통 유리.
2️⃣2️⃣ 🧷 헤지 아이디어: 갭 메우기 전까지는 짧은 만기 풋/커버드콜로 프리미엄 회수, 123K 돌파 확인되면 델타를 다시 늘리는 식으로 ‘상승 참여+낙상 방지’의 균형.
2️⃣3️⃣ 🧭 체크리스트 4종 세트: (1) CME 갭 채움 여부, (2) 123K 상단 종가 안착, (3) Farside ETF 일간 플로우의 연속성, (4) 달러 인덱스·실질금리 방향. 이 4개가 그림을 결정한다.
2️⃣4️⃣ 🔁 내 결론: “날짜+숫자 예언”보다, 유동성(글로벌 M2·달러)과 수급(ETF)·트리거(CPI/FOMC)·차트(123K·130K)를 함께 맞춰가는 게 승률이 높다. 9월 150K도 ‘가능한 경로’ 중 하나지만, 지금 당장은 119K 갭·123K 탈출이 진짜 분기점이야.
비트코인 하락에 대비 2025.08.12 분석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19K - 119.8K 이 구간은 과거 주요 매물대이자 마지막 저항 라인이어서, 돌파 여부가 향후 신고가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하락추세선을 6번 넘게 맞고 돌파한 뒤라 하더라도 추세상승으로 직결된다고 확신하기는 이르다는 겁니다.
불장 속에서도 단기 눌림이 크게 나올 수 있다는 걸 잊으면 안 됩니다.
또한, 주요 저항이었던 117.5K - 118K 구간이 현재는 지지는 POC 구간과 결국 중첩이 되는 구간
해당구간에서 방어가 된다면 결국 신고가 돌파 가능하다는 판단
주요저항 라인 119K - 119.8K
120K - 120.5K
121.5K
주요지지 라인 117.5K - 118K
POC와 중첩 지지가 정말 중요
116.6K - 116.9K
이제는 주요지지라인이 이탈하게되면 다시 올라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 됩니다.
BTC LONG 113,900 5천달러
(소량남기고 포지션 종료)
BTC LONG 109,380 3.5만달러
BTC SHORT 120,848 1.3만달러
비트코인 CME GAP
17750 - 119180
숏 포지션은 일부 차익실현챙겨 두었고,
해당자리는 한번더 117.5K 정도까지는 한번 트라이 해주었다 상승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상승추세선과 하락추세선에서는 그래도 일부 반등이 나오고 있다
여유를 가지고 지켜봅시다.
“비트코인, 123K 문턱…이번 주가 진짜 판 뒤집는 주간 될 수 있다” 🚀“비트코인, 123K 문턱…이번 주가 진짜 판 뒤집는 주간 될 수 있다”
아침 시세 보는데 등골이 오싹하더라. 하루 고점이 122,242달러, 저점이 118,355달러. 이제 불과 1,000달러 조금 넘게만 오르면 전고점 123,166달러 뚫는다. 그 자리가 바로 숏 물량이 잔뜩 쌓여있는 ‘브레이크아웃 존’. 여기 깨면 쇼트 스퀴즈로 위가 ‘텅’ 비는 장면 나올 수 있다. 이번 주는 CPI·PPI 같은 매크로 변수에, ETF 자금 유입, 기관 매집, 그리고 지정학 변수까지 겹쳐서, 한 번에 판을 뒤집을 수 있는 ‘풀 패키지’ 장세가 열린다.
이어서 계속👇
1️⃣ 📈 전고점까지 단 0.76% — 현재가 118,886달러, 전고점 123,166달러까지 4,280달러(약 570만원) 남았다. 하루 변동폭이 3 ~5%인 시장에서 이 정도 거리는 단 하루, 심지어 몇 시간 안에도 갈 수 있는 구간이다.
2️⃣ 📊 CPI 발표 오늘 밤 21:30 KST — 헤드라인 예상치 2.8% YoY, 코어는 3.0 ~3.1%. 예상보다 높으면 매도 압력 강해지고, 낮으면 금리인하 베팅 급증. 이번 CPI 결과는 단순 물가 데이터가 아니라 9월 FOMC 금리인하 여부와 직결된다.
3️⃣ 💵 ETF 순유입 재개 — 지난 금요일 하루에만 BTC ETF +4억 390만 달러, ETH ETF +4억 6,100만 달러 순유입. 4일 연속 순유출을 끊고 강하게 전환한 흐름이라 시장 심리를 단숨에 바꿨다. 특히 ETH가 BTC보다 더 많은 유입을 기록한 점이 의미 있다.
4️⃣ 🏛 하버드 1,600억 매수 — 하버드대가 블랙록 IBIT ETF에 약 1억 1,600만 달러 보유를 13F 보고서에 공개. 미국 아이비리그 최초 대규모 공식 편입이라 기관 투자 심리에 불을 붙일 가능성이 높다.
5️⃣ 🏢 MicroStrategy 628,946 BTC 보유 — 이번에 155 BTC 추가 매수. 총 매입 원가 460억 9백만 달러, 현 시가 기준 평가차익만 약 280억 달러 이상. 5년 전 2억 5천만 달러로 시작한 비트코인 전략이 기업가치와 주가를 26배 넘게 키웠다.
6️⃣ 🌏 트럼프–푸틴 회담 이번 주 금요일 — 알래스카에서 예정.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돌발 합의·결렬 모두 가능. 동시에 중국과의 관세 유예·연장 이슈가 함께 대기하고 있어 위험자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
7️⃣ ⚙️ 반도체 ‘15% 납부’ 빅딜 — 엔비디아·AMD가 중국 판매 AI칩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 미·중 무역협상에서 트럼프의 ‘협상 카드’로 활용될 수 있고, AI 인프라·반도체·크립토 자금 흐름에 간접 영향 줄 수 있다.
8️⃣ 📉 BTC 도미넌스 60% 안팎 — 최근 59.5%까지 하락했다가 반등. 알트 강세 전환의 전형적 전조. 특히 ETH 강세와 맞물리면 알트코인 시장 자금 순환이 가속될 수 있다.
9️⃣ 💡 ETH 투자자 97% 수익 구간 진입 — 현재가 4,300달러, 전고점 4,860달러까지 약 13% 남음. 온체인 수익 주소 비율이 97%라는 건 심리적 매도 압박이 거의 없는 상태라는 뜻. 단기 5,000달러 돌파 가능성 열려 있다.
🔟 📆 단기 매매 전략 — CPI 발표 전까지 레버리지 노출 줄이고 현금·스테이블 비중 확보. 발표 후 123K 돌파 + 거래대금 동반 시 확정 브레이크아웃 판단. 실패 시 118 ~120K 박스권 재진입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
1️⃣1️⃣ 🎯 연말 시나리오 — 글로벌 M2 유동성 확대, ETF·401(k) 편입, 금리인하 조합 시 연말 170K 가능. 다만 이는 조건부 시나리오이며, CPI·지정학·정책 이벤트를 모두 통과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이번 주는 단순한 주간이 아니라, ‘연말 가격 궤적’을 결정지을 수도 있는 분기점이다.
123K를 강하게 돌파한 첫 일봉 마감이 나오는 순간, 시장은 완전히 다른 국면에 들어설 거다.
지지와 저항 구간 : 114454.57-115854.56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의 K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여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상승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손가락이 가리키는 구간에 해당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114454.57-115854.5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만일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108353.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8월 13일경(8월 12일-14일)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계단식 상승세의 시작은 119177.56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미래예측//@version=5
indicator("BTC 4H Elliott+Fibonacci Forecast (Approx)", overlay=true, max_lines_count=200, max_labels_count=200)
// ------------------ Inputs ------------------
pivot_left = input.int(6, "Pivot Left Bars (sensitivity ↑)", minval=1)
pivot_right = input.int(6, "Pivot Right Bars (sensitivity ↑)", minval=1)
show_fib = input.bool(true, "Show Fibonacci Levels")
show_waves = input.bool(true, "Show Elliott-style Wave Labels")
show_scenarios= input.bool(true, "Show Scenario Targets (Bull/Neutral/Bear)")
lookback_swings = input.int(12, "Lookback swing count to collect", minval=5, maxval=50)
// color settings
col_bull = input.color(color.new(color.green, 0), "Bull Scenario Color")
col_neut = input.color(color.new(color.orange, 0), "Neutral Scenario Color")
col_bear = input.color(color.new(color.red, 0), "Bear Scenario Color")
col_fib = input.color(color.new(color.blue, 60), "Fib Line Color")
// ------------------ Helper: find pivots ------------------
// use ta.pivothigh/low with left/right parameters
ph = ta.pivothigh(high, pivot_left, pivot_right)
pl = ta.pivotlow(low, pivot_left, pivot_right)
// We'll collect pivots into arrays (time, price, type)
var float swing_price = array.new_float()
var int swing_index = array.new_int()
var int swing_type = array.new_int() // 1 = high, -1 = low
if (not na(ph))
array.unshift(swing_price, ph)
array.unshift(swing_index, bar_index - pivot_right)
array.unshift(swing_type, 1)
if (not na(pl))
array.unshift(swing_price, pl)
array.unshift(swing_index, bar_index - pivot_right)
array.unshift(swing_type, -1)
// trim array to lookback_swings
while array.size(swing_price) > lookback_swings
array.pop(swing_price)
array.pop(swing_index)
array.pop(swing_type)
// convert arrays to latest swing series for plotting (up to 10)
sCount = array.size(swing_price)
// ------------------ Determine last swing highs/lows and attempt wave mapping ------------------
// We'll attempt a simple wave assignment: use last 5 directional swings as waves 1-5
// This is a heuristic: user should manually inspect and adjust.
var label wave_labels = array.new()
// clear old labels if new pivots detected
if barstate.islast
for i = 0 to array.size(wave_labels)-1
label.delete(array.get(wave_labels, i))
array.clear(wave_labels)
// Build a list of the most recent swings (chronological)
sw_prices = array.new_float()
sw_inds = array.new_int()
sw_types = array.new_int()
for i = 0 to array.size(swing_price)-1
array.push(sw_prices, array.get(swing_price, i))
array.push(sw_inds, array.get(swing_index, i))
array.push(sw_types, array.get(swing_type, i))
// Only attempt wave assignment if we have at least 5 swings and alternating high/low
if array.size(sw_prices) >= 5
// take the last 5 swings (most recent)
last5_prices = array.new_float()
last5_inds = array.new_int()
last5_types = array.new_int()
for k = min(4, array.size(sw_prices)-1) to 0 by -1
// build from older->newer for readability
idx = array.size(sw_prices)-1 - k
array.push(last5_prices, array.get(sw_prices, idx))
array.push(last5_inds, array.get(sw_inds, idx))
array.push(last5_types, array.get(sw_types, idx))
// now last5_* arrays contain 5 swings in chronological order
// Label them as Wave1..Wave5
for w = 0 to array.size(last5_prices)-1
p = array.get(last5_prices, w)
pi = array.get(last5_inds, w)
t = array.get(last5_types, w)
lbltxt = "W" + str.tostring(w+1) + " " + str.tostring(math.round(p))
lbl = label.new(pi, p, lbltxt, yloc=yloc.price, style=label.style_label_down if t==1 else label.style_label_up, color=(t==1 ? color.new(color.red, 0) : color.new(color.green, 0)), textcolor=color.white, size=size.normal)
array.push(wave_labels, lbl)
// ------------------ Fibonacci calculations ------------------
// We'll use last major swing high and low from swings to calculate retrace/extension
// pick most recent swing high and preceding low (or vice versa)
float swingHighPrice = na
int swingHighIndex = na
float swingLowPrice = na
int swingLowIndex = na
// find most recent high then previous low (or opposite)
for i = array.size(swing_price)-1 to 0 by -1
typ = array.get(swing_type, i)
if typ == 1 and na(swingHighPrice)
swingHigh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High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typ == -1 and na(swingLowPrice)
swingLow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Low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break
// if couldn't find both in that order, reverse search
if na(swingHighPrice) or na(swingLowPrice)
// try other order
for i = array.size(swing_price)-1 to 0 by -1
typ = array.get(swing_type, i)
if typ == -1 and na(swingLowPrice)
swingLow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Low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typ == 1 and na(swingHighPrice)
swingHighPrice := array.get(swing_price, i)
swingHighIndex := array.get(swing_index, i)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break
// Compute retracement levels (high -> low if high > low)
var float fib_382 = na
var float fib_50 = na
var float fib_618 = na
var float ext_100 = na
var float ext_1618 = na
if not na(swingHighPrice) and not na(swingLowPrice)
top = math.max(swingHighPrice, swingLowPrice)
bot = math.min(swingHighPrice, swingLowPrice)
range = top - bot
fib_382 := top - range * 0.382
fib_50 := top - range * 0.5
fib_618 := top - range * 0.618
// For extension: use last move magnitude (we'll use wave1 length estimate = top - bot)
ext_100 := top + range * 1.0
ext_1618 := top + range * 1.618
// ------------------ Scenario targets ------------------
// We'll define:
// - Bull: extension 1.618
// - Neutral: extension 1.0
// - Bear: retrace to 50% (or to swingLow)
bull_target = ext_1618
neut_target = ext_100
bear_target = fib_50
// Draw scenario horizontal lines & labels
if show_scenarios and not na(bull_target)
line.new(bar_index, bull_target, bar_index + 200, bull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bull, style=line.style_dashe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bull_target, "Bull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bull_target)) + "$", color=col_bull,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if show_scenarios and not na(neut_target)
line.new(bar_index, neut_target, bar_index + 200, neut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neut, style=line.style_dotte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neut_target, "Neutral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neut_target)) + "$", color=col_neut,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if show_scenarios and not na(bear_target)
line.new(bar_index, bear_target, bar_index + 200, bear_target, xloc=xloc.bar_index, color=col_bear, style=line.style_solid, width=2)
label.new(bar_index + 4, bear_target, "Bear target " + str.tostring(math.round(bear_target)) + "$", color=col_bear, textcolor=color.white, style=label.style_label_left)
// ------------------ Plot Fibonacci levels ------------------
if show_fib and not na(fib_382)
line.new(swingLowIndex, fib_382, bar_index, fib_382, xloc=xloc.bar_index, color=col_fib, style=line.style_solid)
label.new(bar_index, fib_382, "Fib 38.2% " + str.tostring(math.round(fib_382)) + "$", yloc=yloc.price, style=label.style_label_left, color=col_fib,
BTC 저항 에상구간안녕하세요 비토끼입니다.
글에 흥미가 있으셨다면 부스팅 및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 주봉차트로 최근 상승을 하며 세점이 닿는 추세선을
만들어 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추세선을 기반으로 피보나치를 작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이전 고점을 찍고 내려온 파동의 피보나치 0.5되돌림과
이전 상승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되돌림 1.13이 빨간색 추세선과 닿는 구간
$124.7K~$125K부근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보나치의 경우 터치를 하고 저항을 보여주는 모습이 많기 때문에
피보나치를 터치한 이후 빨간색 추세선에서 저항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중입니다.
마지막으로 한시간봉으로 크게 확대한 사진 올려드립니다.
BTC 하모닉 박쥐패턴 형성 가능안녕하세요 비토끼입니다.
글에 흥미가 있으셨다면 부스팅 및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반등을 하는 과정에서 하모닉
박쥐패턴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쥐패턴의 D점 $118.9K는 이전에 FOMC연설때 급하락이후
반등을 보여줬던 지점과 겹치는 것이 확인되고,
물론 시간프레임이 낮은 프레임이므로
강한 저항 자리는 아니지만,
저항이 한번 나와준다면 숏포지션 진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손절가는 $121K로 하모닉패턴의 영향력을 아예
벗어나는 구간을 설정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조금 더 손절가를 타이트하게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소 익절가는 $116.3K로 AD의 0.382되돌림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요약
진입가 - $118.9K
손절가 - $121K
익절가 - $116.3K
추후에도 계속 가격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개인적인 전략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7.29 비트코인] 상승 돌파 후 리테스트 구간인가, 혹은 거짓 돌파인가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팀 Yonsei_Dent입니다.
현재 BTC는 중기 하락 채널 상단을 강하게 돌파한 뒤, 그 지점을 되짚는 리테스트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이 자리는 단기 강세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경계선입니다.
🔍 Key Levels (4H 차트 기준):
1. 상승 간 POC: $118k
→ 최근 상승 구간 내 거래량 중심 축.
→ 현재 가격 수준에 해당하며 지지가 나타난다면 강한 매수세가 여전히 남아있다 해석 가능.
2. PD Array Mid Level : $116.8k
→ ICT 기준 Premium & Discount zone의 중간 지점. PD Array 밸류 에어리어의 중심축 역할.
3. 눌림 진입 유리 구간: $113,200 ~ $115,200
→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약간의 조정을 거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음.
→ Discount Zone 내에서 OTE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조정 시 우선 고려해야 할 매수 대기 구간.
→ $113.2k, $114.2k, $115.2k에 걸쳐 하방으로 갈수록 비중을 높이는 분할 매수를 시도할 수 있음.
→ 강한 추세 이탈 시 매수 시나리오 보류.
⸻
📐 구조적 흐름 요약:
1. 하락 채널 상단 돌파
→ 고점을 낮추는 구조의 이탈 = 방향성 전환 신호일 수 있음.
→ 가짜 돌파 (False Breakout) 가능성에 유의.
2. Breakout 이후 리테스트
→ 현재 위치는 돌파가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구간
3. 이탈 시 False Break 가능성
→ 다시 하락 채널 내로 복귀하는지의 여부를 잘 살필 필요가 있음.
⸻
📚 분석 근거:
• ICT의 Premium & Discount 구조
• 상승 추세 내의 POC(Volume Point of Control)
• 차트 상의 하락 채널 구조 및 False Breakout 가능성
⸻
📌 현재 비트코인의 레벨은 매우 중요한 레벨입니다.
📌 다음 1~2일간의 캔들 구조가 향후 추세 방향을 결정지을 것입니다.
📌 FOMC 전후로 강한 방향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8.6 비트코인] 눌림 롱 기회 .. 이제는 $115.7k 돌파 여부가 핵심7.29 분석에서 제시했던
👉 $113.2~$115.2k 눌림 진입 구간은 성공적으로 작동했습니다.
비트코인은 이후 반등을 보이며 상승 채널 상단 돌파를 다시 시도하려 하고 있습니다.
⸻
🔍 Key Levels (1D 기준):
• 저항 돌파 필요 구간: $115.7k
→ 해당 구간은 현재의 구조를 Double Bottom 구조로 본다면, Neckline 에 해당하는 주요 레벨에 해당합니다.
→ 강한 돌파 시 패턴을 기반으로 한 추가 상승 여력 확보
• 다음 저항 구간 : $116.8k
→ PD Array의 Mid - level에 해당.
⸻
📐 구조적 흐름 요약:
1. 조정 후 약한 반등 → 눌림 롱 제시 구간은 유효
2. 현재는 $115.7k 저항 돌파 여부가 핵심 변수
3. 돌파 시 → 구조적으로 Double Bottom 완성 → 상승 모멘텀 가능
4. 반등 실패 시 → 하락 채널을 계속해서 따라가며 PD Array 하단을 하방돌파할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
📚 분석 근거:
• ICT Premium & Discount + PD Array 적용
• 상승 간 하락채널 돌파 및 Double Bottom 구조 성립 가능성
• 저항 구간 돌파 못할 시 계속해서 하락 움직임 나타날 가능성 고려.
비트코인, 힌트 나오기 전까지는 상승비트는 현재 날봉상 중요했던 111.9k를 지지 받고
쭉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딛을때 날봉상 상승 장악형 캔들이떴습니다.
상승 장악형캔들 은
하락하는 도중에 음봉을 크게 잡아먹는 양봉이 떠야하며,
대신 거래량은 음봉보다 작아야합니다.
즉, 캔들은 음봉 보다 양봉이 큰데 거래량은 양봉이 작아야합니다.
그 뜻은 그만큼 거래'량' 자체는 작은데 힘이 좋다.
그럼으로 추세변곡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라고 인식하시면 좋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변곡을 정확히 딛어주며 동시에
위에서 말씀드린 장악형 캔들이 떴기 때문에
명확한 피보나치를 셋팅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피보나치에서는 현재
0.382 부근을 잘 딛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전에는 꼬리로 계속해서 지지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건 눌려도 해당 0.382 부근인
116.2k는 잘 지켜줘야하는 중간 지지층임을 확인 이 가능합니다.
또한, 0.618 되돌림 부근인 118.9k는
걸림돌 이 될 수 있겠지만 해당 부근마저 뚫어준다면
다시금 0.886 되돌림 부근인 121.9k까지 충분히 도달 가능성 이 생깁니다.
비트를 한번 4시간봉으로 좁혀보겠습니다.
현재 잘 상승을 도전하고 있으며,
4시간봉에서 초록색 형관팬처럼
약 116.6k 부근을 잘 지지로 딛은 모습도 확인 이 됩니다.
다음 걸림돌은 주황색 체크부근인
120k 부근 입니다.
계속해서 저항을 받았던 부근임을 확인이 가능하신데
그렇다는건 각 가격대들은 현재 진입의 기준이되며, 부분익절의 기준이되고
반대로 리스크관리의 기준 이 됩니다.
지금 브리핑을 공유드리고는 있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진입기준을 잡는다기보다는
조금은 기다리셨다가
중요 가격대에 도달할 시에 전략을 짜는게 현명한 전략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는 특별한 아래로 나오는 차트 힌트가 없기 때문에
저는 적어도 120k 까지는 특별한 그림이 없다면
도달할 가능성 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해당 부근을 잘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항상 트레이딩에서는 100%라는게 없기 때문에
참고자료로만 확인하시고, 이렇게 바라볼 수도 있구나 정도만 인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버린] 2025년 8월 4일 비트코인 상승 관점 공유우리는 SeoVereign 트레이딩 팀입니다.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구조(Structure), 심리(Sentiment), 모멘텀(Momentum)을 중심으로 시장을 분석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부스트와 따뜻한 코멘트는 서버린에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아이디어를 읽어보시기 전에 부스트 한 번씩만 눌러주신다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
이번 아이디어는 지난 8월 1일에 게시한 아이디어와 연계되는 내용입니다.
8월 1일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저는 현재 시장의 흐름을 하락 우선으로 보고 있으나, 아직 한 차례의 상승 파동이 남아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 시작 지점을 포착하려는 구간에 있습니다.
당시 제시드렸던 141,100 부근의 지지선 기반 상승 아이디어는 다소 조정을 받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8월 1일 진입한 물량을 여전히 보유 중입니다. 이는 ZIF를 아직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ZIF(Zone In Fibonacci)란 제가 직접 고안한 개념이며, 피보나치 되돌림을 작도했을 때 1.0 비율과 1.414 비율 사이의 가격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 구간은 아이디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임계 영역으로 작용하며, 해당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 전략은 여전히 유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또한, ZIF의 마감 기준은 일봉의 마감 가격입니다.
단순히 ZIF를 벗어났다고 해서 관점을 폐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여전히 유효한 범주 내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ZIF의 마지막 임계점에 해당하는 112,415 부근에서 두 번째 진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TP(익절가) 또한 조정하여, TP의 평균가를 116,658 부근으로 재설정합니다.
항상 그랬듯이, 시장의 흐름에 따라 관점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서버린 드림.
8월 4일 비트코인(BTC) 상승 관점 - 공통의 구간, 단기 반등 시나리오안녕하세요.
변동성보다 더 강했던 여러분의 인내에, 진심 어린 응원을 보냅니다.
매일같이 시장을 마주하며,
흔들림 없이 걸어가는 모든 트레이더 분들께 깊은 존경과 응원을 보냅니다.
*캔들, 거래량, 모멘텀, 구조, 프랙탈(심리)에 의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대응하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4일 비트코인
주말 동안 비트코인은 매수 유입이 미미한 가운데 하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그 배경에는 일봉상 유지되던 가격 구조의 붕괴, 그리고 중립 기준선 이탈 이후 기술적 약세 흐름이 본격화된 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약 20일간 이어졌던 보합(횡보) 구간 내 중장기 흐름에 변화가 발생했고, 단기적으로 방향 전환 이후의 진입 국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빠른 추세 전환을 기대하기 다소 어려운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현재 시장이 지지받고 있는 111.9k ~ 110.5k 구간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이어졌던 중장기 박스권 상단 구간입니다.
이 박스 구간은 신고가 이후 매물대를 형성하면서 기간 조정이 동반된 핵심 구간으로,
특히 상단 영역은 이전까지 지속적인 저항이 발생했던 주요 레벨입니다.
이번 지지 역시 기술적 관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반응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는 돌파한 저항 구간을 지지하는 전형적인 가격 전환 메커니즘이 작동 중인 상태이며, 중장기 상승 구조 측면에서는 건강한 되돌림 조정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자리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쉽게 이탈 시키긴 어려운 구조로 보고 있으며, 추가 하락을 위한 모멘텀을 축적하기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반등이 나타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즉 하락과 반등 양측면에서 공통적인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구간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상승'이라는 시나리오에 종착했습니다.
현재 저 역시 해당 구간에서 롱 포지션을 일부 오픈한 상태이며, 단기 상승 관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준선은 110k로 설정했으며, 해당 레벨을 확정적으로 이탈하지 않는 한 상승 시나리오는 유효하다고 판단합니다.
만약 목표가 도달 없이 일시적인 눌림이 먼저 전개된다면, 기준선 내에서 분할적으로 물량 확보를 이어갈 생각입니다.
다만, 이번 상승 시도에 대해 목표가를 보수적으로 설정한 이유는 분명합니다.
최근 20일간의 보합(횡보) 구간 동안 시장에는 단기 매수 물량이 다수 포진되었고, 이번 하락 흐름으로 인해 이전 매물대에서 강한 가격 저항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대 심리는 하락으로 인해 꺾였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가격 저항 현상이 강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하방 압력이 완전히 해소되기 전까지는 신중하고 보수적인 스탠스 유지하며, 시장의 움직임과 수급 상황에 집중하는 전략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시장은 언제나 불확실성을 동반하기에, 모든 트레이딩 전략에는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명확한 손절 라인을 설정한 후 진입해야 하며, 시장 상황과 가격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흐름은 단기적일 수 있지만, 예리하게 대응한다면 충분한 수익 기회를 기대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언제나 여러분 편에서, 행운이 따라붙길 바랍니다."
차플 드림
---------------------------------------------------------------
이 분석은 시장 변화에 따라 지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코멘트, 🚀 부스트, 🔔 팔로우는
더 빠르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 공유에 큰 도움이 됩니다!
8월의 파도 속에서도 중심을 지킨 여러분께 존경의 박수를 보냅니다.
시장은 흔들려도, 여러분의 기준은 흔들리지 않기를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개인적인 견해 공유일 뿐 매매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반드시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만 달러 비트코인, 진짜 초읽기냐? 숫자로 보니까 ‘유동 고갈’ 시계가 돈다”💥“100만 달러 비트코인, 진짜 초읽기냐? 숫자로 보니까 ‘유동 고갈’ 시계가 돈다”💥
지금부터는 말보다 숫자야. 유동 1,120만 개 vs. 매일 1,000 ~2,000개 흡수, 여기에 2028년 발행 225개/일로 반 토막.
ETF만도 285개/일(’24년 평균치 근사) 빨아들이던 게 ‘바닥’이라면, 위로 덧씌울 건 기관·국가·전략 HODL이지.
(이어서 계속👇)
1️⃣ 유동/비유동 구조부터 정리 🔍
2024년 4월 반감기 기준으로 유동 1,120만 BTC, 사토시 지갑 100만, 영구 분실 400만, 전략 HODL 350 ~450만으로 잡혀. 숫자만 봐도 “시장에 실제로 돌아다니는 물량”이 생각보다 훨씬 적지. 유동의 희소성이 이 게임의 본론이야.
2️⃣ 신규 발행량의 체급이 급격히 작아진다 ⛏️
지금은 450 BTC/일, 2028년 반감기 이후 225 BTC/일. 중요한 포인트는 “공급이 줄어드는 속도”보다 “유동에서 빠져나가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순간부터 가격 탄성(레버리지)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것.
3️⃣ ETF는 이미 ‘하한선’ 역할 🧲
2024년 말 기준 순매수 앵커로 285 BTC/일 정도가 거론됐지. 이건 ‘베이스 드레인(base drain)’. 여기에 연금·보험·자문 플랫폼, 그리고 국가급 수요가 얹히면 1,000 ~2,000 BTC/일 구간 진입은 ‘언제까지나 가정’이 아니라 “타이밍 문제”로 바뀐다.
4️⃣ 시나리오로 깐다: 보수 vs 공격 📈
보수: 2,000 BTC/일 흡수가 꾸준히 이어지면 2028년 가을 100만 달러 근처.
공격: 1,000 ~2,000 BTC/일로 가속 붙으면 2027년 초 100만, 2027년 말 200만, 2031년 500만까지 경로가 열려. 핵심은 “꾸준한 흡수 지속”이야—단발성 펌프가 아니라.
5️⃣ 하이퍼볼릭(3,000+/일)은 ‘가능하지만 낮은 확률’ 🚀
3,000 BTC/일 이상 흡수면 2036년 전 유동이 사실상 바닥날 수 있다는 트랙도 있어. 솔직히 이건 정책·회계·시장 미세구조가 ‘동시에’ 밀어줘야 나오는 그림이라, 베이스로 쓰기엔 과함. 하지만 “패닉성 비트코인 러시”가 시스템에 들어오면 스텝업(계단식 점프)은 언제든 발생 가능.
6️⃣ 브라질: 8/20 상원 공청회가 타이밍 포인트 🇧🇷
외환보유액의 5% BTC 편입 제안—이건 말 그대로 ‘국가급 밸런스시트’의 프레임 전환 논의야. 결론이 당장 안 나와도, “공식 테이블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가 다른 신흥국의 ‘정치적 리스크 프리미엄 → 비트코인 헤지’ 내러티브를 촉발시켜.
7️⃣ 인도네시아: 보도 ↔ 부인, 해석은 ‘탐색 단계’ 🇮🇩
부통령실 미팅 소식이 돌았지만 곧바로 “비축 논의 없었다” 반박. 여기서 포인트는 딱 하나—정책 결정이 아니라 “설명회/탐색”이란 거. 즉, 가격에 반영할 건 확정값이 아니라 ‘옵션 밸류(가능성 프리미엄)’.
8️⃣ 프랑스: 원전 잉여전력 → 채굴, 산업정책 내러티브 🇫🇷⚡
RN이 밀어붙이는 건 “버려지는 전력 → 디지털 자산”이라는 에너지 전환의 재구성. 실행엔 법·규제·EDF(국영 전력사)와의 실무 설계가 필요하지만, 유럽 대형 전력시장에서 “채굴=전력부문 부가가치 사업”이란 프레임을 여는 게 크다.
9️⃣ 이탈리아: 은행재단 자금의 디지털 다변화 ‘제안’ 🇮🇹🏦
몰수·압류 자산 회계 처리 같은 기술적 허들이 먼저지만, 포인트는 “국가 재정 생태계의 한 축이 BTC를 자산군으로 진지하게 검토” 단계로 올라왔다는 거. ‘정책 파일럿’이 돌면 뒤따르는 곳이 반드시 생긴다.
🔟 아부다비 SWF: 직접 보유는 아니어도 ‘주권 머니’가 ETF를 탄다 🏛️
블랙록 IBIT 수억 달러 노출 공개. 이건 ‘국부펀드가 이미 간접 익스포저’라는 신호. 다른 SWF들이 RFP(제안요청)로 벤치마킹 시작하면, ETF 일일 흡수량은 분기 단위로 체급이 커진다.
1️⃣1️⃣ 미국: SBR(전략비축) 행정명령의 ‘메시지’ 🦅
핵심은 두 줄: “예산중립 축적”과 “공식 회계/감사 라인에 올린다”. 즉, ‘무제한 현물 매수’는 아니지만, “정부가 합법적 루트로 BTC를 꾸준히 쌓을 수 있게 제도 깔아둔다”는 뜻. 정치 사이클 따라 실행 속도는 출렁여도 방향성은 확실해진다.
1️⃣6️⃣ 결론: 100만 달러는 ‘믿음’이 아니라 ‘유동 수학’의 문제 🧮
매일 1,000 ~2,000개 흡수를 9 ~18개월 유지하면, 나머지는 “가격이 따라오도록 설계된” 게임이 된다. 변수는 ‘언제’와 ‘누가 먼저’일 뿐. 난 이 싸움이 속도전이 아니라 체력전(지속전) 이라고 본다.
“18억 달러 굴리는 월가 거장, 비트코인·소형주·AI를 동시에 찜했다”🔥“18억 달러 굴리는 월가 거장, 비트코인·소형주·AI를 동시에 찜했다”🔥
미국 금융업계에서 25년 넘게 버틴 베테랑이자 Barron’s 명예의 전당에 오른 제니퍼 마콘텔. 이 사람이 5년 전 아들에게 “비트코인 사라”라고 한 이유부터, 지금 당장 미국 소형주에 기회가 있다고 보는 근거, 그리고 AI가 어떻게 금융 현장을 뒤흔드는지까지
1️⃣ 💰운용자산 18억 달러, 텍사스에서만 500가구 담당
마콘텔은 텍사스 몬트 벨뷰에서 Ameriprise Financial 팀을 이끌고 있는데, 운용자산(AUM)만 약 18억 달러(한화 약 2조5천억 원) , 고객은 500가구 이상 . 이 정도면 지역 단위가 아니라 소규모 연기금 급 규모죠.
2️⃣ 🏆Barron’s Hall of Fame 2025 신규 헌액
Barron’s 명예의 전당은 10년 이상 Top 100 Advisor 랭킹을 유지해야만 들어가는 자리. 2년마다 단 1 ~2명 정도만 추가되는 이 리스트에 마콘텔이 2025년 입성했다는 건 업계 내 입지와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뜻.
3️⃣ 📈2022년 Edward Jones → Ameriprise로 이적, AUM 17억 달러로 시작
이적 당시에도 이미 17억 달러를 굴리고 있었고, 고객가구만 450곳. 이적 후 3년 만에 자산 1억 달러 이상을 더 불린 셈.
4️⃣ ₿5년 전, 21살 아들에게 ‘비트코인 사라’
2020년 전후, 코로나로 인해 금리가 급격히 내려갈 걸 읽고 아들에게 직접 투자 조언. 당시 가격대 대비 지금 BTC 가격은 수배 이상 상승. 단순 예측이 아니라 ‘통화 정책 → 자산 가격’ 흐름을 읽은 전형적인 매크로 플레이.
5️⃣ 🌍암호화폐는 금융포용의 열쇠
그녀는 “안정적인 통화를 가진 미국인들은 다른 나라의 화폐 변동성을 잘 모른다”며, 암호화폐가 국경 밖에서 공정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라고 설명. 특정 코인 선택은 유보했지만, 암호화폐 전체를 ‘미래 화폐’로 보는 장기 관점.
6️⃣ 📊미국 소형주, 공정가치 대비 16% 할인 중
Morningstar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미국 소형주는 펀더멘털 대비 16% 저평가 상태. 마콘텔은 “너무 많이 맞아서 리바운드할 타이밍”이라고 판단. 특히 AI, 반도체, 재생에너지 등 차세대 기술 수혜 섹터를 주목.
7️⃣ 📉단기 변동성은 인정, 연말은 플러스 가능성
올 봄 대비 상승 여력은 줄었지만, 연말까지는 플러스 수익률 전망. 다만 변동성이 이어질 것이므로 고점 추격보다 분할 매수·섹터 분산 전략 권장.
8️⃣ 🤖AI 파일럿 5개 프로젝트 참여 중
Ameriprise 내부에서 회의 노트 자동 작성, 고객 미팅 기록 정리, 복잡한 세무분석을 시각화하는 AI 툴 등을 테스트 중. 그녀에 따르면 고객은 ‘두꺼운 리포트’보다 직관적인 인포그래픽 자료를 훨씬 잘 기억하고 이해함.
9️⃣ 🏢Ameriprise, 운용규모 1조6천억 달러의 포춘 500대 금융사
Ameriprise는 1894년 설립, 2025년 기준 AUM/AUA/Advisement 합산 $1.6T , 포춘 500 순위 254위 . 이런 대형사의 리소스와 테크 인프라를 활용하는 게 마콘텔의 경쟁력 중 하나.
🔟 👥미래 세대·기술 변화에 대비
그녀는 “기술 변화와 사람들의 시간 사용 패턴 변화가 업계를 뒤흔들 것”이라고 단언. 본인 팀이 이런 변화에 적응하도록 교육과 시스템에 투자 중.
단순히 ‘비트코인 좋아한다’가 아니라 매크로 읽기 → 자산군 선택 → 밸류에이션 분석 → 테크 인프라 활용 까지 풀스택 전략을 쓰는 사람이란 점이에요.
지금 같은 시기, 이런 흐름을 읽을 줄 아는 투자자라면 비트코인과 소형주, 그리고 AI 기술 도입에 동시에 베팅하는 포트폴리오를 고민해볼 만하죠.
ETH 4천 달러 재돌파, 401(k) 개방, 금 관세 쇼크”…연말 비트코인, 숫자로 보니 ‘진짜 시나리오’가 따로🔥“ETH 4천 달러 재돌파, 401(k) 개방, 금 관세 쇼크”…연말 비트코인, 숫자로 보니 ‘진짜 시나리오’가 따로 있다🔥
시장 떡밥 미쳤다. ETH는 4천 달러 다시 밟았고, 하버드·브라운 엔도우먼트가 ETF로 숫자 찍어줬지. 401(k) 행정명령으로 $8.9T짜리 파이프도 열렸고, 금(金) 관세 뉴스가 디지털 골드 서사에 기름 부었다. (이어서 계속👇)
1️⃣ 📌 오늘 비트코인 ‘박스’는 숫자로 좁혀졌다
$116,581, 일중 고가 $117,098 / 저가 $115,978. 딱 $115.9k ~ $117.1k 얇은 박스에서 힘 모으는 그림. 이 구간 깨면 유동성 빨아들이는 매물대 얇다 = 변동성 커질 확률↑.
2️⃣ 🚀 ETH가 다시 $4,000+… 알트 주도장 ‘온’
ETH $4,032, 장중 $4,056.9 터치. 핵심은 방향이 아니라 상대강도 다. ETH/BTC가 0.0345 근처까지 치고 올라오면, 보수적으로 봐도 “BTC 횡보·알트 순환” 모드로 해석할 수밖에.
3️⃣ ⚖️ 도미넌스 58.5%… 아직은 BTC의 장(場)
BTC 도미넌스 58.5%. 알트 강세 초입 신호는 맞는데, 도미넌스가 56% 아래로 내려가야 ‘알트 대행진’ 확률이 확 커진다. 아직은 ‘알트 선택과 집중’ 국면.
4️⃣ 💸 ETF 데일리 플로우, 숫자로 마음 진정시키기
최근 1주 순유입/유출: - $812.3M → - $323.5M → - $196.2M → + $100.3M. 큰 유출 뒤 저점 매수 유입이 들어온 패턴. 감정 말고 플로우 를 본다면, 아직 파이프는 살아 있다.
5️⃣ 🧰 누적 순유입 $54.18B, 총 AUM $146B+
ETF는 이제 ‘테마’가 아니라 ‘인프라’다. 누적 순유입이 시총의 대략 6.5% 규모. 가격이 흔들려도 유입·보유 잔량 이 바닥을 받친다 = 변동성은 전략의 친구.
6️⃣ 🧺 ETF 보유 1.23M BTC ≈ 유통량 6.2%
하루 채굴 신규공급이 약 450 BTC. 예를 들어 순유입이 +5,000 BTC 나오는 날이면, 채굴 11일치 물량 을 ETF가 단숨에 삼킨다는 뜻. 공급-수요의 비대칭이 가격 탄력의 근본.
7️⃣ 🎓 하버드 $116.7M, 브라운 $4.9M→ $13M
하버드는 IBIT 1,906,000주(약 $116.7M). 브라운은 1분기 $4.9M 공개 후 $13M대 보유 보도. 포인트는 액수가 아니라 신호효과 : 초장기 자금이 “규제 프레임 안에서” 비트코인을 사는 방식을 택했다는 사실.
8️⃣ 🏦 401(k) 자산 $8.9T, 불입한도 $23,500(+ $7,500)
행정명령으로 길은 열렸지만, 즉시 전면 편입 아님(노동부 지침·플랜 스폰서 채택 필요). 그래도 숫자는 무시 못 해. 가정 : 401(k) 자산의 0.5%만 BTC로 분산돼도 $44.5B 잠재 수요. 1%면 $89B. 파이프의 굵기가 다르다.
9️⃣ 🥇 금 관세 뉴스: 골드 선물 $3,534.10 사상 최고
스위스산 1kg/100oz 금괴 관세 39% 이슈로 금 급등, 이후 백악관이 “clarify” 예고하면서 프리미엄이 $100+ 진정. 교훈은 간단해: 물리 골드는 국경·관세·물류 리스크 , 비트코인은 비가역·무국경 자산 . 디지털 골드 서사에 숫자가 붙었다.
🔟 🧮 온체인·기초 체력 체크
유통량 약 19.90M BTC, 시총 약 $2.32T, 24h 거래액 약 $54.5B. 이미 글로벌 위험자산 상위권 체급. ‘니치’가 아니라 ‘메이저’로 읽어야 리스크 관리가 맞아떨어진다.
1️⃣1️⃣ 📈 파생: 옵션 만기 $4.09B, 맥스페인 $116k, PCR 1.46
풋 비중이 높은 구조에서 만기 통과 시 포지션 재배치가 빠르게 나온다. 선물 OI도 $79 ~ $81B 레벨로 큰 변화 앞두고 고개를 들 때가 많다 = 만기 주변 일봉은 데이터 우선 , 감정 금지.
1️⃣2️⃣ ⛏️ 하향 리스크? 유입 공백 + 박스 이탈
ETF가 며칠 연속 순유출이면 $115.9k 박스 하단이 깨질 수 있다. 그때는 112k대 유동성 포켓(최근 체결 밀집 구간)까지 하방 스윕 열어둬야. 손절 라인 숫자로 먼저 적고 들어가.
1️⃣3️⃣ 🧭 알트 로테이션 로드맵 (숫자 버전)
ETHBTC 0.036 돌파 → 0.040 안착 시 알트 광역 랠리 확률↑. 도미넌스 56% 하회 + ETH 4.2k 상방 확장 조합이면, BTC 횡보·알트 쏠림 이 지배 케이스.
결론: 이번 사이클은 ‘4년 주기’보다 ‘자금 파이프(ETF·401k)와 내러티브(금 관세)’가 가격을 당긴다. 뉴스가 아니라 숫자 가 트리거다. 그리고 그 숫자 다섯 개만 보면 된다. 필요한 사람? 말해. 매주 자동으로 뽑아주는 숫자 대시보드 바로 만들어줄게.